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69436A - 폐자재를 이용한 내열성 건축용 조립식벽돌의 제조방법 및그 물건 - Google Patents

폐자재를 이용한 내열성 건축용 조립식벽돌의 제조방법 및그 물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69436A
KR20010069436A KR1020010015036A KR20010015036A KR20010069436A KR 20010069436 A KR20010069436 A KR 20010069436A KR 1020010015036 A KR1020010015036 A KR 1020010015036A KR 20010015036 A KR20010015036 A KR 20010015036A KR 20010069436 A KR20010069436 A KR 200100694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ypsum
waste
mixture
roasted
m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50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규원
최길호
Original Assignee
최규원
최길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규원, 최길호 filed Critical 최규원
Priority to KR10200100150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69436A/ko
Publication of KR200100694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9436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14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simple casting, the material being neither forcibly fed nor positively compacted
    • B28B1/16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simple casting, the material being neither forcibly fed nor positively compacted for producing layer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3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applying the material on to a core or other moulding surface to form a layer there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7/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shaping the material; Auxiliary measures taken in connection with such shaping
    • B28B17/02Conditioning the material prior to shaping
    • B28B17/023Conditioning gyps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0064Moulds characterised by special surfaces for producing a desired surface of a moulded article, e.g. profiled or polished moulding surfaces
    • B28B7/0079Moulds characterised by special surfaces for producing a desired surface of a moulded article, e.g. profiled or polished moulding surfaces with surfaces for moulding interlocking means, e.g. grooves and rib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1/0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 E04C1/4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s, e.g. composed of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or stones with filling material or with insulating inse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업현장이나 광산등에서 다량으로 버려지는 폐석고를 고열로 볶음처리하여 얻어지는 볶은폐석고와 황토를 혼합한 볶은폐석고황토몰탈, 시멘트몰탈, 석고, 석고와황토를 혼합한 석고황토몰탈 등이 잘 부착이 않되는 폐목재, 스티로폴, 참숯, 합판, 유리종류, 합성수지 등과 같은 폐자재에 볶은폐석고와 황토를 혼합한 볶은폐석고황토몰탈, 시멘트몰탈, 석고, 석고와 황토를 혼합한 석고황토몰탈 등이 쉽게 부착할 수 있도록 폐석고와 접착제를 혼합한 접착혼합물을 에어건을 이용하여 얇게 뿌려 시멘트와 볶은폐석고를 혼합한 시멘트볶은폐석고혼합물을 얇은 층이 형성되도록 기초작업을 한 후 표면을 거칠게 하여 볶은폐석고, 석고, 안료, 모래, 시멘트, 황토 등을 적정비율로 혼합한 내부 및 외부용 혼합물을 부착하여 견고하게 굳어질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일반 가정등에서 나오는 공병, 토목건축 공사장에서 폐기되는 폐목재나 철판 및 스티로폴, 합판, 유리종류, 합성수지 그리고 통기성이 뛰어난 참숯 등의 폐자재를 일체화 되도록 개재하여 자원의 재활용은 물론 견고하면서도 불에 강한 내열성 건축용 조립식벽돌과 타일을 얻을 수 있도록 하여 실내외 장식 및 각종 건축용 자재로 활용하므로서 자원의 재활용은 물론 견고하면서도 실용적인 폐자재를 이용한 내열성 건축용 조립식벽돌의 제조방법 및 그 물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폐자재를 이용한 내열성 건축용 조립식벽돌의 제조방법 및 그 물건{NONFLAMMABLE BUILDING MATERIALS USING WASTES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산업현장이나 광산등에서 다량으로 버려지는 폐석고를 고열로 볶음처리하여 얻어지는 볶은폐석고와 황토를 혼합한 볶은폐석고황토몰탈, 시멘트몰탈, 석고, 석고와황토를 혼합한 석고황토몰탈 등이 잘 부착이 않되는 폐목재, 스티로폴, 참숯, 합판, 유리종류, 합성수지 등과 같은 폐자재에 볶은폐석고와 황토를 혼합한 볶은폐석고황토몰탈, 시멘트몰탈, 석고, 석고와 황토를 혼합한 석고황토몰탈 등이 쉽게 부착할 수 있도록 폐석고와 접착제를 혼합한 접착혼합물을 에어건을 이용하여 얇게 뿌려 시멘트와 볶은폐석고를 혼합한 시멘트볶은폐석고혼합물을 얇은 층이 형성되도록 기초작업을 한 후 표면을 거칠게 하여 볶은폐석고, 석고, 안료, 모래, 시멘트, 황토 등을 적정비율로 혼합한 혼합물을 소정의 형상과 두께를 갖도록 부착하여 견고하게 굳어질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일반 가정등에서 나오는 공병, 토목건축 공사장에서 폐기되는 폐목재나 철판 및 스티로폴, 합판, 유리종류, 합성수지 그리고 통기성이 뛰어난 참숯 등의 폐자재를 일체화 되도록 개재하여 자원의 재활용은 물론 견고하면서도 실용적인 건축용 조립식벽돌과 타일을 얻을 수 있도록 하여 실내외 장식 및 각종 건축용 자재로 활용하므로서 자원의 재활용은 물론 견고하면서도 실용적인 폐자재를 이용한 내열성 건축용 조립식벽돌의 제조방법 및 그 물건에 관한 것이다.
현재 각 가정이나 산업현장에서 배출되어 나오는 각종 쓰레기나 폐자재등은 소정의 선별과정을 거쳐 여러가지 용도로 재활용되고 있지만 발생되고 있는 분량이 다량이어서 배출량에 비하여 재활용되는 정도가 충분하다고는 볼 수 없으며, 재활용되는 경우에도 모든 쓰레기나 폐자재가 다 재활용되는 것이 아니라 극히 일부분의 자재에만 특정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특히 재활용되는 예에 있어서도 대부분 용도가 한정되어 있고 몰탈이나 벽돌등의 건축자재로의 재활용에 있어서도 단순히 몰탈이나 시멘트에 폐자재를 섞어 소정의 모양으로 성형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산업현장이나 광산등에서 다량으로 버려지는 폐석고를 고열로 볶음처리하여 얻어지는 볶은폐석고와 황토를 혼합한 볶은폐석고황토몰탈, 시멘트몰탈, 석고, 석고와 황토를 혼합한 석고황토몰탈 등이 잘 부착이 않되는 폐목재, 스티로폴, 참숯, 합판, 유리종류, 합성수지 등과 같은 폐자재에 볶은폐석고와 황토를 혼합한 볶은폐석고황토몰탈, 시멘트몰탈, 석고, 석고와 황토를 혼합한 석고 황토몰탈 등이 쉽게 부착할 수 있도록 폐석고와 접착제를 혼합한 접착혼합물을 에어건을 이용하여 얇게 뿌려 시멘트와 볶은폐석고를 혼합한 시멘트볶은폐석고혼합물을 얇은 층이 형성되도록 기초작업을 한 후 표면을 거칠게 후, 완전히 굳으면 볶은 폐석고, 석고, 안료, 모래, 시멘트, 황토 등을 적정비율로 혼합한 혼합물을 부착하여 견고하게 굳어질 수 있도록 하여 일반 가정등에서 나오는 공병, 토목건축 공사장에서 폐기되는 폐합판이나 폐목재, 스티로폴, 합판, 유리종류, 합성수지 그리고 통기성이 뛰어난 참숯등의 폐자재를 일체화 되도록 개재하여 자원의 재활용은 물론 견고하면서도 실용적이며 외관도 미려한 내열성 건축용 조립식벽돌과 타일을 얻고자 하는데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조립식벽돌의 골격을 보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골격에 폐석고접착혼합물을 초벌 부착한 상태의 조립식벽돌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완성된 조립식벽돌의 사시도.
도 4은 도3의 단면도.
도 5 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골격을 보인 사시도.
도 6 는 제1실시예의 완성된 조립식벽돌의 사시도.
도 7은 제1실시예의 완성된 조립식벽돌을 절단하여 타일을 보인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조립식벽돌을 이용한 참고 사용상태사시도.
도 9 은 제1실시예의 타일을 이용한 참고 사용상태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0' 조립식벽돌 11 스티로폴
12, 12' 폐목재 13 나무가지
14 철사 15 공간부
20 타일 30 접착혼합물
32 시멘트볶은폐석고혼합물
40 외부용혼합물 50 내부용혼합물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산업현장이나 광산등에서 다량으로 버려지는 폐석고를 고열로 볶음처리하여 얻어지는 분말상태에서 시멘트몰탈과 석고 또는 볶은폐석고와 황토가 부착이 않 되는 폐목재, 스티로폴, 숯, 합판, 유리종류, 합성수지 등과 같은 폐자재에 볶은폐석고와 황토를 혼합한 볶은폐석고황토몰탈, 시멘트몰탈, 석고, 석고와 황토를 혼합한 석고황토몰탈 등이 쉽게 부착할수 있게 접착혼합물을 에어건을 이용하여 얇게 뿌려 시멘트와 볶은폐석고를 혼합한 시멘트볶은폐석고혼합물을 얇은 층이 형성되도록 기초작업을 하여 표면을 거칠게 하여 완전히 한 후, 볶은폐석고, 석고, 안료, 모래, 시멘트, 황토 등을 적정비율로 혼합한 혼합물을 폐자재와 가압피접하여 불에 강한 내열성 건축용 조립식벽돌을 제작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은, 상기 폐목재 또는 참숯 등을 매몰시켜 돌출되도록 응결시켜 이들을 일체화한 건축용 타일이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상기 특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3는 조립식벽돌의 제작과정을 보인 것으로,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형상의 소정 크기의 스티로폴(11)을 맞대어 구성하되, 내측으로 적정 길이로 절단시킨 다수개의 폐목재(12)를 지지시키며,
상기 스티로폴(11)의 외측으로는 나무가지(13)을 고정하여 철사(14)를 적정간격으로 묶어 고정하고,
상기 스티로폴(11)의 외부에는 폐석고와 접착제를 혼합한 접착혼합물(30)을 에어건을 이용하여 얇게 뿌려 시멘트와 볶은폐석고를 혼합한 시멘트볶은폐석고혼합물(32)을 얇은 층이 형성되도록 전체적으로 도포를 한 후에 표면을 별도의 도구를 이용하여 거칠게 하여 완전히 굳은 다음,
상기 접착혼합물(30)과 시멘트볶은폐석고혼합물(32)이 도포된 둘레부 일측으로는 외부면이 되는 부분에는 볶은폐석고, 석고, 안료, 모래, 시멘트, 황토를 적정비율로 혼합한 외부혼합물(40)을 두러 씌워 형성하고, 내부면이 되는 타측으로는 볶은폐석고, 석고, 안료, 황토를 적정비율로 혼합한 내부혼합물(50)을 둘러 씌워 형성되어 얻어지는 조립식벽돌(10)과 타일(20)의 제조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얻어지는 건축용 조립식벽돌(10)의 구조는, 스티로폴(11)의 내측으로 폐자재를 구성하는 폐목재(12)를 적정길이로 절단하여 스티로폴(11)을 지지하도록 구성하였으며, 상기 스티로폴(11)과 폐목재(12)의 내측 공간부(15)로는 각종 공사장이나 폐광산등에서 나오는 건축물 폐자재를 넣어 스티로폴(11)의 외부로 나무가지(13)를 이용하여 고정하여 철사(14)나 끈 등을 이용하여 묶은 후, 스티로폴(11)의 외부로 폐석고와 접착제를 혼합한 접착혼합물(30)을 에어건을 이용하여 얇게 뿌려 시멘트와 볶은폐석고를 혼합한 시멘트볶은폐석고혼합물을 얇은 층이 형성되도록 전체적으로 도포를 한 후에 표면을 별도의 도구를 이용하여 거칠게 하여 완전히 굳은 다음,
상기 골격을 별도의 성형틀에 넣고 접착혼합물(30)과 시멘트볶은폐석고혼합물(32)이 도포된 둘레부 일측으로는 외부면이 되는 부분에는 볶은폐석고, 석고, 안료, 모래, 시멘트, 황토를 적정비율로 혼합한 외부혼합물(40)을 적정 두께로 둘러 씌워 조립식벽돌의 사용시에 바깥쪽이 되는 외부면을 형성하고, 내부면이 되는 타측부분에는 볶은폐석고, 석고, 안료, 황토를 적정비율로 혼합한 내부혼합물(50)을 적정두께로 둘러 씌워 안쪽이 되는 내부면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의 골격 내측 공간부에는 조립식벽돌(10)의 중량을 가볍게 하려면 공간부에 아무것도 넣지 않아도 상관이 없는 것이다.
도8은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얻어진 조립식벽돌(10)을 이용하여 벽을 쌓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것으로,
폐목재(12')의 스티로폴(11)의 외부로 나무가지(13)를 이용하여 고정하여 철사(14)나 끈 등을 이용하여 묶은 후, 폐목재(12')의 외부로 폐석고와 접착제를 혼합한 접착혼합물(30)과 시멘트볶은폐석고혼합물(32)을 에어건을 이용하여 시멘트와 볶은폐석고를 혼합한 시멘트볶은폐석고혼합물(32)을 얇은 층이 형성되도록 전체적으로 도포를 한 후에 표면을 별도의 도구를 이용하여 거칠게 하여 완전히 굳은 다음,
상기와 같이 형성된 골격을 별도의 성형틀에 넣고 접착혼합물(30)과 시멘트볶은폐석고혼합물(32)이 도포된 외부 전체적으로 볶은폐석고, 석고, 안료, 모래, 시멘트, 황토를 적정비율로 혼합한 외부용혼합물(40)이나 볶은폐석고, 석고, 안료, 황토를 적정비율로 혼합한 내부용혼합물(50)을 적정두께로 둘러 씌워 형성함으로써, 조립식벽돌(10')을 제작할 수 있는 것이며,
또 다른 방법으로 상기와 같이 형성된 골격을 별도의 성형틀(도시생략)에 넣고 접착혼합물(30)과 시멘트볶은폐석고혼합물(32)이 도포된 외부 일측으로는 외부면이 되는 볶은폐석고, 석고, 안료, 모래, 시멘트, 황토를 적정비율로 혼합한 외부용혼합물(40)을 적정 두께로 둘러 씌워 조립식벽돌(10')의 사용시에 바깥쪽이 되는 외부면을 형성하고, 타측으로는 내부면이 되는 볶은폐석고, 석고, 안료, 황토를 적정비율로 혼합한 내부용혼합물(50)을 적정두께로 둘러 씌워 안쪽이 되는 내부면을 형성함으로써 조립식벽돌(10')을 제작할 수 있는 것으로, 도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단함으로써 타일(20)이 얻어지는 것으로 건축물의 내부벽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타일(20)로 사용된 상태를 보인 참고도로써,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얻어진 타일(20)을 이용하여 벽에 부착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시멘트몰탈과 석고 또는 볶은폐석고와 황토가 부착이 않되는 폐목재, 스티로폴, 숯, 합판, 유리종류, 합성수지 등과 같은 산업현장이나 건설현장에서 발생되는 폐자재의 외부면에 접착혼합물을 에어건을 이용하여 얇게 뿌려 시멘트와 볶은폐석고를 혼합한 시멘트볶은폐석고혼합물을 얇은 층이 형성되도록 전체적으로 도포를 한 후에 표면을 별도의 도구를 이용하여 거칠게 하여 완전히 굳은 다음, 볶은폐석고, 석고, 안료, 모래, 시멘트, 황토 등을 적정비율로 혼합한 혼합물을 부착하여 견고하게 굳어질 수 있도록 하여 내열성 건축용 조립식벽돌과 내열성 타일을 얻을 각각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자원의 재활용은 물론 현재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는 쓰레기나 폐자재 처리문제에 있어서 건강한 주택시공과 함께 산업공해를 예방할 수 있는 해결책의 하나로서 진일보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5)

  1. 폐석고를 고열로 볶음처리하여 얻어지는 볶은폐석고와 황토를 혼합한 볶은폐석고황토몰탈, 시멘트몰탈, 석고, 석고와 황토를 혼합한 석고황토몰탈이 잘 부착이 않되는 폐목재, 스티로폴, 참숯, 합판, 유리종류, 합성수지와 같은 폐자재에 있어서,
    폐석고와 접착제를 혼합한 접착혼합물(30)을 에어건을 이용하여 얇게 뿌려 시멘트와 볶은폐석고를 혼합한 시멘트볶은폐석고혼합물(32)을 얇은 층이 형성되도록 기초작업을 한 후, 다음 공정에서 부착이 용이하도록 표면을 거칠게 하여 완전히 굳은 후, 볶은폐석고, 석고, 안료, 모래, 시멘트, 황토 등을 적정비율로 혼합한 외,내부용혼합물(40)(50)을 폐자재와 잘 부착되도록 하는 부착방법을 특징으로 하는 내열성 건축용 조립식벽돌의 제조방법.
  2. 제1항의 부착방법에 의하여,
    판형상의 소정 크기의 스티로폴(11)을 맞대어 구성하되, 내측으로 적정 길이로 절단시킨 다수개의 폐목재(12)를 지지시키며,
    상기 스티로폴(11)의 외측으로는 나무가지(13)을 고정하여 철사(14)를 적정 간격으로 묶어 고정하고,
    상기 스티로폴(11)의 외부에는 폐석고와 접착제를 혼합한 접착혼합물(30)을 에어건(도시생략)을 이용하여 전체적으로 도포를 한 후에 표면을 별도의 도구를 이용하여 거칠게 하여 완전히 굳은 다음,
    상기 접착혼합물(30)이 도포된 둘레부 일측으로는 외부면이 되는 부분에는 볶은폐석고, 석고, 안료, 모래, 시멘트, 황토를 적정비율로 혼합한 외부혼합물(40)을 두러 씌워 형성하고, 내부면이 되는 타측으로는 볶은폐석고, 석고, 안료, 황토를 적정비율로 혼합한 내부혼합물(50)을 둘러 씌워 형성되어 얻어지는 내열성 건축용 조립식벽돌의 제조방법.
  3. 제1항의 부착방법에 의하여,
    폐목재(12')의 외부로 나무가지(13)를 이용하여 고정하여 철사(14)나 끈을 이용하여 묶은 후,
    폐목재(12')의 외부로 폐석고와 접착제를 혼합한 접착혼합물(30)을 에어건을 이용하여 전체적으로 도포를 한 후에 표면을 별도의 도구를 이용하여 거칠게 하여 완전히 굳은 다음,
    상기와 같이 형성된 골격을 별도의 성형틀에 넣고 접착혼합물(30)이 도포된 외부 전체적으로 볶은폐석고, 석고, 안료, 모래, 시멘트, 황토를 적정비율로 혼합한 외부용혼합물(40)이나 볶은폐석고, 석고, 안료, 황토를 적정비율로 혼합한 내부용혼합물(50)을 적정두께로 둘러 씌워 형성되어 얻어지는 내열성 건축용 조립식벽돌의 제조방법.
  4. 제2항의 제조방법으로 얻어진 내열성 조립식벽돌
  5. 제2항의 제조방법으로 얻어진 내열성 조립식벽돌(10')을 절단하여 얻어지는 내열성 타일.
KR1020010015036A 2001-03-22 2001-03-22 폐자재를 이용한 내열성 건축용 조립식벽돌의 제조방법 및그 물건 KR200100694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5036A KR20010069436A (ko) 2001-03-22 2001-03-22 폐자재를 이용한 내열성 건축용 조립식벽돌의 제조방법 및그 물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5036A KR20010069436A (ko) 2001-03-22 2001-03-22 폐자재를 이용한 내열성 건축용 조립식벽돌의 제조방법 및그 물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9436A true KR20010069436A (ko) 2001-07-25

Family

ID=19707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5036A KR20010069436A (ko) 2001-03-22 2001-03-22 폐자재를 이용한 내열성 건축용 조립식벽돌의 제조방법 및그 물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6943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0048A (ko) * 2002-02-25 2002-04-22 윤승길 재활용벽돌
KR100693327B1 (ko) * 2006-04-24 2007-03-14 이경우 실내 마감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0048A (ko) * 2002-02-25 2002-04-22 윤승길 재활용벽돌
KR100693327B1 (ko) * 2006-04-24 2007-03-14 이경우 실내 마감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50951B2 (ja) 耐荷重連動構造ブロックおよび張力システム
US11668098B2 (en) Cladding panel
JP6886977B2 (ja) 直接再利用可能な建築構造ユニット
US20140087158A1 (en) High performance, highly energy efficient precast composite insulated concrete panels
US7735277B1 (en) Simulated brick building panel
US20140083040A1 (en) Insulated wall panel
JP2022058432A (ja) 連動構造ブロック補強手段およびモジュール建築システム
WO2009006647A2 (en) Building elements and a method of manufacture of preformed building products
KR20010069436A (ko) 폐자재를 이용한 내열성 건축용 조립식벽돌의 제조방법 및그 물건
US20140047790A1 (en) Process for manufacturing decorative and facing panels and panel manufactured thereby
RU2652211C1 (ru) Термопанель фасадная высокопрочная и способ её изготовления
KR101877487B1 (ko) 건축내장용 토분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20010069435A (ko) 폐자재를 이용한 내열성 건축용 조립식판넬의 제조방법 및그 물건
EP4190759A1 (en) Improved layer of a multilayer structure of a building
FI78414B (fi) Foerfarande foer framstaellning av byggnadselement som aer speciellt laempade foer anvaendning som tegelfasader.
KR100220851B1 (ko) 폐석고를 이용한 판넬의 제조방법
KR100799091B1 (ko) 황토판넬 및 그 제조방법
CN106958305A (zh) 一种聚氨酯基轻质高强一体化墙体及其喷涂制备方法
NL1011791C2 (nl) Werkwijze ter vervaardiging van een warmteisolerend bouwpaneel, bouwpaneel, vormvrije massa, tuinbouwgranulaat, lijm, isolatielaag.
JPH10252242A (ja) 面化粧構造および面化粧工法
FR2882551A1 (fr) Composition pour materiau de construction destinee a etre mise en forme : en moules, en coffrage de chantier, en coffrage du pre-fabrication
JPS5826266Y2 (ja) モルタル下地板
JPH0217054Y2 (ko)
EP1792883B1 (en) Process for manufacturing a facing panel and panel manufactured thereby
KR20000014238A (ko) 펄프 혼합 경량, 단열, 흙 벽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