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71677A - 양극판 및 폴리머 전해질막연료전지의 막전극유니트로구성된 가스밀봉체 - Google Patents

양극판 및 폴리머 전해질막연료전지의 막전극유니트로구성된 가스밀봉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71677A
KR20010071677A KR1020007014963A KR20007014963A KR20010071677A KR 20010071677 A KR20010071677 A KR 20010071677A KR 1020007014963 A KR1020007014963 A KR 1020007014963A KR 20007014963 A KR20007014963 A KR 20007014963A KR 20010071677 A KR20010071677 A KR 200100716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assembly
mea
plate
diffusion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149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페트라 코샤니
Original Assignee
추후보정
맨하탄 사이언티픽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후보정, 맨하탄 사이언티픽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추후보정
Publication of KR200100716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1677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9/00Cells or assemblies of cells; Constructional parts of cells; Assemblies of constructional parts, e.g. electrode-diaphragm assemblies; Process-related cell features
    • C25B9/17Cells comprising dimensionally-stable non-movable electrodes; Assemblies of constructional parts thereof
    • C25B9/19Cells comprising dimensionally-stable non-movable electrodes; Assemblies of constructional parts thereof with diaphragms
    • C25B9/23Cells comprising dimensionally-stable non-movable electrodes; Assemblies of constructional parts thereof with diaphragms comprising ion-exchange membranes in or on which electrode material is embedd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9/00Cells or assemblies of cells; Constructional parts of cells; Assemblies of constructional parts, e.g. electrode-diaphragm assemblies; Process-related cell features
    • C25B9/70Assemblies comprising two or more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71Sealing or supporting means around electrodes, matrices or membra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17Non-aqueous electrolytes
    • H01M2300/0065Solid electrolytes
    • H01M2300/0082Organic polym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08Electric battery cell mak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08Electric battery cell making
    • Y10T29/4911Electric battery cell making including sea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08Electric battery cell making
    • Y10T29/49114Electric battery cell making including adhesively bond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08Electric battery cell making
    • Y10T29/49115Electric battery cell making including coating or impregna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13Means to assemble electrical device
    • Y10T29/53135Storage cell or batter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uel Cell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공지된 모든 방법에 따라, 압력을 가하여 연료전지들의 가스챔버(6)들이 밀봉된다. 항상 전극 및 막 사이에 작은 간격이 유지된다.
본 발명의 씰링방법에 따르면, 양극판(1a) 및 막(8)-전극(4)의 유니트가 처리가능한 폴리머에 의해 결합된다. 가스챔버의 외측주변부 및 내부가스관위에 접착비드(7)를 부착하여 가스밀봉체가 구해진다. 상기 조립체들이 폴리머전해질 연료전지들의 파일을 형성하도록 본 발명에 따라 서로 접착되고 파일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양극판 및 막-전극유니트로 구성된 본 발명의 조립체들은 폴리머 전해질 연료전지들 및 해당 전해질전지들 내에서 이용될 수 있다. 특히 유리한 방법에 따라 이동장치들 내에서 이용될 수 있을 정도로 상기 조립체들의 중량이 작다.

Description

양극판 및 폴리머 전해질막연료전지의 막전극유니트로 구성된 가스밀봉체{GAS-PROOF ASSEMBLY COMPOSED OF A BIPOLAR PLATE AND A MEMBRANE-ELECTRODE UNIT OF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S}
상기 PEM 연료전지는 두 개의 전류수집판, 촉매기능 및 다공성을 가진 두 개의 가스확산전극들 및 상기 전극들 사이에 배열된 이온교환막이 구성된다. 전형적으로 반응제들을 공급하고 분포시키기 위한 장치들이 상기 전류수집판들에 포함된다. 단일 전지의 전압은 실제 적용시 너무 작기 때문에, 복수개의 상기 전지들이 직렬로 연결되어야 한다. 결과적인 연료전지의 파일(pile) 또는 단에서 해당 전류유도판들이 소위 양극판들로 교체된다. 양극판이 양극판의 표면들 중 한 개와 파일구조의 전지의 음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양극판이 반대쪽 표면이 인접한 전기의 음극과 접촉한다. 양극판들은 한편으로 상기 전지파일을 통해 전류를 전달하고, 다른 한편으로 반응가스들을 분리시키는 작용을 가진다. 또한 상기 양극판들은 일반적으로 양극영역 및 음극영역 내에서 반응가스가 더욱 양호하게 분포하도록채널(channel)시스템과 같은 가스전달체들을 가진다.
연료전지의 양극측에 전형적인 반응가스수소를 공급하면, 이온교환막과 직접 접촉하는 양극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촉매층내에 양이온들이 발생되고, 동시에 전자들이 전자전도기능의 음극위로 이동된다. 전형적으로 이용되는 산화제는 산소(또는 공기)이며, 전지의 양극측에 공급된다. 이온교환막을 통해 확산되는 수소이온들 및 외부회로를 통해 음극으로부터 양극으로 공급되는 전자들을 흡수하면 반응가스산소가 감소된다. 또한 막과 접촉하는 양극의 일부분들을 형성하는 촉매층내에서 상기 반응이 일어난다. 선호되는 실시예에 있어서, 공기중의 산소농도는 충분하다. 상기 반응제는 물이다. 반응엔탈피가 전기에너지 및 폐열의 형태로 방출된다. 각각의 촉매층들을 포함하는 막 및 전극들의 유니트가 다음과 같이 막전극체(MEA)와 조절된다. 전극들이 가스확산층의 부분들을 포함여부 또는 단지 촉매가 전극들을 형성여부가 문헌들에서 일치되게 성립되지 못했다. 다음에서 이해를 위해 차이점들이 요구된다면, 상기 문제가 확인된다.
연료전지의 파일을 설계할 때, 심각한 문제는 음극영역의 영구적인 씰(seal)작업과 관련된다. 수소의 반응친화성에 기인하여, 상기 특성이 에너지의 양호한 이용 및 안전상 이유로 요구된다. 만약 공기 또는 산소가 과도압력하에서 이용되면, 양극영역이 또는 밀봉되어야 한다.
PEM 연료전지의 가스챔버들을 밀봉하기 위한 방법은 탄성중합체재료들로 씰을 제조하고, 양극판들 및 폴리머전해질막사이에 상기 씰들을 배열하는 방법으로 구성되며, 상기 씰들은 폴리머전해질막 및 양극판들사이에 배열되고, 상기 씰들은가스밀봉기능의 그래파이트(graphite)재료로 제조된다. 상기 목적을 위해, 복합공정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목적만을 위해, 가스확산층으로서 이용되는 탄소섬유종이내에 제공되는 슬롯(slot)들 내부에 상기 씰이 배열된다. 예를들어 문헌 US-PS 5,284,718호를 참고할 때, 상기 출원이 확인된다.
또한 양극판내에 일체로 구성되고, 스탬핑공정에 따라 구성되는 상승부에 의해 상기 씰(seal)이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양극판은 그래파이트 포일(graphite foil)과 같이, 탄성 및 소성변형가능하고 가스밀봉기능의 재료로 제조되어야 한다. 이 경우, 고정판에 의해 작용해야 하는 씰링(sealing)효과를 위하여 상기 씰은 상당한 압력을 필요로 한다. 상기 방법이 문헌 제 DE-US 195 42 475A1호에 설명된다.
문헌 제 DE-PS 44 42 285 C1호에 제공된 또다른 씰링방법에 의하면, 음극판, 막, 양극판 및 두 개의 씰들이 주변부에서 프레임요소에 의해 가스밀봉상태 및 전기절연상태로 서로 고정된다. 금속으로 구성된 프레임요소가 극판의 일부분을 형성하고 U자형 단면부를 가진다. 조립작업동안 U자 단면형상의 요소를 인장하면 소요 가압하중들이 발생된다.
또한 문헌 제 EP-PS 0 690 519 A1호를 참고할 때, 씰층 및 이온교환막으로부터 유니트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공구조의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으로 구성된 씰층이 양쪽측면들위에서 막에 부착되고, 프레임과 같이 촉매로 코팅되는 막의 일부분을 둘러싼다.
현재까지 알려진 모든 씰링방법은 하기 단점들을 가진다.
만약 탄성중합체 씰들이 이용되면, (실리콘과 같은)탄성중합체의 길이변화에 기인하여 막들은 고정단계에서 자주 파손된다.
또한 양극판들 및 씰들을 위한 서로 다른 재료들을 이용하면, 가열상태동안 서로 다른 재료들이 서로 다른 정도의 팽창특성을 가지기 때문에, 누출작용이 개시되는 중간 발생하는 위험이 야기된다.
필요한 씰링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다수의 다른 씰링시스템들은 주변의 씰링변부상에 상당한 압력을 요구한다. 즉, 고정판들은 상대적으로 큰 치수를 가져야하고 따라서, 전체 파일을 더욱 무겁게 만들어, 이동식적용예에 대해 단점이 된다. 프레임에서 고정요소들을 이용하면 상대적으로 두꺼운 벽들을 가진 금속부품들에 기인하여, 추가하중이 발생된다.
전극들 및 씰은 적합한 압력을 요구하고 서로 다른 탄성도를 가지기 때문에, 전극들 및 양극판들의 두께 및 씰의 두께를 상호조절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허용 두께편차는 매우 작다. 그 결과 제조공정이 복잡해지고 비용이 많이 든다.
모든 공지기술에 있어서, 씰이 전극보다 크게 절단되어야 하기 때문에, 조립후에 전극 및 막 사이에 작은 간극이 형성된다. 그 결과 술폰화 폴리에테르케톤으로 제조된 막들과 같이, 특히 두께가 매우 얇은 막들 및 심하게 부풀어오르는 막들에 있어서 막내에 크랙(crack)형성의 위험이 증가된다.
대부분의 상기 시스템이 가지는 또 다른 단점들을 보면, 단일의 연료전지를 파일에 조립하기 전에 조임상태를 확인해볼 수 없다. 따라서 누출위치를 감지하는 작업은 완전한 파일내에서 가능할뿐이고 단일 전지내에서 불가능하다. 따라서, 품질안정을 위해 광범위한 공정들을 고려해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모든 단점들이 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MEA의 가스밀봉식 조립체 및 양극판의 수소형성측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조립체를 제조하기 위한 간단하고 적은 비용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을 따르는 양극판들 및 MEA들의 유니트의 완전한 연료전지파일을 설명하고, 상기 파일이 양극판을 통과하는 가스전달체를 가지며, 밀봉상태의 양극영역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연료전지파일을 생산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들이 제 1 항을 따르는 막-전극-유니트 및 양극판의 가스밀봉조립체 제 12항을 따르는 연료전지파일, 제 15항을 따르는 양극판 및 MEA의 조립체를 생산하기 위한 방법 및 제 26 항을 따르는 연료전지파일을 생산하기 위한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선호되는 실시예들이 각각의 종속항들에서 제공된다.
막전극조립체 및 양극판으로 구성된 가스밀봉조립체가 기술적으로 간단한 접착공정에 의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구성은 씰링재료를 위한 한 개 또는 여러 개의 처리가능한 폴리머(접착제들)를 이용한다. 양극판 및 막으로 구성된 가스밀봉체를 간단히 제조하기 위하여, 접착제는 양극판 및 막에 접착되어야 하고, 촉매가 제공되어야 한다. 처리공정 또는 처리된 상태에서 희금속촉매의 효율 및 막의 생산성이 휘발성재료에 의해 손상되지 않아야 한다.
상기 요건들을 만족하고 심지어 상업화될 일부 접착제들을 이용할 수 있다. 금속제 양극판들을 이용할 때, 실리콘들이 씰링접착제들로서 이용되는 것이 선호된다. 실리콘들은 촉매제공여부에 상관없이 일반적인 과불화 및 비불화 막 및 거의 모든 금속들에 양호하게 부착된다. 그래파이트 양극판들 또는 복합 그래파이트 및 폴리머들이 이용될 때, 중간정도의 에폭시 수지 또는 실리콘이 접착씰란트(sealant)로서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후자에 있어서, 얇은 에폭시수지 코팅체로 구성된 접착제가 조대화된 양극판표면에 부착되어야 한다. 상기 에폭시 수지 코팅체는 실크스크린 프린팅, 분무화 또는 브러싱(brushing)에 의해 부착될 수 있다. 특히 얇은 코팅체가 요구된다면, 에탄올과 같은 저 알콜에 의한 처리공정에 2성분 에폭시수지제품 Koerapox 439(Koemmerling GmbH)의 농도가 감소될 수 있다.
특히 제품 Elastosil E 41 및 E 43 (Wacker Chemie AG)이 모든 종류의 양극판들을 접착하기에 적합하다. 촉매 및 막의 작용중심에 다량의 포이즌닝효과가 형성되어, 2성분 에폭시수지 Stykast W 19 (Grace N.V. 벨기에)는 부적합하다. 접착제의 점도는 10,000mPas 및 500,000mPas 또는 60,000mPas 및 350,000mPas 사이가 선호된다. 경미한 틱소트로프(thicxotrope)특성이 유리하다.
본 발명은 폴리머 전해질 막(Polymer Electrolyte Membrane : PEM)연료전지의 막전극유니트 및 양극판으로 구성된 가스밀봉체 및 상기 가스 밀봉체의 제조방법에 관련된다.
우선, 선호되는 적용예로서, 수소실(6)의 밀봉상태가 설명된다. 양극판 및막 전극유니트로 구성된 가스밀봉체가 제조될 때, PEM 연료전지의 설계시 완전한 MEA 즉 두 개의 촉매층들을 가지고 적어도 음극가스확산층을 가진 막의 이용여부 또는 부착된 음극가스확산층들을 가진 촉매작용의 막들의 이용여부에 대해 구분이 이루어져야 한다. 우선 단지 부착된 음극가스확산층을 가진 촉매작용의 막이 선택되면, 방법에 관해 설명된다. 씰링변부, 가스확산층의 두께와 가스확산층 및 양극판사이의 중첩에 관해 제공된 정보가 설명되는 모든 접착방법들에 적용되는 것이 선호된다.
도1을 참고할 때, 감소하는 작용제 수소를 위한 가스전달구멍(2a), 산화제 산소 또는 공기를 위한 가스안내구멍(2b)을 가지고, 채널구조체(3)와 같은 가스분배구조체를 가지며, 0.1㎜ 및 10㎜ 사이의 폭 또는 1㎜ 및 5㎜ 사이의 폭이 선호되고, 2㎜ 및 3㎜사이의 폭이 특히 선호되는 원주방향의 비구조체의 씰링 변부(sealing edge)(3a)를 가지는 양극판(1)이 이용된다. 필수적인 것은 아니지만, 채널구조체의 상승부는 씰링변부와 동일평면내에 위치하는 것이 선호된다. 0.1㎜ 및 0.5㎜ 사이의 전형적인 두께를 가진 가스확산층(4)이 양극판 위에 위치하고, 고정장치에 의해 고정된다. 특히 선호되는 실시예에 있어서, 양극판 및 가스안내층을 통해 가스안내체 내부의 핀(pin)들에 의해 위치설정기능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목적을 위하여, 양극판에 해당하는 상기 영역내에서 가스확산층에 개구부들이 제공되어야 한다. 채널구조체를 가진 양극판의 영역보다 경미하게 더 큰 가스확산층이 이용되는 것이 선호된다. 가스확산층 및 양극판(5)사이의 중첩영역이 0.1㎜ 및 5㎜사이 또는 0.3㎜ 및 0.8㎜ 사이에 위치한다. 도 2를 참고할 때, 수소챔버(6)를 밀봉하기 위한 적합한 접착제를 선택한 후에, 수소챔버의 가스확산층보다 더 높게 위치하는 것이 선호되는 접착제비드(bead)(7)가 음극(1a)과 접촉하는 표면을 가진 양극판의 일부분에 부착되며, 산소 또는 공기(3a)를 위한 가스확산체가 단지 도시된다. 가스확산층의 표면 및 밀봉구조의 여유부사이의 간격이 완전히 충진되도록, 접착되는 접착제의 체적이 정해지는 것이 선호된다. 접착제비드가 가스확산층의 표면위로 돌출하도록 상기 접착제비드가 적합한 측정장치와 함께 부착되고, 접착제비드가 가스안내층을 단지 겨우 접촉하거나 가스안내층의 바로 앞에서 끝나도록 상기 접착제비드가 씰링변부상에 위치한다. 촉매작용의 막(8)을 부착하면, 다음에 접착제비드는 양극판 및 막 하부면 사이의 전체 간격을 충진하고, 접착제가 적어도 가스확산층의 전방부들에 도달하며, 심지어 1㎜이하로 가스확산층 내부로 침투되도록 접착제비드가 변형된다. 상기 방법에 의해 부착되는 막은 가스확산층상에서 평면상태이고 씰링비드(sealing bead)의 영역내에서 경미하게 상승될 수 있다.
가스확산층 및 접착비드와 함께 양극판위에 두께가 얇고 촉매기능의 막평면을 배열하기 위하여 특히 이동가능한 진공고정테이블과 같은 보조장치를 이용하는 것이 유용하다. 양극판과 유사하게, 다공구조의 탄소섬유종이에 의해 덮히는 채널시스템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채널시스템내에서 음압을 발생시키면, 진공고정테이블과 함께, 가스확산층 및 접착비드를 가진 양극판 위에 한 개의 막이 배열될 수 있고 면일치되어 고정될 수 있다. 선호되는 실시예에 있어서, 또한 선호되는 실시예에 있어서, 양극판과 같이, 막 및 진공고정테이블이 동일위치에서 구멍들을 가지고, 상기 구멍들은 다음에 파일을 이루는 개별 전지들을 통해 가스를 안내하도록 이용된다.
계속해서, 예를 들어 경미하게 상승된 온도 또는 실온에서, 조성에 기초한 적합한 조건에서 접착제가 처리되어야 한다.
양극판 및 막으로 구성되고 누출을 위해 상기 방법에 따라 구해진 조립체를 검사할 수 있고, 필요하다면, 상기 개별연료전지의 기능시험이 수행될 수 있다. 그래파이트로 제조된 적합한 공기안내체와 함께 양극판 및 MEA의 조립체를 고정하고 적어도 대기압과 근사한 공기에 의해 완성된 전지를 작동시켜서 상기 기능시험이 수행되는 것이 선호된다.
가스확산층이 부착되는 막이 이용되면, 또한 양극판 및 MEA사이에 수소챔버를 밀봉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목적을 위해, MEA에 깨끗한 변부가 제공되어야 하고 즉, 가스확산층에 의해 덮히지 않아야 한다. 다음에 접착제비드는 양극판에 부착되는 것이 아니라 MEA에 직접 부착되고, 선호되는 실시예에 있어서, 적합한 진공고정테이블 위에 고정된다. 상기 방법에 의해 준비된 MEA가 진공고정테이블과 함께 양극판 위에 배열될 수 있다.
도3을 참고할 때, 음극(1a)과 접촉하는 표면을 가진 양극판의 일부분을 통과하는 산화제 공기 또는 산소를 위한 가스안내체가, 두 가지 종류의 MEA를 위해 이미 설명된 방법에 따라, 수소챔버(6)에 대해 밀봉될 수 있다.
본 발명을 따르고 양극판 및 MEA로 구성된 여러 개의 조립체들로부터 연료전지파일을 형성하고, 상기 파일이 또한 과도한 압력에서 산소 또는 공기와 함께작동될 수 있도록, 하기 방법에 따라 (도4 및 도5를 참고할 때) 본 발명의 상기 방법을 따라, 공기 밀봉상태 및 수소밀봉상태로 상기 조립체들이 함께 접착될 수 있다.
초기에 양극판 및 MEA로 구성되고, 양극측의 가스확산층(4b)을 포함하며, 주변부에서 막상부 및 접착비드를 위한 수소전달체 주위에 일부영역을 남기는 조립체가 준비된다. 상기 설명과 같이, (도4를 참고할 때) 막의 주변부위와 (도5를 참고할 때) 수소안내장치들 주위에서 접착제비드(7)가 부착되는 것이 선호된다. 양극판 및 MEA로 구성된 또 다른 조립체가 양극과 접촉하는 측부(1b)를 가진 양극판의 일부분과 함께 접착제비드위에 배열된다. 다음에 적합한 조건에서 접착제가 처리된다. 막의 원주부상에 위치한 접착제비드가 대기에 대해 과도압력의 공기를 밀봉하고, 수소안내장치주위의 접착제비드에 의해 수소가 양극영역내부로 침투되는 것이 방지된다.
대기압에 근접한 공기에 의한 작업동안, 공기챔버의 외측원주부상에 위치하고 도4에 도시된 씰(seal)이 불필요하게 된다.
냉각매체 또는 고정요소들을 위한 관통구멍들이 제공되면, 도3 및 도5에 도시된 방법에 따라 음극영역 및 양극영역에 대해 상기 관통구멍들이 밀봉될 수 있다.
본 발명을 따르는 접착방법의 장점들에 의하면, 씰 및 가스확산층들 사이의 간격들이 회피될 수 있다. 또한 고압이 접착과정의 접착하중으로 대체되기 때문에,고압은 불필요하다. 억지끼운 상태의 공차에서 씰 또는 전극들이 구성되지 않아야 하고, 또한 가스안내장치들의 단면들이 임의로 선택될 수 있다. 개별전지들에 대해서 대기압상태에서 공기에 대한 적어도 기능시험 및 누출시험이 수행될 수 있다. 접착기능의 씰은 추가중량을 거의 발생시키지 않는다. 따라서 비용이 절감되는 산업적생산이 가능하다.

Claims (25)

  1. 양극판 및 MEA로 구성된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MEA의 자유변부가 가스밀봉상태로 양극판에 접착되고, 상기 자유변부가 가스확산층들에 의해 덮혀지지 않고, 촉매가 장착되거나 장착되지 못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극판 및 MEA로 구성된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양극판의 수소측부가 MEA의 음극과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극판 및 MEA로 구성된 조립체.
  3. 제 1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가스확산층보다 높게 위치한 씰링비드형태로 접착제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극판 및 MEA로 구성된 조립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접착간격을 정확하게 충진하기 위하여, 부착되었으나 아직 처리되지 않은 씰링비드의 체적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극판 및 MEA로 구성된 조립체.
  5. 제 1항 내지 4항 중 한 항에 있어서, 0.2㎜ 내지 1㎜의 가스확산층 내부로 접착재료가 침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극판 및 MEA로 구성된 조립체.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처리가능한 실리콘 또는 에폭시수지에 의해 접착작업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극판 및 MEA로 구성된 조립체.
  7.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씰링변부의 영역내에서 양극판 및/또는 막이 접착제에 의해 예비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극판 및 MEA로 구성된 조립체.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한 항에 있어서, 가스확산층이 양극판의 씰링변부와 0.1㎜ 내지 5㎜ 만큼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극판 및 MEA로 구성된 조립체.
  9. 제1 항 내지 제 8 항에 있어서, 양극판의 가스분배체의 표면 및 씰링변부가 한 개의 평면으로 일치되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극판 및 MEA로 구성된 조립체.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양극판위에 가스확산층들의 존재유무에 상관없이 MEA의 위치설정을 위하여, 진공고정테이블이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극판 및 MEA로 구성된 조립체.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음극 또는 음극가스안내장치가 제공되고, 그 중 조립체의 가스챔버내부로 침투되지 않아야 하는 가스가 접착작용에 의해 씰링되는 적어도 한 개의 안내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극판 및 MEA로 구성된 조립체.
  12. 양극판 및 EMA로 구성된 가스밀봉체를 생산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MEA의 자유막변부가 가스밀봉상태로 양극판에 접착되고, 상기 자유막변부가 가스확산층에 의해 덮혀지지 않고, 촉매가 장착되거나 장착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양극판의 수소측부가 MEA의 수소측부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 12항 내지 제 13항 중 한 항에 있어서, 가스확산층보다 더 높게 위치한 씰링비드의 형태로 접착제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 12항 내지 제 14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접착간격을 정확하게 충진하기 위해, 부착되지만 아직 처리되지 못한 씰링비드의 체적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 12항 내지 제 15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접착재료가 0.2㎜ 내지 1㎜ 만큼가스확산층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 12 항 내지 16 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처리가능한 실리콘 또는 에폭시수지에 의해 접착과정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 12항 내지 17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씰링변부의 영역내에서 양극판 및/또는 막이 접착제에 의해 예비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 12 항 내지 제 18 항 중 한 항에 있어서, 가스확산층이 0.1㎜ 내지 5㎜ 만큼 양극판의 씰링변부와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제 12항 내지 제 19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양극판의 가스분배체의 표면 및 씰링변부가 한 개의 평면내에 일치되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제 12항 내지 제 20 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양극판위에 가스확산층이 존재유무에 상관없이 MEA의 위치설정을 위하여, 진공고정테이블이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제 12항 내지 제 21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음극 및/또는 음극가스안내장치가 제공되고, 그 중 조립체의 가스챔버내부로 침투되지 않아야 하는 가스가 접착작용에 의해 씰링되는 적어도 한 개의 안내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3. 연료전지파일 및/또는 전해질전지들의 파일내에서 제 1 항 내지 제 11항 중 한 항에 따라 양극판 및 MEA로 구성된 조립체의 적용.
  24. 제 23 항에 있어서, 제 1 항 내지 제 11항 중 한 항을 따르는 양극판 및 MEA로 구성된 여러 개의 조립체들이 파일구조로 전기적으로 직렬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5. 제 23 항에 있어서, 양극판 및 MEA의 조립체들 내부의 가스챔버가 원주부 및/또는 해당가스안내장치 및 제 2 조립체의 MEA에 구성된 해당 측부를 가진 조립체의 양극판의 한쪽측부에서 제 12항 내지 제 22항 중 한 항의 방법에 따라 밀봉되고, 상기 가스챔버가 아직 밀봉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07014963A 1998-06-30 1999-06-30 양극판 및 폴리머 전해질막연료전지의 막전극유니트로구성된 가스밀봉체 KR2001007167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829142A DE19829142A1 (de) 1998-06-30 1998-06-30 Gasdichter Verbund aus Bipolarplatte und Membran-Elektroden-Einheit von Polymerelektrolytmembran-Brennstoffzellen
DE19829142.6 1998-06-30
PCT/DE1999/001890 WO2000002279A2 (de) 1998-06-30 1999-06-30 Gasdichter verbund aus bipolarplatte und membran-elektroden-einheit von polymerelektrolytmembran-brennstoffzell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1677A true KR20010071677A (ko) 2001-07-31

Family

ID=7872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14963A KR20010071677A (ko) 1998-06-30 1999-06-30 양극판 및 폴리머 전해질막연료전지의 막전극유니트로구성된 가스밀봉체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6783883B1 (ko)
EP (1) EP1095415B1 (ko)
JP (1) JP2002520777A (ko)
KR (1) KR20010071677A (ko)
CN (1) CN1147016C (ko)
AT (1) ATE233951T1 (ko)
AU (1) AU749968B2 (ko)
BR (1) BR9911759A (ko)
CA (1) CA2336208A1 (ko)
DE (3) DE19829142A1 (ko)
ID (1) ID28230A (ko)
IL (1) IL140490A0 (ko)
NO (1) NO20006707L (ko)
RU (1) RU2001101885A (ko)
TR (1) TR200003802T2 (ko)
WO (1) WO2000002279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7310B1 (ko) * 2002-05-31 2010-10-13 우미코레 아게 운트 코 카게 촉매 피복된 막을 사용한 막-전극-어셈블리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62682A1 (de) * 1999-12-23 2001-07-05 Siemens Ag Brennstoffzellenstack, die Verwendung eines Brennstoffzellenstacks und ein Verfahren zur Montage eines Brennstoffzellenstacks
JP3648128B2 (ja) * 2000-05-02 2005-05-1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燃料電池
JP3712592B2 (ja) * 2000-05-02 2005-11-0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燃料電池の製造方法
AU2001267500A1 (en) * 2000-05-31 2001-12-11 Manhattan Scientifics, Inc. Polymer-electrolyte membrane (pem) fuel cell system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US6824874B1 (en) 2000-08-23 2004-11-30 Dana Corporation Insulator and seal for fuel cell assemblies
KR20030024905A (ko) * 2000-08-23 2003-03-26 데이나코포레이션 절연 및 밀봉 조성물
WO2002017422A2 (en) * 2000-08-23 2002-02-28 Dana Corporation Epoxy nitrile insulator and seal for fuel cell assemblies
US7220786B1 (en) 2000-08-23 2007-05-22 Dana Corporation Ultraviolet radiation curable coating for MLS head gasket applications
KR100415397B1 (ko) * 2000-09-22 2004-01-24 주식회사 국일인토트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전지용 지지체
DE10057071A1 (de) * 2000-11-17 2002-05-29 Siemens Ag Brennstoffzellenanlage
DE10125360A1 (de) * 2001-05-23 2002-12-05 Wacker Chemie Gmbh Verwendung von zu degradationsstabilen Siliconkautschuken vernetzbaren Massen als Dichtungsmassen in Brenntstoffzellen
JP5208338B2 (ja) * 2001-06-29 2013-06-1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電解質膜・電極構造体及び燃料電池セル
DE10158772C1 (de) * 2001-11-23 2003-06-26 Reinz Dichtungs Gmbh & Co Kg Brennstoffzellensystem
DE10160706A1 (de) * 2001-12-11 2003-06-26 Schunk Kohlenstofftechnik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Platte sowie Platte
JP4629952B2 (ja) * 2002-02-13 2011-02-0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二次電池の製造方法
DE10207909A1 (de) * 2002-02-23 2003-09-04 Behr Gmbh & Co Brennstoffzelle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P1353396A1 (de) * 2002-04-12 2003-10-15 Stefan Höller Elektrochemische Zelle oder Anordnung von zwei oder mehr zu einem Stapel aufgeschichteten elektrochemischen Zellen
JP4376179B2 (ja) * 2002-05-09 2009-12-0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燃料電池及び燃料電池の電解質層とセパレータの接合方法
US7196120B2 (en) 2002-08-29 2007-03-27 Dana Corporation Ultraviolet radiation curable coating for MLS head gasket applications
EP1552573B1 (en) 2002-10-14 2015-09-02 REINZ-Dichtungs-GmbH Electrochemical system
WO2004051766A2 (en) * 2002-12-04 2004-06-17 Lynntech Power Systems, Ltd Adhesively bonded electrochemical cell stacks
US20040128825A1 (en) * 2002-12-31 2004-07-08 Belchuk Mark A. Laminated membrane electrode seal assembly
US20040180252A1 (en) * 2003-03-14 2004-09-16 General Electric Company Fuel cel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fuel cell
TW586251B (en) * 2003-04-23 2004-05-01 Univ Nat Sun Yat Sen Fuel cel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8153333B2 (en) * 2003-05-23 2012-04-10 Honda Motor Co., Ltd. Fuel cell with protruded gas diffusion layer
DE10328039B4 (de) 2003-06-18 2012-08-02 Reinz-Dichtungs-Gmbh Elektrochemische Anordnung mit elastischer Verteilungsstruktur
TWI251954B (en) * 2003-07-29 2006-03-21 Ind Tech Res Inst Flat fuel cell assembly and fabrication thereof
CA2539602C (en) * 2003-09-20 2013-10-29 Heiko Oschmann Catalyst-coated membrane with integrated sealing material and membrane-electrode assembly produced therefrom
KR100528339B1 (ko) * 2003-10-01 2005-11-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직접액체연료전지 스택
WO2005101554A1 (en) * 2004-04-13 2005-10-27 Umicore Ag & Co. Kg Multi-layer membrane-electrode-assembly (ml-mea) and method for its manufacture
US7749636B2 (en) 2004-09-21 2010-07-06 Reinz-Dichtungs-Gmbh Fuel cell arrangem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fuel cell arrangement
US20060127738A1 (en) * 2004-12-13 2006-06-15 Bhaskar Sompalli Design, method and process for unitized mea
US7833680B2 (en) * 2005-01-10 2010-11-16 Dana Automotive Systems Group, Llc Fuel cell separator plate reinforcement via bonding assembly
US7914943B2 (en) * 2005-08-19 2011-03-29 Daimler Ag Integrated seal for fuel cell assembly and fuel cell stack
JP4761255B2 (ja) * 2005-12-02 2011-08-3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と当該燃料電池用セパレータの接着構造
JP2007335353A (ja) * 2006-06-19 2007-12-27 Toyota Motor Corp 燃料電池
US7927754B2 (en) * 2006-10-26 2011-04-1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Pressure relief feature for a fuel cell stack
US20080199751A1 (en) * 2007-02-20 2008-08-21 Commonwealth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Organisation Bipolar plate for an air breathing fuel cell stack
US20110027683A1 (en) * 2007-08-08 2011-02-03 Marcos German Ortiz Solid Oxide Fuel Cell Devices With Serpentine Seal Geometry
US20090123784A1 (en) * 2007-09-13 2009-05-14 Pavlik Thomas J Fuel cell module
CN102257663B (zh) * 2008-12-19 2014-08-13 百拉得动力系统公司 用于固体聚合物电解质燃料电池的密封
US11302932B2 (en) * 2009-05-01 2022-04-12 Xergy Inc. Bipolar plate for low pressure feed electrode operation
WO2011133134A1 (en) * 2010-04-19 2011-10-27 Utc Power Corporation Fuel cell water management arrangement
JP5666396B2 (ja) * 2011-07-14 2015-02-1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燃料電池用金属セパレータの製造方法
GB2502517A (en) * 2012-05-28 2013-12-04 Intelligent Energy Ltd Fuel Cell Plate Assemblies and methods of assembly thereof
GB201405659D0 (en) * 2014-03-28 2014-05-14 Univ Cape Town Fuel cell MEA with combined metal gas diffusion layer and microporous layer
DE102015102123A1 (de) * 2015-02-13 2016-08-18 Ewe-Forschungszentrum Für Energietechnologie E. V. Bauelement für eine Redox-Flow-Zell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Bauelements für eine Redox-Flow-Zelle
US20170229714A1 (en) * 2016-02-04 2017-08-1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Embossed metal seal design with improved contact pressure uniformity under conditions of misalignment
CN106393940A (zh) * 2016-08-30 2017-02-15 武汉喜玛拉雅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pem燃料电池双极板粘结方法
CN109037702B (zh) * 2018-06-19 2022-04-01 上海治臻新能源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提高燃料电池金属极板稳健性制成工艺的辅助结构
CN114232014A (zh) * 2021-12-15 2022-03-25 中国科学院大连化学物理研究所 一种双极板和固体氧化物电解池堆及其应用
CN117213765B (zh) * 2023-11-07 2024-02-02 康明斯氢能(上海)有限公司 可平衡压力的双极板固定工装、气密测试装置及测试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46767A (ja) * 1982-09-10 1984-03-16 Toshiba Corp りん酸電解質燃料電池
US4786568A (en) * 1988-03-01 1988-11-22 International Fuel Cells Corporation Electrode substrate with integral edge seal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US5264299A (en) * 1991-12-26 1993-11-23 International Fuel Cells Corporation Prot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 support plate and an assembly including the same
US5187025A (en) * 1992-02-03 1993-02-16 Analytic Power Corp. Unitized fuel cell structure
DE4314745C1 (de) * 1993-05-04 1994-12-08 Fraunhofer Ges Forschung Brennstoffzelle
JPH0765847A (ja) * 1993-08-24 1995-03-10 Kansai Electric Power Co Inc:The 固体高分子電解質型燃料電池
JP3433549B2 (ja) * 1994-12-15 2003-08-0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の電解質膜回収方法およびその装置
US5841021A (en) * 1995-09-05 1998-11-24 De Castro; Emory S. Solid state gas sensor and filter assembly
JP3353567B2 (ja) * 1995-09-29 2002-12-0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燃料電池
DE19542475C2 (de) * 1995-11-15 1999-10-28 Ballard Power Systems Polymerelektrolytmembran-Brennstoffzelle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Verteilerplatte für eine solche Zelle
JPH09289029A (ja) * 1996-04-24 1997-11-04 Tanaka Kikinzoku Kogyo Kk 固体高分子型燃料電池用ガスシール構造、冷却部構造及びスタック
US6054228A (en) * 1996-06-06 2000-04-25 Lynntech, Inc. Fuel cell system for low pressure operation
US5759712A (en) * 1997-01-06 1998-06-02 Hockaday; Robert G. Surface replica fuel cell for micro fuel cell electrical power pack
DE19703214C2 (de) * 1997-01-29 2003-10-30 Proton Motor Fuel Cell Gmbh Membran-Elektrodeneinheit mit integriertem Dichtrand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DE19713250C2 (de) * 1997-03-29 2002-04-18 Ballard Power Systems Elektrochemischer Energiewandler mit Polymerelektrolytmembran
DE19823880A1 (de) * 1997-06-03 1998-12-10 Motorola Inc Bipolarplatte für Brennstoffzellenanordnung
US5989741A (en) * 1997-06-10 1999-11-23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Electrochemical cell system with side-by-side arrangement of cells
US5912088A (en) * 1997-10-28 1999-06-15 Plug Power, L.L.C. Gradient isolator for flow field of fuel cell assembly
JP3918265B2 (ja) * 1997-11-21 2007-05-2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の製造方法
US6127058A (en) * 1998-10-30 2000-10-03 Motorola, Inc. Planar fuel cell
US6284401B1 (en) * 1999-04-19 2001-09-04 George A. Marchetti Thin graphite bipolar plate with associated gaskets and carbon cloth flow-field for use in an ionomer membrane fuel cell
US6303245B1 (en) * 1999-08-27 2001-10-16 Plug Power Inc. Fuel cell channeled distribution of hydration water
US6261711B1 (en) * 1999-09-14 2001-07-17 Plug Power Inc. Sealing system for fuel cells
JP2001118592A (ja) * 1999-10-18 2001-04-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高分子電解質型燃料電池及び電池スタック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7310B1 (ko) * 2002-05-31 2010-10-13 우미코레 아게 운트 코 카게 촉매 피복된 막을 사용한 막-전극-어셈블리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0002279A3 (de) 2000-04-13
CA2336208A1 (en) 2000-01-13
CN1307734A (zh) 2001-08-08
AU5616499A (en) 2000-01-24
ID28230A (id) 2001-05-10
DE59904466D1 (de) 2003-04-10
CN1147016C (zh) 2004-04-21
RU2001101885A (ru) 2002-12-20
IL140490A0 (en) 2002-02-10
BR9911759A (pt) 2001-04-03
NO20006707D0 (no) 2000-12-29
US6783883B1 (en) 2004-08-31
EP1095415A2 (de) 2001-05-02
DE19981229D2 (de) 2001-06-13
JP2002520777A (ja) 2002-07-09
ATE233951T1 (de) 2003-03-15
NO20006707L (no) 2000-12-29
WO2000002279A2 (de) 2000-01-13
DE19829142A1 (de) 2000-01-05
AU749968B2 (en) 2002-07-04
EP1095415B1 (de) 2003-03-05
TR200003802T2 (tr) 2001-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71677A (ko) 양극판 및 폴리머 전해질막연료전지의 막전극유니트로구성된 가스밀봉체
KR100662681B1 (ko) 피이엠(pem) 연료전지용 개선된 멤브레인 전극 어셈블리
US7226684B2 (en) Sealing arrangement for fuel cells
DK1759434T4 (en) Membranelektrodemodul (MEA) for a fuel cell
KR100602540B1 (ko) 개별적인 막 조립체와 플레이트 조립체 사이의 밀봉이개선된 연료전지
JP3866050B2 (ja) 燃料電池
KR100372926B1 (ko) 고분자전해질형연료전지 및 그 제조방법
CN101027807B (zh) 膜电极组件
US8431284B2 (en) Low electrical resistance bipolar plate-diffusion media assembly
US20030082430A1 (en) Fuel cell gasket assembly and method of making
JP2006236957A (ja) 燃料電池用構成部材
US20050014058A1 (en) Fuel cell manifold seal with rigid inner layer
KR101417107B1 (ko) 연료전지 스택용 분리판
JP3712592B2 (ja) 燃料電池の製造方法
JP5849418B2 (ja) 膜電極接合体の製造方法
JP2001319676A (ja) 燃料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US9172098B2 (en) Fuel cell stack with improved corrosion resistance
WO2004114451A1 (en) Sealed and gasketed membrane electrode assembly
US20230378506A1 (en) Membrane-electrode unit for an electrochemical cel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membrane-electrode unit
JP2002134134A (ja) 固体高分子電解質膜及びこれを用いた燃料電池
JP3552101B2 (ja) 燃料電池用セパレータとそのゴムパッキンの成形方法
US20220037681A1 (en) Method for producing fuel cell
EP4064397A1 (en) Unit cell assembly for fuel cell stack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MXPA00012860A (en) Gas-proof assembly composed of a bipolar plate and a membrane-electrode unit of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s
JP3660205B2 (ja) 燃料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