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59819A -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이어 마이크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이어 마이크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59819A
KR20010059819A KR1019990067349A KR19990067349A KR20010059819A KR 20010059819 A KR20010059819 A KR 20010059819A KR 1019990067349 A KR1019990067349 A KR 1019990067349A KR 19990067349 A KR19990067349 A KR 19990067349A KR 20010059819 A KR20010059819 A KR 200100598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ction
switch
state
ear microphone
det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73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17791B1 (ko
Inventor
김한식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900673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7791B1/ko
Publication of KR200100598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98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77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77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41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8Mouthpieces; Microphones; Attachments theref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이어 마이크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여러 기능을 이어 마이크를 통해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이어 마이크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스피커와 마이크, 기능 선택에 따른 조작이 이루어지는 스위치를 구비한 이어 마이크와, 상기 이어 마이크의 접속 상태에서 상기 스위치의 조작을 통해 수행되는 기능의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이어 마이크 제어 장치 및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어 마이크의 접속 여부와, 접속된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스위치의 조작 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이어 마이크의 접속 및 상기 스위치의 조작 감지에 따라, 상기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대기 상태 여부를 감지하고; 대기 상태로 감지되는 경우에 있어, 상기 스위치의 조작 상태를 구분하여, 구분된 결과에 따라 대응하여 미리 지정된 기능의 수행을 제어하는 장치 및 그 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이어 마이크 제어 장치 및 그 방법{EAR-MIC CONTROLLER AND CONTROLLING METHOD IN PORTABLE RADIO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이어 마이크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여러 기능을 이어 마이크를 통해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이어 마이크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휴대용 무선 단말기는 옵션으로 이어 마이크의 사용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이어 마이크의 사용을 통해 사용자들은 통화의 편의를 가지게 되었다.
이의 동작 상태를 보면, 먼저 사용자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 있어 구비된 이어 마이크 제어 장치에 상기 이어 마이크를 접속하고, 전화가 걸려오면 상기 이어 마이크에 있어 구비된 소정 스위치를 조작하여 전화를 받거나, 통화가 완료되면 상기 스위치를 조작하여 전화를 끊도록 하였다. 따라서 사용자는 전화를 받거나 통화를 완료할 시 무선 단말기 본체의 별도 키 입력을 행하지 않고서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는 편의를 얻게 되었다.
이와 같은 동작이 가능한 것은, 휴대용 무선 단말기 본체에 있어 상기 스위치의 조작을 감지하는 기능이 구비되어 있음에 따른 것이고, 동시에 상기 이어 마이크에서 스위치 조작에 따라 상이한 신호를 상기 단말기 본체로 인가함에 가능한 것이었다.
그러나, 기존에 있어서의 이어 마이크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기능들, 즉, 전화를 받는 기능과 통화를 완료하는 기능 정도밖에는 실시되지 않는 한계가 있었다. 그리고, 이어 마이크를 사용하는 주목적은, 사용자가 굳이 단말기 본체를 손에 쥐지 않더라도 통화의 시작과 완료를 원격으로 편리하게 행하도록 함에 있음을 알 수 있는데, 기존의 이어 마이크 장치는 그러한 기능들 외 다른 여러 기능들의 수행을 원격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지는 못하고 있었다.
실 예로서,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전원을 이어 마이크를 통해 오프시키는 경우가 있을 수 있거나, 혹은 이전 다이얼링된 전화번호의 재다이얼링을 행하고자 하는 경우가 있을 수도 있는데, 기존의 이어 마이크에서는 이러한 요구를 수용할 수 있는 기능이 없었다. 즉, 사용자가 만족할 만하게 다양한 기능을 원격으로 실시할 수 있지 못하였다. 그 외에도 다양한 기능들을 원격으로 행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인데, 이 또한 마찬가지로 기존의 이어 마이크는 그러한 기능의 수행을 원격으로 이루지 못하는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다른 측면으로, 이어 마이크에 있어 별도의 리모콘 장치를 부가하여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여러 기능을 수행 가능하도록 하는 아이디어가 제시될 수 있는데, 이는 경박단소 및 저전력 소모를 추구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 있어 적용되기에는 여러 무리가 따를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앞서 지적한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가장 적절한 방법은 기존의 이어마이크, 그리고 이어 마이크의 접속 및 스위치 조작 상태를 감지하도록 하는 기존의 이어 마이크 제어 장치의 구성을 크게 바꾸지 않고 여러 다양한 기능의 수행을 이루도록 하는 방법의 제안인데, 지금에 있어 그러한 방법의 제안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통상 사용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이어 마이크 의 하드웨어적 구성을 그대로 가져가면서, 사용자가 원격으로 제어하기를 원하는 여러 다양한 기능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이어 마이크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을 제안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스위치 조작 만으로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 있어 구현된 여러 다양한 기능의 수행을 원격으로 행할 수 있으며, 동시에 그 본래의 기능인 이어폰 및 마이크 기능의 수행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이어 마이크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을 제안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들의 달성을 위해 본 발명에서는, 스피커와 마이크, 기능 선택에 따른 조작이 이루어지는 스위치를 구비한 이어 마이크와, 상기 이어 마이크의 접속 상태에서 상기 스위치의 조작을 통해 수행되는 기능의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이어 마이크 제어 장치 및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어 마이크의 접속 여부와, 접속된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스위치의 조작 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이어 마이크의 접속 및 상기 스위치의 조작 감지에 따라, 상기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대기 상태 여부를 감지하고; 대기 상태로 감지되는 경우에 있어, 상기 스위치의 조작 상태를 구분하여, 구분된 결과에 따라 대응하여 미리 지정된 기능의 수행을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및 그 방법을 제안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이어 마이크와 이의 제어를 이루는 이어 마이크 제어 장치의 내부 블록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상기 도 1에 있어 이어 마이크의 스위치부와 상기 스위치부의 스위칭의 감지하는 회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무선 단말기 기능의 원격 제어를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회로의 구성 소자 등과 같은 많은 특정(特定)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이어 마이크와 이의 제어를 이루는 이어 마이크 제어 장치의 내부 블록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참조부호 100은 본 발명에 따른 이어 마이크이며, 참조부호 200은 본 발명에 따라 휴대용 무선단말기에 있어서 구현되는 이어 마이크 제어 장치이다.
상기 이어 마이크는 내부로 사용자의 음성을 휴대용 무선단말기로 전달하는 마이크(MIC)(120)와 수신되는 음성을 사용자가 들을 수 있도록 하는 스피커(SPK)(130)를 구비한다. 상기 마이크(120) 및 스피커(130)는 상기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보코더(230)와 음성 전송 경로가 연결된다. 스위치(110)는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사용자가 요구하는 기능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싱 장치이다. 상기 스위치(110)의 스위칭 조작을 통해 사용자는 원하는 기능을 수행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110)는 통상의 이어 마이크에 있어 구비되는 단일 접점 스위치의 구조를 그대로 적용하여 실시한다. 이는 기존의 하드웨어 장치 구성을 본 발명에 있어서 곧바로 적용할 수 있도록 함에 따른 것이다.
접속감지부(210)은 상기 이어 마이크의 접속 여부를 감지하며, 스위칭 횟수감지부(220)는 상기 스위치(110)의 스위칭 횟수를 체크한다. 기능 수행부(240)는 사용자에 의해 원격으로 선택된 기능의 수행을 이루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상기 원격 수행 기능의 실 예로서는 '재다이얼링', '전원 오프', '음성명령 수행' 등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코더(230)는 상기 스피커(130)와 마이크(120)를 통한 음성신호의 디지털 처리를 행한다. 그리고 상기 도면상에 있어서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어부로서 중앙처리장치가 구비되어 상기 각 구성들의 전반적인 제어를 이루게 된다.
도 2는 상기 스위치(110)와 상기 접속감지부(210), 스위칭 횟수 감지부(220)를 회로 상태로서 구현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의 동작 상태를 보면, 스위치(110)의 동작에 의해 구비된 저항들(211, 212, 213, 214)을 통한 저항값의 비교 전압이 발생하고, 이는 비교기(215)에서 기준전압과 비교되어 해당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만일 스위치(110)이 오프 상태가 될 경우는 상기 비교전압이 기준전압보다 낮기 때문에 상기 비교기(215)의 출력은 'LOW'가 되며, 스위치(110)가 온 상태에 있을 경우에는 상기 비교전압이 기준전압보다 크기 때문에 상기 비교기(215)의 출력은 'HIGH'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의 변화를 통해 상기 스위치(110) 동작 여부 및 스위칭 횟수를 상기 스위칭 횟수 감지부(220)가 알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스위치(110)의 동작에 따른 상기 저항들의 저항 값 조건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 기준전압 = (R4)/(R3+R4) x Vcc
- 비교전압 = (R2)/(R1+R2) x Vcc
따라서 상기 비교기(215)의 출력이 하이 상태가 되도록 하려면 상기 비교전압이 기준전압보다 더 크도록 상기 저항값의 변화를 주면 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무선 단말기 기능의 원격 제어를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상기 도 1 및 도 2에 있어 도시된 구성의 장치에 있어 수행될 수 있다.
이를 참조하면, 310단계에서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전원이 온 상태가 된다. 312단계에서는 이어 마이크 장치의 접속 여부를 감지한다. 이는 상기 접속 감지부(210)의 동작으로서 알 수 있다. 상기 312단계에서 이어 마이크의 접속 감지가 없으면, 사용자의 요구에 따른 일반적인 기능의 수행 상태로 진입하여 해당 처리를 수행한다. 이어 마이크의 접속이 감지되면, 314단계에서 상기 스위치(110)의 단락이 이루어지는지를 판단한다. 즉, 사용자의 스위치 조작이 이루어졌는지를 판단한다. 그러한 경우 316단계에서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현 상태가 대기상태에 있는지를 판단한다. 대기 상태가 아닐 시는 326단계에서 통화 수행 상태에 있는지, 아니면 327단계에서 호 착신에 따른 링 발생 상태에 있는지를 판단한다. 통화 수행 상태에 있는 경우, 328단계에서 통화 수행을 완료하도록 하고, 링 발생 상태에 있는 경우는, 329단계에서 통화 연결을 이루도록 처리한다. 상기 326단계, 327단계, 328단계, 329단계의 동작은 기존에 있어 사용되었던 이어 마이크 장치의 동작 상태와 동일하게 된다.
한편, 상기 316단계에서 대기 상태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318단계 및 319단계에서 스위치의 단락 횟수, 혹은 323단계에서 일정 시간내의 단락 유지 상태 지속 여부를 확인한다. 이는 사용자가 원격으로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기능 수행을 요구하는 경우들에 따른 동작이 되는 것이며, 특히, 스위치의 조작을 어떠한 식으로 하였는지를 통해 요구되는 기능의 구분을 이루도록 함에 따른 동작이 되는 것이다.
상기 318단계에서 1회 단락으로 판단되면, 320단계에서 재다이얼링 동작을 행하도록 한다. 이전에 걸었던 전화를 다시 반복하여 거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다. 319단계에서 2회 연속 단락으로 판단되면, 321단계에서 음성 명령 수행 모드로의 진입에 따른 기능 수행을 이루도록 처리한다. 이 상태에서는 음성 명령에 의해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동작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그리고 323단계에서 일정 시간 단락이 유지되는 상태로 판단되면, 325단계에서 전원을 오프하도록 하는 동작을 행한다. 파워 오프 동작이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수행되는 기능들의 설명에 있어 상기에서는 재다이얼링, 음성 명령, 전원 오프 기능의 수행으로 정하였지만, 이는 실시자의 요구에 따라 적절히 다른 기타 기능으로 대체되어 사용되어도 무방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상기 스위치 조작에 따라 해당 기능이 수행될 경우 사용자는 이를 구분하여 인지할 필요가 있는데, 이는 이어 마이크에 있어 구비된 스피커를 통한 상호 구분된 종류의 가청신호 출력을 통해 이루도록 한다. 그러한 가청 신호의 인지로서 사용자는 자신이 선택한 기능이 수행되는지를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상기 휴대용 무선 단말기 내부로 기능을 구분하도록 하는 가청신호의 발생부를 더 구비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 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통상 사용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이어 마이크의 하드웨어 구성을 그대로 가져가면서도, 그러한 이어 마이크를 통해 사용자가 제어하기를 원하는 여러 다양한 기능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상의 편리함을 가져다주는 이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이어 마이크 스위치 조작만으로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 있어 구현된 여러 다양한 기능의 수행을 원격으로 행할 수 있으며, 동시에 그 본래의 기능인 이어폰 및 마이크 기능의 수행을 정상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Claims (13)

  1. 스피커와 마이크, 기능 선택에 따른 조작이 이루어지는 스위치를 구비한 이어 마이크의 접속이 이루어지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이어 마이크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어 마이크의 접속 여부를 감지하는 접속 감지부와,
    상기 스위치의 조작 및 스위칭 횟수, 상태를 감지하는 스위칭 횟수 감지부와,
    상기 이어 마이크의 접속 상태와, 스위칭 횟수 및 상태,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대기 상태 여부를 판단하여, 판단 결과에 따라 선택된 기능의 수행을 실시를 제어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선택되어 수행되는 기능의 종류에 따라 각기 다르게 구분되는 가청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스피커로 전달하는 기능 구분 가청신호 발생부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횟수 감지부는,
    상기 스위치의 스위칭 상태에 따른 비교전압을 발생하는 저항들과,
    미리 정해진 기준전압과 상기 비교전압의 비교 결과에 따라 스위치의 스위칭 상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비교기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되어 실시되는 기능은,
    대기상태에 있어 정상적인 스위치 단락 상태가 감지됨으로서 실시되는 재다이얼 기능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되어 실시되는 기능은,
    대기상태에 있어 연속적인 일정 횟수의 스위치 단락 상태가 감지됨으로서 실시되는 음성 명령 수행 기능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되어 실시되는 기능은,
    대기상태에 있어 일정 시간 스위치 단락의 유지 상태가 감지됨으로서 실시되는 전원 오프 수행 기능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스피커와 마이크, 기능 선택에 따른 조작이 이루어지는 스위치를 구비한 이어 마이크와, 상기 이어 마이크의 접속 상태에서 상기 스위치의 조작을 통해 수행되는 기능의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이어 마이크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어 마이크의 접속 여부와, 접속된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스위치의 조작 여부를 감지하는 제1과정과,
    상기 이어 마이크의 접속 및 상기 스위치의 조작 감지에 따라, 상기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대기 상태 여부를 감지하는 제2과정과,
    대기 상태로 감지되는 경우에 있어, 상기 스위치의 조작 상태를 구분하여, 구분된 결과에 따라 대응하여 미리 지정된 기능의 수행을 제어하는 제3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지정된 각각의 기능 수행에 대응하여, 미리 정해진 종류의 가청신호를 상기 스피커로 전달하는 과정을 더 구비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의 조작 여부 및 조작 상태는,
    상기 스위치의 스위칭 상태에 따라 발생되는 비교전압과, 미리 정해진 기준전압과의 비교 결과로서 판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행되는 기능은,
    대기상태에 있어 정상적인 스위치 단락 상태가 감지됨으로서 실시되는 재다이얼 기능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행되는 기능은,
    대기상태에 있어 연속적인 일정 횟수의 스위칭 단락 상태가 감지됨으로서 실시되는 음성 명령 수행 기능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행되는 기능은,
    대기상태에 있어 일정 시간 스위칭 단락의 유지 상태가 감지됨으로서 실시되는 전원 오프 수행 기능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7항에 있어서,
    통화 수행 및 링 발생 상태로 감지되는 경우에 있어, 상기 스위치의 조작 감지에 따라, 통화 완료 기능 및 통화 연결 기능의 수행을 제어하는 과정을 더 구비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90067349A 1999-12-30 1999-12-30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이어 마이크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06177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7349A KR100617791B1 (ko) 1999-12-30 1999-12-30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이어 마이크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7349A KR100617791B1 (ko) 1999-12-30 1999-12-30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이어 마이크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9819A true KR20010059819A (ko) 2001-07-06
KR100617791B1 KR100617791B1 (ko) 2006-08-28

Family

ID=19634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7349A KR100617791B1 (ko) 1999-12-30 1999-12-30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이어 마이크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77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4417B1 (ko) * 2003-06-12 2010-09-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이어폰 겸용 리모콘 인터페이스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4417B1 (ko) * 2003-06-12 2010-09-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이어폰 겸용 리모콘 인터페이스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17791B1 (ko) 2006-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404285A (zh) 可折叠移动终端它的显示方法以及它的程序
KR20050076845A (ko) 이동통신 단말에서 이어-마이크 폰을 위한 이어폰 마이크바이어스 전원 공급회로
KR20010094229A (ko) 전화기의 음성인식 조작 방법 및 시스템
EP2119203B1 (en) Battery saving selective screen control
KR920009332B1 (ko) 무선 전화기
KR100617791B1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이어 마이크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20040028170A (ko) 충전시 착신모드가 자동 전환되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방법
JP2002076982A (ja) 携帯通信装置
JP3191171B2 (ja) コードレス電話機
KR20010028528A (ko) 휴대용 통신기의 모드 자동 전환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모드 자동 전환 방법
KR100362561B1 (ko) 이동 무선 단말기에서 스피커 출력 신호의 처리 방법
JP4328186B2 (ja) インターホン装置
KR200356181Y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와 음악 기기를 겸용으로 사용하기위한 다기능 이어폰 장치
JPS62245738A (ja) セルラ−方式無線電話機の電源スイツチ回路制御方法
KR100365861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헤드셋 감지장치
KR100480241B1 (ko) 키폰시스템에서 내선 통화거부 설정방법
KR200211440Y1 (ko) 핸즈 프리기능을 구비한 휴대전화의 통화모드 자동절환장치
JPH0548702A (ja) 音声着呼機能付音声ダイヤル装置
KR100372862B1 (ko) 다수의 스피커 및 스피커 전환 제어 장치를 구비한무선전화기
JPH0638511Y2 (ja) コ−ドレス電話装置
JPH08317042A (ja) コードレス電話装置
KR19980074376A (ko) 휴대폰의 음성 조작방법
KR10040820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모드 자동전환 장치 및 이를이용한 착신모드 제어방법
KR20020037572A (ko) 카오디오를 이용한 무선 핸드폰의 핸드프리 장치 및 방법
JP2599310B2 (ja) コードレス電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