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65236A - 무광택 스테인레스 강판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무광택 스테인레스 강판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65236A
KR20010065236A KR1019990065108A KR19990065108A KR20010065236A KR 20010065236 A KR20010065236 A KR 20010065236A KR 1019990065108 A KR1019990065108 A KR 1019990065108A KR 19990065108 A KR19990065108 A KR 19990065108A KR 20010065236 A KR20010065236 A KR 200100652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sheet
rolling
stainless steel
matte
annea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51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17699B1 (ko
Inventor
최달영
정용교
Original Assignee
이구택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구택,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구택
Priority to KR10-1999-00651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7699B1/ko
Publication of KR200100652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52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76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76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2/00Shaping without cutting, by stamping, spinning, or deep-drawing
    • B21D22/02Stamping using rigid devices or tools
    • B21D22/04Stamping using rigid devices or tools for dimp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00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 B21B1/22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plates, strips, bands or sheets of indefinite length
    • B21B1/227Surface roughening or tex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00Rolling materials of special alloys so far as the composition of the alloy requires or permits special rolling methods or sequences ; Rolling of aluminium, copper, zinc or other non-ferrous metals
    • B21B3/02Rolling special iron alloys, e.g. stainless st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00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 B21B1/22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plates, strips, bands or sheets of indefinite length
    • B21B2001/228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plates, strips, bands or sheets of indefinite length skin pass rolling or temper ro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 Rolling (AREA)
  • Heat Treatment Of Sheet Ste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상의 스테인레스 제조공정으로 스테인레스 강판을 제조하고 조질압연 단계에서 압연되는 박판의 표면에 본 발명에 의한 복합피막을 점착한 상태에서 조질압연을 행함으로서 무광택 스테인레스 강판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조질압연단계에서 스트립 표면에 무광택 무늬를 형성시키는 복합피막을 압연되는 스트립 표면에 점착하여 직접 가공함으로서 종래와 같은 무광택 무늬 형성을 위한 별도의 냉간압연공정과 광휘소둔을 행하지 않아도 되므로 무광택 스테인레스 강판 제조공정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무광택 스테인레스 강판의 제조 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Dull Finish Stainless Steel Strip}
본 발명은 무광택 스테인레스 강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냉간압연한 스테인레스 강판을 조질압연할 때 중간매개체를 삽입하여 조질압연 함으로서 표면조도와 표면 편평도가 우수한 무광택 스테인렌스 강판을 제조할 수 있는 무광택 스테인레스 강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테인레스 강판 중에서 무광택(dull finish) 스테인레스 강판은 압연 후 최종 표면 마무리 상태가 No.2D 등급이고 내식성을 요구하면서 그 표면이 빛을 반사하지 않도록 표면조도가 조절된 것으로서 철도 또는 전동 차량이나 건축용 내. 외장 재료로 많이 사용된다.
스테인레스 강판 중에서 무광택 스테인레스 강판으로 사용되는 것은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 강판으로 대표적인 스테인레스 강종은 STS301L(17Cr-7Ni-LC-N)강이며 이 강은 탄소 함량이 0.03% 이하이고 질소가 1000 ppm 이상 첨가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 강이다.
종래의 무광택 스테인레스 강판은 통상적으로 1차 냉간압연이 끝난 스테인레스 강판을 무광택 압연롤(dull roll)을 이용하여 2차 냉간압연을 하고 이를 재차 광휘소둔(bright annealing)하여 제조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제조공정을 도 4를 이용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스테인레스 강 원료를 전기로(11)에 장입하여 용융시키고 이를 정련로(13)에서 정련한 다음 연속주조기(15)에서 슬라브 상태로 주조한다. 주조된 슬라브는 열간압연기(17)에서 3-8mm 정도로 압연하여 블랙코일을 제조한 다음, 이를 열연풀림로(19)에서 소둔연화시키고 표면스케일을 제거함과 동시에 부동태화 처리를 위하여 열연산세조(21)에서 산세한다. 그리고 냉간압연기(23)에서 0.3-3mm 정도의 두께로 냉간압연하여 박판으로 만든 다음, 냉연소둔산세(25)처리하거나 광휘소둔(27)처리하고 박판의 기계적 성질을 개선함과 아울러 평면 형상을 교정하기 위하여 조질압연(29)을 한다. 여기까지는 통상의 스테인레스 강판의 제조공정과 동일하나, 무광택 스테인레스 강판은 이렇게 조질압연까지 끝난 스테인레스 강판을 무광택 압연롤(dull roll)을 이용하여 2차 냉간압연(31)을 하여 표면을 빛의 반사가 일어나지 않게 처리하고 난 후, 무광택 처리된 강판의 표면색상과 표면조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2차 광휘소둔(33)처리하고 있는 데에 그 특징이 있다. 이상과 같이 광휘소둔처리된 강판은 다시 강판의 평탄화등을 위하여 조질압연기(35)와 형상교정기(37)에서 형상을 교정하여 최종적으로 무광택 스테인레스 강판(39)을 생산하게 된다.
그러나 이상과 같은 종래의 무광택 스테인레스 강판 제조방법은 무광택 처리를 위한 2차 냉간압연(31)과 2차 광휘소둔(33) 그리고 2차 조질압연(35)의 추가 공정을 실시함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제조상의 문제점이 있다.
먼저, 2차 냉간압연(31)공정에서 사용되는 무광택 압연롤 자체의 문제가 있다. 종래의 제조공정은 압연롤 자체에 무광택 무늬가 처리된 압연롤을 사용하여야 한다. 이것은 통상의 압연롤에 무광택 무늬를 별도의 공정에서 가공하여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무광택 무늬가 처리된 압연롤의 가공공정은 통상 고전압을 방전하여 압연롤 표면을 용융(melting) 시키고 기화(vaporizing)시켜서 압연롤 표면에 거칠기를 부여하고 있으나 이러한 공정은 압연롤 가공에 시간이 많이 소모되고 제조원가 역시 매우 높다.
또 다른 문제점으로는 2차 냉간압연(31)의 압연조건 문제가 있다. 2차 냉간압연은 이미 냉간압연을 한 상태에서 단지 무광택 처리만을 위하여 재 압연하는 것이므로 압하율을 3-5% 정도 매우 낮게 설정하여 압연을 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낮은 압하율로 경압연을 하게 되면 중립점(neutral point)이 이동하기 쉽기 때문에 압연제어가 매우 곤란하다. 더욱이 냉간압연은 적당한 장력이 가하여진 상태에서 압연을 하여야 하는데, 이와 같이 낮은 압하율하에서는 결함이 쉽게 발생되므로 적정 압연조건을 찾기도 어렵고, 초기압하 설정시 저 압하율로 인하여 차압을 찾기도 매우 어렵다.
이 뿐만 아니라 제조된 무광택 스테인레스 강판은 냉연코일의 길이에 따라 강판의 표면조도와 광택도에 많은 영향을 미치므로 제품의 품질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무광택 압연롤의 반복 사용문제를 심각히 검토하여야만 한다.
그리고 종래의 무광택 처리공정은 직경이 작은 무광택 압연롤을 사용하면서도 낮은 압하율로 소재를 압연하여야 하므로 이와 같은 조건에서 편면 무광택 처리를 할 경우, 무광택 가공을 하고자 하는 스트립 표면과 가공되지 않는 반대면 사이에는 표면적 차이가 발생하게 되며 이것은 양쪽 면에 변형량 차이를 초래하여 제조된 제품은 평탄도가 불량하고 휨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또 다른 문제점으로는 2차 광휘소둔(33) 문제가 있다. 종래의 무광택 스테인레스 강판은 소둔산세(25) 또는 1차 광휘소둔(27)과 조질압연(29)이 끝난 상태에서 또 다시 2차 냉간압연(31)을 하여 무광택 무늬를 가공하는 것이므로 2차 냉간압연시 스트립 자체에 발생한 불균일한 조직상태를 회복시켜주기 위하여 또 다시 열처리를 하여야만 한다. 이때 표면 광택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표면 처리된 강판을 소둔산세처리할 수는 없으므로 광휘소둔(33)을 실시하여야만 한다. 이로 인하여 2차 광휘소둔시 스트립 표면의 색상차이가 발생하고 표면에 얼룩흠이 생성되기 쉬우며,표면의 조도와 광택도를 유지하는 것이 매우 곤란하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종래의 무광택 스테인레스 제조공정은 제조공정 자체가 복잡하여 강판의 제조 단가 높을 뿐만 아니라, 이와 같이 복잡한 처리공정을 거친다고 하더라도 그 작업조건이 까다롭고 제조된 강판도 그 품질을 보장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무광택 압연롤을 사용하지 않고 1차 냉간압연한 스테인레스 강판을 조질압연할 때 무광택 처리용 중간매개체를 압연되는 스트립에 직접 점착하여 조질압연 함으로서 표면조도와 평탄도가 우수한 무광택 스테인렌스 강판을 부가적인 공정 없이 직접 제조할 수 있는 무광택 스테인레스 강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무광택 처리용 중간매개체가 내열성과 신장율 그리고 인장강도를 갖는 고내열성 복합피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무광택 스테인레스 강판의 제조공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 는 고장력 인장가공에 의한 형상부정영역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의 a는 본 발명의 무광택 스테인레스 강판 제조공정에 의하여 생산된 강판의 표면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3의 b는 종래의 무광택 스테인레스 강판 제조공정에 의하여 생산된 강판의 표면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4 는 종래의 무광택 스테인레스 강판의 제조공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무광택 스테인레스 강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스테인레스 강 원료를 용융, 정련, 주조하고 열간압연하여 강판을 제조하는 단계와, 제조된 강판을 열연풀림로에서 소둔연화시키는 단계와, 소둔된 강판을 열연산세처리하는 산세처리단계와, 산세처리된 강판을 냉간압연하여 박판으로 만드는 단계와, 냉간압연한 박판을 냉연소둔산세처리 또는 광휘소둔처리하는 단계와, 소둔처리된 박판을 무광택 무늬가 형성된 복합피막과 함께 조질압연하여 조질압연된 박판의 단면 또는 양면에 무광택 무늬를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광택 스테인레스 강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무광택 처리 조질압연단계 이후에 형상교정기에서 표면 형상을 교정하는 단계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복합피막을 박판에 점착하는 방법은 냉연소둔단계에서 박판을 리코일링할 때 복합피막을 박판 사이에 삽입시켜 박판과 함께 코일링하고 조질압연을 완료한 이후에 복합피막을 제거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복합피막은 1-3% 연신율의 압연조건에 견딜 수 있는 내열성과 인장강도를 갖고, 0.2 ㎛ 이상, 바람직하게는 6 - 7㎛의 표면 거칠기를 갖는 종이, 천 그리고 비닐류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특성을 갖는 복합피막으로는 HDPE(7000) 55 중량%, HDPE (700-1) 10 중량%, LDPE(301) 8중량%, F.T(7000-3) 12중량%, E.V.A 2.5 중량%, F.P(1-5) 5 중량%, R.B 3.5% 로 이루어지고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3 중량%를 포함한 복합비닐피막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무광택 무늬 형성을 위한 조질압연은 입, 출측 강판에 장력을 인가한 상태에서 조질압연을 하고 이 때 인가하는 장력은 압연을 위해 필요한 평균압하력 보다 소성변형을 일으킬 정도로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통상의 스테인레스 제조공정으로 스테인레스 강판을 제조하고 조질압연 단계에서 압연되는 박판의 표면에 본 발명에 의한 복합피막을 점착한 상태에서 조질압연을 행함으로서 무광택 스테인레스 강판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복합피막을 박판의 표면에 점착한 상태로 조질압연을 하게 되면, 복합피막 표면의 거칠기에 따라 압연되는 스트립의 표면에 무광택 무늬가 바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조질압연단계에서 스트립 표면에 무광택 무늬를 형성시키는 복합피막을 압연되는 스트립 표면에 점착하여 직접 가공함으로서 종래와 같은 무광택 롤을 이용한 무광택 무늬 형성을 위한 별도의 냉간압연공정과 광휘소둔을 행하지 않아도 되므로 공정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복합피막으로는 압연중 발생하는 열에 견딜 수 있는 내열성과 인장강도를 지니고, 탄성계수가 낮아 신장율이 우수하며, 압연시 압연롤과 압연되는 스트립 간의 마찰을 감소시켜 효과적인 윤활 특성을 얻을 수 있도록 마찰계수가 낮을 것을 요구한다. 또한 조질압연 이후 복합피막을 쉽게 분리 제거할 수 있도록 낮은 접착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복합피는 이상과 같은 특성을 만족하면 어느 것이나 사용 가능하며 표면 거칠기가 0.2㎛ 이상인 특수종이, 천, 비닐류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사용한 비닐류 복합피의 조성은 표 1에 나타나 있다.
[표 1]
성분 함유량(%) 성분 함유량(%)
High Density Poly- Ethylene(7000) 55 Ethylene Vinyl Acetate 2.5
High Density Poly- Ethylene (700-1) 10 F.P(1-5) 5
Low Density Poly- Ethylene (301) 8 R.B 3.5
F.T(7000-3) 12 기타 3
표 1의 조성을 갖는 복합 비닐피막은 인장강도가 우수하고 열적 특성이 뛰어 나며 점착성이 있는 발포성 물질로 방수, 녹방지, 먼지제거, 광택능이 있으며 이에 대한 대표적인 물성은 표 2에 나타나 있다.
[표 2]
내열성(℃) 인장강도(kg/25mm) 신장율(kg/25mm) 대전 방지율(%)
850 3.0 이상 380 이상 10 이하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무광택 스테인레스 강판의 제조 공정을 도1을 이용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스테인레스 강은 전동차와 건축 외장재로 많이 사용하는 17 중량 %의 크롬(Cr)과 7 중량 %의 니켈(Ni)과 0.03 중량% 이하의 탄소와 1000 ppm 이상의 질소가 함유되고 잔부는 철(Fe)로 구성된 STS301L강인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 강을 사용하였다.
먼저, 스테인레스 강 원료를 전기로(11)에 장입하여 용융시키고 이를 정련로(13)에서 정련한 다음 연속주조기(15)에서 슬라브 상태로 주조한다. 주조된 슬라브는 열간압연기(17)에서 3-8mm 정도로 압연하여 블랙코일을 제조한 다음, 이를 열연풀림로(19)에서 소둔연화시키고 표면스케일을 제거함과 동시에 부동태화 처리를 위하여 열연산세조(21)에서 산세한다. 그리고 냉간압연기(23)에서 0.3-3mm 정도의 두께로 냉간압연하여 박판으로 만든 다음, 냉연소둔산세(25)처리하거나 광휘소둔(27)처리하여 냉간가공으로 인한 조직내부의 불균일한 상태를 회복시켜준다.
본 발명에서는 냉연소둔산세(25) 또는 광휘소둔(27) 라인의 마지막 리코일링 단계에서 간지를 스트립 사이에 삽입하듯이 코일 상태로 감겨져 있는 본 발명의 복합피 중 선택된 복합비닐피막을 소둔처리된 스트립에 삽입시켜 함께 리코일링한다. 이때 스트립 사이에 삽입된 복합비닐피막은 무광택 무늬를 형성시키고자 하는 면에 견고하게 점착된다.
그 다음 본 발명의 복합비닐피막을 소둔처리한 박판에 피복시킨 상태로 조질압연기에서 박판의 기계적 성질을 개선함과 아울러 박판의 표면에 무광택 무늬를 형성하기 위하여 조질압연(30)을 한다. 그리고 조질압연에 의하여 무광택 처리가 된 박판의 길이 방향의 평면 형상 등을 교정하기 위하여 형상교정기(37)에서 무광택 무늬가 형성된 박판을 통판시켜 최종적으로 무광택 스테인레스 강판을 제조한다.
본 발명에서는 조질압연단계에서 압연되는 박판 표면에 무광택 처리를 함과 동시에 표면 형상을 교정할 수 있도록 압연조건을 제어하기 때문에 형상교정기(37)는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제조된 무광택 스테인레스 강판의 표면 조도와 표면 광택도 그리고 평탄도는 조질압연의 압연조건에 의하여 많은 영향을 받게 된다.
이하에서는 고 품질의 무광택 스테인레스 강판을 제조하기 위한 조질압연의 압연조건을 살펴본다.
본 발명의 조질압연에서 이용한 압연기는 2단 압연기를 이용하며 압연롤의 직경이 큰 것을 사용하여 건식압연을 한다.
일반적으로 조질압연을 할 경우 가공소재 사이의 표면을 보호하기 위하여 삽입된 종이를 제거한 뒤 압연을 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압연시 스트립 표면에 점착된 복합비닐피막과 함께 압연하게 된다. 이때 점착된 복합비닐피막과 압연롤과의 마찰계수에 따른 가공소재의 최대 물림각도나 압연가능 최소 판두께의 관계를 수학식 1(Eklund 식)에 나타내었다.
[수학식 1]
여기서 Δt ; 최소 판두께 ηf ; 변형효율
μ ; 마찰계수 S ; 평균 변형저항
T1 ; 입측 판두께 T2 ; 출측 판두께
R ; 압연롤의 직경
수학식 1에서 알 수 있듯이 마찰계수가 작으면 작을수록 압연 가능한 판 두께는 더욱 작아진다. 따라서 마찰계수가 작은 복합비닐피막을 사용하게 되면 최소 두께로 압연을 할 수 있다.
제조된 무광택 스테인레스 강판의 표면 조도와 평면형상이 양호한 상태로 가공하기 위해서는 스테인레스 강판을 조질압연할 경우 가공되는 소재의 연신율을 균일화시켜주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일반적인 방법으로 압연을 할 경우 압연롤에 가해지는 압하력에 의하여 압연롤 자체가 휘어지는 현상(roll bending)과 압연롤 표면이 편평화 되는 현상(roll flattening)이 발생하여 압연된 스트립의 폭 방향 두께가 달라지게 된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통상 압연롤의 중심직경을 크게한 크라운롤(roll crown)을 사용하지만 본 발명에서와 같이 복합피를 점착하여 압연할 경우에는 최적의 크라운 롤을 선택하기 어렵고, 또한 압연롤의 변형 형상에 대한 크라운 형상은 단순하기 때문에 가공되는 소재의 연신율을 균일화하는 것이 쉽지 않다.
또한 압연롤의 변형을 방지하려면 압연롤에 가해지는 압하력을 작게하면 가능하지만 본 발명에서와 같이 조질압연단계에서 무광택 무늬를 가공소재 표면에 형성시키고 소재의 기계적 성질을 개선시키기 위해서는 필요한 연신율을 확보하여야만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압연 중에 있는 스트립의 전 후에서 장력을 가하여 주는 방법을 선택하였다.
압연 중인 스트립의 압하력에 대하여 스트립에 장력을 가한 경우와 가하지 않은 경우에 대한 관계는 다음 수학식 2와 3(stone 식)으로부터 알 수 있다.
[수학식 2] 압연되는 스트립에 외부장력을 가한 경우.
[수학식 3] 압연되는 스트립에 외부장력을 가하지 않은 경우.
여기서 Pm ; 평균압력(kg/㎟) S ; 소재의 항복응력
L' ; 접촉호의 길이 μ ; 마찰계수
q' ; 장력 e ; 압연롤의 영률(kg/㎟)
t ; 소재의 두께 P ; 압하력(kg/㎟)
수학식 2와 3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압연되는 스트립에 장력을 가하면 압연을 위한 압하력은 상대적으로 감소한다.
따라서 압연시 압연되는 스트립의 전후에 장력을 가함으로써 압하력을 줄이고 아울러 무광택 무늬를 형성하는데 필요한 연신율을 확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압연시 스트립에 장력을 가한 경우와 가하지 않고 무광택 스테인레스 강판을 제조할 경우 제조된 강판의 표면 형성도에 대하여 표 3에 나타내고 있다.
[표 3]
구분 두께(mm) 복합피 압하력(ton) 장력(ton) 연신율(%) 표면형성도
입측 출측
비교예 1 1.0 미점착 600 0 0 1.0 미달
실시예 1 1.0 점착 300 7 7 1.0 양호
비교예 2 1.4 미점착 300 7 9 0.6 미달
실시예 2 1.4 점착 500 15 19 2.0 양호
비교예 3 1.8 미점착 300 10 13 0.8 미달
실시예 3 1.8 점착 600 18 22 3.0 양호
비교예 4 2.0 미점착 300 12 15 1.0 미달
표 3에 나타나 있듯이 1.0%의 연신율을 나타내도록 박판을 압하할 경우 스트립 전 후방에 장력을 가하지 않고 압연을 하면 압하력은 600 ton이 필요하지만 스트립 전후에 7 ton 만 가해도 필요한 압하력은 300 ton으로 줄어들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무광택 스테인레스 강판을 압연할 경우 압연롤의 편평도는 약 1/8 정도 줄어들고 압연롤의 휨 현상 역시 1/2 정도 줄어든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 압연되는 스트립에는 연신이 판 전체에 균일하게 일어나게 되어 제조된 무광택 강판의 표면 무늬 형성도는 양호한 상태로 형성되었다.
무광택 스테인레스 강판의 제조시 주의하여야 할 또 다른 점으로는 압연강판의 마무리 평탄도를 확보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무광택 무늬를 형성하는 압연은 무광택 무늬가 전사되는 강판표면에 인장변형응력이 발생하고 이것은 압연 후에 내부 응력분포가 압축변형응력으로 잔류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압연 후에 압축변형응력이 압연강판내에 잔류하게 되면 이 압축응력에 따라 강판은 부분적인 좌굴이 발생하여 폭과 길이 방향의 형상변형인 이파나 중파등의 형상불량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형상불량을 교정하기 위하여 압연되는 강판의 입, 출측 장력의 평균값을 평균압하력을 얻기 위한 값보다 증가시켜 즉, 고장력 인장가공을 행함으로서 압연되는 강판에 소성변형을 가하여 형상불량을 미연에 방지하였다.
압연되는 강판에 소성변형이 형성되는 영역을 산출하기 위하여 압축변형영역의 폭과 압연강판의 두께 비에 따른 굽휨하중에 의한 임계응력의 관계를 수학식 4에 나타내었다.
여기서 εer; 굽휨하중에 의한 임계응력 K ; 상수
r ; Polsson's Ratio h ; 스트립의 두께
b ; 압축변형영역의 폭
고장력 인장가공에 의한 형상부정영역을 나타낸 도2를 참고하여 소성변형 영역을 확인해 보면, 압축변형영역의 폭과 압연강판의 두께 비(h/b)는 최대압축 기울기(Δε)에 반비례하므로 입, 출측 장력의 평균값(σave)이 증가하면 최대압축 기울기(Δε)가 감소하고 압축변형영역의 폭과 압연강판의 두께 비(h/b)가 증대해서 형상부정영역을 회피할 수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무광택 스테인레스 강판을 조질압연단계에서 압연할 경우 강판의 입, 출측 장력을 가하고 인가하는 장력은 압연을 위해 필요한 평균압하력 보다 소성변형을 일으킬 정도로 증가시켜 압연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의 a 와 b의 사진에는 본 발명과 종래의 무광택 스테인레스 강판 제조공정에 의하여 생산된 강판의 표면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의 a에 나타난 본 발명의 제조공정에 따라 생산된 스테인레스 강판의 표면 상태는 도 3의 b에 나타난 종래의 제조공정에 따라 생산된 스테인레스 강판의 표면 상태 보다 미려하고 고급스러운 표면상태를 나타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조질압연단계에서 스트립 표면에 무광택무늬를 형성시키는 복합피막을 압연되는 스트립 표면에 점착하여 직접 가공함으로서 종래와 같은 무광택 무늬 형성을 위한 별도의 냉간압연공정과 광휘소둔을 행하지 않아도 되므로 공정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로 인하여 본 발명에 따라 무광택 스테인레스 강판을 생산할 경우 생산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무광택 스테인레스 강판을 제조할 경우 조질압연 단계에서 강판의 입, 출측 장력을 압연에 필요한 평균압하력 보다 소성변형을 일으킬 정도로 증가시키도록 압연 조건을 제어하여 압연을 함으로서 종래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생산된 것 보다 표면 조도와 표면 광택도 그리고 편평도가 우수한 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

Claims (9)

  1. 무광택 스테인레스 강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스테인레스 강 원료를 용융, 정련, 주조하고 열간압연하여 강판을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제조된 강판을 소둔연화시키는 열연소둔단계;와
    상기 소둔된 강판을 열연산세처리하는 산세처리단계;와
    상기 산세처리된 강판을 냉간압연하여 박판으로 만드는 단계;와
    상기 냉간압연한 박판을 냉연소둔산세처리 또는 광휘소둔처리하는 단계;와
    상기 소둔처리된 박판을 무광택 무늬가 형성된 복합피막과 함께 조질압연하여 조질압연된 박판의 단면 또는 양면에 무광택 무늬를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광택 스테인레스 강판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질압연단계 이후에 형상교정기에서 표면 형상을 교정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광택 스테인레스 강판의 제조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인레스 강은 17 중량 %의 크롬(Cr)과 7 중량 %의 니켈(Ni)과 0.03 중량% 이하의 탄소와 1000 ppm 이상의 질소가 함유되고 잔부는 철(Fe)로 구성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 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광택 스테인레스 강판의 제조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냉연소둔단계의 박판을 리코일링하고 상기 리코일링할 때 무광택 무늬가 형성된 복합피막을 박판 사이에 삽입시켜 함께 리코일링하고, 상기 조질압연을 완료한 이후에 상기 복합피막을 분리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광택 스테인레스 강판의 제조방법.
  5. 제 1 항, 제 2 항 또는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피막은 1-3% 연신율의 조질압연조건에 견딜 수 있는 내열성과 인장강도를 갖고, 0.2 ㎛ 이상의 표면 거칠기를 갖는 종이, 천 비닐류 중에서 선택된 복합피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광택 스테인레스 강판의 제조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피막은 HDPE(7000) 55 중량%, HDPE (700-1) 10 중량%, LDPE(301) 8중량%, F.T(7000-3) 12중량%, E.V.A 2.5 중량%, F.P(1-5) 5 중량%, R.B 3.5% 로 이루어지고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3 중량%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광택 스테인레스 강판의 제조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조질압연은 입, 출측 강판에 장력을 인가한 상태에서 조질압연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광택 스테인레스 강판의 제조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조질압연시 인가한 장력은 압연을 위해 필요한 평균압하력 보다 소성변형을 일으킬 정도로 증가시켜 조질압연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광택 스테인레스 강판의 제조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조질압연시 인가한 장력은 7 ton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광택 스테인레스 강판의 제조방법.
KR10-1999-0065108A 1999-12-29 1999-12-29 무광택 스테인레스 강판의 제조 방법 KR1004176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5108A KR100417699B1 (ko) 1999-12-29 1999-12-29 무광택 스테인레스 강판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5108A KR100417699B1 (ko) 1999-12-29 1999-12-29 무광택 스테인레스 강판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5236A true KR20010065236A (ko) 2001-07-11
KR100417699B1 KR100417699B1 (ko) 2004-02-11

Family

ID=19632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5108A KR100417699B1 (ko) 1999-12-29 1999-12-29 무광택 스테인레스 강판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769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59055A (zh) * 2011-03-31 2013-12-18 日新制钢株式会社 不锈钢板及其制造方法
CN114686666A (zh) * 2022-03-31 2022-07-01 天津太钢天管不锈钢有限公司 一种建筑预埋件用304奥氏体不锈钢及其制造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0184B1 (ko) * 2010-12-01 2013-02-06 주식회사 포스코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49625A (ja) * 1987-04-03 1988-10-17 Nippon Steel Corp 樹脂張り積層鋼板の製造方法及び装置
JPH0352715A (ja) * 1989-07-19 1991-03-06 Kawasaki Steel Corp ステンレス冷延鋼帯のレベリング方法
JPH05200409A (ja) * 1992-01-29 1993-08-10 Kawasaki Steel Corp ダル仕上ステンレス鋼板の製造方法
JP3819059B2 (ja) * 1995-10-27 2006-09-06 日新製鋼株式会社 耐スクラッチ性に優れた樹脂被覆ステンレス鋼板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59055A (zh) * 2011-03-31 2013-12-18 日新制钢株式会社 不锈钢板及其制造方法
CN114686666A (zh) * 2022-03-31 2022-07-01 天津太钢天管不锈钢有限公司 一种建筑预埋件用304奥氏体不锈钢及其制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17699B1 (ko) 2004-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03996C (en) Hot rolled steel sheet and its production process
JP5035806B2 (ja) 1次冷延シャドウマスク鋼帯の製造方法
JP6455640B1 (ja) 2ピース缶用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MXPA01006761A (es) Banda de acero con buenas caracteristicas de deformacion y proceso para producirla.
KR100417699B1 (ko) 무광택 스테인레스 강판의 제조 방법
KR100417683B1 (ko) 무광택 엠보싱 스테인레스 강판의 제조 방법
JPH0394018A (ja) 曲げ加工性にすぐれる高張力浴融亜鉛めっき鋼板の製造方法
JPS5947602B2 (ja) 帯鋼の圧延方法及びその装置
CN113145642A (zh) 一种酸洗板及其制备方法
EP1022347A1 (en) Method for producing raw plate for surface treatment plate for can using continuous annealing
JPH1088302A (ja) 防眩性に優れたチタン板の製造方法
JPH0379718A (ja) 表面性状と加工性に優れた複合組織熱延高張力鋼板の製造方法
JP3276582B2 (ja) Ni拡散メッキ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506541B1 (ko) 강대의 열간 압연 방법
JPH03150316A (ja) 深絞り用冷延鋼板の製造方法
JPS6053086B2 (ja) 形状に優れた極薄亜鉛めつき鋼板用原板の製造方法
JPH09189540A (ja) 薄鋼板における筋状欠陥の評価方法
JP2000087145A (ja) 面内異方性のコイル内均一性に優れた2ピース缶用鋼板の製造方法
JPH10330844A (ja) 成形性に優れた冷延鋼板の製造方法
JPH0999304A (ja) リジング特性の良好な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の製造方法
JPH0156126B2 (ko)
JPH0142329B2 (ko)
RU1780884C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 холоднокатаной нагартованной ленты дл производства биметаллических ленточных пил
JP3371670B2 (ja) 加工性に優れた溶融亜鉛めっき鋼板の製造方法
JP4151443B2 (ja) 打抜き後の平坦度に優れる薄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6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