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67471A -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송신 전력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송신 전력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67471A
KR20010067471A KR1020000078945A KR20000078945A KR20010067471A KR 20010067471 A KR20010067471 A KR 20010067471A KR 1020000078945 A KR1020000078945 A KR 1020000078945A KR 20000078945 A KR20000078945 A KR 20000078945A KR 20010067471 A KR20010067471 A KR 200100674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transmission power
power control
mobile station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89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91733B1 (ko
Inventor
고노마사끼
Original Assignee
가네꼬 히사시
닛본 덴기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네꼬 히사시, 닛본 덴기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가네꼬 히사시
Publication of KR200100674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74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17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17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6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with a discrete range or set of values, e.g. step size, ramping or off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6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with a discrete range or set of values, e.g. step size, ramping or offsets
    • H04W52/362Aspects of the step siz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6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with a discrete range or set of values, e.g. step size, ramping or offsets
    • H04W52/367Power values between minimum and maximum limits, e.g. dynamic ra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54Signalisation aspects of the TPC commands, e.g. frame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CDMA형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업링크 방향으로의 무선 채널 및 다운링크 방향으로의 무선 채널 모두가 중단될 때, 기지국은 정상적인 다운링크 송신 전력 제어 동작을 해제하면서 이동국으로부터 응답이 보내질 때까지 일정한 간격으로 다운링크 송신 전력을 1㏈씩 연속적으로 증가한다. 또한, 기지국은 기지국에 의해 발생된 전력 제어 비트를 제어하여, 이동국의 업링크 송신 전력을 연속적으로 증가시킨다.

Description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송신 전력 제어 시스템{TRANSMISSION POWER CONTROL SYSTEM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총체적으로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 시스템(이하 간단히 "CDMA"시스템이라고 함)에 의해 동작가능한 이동 통신 시스템에 사용되는 송신 전력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소위 "호출 중단(call drop)" 현상의 발생을 피할 수 있는 송신 전력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극히 최근의 전자 통신 기술이 크게 발전함에 따라, 차량 전화 및 휴대 전화와 같은 이동 통신 시스템이 급속히 범용화되고 있다. 전자 통신 기술에서의 이와같은 진전과 관련하여, 이동 통신 시스템은 점차로 시분할 다중 액세스(TDMA) 시스템에서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CDMA) 시스템으로 바뀌고 있다.
일반적으로 말해서, CDMA 형 셀룰러 이동 통신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1) 이와 같은 셀룰러 이동 통신 시스템은 무선 간섭과 무선 교란과 같은 간섭에 대해 높은 저항력을 가지고 있다.
(2) 전력 스펙트럼 밀도가 낮기 때문에, 다른 통신 채널에 미치는 간섭이 작아진다.
(3) 전력 스펙트럼 밀도가 낮기 때문에, 뛰어난 기밀성이 수립될 수 있다.
(4) 뛰어난 기밀성은 확산 코드를 사용하여 얻어질 수 있다.
(5) 다중 액세스는 서로 다른 확산 코드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6) 이동 통신이 오버로드 상태하에서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비록 CDMA형 셀룰러 이동 통신 시스템이 상술과 같은 다양한 장점이 있으나, 이와 같은 셀룰러 이동 통신 시스템은 다양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들 문제중에서도, 간섭 문제가 존재한다. 전형적인 간섭 문제로서, 소위 "근접계(near-to-far)"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근접계 문제는, 기지국과 이 기지국으로부터 떨어져 위치된 소정의 이동국 간에 통신이 수립되는 동안, 이 기지국 근방에 위치된 다른 간섭 이동국이 통신하에 있는 소정의 이동국에 큰 간섭을 미칠 수 있다는 현상을 암시한다. 이 "근접계" 문제는 CDMA형 이동 통신 시스템뿐아니라, 다른 종래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발생할 수 있다. 즉, 이 "근접계" 문제는채널-대-채널 간섭(동일한 채널 간섭/인접하는 채널 간섭)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많은 수의 이동국들이 CDMA 시스템에서 동일한 주파수를 공통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이 간섭 문제는 보다 심각한 문제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간섭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CDMA형 셀룰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이 간섭양을 감소시키기 위해 다양한 종류의 송신 전력 제어 장치들이 제공된다. 이동 송신 전력 제어 장치로서는, 두가지 종류의 송신 전력 제어 장치, 즉, 이동국에서 기지국으로 동작가능한 역링크(업링크 방향) 송신 전력 제어 유닛, 기지국에서 이동국으로 동작가능한 포워드 링크(다운링크 방향) 송신 전력 제어 장치가 존재한다.
업링크 송신 전력 제어 장치 내의 기지국의 수신 장치에 의해 수신 전계 강도 측정이 수행되고, 기지국은 이동국으로부터 송신된 무선 신호의 전계 강도를 측정한다. 이 전계 강도의 측정 결과, 수신된 전계 강도가 선정된 임계값보다 높으면, 기지국은 이동국에 지시하여 전력 제어 비트를 사용하여 송신 전력을 감소시키도록 한다. 한편, 수신된 전계 강도가 선정된 임계값보다 낮으면, 기지국은 이동국에 지시하여 전력 제어 비트를 사용하여 송신 전력을 증가시키도록 한다.
한편, 수신된 전계 강도 측정은 다운링크 방향 송신 전력 제어 장치 내의 이동국의 수신 장치에 의해 수행된다. 이동국은 기지국으로부터 방송되는 정보 신호의 수신된 전계 강도를 측정한다. 이동국은 측정된 수신 전계 강도에 기초하여 송신 전력 제어 정보를 발생한 다음, 발생된 송신 전력 제어 정보를 기지국에 송신한다. 기지국은 이 송신 전력 제어 정보로부터 송신 전력을 계산하고, 송신 전력을조정한다.
이와 같은 송신 전력 시스템에서, 예를 들어, TIA/EIA(Telecommunication Industry Association/Electronic Industry Associatio)의 IS-95 표준에서, 다운링크 방향 송신 제어 동작은 업링크 방향 송신 제어 동작에 대해 독립적으로 수행된다.
그러나, 종래의 송신 전력 제어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이 종래의 송신 전력 제어 시스템의 문제점들은 다음과 같이 설명된다. 도 1은 정상적인 상태에 있는 기지국(200)과 통신되는 이동국(300)이 건물(700)의 새도우잉 부분으로 이동되는 상태를 도식적으로 도시한다. 건물(700)은 기지국(200)과 이동국(300) 간에 수립된 무선 통신 채널이 차단되는 위치에 놓여 있다. 건물(700)의 이 새도우잉진 부분은, 기지국(200)에 인접하여 위치된 다른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무선파가 도달될 수 없는 둔감한 영역(insensitive zone), 즉 기지국(200)이 통신을 핸드오프할 수 없는 영역에 대응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TIA/EIA의 IS-95 표준하에서 동작되는 이동국(300)은, 다운링크 무선 채널의 유효 신호가 일정 시간 주기 동안 수신될 수 없는 경우에는 송신 출력을 중지한다. 이와 동시에, 기지국(200)은 또한 이동국(300)으로부터 송신된 업링크 무선 신호를 수신할 수 없다. 이 업링크 무선 신호는 다운링크 무선 채널의 송신 전력 제어 동작을 실행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무선 채널의 품질 상태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결국, 기지국(200)은 다운링크 무선 채널의 송신 전력 제어 동작을 중지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종래의 송신 전력 제어 시스템은 호출 중단이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지국과 정상 상태로 통신하는 이동국이 빌딩과 같은 건물로 인해 무선파의 중단이 발생하게 되는 장소로 이동된다는 사실로 인해 유발되는, 무선 채널의 업링크 방향 및 무선 채널의 다운링크 방향 모두가 중단되는 경우에서도 기지국과 이동국 간에 수립된 통신을 복원할 수 있는 송신 전력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 사용되는 송신 전력 제어 시스템은 복수의 이동국, 복수의 기지국, 및 기지국 제어 장치로 구성된 CDMA 형 이동 통신 시스템에 적용된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CDMA형 이동 통신 시스템은:
기지국과 정상 상태로 통신하는 이동국이 건물에 의해 유발되는 무선파 중단이 발생하는 장소로 이동되어 무선 채널이 중단되는 경우에, 기지국이 이동국에 대해 수신 상태의 보고 요청을 송신하면서 상기 이동국으로부터 응답이 발생될 때까지 일정한 간격으로 기지국의 다운링크 송신 전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제1 부분; 및
보고 요청 내에 조합된 전력 제어 비트를 제어함으로써 일정 간격으로 이동국의 업링크 송신 전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제2 부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정한 간격의, 기지국의 다운링크 송신 전력 및 이동국의 업링크 송신 전력 모두의 증가값의 각각은 1㏈가 되도록 선택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또한, 기지국이 트래픽 측정부를 더 구비하기 때문에, 각각의 증가값은 트래픽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트래픽 양에 응답하여 0.5㏈ 및 2㏈ 사이에 한정된 범위 내에 설정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증가값은 기지국의 무선 어플라이언스 보드의 사용율에 대해 0.5㏈와 2㏈ 간에 한정된 범위 내에 설정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의 무선 어플라이언스 보드의 사용율이 25%이하일 때, 이 증가값은 2㏈로 설정될 수 있고, 기지국의 무선 어플라이언스 보드의 사용율이 75%이상일 때, 이 증가값은 0.5㏈로 설정될 수 있고, 기지국의 무선 어플라이언스 보드의 사용율이 25%를 초과할 때, 이 증가값은 1㏈로 설정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송신 전력 제어 시스템의 문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가리키기 위한 개략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 제공되는 기지국 제어 장치, 기지국, 및 이동국의 구성을 도시하기 위한 개략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 사용되는 업링크 프레임 신호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 사용되는 다운링크 프레임 신호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 사용되는 업링크 음성 제어 프레임 신호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8는 도 1에 설명한 바와 같이 새도우잉 현상으로 인해 비정상적인 통신 상태가 발생하는 경우에 이동국 측에서 실행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9은 도 1에 설명한 바와 같이 새도우잉 현상(shadowing phenomenon)으로 인해 비정상적인 통신 상태가 발생하는 경우에 이동 통신 시스템에 이용되는 기지국 장치와 기지국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 이동되는 기지국 제어 장치, 기지국, 및 이동국의 구성을 도시하기 위한 개략 블럭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및
도 12는 도 1의 순서도에 제시된 무선 어플라이언스 보드(radio appliance board)의 사용율과 송신 전력 제어 단계 값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의 예.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전용선
20 : 업링크 무선 신호
21 : 다운링크 무선 신호
100 기지국 제어 장치
110 : 음성 프레임 선택 유닛
120 : 음성 코딩 유닛
130 : 제어 처리 유닛
200, 200-1, 200-2 : 기지국
210-1, 310 : 수신 유닛
230-1, 330 : 디코딩 유닛
240-1 : 코딩 유닛
260-1 : 전력 제어 비트 발생 유닛
220-1 : 송신 유닛
250-1 : 송신 전력 제어 유닛
300 : 이동국
360 : 음성 프레임 신호 합성 유닛
370 : 음성 코딩 유닛
400 : 업링크 음성 프레임 신호
410 : 음성 데이터
420 : 음성 데이터 신호 품질 정보
지금부터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송신 전력 제어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가 적용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도 2에서, 기지국 제어 장치(100)는 전용선에 의해 구성된 유선 전송 근접선(wired transfer approach line)를 사용하여, 기지국(200-1), 기지국(200-2), 및 기지국(200-n)(여기서, 기호 "n"는 양의 정수임)에 접속되어 있다. 각각의 기지국(200-1, 200-2, 200-n)은 무선 채널을 사용하여 이동국(300)에 접속될 수 있다. 두개의 무선 채널, 즉 이동국(300)에서 관련된 기지국 방향으로의 업링크 무선 채널, 및 관련된 기지국에서 이동국(300) 방향으로의 다운링크 무선 채널이 존재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상술한 기지국 제어 장치(100), 기지국(200-1), 기지국(200-2), 및 이동국(300)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기 위한 개략 블럭도이다. 도 3에서, 기지국(200-1)의 업링크 ㅂ아향의 장치들은 수신 유닛(210-1) 및 디코딩 유닛(230-1)을 포함한다. 수신 유닛(210-1)은 이동국(300)으로부터 송신된(방송된) 업링크 무선 신호(20)를 수신하고, 수신된 업링크 무선 신호를 복조한다. 디코딩 유닛(230-1)은 수신 유닛(210-1)에 의해 복조된 업링크 무선 신호를 디코드하여 업링크 음성 프레임 신호를 얻는다. 복조 유닛(230-1)에 의해 복조된 신호의 수신 Eb/No는 전력 제어 비트 발생 유닛(260-1)에 공급되고, 디코드된 업링크 음성 프레임 신호는 기지국 제어 장치(100)에 공급된다. 이 경우에, "Eb/No"는 신호 비트에 대해 energy/1㎐당 노이즈량을 가리킨다.
기지국(200-1)의 다운링크 방향의 장치들은 코딩 유닛(240-1), 송신 유닛(220-1), 송신 전력 제어 유닛(250-1), 및 전력 제어 비트 발생 유닛(260-1)을 구비한다. 코딩 유닛(240-1)은 기지국 제어 장치(100)로부터 송신된 다운링크 음성 프레임 신호를 코드한다. 송신 유닛(220-1)은 코딩 유닛(240-1)에 의해 코드화된 신호를 변조하고, 변조된 신호를 송신한다. 송신 전력 제어 유닛(250-1)은 적당한 방법으로 송신 전력을 변경하기 위해, 전계 강도 정보, 및 기지국 제어 장치(100)로부터 보내진 기준 Ec/Io 모두에 기초하여 소정의 송신 전력을 계산한다. 이 경우에, "Ec/Io"는 신호 대 간섭파 전력의 비율을 나타낸다. 전력 제어비트 발생 유닛(260-1)은 디코딩 유닛(230-1)으로부터 보내진 수신 Ec/Io를 내부적으로 발생된 기준 Ec/Io와 비교하여, 전력 제어 비트를 발생한다. 기지국(200-2)의 내부 구성은 기지국(200-1)의 내부 구성과 동일하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기지국 제어 장치(100)는 음성 프레임 신호 선택 유닛(110), 음성 코딩 유닛(120), 및 제어 처리 유닛(130)을 포함한다. 음성 프레임 신호 선택 유닛(110)은 기지국으로부터 보내진 업링크 음성 프레임 신호로부터 가장 높은 신호 품질을 갖는 음성 프레임 신호를 선택한 다음, 선택된 음성 프레임 신호의 품질을 기준 값과 비교한다. 음성 코딩 유닛(120)은 업링크 음성 프레임 신호에 포함된 음성 데이터를 업링크 음성 신호로 변환하고, 다운링크 음성 신호를 다운링크 음성 프레임 신호에 포함된 음성 데이터로 변환한다. 제어 처리 유닛(130)은 송신 전력 보고 정보에 기초하여 기준 Ec/Io를 발생한다. 이 송신 전력 보고 정보는 다운링크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이동국으로부터 기지국을 거쳐 송신된다.
이동국(300)의 다운링크 방향의 장치들은 수신 유닛(310), 디코딩 유닛(330), 음성 프레임 신호 합성 유닛(360), 및 음성 코딩 유닛(370)을 구비한다. 수신 유닛(310)은 기지국(200-1)으로부터 송신된 다운링크 무선 신호(21)을 수신하고, 수신된 다운링크 무선 신호(21)를 복조한다. 디코딩 유닛(330)은 수신 유닛(310)에 의해 복조고딘 다운링크 무선 신호(21)를 디코드하여 다운링크 음성 프레임 신호를 얻는다. 음성 프레임 신호 합성 유닛(360)은 다운링크 음성 프레임 신호에 포함된 음성 데이터 신호 양호/불량 정보에 기초하여 신호 가중/합성 동작을 실행한다. 음성 코딩 유닛(370)은 다운링크 음성 프레임 신호에 포함된 음성데이터를 다운링크 음성 신호로 변환한다.
이동국(300)의 업링크 방향의 장치들은 음성 코딩 유닛(370), 코딩 유닛(340), 송신 유닛(320), 및 송신 전력 제어 유닛(350)을 구비한다. 음성 코딩 유닛(370)은 업링크 음성 신호를 업링크 음성 프레임 신호에 포함된 음성 데이터로 변환한다. 코딩 유닛(340)은 업링크 음성 프레임 신호를 코드화한다. 송신 유닛(320)은 코딩 유닛(340)에 의해 코드화된 업링크 음성 프레임 신호를 변조하여 코드화된 업링크 음성 프레임 신호를 송신한다. 송신 전력 제어 유닛(350)은 전력 제어 비트에 기초하여 적절한 방법으로 송신 전력을 변경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 사용되는 업링크 프레임 신호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5는 다운링크 프레임 신호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6은 업링크 음성 제어 프레임 신호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지금부터 도 3 내지 5를 참조하여, 정상 상태하의 업링크 전력 제어 동작에 대해 설명할 것이다.
기지국(200-1)에서, 이동국(300)으로부터 송신된 업링크 무선 신호(120)는 수신 유닛(210-1)에 의해 수신된 다음에, 디코딩 유닛(230-1)에 의해 디코드되어, 도 4에 도시된 업링크 음성 프레임 신호(400)가 발생된다. 업링크 음성 프레임 신호(400)는 음성 데이터(410)와 음성 데이터 신호 품질 정보(420)으로 구성된다. 기지국(200-1)에 의해 발생된 업링크 음성 프레임 신호(400)는 전용선(10)을 거쳐 기지국 전력 제어 장치(100)으로 송신되고, 또한 음성 프레임 신호 선택 유닛(110)에 입력된다. 음성 프레임 신호 선택 유닛(110)에서, 음성 데이터 품질 정보(420)는 가장 높은 신호 품질을 갖는 음성 프레임 신호를 선택하기 위해 다수의 기지국으로부터 보내진 업링크 음성 프레임 신호(400)로부터 체크된다. 또한, 음성 프레임 신호 선택 유닛(110)은, 선택된 업링크 음성 프레임 신호(400)의 신호 품질이 기지국 전력 제어 장치(100)에 미리 설정된 기준 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음성 코딩 유닛(120)에 업링크 음성 프레임 신호(400)를 송신한다. 또한, 음성 프레임 신호 선택 유닛(110)은 다수의 수신된 업링크 음성 프레임 신호(400) 내의 프레임의 각각에 대한 품질 결과를 프레임 품질 정보로서 각각의 기지국에 반환한다.
기지국 제어 장치(100)로부터 공급된 프레임 품질 정보는 기지국(200-1)에 이용되는 전력 제어 비트 발생 유닛(260-1)에 입력된다. 전력 제어 비트 발생 유닛(260-1)은 입력된 프레임 품질 정보에 기초하여 기준 Eb/No를 조정한다. 또한, 디코딩 유닛(230-1)의 출력과 같은 기준 Eb/No는 전력 제어 비트 발생 유닛(260-1)에 입력된다. 전력 제어 비트 발생 유닛(260-1)은 수신 Eb/No를 기준 Eb/No와 비교하여 전력 제어 비트를 발생한다. 발생된 전력 제어 비트는 다운링크 음성 프레임 신호에 포함된 음성 데이터에 삽입된 다음, 결과로 나타나는 음성 데이터가 송신 유닛(220-1)에서 이동국(300)으로 다운링크 무선 신호(21)로서 송신된다.
이동국(300)에서, 다운링크 무선 신호(21)는 수신 유닛(310)에 의해 수신된 다음에, 디코딩 유닛(330)에 의해 디코드되어, 다운링크 음성 프레임 신호(500)가 재생되게 된다. 재생된 다운링크 음성 프레임 신호(500)는 음성 프레임 신호 합성 유닛(360)으로 보내진다. 음성 프레임 신호 합성 유닛(360)은 다운링크 음성 프레임 신호(500)에 포함된 음성 데이터(510)에 삽입된 전력 제어 비트를 추출한 다음에, 추출된 전력 제어 비트를 송신 전력 제어 유닛(350)에 송신한다. 이와 같은 송신 전력 제어 유닛(350)에서, 이동국(300)의 송신 유닛(320)에서의 업링크 송신 전력은 보내진 전력 제어 비트의 값에 따라 최적의 전력 값으로 제어된다.
지금부터 도 3, 5 및 6을 참조하여, 정상적인 상태에 있는 다운링크 송신 전력 제어 장치를 설명한다. 도 3, 5 및 6에서, 이동국(300)은 수신 유닛(310)에 의해 기지국(200-1)으로부터 송신된 무선 신호(21)를 수신한다. 수신된 무선 신호는 디코딩 유닛(330)에 의해 디코드되어, 음성 프레임 신호 합성 유닛(360)에 공급되는 도 5에 도기된 바와 같은 다운링크 음성 프레임 신호(500)를 발생한다. 다운링크 음성 프레임 신호(500)는 음성 데이터(510) 및 음성 데이터 양호/불량 정보(520)로 구성된다. 음성 프레임 합성 유닛(360)에서, 음성 프레임 신호(500)에 포함된 음성 데이터 양호/불량 정보(520)는 선정된 시간 주기 동안 저장된 다음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송신 전력 보고 정보(630)가 만들어진다. 송신 전력 보고 정보(630)는 전계 강도(631), 측정된 프레임 수(632), 및 에러 프레임 수(633)로 구성된다. 송신 전력 보고 정보(630)가 음성 데이터(610)와 합성되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업링크 음성 제어 프레임 신호(600)가 발생된다. 이 업링크 음성 제어 프레임 신호(600)는 송신 유닛(320)에서 기지국(200-1)으로 업링크 무선 신호(20)로서 송신된다.
기지국(200-1)은 수신 유닛(210-1)에 의해 업링크 무선 신호(20)를 수신한다. 디코딩 유닛(230-1)은 수신된 무선 신호(20)를 디코드하여 업링크 음성 제어프레임 신호(600)를 재생한다. 재생된 업링크 음성 제어 프레임(600)은 전용선(10)을 거쳐 기지국 제어 장치(100)으로 송신된다.
기지국 제어 장치(100)에 송신된 업링크 음성 제어 프레임 신호(600)는 음성 프레임 신호 선택 유닛(110)을 거쳐 음성 데이터(610)와 송신 전력 보고 정보(630)로 분리된다. 음성 데이터(610)는 음성 코딩 유닛(120)으로 보내지고, 송신 전력 보고 정보(630)는 제어 처리 유닛(130)으로 보내진다. 제어 처리 유닛(130)은 송신 전력 보고 정보(630)에 포함되어 있는, 측정된 프레임 수(523)와 에러 프레임 수(633)으로부터 기준 Ec/Io를 발생한다. 이 경우에, 제어 처리 유닛(130)은 에러 프레임 수(633)가 선정된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에는 기준 Ec/Io를 감소시킨다. 제어 처리 유닛(130)은, 에러 프레임 수(6330)가 선정된 임계값과 같은 경우에는 기준 Ec/Io를 유지한다. 제어 처리 유닛(130)은 에러 프레임 수(633)가 선정된 임계값보다 큰 경우에는 기준 Ec/Io를 증가시킨다.
그후, 기지국 제어 장치(110)는 전용선(11)을 거쳐 송신 전력 보고 정보(630)에 포함된 전계 강도(631) 및 제어 처리 유닛(130)에서 발생된 기준 Ec/Io를 기지국(200-1)의 송신 전력 제어 유닛(250-1)에 제공한다. 송신 전력 제어 유닛(250-1)은 기준 Ec/Io의 값 및 전계 강도(631)에 응답하여 최적의 방법으로 기지국(200-1)의 송신 유닛(220-1) 내의 다운링크 송신 전력을 제어한다. 상술한 동작은 정상적인 상태에 있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전체 송신 전력 제어 동작에 대응한다.
다음에, 지금부터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도 1에 설명된 것으로 인해비정상적인 통신 상태가 발생하는 경우에의 송신 전력 제어 시스템의 동작에 대해 설명할 것이다. 도 7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송신 전력 제어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 순서도에서, 먼저, 기지국(200-1)과 이동국(300) 간에 정상 상태의 통신이 수립된다(단계 C1). 이동국(300)이 크로싱(crossing)을 우측 방향으로 갑자기 돌린 다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무선 채널을 중단할 수 있는 건물의 새도우잉진 부분에 진입하면, 현재의 이동 통신 시스템은 비정상적인 통신 상태가 발생된다(단계 C2). 이동국(300)은 이와 같은 현재의 상태가 순간적인 중단 상태에 대응하는 지의 여부, 즉 일시적인 현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수신된 프레임 신호를 체크하고, 에러 프레임이 12회 연속적으로 카운트되면, 이동국(300)은 이와 같은 통신 상태가 비정상적인 통신 상태라고 판정한다(단계 C3). 비정상적인 통신 상태의 발생을 판정한 이동국(300)은 송신 유닛의 송신 전력을 중지한다(단계 C4). 동시에, 기지국(200-1)은 또한 이와 같은 현재의 상태가 순간적인 중단 상태, 즉 일시적인 현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기 위해 수신된 프레임 신호를 체크하고, 에러 프레임이 12회 연속적으로 수신되면, 이동국(200-1)은 이와 같은 통신이 비정상적인 통신 상태라고 판정한다(단계 C5). 비정상적인 통신 상태의 발생을 판정한 기지국(200-1)은 송신 유닛(220-1)의 송신 전력 제어 동작을 중지하고(단계 C6), 송신 전력을 일정한 레벨로 설정한다.
상술한 일련의 동작들은 TIA/EIA의 IS-95 표준에 정의된 종래의 송신 전력 제어 동작과 동일하다. 이와 같은 제1 실시예의 송신 전력 제어 시스템은 상술한 송신 전력 제어 동작에 이하에 설명하는 프로세스를 부가한 것에 특징이 있다. 즉,다음에, 기지국에서, 기지국이 정상적인 다운링크 송신 전력 제어 동작으로부터 해제되면서 이동국으로부터 응답이 발생할 때까지 다운링크 송신 전력이 일정한 간격으로 증가된다. 또한, 기지국에 의해 발생된 전력 제어 비트가 제어되면서, 이동국의 업링크 송신 전력이 이 기지국에 의해 일정한 간격으로 증가된다.
다시 도 7의 순서도를 참조하면, 송신 전력 제어 시스템의 동작이 연속해서 설명된다. 기지국 제어 장치(100)와 기지국(200-1) 모두는 이동국(300)에게 기지국(200-1)으로부터 송신된 무선파의 수신 상태를 보고하고(단계 C7), 이동국(300)으로부터 보내진 응답 신호를 대기(단계 C8)하도록 요청한다. 다운링크 전력 제어 비트는 이동국의 다운링크 송신 전력을 1 단계(1㏈)씩 증가시킬 수 있는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 다운링크 전력 제어 비트는 이때 기지국에서 이동국으로 송신된 수신 상태 보고 요청 내에 삽입된다.
이동국(300)으로부터 보내진 응답 신호가 반환되지 않는 경우에, 프로세스 동작은 이와 같은 프로세스 동작으로 복귀된다. 즉, 기지국의 다운링크 송신 전력은 1㏈씩 증가되고(단계 C9), 기지국 제어 장치(100) 및 기지국(200-1)은 다시 이동국(300)에게 기지국(200-1)으로부터 송신된 무선파의 수신 상태를 보고하도록 요청한다. 다음에, 이 프로세스 동작은 반복적으로 수행된다. 또한, 기지국의 송신 전력 및 이동국의 송신 전력이 증가될 때 사용되는 상한값은, 전체 시스템의 기직국의 설정 상태, 시스템 용량, 장치의 송신 전력 상한값 등을 고려하여 결정되는 일정한 설계값이 되도록 선택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한편, 이동국(300)으로부터 보내진 응답 신호가 단계(C8)에서 복구되는 경우에, 업링크 무선 신호 및 다운링크 무선 신호 모두가 정상적인 상태하에서 송신되고/수신될 수 있도록 이와 같은 상태가 수립될 수 있다. 결국, 업링크 정상 송신 전력 제어 동작 및 다운링크 정상 송신 전력 제어 동작 모두가 복구되어(단계 C10), 현재의 비정상적인 통신이 정상적으로 통신으로 복귀된다.
도 8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새도우잉 현상으로 인해 비정상적인 통신이 발생하는 경우에 이동국 측에서 실행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에서, 이 순서도의 전반 절반 프로세스 동작은 이전에 설명한 바와 같이, 이동국(300)이 무선 채널을 중단할 수 있는 건물 새도우잉에 진입할 때 이동국이 이와 같은 상태가 일시적인 현상과 같은 순간적인 상태인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프로세스 동작에 대응한다. 이동국(300)은 음성 프레임 합성 유닛(360)을 사용하여 다운링크 프레임 신호(500)를 가중하고 합성한다(단계 A1). 이동국(300)은 다운링크 음성 프레임 신호(500)가 양호한지의 여부를 판정하기 위해 다운링크 음성 프레임 신호(500)에 포함된 음성 데이터 신호 양호/불량 정보(520)를 체크한다(단계 A2).
이 정보의 체크의 결과, 다운링크 음성 프레임 신호(500)가 양호(즉, 에러없음)하면, 체크 카운터가 리셋되고, 다음에 프로세스 동작은 프레임 합성 프로세스 동작로 복귀된다(단계 A3). 이와 반대로, 다운링크 음성 프레임 신호(500)가 양호하지 않으면(즉, 에러가 포함되어 있으면), 체크 카운터가 1씩 카운트된다(단계 A4). 다음에, 체크 카운터의 카운트 값이 체크되고, 이 체크된 카운트 값이 12보다 작으면, 프로세스 동작은 프레임 합성 프로세스 동작으로 복귀된다(단계 A5).한편, 이 체크된 카운트 값이 12보다 크면, 이동국(300)의 송신 전력이 중지된다(단계 A6).
다음에, 이 순서도의 후반 절단 프로세스 부분은 이동국(300)의 동작이 통신 중징 상태에서 통신 재시작 상태가 되는 프로세스 동작에 대응한다. 이동국(300)의 송신 전력이 정지 상태에 유지되는 동안, 다운링크 음성 프레임 신호(500)는 음성 프레임 신호 합성 유닛(360)에 의해 가중되고 합성된다(단계 A7). 이동국(300)은 다운링크 음성 프레임 신호(500)가 다운링크 음성 프레임 신호(500)에 포함된 음성 데이터 신호 양호/불량 정보(520)에 기초하여 양호한지의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A8). 이 정보 체크의 결과, 다운링크 음성 프레임 신호(500)가 양호하지 않으면(즉, 에러가 포함되어 있으면), 체크 카운터가 리셋되고, 다음에 프로세스 동작은 프레임 합성 프로세스 동작로 복귀된다(단계 A9). 이와 반대로, 다운링크 음성 프레임 신호(500)가 양호하면(즉, 에러없음), 체크 카운터가 1만큼 증가된다(단계 A10). 다음에, 체크 카운터의 카운터 값이 체크되고, 이 체크된 카운트 값이 2보다 작으면, 프로세스 동작은 프레임 합성 프로세스 동작으로 복귀된다(단계 A11). 이와 반대로, 이 체크된 카운트 값이 2보다 크면, 이동국(300)의 송신 전력이 재시작되어(단계 A12), 이동국(300)이 통신 상태가 된다. 또한 송신 전력 값은,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전력 제어 비트에 기초하여 발생되는 이와 같은 값에 대응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도 9는 도 1에 설명한 바와 같은 새도우잉로 인해 비정상적인 통신이 발생하는 경우에, 기지국 제어 장치(100)와 기지국 모두의 동작을 나타내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9에서, 순서도의 전반 절반 프로세스 부분은 이전에 설명한 바와 같이, 이동국(300)이 무선 채널을 중단할 수 있는 건물 새도우잉에 진입할 때 기지국 제어 장치 (100) 및 기지국이 이와 같은 상태가 일시적인 현상과 같은 순간적인 상태인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프로세스 동작에 대응한다. 기지국 제어 장치(100)에서, 업링크 음성 프레임 신호(400)가 음성 프레임 신호 선택 유닛(110)에 의해 선택된다(단계 B1). 기지국 제어 장치(100)는 음성 프레임 신호(400)에 포함되어 있는 음성 데이터 신호 품질 정보(420)를 이전에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한다(단계 B2). 이 비교의 결과, 음성 데이터 신호 품질 정보(420)가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체크 카운터가 리셋된 다음에, 프로세스 동작은 프레임 선택 프로레스 동작으로 복귀된다(단계 B3). 한편, 음성 데이터 신호 품질 정보(420)가 기준값보다 작으면, 체크 카운터가 1만큼 증가된다(단계 B4). 다음에, 체크 카운터의 카운트 값이 체크되고, 이 체크된 카운트 값이 12보다 작으면, 프로세스 동작은 프레임 선택 프로세스 동작으로 복귀된다(단계 B5). 한편, 이 체크된 카운트 값이 12이상이면, 기지국(200-1)의 송신 전력이 기지국 제어 장치(100)에 의해 정지된다(단계 B6).
다음에, 이 순서도의 후반 절반 프로세스 부분은, 이동국(200-1)의 동작이 송신 전력 제어 동작 정지 상태에서 송신 전력 제어 동작 재시작 상태가 되는 프로세스 동작에 대응한다. 기지국 제어 장치(100)는 이동국(200-1)을 거쳐 이동국(300)에게 기지국(200-1)으로부터 송신된 무선파의 수신 상태를 보고하고(단계 B7), 이동국(300)으로부터 보내진 응답 신호를 대기하도록 요청한다 (단계 B8). 다운링크 전력 제어 비트는 이동국(300)의 업링크 송신 전력을 1단계씩(1㏈)증가시킬 수 있는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이 다운링크 전력 제어 비트는, 이때 기지국에서 이동국(300)으로 송신되는 수신 상태 보고 요청 내에 삽입된다.
이동국(300)으로부터 보내진 응답 신호가 반환되지 않는 경우에는, 프로세스 동작은 이와 같은 프로세스 동작으로 복귀된다. 즉, 기지국의 다운링크 송신 전력은 기지국 제어 장치(100)에 의해 1㏈ 증가되고(단계 B9), 다음에 기지국 제어 장치(100)는 다시 이동국(300)에 요청하여 기지국(200-1)으로부터 송신된 무선파의 수신 상태를 보고하도록 요청한다. 다음에, 이 프로세스 동작이 반복적으로 수행된다.
한편, 이동국(300)으로부터 보내진 응답 신호가 단계 B8에 복귀되는 경우에, 업링크 무선 신호 및 다운링크 무선 신호 모두가 정상적인 상태 하에 송신/수신될 수 있는 상태가 수립될 수 있다. 결국, 다운링크 정상 송신 전력 제어 동작이 재시작되고(단계 B10), 따라서 이동 통신 시스템이 통신 상태가 되게 된다.
이전에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 따르면, 다운링크 송신 전력은 이동국으로부터 응답이 발생될 때까지 기지국에 의해 일정한 간격으로 1㏈씩 연속적으로 증가되고, 기지국에 의해 발생된 전력 제어 비트가 제어되면서, 이 기지국은 1㏈씩 일정한 간격으로 이동국의 업링크 송신 전력을 연속적으로 증가시킨다.
지금부터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송신 전력 제어 시스템을 설명할 것이다. 도 10은 기지국 제어 장치(100), 기지국(200-1), 기지국(200-2) 및 이동국(300)의 내부 구성을 가리키기 위한 개략 블럭도이다. 도10에서, 제2 실시예의 송신 전력 제어 시스템은 트래픽 측정 유닛(270-1) 및 트래픽 측정 유닛(270-2)이 기지국(200-1) 및 기지국(200-2)에 각각 부가되어 있다는 특징을 갖는다.
기지국(200-1)의 트래픽 측정 유닛(270-1)은 기지국(200-1)의 트래픽 상태를 조사하고, 다음에 조사된 기지국의 트래픽 값을 송신 전력 제어 유닛(250-1) 및 전력 제어 비트 발생 유닛(260-1) 모두에 공급한다. 이 트래픽 측정 유닛(270-1)에 유사하게, 기지국(200-2)의 트래픽 측정 유닛(270-2)은 기지국(200-2)의 트래픽 상태를 조사한 다음에, 조사된 기지국의 트래픽 값을 송신 전력 제어 유닛(250-2) 및 전력 제어 비트 발생 유닛(260-2) 모두에 공급한다.
기지국의 트래픽 양을 가리키는 구체적인 항목의 예로서, 기지국에 설치된 무선 어플라이언스 보드(radio appliance board)의 사용율이 이용된다. 무선 어플라이언스 보드의 사용율이 이용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즉, 이와 같은 수치값은 기지국을 통과하는 호출에 조합하고, 기지국만이 트래픽양을 측정하는 경우에 간단히 얻어질 수 있다. 다음에, 상술한 구성 이외의 다른 구성은 제1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동일한 참조번호가 사용되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지금부터 도 1에 설명한 바와 같이 새도우잉로 인해 비정상적인 통신이 발생하는 경우에 제2 실시예에 따른 송신 전력 제어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할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송신 전력 제어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단계(C1) 내지 단계(C6)에 정의된 프로세스 동작은 도 7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제2 실시예의 단계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이 순서도의 프로세스 동작은 단계(C11)에서부터 설명될 것이다. 이 단계(C11)에서, 기지국(200-1)은 자신의 기지국(200-1)에 설치된 무선 어플라이언스 보드의 사용율을 자신의 기지국의 트래픽 양으로서 조사한다. 다음에, 기지국 제어 장치(100) 및 기지국(200-1)은 이동국(300)에게 기지국(200-1)으로부터 송신된 무선파의 수신 상태를 보고하도록 요청한다. 이 경우에, 기지국(200-1)은, 기지국의 다운링크 송신 전력이 무선 어플라이언스 보드의 사용율에 응답하여 0.5㏈ 및 2㏈ 사이의 범위 내에서 증가되는 값으로 다운링크 전력 제어 비트를 설정한다(단계 C12). 기지국 제어 장치(100) 및 기지국(200-1) 모두는 기지국(300)으로부터 송신된 응답 신호를 대기한다(단계 C13). 응답 신호가 이동국(300)으로부터 반환되지 않은 경우에, 기지국의 다운링크 송신 전력은 무선 어플라이언스 보드의 사용율에 응답하여 0.5㏈ 내지 2㏈로 정의된 범위 내에서 증가된다. 다음에, 프로세스 동작은, 기지국 제어 장치(100) 및 기지국(200-1) 모두가 다시 이동국(300)에게 기지국(200-1)으로부터 송신된 무선파의 수신 상태를 보고하도록 요청하는 프로세스 동작으로 복귀된 다음, 이 프로세스 동작이 반복적으로 수행된다.
그 이유는, 기지국의 무선 어플라이언스 보드의 사용율이 높고 트래픽 양이 클 때, 다른 이동국에 주어진 간섭양에 대해 마진이 존재하지 않고, 이와 같은 정확한 송신 전력 제어 동작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결국, 작은 단계화된 0.5㏈씩 점증하는 단계가 설정된다. 다음에, 기지국의 무선 어플라이언스 보드의 사용율이 낮고 트래픽 양이 작은 경우에는, 다른 이동국에 주어진 간섭양에 대해 마진이 존재하기 때문에, 송신 전력이 다소 높게 될 때에도, 작은 문제가 존재하며 송신 전력의 점증하는 속도가 주요한 인수를 구성할 수 있다. 결국, 2㏈씩의 점증하는 단계가 설정된다.
이와는 반대로, 이동국(300)으로부터 송신된 응답 신호가 단계(C13)에서 반환된 경우에는, 업링크 무선 신호와 다운링크 무선 신호 모두가 정상 상태하에서 송신/수신될 수 있고, 또한 업링크/다운링크 정상 송신 전력 제어 동작이 복구되어(단계 C10), 비정상적인 통신이 정상적인 통신으로 복귀된다.
도 12는 도 11에서 단계 C12 및 단계 C14에서 설명한 송신 전력 제어의 설정 단계값 및 무선 어플라이언스 보드의 사용율 간의 관계를 나타내기 위한 순서도의 예이다. 도 12에서, 기지국의 무선 어플라이언스 보드의 사용율이 25%이하인 경우에(단계 D1), 송신 전력 제어 단계값은 2㏈가 되도록 선택된다(단계 D2). 이 송신 전력 제어 단계값은 기지국의 송신 전력 제어 유닛 및 전력 제어 비트 발생 유닛 모두로 설정된다. 또한, 기지국의 무선 어플라이언스 보드의 사용율이 75%이상인 경우에는(단계 D3), 송신 전력 제어 단계값은 0.5㏈로 설정된다(단계 D4). 이 송신 전력 제어 단계값은 기지국의 송신 전력 제어 유닛 및 전력 제어 비트 발생 유닛 모두로 설정된다. 또한, 기지국의 무선 어플라이언스 보드의 사용율이 25%를 초과하고 75%이하인 경우에는, 송신 전력 제어 단계값은 1㏈로 설정된다(단계 D5). 이 송신 전력 제어 단계값은 기지국의 송신 전력 제어 유닛 및 전력 제어 비트 발생 유닛 모두로 설정된다. 상술한 설정 설명은 무선 어플라이언스 보드의 구체적인 사용율과 송신 전력 제어의 설정된 구체적인 단계값 간의 관계를 가리킨다.
이전에 설명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의 송신 전력 제어 시스템에 따르면, 다운링크 송신 전력은 기지국의 트래픽 양에 응답하여 0.5㏈와 2㏈ 간의 범위 내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증가된다. 또한, 기지국에 의해 발생된 전력 제어 비트가 제어되는 동안, 이동국의 업링크 송신 전력은 기지국의 트래픽 양에 응답하여 0.5㏈와 2㏈ 간의 범위 내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증가된다.
상기 설명으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송신 전력 제어 시스템에 따르면, 정상 상태 하의 기지국과 통신하는 이동국이 빌딩과 같은 건물로 인해 무선파 중단(즉, 새도우잉 현상)이 발생하는 장소로 이동되고, 이때 무선 채널 모두가 업링크 방향 및 다운링크 방향 모두를 따라 중단된 경우에, 기지국은 정상적인 다운링크 송신 전력 제어 동작을 해제하면서 일정한 간격으로 다운링크 송신 전력을 1㏈씩 연속적으로 증가시킨다. 또한, 기지국은 기지국에서 발생된 전력 제어 비트를 제어하여, 이동국의 업링크 송신 전력을 일정한 간격으로 1㏈씩 연속적으로 증가시킨다. 결국, 기지국과 이동국간에 수립된 통신이 복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송신 전력 제어 시스템에 따르면, 정상 상태 하의 기지국과 통신하는 이동국이 빌딩과 같은 건물로 인해 무선파 중단(즉, 새도우잉 현상)이 발생하는 장소로 이동되고, 이때 무선 채널 모두가 업링크 방향 및 다운링크 방향 모두를 따라 중단된 경우에, 기지국은 정상적인 다운링크 송신 전력 제어 동작을 해제하면서 이동국으로부터 응답 신호가 보내질 때까지, 기지국의 트래픽 양에 응답하여 정한 간격으로 다운링크 송신 전력을 0.5㏈ 및 2㏈ 간의 범위내에서 증가시킨다. 또한, 기지국은 기지국에서 발생된 전력 제어 비트를 제어하여, 기지국의 트래픽 양에 응답하여 0.5㏈ 및 2㏈ 간의 범위내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이동국의 업링크 송신 전력을 증가시킨다. 결국, 다른 이동국에 미치는 간섭을 억제하면서 기지국과 이동국간에 수립된 통신이 신속히 복구될 수 있다.

Claims (5)

  1. 이동국, 복수의 기지국 및 기지국 제어 장치로 구성된 CDMA (코드분할 다중 액세스)형 이동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과 정상 상태로 통신하는 상기 이동국이 건물에 의해 유발되는 무선파 중단이 발생하는 장소로 이동되어 무선 채널이 중단되는 경우에, 상기 기지국이 상기 이동국에 대해 수신 상태의 보고 요청을 송신하면서 상기 이동국으로부터 응답이 발생될 때까지 상기 기지국의 다운링크 송신 전력을 일정한 간격으로 증가시키기 위한 수단; 및
    보고 요청 내에 조합된 전력 제어 비트를 제어함으로써 일정 간격으로 상기 이동국의 업링크 송신 전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수단
    을 구비하는 CDMA형 이동 통신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한 간격으로의, 상기 기지국의 다운링크 송신 전력 및 상기 이동국의 업링크 송신 전력 모두의 증가값의 각각은 1㏈이도록 선택되는 CDMA형 이동 통신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트래픽 측정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일정 간격으로의, 상기 기지국의 다운링크 송신 전력 및 상기 이동국의 업링크 송신 전력 모두의 각각의 증가값은 상기 트래픽 측정 수단에 의해 측정된트래픽 양에 응답해서 0.5㏈ 및 2㏈ 사이에 한정된 범위 내로 설정되는 CDMA형 이동 통신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간격으로의, 상기 기지국의 다운링크 송신 전력 및 상기 이동국의 업링크 송신 전력 모두의 각각의 증가값은 상기 기지국의 무선 어플라이언스 보드(radio appliance board)의 사용율에 응답해서 0.5㏈ 및 2㏈ 사이에 한정된 범위 내로 설정되는 CDMA형 이동 통신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의 무선 어플라이언스 보드의 사용율이 25%이하이면, 상기 증가값은 2㏈로 설정되고,
    상기 기지국의 무선 어플라이언스 보드의 사용율이 75%이상이면, 상기 증가값은 0.5㏈로 설정되고,
    상기 기지국의 무선 어플라이언스 보드의 사용율이 25%를 초과하고 75%이하이면, 상기 증가값은 1㏈로 설정되는 CDMA형 이동 통신 시스템.
KR10-2000-0078945A 1999-12-21 2000-12-20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송신 전력 제어 시스템 KR1003917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9-362851 1999-12-21
JP36285199A JP3398700B2 (ja) 1999-12-21 1999-12-21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送信電力制御方式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7471A true KR20010067471A (ko) 2001-07-12
KR100391733B1 KR100391733B1 (ko) 2003-07-16

Family

ID=18477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8945A KR100391733B1 (ko) 1999-12-21 2000-12-20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송신 전력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917599B2 (ko)
EP (1) EP1111810B1 (ko)
JP (1) JP3398700B2 (ko)
KR (1) KR100391733B1 (ko)
CN (1) CN1312855C (ko)
BR (1) BR0006538A (ko)
DE (1) DE60040381D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5083B1 (ko) * 2008-06-03 2010-06-23 주식회사 케이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실패 방지를 위한 하향링크전력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0969732B1 (ko) * 2003-12-24 2010-07-13 엘지노텔 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업링크가 아웃-오브-씽크 상태에있을 때의 다운링크 전력 제어 방법
KR100984988B1 (ko) * 2001-11-09 2010-10-04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레이크 수신기에서의 핑거에 대한 아웃-오브-록 상태동안의 송신 전력 제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481751C (zh) 2001-07-24 2009-04-22 株式会社Ntt都科摩 移动通信系统发送功率控制装置与方法以及移动台与通信装置
KR100915275B1 (ko) 2001-11-05 2009-09-03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무선 통신 시스템 및 그 통신 제어 방법 및 무선 통신기
TWI333755B (en) * 2002-11-15 2010-11-21 Interdigital Tech Corp Wireless transmit/receive units having multiple receivers and methods
EP1511189B1 (en) * 2002-11-26 2017-09-06 Wi-Fi One, LLC Communication method, transmitter apparatus and receiver apparatus
JP2004266585A (ja) 2003-03-03 2004-09-24 Hitachi Ltd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その送信電力並びにデータレート制御方法
DE602004005327T2 (de) * 2003-05-13 2007-11-22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Funkkommunikationssystem
CN100586044C (zh) * 2004-03-01 2010-01-27 日本电气株式会社 无线电基站设备和传输功率控制方法
US8488459B2 (en) * 2005-03-04 2013-07-16 Qualcomm Incorporated Power control and quality of service (QoS) implementa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CN1885733B (zh) * 2005-06-23 2010-05-05 上海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专用信道的功率控制方法
ATE393551T1 (de) * 2006-01-06 2008-05-15 Cheng-Hao Chien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identifizieren von abschattungserscheinungen bei drahtloser kommunikation
CN105072677A (zh) * 2006-04-27 2015-11-18 艾利森电话股份有限公司 使用比特率和未完成的用户业务进行功率控制
US20080056206A1 (en) * 2006-08-31 2008-03-06 Motorola, Inc. Power savings method and apparatus in a communication system
KR100998189B1 (ko) 2007-02-12 2010-12-03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이종망간 핸드오버를 위한장치 및 방법
US8917636B2 (en) * 2011-06-30 2014-12-23 Intel Mobile Communications GmbH Transmitter circuit and method
US8532691B2 (en) * 2011-08-03 2013-09-10 Intel Mobile Communications GmbH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a transmit power in a radio communications system
US9609598B2 (en) * 2014-07-31 2017-03-28 Qualcomm Incorporated Power control performance for user equipment
EP3997957A1 (en) * 2019-07-08 2022-05-18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Radio resource management to enhance reliability in mobility scenarios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75233A (ja) 1995-04-03 1996-10-18 Nec Corp 受信電界劣化時の通話の復旧方法
WO1996042146A1 (fr) * 1995-06-13 1996-12-27 Ntt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Inc. Demodulateur amdc
FI106666B (fi) * 1997-01-24 2001-03-15 Nokia Networks Oy Tehonsäätömenetelmä epäjatkuvaan lähetykseen
JP3393365B2 (ja) 1997-10-08 2003-04-07 沖電気工業株式会社 送信電力制御方法
US6389296B1 (en) 1997-10-08 2002-05-14 Oki Electric Industry Co., Ltd. Transmission power control method
JPH11154905A (ja) 1997-11-21 1999-06-08 Nec Shizuoka Ltd Phs基地局とその送信出力制御方法および移動通信システム
JP2962509B1 (ja) 1998-02-12 1999-10-12 株式会社ワイ・アール・ピー移動通信基盤技術研究所 移動体通信システム、基地局装置、移動局装置および送信電力制御方法
DE69930239D1 (de) 1998-03-26 2006-05-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Gerät und Verfahren zur Leistungskontrolle Orthogonaler Kanäle und Quasi-Orthogonaler Kanäle in einem CDMA Kommunikationssystem
WO1999056405A1 (en) 1998-04-25 1999-11-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wer level arbitration between base station and mobile st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6311070B1 (en) * 1999-03-22 2001-10-30 Nortel Networks Limited Variable step size for power control bits to protect against power overshoot
US6529741B1 (en) * 1999-04-16 2003-03-04 Nortel Networks Ltd. Multi-bit power control and power control command sub-channel design
US6590874B1 (en) * 1999-09-30 2003-07-08 Nortel Networks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implementing outer loop power control in discontinuous transmission mode using explicit signalling
US6944460B2 (en) * 2001-06-07 2005-09-13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System and method for link adaptation in communication system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4988B1 (ko) * 2001-11-09 2010-10-04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레이크 수신기에서의 핑거에 대한 아웃-오브-록 상태동안의 송신 전력 제어
KR100969732B1 (ko) * 2003-12-24 2010-07-13 엘지노텔 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업링크가 아웃-오브-씽크 상태에있을 때의 다운링크 전력 제어 방법
KR100965083B1 (ko) * 2008-06-03 2010-06-23 주식회사 케이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실패 방지를 위한 하향링크전력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111810B1 (en) 2008-10-01
KR100391733B1 (ko) 2003-07-16
EP1111810A3 (en) 2003-06-18
CN1312855C (zh) 2007-04-25
US6917599B2 (en) 2005-07-12
CN1301092A (zh) 2001-06-27
JP2001177471A (ja) 2001-06-29
DE60040381D1 (de) 2008-11-13
EP1111810A2 (en) 2001-06-27
BR0006538A (pt) 2001-07-24
JP3398700B2 (ja) 2003-04-21
US20010004374A1 (en) 2001-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91733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송신 전력 제어 시스템
US6085108A (en) Modified downlink power control during macrodiversity
EP1330930B1 (en) Temporary service interruption for high speed data transfer
EP0797318B1 (en) Power control in a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AU68764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dding and removing a base station from a cellular communications system
US626925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ransmit power thresholds based on classification of wireless communication subscribers
KR100371281B1 (ko) Cdma 이동 통신 시스템 및 그 송신 전력 제어 방법
JP4185152B2 (ja) マクロダイバーシチ中の改良されたダウンリンクパワー制御
EP1246372B1 (en) Enhancement of transmit power control in CDMA based mobile communications systems
KR20010013447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전송 전력 제어 방법
CN1744456B (zh) 使用功率控制算法改进移动无线通信系统性能的方法
US7236467B2 (en) CDMA communication system with pilot power control unit
EP1298816B1 (en) Transmission power control method and mobile station
KR100358434B1 (ko) 아이에스-2000 씨디엠에이 이동통신 시스템의 역방향외부루프 전력제어방법
KR20020034047A (ko) 아이에스-2000 코드 분할 다중 접속 방식을 적용한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역방향 전력제어방법
KR100494279B1 (ko) 매크로다이버시티 동안에 수정되는 다운링크 전력 제어
MXPA99011142A (en) Modified downlink power control during macrodiversity
MXPA99010987A (en) Transmit power control in a radio communic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2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