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61526A - 유에스비(usb) 시스템 및 그의 주변기기 판별방법 - Google Patents

유에스비(usb) 시스템 및 그의 주변기기 판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61526A
KR20010061526A KR1019990064022A KR19990064022A KR20010061526A KR 20010061526 A KR20010061526 A KR 20010061526A KR 1019990064022 A KR1019990064022 A KR 1019990064022A KR 19990064022 A KR19990064022 A KR 19990064022A KR 20010061526 A KR20010061526 A KR 200100615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b
peripheral device
hub
preamble signal
ho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4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석
Original Assignee
박종섭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섭,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박종섭
Priority to KR10199900640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61526A/ko
Publication of KR200100615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1526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382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using universal interface adap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40Bus structure
    • G06F13/4063Device-to-bus coupling
    • G06F13/4068Electrical coupling
    • G06F13/4081Live connection to bus, e.g. hot-plug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Information Transfer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 저항이 필요 없는 USB 시스템 및 주변기기 판별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USB 호스트/허브와 USB 주변기기가 전송선로 구비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는 USB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USB 호스트/허브는, 상기 USB 호스트/허브를 제어하는 USB 호스트/허브 콘트롤러와, 상기 USB 주변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정보 중 프리엠블 신호를 검출하여 프리엠블 신호의 주파수를 계수하는 주파수 카운터와, 상기 전송 선로를 통하여 상기 USB 주변기기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USB 호스트/허브 송수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USB 주변기기는, USB 주변기기를 제어하는 USB 주변기기 콘트롤러와, 소정 주파수의 프리엠블 신호를 발생하여 출력하는 프리엠블 신호 발생기와, 상기 전송 선로를 통하여 상기 USB 호스트/허브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USB 주변기기 송수신부를 구비하며, 상기 전송선로는 USB 호스트/허브측과 접지 사이에 저항을 연결하여 구성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에스비(USB) 시스템 및 그의 주변기기 판별방법{USB System and method for discriminating peripheral device the same}
본 발명은 유니버설 시리얼 버스(Universal Serial Bus(이하 USB라함)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USB 장치에 접속되어 있는 풀 스피드(Full Speed)용 주변기기와 로우 스피드(Low Speed)용 주변기기를 간단하게 구별할 수 있는 USB 시스템 및 그의 주변기기 종류 확인 방법에 관한 것이다.
USB 시스템은 "12Mbps"의 전송속도, 즉 "풀 스피드(Full Speed)"로 정보를 주고받기 위해서는 풀 스피드용 주변기기와 접속하여 사용하며, "1.5Mbps"의 전송속도 즉 "로우 스피드(Low Speed)"로 정보를 주고받기 위해서는 로우 스피드용 주변기기와 접속하여 사용한다.
종래의 USB 시스템이 풀 스피드용 주변기기에 연결 구성한 시스템은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로우 스피드용 주변기기와 연결 구성한 시스템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것이 알려져 있다.
즉 USB 호스트/허브(Hub)(10)와 풀 스피드용 USB 주변기기(11)는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전송선로(L1,L2)와 연결되어 있고 2개의 전송선로(L1,L2)에는 각각 풀다운용 저항이 접지측과 연결되어 있으며 풀 스피드용 주변기기(11)측의 전송선로(L1)에는 풀업용 저항(R3)이 전원(VDD)측과 연결되어 있다.
또한 USB 호스트/허브(12)와 로우 스피드용 USB 주변기기(13)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전송선로(L3,L4)로 연결 접속되어 있고, USB 호스트/허브(12)측의 전송 선로(L3,L4)에는 각각 풀다운 저항(R4,R5)이 접지측과 연결되어 있고 로우스피드용 USB 주변기기(13)의 전송선로(L4)측에는 전원(VDD)측과 풀업용 저항(R6)이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풀다운 저항(R1,R2,R3,R4)은 15㏀의 저항을, 풀업 저항(R3,R6)은 1.5㏀의 저항을 사용하고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USB 시스템에 전원을 공급하였을 때 전송 선로 전압을 도시한 그래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USB 시스템에 전원을 공급하였을 때의 전송 선로전압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에 도시된 USB 시스템에 전원이 공급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송 선로(L1)는 공급전압(VDD)까지 상승하고 전송선로(L2)는 접지전압 상태를 유지한다.
실제로는 전송선로(L1)는 1.5㏀의 풀업용 저항(R3)을 경유하여 공급전압(VDD) 이 인가되어 있고 15㏀의 저항(R1,R2)를 경유하여 접지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전송선로(L1)의 전압은 0.9VDD(=VDD-VDD/10)(V)전압까지 상승한다.
따라서 USB 시스템은 공급전원이 인가되었을 때 전송선로(L1)가 0.9VDD까지 상승하고 전송선로(L2)가 접지상태에 있으면, 풀 스피드용 주변기기(11)가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전송선로(L1,L2)를 통하여 "12Mbps"의 전송 속도로 정보를 주고받는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USB 시스템에 전원이 공급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전송선로(L3)는 접지 상태를 유지하고 전송선로(L4)는 공급전압 VDD까지 상승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전송선로(L4)는 풀업 저항(R6)에서 강하된 전압만큼을 감한 0.9VDD까지 상승한다.
따라서 USB 시스템은 공급전원이 인가되었을 때 전송선로(L3)의 전압이 접지상태로 전송선로(L4)의 전압이 0.9VDD까지 상승하고 있으면 로우 스피드용 USB 주변기기(13)가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전송선로(L3,L4)를 통하여 "1.5Mbps"의 전송속도로 정보를 주고받는다.
그러나 종래의 USB 시스템은 연결되어 있는 주변기기가 풀 스피드용 USB 주변기기인지 로우 스피드용 USB 주변기기인지를 알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주변기기쪽에 풀업용 저항(R3,R6)을 전송 선로에 연결하여 주여야 하기 때문에 실제 USB 시스템을 설치할 때 반드시 외부저항이 연결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 저항이 필요 없는 USB 시스템 및 주변기기 판별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USB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의 다른 USB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 및 도 4는 각각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USB 시스템에 전원을 인가하였을 때의 전송선로의 전압을 나타낸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USB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의 USB 호스트/허브의 상세 블록도,
도 7은 도 5의 USB 주변기기의 상세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에서의 프리엠블 신호를 나타낸 도면이다.
주요 도면 부호의 부호설명
10,12,20 : USB 호스트/허브 11,13,30 : USB 주변기기
21 : USB 호스트/허브 콘트롤러 22 : 주파수 카운터
23 : USB 호스트/허브 송수신기 31 : USB 주변기기 송수신기
32 : 프리엠블 발생기 33 : USB 주변기기 콘트롤러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USB 시스템은 USB 호스트/허브와 USB 주변기기가 전송선로를 통하여 연결되는 USB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USB 호스트/허브는 USB 호스트/허브를 제어하는 USB 호스트/허브 콘트롤러와, 상기 USB 주변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정보 중 프리엠블 신호를 검출하여 프리엠블 신호의 주파수를 계수하는 주파수 카운터와, 상기 전송선로를 통하여 상기 USB 주변기기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USB 호스트/허브 송수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USB 주변기기는 USB 주변기기를 제어하는 USB 주변기기 콘트롤러와, 소정 주파수의 프리엠블 신호를 발생하여 출력하는 프리엠블 신호 발생기와, 상기 전송 선로를 통하여 상기 USB 호스트/허브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USB 주변기기 송수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USB 호스트/허브측의 전송선로에 저항이 연결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USB 호스트/허브와 USB 주변기기가 전송선로를 통하여 연결된 USB 시스템에서 USB 주변기기를 판별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USB 시스템에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USB 주변기기에서 소정 주파수의 프리엠블 신호를 발생하여 USB 호스트/허브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USB 주변기기로부터 전송된 프리엠블 신호를 검출하여 소정 주파수 개수만큼 프리엠블 신호의 주파수를 계수하는 단계와, 상기 주파수를 계수하는 시간에 따른 속도를 산출하여 USB 주변기기를 판별하는 단계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USB 시스템 및 그의 주변기기 판별 방법에 따르면 USB 주변기기로부터 발생하여 전송되어온 프리엠블 신호의 주파수를 해당구간만큼 계수하여 시간을 검출하고 그 시간에 상응하는 속도를 산출함으로서 접속되는 USB 주변기기가 풀 스피드용인지 로우 스피드용인지를 판별할 수 있어 USB 주변기기를 판별하기 위한 외부 저항을 설치할 필요가 없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에 근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USB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USB 시스템의 USB 호스트/허브에 대한 실제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USB 시스템의 주변기기에 대한 상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USB 시스템은 USB 호tm트/허브(20)와 USB 주변기기(30)를 한 쌍의 전송라인(L5,L6)으로 연결하고 상기 전송라인(L5,L6)은 상기 USB 호스트/허브(20)측에서 풀업 저항(L7)을 통하여 전원(VDD)에 접속되고 저항(R8)을 통하여 접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USB 호스트/허브(20)는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USB 호스트/허브(20) 전체를 제어하는 USB 호스트/허브 콘트롤러(21)와, 상기 USB 주변기기(30)로부터 입력되는 정보 중 프리엠블 신호를 검출하여 프리엠블 신호의 주파수를 계수하는 주파수 카운터(22)와, 전송선로(L5,L6)를 통하여 상기 USB 주변기기(30)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USB 호스트/허브 송수신부(23)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USB 주변기기(30)는 USB 주변기기 전체를 제어하는 USB 주변기기 콘트롤러(31)와 소정 주파수의 프리엠블 신호를 발생하여 출력하는 프리엠블 신호 발생기(32)와, 상기 전송선로(L5,L6)를 통하여 상기 USB 호스트/허브(20)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USB 주변기기 송수신부(33)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프리엠블 신호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송라인(L5,L6)에 각각 일정구간(L)에 걸쳐서는 예를 들면 6개의 펄스가 생성되게 하는 주파수로 진동하고 나머지의 구간에서는 일정의 직류레벨을 가지는 신호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USB 시스템은 먼저 USB 시스템에 전원을 인가한 후, USB 주변기기(30)의 프리엠블 발생기(32)로부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프리엠블 신호를 발생하여 USB 주변기기 송수신부(31)와 전송선로(L5,L6) 및 USB 호스트/허브 송수신부(21)를 통하여 주파수 카운터(22)로 전송된다.
주파수 카운터(22)에서는 상기 프리엠블 신호의 주파수를 계수하고 이 계수에 소요되는 시간을 측정하여 풀 스피드용의 USB 주변기기인지 로우 스피드용의 USB 주변기기인지를 판정한다.
즉, 풀 스피드용의 USB 주변기기 일 경우에는 12Mbps로 정보를 전송하기 때문에 프리엠블 신호의 천이지점(P1)에서 더 이상 천이를 하지 않는 지점(P2)까지는가 소요된다.
이에 대하여 로우 스피드용 USB 주변기기일 경우에는 1.5Mbps로 정보를 전송하기 때문에 첫 번째 천이지점(P1)에서 더 이상 천이를 하지 않는 지점(P2)까지는가 소요된다.
따라서 USB 호스트/허브의 주파수 카운터(22)에서 USB 주변기기(30)로부터 들어오는 프리엠블 신호 중 첫 번째 천이지점(P1)에서 더 이상 천이를 하지 않는 지점(P2)까지의 소요시간을 계산하여이면 풀 스피드용 USB 주변기기가,이면 로우 스피드용 주변기기가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판별하여 USB호스트/허브 콘트롤러(21)에 알려주면 USB 호스트/허브 콘트롤러(21)는 차후의 정보 전송을 풀 스피드인 "12Mbps"로 할 것인지 로우 스피드인 "1.5Mbps"로 할 것인지를 결정한다.
본 발명은 USB 주변기기에 내장되어 있는 프리엠블 발생기에서 프리엠블 신호를 발생하여 USB 호스트/허브 내의 주파수 카운터로 전송하면 주파수 카운터는 프리엠블 신호의 처음 천이지점에서 더 이상 천이가 되지 않는 지점까지의 주파수를 계수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으로 풀 스피드용 USB 주변기기가 접속되어 있는지 로우 스피드용 USB 주변기기가 접속되어 있는지를 판별할 수 있으므로 USB 주변기기쪽의 외부에 풀업용 저항을 설치할 필요가 없게되어 USB 시스템 구현이 간편하게 된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USB 호스트/허브와 USB 주변기기가 전송선로 구비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는 USB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USB 호스트/허브는,
    상기 USB 호스트/허브를 제어하는 USB 호스트/허브 콘트롤러와,
    상기 USB 주변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정보 중 프리엠블 신호를 검출하여 프리엠블 신호의 주파수를 계수하는 주파수 카운터와,
    상기 전송 선로를 통하여 상기 USB 주변기기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USB 호스트/허브 송수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USB 주변기기는,
    USB 주변기기를 제어하는 USB 주변기기 콘트롤러와,
    소정 주파수의 프리엠블 신호를 발생하여 출력하는 프리엠블 신호 발생기와,
    상기 전송 선로를 통하여 상기 USB 호스트/허브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USB 주변기기 송수신부를 구비하며,
    상기 전송선로는 USB 호스트/허브측에서 접지 사이에 저항을 연결하여 구성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USB 시스템.
  2. USB 호스트/허브와 USB 주변기기가 전송선로를 통해 연결된 USB 시스템에서 USB 주변기기를 판별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USB 시스템에 전원을 인가하는 단계와,
    상기 USB 주변기기에서 소정 주파수를 가진 프리엠블 신호를 발생하여 USB 호스트/허브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USB 주변기기로부터 전송된 프리엠블 신호를 검출하여 소정의 주파수 개수만큼을 프리엠블 신호의 주파수를 계수하는 단계와,
    상기 주파수를 계수하는 시간에 상응하는 속도를 산출하여 USB 주변기기의 종류를 판별하는 단계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USB 시스템의 주변기기 판별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엠블 신호는 처음 천이하는 곳에서 더 이상 천이하지 않는 곳까지에 걸친 일정 구간에서 소정 주파수 개수를 가지도록 구성하고 상기 속도는 상기 프리엠블 신호의 처음 천이하는 부분에서 더 이상 천이하지 않는 부분 사이의 주파수를 계수하는 데 걸리는 시간에 근거하여 산출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USB 시스템의 주변기기 판별방법.
KR1019990064022A 1999-12-28 1999-12-28 유에스비(usb) 시스템 및 그의 주변기기 판별방법 KR200100615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4022A KR20010061526A (ko) 1999-12-28 1999-12-28 유에스비(usb) 시스템 및 그의 주변기기 판별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4022A KR20010061526A (ko) 1999-12-28 1999-12-28 유에스비(usb) 시스템 및 그의 주변기기 판별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1526A true KR20010061526A (ko) 2001-07-07

Family

ID=19631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4022A KR20010061526A (ko) 1999-12-28 1999-12-28 유에스비(usb) 시스템 및 그의 주변기기 판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6152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2980A (ko) * 2002-03-07 2003-09-19 기가시스네트(주) USB Host/Client 동작 모드 검출 및 모드 변경 실행방법과 이를 이용한 장치.
CN103812607A (zh) * 2013-12-04 2014-05-21 安徽虹庄微电子有限公司 一种模拟usb3.0传输过程中包出错的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2980A (ko) * 2002-03-07 2003-09-19 기가시스네트(주) USB Host/Client 동작 모드 검출 및 모드 변경 실행방법과 이를 이용한 장치.
CN103812607A (zh) * 2013-12-04 2014-05-21 安徽虹庄微电子有限公司 一种模拟usb3.0传输过程中包出错的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8496B1 (ko) 호스트와 통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20020169915A1 (en) USB connection-detection circuitry and operation methods of the same
US7500027B2 (en) Emulation of a disconnect of a device
EP0030095B1 (en) Bus transmission system
CN102591826B (zh) Usb隔离设备中检测与断言总线速度条件的方法与系统
JP4818928B2 (ja) PCIExpressバス上の受信機検出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6691056B2 (en) Circuit arrangement for error recognition of a two-wire data bus
US9678919B2 (en) Collision detection in EIA-485 bus systems
US20080034138A1 (en) Method and system for extending the functionality of an embedded USB transceiver interface to handle threshold shift of a USB 2.0 bus during high-speed chirp
US576146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ogic network interfacing with automatic receiver node and transmit node selection capability
WO2001044959A1 (en) Peripheral bus extender
US20030158991A1 (en) Transceiver circuitry for sending and detecting OOB signals on serial ATA buses
KR20010061526A (ko) 유에스비(usb) 시스템 및 그의 주변기기 판별방법
KR960015245A (ko) 컴퓨터 인터페이스의 버스 구동장치
JPH02285748A (ja) 光ファイバ用伝送制御装置
US568732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signals over a wire pair having activity detection capability
US5986352A (en) Smart peripheral back-power prevention
JP2661583B2 (ja) クロック信号分配装置及び方法
CN118051462A (zh) 具有动态地址表的串行通讯总线系统及其控制方法
JPH0991072A (ja) データ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H01260949A (ja) 衝突検出回路
JPH10250195A (ja) 周辺装置
JPH08328709A (ja) 周辺装置
JPS59191943A (ja) ケ−ブル未接続検出方式
KR20010003640A (ko) 비동기전송모드 기반 이동 통신시스템의 셀 손실 방지회로 및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