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4988B1 - 레이크 수신기에서의 핑거에 대한 아웃-오브-록 상태동안의 송신 전력 제어 - Google Patents

레이크 수신기에서의 핑거에 대한 아웃-오브-록 상태동안의 송신 전력 제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4988B1
KR100984988B1 KR1020047007034A KR20047007034A KR100984988B1 KR 100984988 B1 KR100984988 B1 KR 100984988B1 KR 1020047007034 A KR1020047007034 A KR 1020047007034A KR 20047007034 A KR20047007034 A KR 20047007034A KR 100984988 B1 KR100984988 B1 KR 1009849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
transmit power
transmitter
power level
rake rece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70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56928A (ko
Inventor
센도나리스앤드류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500569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69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49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49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user profile, e.g. mobile speed, priority or network state, e.g. standby, idle or non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707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direct sequence modulation
    • H04B1/7097Interference-related aspects
    • H04B1/711Interference-related aspects the interference being multi-path interference
    • H04B1/7115Constructive combining of multi-path signals, i.e. RAKE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무선 레이크 수신기의 모든 핑거가 "아웃-오브-록"일 경우, 송신 전력을 초기에 일정한 레벨로 유지한다. "아웃-오브-록" 상태가 연장된 시간 주기 동안 지속될 경우, 그 경우가 존재할 수 있을 때, 가입자 유닛 또는 기지국으로 록을 회복하기 위하여 송신 전력을 증가한다. 송신 전력의 증가는, 아웃-오브-록 상태가 고속 페이딩 보다는 저속 페이딩으로 기인할 경우에 록을 회복하는데 더 효율적일 수 있다. 저속 페이딩은 연장된 시간 주기 동안 아웃-오브-록 상태의 지속에 의해 증명된다. 아웃-오브-록 상태의 길이는 송신 전력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데 이용됨으로써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킨다. 핑거들이 연장된 시간 주기 동안 아웃-오브-록 상태를 유지할 경우에만 송신 전력을 증가함으로써, 서로 다른 가입자 유닛들 간의 간섭을 발생시킬 수 있는 송신 전력의 과도한 증가를 방지한다.

Description

레이크 수신기에서의 핑거에 대한 아웃-오브-록 상태 동안의 송신 전력 제어{TRANSMIT POWER CONTROL DURING CONDITION OF OUT-OF-LOCK FOR FINGERS IN A RAKE RECEIVER}
기술분야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에 관한 것으로, 좀더 자세하게는, 확산 스펙트럼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송신 전력의 제어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무선 통신용으로 광범위하게 이용되는 기술은 코드분할 다중접속 (CDMA) 신호 변조이다. CDMA 시스템은 (1) "TIA/EIA-95-B Mobile Station-Base Station Compatibility Standard for Dual-Mode Wideband Spread Spectrum Cellular System" (IS-95 표준), (2) "TIA/EIA-98-C Recommended Minimum Standard for Dual-Mode Wideband spread Spectrum Cellular Mobile Station" (IS-98 표준), (3)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로 명명된 컨소시엄에 의해 제안되었으며 문서번호 3G TS 25.211, 3G TS 25.212, 3G TS 25.213, 및 3G TS 25.214 를 포함하여 일련의 문서들에 수록되어 있는 표준 (W-CDMA 표준), (4)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2" (3GPP2) 로 명명된 컨소시엄에 의해 제안되었으며 "TR-45.5 Physical Layer Standard for cdma2000 Spread Spectrum Systems", "C.S0005-A Upper Layer (Layer 3) Signaling Standard for cdma2000 Spread Spectrum Systems", 및 "C.S0024 CDMA2000 High Rate Packet Data Air Interface Specification" 을 포함하여 일련의 문서들에 수록되어 있는 표준 (cdma2000 표준), 및 (5) 기타 표준들과 같은 하나 이상의 CDMA 표준을 지원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CDMA 시스템에서, 다중의 통신물들은 확산 스펙트럼 무선 주파수 (RF) 신호를 통하여 기지국과 이동국 사이에서 동시에 송신된다. CDMA 및 다른 확산 스펙트럼 시스템에서, 시스템 용량의 극대화 및 서비스 품질의 유지가 가장 중요한 관심사이다. 확산 스펙트럼 시스템에서의 시스템 용량은 그 시스템에서의 가입자 유닛 및 기지국 각각의 송신 전력을 신중히 제어함으로써 극대화시킬 수 있다.
만약 가입자 유닛에 의해 송신된 신호가 매우 낮은 전력 레벨로 기지국에 도달하면, 그 가입자 유닛과의 효과적인 통신을 허용하기에는 비트 에러 레이트가 너무 높아서 서비스 품질을 저하시킬 수도 있다. 한편, 너무 높은 전력 레벨을 갖는 신호는 그 시스템에서의 기지국과 다른 가입자 유닛과의 통신을 간섭하여 시스템 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시스템 용량 및 서비스 품질을 유지하기 위하여, 기지국 및 가입자 유닛에 의해 송신되는 신호의 송신 전력 레벨을 최적화하는 것이 요구된다.
통상적으로, 가입자 유닛과 기지국은 시스템에 송신된 신호의 송신 전력을 제어 및 최적화하기 위하여 서로 통신한다. 예를 들어, 가입자 유닛에서의 송신 전력 레벨을 제어하기 위하여, 기지국은 가입자 유닛으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전력을 추정하고, 전력 제어 비트와 같은 명령을 다운링크에서의 제어 채널을 통하여 가입자 유닛으로 송신한다. 종종, 다운링크를 "순방향 링크" 라고도 한다. 이와 유사하게, 기지국에서의 송신 전력 레벨을 제어하기 위하여, 가입자 유닛은 기지국에서의 송신 전력 레벨을 추정하고, 전력 제어 비트를 업링크에서의 제어 채널을 통하여 기지국으로 송신한다. 종종, 업링크를 "역방향 링크" 라고도 한다. 이 경우, 제어 채널은 파일럿 채널과 일치할 수도 있다. 기지국은 가입자 유닛으로부터 송신된 전력 제어 비트에 기초하여 송신 전력을 조정한다. 이와 유사하게, 가입자 유닛은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전력 제어 비트에 기초하여 송신 전력을 조정한다.
요약
본 발명은, 확산 스펙트럼 무선 통신 디바이스와 관련된 레이크 수신기의 모든 복조 엘리먼트들, 또는 "핑거 (fingers)" 가 "아웃-오브-록 (out-of-lock)" 일 경우에 그 확산 스펙트럼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서의 송신 전력 제어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특정한 가입자 유닛 신호를 추적하기 위해 할당된 모든 핑거가 아웃-오브-록일 경우에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신호의 전력을 제어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다. 이와 유사하게, 본 발명은, 특정한 기지국 신호를 추적하기 위하여 할당된 모든 핑거가 아웃-오브-록일 경우에 수신기 유닛에 의해 송신된 신호의 전력을 제어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WCDMA 통신 시스템에 특히 유용하지만, 다양한 시스템으로 광범위하게 적용될 수도 있다.
레이크 수신기의 핑거는 다중경로 환경에서의 확산 스펙트럼 신호의 다중의 수신 경로를 추적하는데 이용된다. "아웃-오브-록" 상태는, 레이크 수신기에서 의 핑거 출력이 소정의 신호 세기 이하로 저하될 때에 발생한다. 모든 핑거가 아웃-오브-록일 경우, 기지국 또는 가입자 유닛은 다른 디바이스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할 수 없다. 따라서, 전력 제어 기술은, 그 전력 제어 비트가 수신 디바이스에서의 송신 전력을 조정할 수 없기 때문에, 비효율적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다른 디바이스로부터의 특정한 신호를 추적하기 위해 할당된 모든 핑거가 아웃-오브-록일 경우, 디바이스의 송신기에 변경된 전력 제어 루틴 (routine) 을 적용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시스템에서의 더 효율적인 전력 제어를 달성할 수도 있다.
아웃-오브-록 상태는 고속 페이딩 (fast fading) 또는 저속 페이딩에 의해 야기될 수도 있다. 고속 페이딩은 다중경로 신호들의 순간적인 콘스텔레이션 (constellation) 으로부터 발생할 수도 있다. 저속 페이딩은 업링크 및 다운링크 모두에 영향을 주는 큰 장애물 또는 장애물들의 밀집한 어레이로부터 발생할 수도 있다. 통상적으로, 업링크 및 다운링크는 서로 다른 주파수를 점유한다. 따라서, 업링크에 고속 페이딩이 존재할 경우, 일반적으로, 다운링크는 "페이딩" 디바이스로의 전력 제어 비트의 송신을 허용하도록 동작가능하다. 종종, 페이딩 디바이스가 다운링크에서의 전력 제어 비트에 응답하여 자신의 송신 전력을 조정할 경우에 록 (lock) 이 회복될 수 있다. 따라서, 고속 페이딩의 경우, 페이딩 디바이스는 제어 채널을 계속 수신하며 페이딩 상태를 극복하기 위하여 전력 제어 비트에 응답할 수 있다고 가정한다.
그러나, 아웃-오브-록 상태가 저속 페이딩에 기인할 경우에는, 업링크 및 다운링크 모두를 동작 가능하지 않을 수도 있다. 즉, 페이딩 디바이스는 다른 디바이스로부터 제어 채널을 수신할 수도 없으며, 페이딩 상태를 극복하기 위하여 송신 전력 조정용 송신 제어 비트에 의존할 수도 없다. 그 경우에, 만약 아웃-오브-록 상태가 기지국에 의해 검출되었으면, 가입자 유닛에서의 전력 제어를 발생시키도록 다운링크를 통해 제어 채널을 송신하기 위하여 기지국의 송신 전력을 증대시킴으로써, 록을 회복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아웃-오브-록 상태가 가입자 유닛에서 검출될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본 발명은 고속 페이딩 상태 또는 저속 페이딩 상태와 같은 아웃-오브-록 상태를 분류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아웃-오브-록 상태가 고속 페이딩 상태로 분류될 경우, 본 발명은 아웃-오브-록 상태를 경험한 디바이스에서의 송신 전력을 유지한다. 그러나, 아웃-오브-록 상태가 저속 페이딩 상태로 분류될 경우, 본 발명은 아웃-오브-록 상태를 경험한 디바이스에서의 송신 전력을 증가시킨다.
본 발명은, 아웃-오브-록 상태의 지속기간에 기초하여 아웃-오브-록 상태를 고속 페이딩 상태 또는 저속 페이딩 상태 중 어느 하나로 분류한다. 모든 핑거들이 기지국에서 아웃-오브-록일 경우, 예를 들어, 기지국은 초기에 고속 페이딩 상태이고 자신의 송신 전력을 실질적으로 일정한 레벨로 유지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그러나, 모든 핑거들이 연장된 시간 주기 동안 아웃-오브-록을 유지할 경우, 기지국은 저속 페이딩 상태이고 가입자 유닛에 의해 송신된 신호로 록을 재-획득하기 위하여 자신의 송신 전력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가정한다.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아웃-오브-록 상태의 분류를 용이하게 하도록 타이머를 구현할 수도 있다.
아웃-오브-록 상태를 검출하는 디바이스에서 송신 전력이 증가함에 따라, 페이딩 디바이스가 제어 채널에서의 전력 제어 비트를 수신하여 자신의 송신 전력을 증가시킬 더 양호한 기회가 존재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본 발명은 아웃-오브-록 상태의 연장을 방지하게 함으로써,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핑거들이 연장된 시간 주기 동안 아웃-오브-록 상태를 유지할 경우에만 송신 전력이 증가하지만, 가입자 유닛들간의 간섭을 발생시킬 수 있는 송신 전력의 과도한 증가를 방지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은 무선 레이크 수신기에서의 모든 복조 핑거들이 아웃-오브-록일 때를 검출하는 단계, 및 그 복조 핑거들이 소정의 시간 주기 이상 동안 아웃-오브-록을 유지할 때에 무선 송신기의 송신 전력 레벨을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은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복조 핑거를 갖는 레이크 수신기,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기, 및 레이크 수신기에서의 모든 복조 핑거들이 아웃-오브-록일 때를 검출하는 검출기를 구비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복조 핑거들이 소정의 시간 주기 이상 동안 아웃-오브-록 상태를 유지할 경우에 송신 전력 레벨을 증가시키는 제어기를 구비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은 무선 레이크 수신기에서의 모든 복조 핑거들이 아웃-오브-록일 때를 검출하는 단계, 및 아웃-오브-록 검출을 수신 신호에서의 고속 페이딩 상태 또는 저속 페이딩 상태에 기인한 것으로 분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아웃-오브-록 검출이 저속 페이딩 상태로서 분류될 경우에 송신기의 송신 전력 레벨을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은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복조 핑거들을 갖는 레이크 수신기,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기, 및 그 레이크 수신기에서의 모든 복조 핑거들이 아웃-오브-록일 때를 검출하는 검출기를 구비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제어기는 아웃-오브-록 검출을 수신 신호에서의 고속 페이딩 상태 또는 저속 페이딩 상태에 기인한 것으로 분류한다. 아웃-오브-록 검출이 저속 페이딩 상태로서 분류될 경우, 제어기는 송신기의 송신 전력 레벨을 증가시킨다.
본 발명은 다수의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송신 전력을 증가하여, 저속 페이딩 상태의 경우에 다른 통신 디바이스로 록을 더 신속하게 재-획득하게 원조함으로써 이동 가입자에 대한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키는데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과도한 간섭을 생성하여 시스템 용량에 악영향을 미칠 수도 있는 무분별한 증가를 방지하기 위하여 송신 전력을 선택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특히, 아웃-오브-록 상태가 저속 페이딩의 결과인 것으로 나타날 때에만 송신 전력을 증가함으로써, 본 발명은 서비스 품질과 시스템 용량 양자 모두에 관해 더 효율적으로 밸런스를 유지시킨다. 따라서, 송신 전력의 개선된 관리에 의해, 본 발명은 드롭된 사용자들의 수를 감소시키고 전체 시스템 용량을 증가시키는데 효율적일 수도 있다.
이들 실시형태 및 다른 실시형태들의 추가적인 세부사항은 첨부 도면 및 상세한 설명에 설명되어 있다. 다른 특징, 목적 및 이점은 상세한 설명과 도면 및 청구의 범위로부터 명백히 알 수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 은 무선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 는 무선 기지국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 은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일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 는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일 프로세스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 는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일 프로세스를 나타낸 또 다른 흐름도이다.
상세한 설명
도 1 은 확산 스펙트럼 무선 통신 시스템 (10) 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시스템 (10) 은 WCDMA 표준을 포함하여, 하나 이상의 CDMA 표준을 지원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 (10) 은 하나 이상의 경로를 통하여 이동 가입자 유닛 (16) 으로 신호 (14) 를 송신하고 그 이동 가입자 유닛 (16) 으로부터 신호 (14) 를 수신하는 기지국 (12) 을 구비할 수도 있다. 가입자 유닛 (16) 은 셀룰러 무선 전화기, 위성 무선 전화기, 휴대용 컴퓨터 내에 포함된 PCMCIA 카드, 무선 통신 능력을 갖춘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의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 기지국 (12) 은 그 기지국과 공중 스위치 전화기 네트워크 (PSTN) 간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기지국 제어기 (미도시) 를 구비할 수도 있다.
기지국 (12) 은 제 1 경로를 통하여 가입자 유닛 (16) 으로부터의 수신 신호 (14A) 를 수신할 수도 있고, 장애물 (18) 로부터의 신호 (14C) 의 반사에 의해 야기되는 제 2 경로를 통하여 신호 (14B) 를 수신할 수도 있다. 장애물 (18) 은 빌딩, 교량, 차량, 또는 심지어 사람과 같이 가입자 유닛 (16) 근방의 어떤 구조물일 수도 있다. 신호 (14) 는 다중의 수신 신호들이 동일한 정보를 반송하지만 서로 다른 진폭, 위상 및 시간 지연을 가질 수도 있는 다중경로 환경을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신호 (14A, 14B, 및 14C) 는 서로 다른 경로를 따라 기지국 (12) 또는 가입자 유닛 (16) 으로 전파되는 동일한 신호의 인스턴스 (instances) 이다.
기지국 (12) 및 가입자 유닛 (16) 은 피드백 기술을 이용하여 신호 (14) 의 송신 전력 레벨을 제어한다. 가입자 유닛 (16) 의 송신 전력 레벨을 제어하기 위하여, 기지국 (12) 은 가입자 유닛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전력을 추정하고, 예를 들어, 전력 제어 비트의 패턴과 같은 명령을 다운링크에서의 제어 채널을 통하여 가입자 유닛으로 송신한다. 여기서, 전력 제어 비트의 이용은 예시용으로 설명된다. 전력 제어 비트를 수신할 때, 가입자 유닛 (16) 은, 기지국 (10) 에 의해 신호 (14) 가 최적의 전력 레벨로 수신되도록, 자신의 송신 전력을 조정한다. 이와 유사하게, 기지국 (12) 의 송신 전력 레벨을 제어하기 위하여, 가입자 유닛 (16) 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전력을 추정하고, 전력 제어 비트를 업링크에서의 제어 채널을 통하여 기지국으로 송신한다. 그 후, 기지국 (12) 은 업링크를 통하여 송신된 전력 제어 비트에 따라서 자신의 송신 전력을 조정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지국 (12), 가입자 유닛 (16), 또는 기지국 (12) 및 가입자 유닛 (16) 모두는, "아웃-오브-록" 상태가 수신 신호 (14) 의 모든 경로들 사이에 존재할 경우에 변경된 전력 제어 기술을 적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후술되는 바와 같이, 기지국 (12) 및 가입자 유닛 (16) 각각은 신호 (14) 의 다중경로를 추적하기 위하여 복조 엘리먼트, 또는 "핑거" 를 할당하는 레이크 수신기를 포함한다. "아웃-오브-록" 상태는, 레이크 수신기에서의 핑거 출력이 소정의 신호 세기 이하로 저하될 경우에 발생한다. 모든 핑거들이 아웃-오브-록이면, 즉, 모든 핑거 출력이 소정의 신호 세기 보다 작을 경우, 기지국 (12) 또는 가입자 유닛 (16) 은 록을 회복하기 위하여 변경된 전력 제어 루틴을 적용한다.
도 2 는 무선 기지국 (12) 을 더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이다. 비록 기지국 (12) 이 예시용으로 설명되지만, 도 2 에 도시되어 있는 구조는 가입자 유닛 (16) 에 용이하게 적용가능하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 (12) 은 무선 주파수 안테나 (22), 복조기 (24), 탐색 모듈 (26), 및 제어기 (28) 를 통하여 무선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는 무선 주파수 송신기/수신기 (20) 를 구비한다. 복조기 (24), 탐색 모듈 (26) 및 제어기 (28) 의 기능은 하나 이상의 DSP (digital signal processors), 별도의 하드웨어 회로, 펌웨어, FPG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DSP 와 같은 프로그래머블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하는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구현할 수도 있다.
안테나 (22) 는 가입자 유닛 (16) 으로부터 송신되는 CDMA 변조 신호와 같은 입력 신호를 수신한다. 송신기/수신기 (20) 은 수신 신호를 프로세싱하여 기저대역 샘플을 출력하는 회로를 포함한다. 송신기/수신기 (20) 은 저-잡음 증폭기 (LNA), RF 믹서 및 아날로그-디지털 (A/D) 변환기 (도 2 에는 도시하지 않음) 를 이용하여 수신 신호를 프로세싱하여, 대응하는 수신 신호의 디지털 값 (예를 들 어, 디지털 기저대역 신호 (29)) 을 생성할 수도 있다.
도 2 에 도시되어 있는 기지국 (12) 의 컴포넌트들 (components) 은 레이크 수신기로서 동작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입력된 확산 스펙트럼 신호를 적절히 복조하기 위하여, 기지국 (12) 은 다양한 수신 경로의 존재, 시간 오프셋, 및 신호 세기를 결정하기 위해 입력된 확산 스펙트럼 신호를 시간 도메인에서 연속적으로 스캔 (scan) 하는 탐색 모듈 (26) 을 이용한다. 탐색 모듈 (26) 은 탐색 결과로서 경로 정보를 제어기 (28) 에 기록 및 보고한다. 수신 신호를 복원시키는 시간 오프셋 동안에는, 수신 경로를 나타내는 국부적인 최대 에너지 피크가 나타나지만, 통상적으로, 다른 시간 오프셋은 매우 작은 신호 에너지를 발생시키거나 신호 에너지를 발생시키지 않는다. 다중경로 환경에서, 신호 반사 또는 에코 (echoes) 는 다중의 에너지 피크를 발생시킬 수도 있다.
제어기 (28) 는 복조기 (24) 내의 핑거를 할당하는데, 탐색 모듈 (26) 에 의해 생성된 탐색 결과를 이용한다. 핑거는 하나 이상의 신호 경로를 추적 및 복조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기지국 (12) 은 다중의 신호 경로 (14) 를 추적하고, 전체 신호를 생성하기 위하여 그들을 결합 (combine) 할 수 있다. 신뢰성을 위하여, 복조기 (24) 에서의 핑거의 신호 세기 출력은 소정의 신호 세기 임계값 보다 커야 한다. 만약 신호 세기 임계값을 만족하지 않으면, 그 핑거는 "아웃-오브-록" 으로 판정된다. 할당된 어떠한 핑거들도 신호 세기 임계값을 만족하지 못할 경우, 전체 복조기 (24) 는 특정한 가입자 유닛 (16) 으로부터 추적하고 있는 신호에 의해 아웃-오브-록된다. 이 경우, 기지국 (12) 은 가입자 유닛 (16) 으로부터 업링크를 획득할 수 없으며, 통상의 전력 제어가 불가능하다.
도 3 은 기지국 (12) 또는 가입자 유닛 (16) 내에서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일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조기 (24) 는 디지털 기저대역 신호 (32) 를 수신 및 복조하기 위하여 N 개의 핑거 (30A - 30N; 핑거 (30) 으로 총칭함) 를 할당할 수도 있다. 탐색 모듈 (26; 도 2) 로부터의 탐색 결과에 기초하여 제어기 (28) 로부터 수신된 타이밍 정보에 응답하여, 핑거 (30) 는 디지털 기저대역 신호 (32) 를 프로세싱하여 소프트 데이터 비트 (34A - 34N; 소프트 데이터 비트 (34) 로 총칭함) 를 생성한다. 심볼 결합기 (36) 는 소프트 데이터 비트 (34) 를 수신 및 결합하여 심볼 정보로의 디코딩을 위한 집합 데이터를 생성한다.
CDMA 시스템에서, 각각의 핑거 (30) 는 제어기 (28) 에 의해 제공되는 시간 오프셋에 따라 PN 시퀀스를 생성하는 시퀀스 생성기 및 역확산기를 구비할 수도 있다. 따라서, 다양한 핑거 (30) 에 의해 사용되는 PN 시퀀스들은 각각의 핑거 (30) 에 의해 추적되는 송신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는 것과 동일할 수도 있다. 또한, 각각의 핑거 (30) 는, 필터, 스케일링 (scaling) 및 위상 회전 회로, 디지털 믹서 및 월시 시퀀스 생성기를 포함하여, 할당된 경로를 추적 및 복조하는데 이용하기 위한 다수의 컴포넌트들 (미도시) 을 구비할 수도 있다. 탐색 모듈 (26; 도 2) 로부터 수신된 탐색 결과에 기초하여 시간 오프셋을 제공함으로써, 제어기 (28) 는 신호 (14) 의 수신 경로들 중 한 경로를 추적 및 복조하기 위하여 각각의 핑거 (30) 를 할당한다.
제어기 (28) 는 심볼 결합기 (36) 의 출력을 이용하여 수신 신호 (14) 의 전력 레벨을 추정하고, 수신 전력이 너무 높거나 너무 낮은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하여 그 전력 레벨을 목표값과 비교한다. 이 비교에 기초하여, 제어기 (28) 는 신호 (14) 를 송신한 디바이스로의 송신을 위한 전력 제어 비트의 패턴을 생성한다. 이렇게 생성된 패턴은 신호 (14) 를 송신한 디바이스의 전력 제어를 제공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기지국 (12) 의 경우에, 예를 들어, 제어기 (28) 는 가입자 유닛 (16) 에 의해 송신되는 신호 (14) 의 전력을 추정하며, 송신기/수신기 (20) 를 제어하여 전력 제어 비트를 가입자 유닛으로 송신한다.
또한, 제어기 (28) 는 기지국 (12) 의 송신 전력 레벨을 제어하는데 이용하기 위하여 가입자 유닛 (16) 으로부터의 신호 (14) 와 함께 송신된 전력 제어 비트를 심볼 결합기 (36) 의 출력으로부터 추출한다. 서로로부터 수신된 전력 제어 비트에 기초하여, 기지국 (12) 과 가입자 유닛 (16) 은 자신의 송신 전력 레벨을 조정한다. 통상적으로, 전력 제어 비트의 패턴은 송신 전력에서 0.5 데시벨 (dB) 증가 또는 감소와 같이 증분적인 (즉, "업 (up) 또는 다운 (down)") 전력 조정을 야기하도록 선택된다.
핑거 (30) 가 "아웃-오브-록" 이 될 경우, 기지국 (12) 은 가입자 유닛 (16) 으로부터 전력 제어 비트를 수신할 수 없다. 이 경우, 제어기 (28) 는 변경된 전력 제어 루틴을 적용한다. 특히,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웃-오브-록 검출기 (37) 는 각각의 핑거 (30A - 30N) 와 관련된 수신 신호 세기 표시자 (RSSI) 의 출력 (35A - 35N) 을 모니터링한다. RSSI (35) 는 각각의 핑거 (30) 에 의해 수신된 신호의 세기를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아웃-오브-록 검출기 (37) 은 신호 세기의 출력을 신호 세기의 임계값과 비교한다.
다른 방법으로, RSSI (35) 는 신호 세기를 신호 세기의 임계값과 비교하고 그 임계값이, 예를 들어, 아웃-오브-록 플래그의 형태로 만족되는지 여부의 표시를 출력하는 내부 비교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어느 경우에서든, 아웃-오브-록 검출기 (37) 은 RSSI (35) 의 출력을 프로세싱하고, 모든 핑거 (30) 로부터의 신호 세기가 신호 세기의 임계값을 만족하지 않을 때를 제어기 (28) 에 통지하며, 이에 따라, 모든 핑거가 아웃-오브-록임을 나타낸다. 신호 세기의 임계값은 송신 환경에서 배경 간섭이 주어질 경우에 신뢰성있는 통신을 위한 최소의 신호 세기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 아웃-오브-록 검출기 (37) 는 심볼 결합기 (36) 의 출력에 기초하여 아웃-오브-록 상태를 식별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핑거 (30) 가 아웃-오브-록일 경우, 통상적으로, 그 출력은 심볼 결합기 (36) 에 적용되지 않는다. 즉, 아웃-오브-록 핑거 (30) 의 심볼 결합기 (36) 에 대한 기여도는 제로 (zero) 이다. 따라서, 모든 핑거 (30) 가 아웃-오브-록일 경우, 심볼 결합기 (36) 의 출력은 통상 0 이어야 한다. 다수의 인-록 (in-lock) 핑거 (30) 의 기여도가 심볼 결합기 (36) 로부터 제로 출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확률은 매우 작다. 이러한 이유로, 아웃-오브-록 검출기 (37) 에 의한 핑거 (30) 의 개별적인 출력에 대한 분석이 요구될 수도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심볼 결합기 (36) 의 출력에 대한 분석은 대부분의 경우에 행해야 하는 용이한 대안이다.
만약 모든 핑거 (30) 가 아웃-오브-록임을 아웃-오브-록 검출기 (37) 가 제어기 (28) 에 통지하면, 제어기 (28) 는 아웃-오브-록 상태의 지속기간을 추적하기 위하여 타이머를 구동한다. 아웃-오브-록 상태는 고속 페이딩 또는 저속 페이딩에 의해 야기될 수도 있다. 고속 페이딩은 다중경로 신호들의 순간적인 콘스텔레이션으로부터 생성되며, 종종, 업링크 또는 다운링크에만 영향을 주거나 양측 모두에게 영향을 주지 않을 수도 있다. 저속 페이딩은 업링크 및 다운링크 모두에게 영향을 주는 큰 장애물 또는 장애물들의 밀집한 어레이로부터 발생할 수도 있다.
가입자 유닛 (16) 에 대한 고속 페이딩의 경우, 기지국 (12) 으로부터의 다운링크가 여전히 동작 가능할 수도 있다. 따라서, "페이딩 디바이스" (즉, 이 실시예에서는 가입자 유닛 (16)) 은, 기지국 (12) 에 의해 송신된 신호 (14) 의 제어 채널을 통하여 제어기 (28) 에 의해 생성되는 전력 제어 비트를 수신 및 그 전력 제어 비트에 응답할 수도 있다. 아웃-오브-록 상태에서, 기지국 (12) 은 가입자 유닛 (16) 에게 자신의 송신 전력을 증가하라고 명령하는 전력 제어 비트를 송신한다. 그러나, 기지국 (12) 은 자신의 송신 전력을 즉시 변경하지 않는다. 대신, 제어기 (28) 는, 초기에, 아웃-오브-록 상태에 응답하여, 기지국 (12) 의 송신 전력을 실질적으로 일정한 레벨로 유지한다. 만약 다운링크 송신이 성공하면, 기지국 (12) 은 그 다운링크에서의 전력 제어 비트에 응답하여 가입자 유닛 (16) 이 자신의 송신 전력을 증가시킴에 따라 록을 획득할 수도 있다.
아웃-오브-록 상태가 연장된 시간 주기 동안 지속됨을 타이머 (또는 기타 다른 시간 추적 (time tracking) 메커니즘) 가 나타낼 경우, 제어기 (28) 는 가입자 유닛 (16) 으로 록을 회복하기 위하여 기지국 (12) 에서의 송신기/수신기 (20) 의 송신 전력을 증가시킨다. 이 경우, 기지국 (12) 은 가입자 유닛 (16) 의 송신 전력의 증가를 요청하는 전력 제어 비트를 송신할 뿐 아니라, 자신의 송신 전력도 증가시킨다. 제어기 (28) 는 가입자 유닛 (16) 에 의해 생성된 전력 제어 비트를 수신할 수 없기 때문에, 송신 전력을 독립적으로 증가시킨다. 따라서, 제어기 (28) 는 모든 핑거들이 아웃-오브-록이 되게 할 수 있는 2 개의 서로 다른 시나리오 사이의 식별을 시도한다. 2 개의 시나리오 (고속 페이딩 및 저속 페이딩) 는 최적의 시스템 성능을 위하여 제어기 (28) 에 의해 서로 다른 액션을 요구한다.
아웃-오브-록 상태가 저속 페이딩에 기인할 경우, 업링크 및 다운링크 모두는 동작 불가능할 수도 있다. 따라서, 가입자 유닛 (16) 은 기지국 (12) 에 의해 송신된 전력 제어 비트를 다운링크의 제어 채널을 통하여 수신할 수 없을 수도 있으며, 페이딩 상태를 극복하기 위하여 자신의 송신 전력을 증가시킬 수 없다. 이러한 가능성의 인식으로, 제어기 (28) 는 아웃-오브-록 상태를 고속 페이딩 또는 저속 페이딩의 결과로서 분류하기 위하여 타이머를 사용한다. 제 1 시간 주기 동안, 제어기 (28) 는 고속 페이딩 상태를 가정하며, 기지국의 송신 전력을 증가하지 않고 전력 제어 비트를 가입자 유닛 (16) 으로 송신하기 위하여 기지국 (12) 을 제어한다. 제 1 시간 주기 이후, 제어기 (28) 는 저속 페이딩 상태를 가정하며, 전력 제어 비트를 송신하여 기지국의 송신 전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기지국 (12) 을 제어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기지국 (12) 은 다운링크를 통한 전력 제어 비트의 성공적인 송신을 시도함으로써, 가입자 유닛 (16) 으로 하여금 자신의 송신 전력을 증가하게 한다. 각각의 경우에, 기지국 (12) 은 가입자 유닛 (16) 에게 자신의 송신 전력을 증가하도록 명령하지만, 저속 페이딩의 경우에는, 기지국도 자신의 송신 전력을 증가시킨다.
이러한 변경된 전력 제어 루틴은 연장된 아웃-오브-록 상태를 방지하는데 효율적일 수도 있으므로,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킨다. 그러나, 제어기 (28) 는 기지국 (12) 에서의 송신 전력을 선택적으로 증가시킨다. 특히, 제어기 (28) 는 아웃-오브-록 상태가 연장된 시간 주기 동안 계속될 경우에만 송신 전력을 증가시킨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어기 (28) 는 가입자 유닛 (16) 사이에 간섭을 발생시켜 시스템 용량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송신 전력의 증가를 방지한다.
도 4 는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일 프로세스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 (14) 가 복조기 (24; 도 3) 의 핑거 (30) 를 통하여 수신될 경우 (단계 38), 아웃-오브-록 검출기 (37) 는 모든 핑거의 신호 세기 출력이 임계값 보다 더 작은지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40). 도 3 을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이러한 판정은 다양한 방식으로 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아웃-오브-록 검출기 (37) 는 핑거 (30) 의 RSSI 출력을 신호 세기 임계값과 비교할 수도 있다. 다른 방법으로, 아웃-오브-록 검출기 (37) 는 RSSI 회로 (35) 에 의해 세팅된 아웃-오브-록 플래그를 모니터링할 수도 있다. 만약 하나 이상의 핑거 (30) 로부터의 신호 세기가 신호 세기 임계값을 초과하면, 제어기 (28) 는 신호 (14) 의 제어 채널로부터 전력 제어 비트를 추출하고, 송신기/수신기 (20) 의 송신 전력을 통상적으로 제어하는데 그 전력 제어 비트를 적용한다 (단계 42).
만약 모든 핑거 (30) 으로부터의 신호 세기가 임계값 보다 작으면, 아웃-오브-록 검출기 (37) 는 복조기 (24) 의 모든 핑거 (30) 가 아웃-오브-록임을 나타낸다 (단계 44). 이 경우에는, 제어기 (28) 가 신호 (14) 에 의해 반송되는 전력 제어 비트에 의존할 수 없다. 아웃-오브-록 상태에 응답하여, 제어기 (28) 는 타이머를 구동한다. 만약 타이머 값이 최소 임계값 보다 작으면 (단계 46), 제어기 (28) 는, 다운링크가 여전히 유효할 수 있는 고속 페이딩 상태를 가정한다. 이 경우, 제어기 (28) 는 초기에 기지국 (12) 에서의 송신 전력을 유지 (단계 48) 한 후, 신호 (14) 의 그 다음 샘플을 프로세싱하고 그것을 신호 세기 임계값과 비교 (단계 40) 하기 위하여 복귀한다. 타이머 사용의 대안으로서, 제어기 (28) 는 연속적인 신호 슬롯에서의 시간 스탬프의 비교 등과 같은 다른 방식으로 유사한 타이밍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도 있다. 따라서, 여기서, 타이머 사용에 대한 기준은 아웃-오브-록 상태의 지속기간을 추적하는데 유용한 어떤 메커니즘의 사용을 나타내기 위하여 넓게 취해야 한다.
만약 타이머 값이 최소값 보다 더 크면, 제어기 (28) 는 저속 페이딩 상태를 가정한다. 그러나, 연장된 시간 주기 동안의 송신 전력의 과도한 증가를 방지하기 위하여, 제어기 (28) 는 타이머 값과 최대값을 비교할 수도 있다 (단계 50). 만약 타이머 값이 최소값 보다 더 크고 (단계 46) 최대값 보다 더 작으면 (단계 50), 제어기 (28) 는 기지국 (12) 에서의 송신 전력을 증가시킨다 (단계 52). 그 후, 제어기 (28) 는 신호 (14) 의 그 다음 샘플을 프로세싱하고 그것을 신호 세기 임계값과 비교 (단계 40) 하기 위하여 복귀한다. 만약 타이머 값이 최대 시간 보다 더 크면 (단계 50), 제어기 (28) 는 타이머를 리셋시킨다 (단계 54).
아웃-오브-록 상태인 경우, 제어기 (28) 는 신호 (14) 의 제어 채널을 통해 통상적으로 수신되는 것과 유사한 송신 전력 비트의 패턴을 내부적으로 생성함으로써, 송신기/수신기 (20) 의 송신 전력을 제어할 수도 있다. 제어기 (28) 가 초기에 송신 전력을 유지할 경우, 예를 들어, 송신 전력에서의 0 dB/초의 순수한 이득을 달성하기 위하여 업/다운 전력 제어 비트의 패턴을 선택할 수 있다. 제어기 (28) 가 송신 전력을 증가시킬 경우, 송신 전력에서의 X dB/초의 순수한 이득을 달성하기 위하여 업/다운 전력 제어 비트의 서로 다른 패턴을 선택하는데, 여기서, X 는 0 보다 크다. 일 예로, 저속 페이딩 상태가 존재할 경우, 즉, 타이머 값이 최소값을 초과하여 저속 페이딩 상태의 존재를 암시할 경우, 제어기 (28) 는 대략 10 dB/초 정도의 업/다운 패턴을 선택할 수 있었다. 어떤 실시형태에서, 업/다운 패턴은 특정한 가입자 유닛 (16) 과 관련된 링크 이득의 함수로서 선택될 수도 있다.
도 5 는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일 프로세스를 나타낸 또 다른 흐름도이다. 도 5 의 예에서, 제어기 (28) 는 아웃-오브-록 상태를 검출한 이후의 시간 주기 동안에 송신 전력을 증분적으로 증가하도록 구성된다.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웃-오브-록 상태가 아닐 경우 (단계 56), 제어기 (28) 는 가입자 유닛 (16) 에 의해 송신된 신호 (14) 로부터 수신되는 전력 제어 비트에 기초하여 통상의 전력 제어 루틴을 적용한다 (단계 58).
아웃-오브-록 상태가 검출될 경우 (단계 56), 도 4 의 예에서와 같이, 제어기 (28) 는 타이머를 세팅하고 타이머 값을 최소값과 비교한다 (단계 60). 이와 유사하게, 제어기 (28) 는 타이머 값이 최대값을 초과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64). 만약 초과하지 않았으면, 송신 전력에서의 일련의 증분적인 증가를 개시한다. 예를 들어, 제어기 (28) 는 최소 시간 이후의 2 이상의 부-주기 (sub-periods) Y 로 아웃-오브-록 상태의 지속기간을 분할할 수도 있다. 각각의 부-주기 마다, 제어기 (28) 는 송신 전력을 증가 레이트로 증가시키기 위하여 송신 전력 비트의 서로 다른 업/다운 패턴을 적용한다.
만약 타이머 값이 최소 시간 플러스 Y2 부-주기 보다 더 크면 (단계 66), 제어기 (28) 는 송신 전력을 Z3 dB/초 만큼 증가시키기에 충분한 전력 제어 비트의 업/다운 패턴을 선택한다 (단계 68). 만약 타이머 값이 최소 시간 플러스 Y1 부-주기 보다 더 크면 (단계 70), 제어기 (28) 는 송신 전력을 Z2 dB/초 만큼 증가시키기에 충분한 전력 제어 비트의 다른 업/다운 패턴을 선택한다 (단계 72). 마지막으로, 만약 타이머 값이 최소값 보다는 더 크지만 최소값 플러스 Y1 주기 보다는 더 작으면, 제어기 (28) 는 송신 전력을 Z1 dB/초 만큼 증가시키기에 충분한 전력 제어 비트의 업/다운 패턴을 선택한다. 이 예에서, Y2 > Y1 이고 Z3 > Z2 > Z1 이다. 각각의 경우에, 송신 전력의 증가 이후에, 제어기 (28) 는 신호 (14) 의 그 다음 샘플을 프로세싱하도록 복귀한다. 또한, 만약 타이머 값이 최대값을 초과하면 (단계 64), 제어기 (28) 는 타이머를 리셋할 수도 있다 (단계 76).
도 5 의 예에 의하면, 제어기 (28) 는 아웃-오브-록 상태가 유지되는 기간을 결정하고, 그 결정에 따라, 송신 전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수개의 업/다운 패턴들 중 하나의 패턴을 선택한다. 또한, 만약 아웃-오브-록 상태가 최소 시간 미만 동안 존재하면, 제어기 (28) 는 0 dB/초의 순수한 이득을 갖는 패턴을 적용한다. 만약 아웃-오브-록 상태가 최소 시간 이후의 제 1, 제 2, 또는 제 3 부-주기 내에 존재하면, 제어기는 각각 Z1 dB/초, Z2 dB/초, 또는 Z3 dB/초의 순수한 이득을 갖는 패턴을 적용하는데, 여기서, Z1, Z2, 및 Z3 는 증가한 양이다. 특히, 송신 전력의 증분적인 스텝 증가는 각 송신 주기 동안 동일할 필요는 없다. 이러한 방식으로, 아웃-오브-록 상태가 유지될 경우, 송신 전력의 계속 증가하는 양은 다운링크를 가입자 유닛 (16) 으로 성공적으로 송신하고 신호 (14) 로 록을 회복하는데 이용된다.
변경된 전력 제어 루틴에 이용된 횟수와 양은 매우 클 수도 있다. 어떤 실시형태에서, 그 횟수와 양은 무선 시스템 (10) 을 관리하는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특히, 서비스 제공자는 개인적인 선호도, 국부적인 환경 상태 등에 기초하여 그 횟수와 양을 선택할 수도 있다. 또한, 그 횟수와 양은 물리적인 환경, 시스템 사용자의 수, 또는 시간에 대한 시스템 (10) 의 변화의 다른 특성과 같이 시간에 따라 변경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심, 부도심, 및 시골의 송신 환경 사이에는 명백한 차이가 존재할 수 있다.
그러나, 예로써, 아웃-오브-록 상태를 고속 페이딩 또는 저속 페이딩 상태로 서 분류하는데 이용되는 최소 시간은 아웃-오브-록 상태의 개시 이후 대략 20 내지 50 밀리초 정도일 수도 있다. 또한, 송신 전력이 증가되는 최대 시간은 대략 0.5 내지 2 초 정도일 수도 있다. 따라서, 최소 시간과 최대 시간 사이의 시간 주기는 약 0.5 내지 2 초 정도일 수도 있다.
또한,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일 실시형태에서, 최소 시간과 최대 시간 사이의 시간 주기는 대략 5 내지 15 밀리초의 지속기간을 갖는 다수의 동일한 부-주기로 분할할 수도 있다. 부-주기는 동일하고 규칙적이고 반복적인 의미로 주기적일 필요는 없다. 대신, 부-주기는 동일하지 않는 지속기간일 수도 있다. 일 예로, 제 1 부-주기 동안, 송신 전력은 10 내지 20 dB/초 범위의 레이트로 증가시킬 수 있다. 제 2 및 제 3 부-주기에서, 예를 들어, 송신 전력은, 각각, 대략 20 내지 30 dB/초 및 대략 30 내지 40 dB/초 범위의 레이트로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형태들을 설명하였다. 각각의 실시형태에서, 비록 여기에서의 설명이 용이한 설명 및 예시를 위하여 기지국의 개관만을 나타낼 수도 있지만, 아웃-오브-록 상태의 경우에 송신 전력의 제어와 관련된 구조는 기지국 또는 가입자 유닛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이들 실시형태 및 다른 실시형태들은 다음의 청구 범위의 범주 내에 있다.

Claims (30)

  1. 무선 레이크 수신기에서의 모든 복조 핑거가 아웃-오브-록일 때를 검출하는 단계;
    모든 복조 핑거가 소정의 시간 주기 이상 동안 아웃-오브-록 상태를 유지할 때, 무선 송신기의 송신 전력 레벨을 증가시키는 단계; 및
    상기 모든 복조 핑거가 상기 소정의 시간 주기 미만 동안 아웃-오브-록 상태를 유지할 때, 상기 송신 전력 레벨을 일정한 레벨로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든 복조 핑거가 아웃-오브-록일 때에 다른 디바이스가 송신 전력을 증가시키도록 하는 명령을 반송하는 신호를 송신하도록 송신기를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모든 복조 핑거가 소정의 시간 주기 이상 동안 아웃-오브-록 상태를 유지할 때에 상기 신호의 송신 전력 레벨을 증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4. 무선 레이크 수신기에서의 모든 복조 핑거가 아웃-오브-록일 때를 검출하는 단계;
    모든 복조 핑거가 소정의 시간 주기 이상 동안 아웃-오브-록 상태를 유지할 때, 무선 송신기의 송신 전력 레벨을 증가시키는 단계;
    모든 복조 핑거가 상기 소정의 시간 주기 미만 동안 아웃-오브-록 상태를 유지할 때에 상기 송신 전력 레벨을 유지하기 위하여, 전력 제어 비트의 제 1 패턴을 상기 송신기에 적용하는 단계; 및
    모든 복조 핑거가 상기 소정의 시간 주기 이상 동안 아웃-오브-록 상태를 유지할 때에 상기 송신 전력 레벨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전력 제어 비트의 제 2 패턴을 상기 송신기에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제어 비트의 제 1 패턴은 상기 송신 전력 레벨을 유지시키며,
    상기 전력 제어 비트의 제 2 패턴은 상기 송신 전력 레벨에서 10 dB/초 이상을 증가시키는, 방법.
  6. 무선 레이크 수신기에서의 모든 복조 핑거가 아웃-오브-록일 때를 검출하는 단계;
    모든 복조 핑거가 소정의 시간 주기 이상 동안 아웃-오브-록 상태를 유지할 때, 무선 송신기의 송신 전력 레벨을 증가시키는 단계;
    상기 모든 복조 핑거가 상기 소정의 시간 주기 미만 동안 아웃-오브-록 상태를 유지할 때, 상기 송신 전력 레벨을 일정한 레벨로 유지하는 단계;
    상기 검출에 응답하여 타이머를 시작하는 단계; 및
    상기 모든 복조 핑거들 중 하나 이상이 인-록일 때 상기 타이머를 중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송신 전력 레벨을 증가시키는 단계는, 상기 타이머가 상기 소정의 시간 주기 이상 동안 동작할 때에 상기 송신 전력 레벨을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 및 상기 무선 레이크 수신기 양자 모두는 무선 기지국에 포함되는,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 및 상기 무선 레이크 수신기 양자 모두는 이동 가입자 유닛에 포함되는,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WCDMA 표준에 따라 신호를 송신하는 CDMA 송신기인,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전력 레벨을 국부적인 무선 송신 환경의 특성에 따라 선택된 양 만큼 증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1.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복조 핑거를 갖는 레이크 수신기;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기;
    상기 레이크 수신기에서의 모든 복조 핑거가 아웃-오브-록일 때를 검출하는 검출기; 및
    모든 복조 핑거가 소정의 시간 주기 이상 동안 아웃-오브-록 상태를 유지할 때에 상기 송신기의 송신 전력 레벨을 증가시키고, 상기 모든 복조 핑거가 상기 소정의 시간 주기 미만 동안 아웃-오브-록 상태를 유지할 때, 상기 송신 전력 레벨을 일정한 레벨로 유지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장치.
  12. 삭제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모든 복조 핑거가 아웃-오브-록일 때에 다른 디바이스가 송신 전력을 증가시키도록 하는 명령을 반송하는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송신기를 제어하며, 상기 모든 복조 핑거가 소정의 시간 주기 이상 동안 아웃-오브-록 상태를 유지할 때에 상기 신호의 송신 전력 레벨을 증가시키는, 장치.
  14.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복조 핑거를 갖는 레이크 수신기;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기;
    상기 레이크 수신기에서의 모든 복조 핑거가 아웃-오브-록일 때를 검출하는 검출기; 및
    상기 모든 복조 핑거가 소정의 시간 주기 이상 동안 아웃-오브-록 상태를 유지할 때에 상기 송신기의 송신 전력 레벨을 증가시키는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모든 복조 핑거가 아웃-오브-록일 때에 다른 디바이스가 송신 전력을 증가시키도록 하는 명령을 반송하는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송신기를 제어하며, 상기 모든 복조 핑거가 소정의 시간 주기 이상 동안 아웃-오브-록 상태를 유지할 때에 상기 신호의 송신 전력 레벨을 증가시키고,
    상기 모든 복조 핑거가 상기 소정의 시간 주기 미만 동안 아웃-오브-록 상태를 유지할 때에 상기 송신 전력 레벨을 유지하기 위하여, 전력 제어 비트의 제 1 패턴을 상기 송신기에 적용하고,
    상기 모든 복조 핑거가 상기 소정의 시간 주기 이상 동안 아웃-오브-록 상태를 유지할 때에 상기 송신 전력 레벨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전력 제어 비트의 제 2 패턴을 상기 송신기에 적용하는,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제어 비트의 제 1 패턴은 상기 송신 전력 레벨을 유지시키며,
    상기 전력 제어 비트의 제 2 패턴은 상기 송신 전력 레벨에서 10 dB/초 이상을 증가시키는, 장치.
  16.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복조 핑거를 갖는 레이크 수신기;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기;
    상기 레이크 수신기에서의 모든 복조 핑거가 아웃-오브-록일 때를 검출하는 검출기;
    모든 복조 핑거가 소정의 시간 주기 이상 동안 아웃-오브-록 상태를 유지할 때에 상기 송신기의 송신 전력 레벨을 증가시키고, 상기 모든 복조 핑거가 상기 소정의 시간 주기 미만 동안 아웃-오브-록 상태를 유지할 때, 상기 송신 전력 레벨을 일정한 레벨로 유지하는 제어기; 및
    타이머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검출에 응답하여 상기 타이머를 시작하고, 상기 모든 복조 핑거들 중 하나 이상이 인-록일 때에 상기 타이머를 중지시키고, 상기 타이머가 상기 소정의 시간 주기 이상 동안 동작할 때에 상기 송신 전력 레벨을 증가시키는, 장치.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 및 상기 레이크 수신기 양자 모두는 무선 기지국에 포함되는, 장치.
  1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 및 상기 레이크 수신기 양자 모두는 이동 가입자 유닛에 포함되는, 장치.
  19.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WCDMA 표준에 따라 신호를 송신하는 CDMA 송신기인, 장치.
  20.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송신 전력 레벨을 국부적인 무선 송신 환경의 특성에 따라 선택된 양 만큼 증가시키는, 장치.
  21. 무선 레이크 수신기에서의 모든 복조 핑거가 아웃-오브-록일 때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아웃-오브-록 검출을 수신 신호에서의 고속 페이딩 상태 또는 저속 페이딩 상태에 기인한 것으로서 분류하는 단계;
    상기 아웃-오브-록 검출이 저속 페이딩 상태로서 분류될 경우에 송신기의 송신 전력 레벨을 증가시키는 단계; 및
    상기 아웃-오브-록 검출이 고속 페이딩 상태로서 분류될 경우에 상기 송신 전력 레벨을 일정한 레벨로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든 복조 핑거가 소정의 시간 주기 이상 동안 아웃-오브-록 상태를 유지할 때에, 상기 아웃-오브-록 검출을 저속 페이딩 상태에 기인한 것으로서 분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 및 상기 레이크 수신기 양자 모두는 무선 기지국에 포함되는, 방법.
  24.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 및 상기 레이크 수신기 양자 모두는 이동 가입자 유닛에 포함되는, 방법.
  25.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WCDMA 표준에 따라 신호를 송신하는 CDMA 송신기인, 방법.
  26.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복조 핑거를 갖는 레이크 수신기;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기;
    상기 레이크 수신기에서의 모든 복조 핑거가 아웃-오브-록일 때를 검출하는 검출기; 및
    상기 아웃-오브-록 검출을 상기 수신 신호에서의 고속 페이딩 상태 또는 저속 페이딩 상태에 기인한 것으로서 분류하고, 상기 아웃-오브-록 검출이 저속 페이딩 상태로서 분류될 경우에 송신기의 송신 전력 레벨을 증가시키고, 상기 아웃-오브-록 검출이 고속 페이딩 상태로서 분류될 경우에 상기 송신 전력 레벨을 일정한 레벨로 유지하는 단계를 제어기를 포함하는, 장치.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모든 복조 핑거가 소정의 시간 주기 이상 동안 아웃-오브-록 상태를 유지할 때에, 상기 아웃-오브-록 검출을 저속 페이딩 상태에 기인한 것으로서 분류하는, 장치.
  28.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 및 상기 레이크 수신기 양자 모두는 무선 기지국에 포함되는, 장치.
  29.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 및 상기 레이크 수신기 양자 모두는 이동 가입자 유닛에 포함되는, 장치.
  30.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WCDMA 표준에 따라 신호를 송신하는 CDMA 송신기인, 장치.
KR1020047007034A 2001-11-09 2002-11-08 레이크 수신기에서의 핑거에 대한 아웃-오브-록 상태동안의 송신 전력 제어 KR1009849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007,870 US6754254B2 (en) 2001-11-09 2001-11-09 Control of transit power during out-of-lock condition
US10/007,870 2001-11-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6928A KR20050056928A (ko) 2005-06-16
KR100984988B1 true KR100984988B1 (ko) 2010-10-04

Family

ID=21728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7034A KR100984988B1 (ko) 2001-11-09 2002-11-08 레이크 수신기에서의 핑거에 대한 아웃-오브-록 상태동안의 송신 전력 제어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6754254B2 (ko)
EP (1) EP1456970B1 (ko)
JP (1) JP4308008B2 (ko)
KR (1) KR100984988B1 (ko)
CN (1) CN100385821C (ko)
AT (1) ATE358918T1 (ko)
DE (1) DE60219353T2 (ko)
ES (1) ES2284979T3 (ko)
HK (1) HK1077418A1 (ko)
WO (1) WO200304322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72298B1 (en) 1998-05-06 2007-09-18 Burst.Com, Inc. System and method for time-shifted program viewing
US8577205B2 (en) 1998-07-30 2013-11-05 Tivo Inc. Digital video recording system
US7558472B2 (en) 2000-08-22 2009-07-07 Tivo Inc. Multimedia signal processing system
US6233389B1 (en) 1998-07-30 2001-05-15 Tivo, Inc. Multimedia time warping system
US8380041B2 (en) 1998-07-30 2013-02-19 Tivo Inc. Transportable digital video recorder system
CN100379273C (zh) 1999-09-20 2008-04-02 提维股份有限公司 闭式字幕添加标签的系统
JP2004207840A (ja) * 2002-12-24 2004-07-22 Nec Corp 無線リソース管理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管理装置、基地局及び端末
US7292826B2 (en) * 2004-07-29 2007-11-06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rake finger processing
CA2588630C (en) 2004-11-19 2013-08-20 Tivo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ecure transfer of previously broadcasted content
US7630732B2 (en) * 2005-06-14 2009-12-08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feedback information for transmit power control in a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7630427B2 (en) * 2005-09-29 2009-12-08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finger lock state
WO2007078160A2 (en) * 2006-01-04 2007-07-12 Lg Electronics Inc. Fast power control step-size adaptation
US8437315B2 (en) * 2007-08-01 2013-05-07 Broadcom Corporation Firmware processing for downlink F-DPCH
US8922430B2 (en) * 2011-12-22 2014-12-30 Trueposition, Inc. Optimization of variable coherence integration for the location of weak signals
US11133909B2 (en) * 2018-11-30 2021-09-28 T-Mobile Usa, Inc. Scheduling HARQ transmissions in mini-slots based on fading conditions
US11233620B2 (en) * 2018-11-30 2022-01-25 T-Mobile Usa, Inc. Scheduling HARQ transmissions in mini-slots
US10790939B2 (en) 2018-11-30 2020-09-29 T-Mobile Usa, Inc. Selecting mini-slots according to condition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45277A2 (en) * 1999-12-17 2001-06-21 Philips Semiconductor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assigned fingers
KR20010067471A (ko) * 1999-12-21 2001-07-12 가네꼬 히사시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송신 전력 제어 시스템
US6304563B1 (en) * 1999-04-23 2001-10-16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a punctured pilot channel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30288A (en) * 1996-05-06 1999-07-27 Motorola, Inc. Time-shared lock indicator circuit and method for power control and traffic channel decoding in a radio receiver
US6097972A (en) * 1997-08-29 2000-08-0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power control signals in CDMA mobile telephone system
CN100459450C (zh) * 1999-01-16 2009-02-04 皇家菲利浦电子有限公司 用于操作包括主站与多个辅助站的无线通信系统的方法
JP3378525B2 (ja) * 1999-03-29 2003-02-17 株式会社東芝 無線通信装置
KR20010112482A (ko) 2000-03-09 2001-12-20 비센트 비.인그라시아, 알크 엠 아헨 수신기 핑거의 할당을 변화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2004538668A (ja) 2000-03-09 2004-12-24 モトローラ・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ワイヤレス・スペクトラム拡散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チャネルを捕捉する方法および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04563B1 (en) * 1999-04-23 2001-10-16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a punctured pilot channel
WO2001045277A2 (en) * 1999-12-17 2001-06-21 Philips Semiconductor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assigned fingers
KR20010067471A (ko) * 1999-12-21 2001-07-12 가네꼬 히사시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송신 전력 제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219353T2 (de) 2007-12-13
CN1640006A (zh) 2005-07-13
JP2005510119A (ja) 2005-04-14
CN100385821C (zh) 2008-04-30
ATE358918T1 (de) 2007-04-15
KR20050056928A (ko) 2005-06-16
DE60219353D1 (de) 2007-05-16
EP1456970A1 (en) 2004-09-15
JP4308008B2 (ja) 2009-08-05
HK1077418A1 (en) 2006-02-10
US20030091103A1 (en) 2003-05-15
WO2003043220A1 (en) 2003-05-22
EP1456970B1 (en) 2007-04-04
ES2284979T3 (es) 2007-11-16
US6754254B2 (en) 2004-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4988B1 (ko) 레이크 수신기에서의 핑거에 대한 아웃-오브-록 상태동안의 송신 전력 제어
US6320855B1 (en) Method and system for initiating idle handoff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US5926503A (en) DS-CDMA receiver and forward link diversity method
US6587446B2 (en) Handoff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7340017B1 (en) System and method for finger management in a rake receiver
US6477162B1 (en) Dynamically adjusting integration interval based on a signal strength
CN101030788B (zh) 无线通信系统中跟踪信号的方法和装置
US7158560B2 (en) RF receiver having improved signal-to-noise ratio and method of operation
KR100782314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효율적인 오프라인 서처를 통해 퀵 페이징 채널 복조를 용이하게 하는 효율적인 시스템 및 방법
US7688882B2 (en) Time-tracking for clustered demodulation elements in a spread spectrum system
US6731676B2 (en) Assigning clusters of demodulation elements in a spread spectrum system
JP5021118B2 (ja) マルチインスタンス(multipleinstance)の共通信号を受信可能な無線受信器におけるエネルギー推定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