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77634A - 사출성형물 세정장치 - Google Patents

사출성형물 세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77634A
KR20010077634A KR1020000005553A KR20000005553A KR20010077634A KR 20010077634 A KR20010077634 A KR 20010077634A KR 1020000005553 A KR1020000005553 A KR 1020000005553A KR 20000005553 A KR20000005553 A KR 20000005553A KR 20010077634 A KR20010077634 A KR 200100776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jection molding
container
washing
cleaning
molded pro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55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41370B1 (ko
Inventor
채성일
Original Assignee
채성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채성일 filed Critical 채성일
Priority to KR10200000055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1370B1/ko
Priority to KR2020000003387U priority patent/KR200188885Y1/ko
Publication of KR200100776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76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13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13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1753Cleaning or purging, e.g. of the injection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출성형물(射出成形物)의 표면에 묻은 이물질을 세정하기 위한 사출성형물 세정장치에 관한 것이며, 대기나 수질을 오염시킬 우려가 없는 핵산을 세척액으로 이용하여 사출성형물의 표면에 묻은 이물질을 신속하고 깨끗하게 세정하기에 적당하고 또 그 구성이 간단하여 저가에 공급할 수 있는 사출성형물 세정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사출성형물 세정장치는, 바닥조(11) 내에 합성수지로 된 복수의 세척용기(12)가 배치된 세척수단(1)과, 지지대(21)의 상부에 지지판(22)이 고정되고 지지판(22)에 다수의 롤러(24)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음과 함께 지지판(22)와 롤러(24) 사이에 합성수지재의 안전판(23)이 설치되어 상기 지지판(22)의 길이방향 일측 선단부가 세척수단(1)쪽으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된 세척액배출수단(2)과, 전, 후 측부와 하부에 공기쳄버(31a)가 형성되고 공기쳄버(31a)에서 내측으로는 통기구멍(31b)이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통체(31)와 가이드통체(31) 내에 수용되고 상기 가이드통체(31)의 통기구멍(31b)과 통하는 통기구멍(32a)을 갖는 합성수지재의 안전건조용기(32)와 배출측이 상기 가이드통체(31)의 공기쳄버(31a)와 연결되어 있는 송풍기(34)와 송풍기(34)의 흡입측에 연결된 공기흡입통체(35)와 공기흡입통체(35) 내에 배치되고 보일러의 온수관과 연결된 발열관(36)을 포함하는 건조수단(3)으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사출성형물 세정장치는, 사출물용기에 넣어진 사출성형물을 핵산이 수용된 세척용기 내에서 세척하고 세척된 사출성형물이 담겨진 사출물용기를 세척액배출수단의 롤러 위에 올려 사출성형물로부터 세척액을 배출시키며 이후 사출물용기를 건조수단의 안전건조용기에 넣어 사출성형물에 남은 세척액을 건조시키는 것이다.

Description

사출성형물 세정장치{Cleaning apparatus of injection molding articles}
본 발명은 세정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사출성형물(射出成形物)의 표면에 묻은 이물질을 세정하기 위한 사출성형물 세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각종 전자 또는 전기기구를 비롯한 그밖의 대부분의 물품은 그 구성부품의 상당수가 합성수지원재를 사출성형하여 된 것이다.
각종 물품의 구성부로 이용하기 위하여 사출성형된 사출성형물은 사출되는 과정에서 금형의 내면에 뿌려진 이형재 등에 의해 그 표면에 기름성분을 갖는 이물질이 묻게 된다.
따라서 사출성형물의 표면에 착색재를 도포하거나 또는 도색과정 없이 이용한다 하여도 그 물품의 청결한 상태를 위하여는 표면의 세정공정이 요구된다.
사출성형물의 표면에 묻은 이물질을 세정하기 위한 종래의 세정장치로는 액상의 프레온을 이용하여 세척하도록 한 것이 널리 이용되어 왔다.
그런데 프레온을 이용한 세정장치의 경우에는 양호한 세정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기는 하나 세척에 이용되는 프레온에 의해 대기의 환경이 파괴되는 큰 문제점을 안고 있는 것임은 물론 이러한 이유로 그 사용을 규제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것은, 세척효과가 우수하면서도 대기나 수질을 오염시킬 우려가 없는 핵산을 세척액으로 이용하여 사출성형물의 표면에 묻은 이물질을 신속하고 깨끗하게 세정하기에 적당하고 또 그 구성이 간단하여 저가에 공급할 수 있는 사출성형물 세정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물 세정장치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물 세정장치의 평면도
도 3은 도 2에 있어서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도 2에 있어서의 b-b선 단면도
도 5는 도 2에 있어서의 c-c선 단면도
도 6은 도 2에 있어서의 d-d선 단면도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세척수단 --- 11. 바닥조, 12. 세척용기
2. 세척액배출수단 --- 21. 지지대, 22. 지지판, 23. 안전판
24.롤러
3. 건조수단 --- 31. 가이드통체, 32. 건조안전용기, 33. 연결통체
34. 송풍기, 35. 공기흡입통체, 36. 발열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사출성형물 세정장치는, 바닥조 내에 합성수지로 된 복수의 세척용기가 배치된 세척수단과, 지지대의 상부에 지지판이 고정되고 지지판에 다수의 롤러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음과 함께 지지판과 롤러 사이에 합성수지재의 안전판이 설치되어 상기 지지판의 길이방향 일측 선단부가 세척수단쪽으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된 세척액배출수단과, 전, 후 측부와 하부에 공기쳄버가 형성되고 공기쳄버에서 내측으로는 통기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통체와 가이드통체 내에 수용되고 상기 가이드통체의 통기구멍과 통하는 통기구멍을 갖는 합성수지재의 안전건조용기와 배출측이 상기 가이드통체의 공기쳄버와 연결되어 있는 송풍기와 송풍기의 흡입측에 연결된 공기흡입통체와 공기흡입통체 내에 배치되고 보일러의 온수관과 연결된 발열관을 포함하는 건조수단으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사출성형물 세정장치는, 사출물용기에 넣어진 사출성형물을 핵산이 수용된 세척용기 내에서 세척하고 세척된 사출성형물이 담겨진 사출물용기를 세척액배출수단의 롤러 위에 올려 사출성형물로부터 세척액을 배출시키며 이후 사출물용기를 건조수단의 안전건조용기에 넣어 사출성형물에 남은 세척액을 건조시키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물 세정장치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물 세정장치의 평면도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세척수단(1)은 소정의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 바닥조(11) 내에 덮계(12a)를갖고 합성수지재로 된 3개의 세척용기(12)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바닥조(11)의 뒤쪽에는 세척작업중 세척액이 뒤쪽으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격판(13)이 직립되게 설치되어 있다.
세척수단(1)의 측부에는 세척된 사출성형물에서 세척액을 배출하기 위한 세척액배출수단(2)이 설치되어 있다. 세척액배출수단(2)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21)의 상부에 지지판(22)이 고정되어 있다. 지지판(22)은 저판(22a)의 전, 후 양 측부에 직립되게 측판(22b)이 일체로 형성되어 길이방향의 일측 선단부가 세척수단(1)쪽으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판(22)의 양 측판(22b) 내면에는 합성수지재의 안전판(23)이 부착되어 있고 측판(22b)의 길이방향의 소정의 간격마다에는 롤러(24)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롤러(24)는 원형의 봉 형상임과 함께 쿳션이 우수한 합성수지로 된 롤러본체(24a)와 롤러본체(24a)의 축방향 중앙에 결합된 중심축(24b)으로 되어 이 중심축(24b)의 양 선단부가 양 측판(22b)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세척액배출수단(2)의 측부에는 세척액배출수단(2)을 거친 사출성형물에서 세척액을 건조하기 위한 건조수단(3)이 설치되어 있다. 건조수단(3)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액배출수단(2)의 측부에 설치된 가이드통체(31)의 내부에 합성수지로 된 2개의 안전건조용기(32)가 수용되어 있다. 여기서 가이드통체(31)는 전, 후 측부와 하부 내에 공기쳄버(31a)가 형성되고 각 공기쳄버(31a)에서 내측으로는 통기구멍(31b)이 형성되어 있으며 가이드통체(31)에 수용된 안전건조용기(32)에는 가이드통체(31)의 통기구멍(31b)과 통하는 통기구멍(32a)이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가이드통체(31)의 각 공기쳄버(31a)는 연결통체(33)에 의해 송풍기(34)의 배출측과 연결되어 있고 송풍기(34)의 유입측에는 공기흡입통체(35)가 연결되어 있으며 공기유입통체(35) 내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로 설치되는 보일러(도시하지 않음)의 온수관과 연결된 발열관(36)이 지그제그 형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건조수단(3)의 구성에 의해 송풍기(34)를 작동시키면 공기흡입통체(35)를 통하여 송풍기(34)의 유입측으로 유입되는 공기는 공기흡입통체(35)에 설치된 발열관(36)을 통하는 중에 가열되어 송풍기(34)의 배출측으로 배출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송풍기(34)를 통하여 배출된 열풍은 연결통체(33)를 통하여 가이드통체(31) 내의 공기쳄버(31a)와 공기통로(31b,32a)를 통하여 건조안전용기(32) 내로 공급되게 되어 있다. 여기서 열풍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전기히터 등을 이용하지 않이하고 보일러에 의해 가열된 온수를 발열관(36)으로 순환시키면서 이 발열관(36)에 공기를 통과시켜 열풍을 발생시키도록 한 것은 본 발명의 사출성형물 세정장치에서 화기를 발생시키는 구성부를 배제함으로서 세척제로 이용하는 가연성의 핵산이 착화되어 화재가 발생되는 것을 적극적으로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서 사출성형물이 넣어진 사출물용기와 접하는 부분 즉 세척용기(12), 롤러본체(24a), 안전판(23), 건조안전용기(32)를 합성수지재로 형성하고 있는 것은 사출물용기와의 마찰에 의한 불꼿에 의해 세척액으로 이용되는 핵산이 착화되어 화재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사출성형물 세정장치에 의해 사출성형물에 묻은 이물질을 세척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는 가연성이나 대기 및 수질오염의 우려가 없고 세척효과가 우수한 핵산을 세척액으로 이용한다.
먼저 세척액이 채워진 세척용기(12) 내에 사출성형물이 넣어진 사출물용기를 넣어둔채로 잠시 유지하면 세척액에 의해 사출성형물의 표면에 묻은 이물질이 용해되어 제거된다.
세척과정이 완료되면 사출물용기를 세척액배출수단(2)의 롤러(24) 위에 올려 놓으며, 이러한 상태를 잠시 유지시키면 사출물용기 내의 사출성형물에 묻은 세척액은 지지판(22)의 저판(22a)으로 떨어져 배출되고 저판(22a)에 모이는 세척액은 지지판(22)이 세척수단(1)쪽으로 하향 경사진 상태에 의해 세척수단(1)의 바닥조(11)로 흐르게 된다.
세척액의 배출이 완료되면 사출물용기를 롤러(24) 위에서 건조수단(3)쪽으로 이동시켜 건조안전용기(32) 내에 넣는다. 이와 같이 건조안전용기(32)에 사출물용기를 넣으면 건조안전용기(32) 내로 공급되는 열풍에 의해 사출물용기 내의 사출성형물에 묻은 세척액은 완전하게 건조되며 건조가 완료되면 건조안전용기(32)로부터 사출물용기를 들어낸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사출성형물 세정장치에 의해 사출성형물을 세정함에 있어서는 사출물용기와 접촉되는 부분이 모두 합성수지재로 되어 있고 또 별도로 설치되는 보일러에 의해 가열된 온수를 발열관으로 순환시켜 열풍을 발생시키는 것이므로 세정장치에 있어서의 각 구성부와 사출물용기와의 마찰에 의한 불꼿이나 열풍을 발생시키기 위한 구성부의 화기에 의해 세척액으로 이용되는 핵산이 착화되어 화재가 발생될 우려는 전혀 없다.
본 발명의 사출성형물 세정장치는, 사출물용기에 넣어진 사출성형물을 핵산이 수용된 세척용기 내에서 세척하고 세척된 사출성형물이 담겨진 사출물용기를 세척액배출수단의 롤러 위에 올려 사출성형물로부터 세척액을 배출시키며 이후 사출물용기를 건조수단의 안전건조용기에 넣어 열풍에 의해 사출성형물에 남은 세척액을 건조시키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사출물용기와 접촉되는 모든 부분을 합성수지재로 형성시키고 또 별도로 설치되는 보일러에 의해 가열된 온수를 발열관으로 순환시켜 열풍을 발생시키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세척과 세척액배출과 건조과정을 순차적으로 거쳐 사출성형물에 묻은 이물질을 세정하도록 구성되고 또 세척효과가 우수하고 가연성이나 대기와 수질오염의 우려가 없는 핵산을 세척액으로 이용하기에 적당하도록 구성된 것이므로 다량의 사출성형물에 묻은 이물질을 환경의 오염과 화재의 위험 없이 신속하고 깨끗하게 세정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그 구성이 간단한 것이므로 저가에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바닥조(11) 내에 합성수지로 된 복수의 세척용기(12)가 배치된 세척수단(1);
    지지대(21)의 상부에 지지판(22)이 고정되고 지지판(22)에 다수의 롤러(24)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음과 함께 지지판(22)와 롤러(24) 사이에 합성수지재의 안전판(23)이 설치되어 상기 지지판(22)의 길이방향 일측 선단부가 세척수단(1)쪽으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된 세척액배출수단(2);
    전, 후 측부와 하부에 공기쳄버(31a)가 형성되고 공기쳄버(31a)에서 내측으로는 통기구멍(31b)이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통체(31)와, 가이드통체(31) 내에 수용되고 상기 가이드통체(31)의 통기구멍(31b)과 통하는 통기구멍(32a)을 갖는 합성수지재 안전건조용기(32)와, 배출측이 상기 가이드통체(31)의 공기쳄버(31a)와 연결되어 있는 송풍기(34)와, 송풍기(34)의 흡입측에 연결된 공기흡입통체(35)와, 공기흡입통체(35) 내에 배치되고 보일러의 온수관과 연결된 발열관(36)을 포함하는 건조수단(3);
    으로 되어 사출물용기에 넣어진 사출성형물을 핵산이 수용된 세척용기 내에서 세척하고 세척된 사출성형물이 담겨진 사출물용기를 세척액배출수단의 롤러 위에 올려 사출성형물로부터 세척액을 배출시키며 이후 사출물용기를 건조수단의 안전건조용기에 넣어 사출성형물에 남은 세척액을 건조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물 세정장치.
KR1020000005553A 2000-02-07 2000-02-07 사출성형물 세정장치 KR1003413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5553A KR100341370B1 (ko) 2000-02-07 2000-02-07 사출성형물 세정장치
KR2020000003387U KR200188885Y1 (ko) 2000-02-07 2000-02-09 사출성형물 세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5553A KR100341370B1 (ko) 2000-02-07 2000-02-07 사출성형물 세정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3387U Division KR200188885Y1 (ko) 2000-02-07 2000-02-09 사출성형물 세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7634A true KR20010077634A (ko) 2001-08-20
KR100341370B1 KR100341370B1 (ko) 2002-06-22

Family

ID=19644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5553A KR100341370B1 (ko) 2000-02-07 2000-02-07 사출성형물 세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13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93773A (zh) * 2022-01-13 2022-04-26 辽宁工业大学 一种制作血管支架的便捷式注塑模具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93773A (zh) * 2022-01-13 2022-04-26 辽宁工业大学 一种制作血管支架的便捷式注塑模具
CN114393773B (zh) * 2022-01-13 2023-12-12 辽宁工业大学 一种制作血管支架的便捷式注塑模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41370B1 (ko) 2002-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9293B1 (ko) 자동 손 세척기
CN200973697Y (zh) 全自动洗鞋机
US20140075683A1 (en) Laundry treatment method and apparatus
KR101455995B1 (ko) 보조 의류처리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복합 의류처리장치
EP2873722A1 (en) Method for treating laundry and detergent used therein
KR100341370B1 (ko) 사출성형물 세정장치
KR200188885Y1 (ko) 사출성형물 세정장치
KR100662472B1 (ko) 스팀발생장치를 이용한 건조기
KR101515701B1 (ko) 매트 자동 세척장치
KR101857540B1 (ko) 식판 세척기
CN103831264B (zh) 全自动清洗机
SE8401649L (sv) Sett och maskin for diskning
US5941259A (en) Shoe washing and drying device
CN213194962U (zh) 一种食品检测用试管清洗装置
CN213887502U (zh) 一种实验室用试管清洗装置
KR0121276Y1 (ko) 식기세척기의 증기배출장치
KR100572776B1 (ko) 드럼 세탁기용 건조장치
KR20200081116A (ko) 형상기억합금소재를 이용하여 의류의 주름 제거가 가능한 다기능 수납 시스템
CN220363696U (zh) 过滤器置放架
CN219250054U (zh) 清洗装置
GB1158483A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Cleaning Soiled Materials
CN208949543U (zh) 带有二次清理功能的水洗机
JPH03101878A (ja) 洗浄装置
KR20150044268A (ko) 물재활용기능을 가진 식기세척기
KR800000898Y1 (ko) 카페트 세탁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0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