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67587A - 전주 완금용 정전사고방지기 - Google Patents

전주 완금용 정전사고방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67587A
KR20010067587A KR1020010008266A KR20010008266A KR20010067587A KR 20010067587 A KR20010067587 A KR 20010067587A KR 1020010008266 A KR1020010008266 A KR 1020010008266A KR 20010008266 A KR20010008266 A KR 20010008266A KR 20010067587 A KR20010067587 A KR 200100675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vertex
pole
prevention device
accident preven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82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정욱
Original Assignee
엄정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정욱 filed Critical 엄정욱
Priority to KR10200100082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67587A/ko
Publication of KR200100675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7587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3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 A01M29/32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specially adapted for birds, e.g. spik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r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주 완금용 정전사고방지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된 기존의 퇴치핀을 길이방향으로 일체화하여 퇴치날개를 형성하되, 이러한 퇴치날개가 형성되는 상부 꼭지점부만을 본체로부터 교체할 수 있도록 장,탈착 교체수단을 구비하여, 일체화된 퇴치날개를 통해 작업자가 취급하기 용이토록함은 물론 파손부위만을 교체할 수 있어 그만큼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주 완금용 정전사고방지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으며,
이러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해 삼각기둥형상을 취하며 전주 완금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고 양 측면은 조류가 착지하지 못하도록 평활면으로 형성되며 하부면으로는 고정수단인 다수개 자성체가 설치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와 동일한 형상을 취하되, 끝이 뽀족하며 일체화된 구조의 퇴치날개가 형성되는 꼭지점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와 꼭지점부가 맞닿는 부위로는 꼭지점부를 본체로부터 설치,교체할 수 있도록 장,탈착 교체수단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는 전주의 이렬 완금에 다수개로 설치시에 마주보는 한조의 본체가 높이차이를 갖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 완금용 정전사고방지기를 구비하게 된다.

Description

전주 완금용 정전사고방지기{ELECTRIC POWER PROTECTOR}
본 발명은 전주 완금용 정전사고방지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된 기존의 퇴치핀을 길이방향으로 일체화하여 퇴치날개를 형성하되, 이러한 퇴치날개가 형성되는 상부 꼭지점부만을 본체로부터 교체할 수 있도록 장,탈착 교체수단을 구비하여, 일체화된 퇴치날개를 통해 작업자가 취급하기 용이토록함은 물론 파손부위만을 교체할 수 있어 그만큼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주 완금용 정전사고방지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3상선로에 적용되는 전주의 완금위로 형성되는 각종 조류의 둥지는 둥지를 형성하는 재료로서 나뭇가지와 유사한 철사 및 폐전선도 함께 사용됨에 따라 이격된 전선이 연속접촉하여 접촉부분에 강한 전계의 집중화현상을 발생시키게 되므로 잦은 정전사고를 유발시키게 되고,
특히, 도로주변이나 산악지역에서 발생되는 정전사고의 경우에는 정전부위를 쉽게 찾지 못하는 문제점과 함께 작업이 용이하지 못한 이중고를 겪게 되므로, 이러한 정전사고로 인해 송배전 계통의 운용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함은 물론 엄청난 경제적 손실이 야기되고 있어, 조류가 완금위에 둥지를 짓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정전사고방지기의 필요성이 가중되고 있다.
이에, 둥지에 의해 야기되는 정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여러가지 시도가 있어 왔는데, 이러한 시도는 전주상에서 조류가 싫어하는 음파 또는 초음파를 발생시켜 조류를 퇴치하거나, 모조뱀과 같은 모형 복제물에 의해 조류를 위협하기도 하고, 빛을 난반사시키는 금속띠를 설치하는 형태와, 조류가 완금에 앉지 못하도록 한 텐트구조물을 설치하는 형태 또는 조류가 싫어하는 냄새를 발생하는 화학물질을 전주상에 살포하는 방법등을 대표적인 일례로 들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 및 장치는 일시적인 효과만을 얻을 수 있어 장기적으로 볼때 조류의 접근을 막지 못하는 한계를 갖는 문제점이 발생하였으며, 특히 까치의 경우에는 다른 조류에 비해 상당히 영리하여 각종 퇴치장치에 쉽게 적응하고 있다.
또한, 상기한 종래 정전사고방지기 및 방지방법은 이미 설치되어져 있는 엄청난 숫자의 전주에 적용할 경우 막대한 예산이 소모됨에 따라 현실적으로 적용할 수 없는 폐단을 갖는 것이었다.
한편, 본 출원인에 의해 특허등록출원 2000 - 86212호(명칭 : 전주 완금용 조류퇴치기)로서 출원된 선발명은 도 1에서와 같이 양측면을 미끄러운 평활면(110)으로 형성하고, 꼭지점부위로는 퇴치핀(120)을 일정간격으로 형성한 삼각기둥체 본체(100)를 전주(200)의 완금(210)상부면에 설치고정하므로서 본체(100)로 형성된 평활면(110)과 퇴치핀(120)을 통해 조류가 전주(200)의 완금(210)에 앉지 못하게 하므로서 둥지형성작업을 원천적을 할 수 없도록 한 것이다.
하지만, 상기한 선출원 발명에 있어, 퇴치핀(120)은 본체(100)와 일체로서 형성되는 구조를 취함에 따라 단수개 퇴치핀이 파손되면 파손된 부분으로 조류가 앉을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므로, 조류퇴치기능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갖는 것이며,
이와같이 문제점으로 인해 퇴치핀 일부분만이 파손될 경우 본체를 교체설치해야하므로 그만큼 경제적인 손실이 야기되는 것이었다.
또한, 이와같은 퇴치핀(120)은 본체의 완금설치시 작업자가 본체를 취급함에 있어 부주위로 찔리거나 인체에 손상을 줄 수 있어, 그만큼 취급에 어려움을 갖는 것이었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정전사고방지기가 갖는 제반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된 기존의 퇴치핀을 길이방향으로 일체화하여 퇴치날개를 형성하되, 이러한 퇴치날개가 형성되는 상부 꼭지점부만을 본체로부터 교체할 수 있도록 장,탈착 교체수단을 구비하여, 일체화된 퇴치날개를 통해 작업자가 취급하기 용이토록함은 물론 파손부위만을 교체할 수 있어 그만큼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주 완금용 정전사고방지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삼각기둥형상을 취하며 전주 완금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고 양 측면은 조류가 착지하지 못하도록 평활면으로 형성되는 본체의 상부측 꼭지점부에 일체화된 구조의 퇴치날개를 형성하되, 상기 본체와 꼭지점부가 맞닿는 부위로는 꼭지점부만을 본체로부터 교체할 수 있도록 장,탈착 교체수단을 형성하며,
상기 본체는 전주 완금에 다수개로 설치시에 마주보는 한조의 본체가 높이차이를 갖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완금용 정전사고방지기를 구비하므로서달성된다.
이와같은 정전사고방지기를 통해 각종 조류는 완금위에 앉아 집짓는 작업을 수행할 수 없게 되며, 특히 꼭지점부를 선택적으로 교환할 수 있어 경제적인 이점을 갖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조류퇴치기의 설치상태도
도 2은 본 발명에 따른 정전사고방지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정전사고방지기의 설치상태도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정전사고방지기의 꼭지점부 장,탈착구조의 또 다른 실시예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정전사고방지기에 있어, 꼭지점부 퇴치핀의 이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정전사고방지기에 있어, 퇴치핀의 삼실시예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정전사고방지기에 있어, 퇴치핀의 사실시예 도면
도 8은 도 7의 사실시예 퇴치날개가 적용된 본체의 설치상태도
◐도면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1" : 정전사고방지기 본체 2 : 양측면 3,3' : 꼭지점부
4 : 하부면 5 : 전주 11 : 장착돌기 12 : 사각고정홈
31,31',31" : 퇴치날개 32 : 고정홈 41 : 자성체
42,42' : 고정편 51 : 완금 421 : 밴드체결공 S : 판스프링편
T : 보강턱 P : 돌출편 B : 고정볼트 P : 고무코팅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은 본 발명에 따른 정전사고방지기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정전사고방지기의 설치상태도이며,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정전사고방지기의 꼭지점부 장,탈착구조의 또 다른 실시예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정전사고방지기에 있어, 꼭지점부 퇴치핀의 이실시예를 보인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정전사고방지기에 있어, 퇴치핀의 삼실시예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정전사고방지기에 있어, 본체의 또 다른 실시예 도면이며, 도 8은 도 7이 적용된 본체의 설치상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정전사고방지기(1)는 양 측면(2)이 미끄러운 평활면으로 형성되는 삼각기둥형상의 본체(1)에 있어, 상부측 꼭지점부(3)로 끝이 날카로운 형태의 퇴치날개(31)가 길이방향으로 일체화로 된 구조로서 돌출형성되며, 이러한 꼭지점부(3)는 본체(1)와 분리되어지되, 장착돌기(11)와 고정홈(32)을 통해 본체(1)로부터 장,탈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정전사고방지기 본체(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삼각기둥형상을 취하되, 설치할 완금(51)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으며, 하부면(4)은 적어도 전주(5) 완금(51)의 폭보다 넓은 폭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인데,
이와같은 본체(1)의 구성재질로는 합성수지재를 적용하되, 바람직하게는 전기절연성, 치수안정성이 좋고, 내후성(耐朽性) 및 내충격성이 크며, 특히 성형재의 표면이 미끄러운 폴리카보네이트가 적용함이 바람직하고, 이러한 본체(1)의 양 측면(2)은 하부면(4)과 45도 이상의 경사를 갖는 평활면으로 형성되어 각종 조류가 측면에 앉을 경우 미끄러지도록 구성되며, 완금(51)의 상부면과 맞닿게 되는 본체(1)의 하부면(4)으로는 본체(1)의 고정수단인 자성체(41)가 다수개 설치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본체(1)를 완금(51)위로 견고하게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와 같이 완금(51)으로의 본체고정수단인 자성체(41)와 함께 고정편(42,42')을 추가구성하게 되는데,
이와같은 고정편(42,42')은 도 2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본체(1)의 하부면(4) 양 끝단 하방으로 수직돌출형성되어지되, 이 고정편(42,42')으로는 한조의 밴드체결공(421)을 천공하여 한조의 밴드클립(C)에 의해 견고하게 완금위로 고정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의 양 측면(2)이 이루는 상부측 꼭지점부(3)는 도 2에서와 같이 본체(2)로부터 분리되는 구조를 취하되, 끝이 날카롭게 형성되는 퇴치날개(31)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구성재질로는 퇴치날개가 일정한 경도와 탄성이 공존(조류가 퇴치날개의 끝단으로 착지할 경우 조류의 발을 찔려 아픔을 느끼게 할 수 있는 경도와 조류가 퇴치날개 끝단에 앉을 경우 조류자체의 하중에 의해 형태변형되는 탄성을 공존하게함이 바람직함.)하도록 합성수지 고무체가 적용되는 것인데,
이와같이 본체(1)로부터 분리되는 구조를 취하는 상기 꼭지점부(3)는 장,탈착수단을 통해 본체(1)에 설치고정된다.
이에, 상기와 같은 장,탈착수단은 도 2에서와 같이 본체(1)와 꼭지점부(3)가 맞닿는 부위에 있어, 본체측으로는 역사다리꼴형태의 장착돌기(11)를 형성하고, 꼭지점부(3)로는 상기 장착돌기(11)가 치합된 상태로 슬라이딩결합되는 고정홈(32)을 형성하므로서 구성되는 것이며, 이 장착돌기(11)와 고정홈(32)을 통한 슬라이딩 탈,부착으로 본체(1)로부터 꼭지점부(3)만을 교체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4는 상기 장,탈착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도면으로서, 이는 본체(1)의 상부로 사각고정홈(12)을 형성하고, 꼭지점부(3') 자체를 상기 사각고정홈(12)에 끼움될 수 있도록 사각체로 형성한 것인데,
이와같이 사각고정홈(12)에 억지끼움형식으로 꼭지점부(3')를 본체(1)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꼭지점부(3') 결합부위가 사각고정홈(12)의 폭보다 큰 폭을 갖도록함이 바람직하며, 특히 꼭지점부(3')자체는 전술한 바와같이 탄성을 갖는 고무체로 형성되므로 사각고정홈(12)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정전사고방지기는 도 3에서와 같이 통상의 3상선로용 전주의 2열 완금(51)에 있어, 선로와 선로의 사이 또는 전주와 선로의 사이공간의 완금(51) 상부면에 상호 마주보는 형태로서 각,각 설치하되, 이러한 설치작업은 각 사이공간(통상적으로 30-40cm임.)의 완금길이에 대응하게 본체(1,1')를 각각 형성한 후, 본체(1,1')의 하부면으로 설치된 자성체(42)와 고정편(42,42')을 통한 밴드클립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설치하여, 각종 조류가 완금(51)에 앉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데,
이와같이 마주보는 형태로서 다수조의 본체(1,1')가 완금위로 설치되는 정전사고방지기에 있어, 일측열 완금으로 설치되는 정전사고방지기 본체(1')는 적어도 타측의 그것보다 높은 신장을 갖도록 형성하여, 마주보는 본체(1,1')의 높이차에 의해 조류가 본체(1,1')를 둥지지지수단으로 하여 나뭇가지등을 쌓을 수 없도록함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설치된 본 발명의 정전사고방지기는 까치와 같은 조류가 완금(51)위로 집을 짓기 위해 본체(1)의 양 측면(2)에 앉으려 할 경우, 자체 경사를 갖는 양 측면(2)의 표면이 평활면으로서 미끄럽게 형성되어져 있어 조류가 수평을 유지할 수 없게 되므로 앉지 못하게 되고,
특히, 양 측면(2)이 이루는 꼭지점부(3,3')에 앉으려 할 경우에는 끝이 날카로운 퇴치날개(31)에 발바닥이 찔리게 되므로, 아픔을 느끼게 되어 꼭지점부(3,3')또한 앉지 못하게 됨에 따라, 완금(51)위에서 둥지를 형성할 수 없게 됨은 물론 조류가 앉는다하더라도 고무체로 형성되는 퇴치날개(31)가 조류의 하중에 의해 형태변형되므로 조류는 중심을 잃게 되어 둥지형성작업을 이중으로 방지하게 된다.
또한, 이와같은 정전사고방지기에 있어, 꼭지점부(3,3')가 외력에 의해 손상 또는 파손될 경우에는 전술한 장,탈착수단(장착돌기(11)와 고정홈(32)을 통한 슬라이딩 탈부착방식 또는 사각고정홈(12)으로 억지끼움 된 꼭지점부(3')를 본체(1)로부터 분리하는 방식)을 통해 꼭지점부(3,3')만을 본체로부터 교체할 수 있어, 저렴한 비용으로 지속적인 유지보수가 가능한 것이며, 퇴치날개(31)의 구성재질로서 합성수지 고무체를 적용하므로서 정전사고방지기의 설치작업자가 퇴치날개(31)에 의해 신체손상되는 등의 위험성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취급또한 용이한 것이다.
한편, 도 5 내지 도 6은 상기 퇴치날개의 여러가지 실시예를 보인 도면인데,
도 5에 도시된 이실시예의 퇴치날개(31')는 일정량의 탄성과 경도가 공존하는 퇴치날개에 있어, 탄성을 보강하기 위해 합성수지 고무체로 제작되는 꼭지점부(3,3')의 퇴치날개(31') 내부로 판스프링편(S)을 일정간격으로 설치하고, 이와함께 경도를 보강하기 위해 퇴치날개(31')의 수직방향으로는 보강턱(T)을 일정간격형성하게 된다.
도 6에 도시된 삼실시예의 퇴치날개(31")는 꼭지점부(3,3')를 플라스틱재질로서 형성하되, 이러한 꼭지점부(3)의 일측과 타측면으로 고무코팅면(C)을 형성하므로서, 플라스틱이 갖는 재질특성(경도)와 고무코팅면(C)이 갖는 탄성에 의해 경도와 탄성이 공존토록 한 형태이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정전사고방지기에 있어, 본체(1")의 또 다른 실시예 도면으로서, 이는 본체(1") 상부면 자체가 경사각을 갖도록 형성하여, 꼭지점부(3,3',3")를 장착할 경우 도 7과 같은 형상을 갖도록하므로서, 퇴치날개(3,3',3")와 함께 본체(1")가 갖는 자체경사면으로 조류가 완금(51)위에 앉는 것을 이중으로 방지도록 한 것이며, 이와같이 경사면을 갖는 본체는 도 8과 같이 전주(5)의 완금(51)위로 설치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여러가지 형태로서 퇴치날개의 형태를 변형하여 설치할 전주의 주위환경, 즉 까치가 둥지를 트는 전주일경우와 그 밖의 조류가 둥지를 트는 경우에 따라 이러한 환경에 적합한 퇴치날개가 적용된 정전사고방지기를 설치하므로서, 조류가 완금위로 둥지를 틀게됨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주 완금용 정전사고방지기는 길이방향으로 일체화된 구조로서 퇴치날개가 형성되는 꼭지점부를 장,탈착 교체수단을 통해 필요에 따라 본체로부터 교체할 수 있도록하여, 꼭지점부의 부분적인 파손에 따른 유지보수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그만큼 경제성을 향상시킨 것이고,
상기와 같이 퇴치날개를 일체구조로서 형성하여 작업자가 운반 또는 설치시 신체손상위험성을 최소화할 수 있음은 물론 취급또한 용이한 장점을 갖는 것이다.
또한, 여러가지 형태의 퇴치날개를 구비하여 여러종류의 가해조류에 따라 적절히 대응할 수 있는 잇점과 함께 본체로부터 돌출형성되는 고정편에 의해 더욱 견고하게 본체를 완금에 고정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정전사고방지기는 본체를 단순한 구조로서 형성하여 그만큼 제작원가를 절감할 수 있어, 현실적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한번 설치한 후,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 것이다.

Claims (8)

  1. 삼각기둥형상을 취하며 전주 완금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고 양 측면은 조류가 착지하지 못하도록 평활면으로 형성되며 하부면으로는 고정수단인 다수개 자성체가 설치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와 동일한 형상을 취하되, 끝이 뽀족하며 일체화된 구조의 퇴치날개가 형성되는 꼭지점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와 꼭지점부가 맞닿는 부위로는 꼭지점부를 본체로부터 설치,교체할 수 있도록 장,탈착 교체수단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는 전주의 2열 완금에 다수개로 설치시에 마주보는 한조의 본체가 높이차이를 갖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 완금용 정전사고방지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꼭지점부의 장,탈착 수단으로는 꼭지점부와 맞닿는 본체에 길이방향으로 돌출형성되며 역사다리꼴형상을 취하는 장착돌기와, 상기 장착돌기가 치합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결합고정되도록 꼭지점부의 저면으로 형성되는 고정홈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 완금용 정전사고방지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꼭지점부의 장,탈착 수단으로는 본체의 상부면 길이방향으로 사각고정홈을 형성하되, 상기 꼭지점부를 사각고정홈에 억지끼움되도록 형성하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 완금용 정전사고방지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하부면 양 끝단으로 고정편을 돌출형성하되, 이 고정편으로는 적어도 한조의 밴드체결공(51)을 두어, 이 밴드 체결공을 통한 밴드클립(C)의 고정으로 본체를 완금위로 고정하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 완금용 정전사고방지기.
  5. 제 2항 또는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퇴치날개가 형성되는 상기 꼭지점부는 탄성과 경도가 공존하는 합성수지 고무체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 완금용 정전사고방지기.
  6. 제 2항 또는 제 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탄성력의 보강을 위해 다수개의 스프링편을 일정간격을 두고 퇴치날개에 내설하고, 경도의 보강을 위해 퇴치날개의 양 외벽에 보강턱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 완금용 정전사고방지기.
  7. 제 2항 또는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꼭지점부를 플라스틱재로 형성하되, 양측면으로 고무코팅면이 겹층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 완금용 정전사고방지기.
  8. 제 2항 또는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부면이 자체 경사각을 갖도록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완금용 정전사고방지기.
KR1020010008266A 2001-02-19 2001-02-19 전주 완금용 정전사고방지기 KR200100675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8266A KR20010067587A (ko) 2001-02-19 2001-02-19 전주 완금용 정전사고방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8266A KR20010067587A (ko) 2001-02-19 2001-02-19 전주 완금용 정전사고방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7587A true KR20010067587A (ko) 2001-07-13

Family

ID=19705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8266A KR20010067587A (ko) 2001-02-19 2001-02-19 전주 완금용 정전사고방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6758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7657B1 (ko) * 2006-08-23 2007-02-02 (주)반석엔지니어링 전선 케이블용 경완금 연결장치
KR100796566B1 (ko) * 2007-10-15 2008-01-21 신성식 배전용 전주 상부 지지대
WO2018066732A1 (ko) * 2016-10-06 2018-04-12 주식회사 베스텍 조류 착지 방지용 탄성브라켓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9334U (ja) * 1992-09-09 1994-04-15 ヨツギ株式会社 防巣具
KR970056186U (ko) * 1997-07-09 1997-10-13 김철각 조류 피해 방지기
KR200146959Y1 (ko) * 1996-06-17 1999-06-15 박상식 조류둥지 설치방지용 카바
KR19990022340U (ko) * 1999-01-13 1999-07-05 강대희 까치접근방지장치
KR200200572Y1 (ko) * 2000-03-10 2000-10-16 강대균 조류로 인한 정전사고 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9334U (ja) * 1992-09-09 1994-04-15 ヨツギ株式会社 防巣具
KR200146959Y1 (ko) * 1996-06-17 1999-06-15 박상식 조류둥지 설치방지용 카바
KR970056186U (ko) * 1997-07-09 1997-10-13 김철각 조류 피해 방지기
KR19990022340U (ko) * 1999-01-13 1999-07-05 강대희 까치접근방지장치
KR200200572Y1 (ko) * 2000-03-10 2000-10-16 강대균 조류로 인한 정전사고 방지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7657B1 (ko) * 2006-08-23 2007-02-02 (주)반석엔지니어링 전선 케이블용 경완금 연결장치
KR100796566B1 (ko) * 2007-10-15 2008-01-21 신성식 배전용 전주 상부 지지대
WO2018066732A1 (ko) * 2016-10-06 2018-04-12 주식회사 베스텍 조류 착지 방지용 탄성브라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49645C2 (ru) Синтетическая напольная плитка, имеющая частично податливую опорную конструкцию
CA2668108C (en) Floating dock and dock unit for making such
CA2924162C (en) Tile for use in a modular flooring system
US9534399B2 (en) Method of using interlocking mat with integral ramp
CA2040717A1 (en) Space dividing partition system having an electrical raceway
DE2402333B2 (de) Gitterförmiger Bodenbelag, vorzugsweise aus Kunststoff, insbesondere für Sportplätze
KR100807329B1 (ko) 잔디 보호 매트
KR20010067587A (ko) 전주 완금용 정전사고방지기
KR20030077142A (ko) 교량용 신축이음 장치
KR200381740Y1 (ko) 조립식 바닥판
WO1995031099A1 (en) Bird deterrent apparatus
KR102618856B1 (ko) 데크 밀림 및 휨 방지 시공용 마감구
KR200461558Y1 (ko) 전주 완철의 새 둥지 방지용 커버
KR20010067588A (ko) 전주 완금용 정전사고방지기
KR20150102246A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데크결합부재
KR20020056793A (ko) 전주 완금용 조류퇴치기
KR100513152B1 (ko) 건축판재 레일식 고정구 및 그를 이용한 건축판재 부착방법
KR101038704B1 (ko) 목재 데크 구조
KR200162162Y1 (ko) 조류 피해 방지기
CN221060584U (zh) 机器人辅助越障装置及行走机器人系统
KR20010067586A (ko) 전주 완금용 정전사고방지기
KR102550184B1 (ko) 안전바닥구조물
KR20020056794A (ko) 전주 완금용 조류퇴치기
CN221060583U (zh) 机器人辅助越障装置及行走机器人系统
KR20000063651A (ko) 조류퇴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