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65365A - 다중모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모드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다중모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모드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65365A
KR20010065365A KR1019990065242A KR19990065242A KR20010065365A KR 20010065365 A KR20010065365 A KR 20010065365A KR 1019990065242 A KR1019990065242 A KR 1019990065242A KR 19990065242 A KR19990065242 A KR 19990065242A KR 20010065365 A KR20010065365 A KR 200100653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ration mode
switching unit
switching
active elemen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52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윤석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900652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65365A/ko
Publication of KR200100653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5365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21Terminal devices adapted for Wireless Local Loop op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nsceivers (AREA)

Abstract

적어도 2개 이상의 동작모드를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모드 제어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다중모드 이중통신 단말기에서 각 동작모드별로 별도로 구비되던 능동소자를 하나만 구비시키고, 대신에 능동소자의 전단 및 후단에 스위칭회로를 구비시키고 이들이 동작모드에 따라 스위칭동작하여 해당하는 동작모드의 신호가 입력 및 출력되도록 하는 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동작모드 제어장치는: 입력단과 출력단을 구비하고 있으며, 입력신호를 소정 처리하여 출력하는 능동소자와; 각종 동작모드에 대응하는 신호들을 입력하고, 동작모드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스위칭되어 해당하는 동작모드 입력신호를 상기 능동소자의 입력단으로 인가하는 다수의 제1스위칭부들과; 상기 동작모드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스위칭되어 상기 능동소자의 출력단을 통한 해당하는 동작모드 출력신호를 출력하는 다수의 제2스위칭부들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다중모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모드 제어장치 {MODE CONTROL DEVICE IN A MULTI-MODE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다중모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적어도 2개 이상의 동작모드를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모드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형적인 이동통신 단말기는 하나의 동작모드만을 지원하는 형태이었으나, 현재에는 2가지의 동작모드를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구현되어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게다가 향후에는 적어도 2가지 이상의 여러 가지 동작모드를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구현될 것이라 예상된다. 예를 들어, 기존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부호분할다중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방식을 지원하는 시스템 중 디지털 셀룰라 시스템(DCS: Digital Cellular System:이하 "CDMA"라 칭함), 개인통신시스템(PCS: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시분할다중접속(Time Division Multiple Access)방식을 지원하는 시스템 중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중의 어느 한 시스템이었다. 그러나 상기 CDMA방식과 PCS방식을 동시에 지원하는 이중모드 이동통신 단말기가 이미 구현된 바 있으며, 향후에는 상기 CDMA방식과 PCS방식 뿐만 아니라 IMT2000(Internation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시스템 등의 여러 가지 동작모드를 지원하는 다중모드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현이 예상된다.
한편, 현재 구현된 바 있는 이중모드 이동통신 단말기는 동일한 동작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들이 각각의 동작모드에 대응하여 구비되고, 어느 한 동작모드가 선택될 때 해당하는 구성요소들이 스위칭되어 사용되도록 설계된다. 일예로, CDMA방식과 PCS방식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동작을 수행하는 능동소자 103과, 능동소자 108이 구비되는데, 이들은 각 동작모드에대응하는 것이다. 여기서 능동소자 103,104는 증폭기, 주파수 혼합기 등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요소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이중모드 이동통신 단말기는 동일한 동작 및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들이 각 동작모드에 대응하여 구비된다. 그러므로 하나의 동작모드를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비해 전력증폭기, 주파수 혼합기 등과 같은 능동소자가 하나 더 필요할 뿐만 아니라, 이들 능동소자에 바이어스를 제공하는 회로를 구성하는 수동소자들도 하나씩 더 구비될 필요가 있다. 즉 이중모드를 지원하는 이중통신 단말기는 각 동작모드에서 사용하는 주파수가 각각 다르기 때문에 각 동작모드에 적합한 부품을 실장하게 된다. 이렇게 실장되는 부품들은 통상 칩으로 구현되며, 각 칩들은 MMIC(Microwave Monolithic Integrated Circuit)와 같이 집적화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IC 설계할 시, 패키지(package)의 핀 수 및 크기를 증가시키고, 칩 가격을 상승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이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를 구현함에 있어서 중요하게 고려되는 요소중의 하나인 단말기의 소형화를 어렵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중모드를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소형화를 가능하게 하는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중모드를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능동소자를 IC 설계할 시 패키지의 핀 수가 줄어들도록 하는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다중모드를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능동소자를 IC 설계할 시 패키지의 크기가 줄어들도록 하는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다중모드를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능동소자를 IC 설계할 시 경제적으로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중모드 이중통신 단말기에서 각 동작모드별로 별도로 구비되던 능동소자를 하나만 구비시키고, 대신에 능동소자의 전단 및 후단에 스위칭회로를 구비시키고 이들이 동작모드에 따라 스위칭 동작하여 해당하는 동작모드의 신호가 입력 및 출력되도록 하는 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제1견지(aspect)에 따르면, 적어도 2가지 이상의 동작모드를 지원하는 다중모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모드 제어장치는: 입력단과 출력단을 구비하고 있으며, 입력신호를 소정 처리하여 출력하는 능동소자와; 각종 동작모드에 대응하는 신호들을 입력하고, 동작모드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스위칭되어 해당하는 동작모드 입력신호를 상기 능동소자의 입력단으로 인가하는 다수의 제1스위칭부들과; 상기 동작모드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스위칭되어 상기 능동소자의 출력단을 통한 해당하는 동작모드 출력신호를 출력하는 다수의 제2스위칭부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견지에 따르면, 부호분할다중접속(CDMA)방식과, 개인휴대통신 (PCS)방식의 동작모드를 지원하는 이중모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모드 제어장치는: 상기 CDMA방식 입력신호와 상기 PCS방식 입력신호를 각각 정합하는 제1정합회로 및 제2정합회로와; 입력단과 출력단을 구비하고 있으며, 입력신호를 소정 처리하여 출력하는 능동소자와; 상기 제1정합회로 및 상기 제2정합회로를 통한 상기CDMA방식 입력신호와 상기 PCS방식 입력신호를 입력하고, 동작모드 제어전압에 응답하여 스위칭되어 해당하는 입력신호를 상기 능동소자의 입력단으로 인가하는 제1스위칭부 및 제2스위칭부와; 각각이 상기 동작모드 제어전압에 응답하여 스위칭되어 상기 능동소자의 출력단을 통한 해당하는 출력신호를 출력하는 제3스위칭부 및 제4스위칭부와; 상기 제3스위칭부의 후단에 접속되고, 상기 CDMA방식 출력신호를 정합하는 제3정합회로와; 상기 제4스위칭부의 후단에 접속되고, 상기 PCS방식 출력신호를 정합하는 제4정합회로를 포함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이중모드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중모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모드 제어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모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모드 제어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이중모드 이동통신 단말기가 CDMA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의 시뮬레이션 특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이중모드 이동통신 단말기가 PCS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의 시뮬레이션 특성을 보여주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 중 참조번호들 및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들 및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중모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모드 제어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능동소자 240은 입력단과 출력단을 구비하고 있으며, 입력신호를 소정 처리하여 출력한다. 다수의 제1스위칭부들 220(221∼223)은 각종 동작모드에 대응하는 신호들을 입력하고, 동작모드 제어신호(도시하지 않음)에 응답하여 스위칭되어 해당하는 동작모드 입력신호를 상기 능동소자 240의 입력단으로 인가한다. 다수의 제2스위칭부들 250(251∼253)은 상기 동작모드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스위칭되어 상기 능동소자 240의 출력단을 통한 해당하는 동작모드 출력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제1스위칭부들 220의 각 스위칭부들 221∼223의 전단에는 다수의 정합회로들 210(211∼213)이 접속된다. 상기 각 정합회로들 211∼213은 해당하는 동작모드 입력신호를 임피던스 정합하여 대응하는 스위칭부들 221∼223으로 출력한다. 상기 제2스위칭부들 250의 각 스위칭부들 251∼253의 후단에는 다수의 정합회로들 270(271∼273)이 접속된다. 상기 각 정합회로들 271∼273은 해당하는 동작모드 출력신호를 임피던스 정합하여 출력한다.
상기 능동소자 240으로는 증폭기와 주파수 혼합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칭부들 221∼223, 251∼253은 전계효과 트랜지스터(FET: Field Effect Transistor)로 구현될 수도 있고, 바이폴라 트랜지스터(BJT: Bipolar Junction Transistor)로 구현될 수도 있고, 고전자 이동도 트랜지스터(HEMT: High Electrol Mobility Transistor)로 구현될 수도 있고, 상보성 금속 산화만 반도체(CMOS: 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동작모드 입력신호 및 출력신호는 CDMA, PCS, GSM, IMT-2000 방식의 신호일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CDMA, PCS, GSM, IMT-2000 방식의 동작모드를 지원할 수 있으며, 능동소자 240은 각 동작모드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증폭기, 주파수 혼합기 등과 같은 구성요소들이다. 이때 각 동작모드의 신호들은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신호들이므로, 정합회로들 211∼213,271∼273은 각 주파수 대역의 신호들에 적합한 정합회로이어야 한다. 일예로, 각 정합회로들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덕터와, 캐패시터가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이때의 인덕턴스와 캐패시턴스의 값은 동작모드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모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모드 제어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 실시예는 본 발명이 800MHz 대역의 신호를 사용하는 CDMA방식과, 1.8∼1.9GHz 대역의 신호를 사용하는 PCS방식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적용된 예에 해당한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정합회로 311,312는 각각 CDMA방식의 입력신호와, PCS방식의 입력신호를 임피던스 정합한다. 이러한 정합회로 311,31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덕터와, 캐패시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능동소자 340은 입력단과 출력단을 구비하고 있으며, 입력신호를 소정 처리하여 출력한다. 이러한 능동소자 340은 증폭기, 주파수 혼합기일 수 있으며, CDMA모드 및 PCS 모드가 공통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참조부호 321∼326은 상기 정합회로 311을 통한 CDMA방식 입력신호를 입력하고, 동작모드 제어전압 VCONTROL에 응답하여 스위칭되어 상기 CDMA방식 입력신호를 상기 능동소자 340의 입력단으로 인가하는 제1스위칭부이다. 참조부호 327∼333은 상기 정합회로 312를 통한 PCS방식 입력신호를 입력하고, 동작모드 제어전압 VCONTROL에 응답하여 스위칭되어 상기 PCS방식 입력신호를 상기 능동소자 340의 입력단으로 인가하는 제2스위칭부이다. 상기 제1스위칭부 321∼326과 제2스위칭부327∼333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어느 한 동작모드가 결정된 경우 해당하는 동작모드의 신호가 능동소자 340으로 인가되도록 상보적으로 동작한다.
참조부호 351∼356은 상기 동작모드 제어전압 VCONTROL에 응답하여 스위칭되어 상기 능동소자 340의 출력단을 통한 CDMA방식 출력신호를 출력하는 제3스위칭부이다. 참조부호 357∼363은 상기 동작모드 제어전압 VCONTROL에 응답하여 스위칭되어 상기 능동소자 340의 출력단을 통한 PCS방식 출력신호를 출력하는 제4스위칭부이다. 상기 제3스위칭부 351∼356과 제4스위칭부 357∼363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어느 한 동작모드가 결정된 경우 능동소자 340으로부터 출력되는 해당하는 동작모드의 출력신호가 출력되도록 상보적으로 동작한다.
이러한 스위칭부들은 FET를 포함하여 구현된 예를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스위칭부들 각각은 FET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BJT, HEMT, CMOS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는 사실에 유의하여야 한다. 상기 동작모드 제어전압VCONTROL이 VCC=3V(High레벨)일 때 제1스위칭부의 FET 325와 제3스위칭부의 FET 355는 도통상태로 되고 제2스위칭부의 FET 331과 제4스위칭부의 FET 361은 차단상태로 되어, CDMA방식의 신호들만이 입력 및 출력된다. 상기 동작모드 제어전압 VCONROL이 0V(Low레벨)일 때 제1스위칭부의 FET 325와 제3스위칭부의 FET 355는 차단상태로 되고 제2스위칭부의 FET 331과 제4스위칭부의 FET 361은 도통상태로 되어, PCS방식의 신호들만이 입력 및 출력된다. 즉, 제1스위칭부의 FET 325와 제2스위칭부의 FET 331은 상보적으로 동작하고, 제3스위칭부의 FET 355와 제4스위칭부의 FET 361은 상보적으로 동작한다. 이러한 스위칭부들의 상보적인 동작에 의해 서로 다른 방식의신호들에 의해 영향이 없게 된다.
정합회로 371은 스위칭부 351∼356의 후단에 접속되고, 상기 CDMA방식 출력신호를 임피던스 정합하여 출력한다. 정합회로 372는 스위칭부 357∼363의 후단에 접속되고, 상기 PCS방식 출력신호를 임피던스 정합하여 출력한다. 이러한 정합회로 371,37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덕터와, 캐패시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스위칭부들의 동작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스위칭부는 캐패시터들 321,324와, 저항들 322,323,326과, FET 325로 구성된다. FET 325의 드레인단자와 정합회로 311의 사이에는 캐패시터 321이 접속되고, 상기 FET 325의 소오스단자와 능동소자 340의 입력단의 사이에는 캐패시터 324가 접속된다. 상기 FET 325의 드레인단자와 전원전압단(VCC)의 사이에는 저항 322가 접속되고, 상기 FET 325의 소오스단자와 전원전압단(VCC)의 사이에는 저항 323이 접속되고, 상기 FET 325의 게이트단자와 접지단의 사이에는 저항 326이 접속된다. 상기 전원전압단(VCC)으로는 3V의 전원전압이 공급될 수 있다.
제2스위칭부는 캐패시터들 327,330과, 저항들 328,329,332,333과, FET 331로 구성된다. FET 331의 드레인단자와 정합회로 312의 사이에는 캐패시터 327이 접속되고, 상기 FET 331의 소오스단자와 능동소자 340의 입력단의 사이에는 캐패시터 330이 접속된다. 상기 FET 331의 드레인단자와 동작모드 제어전압단(VCONTROL)의 사이에는 저항 328이 접속되고, 상기 FET 331의 소오스단자와 동작모드제어전압단(VCONTROL)의 사이에는 저항 329가 접속된다. 이때 상기 저항 328과 329는 동작모드 제어전압단(VCONTROL)에 접속될 뿐만 아니라, 제1스위칭부의 FET 325의 게이트단자에도 접속된다. 이러한 접속은 동작모드제어전압이 인가되는 경우 제1스위칭부 및 제2스위칭부가 상보적으로 동작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FET 331의 게이트단자는 전원전압단(VCC_)과 접지단의 사이에 직렬접속된 저항 332와 저항 333의 접속점이 접속된다. 상기 전원전압단(VCC_)으로는 3V의 전원전압이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전원전압단(VCC)과 전원전압단(VCC_)으로 공급되는 전원전압을 같거나 약간의 차이를 줄 수가 있다.
제3스위칭부는 캐패시터들 351,354와, 저항들 352,353,356과, FET 355로 구성된다. FET 355의 드레인단자와 능동소자 340의 출력단의 사이에는 캐패시터 351이 접속되고, 상기 FET 355의 소오스단자와 정합회로 371의 사이에는 캐패시터 354가 접속된다. 상기 FET 355의 드레인단자와 전원전압단(VCC)의 사이에는 저항 352가 접속되고, 상기 FET 355의 소오스단자와 전원전압단(VCC)의 사이에는 저항 353이 접속되고, 상기 FET 355의 게이트단자와 접지단의 사이에는 저항 356이 접속된다. 상기 전원전압단(VCC)으로는 3V의 전원전압이 공급될 수 있다.
제4스위칭부는 캐패시터들 357,360과, 저항들 358,369,362,363과, FET 361로 구성된다. FET 361의 드레인단자와 능동소자 340의 출력단의 캐패시터 357이 접속되고, 상기 FET 361의 소오스단자와 정합회로 372의 사이에는 캐패시터 360이 접속된다. 상기 FET 361의 드레인단자와 동작모드 제어전압단(VCONTROL)의 사이에는 저항 358이 접속되고, 상기 FET 361의 소오스단자와 동작모드 제어전압단(VCONTROL)의 사이에는 저항 359가 접속된다. 이때 상기 저항 358과 359는 동작모드 제어전압단(VCONTROL)에 접속될 뿐만 아니라, 제3스위칭부의 FET 355의 게이트단자에도 접속된다. 이러한 접속은 동작모드제어전압이 인가되는 경우 제3스위칭부 및 제4스위칭부가 상보적으로 동작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FET 361의 게이트단자는 전원전압단(VCC_)과 접지단의 사이에 직렬접속된 저항 362와 저항 363의 접속점이 접속된다. 상기 전원전압단(VCC_)으로는 3V의 전원전압이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전원전압단(VCC)과 전원전압단(VCC_)으로 공급되는 전원전압을 같거나 약간의 차이를 줄 수가 있다.
전원전압 VCC는 저항들 322,323을 통하여 FET 325로 인가된다. 이때 캐패시터 321,324에 의해 직류 전류가 흐르지 않기 때문에 FET 325의 드레인단자와 소오스단자 사이의 전압은 전원전압 VCC가 된다. FET 325의 게이트단자로는 동작모드 제어전압 VCONTROL이 인가된다. 또한 상기 동작모드 제어전압 VCONTROL은 저항들 328,329를 통하여 FET 331의 드레인단자와 소오스단자에 인가되고, FET 331의 게이트단자로는 저항들 332,333에 의해 분배된 전원전압 VCC_가 인가된다.
상기 FET 325,331의 게이트단자와 소오스단자 사이의 전압이 0∼0.5V 사이가 되면, 채널이 형성되어 드레인단자와 소오스단자 사이의 저항이 매우 작은 수 오옴( Ω) 미만이 되어 입력신호는 거의 손실없이 통과하게 된다. 이와 반대로, 상기 FET 325,331의 게이트단자와 소오스단자 사이의 전압이 핀치오프전압 -Vp(채널이 닫힐 때의 게이트단자와 소오스단자 사이의 전압) 미만이 되면, 채널이 닫히게 되어 드레인단자와 소오스단자 사이의 저항이 수천에서 수만 오옴( Ω)이 되어 신호가 통과되지 못하고 격리되게 된다.
제3스위칭부의 FET 355와, 제4스위칭부 FET 361은 제1스위칭부의 FET 325와, 제2스위칭부의 FET 331과 동일하게 동작한다.
그러므로 동작모드제어전압 VCONTROL=3V일 때 FET 325는 도통상태로 되고, 이에 따라 CDMA방식의 신호가 입력되게 된다. 이때 FET 331은 차단상태이므로 이들에 의한 CDMA방식의 입력신호는 영향을 받지 않게 된다. 또한 동작모드제어전압 VCONTROL=3V일 때 FET 355는 도통상태로 되고, 이에 따라 CDMA방식의 신호가 출력되게 된다. 이때 FET 361은 차단상태이므로 이들에 의한 CDMA방식의 출력신호는 영향을 받지 않게 된다.
이와 반대로 동작모드제어전압 VCONTROL=0V일 때 FET 331은 도통상태로 되고, 이에 따라 PCS방식의 신호가 입력되게 된다. 이때 FET 325는 차단상태이므로 이들에 의한 PCS방식의 입력신호는 영향을 받지 않게 된다. 또한 동작모드제어전압 VCONTROL=0V일 때 FET 361은 도통상태로 되고, 이에 따라 PCS방식의 신호가 출력되게 된다. 이때 FET 355는 차단상태이므로 이들에 의한 PCS방식의 출력신호는 영향을 받지 않게 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이중모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모드 제어장치가 CDMA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의 시뮬레이션(simulation) 특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즉, VCONTROL=3V인 경우에 해당한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이중모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모드 제어장치가 PCS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의 시뮬레이션 특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즉, VCONTROL=0V인경우에 해당한다.
상기 도 4 및 도 5는 도 3의 능동소자 340이 증폭기로 구현된 경우의 시뮬레이션 특성을 보여주는 것으로, S11은 입력전력 손실 반사계수이고, S22는 출력전력 손실 반사계수이고, S21은 전력이득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S11,S22의 값이 두 주파수대역(800MHz, 1.8∼1.9호z)에서 -15dB 미만으로 매우 좋은 특성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어느 한 동작모드가 선택될 수 스위칭동작에 의한 격리도(isolation)가 매우 우수하다는 것을 입증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는 스위칭부가 FET를 포함하여 구성된 예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를 대신하여 BJT, HEMT, CMOS를 포함하여 스위칭부가 구성될 수 있음을 이미 밝힌 바와 같다. 또한 CDMA방식과 PCS방식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뿐만 아니라 CDMA, PCS, DCS, GSM, IMT-2000과 같은 동작모드를 지원하는 다중모드 이동통신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이러한 경우 정합회로를 구성함에 있어서는 각 동작모드의 주파수대역에 적합한 정합회로의 설계가 요구된다고는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존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각 동작모드마다 중복하여 구비하고 있던 능동소자들을 하나로 줄이고, 대신에 능동소자의 전단 및 후단에 스위칭회로를 구비하고 있는 다중모드 이동통신 단말기를 구현하였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능동소자를 동작모드별로 구비시키는 것에 비해 스위칭회로를 동작모드별로 구비시키고 있다. 실제, 증폭기나 주파수 혼합기와 같은 능동소자에 스위칭회로를 IC 설계하면, 패키지의 핀수, 크기 등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으며, 또한 가격면에서도 경제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이점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무게와 크기를 줄일 수 있는 이점으로 작용한다. 게다가 정합회로와, 스위칭회로 및 능동소자를 하나의 칩으로 만들어 MMIC를 구현한다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IC 설계에 있어서 최적의 효과가 예상된다.

Claims (18)

  1. 적어도 2가지 이상의 동작모드를 지원하는 다중모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모드 제어장치에 있어서,
    입력단과 출력단을 구비하고 있으며, 입력신호를 소정 처리하여 출력하는 능동소자와,
    각종 동작모드에 대응하는 신호들을 입력하고, 동작모드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스위칭되어 해당하는 동작모드 입력신호를 상기 능동소자의 입력단으로 인가하는 다수의 제1스위칭부들과,
    상기 동작모드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스위칭되어 상기 능동소자의 출력단을 통한 해당하는 동작모드 출력신호를 출력하는 다수의 제2스위칭부들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모드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제1스위칭부들의 전단에 접속되고, 해당하는 동작모드 입력신호를 정합하는 다수의 정합회로들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모드 제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제2스위칭부들의 후단에 접속되고, 해당하는 동작모드 출력신호를 정합하는 다수의 정합회로들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모드 제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위칭부들 및 상기 제2스위칭부들은 전계효과 트랜지스터(FET)로 구현됨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모드 제어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위칭부들 및 상기 제2스위칭부들은 바이폴라 트랜지스터(BJT)로 구현됨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모드 제어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위칭부들 및 상기 제2스위칭부들은 고전자 이동도 트랜지스터(HEMT)로 구현됨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모드 제어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위칭부들 및 상기 제2스위칭부들은 상보성 금속 산화막 반도체(CMOS)로 구현됨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모드 제어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능동소자는 증폭기임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모드 제어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능동소자는 주파수 혼합기임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모드 제어장치.
  10. 부호분할다중접속(CDMA)방식과, 개인휴대통신(PCS)방식의 동작모드를 지원하는 이중모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모드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CDMA방식 입력신호와 상기 PCS방식 입력신호를 각각 정합하는 제1정합회로 및 제2정합회로와,
    입력단과 출력단을 구비하고 있으며, 입력신호를 소정 처리하여 출력하는 능동소자와,
    상기 제1정합회로 및 상기 제2정합회로를 통한 상기 CDMA방식 입력신호와 상기 PCS방식 입력신호를 입력하고, 동작모드 제어전압에 응답하여 스위칭되어 해당하는 입력신호를 상기 능동소자의 입력단으로 인가하는 제1스위칭부 및 제2스위칭부와,
    각각이 상기 동작모드 제어전압에 응답하여 스위칭되어 상기 능동소자의 출력단을 통한 해당하는 출력신호를 출력하는 제3스위칭부 및 제4스위칭부와,
    상기 제3스위칭부의 후단에 접속되고, 상기 CDMA방식 출력신호를 정합하는 제3정합회로와,
    상기 제4스위칭부의 후단에 접속되고, 상기 PCS방식 출력신호를 정합하는 제4정합회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모드 제어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위칭부, 상기 제2스위칭부, 상기 제3스위칭부 및 상기 제4스위칭부는 전계효과 트랜지스터(FET)로 구현됨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모드 제어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위칭부, 상기 제2스위칭부, 상기 제3스위칭부 및 상기 제4스위칭부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BJT)로 구현됨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모드 제어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위칭부, 상기 제2스위칭부, 상기 제3스위칭부 및 상기 제4스위칭부는 고전자 이동도 트랜지스터(HEMT)로 구현됨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모드 제어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위칭부, 상기 제2스위칭부, 상기 제3스위칭부 및 상기 제4스위칭부는 상보성 금속 산화막 반도체(CMOS)로 구현됨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모드 제어장치.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능동소자는 증폭기임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모드 제어장치.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능동소자는 주파수 혼합기임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모드 제어장치.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위칭부와 상기 제2스위칭부는 상보적으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모드 제어장치.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3스위칭부와 상기 제4스위칭부는 상보적으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모드 제어장치.
KR1019990065242A 1999-12-29 1999-12-29 다중모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모드 제어장치 KR200100653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5242A KR20010065365A (ko) 1999-12-29 1999-12-29 다중모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모드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5242A KR20010065365A (ko) 1999-12-29 1999-12-29 다중모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모드 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5365A true KR20010065365A (ko) 2001-07-11

Family

ID=19632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5242A KR20010065365A (ko) 1999-12-29 1999-12-29 다중모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모드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65365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9247A (ko) * 2001-10-05 2003-04-14 엘지전자 주식회사 Is-95c 이중 모드 단말기에서의 루프 필터 회로
KR20030037794A (ko) * 2001-11-05 2003-05-16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주파수 대역에서 사용 가능한 위상고정루프
US7084560B2 (en) 2002-04-24 2006-08-01 Samsung Sdi Co., Ltd. Tension mask frame assembly and cathode ray tube having the same
KR100828801B1 (ko) * 2003-11-10 2008-05-09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하이브리드 tdm/ofdm/cdm 역방향 링크 전송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9247A (ko) * 2001-10-05 2003-04-14 엘지전자 주식회사 Is-95c 이중 모드 단말기에서의 루프 필터 회로
KR20030037794A (ko) * 2001-11-05 2003-05-16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주파수 대역에서 사용 가능한 위상고정루프
US7084560B2 (en) 2002-04-24 2006-08-01 Samsung Sdi Co., Ltd. Tension mask frame assembly and cathode ray tube having the same
KR100828801B1 (ko) * 2003-11-10 2008-05-09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하이브리드 tdm/ofdm/cdm 역방향 링크 전송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47536B1 (en) System and method for bypassing a low noise amplifier
US9680463B2 (en) System and method for a radio frequency switch
JP4202852B2 (ja) 通信用電子部品および送受信切替え用半導体装置
US6882829B2 (en) Integrated circuit incorporating RF antenna switch and power amplifier
US9641201B2 (en) System and method for a radio frequency integrated circuit
JP2964975B2 (ja) 高周波スイッチ回路
US20070290744A1 (en) Radio frequency switching circuit, radio frequency switching device, and transmitter module device
KR100305917B1 (ko) 반도체전력증폭집적회로
US20050079829A1 (en) Antenna switch
US7924098B2 (en) High frequency amplifier circuit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same
JPH11274804A (ja) 高周波スイッチ
US6597231B2 (en) Semiconductor switching circuit and semiconductor device using same
KR20160109931A (ko) 저잡음 증폭 회로
EP1169776B1 (en) Biasing arrangement for field effect transistors
JP2004201262A (ja) 増幅機能を備えたアンテナスイッチングモジュール
US6366770B1 (en) High-frequency semiconductor device and radio transmitter/receiver device
KR20010065365A (ko) 다중모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모드 제어장치
JPH10313259A (ja) 高周波回路
US5338989A (en) Microwave integrated circuit
EP4027526A1 (en) Capacitive tuner modu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5192900B2 (ja) スイッチ半導体集積回路
US20100120481A1 (en) Switching circuit
JP3589437B2 (ja) 電力増幅器
JPH10126176A (ja) 伝送回路装置
KR20230108689A (ko) 높은 격리도를 가지는 차동 전송선로 및 그 구성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