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75237A - 고함량 망간 함유 알루미늄 다이캐스트 합금 - Google Patents

고함량 망간 함유 알루미늄 다이캐스트 합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75237A
KR20010075237A KR1020017003578A KR20017003578A KR20010075237A KR 20010075237 A KR20010075237 A KR 20010075237A KR 1020017003578 A KR1020017003578 A KR 1020017003578A KR 20017003578 A KR20017003578 A KR 20017003578A KR 20010075237 A KR20010075237 A KR 200100752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uminum
aluminum alloy
alloy
iron
mangane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35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제임스엠. 에반스
리차드제이. 헤이간
모리스얼. 터너
롤랜드엔. 깁스
Original Assignee
깁스 로랜드 엔.
깁스 다이 캐스팅 알루미늄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깁스 로랜드 엔., 깁스 다이 캐스팅 알루미늄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깁스 로랜드 엔.
Publication of KR200100752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5237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21/00Alloys based on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21/00Alloys based on aluminium
    • C22C21/06Alloys based on aluminium with magnesium as the next major constituent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21/00Alloys based on aluminium
    • C22C21/12Alloys based on aluminium with copper as the next major constitu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org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Conductive Materials (AREA)
  • Molds, Core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of (AREA)

Abstract

저함량 철 및 고함량 망간으로 몰드 땜납 경향이 없는 변형된 다이캐스트용 알루미늄 합금이 발표된다. 이 합금에서 철함량 0.6중량% 미만이고 망간 함량은 1.0-2.0중량%이다.

Description

고함량 망간 함유 알루미늄 다이캐스트 합금{ALUMINUM DIE CAST ALLOY HAVING HIGH MANGANESE CONTENT}
제조업, 특히 자동차 산업은 철계 재료를 알루미늄과 같은 경량재료로 점점 대체하고 있다. 경량재료에 대한 수요는 철계 금속으로 형성된 구조물의 경우에 보존되는 응력을 견디는 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는 알루미늄 합금개발을 가져왔다. 향상된 강도(고항복강도 및 고신장률을 포함한)에 추가적으로 알루미늄 합금을 다이캐스팅 가능하고 내식성이며 쉽게 기계가공되어야 한다.
역사적으로 알루미늄 주물은 유사 조성의 전신(wrought)제품에 비해서 낮은 강도 및 연성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낮은 강도 및 연성은 전신 합금의 경우에 기계가공에 의해 대개 제거되는 결함이 주조합금의 경우에 존재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결함은 두 가지 형태인데, 그중 하나는 수축 또는 가스 포함으로 인한 공극이며 다른 하나는 응고동안 주물에 포획된 불순물원소나 산화물개재물로 인한 꽤 크고 부서지기 쉬운 입자이다. 이러한 결함의 크기 및 갯수를 최소화하는 주조기술및 합금 조성 변화로 고급 주물이 개발된다.
대개의 경우에 최고 품질의 알루미늄 주조 합금은 알루미늄/실리콘/마그네슘 (Al-Si-Mg)형 합금에 속한다. 고순도 입력(저 철함량 또는 베릴륨(Be)첨가에 의한 AlSiFes의 변성)을 사용하고 합금을 청정하게 유지함으로써 강도 및 연성이 향상된다. 그 결과 이용가능한 알루미늄 주물의 성질이 등가 조성의 전신 제품의 성질에 접근할 수 있다.
개선된 기계적 성질을 보이는 알루미늄 합금이 최근에 개발되었다(미국특허 5,573,606, Evans, 1996,11.12 등록). 상기 특허의 알루미늄 기초합금은 과거에 구매가능한 알루미늄 합금에 비해서 향상된 항복강도와 신장률을 보인다.
다이캐스팅 작업에서 합금은 강철로 제조된 몰드에서 주조된다. 알루미늄과 강철은 고온과 같은 조건하에서 접촉할 때 금속간 화합물을 형성한다. 그러므로 개선된 알루미늄 합금이나 임의의 알루미늄 합금으로부터 다이캐스팅된 성분은 "다이 땜납"을 하거나 알루미늄 합금이 강철 다이와 상호작용하여서 몰드에 결합되는 금속간 화합물을 형성하므로 몰드로부터 주조성분을 제거하는데 방해가 된다. 다이 땜납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주조작업에 사용되는 알루미늄 합금에 철이 첨가된다. 다이 캐스팅 작업에서 사용되는 알루미늄 합금에서 0.7중량% 이상의 철 농도가 전형적이다. 그러나 철은 합금의 연성을 크게 저하시키며 합금의 내식성을 떨어뜨린다. 그러므로 다이캐스팅 작업자는 저 철함량과 향상된 기계적 및 주조성질을 갖는 알루미늄 합금을 원한다. 본 발명의 알루미늄 기초 합금은 저 철농도, 더 높은 망간 농도를 가지므로 다이 땜납 경향이 덜하다.
다양한 원소가 알루미늄 합금의 기계적 성질에 미치는 효과가 연구되었지만 비교적 단순한 시스템, 2원 또는 3원 합금에 대한 연구가 주로 수행되었다. 대개의 상용 알루미늄 다이캐스팅 합금은 여러 가지 합금과 불순물 원소를 함유한 복잡한 합금 시스템이다. 이러한 합금에 존재하는 많은 수의 원소, 이의 가변적 농도, 합금원소간 상호작용 가능성은 상용 합금의 성질에 각 원소가 미치는 효과에 대한 체계적 연구를 매우 복잡하고 곤란하게 한다. 각 원소가 합금의 기계적 성질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기가 어려울지라도 철, 망간, 마그네슘, 구리, 실리콘, 티타늄 및 베릴륨은 알루미늄 합금 성질에 다음과 같은 일반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알려진다.
철은 다이캐스팅 작업중 알루미늄 합금이 금속 다이에 접착("다이 땜납")하는 것을 방지하여 알루미늄 합금을 다이로부터 이형시키는 것을 촉진할 목적으로 다이캐스팅 알루미늄 합금에 첨가된다. 그러나 철의 첨가는 알루미늄 합금의 신장성을 낮춘다.
망간은 철 첨가의 역효과를 제거할 목적으로 알루미늄 합금에 첨가된다. 과량의 망간은 알루미늄 합금의 기계적 강도를 크게 저하시키기 대문에 망간의 중량%는 알루미늄 합금에서 철중량%의 절반을 초과해서는 안된다고 판단되어 왔다.
마그네슘은 합금의 인장강도 향상을 위해서 포함된다. Al-Mg 이원 합금은 고강도, 고 내식성, 용접성 및 표면 마감성을 갖는다. 그러나 마그네슘 함량 증가가 합금의 경도 및 내피로성을 증가시키지만 합금의 연성을 감소시킨다. 합금에서 마그네슘 함량을 제한하는 또다른 이유는 마그네슘이 쉽게 산화하여서 용융물내에 마이크로 크기의 마그네슘 산화물(MgO)입자를 형성하기 때문이다. 높은 유지온도(750℃이상)에서 복잡한 8면체 알루미늄 망간 산화물 결정인 스피넬이 형성 및 성장하여서 용융물내에 개재물을 형성한다. 이러한 개재물은 합금의 유동성 및 신장성을 저하시킨다.
구리는 합금의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알루미늄 합금에 첨가될 수 있다. 구리함량이 증가하면 합금의 경도가 증가하지만 강도 및 연성은 구리가 고체 용액으로 존재하는지, 구형 및 균일 분산된 입자로 존재하는지 여부에 달려있다. 구리는 전기분해 전위를 감소시키고 내식성을 저하시킨다. 구리함유 합금은 어닐링된 조건에서 심하게 공식(pitting)되는 경향이 있으며 시효경화될때 입계 부식 또는 응력 부식을 받을 수 있다.
실리콘은 다이캐스팅 작업중 용융상태에서 합금이 유동성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합금에 첨가되는 성분이다. Al-Si 합금은 수축성이 적으며 좁은 동결 범위를 가지므로 양호한 고온 인열 내성, 견고성 및 용접성을 가져온다. Al-Mg 합금에서 실리콘은 강도증가 없이 연성 및 신장률을 감소시킨다. 구리와 실리콘의 조합된 첨가는 합금의 경도를 증가시키지만 신장률을 크게 저하시킨다.
티타늄은 소량의 붕소와 조합으로 알루미늄 주조합금의 그레인 구조를 정련하는데 사용된다. 고온 쇼트(shot)조성물에서 균열성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티타늄은 그레인 정련에 필요한 농도 이상의 농도로 종종 사용된다.
베릴륨은 알루미늄 합금중 마그네슘의 산화를 방지하기 위해서 Al-Mg 기초합금에 첨가된다. 알루미늄 기초 합금 용융물에 첨가된 0.005-0.05중량% 베릴륨은 보호 베릴륨 산화물 필름이 표면상에 형성되게 한다. 베릴륨이 제공하는 보호가 없다면 마그네슘은 산소에 대해 반응성이 높기 때문에 주조동안 상당량의 마그네슘이 손실된다. 마그네슘 산화물 자체는 마그네슘 손실을 방지할 보호장벽을 형성하지 못한다. 베릴륨은 또한 알루미늄 합금의 내식성, 신장률 및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알루미늄 합금에 포함된다. 그러므로 당해분야의 최신 기술상태에 따르면 베릴륨이 Al-Mg 합금에 일반적으로 포함되고 베릴륨 비율은 알루미늄 합금의 마그네슘 함량에 따라 가변적이다.
철 농도의 절반이상의 농도로 망간을 첨가하면 유해하다는 당해분야의 인식에 반하여 본 출원인은 저 철함량(0.7중량% 미만) Mg-Si-Al 합금의 기계적 성질이 망간 함량을 1.0-2.0중량%으로 증가시켜도 크게 영향을 발견하였으며, 이러한 합금으로 다이캐스팅된 성분이 다이 땜납 경향이 크게 감소됨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은 1.0-2.0중량% 망간, 최대 0.6중량%의 철을 포함하는 다이캐스팅 알루미늄 합금에 관계한다. 한 구체예는 최대 1.75중량%의 마그네슘을 포함한다. 이러한 합금의 고강도 구체예는 2.5-4.0중량% 마그네슘과 최대 0.003중량% 베릴륨을 포함한다. 이러한 알루미늄 합금은 탁월한 신장성을 보이며 다이 땜납 경향이 없는 경량 다이캐스팅 제품 형성에 유용하다.
본 발명은 향상된 기계적 성질 및 주조성질을 갖는 알루미늄 기초 합금과 이러한 합금으로 다이캐스트 제품 제조방법에 관계한다. 특히 본 발명의 알루미늄 기초 합금은 1.0-2.0중량% 망간과 최대 0.6중량% 철을 포함한다.
도1은 다이캐스팅된 테스트 바아를 보여준다.
과거에 발표된 다이캐스팅 가능한 알루미늄 합금은 본 발명의 알루미늄 화합물에 비해서 신장성이 부족하고 다이 땜납 경향이 크다.
본 발명의 저 철함량 및 고 망간 함량 알루미늄 합금은 예전의 저 철함량 알루미늄 합금에 비해서 다이 땜납 경향이 없다. 철은 다이 땜납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알루미늄 합금에 첨가되며 0.7중량% 이상으로 철을 함유할 때 다이 땜납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킴이 발견되었다. 그러나 0.7중량% 이상으로 철을 함유한 알루미늄 합금은 연성 및 내식성이 감소된다. 망간은 철과 조합되어 철의 유해효과를 감소시키기 위해서 알루미늄 합금에 첨가되어서 중국 문자와 유사한 플레이트형 구조를 형성한다. 보통 망간은 철함량의 절반 미만의 양으로 조절된다. 본 발명의 알루미늄 합금에서 철함량은 0.6중량% 미만으로 제한되고 망간 함량은 1.0-2.0중량%이다. 증가된 망간 함량은 감소된 철함량을 보상하는 작용을 하며 다이 땜납 경향을 감소시킨다고 판단된다.
본 발명 합금의 강도는 0.003중량% 미만의 베릴륨 함량과 조합된 마그네슘 함량을 증가시킴으로서 향상될 수 있다. 알루미늄 합금의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소량의 마그네슘을 알루미늄 합금에 포함시키는 기술은 당해분야에 알려진다. 2.5중량% 이상으로 마그네슘 함량을 증가시키면 합금의 신장성이 감쇠된다고 보고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고 마그네슘 함량 알루미늄 합금(2.5-4.0중량%)은 현재 구매가능한 다이캐스팅용 알루미늄 합금에 비해서 향상된 신장성을 가진다.
베릴륨은 마그네슘의 산화를 방지하는 성질 때문에 마그네슘 함유 알루미늄 합금의 중요한 성분이다. 베릴륨을 포함시키면 또한 합금의 기계적 강도가 증가된다. 본 출원인은 고함량 마그네슘 (2.5-4.0중량%)을 함유한 알루미늄 합금에서 베릴륨 함량을 감소시키면 알루미늄 합금의 신장성이 증가함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베릴륨 함유 알루미늄 합금은 0.003중량% 미만의 베릴륨 함량을 가진다.특히 베릴륨 함량은 0.003중량% 미만이며 베릴륨 함량이 0 인 것이 가장 선호된다.
본 발명은 1.0-2.0중량% 망간, 최대 0.6중량% 의 철을 함유한 알루미늄 합금에 관계한다. 본 발명의 합금은 1.75중량% 미만의 마그네슘 또는 0.001-0.003중량% 베릴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알루미늄 합금은 실리콘, 구리, 아연, 니켈, 티타늄, 크롬, 주석 또는 납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알루미늄 기초 다이캐스팅 합금은 불가피한 불순물(칼슘, 카드뮴, 갈륨 또는 나트륨을 포함한)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선호되는 고망간 함량 합금은 1.0-2.0중량% 망간, 최대 0.6중량% 철, 2.5-4.0중량% 마그네슘, 최대 0.10중량% 아연, 최대 0.45중량% 실리콘, 최대 0.10중량% 구리, 0.003중량% 미만의 베릴륨, 나머지 알루미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 고 마그네슘 함량 알루미늄 합금은 2.5-4.0중량% 마그네슘, 1.0-2.0중량% 망간, 0.25-0.6중량% 철, 0.2-0.45중량% 실리콘, 0.003중량% 미만의 베릴륨, 나머지 알루미늄을 포함한다. 또다른 구체예에서 고 마그네슘 함량 알루미늄 합금은 1.0-2.0중량% 망간, 2.5-3.0중량% 마그네슘, 0.05-0.10중량% 구리, 0.25-0.6중량% 철, 0.2-0.45중량% 실리콘, 0.003중량% 미만의 베릴륨, 나머지 알루미늄을 포함한다.
본 출원인은 A356, A357 및 A206과 같은 알루미늄 합금에서 철함량을 감소시키고 망간 함량을 1.0-2.0중량%로 증가시킴으로써 연성 및 내식성이 증가되고 땜납 경향이 감소되면서 인장강도, 항복강도 또는 신장률에 영향이 없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한 구체예에서 알루미늄 합금은 1.0-2.0중량% 망간, 0.25-0.7중량% 마그네슘, 최대 0.20중량% 구리, 최대 0.20중량% 철, 6.5-7.5중량% 실리콘, 최대 0.20중량% 티타늄, 최대 0.10중량% 아연, 나머지 알루미늄을 포함한다. 또다른 구체예에서 알루미늄 합금은 1.0-2.0중량% 망간, 0.15-0.350중량% 마그네슘, 4.2-5.0중량% 구리, 최대 0.1중량% 철, 최대 0.05중량% 실리콘, 0.15-0.2중량% 티타늄, 최대 0.1중량% 아연, 나머지 알루미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고 망간함량 알루미늄 합금은 시판 다이캐스팅용 알루미늄 합금에 비해서 향상된 강도를 갖는다. 본 발명의 알루미늄 합금은 16Ksi(110MPa)이상의 항복강도와 17% 이상의 신장률을 갖는 신규한 다이캐스팅 알루미늄 합금을 제공한다. 특히 본 알루미늄 합금은 17-18Ksi(117-124MPa)의 항복강도와 20%이상의 신장률을 보인다.
본 발명의 알루미늄 합금은 당해분야에서 공지된 표준절차를 사용하여 제조된다. 본 발명의 알루미늄 합금은 표준 다이캐스팅 절차에서 다양한 경량 다이캐스팅 물품을 형성한다. 몰드 공동과 용융 금속이 공급되는 통로(쇼트 슬리이브 및 전달 튜브에서 로 까지 이르는 런너 시스템)상에 진공을 유도하여 용융 금속에 의해 포획될 수 있는 공기를 제거하는 진공 다이캐스팅 공정이 선호된다. 용융 금속을 쇼트 슬리이브로 인발하는데 이러한 진공 시스템을 사용하는 공정은 진공 레이들링(ladling)이라 칭한다.
본 발명의 알루미늄 합금을 다이캐스팅하는 공정은 VERTICAST 다이캐스트 기계를 활용한다. VERTICAST 기계는 수직으로 배열된 쇼트 슬리이브를 갖는 수직 중심축 주위에 이격된 복수의 몰드 공동과 용융 금속을 집중 정렬된 몰드 공동속으로 상향으로 밀어넣는 주입 플런저를 제공하기 위해서 상부 및 하부 몰드가 상부 및하부 테이블상에 지탱되는 수직 배향 때문에 알려진 다이캐스트 기계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알루미늄 합금은 진공 다이 레이들링용으로 변형된 수평 캐스팅 기계 상에서 동일한 효율로 주조될 수 있다. 특히 알루미늄 합금은 미국특허 5,211,216에 따라 주조된다. 이 방법은 대기 산소와 합금의 접촉을 최소화함으로써 마그네슘 산화를 조절할 마그네슘 알루미늄 합금내 베릴륨의 필요성을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알루미늄 합금은 조종핸들, 조정간, 기기 패널 및 기기 패널 브레이스, 의자 등받이 및 바닥, 에어백 모듈, 캔, 휘일 림 및 에너지 흡수 브라켓을 포함한 다양한 자동차 부품을 형성하는데 사용된다. 본 발명의 합금은 고신장성이 필요한 하중부 및 충격부에 특히 적합하다.
실시예 1 : Mn 이 증가된 것과 증가안된 Al-Mg 합금의 강도 비교
MTS 테스트기계를 사용하여 기계적 성질 테스트가 수행된다. 테스트 절차는 ASTM 표준 B 557-84, "전신 및 주조 알루미늄- 및 마그네슘- 합금 제품의 표준 인장 테스트 방법"에 따른다. 인장강도, 항복강도 및 신장률이 다이캐스팅된 테스트바아(도1)를 사용하여 측정된다. 테스트 바아는 최소 9인치 (22.86㎝)의 총길이(L), 축소지대 A(최소 2.25인치 (5.715㎝)), 게이지 길이 G(2.00인치(5.08㎝)), 직경 D(0.250 인치(0.635㎝)), 경도 테스트를 위한 평탄한 단부 F(1.5인치 (3.81㎝))를 가진다. 그립간 거리(B)는 최소 4.5인치 (11.43㎝)이고 두 단부지대의직경C은 0.375인치(0.9525㎝)이다. 하중-변위 다이아그램은 기록해서 표시하기 위해서 차트 기록기가 사용된다. 하중대 변위 데이터가 분석용 컴퓨터에 저장된다. 인장강도(TS)는 최대 하중을 시편 축소 부위의 최초 단면적으로 나누어서 계산된다. 파괴 하중은 시편에 대한 최대 하중이다. 테스트 기계에서 최대값이 자동으로 컴퓨터운영시스템에 저장되고 표시된다. 차트상에 표시되거나 기록 컴퓨터에 저장된 변위대 하중 곡선으로부터 최대 하중이 계산된다. 컴퓨터 운영시스템에 저장된 최대 하중이 TS 계산에 사용된다. 다이캐스팅되어 사용되는 시편은 완전히 둥글지 않다. 단면적은 시편마다 약간씩 다르다. 축소 부위 중심에서 최대 및 최소 직경이 각 시편에서 측정되고 최대 및 최소 직경의 평균이 시편 최초 단면적 결정을 위한 직경으로 사용된다.
신장률은 최초 게이지 길이에 대한 비율로 표시된 게이지 길이 증가이다. 최초 2.0인치(5.08㎝)의 게이지 길이가 주의깊게 측정되고 표시된다. 게이지 길이 증가는 파괴된 시편 단부를 주의깊게 맞추고 게이지 표시부 간의 거리를 측정하여 결정된다. 또한 변위대 하중 곡선을 기초로 신장률이 계산될 수 있다. 이 방법에서 파괴시 총 신장에서 탄성 신장을 뺌으로써 길이 증가(소성신장)가 추정된다. 이를 위해서 곡선은 시편의 탄성 변형을 나타내는 뚜렷한 초기 직선을 보여야 한다.
항복강도는 0.2%오프셋에서 "오프셋 방법"에 의해 결정된다. 이 방법에서 응력변형에 대한 응력 곡선상의 초기 직선에 평행하게 직선을 응력-응력변형 다이아그램상에 그린다. 이 직선은 초기 직선으로부터 응력변형 축방향으로 축소 부위 길이의 0.2% 거리에 배치된다. 그려진 직선과 응력-응력변형 곡선이 교차하는 지점에서 응력이 항복강도이다. 이 실험에서 변위대 하중 곡선은 하중 초기에 두개의 직선을 보이며 제1직선은 제2직선보다 짧다. 이 실험에서 항복강도는 기준 바아와 일치하며 분산이 좁은 제2직선을 기초로 계산된다.
Evans등에 의해 발표된 고 마그네슘 알루미늄 합금(#2 합금)의 망간 함량 증가가 최종 인장강도(UTS), 항복강도(YS) 및 신장률(elong)에 미치는 효과를 판단하기 위해서 중량%로 다음 조성을 갖는 고망간 함량 알루미늄 합금이 테스트되어서 다음 결과가 산출된다:
#2 합금변형된 합금 신규 합금
Mg 2.83 2.75 2.80
Fe 0.25 0.30 0.30
Si 0.20 0.20 0.20
Mn 0.60 0.70 1.00-2.00
Cu 0.07 0.05 0.05
Be 0.003 0.003 0.003
UTS(ksi) 32.5(224 MPa) 32.7(225 MPa) 33.0(227 MPa)
YS(ksi) 17.0(117 MPa) 18.0(124 MPa) 18.0(124 MPa)
Elong(%) 22.5 20.5 20.6
땜납 경향 빈번하다 적다 없다.
상기 데이터는 1.0중량% 정도의 망간의 존재가 신장률을 10% 미만 감소시키고 땜납 경량을 제거하면서 UTS 및 YS 를 증가시킴을 보여준다.
철함량이 감소될 때 조차도 망간함량 증가가 다이 땜납 경향을 감소시킬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서 추가 Al-Mg 조성물이 테스트된다. 예컨대 최대 0.60중량% 철함량과 최대 0.20중량% 망간 함량을 갖는 A356 이 다이캐스팅되면 다이 땜납이 일어난다. 그러나 A356합금의 망간 함량이 1.0중량% 이상 증가되면 다이 땜납이 발생되지 않는다.

Claims (20)

17% 이상의 신장률을 보이며 1.0-2.0중량% 망간, 최대 0.6중량% 철, 0.003중량% 미만의 베릴륨, 나머지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알루미늄 기초 합금.
제 1 항에 있어서, 2.5-4.0중량% 마그네슘이 0.001-0.003중량% 베릴륨을 포함하는 알루미늄 합금.
제 2 항에 있어서, 최대 0.45중량% 실리콘을 더욱 포함하는 알루미늄 합금.
제 3 항에 있어서, 최대 0.10중량% 구리를 더욱 포함하는 알루미늄 합금.
제 1 항에 있어서, 최대 0.45중량% 실리콘을 더욱 포함하는 알루미늄 합금.
제 5 항에 있어서, 2.5-4.0중량% 마그네슘을 더욱 포함하는 알루미늄 합금.
제 1 항에 있어서, 1.75중량% 미만의 마그네슘을 더욱 포함하는 알루미늄 합금.
제 5 항에 있어서, 최대 0.10중량% 아연을 더욱 포함하는 알루미늄 합금.
제 5 항에 있어서, 최대 0.20중량% 티타늄을 더욱 포함하는 알루미늄 합금.
제 8 항에 있어서, 4.2-5.0중량% 구리를 더욱 포함하는 알루미늄 합금.
제 8 항에 있어서, 최대 0.2중량% 구리를 더욱 포함하는 알루미늄 합금.
17% 이상의 신장률을 보이며 2.5-4.0중량% 마그네슘, 1.0-2.0중량% 망간, 0.25-0.6중량% 철, 0.2-0.45중량% 실리콘, 0.003중량% 미만의 베릴륨, 나머지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다이캐스트 제품 형성용 알루미늄 기초 합금.
제 11 항에 있어서, 최대 0.10중량% 구리를 더욱 포함하는 알루미늄 합금.
제 12 항에 있어서, 최대 0.45중량% 실리콘을 더욱 포함하는 알루미늄 합금.
비변형된 형태에서 몰드 땜납 경향을 감소시키는 중량비율로 철과 철보다 적은 비율로 망간을 포함하는 변형된 다이캐스팅용 알루미늄 합금으로서, 최대 0.6중량% 철과 철보다 높은 중량 비율로 망간을 포함하는 알루미늄 합금.
제 14 항에 있어서, 망간이 1.0-2.0중량%의 양으로 존재함을 특징으로 하는알루미늄 합금.
제 14 항에 있어서, 망간이 비변형된 형태의 합금에 철의 중량비율보다 높은 중량 비율로 존재함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합금.
제 14 항에 있어서, 망간이 1.0중량%의 양으로 존재함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합금.
11.95 kgf/㎟ 이상의 항복강도와 18% 이상의 신장률을 보이며, 2.5-4.0중량% 마그네슘, 1.0-2.0중량% 망간, 최대 0.6중량% 철, 최대 0.45중량% 실리콘, 최대 0.10중량% 구리, 0.003중량% 미만의 베릴륨, 나머지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알루미늄 합금을 포함하는 제조품.
제 19 항에 있어서, 알루미늄 합금이 1.1중량% 망간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품.
KR1020017003578A 1998-09-21 1999-09-17 고함량 망간 함유 알루미늄 다이캐스트 합금 KR2001007523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131398P 1998-09-21 1998-09-21
US60/101,313 1998-09-21
PCT/US1999/021639 WO2000017410A1 (en) 1998-09-21 1999-09-17 Aluminum die cast alloy having high manganese cont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5237A true KR20010075237A (ko) 2001-08-09

Family

ID=22283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3578A KR20010075237A (ko) 1998-09-21 1999-09-17 고함량 망간 함유 알루미늄 다이캐스트 합금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1129228A4 (ko)
JP (1) JP2002526653A (ko)
KR (1) KR20010075237A (ko)
AU (1) AU6254399A (ko)
BR (1) BR9913978A (ko)
CA (1) CA2344526A1 (ko)
HU (1) HUP0103917A3 (ko)
WO (1) WO200001741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3130B1 (ko) * 2005-06-24 2007-04-06 한국기계연구원 비열처리형 고연성 알루미늄 주조합금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464401T1 (de) 2000-06-27 2010-04-15 Corus Aluminium Voerde Gmbh Aluminium-gusslegierung
EP1167560B1 (en) * 2000-06-27 2010-04-14 Corus Aluminium Voerde GmbH Aluminium casting alloy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384264A (en) * 1972-02-09 1975-02-19 Honsel Werke Ag Structural parts produced from aluminium-containing alloys
US3787248A (en) * 1972-09-25 1974-01-22 H Cheskis Process for preparing aluminum alloys
JPS63274735A (ja) * 1987-05-06 1988-11-11 Ryobi Ltd 耐摩耗性ダイカスト用アルミニウム合金
JP2640993B2 (ja) * 1990-06-11 1997-08-13 スカイアルミニウム株式会社 超塑性成形用アルミニウム合金圧延板
US5151136A (en) * 1990-12-27 1992-09-29 Aluminum Company Of America Low aspect ratio lithium-containing aluminum extrusions
JP2844411B2 (ja) * 1993-07-12 1999-01-06 スカイアルミニウム株式会社 冷間予成形可能な超塑性成形用アルミニウム合金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931584A (ja) * 1995-07-12 1997-02-04 Sumitomo Light Metal Ind Ltd 耐食性と耐時効軟化性に優れた缶蓋用アルミニウム合金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9125182A (ja) * 1995-11-01 1997-05-13 Samitsuto Alum Kk 伸びの大きな鋳造用アルミニウム合金
JPH10152744A (ja) * 1996-11-21 1998-06-09 Mitsubishi Cable Ind Ltd 光ファイバ複合架空地線用パイプ材
JPH10152762A (ja) * 1996-11-21 1998-06-09 Furukawa Electric Co Ltd:The Di加工性に優れるアルミニウム合金硬質板の製造方法
JPH10226839A (ja) * 1997-02-19 1998-08-25 Sumitomo Electric Ind Ltd 高強度Al合金ワイヤ・コイルばね及びその製造方法
EP0908527A1 (de) * 1997-10-08 1999-04-14 ALUMINIUM RHEINFELDEN GmbH Aluminium-Gusslegierung
EP0911420B1 (de) * 1997-10-08 2002-04-24 ALUMINIUM RHEINFELDEN GmbH Aluminium-Gusslegieru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3130B1 (ko) * 2005-06-24 2007-04-06 한국기계연구원 비열처리형 고연성 알루미늄 주조합금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344526A1 (en) 2000-03-30
HUP0103917A2 (hu) 2002-02-28
EP1129228A4 (en) 2002-07-31
HUP0103917A3 (en) 2002-03-28
AU6254399A (en) 2000-04-10
WO2000017410A1 (en) 2000-03-30
BR9913978A (pt) 2001-06-19
JP2002526653A (ja) 2002-08-20
EP1129228A1 (en) 2001-09-05
WO2000017410B1 (en) 2000-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2304B1 (ko) 다이캐스팅용 알루미늄기초합금 및 다이캐스트제품
AU2005269483B2 (en) An Al-Si-Mg-Zn-Cu alloy for aerospace and automotive castings
US7625454B2 (en) Al-Si-Mg-Zn-Cu alloy for aerospace and automotive castings
EP1897962B1 (en) Creep resistant magnesium alloy with improved ductility and fracture toughness for gravity casting applications
US6719857B2 (en) Die casting magnesium alloy
CN102016092A (zh) 改进的铝基铸造合金
US6306342B2 (en) Aluminum casting alloy
JP2009513833A (ja) 自動車用鋳物を製造する高耐衝撃性のAl‐Si‐Mg合金および自動車用鋳物の製造方法
EP1882754B1 (en) Aluminium alloy
US20110286880A1 (en) HIGH STRENGTH Mg-Al-Sn-Ce AND HIGH STRENGTH/DUCTILITY Mg-Al-Sn-Y CAST ALLOYS
KR20100041532A (ko) 다이캐스팅용 고강도 알루미늄 합금
CN115418537B (zh) 一种免热处理压铸铝合金及其制备方法和应用
US6309481B1 (en) Aluminum casting alloy
Wang et al. Effects of solution temperature on mechanical properties of 319.0 aluminum casting alloys containing trace beryllium
AU643204B2 (en) Aluminium-lithium, aluminium-magnesium and magnesium-lithium alloys of high toughness
US7547411B2 (en) Creep-resistant magnesium alloy for casting
US20030084968A1 (en) High strength creep resistant magnesium alloys
CN113564432B (zh) 一种高韧耐热耐腐蚀Al-Mg-Si合金及其制备工艺与应用
KR101274089B1 (ko) 주조성이 우수한 다이캐스팅용 고강도 알루미늄 합금
KR20010075237A (ko) 고함량 망간 함유 알루미늄 다이캐스트 합금
JPH0121217B2 (ko)
CN114231793B (zh) 一种重力铸造锌合金
US3598577A (en) Aluminum base alloy
JPH01149938A (ja) 高圧鋳造用非熱処理型アルミニウム合金
MXPA01002825A (en) Aluminum die cast alloy having high manganese cont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