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74153A - 주택 바닥 방음 방진재 - Google Patents

주택 바닥 방음 방진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74153A
KR20010074153A KR1020010017492A KR20010017492A KR20010074153A KR 20010074153 A KR20010074153 A KR 20010074153A KR 1020010017492 A KR1020010017492 A KR 1020010017492A KR 20010017492 A KR20010017492 A KR 20010017492A KR 20010074153 A KR20010074153 A KR 200100741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ethylene foam
foam layer
layer
low density
density polyethyl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7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지택
Original Assignee
임지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지택 filed Critical 임지택
Priority to KR10200100174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74153A/ko
Publication of KR200100741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4153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04F15/206Layered panels for sound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1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wood, fibres, chips, vegetable stems, or the like; of plastics; of foamed products
    • E04C2/2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wood, fibres, chips, vegetable stems, or the like; of plastics; of foamed products of plastics
    • E04C2/205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wood, fibres, chips, vegetable stems, or the like; of plastics; of foamed products of plastics of foamed plastics, or of plastics and foamed plastics, optionally reinforc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3/00Polyalkenes
    • B32B2323/04Polyethylene
    • B32B2323/043HDPE, i.e. high density polyeth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3/00Polyalkenes
    • B32B2323/04Polyethylene
    • B32B2323/046LDPE, i.e. low density polyeth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3/00Polyalkenes
    • B32B2323/10Polypropylen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1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밀도 폴리에틸렌 발포체층. 고밀도 폴리에틸렌 발포체층 및 폴리프로필렌층으로 이루어진 공동주택 바닥 방음 방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음 방진재는 가격이 저렴하고 시공이 간편하며 단열성이 뛰어난 방음 방진 성능이 우수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주택 바닥 방음 방진재{SOUNDPROOFING AND ANTIVIBRATING AT FOR APT CONSTRUCTION}
본 발명은 복수의 폴리에틸렌 발포층과 폴리프로필렌 층으로 이루어진 주택바닥 방음 방진재에 관한 것이다.
우리 나라는 토지면적이 적고 인구밀도는 세계적으로 가장 많은 국가에 해당하여 주택의 형태도 단독주택에서 아파트나 연립주택과 같은 공동주택의 형태로 변해가고 있다.
그리하여 이미 1994년부터 공동주택의 점유율이 총 주택수의 50%를 넘어섰다.
이러한 공동주택은 그 재료가 콘크리트로 되어있어 무겁고 밀도가 높기 때문에 말소리나 텔레비전 소리, 라디오 소리, 음악 등 공기를 매체로하여 전달되는 음은 차단성이 비교적 양호하나, 바닥 콘크리트면에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발생하는 충격음을 인접세대에 쉽게 전달되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소음의 대표적인 것은 윗층에서 뛰는 소리, 물건을 떨어뜨리는 소리, 윗층 사람이 걸어다니는 소리,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러한 소음 때문에 이웃간에 분쟁이 발생한다.
그러나 우리 나라는 아직까지 이러한 바닥충격음에 관한 규정이 없으며 단지 몇몇 건설회사에서 시공하고 있을 뿐이다.
독일이나 프랑스 등의 선진국에서는 뜬바닥 구조를 채용하여 해결하고 있다. 이 뜬바닥 구조는 슬라브 위에 유리면이나 암면 같은 방진용 완충재를 시공한 후 그 위에 바닥 내장재 층을 형성하여 바닥 충격음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최근 유리섬유나 암면은 발암물질을 함유하여 세계적으로 사용이 규제되고 있으며 사공환경이 나빠 사용을 기피하고 있으며 우리 나라는 특유의 경량기포 콘크리트를 타설하므로 우리 나라의 실정에 맞지 않는다.
한편 스티로폴은 단열성은 우수하나 방음, 방진 성능이 나오지 않아 방진재로 사용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폐타이어 분쇄물을 타르타르산 수용액으로 된 경화촉진제와 우레탄계 바인더에 배합한 방음 방진재가 있다.
(특허 147842호)
이 발명은 폐타이어 분쇄물을 별도로 준비해야하나 최근에는 폐타이어 수요가 많아 그의 구입이 어렵고 경화제와 바인더의 가격이 비싸며, 또한 미리 배합하면 일정 시간 후에는 응고되어 사용할 수 없으므로, 시공시 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일반 건축 노동자의 숙련도에 따라 상이한 품질의 바닥재가 형성되며 또한 타설 후 기포콘크리트 시공 후 방진재에 콘크리트가 흡수되어 방음 방진재의 성능이 크게 떨어진다.
진술한바와 같이 시공 시 현장에서 배합하여 타설하는 것은 품질관리상 복잡하여 바람직하지 않고, 또한 액체의 성분은 시공이 복잡하여 현장에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없다.
고무매트나 시트 작업을 하는 경우에는 매트나 시트의 절단작업이 용이하지 않으면 시공 시 틈새가 벌어져 원하는 방음, 효과를 얻을 수 없다.
본 발명자는 종래의 기술적 문제와 가격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한 결과 밀도가 서로 다른 폴리프로필렌을 부착시킴으로 상기 문제를 해소하고, 단열성이 우수하고, 방진 방음 성능이 뛰어난 본 발명을 완성하게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음 방진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1의 분리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방진 방음재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발포체, 고밀도 폴리에틸렌 발포체, 저밀도 폴리에틸렌 발포체 및 폴리에틸렌 시트를 열압착하여 4층 구조로 일체화시킨 것이다.
최상층을 저밀도 폴리에틸렌 시트로 구성한 것은 상부에서 가해지는 압력을 균일하게 분배시켜 바닥면에 가해진 압력에 의해 기포콘크리트가 파손 또는 크랙을 방지한다.
또한 최상층의 엠보싱 구조는 소리의 전파를 표면에서 분산시켜 소음의 감소효과를 가져온다.
따라서 두께는 지나치게 얇으면 상기의 성능을 발휘할 수 없고, 지나치게 두꺼우면 방진재가 무거워져 사용하기 곤란하여 비용이 상승되는 단점이 있다. 그의 두께는 1-4mm, 특히 1-2mm가 바람직하다.
저밀도 폴리에틸렌 발포체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발포체 상하 각각에 배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발포체의 차음파장과 고밀도 폴리에틸렌 발포체의 차음 파장이 상이하여 음의 파장이 저밀도 폴리에틸렌 발포층을 통과한 후 밀도가 다른 고밀도 폴리에틸렌 발포층을 다시 통과하면서 음의 파장이 대폭 소실되고, 또한 다시 저밀도 발포층을 다시 통과하면서 음의 파장이 다시 소실되어 음의 파장이 바닥에 닿을 때는 거의 소실되어 방음 방진 성능이 종래의 어떤 제품보다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폴리에틸렌 발포체는 독립기포 구조와 연속기포구조를 지니고 있어 흡음성이 우수하며 단열성이 뛰어나 방진층의 열관류율이 0.7이하이므로 별도의 단열재를 사용하지 않아도 새로 개정된 단열성능을 만족하게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 도면중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음 방진재의 사시도이고, 도2는 도1의 부분 확대도이며, 도3은 도 1의 분리사시도이다.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따른 방음 방진재는(1) 최하층에 이형지층을(15) 형성하고 그 위에 저밀도 폴리에틸렌 발포체층(14)을 배치한다.
저밀도 폴리에틸렌 발포체의(14) 두께는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공동주택의 경우 3-6mm가 바람직하다.
이 저밀도 폴리에틸렌 발포체(14)위에 고밀도 폴리에틸렌 발포체층(13)을 형성한다.
이때 형성하는 방법은 공지의 수단에 의해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열압착 또는 접착제 등을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이 고밀도 폴리에틸렌 발포체층(13)위에 다시 저밀도 폴리에틸렌 발포체층(12)을 열압착 등에 의해 형성하고, 그 위에 폴리프로필렌(11)을 형성한다.
상기에서 언급하지 아니한 두께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발포체층의 경우 3-6mm가 바람직하고, 폴리프로필렌층(11)은 1-3mm가 바람직하다.
〈실시 예〉
이하 실시 예로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3mm 저밀도 폴리에틸렌 발포체층(14)위에 5mm가교 고밀도 폴리에틸렌 발포체를 열압착하고(13) 위에 5mm 무가교 저밀도를 열압착, 상부에 1.5mm 저밀도 시트를 열압착하여 부착하였다.
그런 다음 최하단의 저밀도 폴리에틸렌 발포체층의 아래에 이형지를 부착하여 본 발명의 방음재를 만들었다.
이를 사용하여 20*20*20m3의 정육면체를 제작하고 그 안에 직경 2mm 유리구슬 10개를 넣어 흔들어 부딪혀 나오는 소음을 측정한 바, 동일 두께의 스티로폼에 비하여 현저히 저하되었다.
〈실시 예〉
상기 발명의 방진재를 L건설 수원 망포동 현장에서 실작업 소음 측정결과 방진재를 사용하지 않는 거실에 비하여 경량소음 12db, 중량소음 6.8db 소음감소 효과를 가져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음, 방진재는 성능이 우수하고, 단열성이 좋으며, 가격이 저렴하며 시공성이 간편한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3)

  1. 저밀도 폴리에틸렌 발포체층, 고밀도 폴리에틸렌 발포체층 및 폴리프로필렌층 으로 이루어진 주택 바닥 방진 방음재.
  2. 제 1항에 있어서 저밀도 폴리에틸렌 발포체층, 고밀도 폴리에틸렌 발포체층, 저밀도 폴리에틸렌발포체층 및 폴리프로필렌 층의 순서로 이루어진 방음 방진재.
  3. 제 1항에 있어서 방진 방진재의 하단에 이형지를 형성한 것이 특징인 주택바닥 방음재.
KR1020010017492A 2001-04-02 2001-04-02 주택 바닥 방음 방진재 KR200100741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7492A KR20010074153A (ko) 2001-04-02 2001-04-02 주택 바닥 방음 방진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7492A KR20010074153A (ko) 2001-04-02 2001-04-02 주택 바닥 방음 방진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1610U Division KR200196556Y1 (ko) 2000-04-24 2000-04-24 주택바닥 방음 방진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4153A true KR20010074153A (ko) 2001-08-04

Family

ID=19707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7492A KR20010074153A (ko) 2001-04-02 2001-04-02 주택 바닥 방음 방진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7415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4557B1 (ko) * 2008-12-12 2011-08-05 (주)대한솔루션 층간소음재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69366A (en) * 1975-03-26 1978-01-17 Rohm And Haas Company Permeable polymeric liner on absorbent pads
JPH0193340A (ja) * 1987-10-05 1989-04-12 Showa Denko Kk 積層物
JPH03182348A (ja) * 1989-12-12 1991-08-08 Nippon Unicar Co Ltd 共押出積層水冷インフレーションフィルム
JPH0732555A (ja) * 1993-07-22 1995-02-03 Idemitsu Petrochem Co Ltd 多層構造物及び易開封性容器
KR950014990U (ko) * 1993-11-20 1995-06-17 통일공업 주식회사 소음 · 진동 흡수용 흡음판의 구조
KR950032942A (ko) * 1994-05-27 1995-12-22 김태진 건축물 내, 외장재용 알루미늄 샌드위치패널
WO1997018083A1 (en) * 1995-11-14 1997-05-22 Montell Technology Company B.V. Lldpe-based stretchable multilayer films
KR19990003980U (ko) * 1998-10-12 1999-01-25 박종엽 저산소투과성다층시트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69366A (en) * 1975-03-26 1978-01-17 Rohm And Haas Company Permeable polymeric liner on absorbent pads
JPH0193340A (ja) * 1987-10-05 1989-04-12 Showa Denko Kk 積層物
JPH03182348A (ja) * 1989-12-12 1991-08-08 Nippon Unicar Co Ltd 共押出積層水冷インフレーションフィルム
JPH0732555A (ja) * 1993-07-22 1995-02-03 Idemitsu Petrochem Co Ltd 多層構造物及び易開封性容器
KR950014990U (ko) * 1993-11-20 1995-06-17 통일공업 주식회사 소음 · 진동 흡수용 흡음판의 구조
KR950032942A (ko) * 1994-05-27 1995-12-22 김태진 건축물 내, 외장재용 알루미늄 샌드위치패널
WO1997018083A1 (en) * 1995-11-14 1997-05-22 Montell Technology Company B.V. Lldpe-based stretchable multilayer films
KR19990003980U (ko) * 1998-10-12 1999-01-25 박종엽 저산소투과성다층시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4557B1 (ko) * 2008-12-12 2011-08-05 (주)대한솔루션 층간소음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94380A (en) Multi layer sound-proofing structure
EA200702133A1 (ru) Слоистый звукопоглощающий нетканный материал
US20090050401A1 (en) Composite Sound Barrier Panel
KR20160104507A (ko) 소음방지재
KR20150093628A (ko) 건축용 방음 방진 패널 및 시공방법
US20120325579A1 (en) Sound barriers made from scrap and waste materials
CN201665927U (zh) 一种低频阻尼隔声结构
CA2665352C (en) An acoustic face of polymer and embedded coarse aggregates and an acoustic panel assembly
KR200196556Y1 (ko) 주택바닥 방음 방진재
KR20010074153A (ko) 주택 바닥 방음 방진재
JP2006193945A (ja) 吸音構造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軌道構造体
JP4906318B2 (ja) 独立気泡型ガラス発泡体からなる低周波用吸音材
CN112746707B (zh) 一种耐刮隔音皮革墙板
KR100377805B1 (ko) 공동주택의 바닥충격음 차음구조
KR100806728B1 (ko) 소음 및 충격음 저감용 완충재
JP2009209542A (ja) 複合繊維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箱型構造体
KR20180131785A (ko) 공동주택의 층간 소음을 완화시키기 위한 층간소음 방지 구조물
CN206279646U (zh) 楼地面吸遮音节能防火模块
CN112196216A (zh) 一种浮筑隔声装置及其铺设方法
JP2001163684A (ja) 吸音体及びその吸音体を用いた吸音・遮音構造体
CN212405938U (zh) 一种减震隔声悬浮层结构
KR101167581B1 (ko) 황토판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524365B1 (ko) 건축용 차음시트
KR20160103658A (ko) 층간 소음을 완화시키기 위한 진동 감쇠용 점탄성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진동 감쇠시트 및 진동 감쇠블록
TW202305230A (zh) 地板結構及其製備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