KR19990054505A - 무선 제어가 가능한 디지탈 감시용 카메라 - Google Patents

무선 제어가 가능한 디지탈 감시용 카메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54505A
KR19990054505A KR1019970074333A KR19970074333A KR19990054505A KR 19990054505 A KR19990054505 A KR 19990054505A KR 1019970074333 A KR1019970074333 A KR 1019970074333A KR 19970074333 A KR19970074333 A KR 19970074333A KR 19990054505 A KR19990054505 A KR 199900545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signal
control
wireless
comm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4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승호
Original Assignee
유무성
삼성항공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무성, 삼성항공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무성
Priority to KR10199700743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54505A/ko
Publication of KR199900545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4505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04N23/661Transmitting camera control signals through networks, e.g. control via the Intern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이 발명은 무선 제어가 가능한 디지탈 감시용 카메라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명령 입력을 무선 호출기 주파수 대역의 무선 신호로 송신하고, 무선 호출기 주파수 대역의 무선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무선 신호에 해당하는 상태를 표시하는 카메라 제어 수단과; 상기 카메라 제어 수단으로부터 송신되는 무선 신호를 통하여 사용자의 명령을 수신하고, 수신된 명령에 따라 동작하고, 동작 상태를 무선 호출기 주파수 대역의 무선 신호로 송신하는 카메라 본체 수단을 포함하며, 무선 호출기 주파수 대역의 무선 신호를 이용함으로서, 카메라가 설치된 장소까지의 거리에 상관없이 카메라 제어가 가능하고, 카메라 교체 또는 신규 설치시 별도의 설치 공사가 필요 없기 때문에 추가 비용이 없다.

Description

무선 제어가 가능한 디지탈 감시용 카메라
이 발명은 무선 제어가 가능한 디지탈 감시용 카메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말하자면 무선 호출기 주파수 대역의 무선 신호로 제어 가능한 디지탈 감시용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날로그 감시용 카메라와는 달리 디지탈 감시용 카메라는 카메라 기능을 외부에서 제어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데, 카메라 본체에 설치되어 있는 조정키를 조작하여 제어하거나, RS232C 직렬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컴퓨터 등과 같은 제어 장치로 제어한다.
도 1은 종래 디지탈 감시용 카메라에서 본체에 설치되어 있는 조정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듯이, 종래 디지탈 감시용 카메라의 본체부(1)에는 외부에서 조작할 수 있는 조정키(3)가 설치되어 있고, 이러한 카메라 사용자는 조정키(3)를 조작하여 카메라를 제어할 수가 있다.
도 2는 종래 디지탈 감시용 카메라를 RS232C 직렬 통신을 사용하여 제어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듯이, 종래 디지탈 감시용 카메라의 본체부(5)에 RS232C 직렬 통신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어기(7), 특히 컴퓨터를 사용하여 외부에서 카메라를 제어한다.
카메라 본체부(5) 내에는 RS232C 직렬 통신 제어부(9)가 내장되어 있고, RS232C 제어부(9)와 제어기(7) 사이에는 직렬 통신에 필요한 신호선(Rx, Tx)이 연결되어 있다.
카메라 사용자는 제어기(7)를 통해 제어 명령을 내리면, 제어기(7)에 신호선(Rx, Tx)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RS232C 제어부(9)로 명령이 전달되고, RS232C 제어부(9)는 제어기(7)로부터 전달된 명령을 카메라를 제어하는 마이콤(11)으로 전달한다.
최종적으로 마이콤(11)은 제어기(7)로부터 전달된 사용자 명령 입력에 따라 카메라를 제어함으로서, 카메라와 멀리 떨어져 있는 사용자라도 직렬 통신을 통해 카메라를 제어할 수가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디지탈 감시용 카메라에 설치된 조작키를 통해 카메라를 제어하는 것은 카메라 사용자가 카메라가 설치된 장소까지 직접 가서 조작키를 조작하여 제어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한편, 직렬 통신을 통해 제어기에 연결된 디지탈 감시 카메라를 제어하는 기술은 현재 선호되고 있는 방식이지만, 제어기와 카메라 사이가 유선으로 연결되어야 하기 때문에 거리에 제한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고, 거리가 멀어질수록 유선 설치에 따른 공사 등에 많은 비용이 든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범용적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제작이 쉽고 가격이 저렴한 무선 호출기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무선으로 제어가 가능한 디지탈 감시용 카메라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 디지탈 감시용 카메라에서 본체에 설치되어 있는 조정키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종래 디지탈 감시용 카메라를 RS232C 직렬 통신을 사용하여 제어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이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제어가 가능한 디지탈 감시용 카메라의 블록도이고,
도 4는 이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제어가 가능한 디지탈 감시용 카메라의 블록도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이 발명은,
사용자의 명령 입력을 무선 호출기 주파수 대역을 갖는 무선 신호로 송신하는 카메라 제어 수단과;
상기 카메라 제어 수단으로부터 송신되는 무선 신호를 통하여 사용자의 명령을 수신하고, 수신된 명령에 따라 동작하는 카메라 본체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발명의 다른 수단은,
사용자의 명령 입력을 무선 호출기 주파수 대역의 무선 신호를 통하여 송신하고, 무선 호출기 주파수 대역의 무선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무선 신호에 해당하는 상태를 표시하는 카메라 제어 수단과;
상기 카메라 제어 수단으로부터 송신되는 무선 신호를 통하여 사용자의 명령을 수신하고, 수신된 명령에 따라 동작하고, 동작 상태를 무선 호출기 주파수 대역의 무선 신호로 송신하는 카메라 본체 수단을 포함한다.
이하,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이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제어가 가능한 디지탈 감시용 카메라의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듯이, 이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제어가 가능한 디지탈 감시용 카메라는 사용자로부터 제어 명령을 입력받고, 해당 명령을 무선 호출기 주파수 대역을 갖는 무선 신호로 변환시켜 송신하는 카메라 제어부(20)와; 카메라 제어부(20)로부터 송신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무선 신호에 해당하는 명령에 따라 동작하는 카메라 본체부(30)를 포함한다.
이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본체부(30)는 카메라 제어부(20)로부터 송신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제어 명령을 출력하는 무선 수신부(32)와; 무선 수신부(32)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명령을 제어 신호로 출력하는 신호 변환부(34)와; 신호 변환부(34)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신호를 입력받아서 카메라 본체부(30)의 동작을 제어하는 카메라 동작 제어부(36)를 포함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이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제어가 가능한 디지탈 감시용 카메라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디지탈 감시용 카메라를 제어할 필요가 있을 때, 사용자는 직접 감시용 카메라가 설치되어 있는 장소까지 갈 필요없이 카메라 제어부(20)를 통해 제어 명령을 입력한다.
카메라 제어부(2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명령에 해당하는 무선 신호를 생성한 후 카메라 본체부(30)로 송신한다.
이 때, 카메라 제어부(20)에서 송신되는 무선 신호는 무선 호출기의 주파수 대역과 같은 주파수 대역을 갖는 신호이다.
카메라 본체부(30)의 무선 수신부(32)는 카메라 제어부(20)로부터 송신되는 무선 호출기의 주파수 대역을 갖는 무선 신호를 입력받아서 사용자의 제어 명령을 신호 변환부(34)로 전달한다.
신호 변환부(34)는 무선 수신부(32)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명령을 카메라 본체부(30)에서 사용하는 제어 신호로 변환하여 카메라 동작 제어부(36)로 전달한다.
카메라 동작 제어부(36)는 신호 변환부(34)로부터 전달되는 제어 신호를 입력받아서 카메라 본체부(30)의 동작을 제어한다.
결국, 사용자는 카메라 본체부(30)와 멀리 떨어져 있으면서도 무선 호출기의 주파수 대역을 갖는 무선 신호로서 카메라 본체부(30)의 동작을 제어할 수가 있다.
도 4는 이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제어가 가능한 디지탈 감시용 카메라의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되어 있듯이, 이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제어가 가능한 디지탈 감시용 카메라는 사용자로부터 제어 명령을 입력받고, 해당 명령을 무선 호출기 주파수 대역을 갖는 무선 신호로 변환시켜 송신하고, 또한 무선 호출기 주파수 대역을 갖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무선 신호를 통해 전달되는 카메라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카메라 제어부(40)와; 카메라 제어부(40)로부터 송신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무선 신호에 해당하는 명령에 따라 동작하고, 카메라의 동작 상태를 무선 호출기 주파수 대역을 갖는 무선 신호로 변환하여 카메라 제어부(40)로 송신하는 카메라 본체부(50)를 포함한다.
이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본체부(50)는 카메라 제어부(40)와 무선 호출기 주파수 대역의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제어 명령을 출력하고, 카메라 본체부(50)의 동작 상태에 해당하는 무선 호출기 주파수 대역의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무선 송수신부(52)와; 무선 송수신부(52)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명령을 제어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카메라 본체부(50)의 동작 상태를 입력받아서 무선 송수신부(52)로 전달하는 신호 변환부(54)와; 신호 변환부(54)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신호를 입력받아서 카메라 본체부(50)의 동작을 제어하고, 카메라 본체부(50)의 동작 상태를 신호 변환부(54)로 출력하는 카메라 동작 제어부(56)를 포함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이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제어가 가능한 디지탈 감시용 카메라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카메라 제어부(40)를 사용하여 카메라 본체부(50)를 제어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한다.
카메라 본체부(50)를 제어할 필요가 있을 때, 사용자는 직접 카메라 본체부(50)가 설치되어 있는 장소까지 갈 필요가 없이 카메라 제어부(40)를 통해 제어 명령을 입력한다.
카메라 제어부(4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명령에 해당하는 무선 신호를 생성한 후 카메라 본체부(50)로 송신한다.
이 때, 카메라 제어부(40)에서 송신되는 무선 신호는 무선 호출기의 주파수 대역과 같은 주파수 대역을 갖는 신호이다.
카메라 본체부(40)의 무선 송수신부(52)는 카메라 제어부(40)로부터 송신되는 무선 호출기의 주파수 대역을 갖는 무선 신호를 입력받아서 사용자의 제어 명령을 신호 변환부(54)로 전달한다.
신호 변환부(54)는 무선 송수신부(52)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명령을 카메라 본체부(50)에서 사용하는 제어 신호로 변환하여 카메라 동작 제어부(56)로 전달한다.
카메라 동작 제어부(56)는 신호 변환부(54)로부터 전달되는 제어 신호를 입력받아서 카메라 본체부(50)의 동작을 제어한다.
다음에, 카메라 본체부(50)의 동작 상태를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표시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한다.
사용자의 표시 명령에 따라 또는 카메라 본체부(50)의 표시 판단에 따라 카메라 동작 제어부(56)는 카메라 본체부(50)의 동작 상태를 신호 변환부(54)로 출력한다.
신호 변환부(54)는 동작 상태를 무선 송수신부(52)로 전달하고, 무선 송수신부(52)는 무선 호출기 주파수 대역의 무선 신호로 송신한다.
카메라 제어부(40)는 카메라 본체부(50)의 무선 송수신부(52)로부터 송신되는 무선 호출기 주파수 대역의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카메라 본체부(50)의 동작 상태를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표시한다.
결국, 사용자는 카메라 본체부(50)와 멀리 떨어져 있으면서도 무선 호출기의 주파수 대역을 갖는 무선 신호로서 카메라 본체부(50)의 동작을 제어하고, 카메라 본체부(50)의 동작 상태 또한 알 수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이 발명의 실시예에서, 무선 호출기 주파수 대역의 무선 신호를 이용함으로서, 카메라가 설치된 장소까지의 거리에 상관없이 카메라 제어가 가능하고, 주파수 대역이 범용성이 있어서 제작이 쉽고 가격이 저렴하고, 또한 카메라 교체 또는 신규 설치시 별도의 설치 공사가 필요 없기 때문에 추가 비용이 없는 무선으로 제어가 가능한 디지탈 감시용 카메라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4)

  1. 사용자의 명령 입력을 무선 호출기 주파수 대역을 갖는 무선 신호로 송신하는 카메라 제어 수단과;
    상기 카메라 제어 수단으로부터 송신되는 무선 신호를 통하여 사용자의 명령을 수신하고, 수신된 명령에 따라 동작하는 카메라 본체 수단을 포함하는 디지탈 감시용 카메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카메라 본체 수단은 상기 카메라 제어 수단으로부터 송신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제어 명령을 출력하는 무선 수신부와, 상기 무선 수신부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명령을 제어 신호로 출력하는 신호 변환부와, 상기 신호 변환부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신호를 입력받아서 상기 카메라 본체 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카메라 동작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지탈 감시 카메라.
  3. 사용자의 명령 입력을 무선 호출기 주파수 대역의 무선 신호를 통하여 송신하고, 무선 호출기 주파수 대역의 무선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무선 신호에 해당하는 상태를 표시하는 카메라 제어 수단과;
    상기 카메라 제어 수단으로부터 송신되는 무선 신호를 통하여 사용자의 명령을 수신하고, 수신된 명령에 따라 동작하고, 동작 상태를 무선 호출기 주파수 대역의 무선 신호로 송신하는 카메라 본체 수단을 포함하는 디지탈 감시용 카메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카메라 본체 수단은 상기 카메라 제어 수단으로부터 송신되는 무선 호출기 주파수 대역의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제어 명령을 출력하고 상기 카메라 본체 수단의 동작 상태에 해당하는 무선 호출기 주파수 대역의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무선 송수신부와, 상기 무선 송수신부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명령을 제어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상기 카메라 본체부의 동작 상태를 입력받아서 상기 무선 송수신부로 전달하는 신호 변환부와, 상기 신호 변환부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신호를 입력받아서 상기 카메라 본체 수단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카메라 본체 수단의 동작 상태를 상기 신호 변환부로 출력하는 카메라 동작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지탈 감시용 카메라.
KR1019970074333A 1997-12-26 1997-12-26 무선 제어가 가능한 디지탈 감시용 카메라 KR199900545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4333A KR19990054505A (ko) 1997-12-26 1997-12-26 무선 제어가 가능한 디지탈 감시용 카메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4333A KR19990054505A (ko) 1997-12-26 1997-12-26 무선 제어가 가능한 디지탈 감시용 카메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4505A true KR19990054505A (ko) 1999-07-15

Family

ID=66099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4333A KR19990054505A (ko) 1997-12-26 1997-12-26 무선 제어가 가능한 디지탈 감시용 카메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5450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6620A (ko) * 2000-05-22 2001-12-07 여성기 무선 카메라 송수신 제어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100426935B1 (ko) * 2000-09-19 2004-04-30 아프로미디어 (주) Cctv용 카메라의 원격 제어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6620A (ko) * 2000-05-22 2001-12-07 여성기 무선 카메라 송수신 제어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100426935B1 (ko) * 2000-09-19 2004-04-30 아프로미디어 (주) Cctv용 카메라의 원격 제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54505A (ko) 무선 제어가 가능한 디지탈 감시용 카메라
JP2004517560A (ja) 汎用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
KR950013172A (ko) 영상 신호 수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상 신호 수신 시스템
KR940023079A (ko) 카 오디오 시스템 연결장치
KR100459910B1 (ko) 음성응답 원격제어시스템 및 음성응답 원격제어장치
KR0169435B1 (ko)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장치
KR19980059090A (ko)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제어장치
JPH0334696A (ja) ホームバスシステム
KR100187232B1 (ko) 전화선로를 이용한 공기조화기의 운전 제어장치
KR10035379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에티켓 모드 설정 장치
KR19990019794A (ko) 무선 원격제어 시스템
KR20010077713A (ko) 무선주파수를 이용한 전력선 제어방법 및 장치
KR200163187Y1 (ko) 원격조정이가능한무선카메라
KR20000033707A (ko) 가전제품 통합 제어장치
JP2834259B2 (ja) 空気調和機の制御装置
KR200269528Y1 (ko) 전기기구의 원격 제어장치
JPH04252551A (ja) 機器制御システム
KR960030731A (ko) 원격제어장치
KR0151188B1 (ko) 전화기를 이용한 원격 제어시스템
JPS63227195A (ja) リモ−トコントロ−ル装置
KR20040032240A (ko) 전자기기의 원격 제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200295775Y1 (ko) 양방향 제어방식 디지털 시계
KR19980075414A (ko) 모터 구동장치
JPH08149580A (ja) 遠隔制御システム
KR19990029546U (ko) 복수장치의 기능조정이 가능한 리모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