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61351A - 커패시터가 접속된 포토다이오드를 갖는 씨모스이미지센서의 단위화소 - Google Patents

커패시터가 접속된 포토다이오드를 갖는 씨모스이미지센서의 단위화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61351A
KR20010061351A KR1019990063845A KR19990063845A KR20010061351A KR 20010061351 A KR20010061351 A KR 20010061351A KR 1019990063845 A KR1019990063845 A KR 1019990063845A KR 19990063845 A KR19990063845 A KR 19990063845A KR 20010061351 A KR20010061351 A KR 200100613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diode
image sensor
cmos image
capacitor
unit pix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38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훈상
한진수
Original Assignee
박종섭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섭,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박종섭
Priority to KR10199900638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61351A/ko
Priority to US09/742,168 priority patent/US6441412B2/en
Publication of KR200100613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1351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01L27/14601Structural or functional details thereof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olid State Image Pick-Up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토다이오드의 커패시턴스를 증대시켜 노이즈를 감소시키고 아울러 출력신호를 증대시켜 이미지센서의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CMOS 이미지센서의 단위화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 이를 위한 본 발명의 CMOS 이미지 센서 단위화소는, 소자분리절연막의 에지에 정렬되며 반도체층 내에 불순물 이온주입에 의해 형성된 포토다이오드; 및 평면상으로 상기 포토다이오드와 상기 소자분리절연막의 경계면을 따라 형성되며, 포토다이오드에 콘택된 하부전극, 유전체 및 상부전극이 적층되어 형성된 커패시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커패시터가 접속된 포토다이오드를 갖는 씨모스 이미지센서의 단위화소{CMOS image sensor having photodiode coupled capacitor}
본 발명은 CMOS 이미지센서(image sensor)에 관한 것으로, 특히 커패시턴스를 증대시키기 위하여 커패시터가 접속된 포토다이오드를 갖는 CMOS 이미지센서 단위화소에 관한 것이다.
CMOS 이미지센서라 함은 CMOS 제조 기술을 이용하여 광학적 이미지를 전기적신호로 변환시키는 소자로서, 화소수만큼 MOS트랜지스터를 만들고 이것을 이용하여 차례차례 출력을 검출하는 스위칭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현재 이미지센서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CCD(Charge Coupled Device) 이미지센서에 비하여 CMOS 이미지센서는, 구동 방식이 간편하고 다양한 스캐닝 방식의 구현이 가능하며, 신호처리 회로를 단일칩에 집적할 수 있어 제품의 소형화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호환성의 CMOS 기술을 사용하므로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고, 전력 소모 또한 크게 낮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도1에는 본 출원인에 의해 제안된바 있는 종래의 CMOS 이미지센서의 단위화소 회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1을 참조하면, CMOS 이미지센서의 단위화소는, 1개의 포토다이오드(PD)와 4개의 NMOS트랜지스터로 구성되어 있다. 4개의 NMOS트랜지스터는 포토다이오드(PD)에서 생성된 광전하를 플로팅센싱노드로 운송하기 위한 트랜스퍼트랜지스터(Tx)와, 다음 신호검출을 위해 상기 플로팅센싱노드에 저장되어 있는 전하를 배출하기 위한 리셋트랜지스터(Rx)와, 소스팔로워(Source Follower) 역할을 하는 드라이브트랜지스터(Dx), 및 스위칭(Switching) 역할로 어드레싱(addressing)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셀렉트트랜지스터(Sx)로 구성된다.
여기서, 트랜스퍼트랜지스터(Tx)와 리셋트랜지스터(Rx)는 양의 문턱 전압(Positive Threshold Voltage)으로 인한 전압 강하로 전하(전자)가 손실되어 전하운송효율이 저하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매우 약한 문턱 전압을 갖는 네이티브(Native) NMOS트랜지스터로 형성되어 진다. 단위화소의 출력단(Out)과 접지단 간에는 바이어스 제공을 위한 로드트랜지스터가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포토다이오드(PD)와 플로팅센싱노드의 기판은 접지 되어 있다. 도면에서 "Cf"는 플로팅센싱노드가 갖는 커패시턴스를, "Cp"는 핀드 포토다이오드가 갖는 커패시턴스를 각각 나타낸다.
도2는 역시 본 출원인에 의해 제안된 바 있는 종래의 CMOS 이미지센서 단위화소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도1의 회로도가 반도체기판 상에 구현된 구조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면부호 1은 P+실리콘기판, 2는 P-에피택셜층, 3은 P-웰, 4는 필드산화막, 5는 게이트산화막, 6은 게이트전극, 7은 N-확산영역, 8은 P0확산영역, 9는 N+플로팅확산, 10은 산화막스페이서를 각각 나타낸다. 도2를 참조하면, 포토다이오드(PD)는 P-에피택셜층(2)과 N-확산영역(7) 및 P0확산영역(8)이 적층된 PNP 접합 구조를 갖고 있으며, N-확산영역(7)에 의해 포토다이오드의 커패시턴스 Cp가 형성되고, 트랜스퍼트랜지스터(Tx)와 리셋트랜지스터(Rx)의 각 일측접합을 공동으로 구현하는 플로팅확산영역(FD)에 의해 플로팅센싱노드의 커패시턴스 Cf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이미지센서 단위화소에 대한 동작을 간략하게 설명해 보면, 처음에는 리셋트랜지스터(Rx), 트랜스퍼트랜지스터(Tx), 및 셀렉트트랜지스터(Sx)를 온시켜 단위화소를 리셋시킨다. 이때 N-확산영역(7)은 서서히 공핍되기 시작하여 완전공핍될때의 피닝전압(pinning voltage)까지 커패시턴스 Cp는 캐리어 차징(carrier charging)이 발생하고, 플로팅센싱노드의 커패시턴스 Cf는 공급전압 VDD 전압까지 캐리어 차징이 발생한다. 그리고 트랜스퍼트랜지스터(Tx)를 오프시키고 셀렉트 트랜지스터(Sx)를 온시킨 다음 리셋트랜지스터(Rx)를 오프시킨다. 이와 같은 동작 상태에서 단위화소 출력단(Out)으로부터 출력전압 V1을 읽어 버퍼에 저장시키고 난 후, 트랜스퍼트랜지스터(Tx)를 온시켜 빛의 세기에 따라 변화된 커패시턴스 Cp의 캐리어들을 커패시턴스 Cf로 이동시킨 다음, 다시 출력단(Out)에서 출력전압 V2를 읽어들여 V1 - V2에 대한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경시키므로 단위화소에 대한 한 동작주기가 완료된다.
이와 같이 CMOS 이미지센서를 구성하는 단위화소는 외부로부터 입사한 빛에 의해 전자가 발생 및 보관되는 포토다이오드 부분과 포토다이오드에 보관되었던 전자를 포토다이오드로부터 전달받아 전기적 출력신호(전압 또는 전류)로 변환하는 회로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최대 출력신호는 포토다이오드로부터 꺼낼 수 있는 전자의 수와 직접적으로 비례하기 때문에 포토다이오드의 전자수용능력 즉 커패시턴스(capacitance)가 클수록 최대 출력신호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실리콘을 이용한 포토다이오드는 PN 접합 또는 PNP나 NPN과 같은 이중접합 구조를 이용하여 제조되는데 이들 접합이 전자를 수용할 수 있는 능력은 실리콘기판의 농도 및 접합을 형성하기 위해 기판에 주입되는 도판트(dopant)의 농도와 주입 깊이 등에 의해 변화된다. 포토다이오드의 커패시턴스를 충분히 확보하지 못하는 경우 외부광원에 의해 발생한 전자의 수가 포토다이오드에 보관되지 못하고 기판 쪽으로 새어나가게 되어 최대 출력신호가 감소할뿐만 아니라 새어 나간 전자에 의한노이즈(noise) 발생 따위의 부수적인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포토다이오드의 커패시턴스를 충분히 확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데 전술한 바와 같이 포토다이오드의 커패시턴스는 기판 농도 및 도판트의 주입농도, 주입깊이 등에 의해 민감하게 변화하므로 공정상 임의로 조절하기는 쉽지 않다.
도3a는 실질적인 포토다이오드의 크기 및 그 평면적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종래의 일부 단위화소의 평면도로서, 포토다이오드(PD)와 트랜스퍼트랜지스터의 게이트(Tx) 및 플로팅센싱노드(FD)만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3b는 도3a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포토다이오드의 커패시턴스를 증대시켜 노이즈를 감소시키고 아울러 출력신호를 증대시켜 이미지센서의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CMOS 이미지센서의 단위화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도1은 종래의 CMOS 이미지센서의 단위화소 회로도,
도2는 종래의 CMOS 이미지센서 단위화소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3a 및 도3b는 실질적인 포토다이오드의 크기 및 그 평면적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종래기술에 따른 일부 단위화소의 평면도 및 단면도,
도4a 및 도4b는 본 발명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CMOS 이미지센서의 일부 단위화소의 평면도 및 단면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CMOS 이미지 센서 단위화소는, 소자분리절연막의 에지에 정렬되며 반도체층 내에 불순물 이온주입에 의해 형성된 포토다이오드; 및 평면상으로 상기 포토다이오드와 상기 소자분리절연막의 경계면을 따라 형성되며, 포토다이오드에 콘택된 하부전극, 유전체 및 상부전극이 적층되어 형성된 커패시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4a 및 도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CMOS 이미지센서의 일부 단위화소의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4a 및 도4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이미지센서 단위화소는 종래와는 다르게 포토다이오드(photodiode)에 커패시터(Cap.)가 접속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리콘기판(Si-sub.)에는 활성영역을 정의하기 위한 소자분리절연막(FOX)이 형성되어 있고, 소자분리절연막(FOX)의 에지와 트랜스퍼트랜지스터(Tx)의 게이트의 일측면 에지에 정렬되어 포토다이오드(photodiode)가 형성되게 된다.
플로팅확산(FD)은 트랜스퍼트랜지스터의 게이트 타측 기판에 형성된다.
포토다이오드는 반도체층에 이온주입에 의해 불순물을 도핑하여 형성하고 PN 포토다이오드, PNP 또는 NPN 다중접합 포토다이오드 등이 모두 적용된다.
중요하게 평면상으로 소자분리막과 포토다이오드의 경계선을 따라 하부전극, 유전체 및 상부전극이 적층되어 커패시터(cap.)가 형성되는 바, 이렇게 소자분리막과 포토다이오드의 경계선을 따라 커패시터를 형성하므로써 커패시터의 표면적을 증대시켜 커패시턴스를 최대한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커패시터의 하부전극은 층간절연막을 사이에 두고 포토다이오드에 콘택되어 있다. 하부전극 및 상부전극에는 도핑된 폴리실리콘을 적용하고, 유전체는 실리콘산화막을 적용하거나 보다 더 커패시턴스를 높이기 위해 ONO(oxide, nitride, oxide) 구조의 절연막 또는 유전상수가 큰 Ta2O5등의 고유전체를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구조에서의 동작을 간단히 살펴본다.
외부로부터 포토다이오드로 빛이 입사되어 포토다이오드 내에 전자가 생성될 때 커패시터의 상부전극에 양의 전압을 인가하면 커패시터에 전자를 모으게 된다. 즉 커패시터가 없었을 때에 비해 추가로 제작한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만큼 전자를 추가적으로 더 수용할 수 있게 된다. 전자의 축적이 끝나고 외부로 전자를 꺼내고자 하는 순간에는 커패시터 상부전극에 인가했던 양의 전압을 제거함으로써 외부 회로로 전자를 빼낼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포토다이오드가 전자를 수용할 수 있는 능력을 증대시킴으로써, 종래의 포토다이오드에 비해 더 많은 전자를 축적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이미지센서의 출력전압폭이 훨씬 넓어지기 때문에 뛰어난 해상도를 얻을 수 있다.

Claims (4)

  1. CMOS 이미지 센서에 있어서,
    소자분리절연막의 에지에 정렬되며 반도체층 내에 불순물 이온주입에 의해 형성된 포토다이오드; 및
    평면상으로 상기 포토다이오드와 상기 소자분리절연막의 경계면을 따라 형성되며, 포토다이오드에 콘택된 하부전극, 유전체 및 상부전극이 적층되어 형성된 커패시터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CMOS 이미지 센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전극 및 상부전극은 각각 도핑된 폴리실리콘임을 특징으로 하는 CMOS 이미지 센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는 산화막, ONO막 또는 Ta2O5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CMOS 이미지 센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토다이오드는 PN, PNP 또는 NPN 포토다이오드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CMOS 이미지 센서.
KR1019990063845A 1999-12-28 1999-12-28 커패시터가 접속된 포토다이오드를 갖는 씨모스이미지센서의 단위화소 KR2001006135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3845A KR20010061351A (ko) 1999-12-28 1999-12-28 커패시터가 접속된 포토다이오드를 갖는 씨모스이미지센서의 단위화소
US09/742,168 US6441412B2 (en) 1999-12-28 2000-12-19 Unit pixel of CMOS image sensor with capacitor coupled photodiod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3845A KR20010061351A (ko) 1999-12-28 1999-12-28 커패시터가 접속된 포토다이오드를 갖는 씨모스이미지센서의 단위화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1351A true KR20010061351A (ko) 2001-07-07

Family

ID=19631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3845A KR20010061351A (ko) 1999-12-28 1999-12-28 커패시터가 접속된 포토다이오드를 갖는 씨모스이미지센서의 단위화소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441412B2 (ko)
KR (1) KR2001006135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1439B1 (ko) * 2008-08-08 2011-06-15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자외선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곡물저장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2164B1 (ko) * 2002-01-11 2004-12-17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필팩터를 향상시킨 씨모스 이미지센서
US6764890B1 (en) 2003-01-29 2004-07-20 Cypress Semiconductor Corporation Method of adjusting the threshold voltage of a mosfet
US7009227B2 (en) * 2003-06-16 2006-03-07 Micron Technology, Inc. Photodiode structure and image pixel structure
US7187018B2 (en) * 2003-06-25 2007-03-06 Micron Technology, Inc. Reduced barrier photodiode/transfer gate device structure of high efficiency charge transfer and reduced lag and method of formation
US6974943B2 (en) * 2003-07-22 2005-12-13 Omnivision Technologies, Inc. Active pixel cell using negative to positive voltage swing transfer transistor
US20050128327A1 (en) * 2003-12-10 2005-06-16 Bencuya Selim S. Device and method for image sensing
US7214575B2 (en) * 2004-01-06 2007-05-08 Micron Technology, Inc. Method and apparatus providing CMOS imager device pixel with transistor having lower threshold voltage than other imager device transistors
KR101199100B1 (ko) * 2004-12-30 2012-11-08 인텔렉츄얼 벤처스 투 엘엘씨 소스 팔로워에서 비대칭적인 웰의 배치를 갖는 씨모스이미지센서
US7847847B2 (en) * 2005-01-27 2010-12-07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Structure for CMOS image sensor with a plurality of capacitors
US7704778B2 (en) * 2005-02-23 2010-04-27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Microlens structure for image sensors
US8508638B2 (en) * 2005-03-14 2013-08-13 Intellectual Ventures Ii Llc 3T pixel for CMOS image sensors with low reset noise and low dark current generation utilizing parametric reset
JP4340248B2 (ja) * 2005-03-17 2009-10-07 富士通マイクロ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半導体撮像装置を製造する方法
US7804117B2 (en) * 2005-08-24 2010-09-28 Aptina Imaging Corporation Capacitor over red pixel
KR100752182B1 (ko) * 2005-10-12 2007-08-24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씨모스 이미지 센서 및 그 제조방법
US20090237540A1 (en) * 2008-03-20 2009-09-24 Micron Technology, Inc. Imager method and apparatus having combined gate signals
US10385614B2 (en) * 2015-09-30 2019-08-20 Park Industries, Inc. Percussive/rotating drill with blow-out, broken bit, and pressure loss detection systems
DE102017118899B4 (de) 2016-12-15 2020-06-18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Dichtungsringstrukturen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S10453832B2 (en) 2016-12-15 2019-10-22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Seal ring structures and methods of forming same
US9967504B1 (en) * 2017-04-06 2018-05-08 Omnivision Technologies, Inc. Imaging sensor with boosted photodiode drive
US10163974B2 (en) 2017-05-17 2018-12-25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Method of forming absorption enhancement structure for image sensor
US10438980B2 (en) 2017-05-31 2019-10-08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Image sensor with a high absorption layer
US10559563B2 (en) 2017-06-26 2020-02-11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monolithic three-dimensional (3D) integrated circuit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6560A (en) * 1978-07-24 1980-02-05 Toshiba Corp Solid-state pickup unit
KR19980032350A (ko) * 1996-10-22 1998-07-25 클라크3세존엠 폴리 콘택과 셀의 베이스 영역으로의 증가된 용량성 결합을갖는 바이폴라계 능동화소센서셀
WO1998053501A2 (en) * 1997-05-21 1998-11-2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Image sensor and its manufactur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25210A (en) * 1995-04-13 1997-04-29 Eastman Kodak Company Active pixel sensor integrated with a pinned photodiode
US5949061A (en) * 1997-02-27 1999-09-07 Eastman Kodak Company Active pixel sensor with switched supply row selec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6560A (en) * 1978-07-24 1980-02-05 Toshiba Corp Solid-state pickup unit
KR19980032350A (ko) * 1996-10-22 1998-07-25 클라크3세존엠 폴리 콘택과 셀의 베이스 영역으로의 증가된 용량성 결합을갖는 바이폴라계 능동화소센서셀
WO1998053501A2 (en) * 1997-05-21 1998-11-2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Image sensor and its manufactur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1439B1 (ko) * 2008-08-08 2011-06-15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자외선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곡물저장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441412B2 (en) 2002-08-27
US20010005018A1 (en) 2001-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61351A (ko) 커패시터가 접속된 포토다이오드를 갖는 씨모스이미지센서의 단위화소
US6329679B1 (en) Photodiode with increased photocollection area for image sensor
US8703522B2 (en) Methods of forming a stratified photodiode for high resolution CMOS image sensor implemented with STI technology
US6218691B1 (en) Image sensor with improved dynamic range by applying negative voltage to unit pixel
US8044444B2 (en) CMOS image sensor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KR20010061353A (ko) 씨모스 이미지센서 및 그 제조방법
KR100298199B1 (ko) 피엔 다이오드를 갖는 씨모스 이미지센서의 단위화소
KR20020045165A (ko) 전자운송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미지 센서 및 그제조 방법
KR100464949B1 (ko) 포토다이오드의 표면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미지센서 제조 방법
KR100303773B1 (ko) 플로팅센싱노드에 접속된 피앤 다이오드를 갖는 씨모스 이미지센서의 단위화소
KR100388459B1 (ko) 포토다이오드 영역에 트렌치를 구비하는 이미지 센서 및그 제조 방법
KR100298198B1 (ko) 쇼트키 다이오드를 갖는 씨모스 이미지센서의 단위화소
KR20060090540A (ko) 씨모스 이미지 센서 및 그 제조방법
KR100321769B1 (ko) 음의기판전압을갖는씨모스이미지센서의단위화소
KR100321768B1 (ko) 씨모스이미지센서에서의음의기판전압을갖는단위화소제조방법
KR100388474B1 (ko) 포토다이오드의 캐패시턴스를 증가시킬 수 있는 이미지센서 및 그 제조 방법
KR20070071053A (ko) 씨모스 이미지 센서 및 그 제조 방법
KR100388461B1 (ko) 광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미지 센서 및 그 제조 방법
KR100776152B1 (ko) Cmos 이미지 센서 및 그 제조 방법
KR100714604B1 (ko) 이미지 센서 및 그 제조방법
KR20020058458A (ko) 포토다이오드의 유효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는 이미지센서 및 그 제조 방법
KR20020058473A (ko) 플로팅 확산영역의 노드 캐패시턴스를 감소시킬 수 있는이미지 센서 제조 방법
KR20060020365A (ko) 캐패시턴스 측정이 가능한 이미지센서 및 그의 캐패시턴스측정 방법
KR20020055120A (ko) 포토다이오드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는 이미지 센서 및 그제조 방법
KR20060077119A (ko) 변환 이득의 비선형성을 개선할 수 있는 씨모스 이미지센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51025

Effective date: 20061129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5101007288;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51025

Effective date: 20061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