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62868A - 장의차량의 조화장식방법 - Google Patents

장의차량의 조화장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62868A
KR20010062868A KR1019990060699A KR19990060699A KR20010062868A KR 20010062868 A KR20010062868 A KR 20010062868A KR 1019990060699 A KR1019990060699 A KR 1019990060699A KR 19990060699 A KR19990060699 A KR 19990060699A KR 20010062868 A KR20010062868 A KR 200100628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decorative panel
compartments
compartment
partitio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06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현
Original Assignee
이진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진현 filed Critical 이진현
Priority to KR10199900606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62868A/ko
Publication of KR200100628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2868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1/00Funeral aspects of hearses or like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6Natural ornaments; Imitations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구성(耐久性)과 심미감이 우수한 플라스틱조화를 굴신성(屈伸性)이 우수한 다수개의 통공이 천공된 조화장식판넬에 내삽시켜 결합하고, 상기 조화장식판넬을 차량 표면의 외곽형상에 맞춰 구획되어 설치된 장착대에 의해 장착하거나, 조화장식판넬을 나사등에 의해 직접 장착될 수 있도록 구성하므로써 차량에 형태나 종류에 구애받지 않고 표면의 굴곡, 외곽형상에 맞춰 빽빽하게 아름답게 플라스틱조화를 장식할 수 있으며, 장식이 용이하고, 내구성이 좋아 악천후에도 사용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장의차량의 조화장식방법{A ornamental method with artificial flowers in funeral vehicle}
본 발명은 장의차량의 조화장식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플라스틱조화를 사용하여 장식하므로 내구성이 좋고, 심미성이 우수하며, 장식이 매우 용이한 장의차 조화장식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장례의식용 차량으로는 자가용 및 버스, 트럭등 다양한 차량이 사용되고 있으며, 장례식의 경건함과 돌아가신 분에게 애도를 표하는 의미에서 차량에 표면에 조화를 덮어 장의차량이 초라하지 않게 장식하여 장지(葬地)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 장의차량의 장식방법으로는 종이조화를 천에 매달고, 상기 천으로 차량의 표면을 피복하는 것으로, 종이를 재질로 하는 조화를 사용하므로 품위가 떨어질 뿐만 아니라, 종이조화는 핀 또는 실에 의해 천에 매우 취약한 상태로 부착된 상태이므로 내구성이 좋지 못해 일회용으로 밖에는 사용할 수 없으며, 비나 눈과 같은 악천후에는 너무나 쉽게 훼손되므로 사용할 수 없는 폐단을 갖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폐단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내구성(耐久性)과 심미감이 우수한 플라스틱조화를 굴신성(屈伸性)이 우수한 다수개의 통공이천공된 아크릴판에 내삽시켜 조화장식판넬을 제조하고, 상기 조화장식판넬을 차량 표면의 외곽형상에 맞춰 구획되어 설치된 장착대에 의해 장착하거나, 또는 직접 나사 등에 의해 장착되도록 구성하므로써 차량에 상관없이 플라스틱조화를 장의차량의 표면에 빽빽하고 아름답게 장식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 - 본 발명에 있어서 조화장식판넬의 분리사시도.
도 2 - 도 1의 단면도.
도 3 - 장의차량에 본 발명 장착대를 장착하는 상태를 보이기 위한 분리사시도.
도 4 - 본 발명 장착대에 조화장식판넬을 장착하는 상태를 보이기 위한 참고도.
도 5 - 본 발명에 있어서 다른 장착예를 보이기 위한 조화장식판넬의 사시도.
도 6 - 장의차량에 본 발명 다른 장착예에 의해 조화장식판넬을 장착하는 상태를 보이기 위한 참고도.
도 7 - 본 발명의 사용상태참고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조화장식판넬 10,10a: 아크릴판
11: 통공 20: 플라스틱 조화
21: 줄기 30: 장착대
31: 걸림턱 40: 나사
A: 융착부 B: 장의차량(이하 차량이라 한다)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장의차량의 조화장식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면 차량(B)의 전면과 양측면, 배면을 여러개의 칸으로 구획하는 단계와, 상기 구획된 칸의 외곽형상과 동일하게 제작된 걸림턱(31)을 구비하는 장착대(30)를 차량의 표면에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장착대(30)에 구획된 칸의 외곽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 플라스틱조화(20)가 결합된 아크릴판(10)을 내삽시켜 장착하는 단계에 의해 구성되어지는 것이다.
각 단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차량의 표면을 여러개의 칸으로 구획하는 이유는 버스와 같은 대형 장의차량의 경우 각각의 면은 상당한 넓이를 갖는 것이므로 그와 동일한 크기의 조화장식판넬(1)을 제작하기도 곤란할 뿐만 아니라 이를 장착하는 것도 매우 곤란하다.
따라서 각각의 면을 적당한 크기로 여러개의 칸으로 구획하되 가급적 조화장식판넬(1)의 형상이 복잡해지지 않도록 분리하여야 한다.
또한 장착대(30)를 차량의 표면에 설치한 후 조화장식판넬(1)을 내삽시킴에 있어 조화장식판넬(1)의 장착이 용이하여야 한다.
다음 구획된 칸의 외곽형상과 동일하게 장착대(30)를 제작하여야 하는데, 이때 장착대(30)가 일체로 구획된 칸의 외곽형상과 동일하게 제작될 수도 있고, 부분 부분으로 분리되어 제작될 수도 있다.
물론 부분으로 제작되었다 하더라도 차량의 표면에 설치시에는 구획된 칸의 외곽형상과 동일하게 설치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따라서 구획된 칸의 외곽형상과 동일한 형태로 차량의 표면에 설치된 상기 장착대(30)에 조화장식판넬(1)을 장착하기 위해서는 당연히 조화장식판넬(1) 역시 구획된 칸의 외곽형상과 동일한 형태를 가져야 한다.
상기 조화장식판넬(1)은 합성수지를 재질로 제조되어지며, 저렴하고 굴신성이 우수하며, 플라스틱조화(20)가 쉽게 융착될 수 있는 아크릴판(10)이 가장 바람직한 재질이다.
또한 상기 장착대(30)는 단면의 형상이 "ㄷ"형상을 가지며, 나사공(33)이 형성된 장착부(32)와 상기 장착부(32)의 전방에 형성된 걸림턱(31)으로 구성되어진다. 그러나 상기 장착대(30)는 상기한 형태와 구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보다 여러가지 형태와 구조로 실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장착대(30)와 조화장식판넬(1)을 이용하여 차량의 모든 부분을 조화로 장식할 수 있으나,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장착할 수도 있다.
즉 차량(B)의 전면과 양측면, 배면을 여러개의 칸으로 구획하는 단계와, 상기 구획된 칸의 외곽형상과 동일하게 제작된 조화장식판넬(1)을 나사(40) 또는 리벳에 의해 직접 장착하는 단계에 의해서 유리창을 제외한 차량(B)의 모든 표면을플라스틱조화(20)로 덮어 장식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방법들은 서로 병행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즉 차량의 평편한 면은 장착대(30)에 의해 조화장식판넬(1)을 장착할 수 있도록 하고, 차량의 측면과 상부면이 맞닿은 모서리같은 부분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화장식판넬(1)을 휘어 나사(40) 등으로 차량의 표면에 직접 장착하는 것이 보다 제작이 용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본 발명은 내구성과 심미감이 좋은 플라스틱조화(20)를 조화장식판넬 (1)에 의해 장의차량의 형태나 종류에 구애받지 않고 표면의 굴곡, 외곽형상에 맞춰 빽빽하게 아름답게 장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플라스틱조화(20)를 조화장식판넬(1)에 의해 장의차량의 형태나 종류에 구애받지 않고 표면의 굴곡, 외곽형상에 맞춰 완벽하고 빽빽하게 장식할 수 있으면서도, 조화를 장식함에 있어 번거롭지 않고, 또 장의차량을 보다 품위있게 꾸밀 수 있으며, 내구성이 좋고 악천후에도 사용할 수 있어 매우 경제적인 발명인 것이다.

Claims (3)

  1. 장의차량(B)에 조화를 장식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장의차량(B)의 전면과 양측면, 배면을 여러개의 칸으로 구획하는 단계와, 상기 구획된 칸의 외곽형상과 동일하게 제작된 장착대(30)를 차량의 표면에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장착대(30)에 구획된 칸의 외곽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 플라스틱조화(20)가 결합된 조화장식판넬(1)을 내삽시켜 장착하는 단계에 의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장의차량의 조화장식방법.
  2. 장의차량(B)에 조화를 장식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차량(B)의 전면과 양측면, 배면을 여러개의 칸으로 구획하는 단계와, 상기 구획된 칸에 구획된 칸의 외곽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 플라스틱조화(20)가 결합된 조화장식판넬(1)을 나사 (40) 또는 리벳에 의해 차량의 표면에 직접 장착하는 단계에 의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장의차량의 조화장식방법.
  3. 장의차량(B)에 조화를 장식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장의차량(B)의 전면과 양측면, 배면을 여러개의 칸으로 구획한 다음, 상기 구획된 칸의 일부는 구획된 칸의 외곽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 장착대(30)를 설치하고 조화장식판넬(1)을 내삽시켜 장착하고, 다른 일부의 구획된 칸에는 구획된 칸의 외곽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 조화장식판넬(1)을 나사(40) 또는 리벳에 의해 직접 장착하므로써 장의차량의표면에 플라스틱조화를 장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의차량의 조화장식방법.
KR1019990060699A 1999-12-18 1999-12-18 장의차량의 조화장식방법 KR200100628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0699A KR20010062868A (ko) 1999-12-18 1999-12-18 장의차량의 조화장식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0699A KR20010062868A (ko) 1999-12-18 1999-12-18 장의차량의 조화장식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2868A true KR20010062868A (ko) 2001-07-09

Family

ID=19628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0699A KR20010062868A (ko) 1999-12-18 1999-12-18 장의차량의 조화장식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6286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5887B1 (ko) * 2005-12-01 2006-06-02 김용선 영구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5887B1 (ko) * 2005-12-01 2006-06-02 김용선 영구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674339A (zh) 一种带灯外装饰条
KR20010062868A (ko) 장의차량의 조화장식방법
KR200191001Y1 (ko) 장의차량용 조화장식구
CN205686250U (zh) 一种背门扣手盒及汽车
CN100469610C (zh) 轿车车门结构及隔音板
CN208452924U (zh) 装饰结构及汽车
CN208813044U (zh) 新型汽车座椅头枕结构
JPH0113643Y2 (ko)
CN210828197U (zh) 一种可用于高低扣板的收边装饰条
JPS61287832A (ja) 自動車用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
CN218479390U (zh) 一种集成吊顶大错层型材
CN203819370U (zh) 一种车辆扰流板
CN216643966U (zh) 一种柜子的氛围灯结构
CN210723725U (zh) 一种具有立体装饰感的配电柜
CN220682486U (zh) 一种b柱饰板、b柱总成及车辆
CN107697168A (zh) 一种公交车用仪表台总成
CN211353238U (zh) 一种外壳包裹组合花箱
CN220742671U (zh) 一种集成式交互尾门
CN218112533U (zh) 门外护板装置及具有其的车门
JPH0556821A (ja) 壁面への箱物の取付構造
CN208544222U (zh) 集成式大灯饰条固定结构
CN210511479U (zh) 一种灯饰盖板
CN108501831A (zh) 带有集成结构部件的装载箱导轨装饰件
JPH048035Y2 (ko)
CN205606399U (zh) 一种电动车前大灯灯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