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73484A - 이미지 정보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 Google Patents

이미지 정보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73484A
KR20010073484A KR1020000001895A KR20000001895A KR20010073484A KR 20010073484 A KR20010073484 A KR 20010073484A KR 1020000001895 A KR1020000001895 A KR 1020000001895A KR 20000001895 A KR20000001895 A KR 20000001895A KR 20010073484 A KR20010073484 A KR 200100734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information
image input
server system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18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72170B1 (ko
Inventor
최혁승
임상빈
이준영
Original Assignee
최혁승
임상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혁승, 임상빈 filed Critical 최혁승
Priority to KR10-2000-00018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2170B1/ko
Publication of KR200100734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34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21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21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인용 통신단말기에 연결된 이미지 입력장치를 통해 획득된 정보를 인터넷을 이용하여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미지(image) 입력장치와, 상기 이미지 입력장치로부터 전달된 이미지를 전송하는 전송장치와, 상기 전송장치로부터 제공된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된 정보에 따라 자료를 처리하는 서버시스템(server system)과, 상기 서버시스템에 온라인(On-line) 접속 가능한 개인용 컴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이미지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촬상 대상의 이미지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과, 변환된 정보를 개인용 통신단말기를 통해 서버시스템으로 전송하는 과정과, 서버시스템에서 수신된 정보를 분석하여 해당 정보에 따라 데이터를 형성하는 과정과, 형성된 정보를 사용자의 용도에 따라 제공하는 과정으로 수행된다.

Description

이미지 정보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An imag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the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이미지 정보의 처리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개인용 통신단말기에 연결된 이미지 입력장치를 통해 획득된 정보를 인터넷을 이용하여 운용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21 세기 정보의 혁명은 인터넷을 중심으로 일어나고 있다. 인터넷은 미국 국방성의 군사연구에 관련된 정보를 공유하기 위해 시작된 알파넷(ARPANET)으로부터 유래되었다고 한다. 이러한 인터넷은 컴퓨터의 폭발적인 보급과 통신장비의 발달에 기인하여 급 발전하고 있는 추세이다. 세계 각지의 많은 컴퓨터와 네트워크를 이루어 거대한 정보축적 매체 및 정보제공의 매체가 되고 있다. 인터넷은 현재 대규모 확산과정을 겪고 있는 초기단계이며, 궁극적으로는 인터넷이 인간과 관련된 모든 장치, 모든 통신수단, 모든 대중매체에 연결되어 이들을 보다 편리하고 가치있게 만들어 줄 것이고, 결과적으로 인간생활과 인터넷은 불가분의 관계에 이를 것이다.
한편, 이러한 통신산업의 발달에도 불구하고 일상생활에서의 개인 업무에는 다분히 비효율적인 요소가 포함되어 있다. 예를 들어, 영업사원이 거래처를 방문할 때 거래처로부터 제공된 명함을 이용하여 고객을 관리함에 있어서, 컴퓨터 등을 이용하여 각 명함에 수록된 정보를 일괄 입력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외부에서 본인의 고객 정보가 필요할 때 곤란을 겪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휴대용 통신수단을 이용하여 이미지 정보를 운용하는 장치와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개인용 통신수단을 이용하여 원격지에서 개인별 자료를 데이터베이스 처리할 수 있는 이미지 정보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통신수단을 통해 전송된 이미지 정보로부터 추출된 데이터를 허가된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통신수단을 통해 지문정보를 전송하여 지문제공자의 신상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이미지 정보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정보 처리장치는 이미지(image) 입력장치와, 상기 이미지 입력장치로부터 전달된 이미지를 전송하는 전송장치와, 상기 전송장치로부터 제공된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된 정보에 따라 자료를 처리하는 서버시스템(server system)과, 상기 서버시스템에 온라인(On-line) 접속 가능한 개인용 컴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점을 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정보 처리장치의 세부적 구성의 특징은 상기 이미지 입력장치가 스캐너나 디지털 카메라 또는 지문입력장치로 구성될 수 있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정보 처리장치의 다른 세부적 구성의 특징은 상기 서버시스템에서 이미지 정보로부터 문자정보를 추출하여 데이터베이스화 할 수 있는기능을 수행하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정보 처리방법은 이미지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촬상 대상의 이미지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과, 변환된 정보를 개인용 통신단말기를 통해 서버시스템으로 전송하는 과정과, 서버시스템에서 수신된 정보를 분석하여 해당 정보에 따라 데이터를 형성하는 과정과, 형성된 정보를 사용자의 용도에 따라 제공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정보 처리방법의 세부적 특징은 상기 서버 시스템에서 이미지 정보로부터 문자정보를 추출하는 점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정보 처리방법의 다른 세부적 특징은 입력된 지문을 전송하여 해당 지문정보를 인식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정보 처리장치의 개략적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이미지 입력장치가 스캐닝인 경우의 예시도,
도 3은 도 2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도 1의 이미지 입력장치가 디지털 카메라인 경우의 예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카메라의 뷰파인더의 구조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6은 도 1의 이미지 입력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처리방법의 개념을 나타낸 흐름도,
도 8은 도 7의 이미지 전송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9는 도 7의 이미지 처리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정보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처리장치의 개략적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image) 입력장치(100)와, 상기 이미지 입력장치(10)와 커넥터(11)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이미지 입력장치(100)로부터 제공되는 이미지정보를 무선 방식으로 전송하는 휴대폰(200)과, 상기 개인용 휴대 통신단말기(200)로부터 인터넷을 통해 제공된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된 정보에 따라 자료를 처리하는 서버시스템(server system)(300)과, 상기 서버시스템(300)에 인터넷을 통해 온라인(On-line) 접속 가능한 개인용 컴퓨터(400)로 구성된다. 이때,상기 이미지 입력장치(100)의 실시 예로서 스캐너(Scanner)(110)를 사용하고 있으며, 다른 예로서, 디지털 카메라의 형태를 가지거나, 지문정보 입력장치(도시되지 않음)를 사용할 수도 있다.
도 2는 도 1에서의 이미지 입력장치(100)를 스캐너(110)로서 구성하여 명함 이미지를 입력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스캐너(110)에는 소정 부위에 적외선 데이터 입·출력포트(111)와, 사용자의 지문 이미지(image)를 입력하기 위한 별도의 이미지 센서(112)가 부가되어 구성될 수 있다. 스캐너(110)와 휴대폰(200)은 휴대폰(200) 하단에 형성된 포트에 구성된 어댑터(150)를 통해 연결된다. 경우에 따라, 상기 스캐너(110)의 소정부위에 렌즈(도시되지 않음)를 형성하여 이미지를 읽어들일 수도 있을 것이다.
도 3은 도 2의 다른 실시 예로서, 휴대폰(200)과 스캐너(110)를 일체형으로 구성한 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때, 상기 스캐너(110)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도 2에서 설명한 다수의 부가 장치(적외선 포트, 지문인식장치 등)가 구성될 수 있음은 언급의 여지가 없을 것이다.
한편, 도 4는 상기 이미지 입력장치(100)의 다른 실시 예로서, 휴대폰(200)에 연결된 디지털 카메라(120)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2 또는 도 3에 나타낸 각 스캐너의 부가장치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촬상 이미지의 초점 형성을 위한 렌즈(121)와, 그 하단에 형성된 뷰파인더(view finder)(122)가 구성되어 있다. 일반적인 카메라에는 촬영자가 피사체의 이미지를 볼 수 있도록 뷰파인더(123)가 설치되어 있으나, 피사체 측에서 볼 수 있는 뷰파인더는 구성되어있지 않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피사체 측에서 현재 촬영되는 이미지를 볼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그 구조는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알루미늄 코팅된 곡면거울(124)을 카메라 전면부에 내장하여 구성된다. 피사체와의 거리가 적정 길이에 해당할 때, 피사체 측에서 카메라의 촬영범위를 인식할 수 있다.
도 6은 이미지 입력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촬상 대상의 이미지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101)와, 상기 이미지 센서(101)를 통해 전달된 아나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전환하는 신호전환부(102)와, 기기 고유의 일련번호를 저장하고 있는 기억장치(104)와, 상기 신호전환부(102)로부터 제공된 정보를 상기 기억장치(104)내의 고유번호와 결합하여 전송 데이터로 변환하고, 변환된 데이터가 상기 전송장치(200)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이미지 처리부(103)와, 상기 이미지 처리부(103)를 통해 제공된 정보를 상기 전송장치(200)에 전달하는 인터페이싱부(105)와, 사용자의 지문 이미지를 상기 신호전환부(102)에 제공하는 지문입력부(106) 및 상기 이미지처리부(103)에 연결되어 타기기와의 정보 전달을 수행하는 적외선 입·출력포트(10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상에서 나타낸 바와 같은 구성을 이루고 있는 이미지 처리장치의 동작에 대하여는 이하의 흐름도들을 이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나타낼 수 있는 처리방법의 흐름도이다. 이미지 입력장치(100)를 이용하여 촬상 대상의 이미지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다 (S10 과정). 상기 이미지 입력장치(100) 소정부위에 형성된 제어버튼을 눌러 변환된 정보를 개인용 통신단말기 등의 전송장치(200)를 통해 서버시스템(300)으로 전송한다 (S20 과정). 서버시스템(300)에서 수신된 정보를 OCR(Optical character reading) 프로그램 등을 이용하여 이미지로부터 문자정보를 추출하여 데이터를 형성한다 (S30 과정). 상기 S30 과정을 통해 형성된 정보를 사용자의 용도에 따라 상기 서버시스템(300)에 인터넷 등을 통해 연결된 개인용 컴퓨터(400)에 제공한다 (S40 과정).
만일, 이미지 입력장치가 스캐너나 디지털 카메라인 경우에는 전송대상이미지는 명함이나 사진 등의 이미지가 될 것이고, 서버시스템에서는 해당 정보를 화상문자인식 등의 프로그램이나 영상정보처리 프로그램으로 데이터를 처리한다. 그러나, 이미지 입력장치가 사용자의 지문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장치이라면 서버시스템에서는 전송된 이미지에 해당하는 정보를 소정의 기억장치를 통해 검색하고, 검색된 정보를 다시 전송장치에 제공할 수도 있다.
이미지 입력방법은 공지된 기술을 통해 알 수 있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도 8은 상기 이미지 전송과정(S20)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 입력장치의 플래그(Flag) 설정상태를 확인하여 이미지 입력과정에 의해 변환된 데이터의 존재를 확인한다 (S21 단계). 이후, 상기 이미지 입력장치에 연결된 휴대폰 등의 개인용 통신장치에 셋업(Set-up) 신호를 송출하여 전송가능한 모드로 전환한다(S22 단계). 휴대폰의 세팅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이미지 입력과정을 통해 변환된 이미지 데이터와 기기 고유번호의 결합정보를 원격지 서버시스템에 전송한다. 이때, 통신국 기지국 등을 통해 전송되는 자료는 인터넷을 통해 해당 서버시스템에 제공된다 (S23 단계). 데이터 송신이 완료된 후, 이미지 입력장치의 플래그(flag) 설정상태를 "0"으로 리셋(reset)시킨다 (S24 단계).
이와 같이, 전송장치를 통해 전달된 정보를 처리하는 과정은 도 9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이루어진다. 상기 이미지 정보 전송과정을 통해 제공되는 신호에 포함된 발신번호와 기기 고유번호 정보를 추출한다 (S31 단계). 제공된 발신번호와 기기 고유번호를 소정의 기억장치 내에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수신된 정보의 유효성을 판단한다. 유효하지 않은 정보라고 판단되면 수신을 거부한다 (S32 단계). 유효성을 판단한 결과, 유효한 데이터인 경우에 전송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이미지 정보를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고(S33 단계) 마지막 데이터가 인식되는 시점에 전송장치와의 연결을 종료한다 (S34 단계). 수신 완료된 이미지 정보로부터 OCR 프로그램을 통해 문자정보를 추출한다(S35 단계). 이후, 수신된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기기 고유번호로부터 사용자의 정보를 추출하고, 유효성이 검증된 해당 사용자의 데이터베이스에 추출된 문자 정보를 저장하여 데이터를 업데이트(Update)시킨다. 만일 전송된 이미지 정보가 디지털 카메라를 통해 제공된 영상정보인 경우에도 해당 기억장치에 저장한다 (S36 단계).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 1에서는 이미지 입력장치를 전송장치에 연결한 것을 나타내고 있으나, 상기 서버시스템에 저장된 정보를 활용하기 위해서 USB 포트 등을 이용하여 개인용 컴퓨터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일반적인 인터넷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서버시스템에 접속하고, 컴퓨터에 연결된 이미지 입력장치내의 기기 고유번호를 전송하여 서버시스템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와 동일한 경우에 해당 정보를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정보의 보안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전송장치를 이용하여 서버시스템에 접속하여 위와 동일한 방법으로 사용자의 정보를 활용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원격지에서 휴대용 통신수단을 이용하여 이미지 정보를 사용자의 고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및 이를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원격지에서 지문정보를 입력하는 경우, 서버시스템에서 해당되는 사용자의 신상정보를 용이하게 제공받을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아울러, 통신수단을 통해 전송하는 이미지 정보에 기기 고유번호를 결합시켜 송신하고 추후 해당 정보를 이용할 때도 이를 확인하므로써 데이터의 보안유지가 용이하다.

Claims (26)

  1. 이미지(image) 입력장치와,
    상기 이미지 입력장치로부터 전달된 이미지를 전송하는 전송장치와,
    상기 전송장치로부터 제공된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된 정보에 따라 자료를 처리하는 서버시스템(server system)과,
    상기 서버시스템에 온라인(On-line) 접속 가능한 개인용 컴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정보 처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입력장치는,
    촬상 대상의 이미지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와,
    상기 이미지 센서를 통해 전달된 아나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전환하는 신호전환부와,
    기기 고유의 일련번호를 저장하고 있는 기억장치와,
    상기 신호전환부로부터 제공된 정보를 상기 기억장치내의 고유번호와 결합하여 전송 데이터로 변환하고, 변환된 데이터가 상기 전송장치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이미지 처리부와,
    상기 이미지 처리부를 통해 제공된 정보를 상기 전송장치에 전달하는 인터페이싱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정보 처리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입력장치는 휴대용 스캐너(Scann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정보 처리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입력장치는 소정 부위에 사용자의 지문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장치를 부가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정보 처리장치.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입력장치는 소정 부위에 적외선 데이터 입·출력포트를 부가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정보 처리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입력장치는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정보 처리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카메라의 소정부위에 피사체의 영상이 표시되는 뷰파인더(View finder)가 부가되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정보 처리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입력장치는 소정 부위에 사용자의 지문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장치를 부가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정보 처리장치.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입력장치는 소정 부위에 적외선 데이터 입·출력포트를 부가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정보 처리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입력장치는 지문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전송장치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정보 처리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시스템은 상기 전송장치를 통해 제공된 지문정보로부터 개인정보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정보 처리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장치는 개인용 통신단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정보 처리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시스템은 상기 전송장치로부터 제공된 이미지 정보를 OCR(optical character reading)처리하여 문자정보로 전환하여 데이터를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정보 처리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입력장치와 전송장치가 일체형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정보 처리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입력장치는
    상기 전송장치 또는 개인용 컴퓨터에 연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정보 처리장치.
  16. 이미지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촬상 대상의 이미지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제 1 과정과,
    제 1 과정을 통해 변환된 정보를 개인용 통신단말기를 통해 서버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제 2 과정과,
    서버시스템에서 상기 제 2 과정을 통해 수신된 정보를 분석하여 해당 정보에 따라 데이터를 형성하는 제 3 과정과,
    상기 제 3 과정을 통해 형성된 정보를 사용자의 용도에 따라 제공하는 제 4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미지 정보 처리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과정이 지문정보 입력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정보 처리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과정이
    전송된 지문정보에 해당되는 자료를 소정의 기억장치로부터 추출하는 과정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정보 처리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과정이 추출된 정보를 상기 전송장치를 통해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정보 처리방법.
  20.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과정에 사용자의 지문정보 입력과정이 부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정보 처리방법.
  21.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과정은
    이미지 입력장치의 플래그(Flag) 설정상태를 확인하여 상기 제 1 과정에 의해 변환된 데이터의 존재를 확인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개인용 통신장치의 셋업(Set-up) 신호를 송출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제 2 단계를 통해 셋업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과정을 통해 변환된 이미지 데이터와 기기 고유번호의 결합정보를 원격지 서버시스템에 전송하는 제 3 단계와,
    상기 제 3 단계에 따른 데이터 송신 완료 후, 이미지 입력장치의 플래그(flag) 설정상태를 리셋(reset)시키는 제 4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정보 처리방법.
  22.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과정은
    상기 제 2 과정을 통해 제공되는 신호에 포함된 발신번호와 기기 고유번호 정보를 추출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에 의해 추출된 정보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제 2 단계에 따라 유효한 데이터인 경우,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 3 단계와,
    상기 제 3 단계를 통해 수신된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문자정보를 추출하는제 4 단계와,
    상기 제 4 단계를 거쳐 전환된 문자정보를 상기 제 2 단계를 통해 유효성이 검증된 사용자의 할당 기억장치에 저장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정보 처리방법.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에는
    수신된 신호에 포함된 지문정보를 추출하는 과정이 부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정보 처리방법.
  24.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과정은
    서버시스템의 정보 관리가 이미지 입력장치가 연결된 사용자의 개인용 통신단말기에 의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정보 처리방법.
  25.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과정은
    서버시스템의 정보 관리가 이미지 입력장치가 연결된 개인용 컴퓨터에 의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정보 처리방법.
  26. 제 24 항 또는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시스템에서 이미지 입력장치에 저장된 기기 고유번호를 확인하는 과정이 부가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정보 처리방법.
KR10-2000-0001895A 2000-01-15 2000-01-15 이미지 정보 처리방법 KR1003721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1895A KR100372170B1 (ko) 2000-01-15 2000-01-15 이미지 정보 처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1895A KR100372170B1 (ko) 2000-01-15 2000-01-15 이미지 정보 처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3484A true KR20010073484A (ko) 2001-08-01
KR100372170B1 KR100372170B1 (ko) 2003-02-15

Family

ID=19638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1895A KR100372170B1 (ko) 2000-01-15 2000-01-15 이미지 정보 처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2170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2284A (ko) * 2002-09-03 2004-03-12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서버를 이용한 명함편집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휴대전화기
KR20040033632A (ko) * 2002-10-15 2004-04-28 주식회사 한국인식기술 모바일을 이용한 명함인식 방법
KR100650672B1 (ko) * 2005-11-03 2006-1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캐닝데이터 서버 전송기능이 구비된이동통신단말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90008677A (ko) 2017-07-17 2019-01-25 주식회사 엠비젼 대기 모드가 적용된 단말을 기초로 기기를 원격 제어하여 광고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190009854A (ko) 2017-07-17 2019-01-30 주식회사 엠비젼 기기를 원격 제어하여 광고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190023958A (ko) 2017-08-30 2019-03-08 주식회사 엠비젼 빅데이터 기반 광고 객체 선호도 평가 방법 및 시스템
KR20190023957A (ko) 2017-08-30 2019-03-08 주식회사 엠비젼 공유 및 기기 원격 제어를 이용하여 광고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190002580U (ko) 2019-09-04 2019-10-15 양재혁 태그 컨텐츠를 포함하는 정보를 공유하는 광고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13585A (ko) * 2001-11-08 2001-12-28 임성기 가상머신을 내장한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vm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한 디지털 카메라와 디지털캠코더의 이미지 정보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73192B2 (ja) * 1991-12-17 2002-04-08 コニカ株式会社 送信機能付きカメラ、受信機能付き記録装置、及び通信ネットワーク上のデータベース、並びに、これらを用いた画像送受信システム及びその画像送受信方法
JPH08204886A (ja) * 1995-01-26 1996-08-09 Nippon Lsi Card Kk 現場状況記録映像の電送システム
EP0744856A3 (en) * 1995-05-26 1997-06-25 At & T Corp Device and method for using product identification codes to establish communication links
JP3492149B2 (ja) * 1997-05-09 2004-02-03 京セラ株式会社 無線通信端末装置、該無線通信端末装置に用いる無線通信端末およびディジタルカメラ
JPH11168571A (ja) * 1997-12-02 1999-06-22 Mitsubishi Electric Corp 動画伝送システム,動画伝送装置および動画伝送方法
JPH11341454A (ja) * 1998-05-29 1999-12-10 Nikon Corp 画像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並びに記録媒体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2284A (ko) * 2002-09-03 2004-03-12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서버를 이용한 명함편집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휴대전화기
KR20040033632A (ko) * 2002-10-15 2004-04-28 주식회사 한국인식기술 모바일을 이용한 명함인식 방법
KR100650672B1 (ko) * 2005-11-03 2006-1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캐닝데이터 서버 전송기능이 구비된이동통신단말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90008677A (ko) 2017-07-17 2019-01-25 주식회사 엠비젼 대기 모드가 적용된 단말을 기초로 기기를 원격 제어하여 광고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190009854A (ko) 2017-07-17 2019-01-30 주식회사 엠비젼 기기를 원격 제어하여 광고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190023958A (ko) 2017-08-30 2019-03-08 주식회사 엠비젼 빅데이터 기반 광고 객체 선호도 평가 방법 및 시스템
KR20190023957A (ko) 2017-08-30 2019-03-08 주식회사 엠비젼 공유 및 기기 원격 제어를 이용하여 광고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190002580U (ko) 2019-09-04 2019-10-15 양재혁 태그 컨텐츠를 포함하는 정보를 공유하는 광고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72170B1 (ko) 2003-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47842E1 (en) System and method of identifying networked device for establishing a P2P connection
RU2361272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лучшенного сличения отпечатков пальцев
JP3944160B2 (ja) 撮像装置、情報処理装置、それら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050041840A1 (en) Mobile phone with an image recognition function
US20050226469A1 (en) Method for displaying finger images in wireless telecommunication terminal
CN104092926A (zh) 一种数码相机及该相机的图像保密方法
KR102196365B1 (ko) 모바일 단말기용 개인정보 보안 디바이스
US10984216B2 (en) Optical fingerprint recognition system and fingerprint image capturing method
KR100372170B1 (ko) 이미지 정보 처리방법
JP2004501522A (ja) 画像操作のための方法と装置
KR100705164B1 (ko)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사용자 등록 시스템 및 방법
KR20130120418A (ko) 통신 시스템, 정보 단말, 통신 방법 및 기록 매체
KR101000130B1 (ko) 얼굴인식 가능한 단말기 및 그의 얼굴인식 방법
CN112989308B (zh) 账户的认证方法、装置、设备及介质
CN109479054B (zh) 服务提供系统、服务通信系统、服务提供方法和记录介质
KR100798917B1 (ko) 디지털 사진 컨텐츠 처리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의디지털 사진 컨텐츠 송/수신 방법 및 장치
JP2011009898A (ja) 画像配布システム、撮像装置、受信装置、サーバ
JPH1185705A (ja) アクセス権取得/判定方法,アクセス権取得/判定装置,アクセス権取得/判定機能付電子カメラ装置および携帯型電話機
KR100631595B1 (ko) 지문 인식을 이용한 전자명함 교환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70080A (ko) 이동 데이터 단말기용 인증 시스템
JP2007334629A (ja) Idカード発行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06236119A (ja) 情報端末、認証装置及び認証システム
KR102172588B1 (ko) 전시관 관람객을 위한 동영상 앨범 제작 방법 및 시스템
KR100408751B1 (ko) 사진을 포함하는 전자 명함 생성 시스템 및 방법
US9462092B2 (en) Smarter business thinking mobil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6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3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