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57461A - 씰포트의 가스누출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씰포트의 가스누출 방지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10057461A KR20010057461A KR1019990060902A KR19990060902A KR20010057461A KR 20010057461 A KR20010057461 A KR 20010057461A KR 1019990060902 A KR1019990060902 A KR 1019990060902A KR 19990060902 A KR19990060902 A KR 19990060902A KR 20010057461 A KR20010057461 A KR 2001005746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ssembled
- gas
- rail
- pair
- seal port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51
- 230000000153 supplement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6227 byproduc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2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856 p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341 toxic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5078 Chaenomeles specios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0425 Chaenomeles specios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76 p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D—PIPE-LINE SYSTEMS; PIPE-LINES
- F17D5/00—Protection or supervision of installations
- F17D5/02—Preventing, monitoring, or locating los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7/00—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D—PIPE-LINE SYSTEMS; PIPE-LINES
- F17D3/00—Arrangements for supervising or controlling working operations
- F17D3/14—Arrangements for supervising or controlling working operations for eliminating water
- F17D3/145—Arrangements for supervising or controlling working operations for eliminating water in gas pipelin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D—PIPE-LINE SYSTEMS; PIPE-LINES
- F17D5/00—Protection or supervision of installations
- F17D5/005—Protection or supervision of installations of gas pipelines, e.g. ala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내에 함유된 응축수를 포집하는 씰포트내에 장착되어 유해가스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응축수 처리비용을 줄일수 있는 씰포트의 가스누출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 부력부재(15)의 상부면에 장착되는 하부레일(21)과, 상기 하부레일(21)의 안내홈(22)에 조립되는 하부활주부재(23)(23a)를 하단에 장착하고, 힌지핀(25)을 매개로 크로스조립되는 한쌍의 하부링크바(24)(24a)와, 상기 배출관(3)의 출구단과 대응하는 마개부재(39)의 하부면에 장착되는 상부레일(31)과, 상기 상부레일(31)의 안내홈(32)에 조립되는 상부활주부재(33)(33a)를 상단에 장착하고, 힌지핀(35)을 매개로 크로스조립되는 한쌍의 상부링크바(34)(34a)와, 상기 용기(15)의 내벽에 양단이 수평하게 위치고정되고, 상기 상,하부링크바(24)(24a)(34)(34a)의 상,하단이 각각 회동가능하게 조립되는 롤축(45)의 중간활주부재(43)(43a)가 안내홈(42)에 조립되는 한쌍의 중간레일(41)을 포함하는 씰포트의 가스누출 방지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가스내에 함유된 응축수를 포집하는 씰포트내에 장착되어 유해가스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응축수 처리비용을 줄일수 있는 씰포트의 가스누출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에서 사용되는 부생가스인 COG가스(Coke Oven Gas), BFG가스(Blast Furnace Gas),CFG가스(COREX Furnace Gas)는 가스내에 수분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가스배관을 통해 수요처로 공급되는 동안 응축수를 발생하고, 발생된 응축수는 고여져 배관을 차단하거나 배관을 부식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이에 따라, 부생가스가 흐르는 가스배관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같이 가스에 함유된 응축수를 포집하기 위하여 씰포트(seal pot)(100)를 일정간격으로 복수개 연결구성하여 가스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가스배관내의 응축수 고임으로 인한 배관차단과 부식을 방지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씰포트(100)는 가스배관으로부터 연장된 인출관(1), 밸브(2) 및 배출관(3)이 연결되는 원통형 용기(15)와, 상기 용기(15)내로 보충수를 공급하도록 밸브(9a)에 의해서 개폐되는 보충수공급라인(9)과, 공급된 보충수에 의해서 부상되는 원통형 부력부재(15)와, 상기 부력부재(15)의 중심축(16) 상,하단을 상하이동가능하게 고정하도록 중앙이 함몰된 커버(17)와 상기 용기(15)의 바닥면 중앙에 형성된 배출구(11) 및 드레인관(18)을 갖추어 구성된다.
즉, 상기 용기에 채워진 일정수위의 보충수에 의한 부력과 부력부재(15)으 자중이 평형상태에서 가라앉아 있던 부력부재(15)가 상기 인출관(1)을 통해 포집되는 응축수의 배출량이 많아지면서 상기 부력부재(15)가 상승되면, 상기 부력부재(15)의 중심축(16)의 하단과 배출구(11)사이가 벌어지면서 보충수와 응축수가 혼합된 물이 하부로 배출되고, 배출된 응축수 및 보충수는 상기 씰포트(100)하부에 설치된 집수조(pit)를 거쳐 폐기물처리차량으로 옮겨진 다음 지정장소로 운반된다. 한편, 계속된 배출로 인하여 상기 용기(15)내의 수위가 낮아지면 하강된 부력부재(15)의 중심축(16)에 의해서 상기 배출구(11)가 자동적으로 폐쇄되어 상기 배출구(11)를 통한 물배수는 중단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씰포트(100)는 상기 배출구(11)에 부착된 패킹부재가 손상되어 상기 배출구(11)와 축(16)하단사이에 틈새가 생길 경우, 상기 중심축(16)하단과 배출구(11)가 합형된 상태에서도 포집된 응축수와 보충수가 혼합된 물이 상기 배출구(11)를 통하여 계속 배출되고, 상기 인출관(1)으로부터 배출되는 인체에 유해한 부생가스는 틈새가 발생된 상기 배출구(11)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어 중대한 안전사고를 유발하게 된다.
이에 따라, 이런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보충수공급라인(9)의 밸브(9a)를 개방하여 보충수가 항상 공급되도록 하여 상기 용기(15)내부에 물이 항상 일정 수위를 유지하도록 하여 유해가스의 외부유출을 방지해야만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배출구(11)를 통하여 배출되는 유량의 증가분만큼 계속적으로 상기 보충수공급라인(9)을 통하여 보충수를 보충해야만 하기 때문에 보충수의 사용량 및 포집되지 않고 계속 배출되는 응축수의 처리량이 많아져 비용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보충수가 일정수위 이하가 되더라도 배출관을 통한 유해가스의 배출을차단하고, 유해가스의 외부누출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보충수의 사용량 및 응축수 처리량을 줄여 설비유지비를 줄일수 있는 씰포트의 가스누출 방지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가스누출방지장치가 채용되는 씰포트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씰포트의 가스누출 방지장치를 도시한 설치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씰포트의 가스누출 방지장치를 도시한 상세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배출관 11 ..... 배출구
14 .... 부력부재 15 ..... 용기
21 .... 하부레일 22,32,42 .... 안내홈
23,23a .... 하부활주부재 24,24a .... 하부링크바
31 .... 상부레일 33,33a .... 상부활주부재
34,34a .... 상부링크바 25,35 .... 힌지핀
41 .... 중간레일 43,43a .... 중간활주부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발명은,
가스배관으로부터 연장된 배출관과 연통되는 원통형 용기와, 상기 용기내로 보충수를 공급하는 보충수공급라인과, 상기 용기의 수위변화에 따라 승하강되는 부력부재의 중심축하단에 의해서 개폐조절되는 배출구를 갖추어 부생가스의 응축수 및 유해가스를 포집하는 씰포트설비에 있어서,
상기 부력부재의 상부면에 장착되는 하부레일과, 상기 하부레일의 안내홈에 조립되는 하부활주부재를 하단에 장착하고, 힌지핀을 매개로 크로스조립되는 한쌍의 하부링크바와, 상기 배출관의 출구단과 대응하는 마개부재의 하부면에 장착되는 상부레일과, 상기 상부레일의 안내홈에 조립되는 상부활주부재를 상단에 장착하고, 힌지핀을 매개로 크로스조립되는 한쌍의 상부링크바와, 상기 용기의 내벽에 양단이 수평하게 위치고정되고, 상기 상,하부링크바의 상,하단이 각각 회동가능하게 조립되는 롤축의 중간활주부재가 안내홈에 조립되는 한쌍의 중간레일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씰포트의 가스누출 방지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씰포트의 가스누출 방지장치를 도시한 설치상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씰포트의 가스누출 방지장치를 도시한 상세도로서, 본 발명의 가스누출 방지장치(90)는 상,하부레일, 중간레일, 상,하부링크바 및 마개부재로 구성된다.
즉, 상기 하부레일(21)은 보충수 및 응축수가 채워지는 용기(15)의 수위변화에 따라 승하강되는 부력부재(15)의 상부면에 장착되며, 상기 하부레일(21)에 형성된 안내홈(22)에는 수평활주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부활주부재(23)(23a)를 하단에 각각 장착하고, 힌지핀(25)을 매개로 하여 회동가능하게 크로스(cross)조립되는 한쌍의 하부링크바(24)(24a)를 갖추어 구성한다. 이때, 한쌍의 하부링크바(24(24a)는 서로 동일한 길이를 갖는 바부재이다.
그리고, 응축수 및 유해가스가 배출되는 배출관(3)과 서로 대응하는 마개부재(39)의 하부면에는 상기 하부레일(21)과 나란한 상부레일(31)이 장착되며, 상기 상부레일(31)의 안내홈(32)에는 수평활주이동이 가능하도록 상부활주부재(33)(33a)를 상단에 각각 장착하고, 힌지핀(35)을 매개로 하여 상기 하부링크바(24)(24a)와 동일하게 크로스조립되는 한쌍의 상부링크바(34)(34a)를 갖추어 구성한다. 이때, 상기 한쌍의 상부링크바(34)(34a)도 서로 동일한 길이로 갖추어진다.
여기서, 상기 마개부재(39)는 응축수 및 유해가스가 배출되는 배출관(3)의 출구단에 대한 밀폐효과를 높힐수 있도록 원추형, 반구형 단면구조를 갖는 부재로 갖추어지고, 상기 힌지핀(25)(35)은 외부이탈이 곤란하도록 양단에 이탈방지핀이 각각 조립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용기(15)의 내벽에 양단이 수평하게 위치고정되는 좌우한쌍의 중간레일(41)에는 서로 마주하도록 안내홈(42)이 배치되고, 상기 안내홈(42)에는 상기 하부링크바(24)(24a)의 각 상단과 상기 상부링크바(34)(34a)의 각 하단이 각각 회동가능하게 조립되는 각 롤축(45)의 좌우양단에 장착된 중간활주부재(43)(43a)가 수평이동가능하게 조립된다.
그리고, 상기 상,하부활주부재 및 중간활주부재(23)(23a)(33)(33a)(43)(43a)는 상,하부 및 중간레일(21)(31)(41)의 각 안내홈(22)(32)(42)내에서 원할한 수평구름이동이 가능하도록 롤러부재로 갖추어져도 좋다.
상술한 바와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부력부재(15)가 내장된 용기(15)내로 보충수공급라인(9)을 통해 일정량의 보충수가 채워져 있고, 상기 용기(15)의 배출구(11)는 상기 부력부재(15)의 중심축(16)하단에 의해서 밀폐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부생가스가 흐르는 가스배관과 연통된 인출관(1)과 배출관(3)사이의 밸브(2)를 열면, 상기 배출관(3)을 통하여 유해가스, 응축수 및 이물질(tar)등이 상기 용기(15)내로 유입되어 응축수, 타르는 보충수와 혼합되어 용기내의 수위를 상승시키게 되고, 유해가스는 상기 용기(15)의 나머지 공간에 채워지게 된다.
상기 배출관(3)으로부터 응축수의 배출량이 점차 많아져 상기 용기(15)의 수위가 상승되면, 부력으로 인하여 부력부재(15)가 상승되면서 중심축(16)의 하단이 배출구(11)로부터 이격되어 응축수 및 보충수는 이를 통하여 배출되기 시작한다.
이러한 부력부재(15)의 상승시 그 상부면에 장착된 하부레일(21)과 위치고정된 중간레일(41)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면서 상기 하부, 중간레일(21)(41)의 안내홈(22)(42)에 수평활주이동가능하게 조립된 한쌍의 하부활주부재(23)(23a)사이와, 좌우한쌍의 중간활주부재(43)(43a)사이의 간격이 벌어지기 때문에 상기 중간활주부재(43)(43a)를 하단에 연결구성한 상부링크바(34)(34a)의 상부활주부재 (33)(33a)도 상부레일(31)의 안내홈(32)에서 양측으로 벌어지며서 상부레일(31)과 중간레일(41)사이의 간격을 좁힘에 따라, 상기 상부레일(31)에 장착된 마개부재(39)은 배출관(3)으로부터 멀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부력부재(15)의 상승이 계속 이루어지면서 개방된 배출구(11)를 통하여 보충수 및 응축수의 배출이 이루어져 상기 부력부재(15)가 반대로 하강되면, 그 상부면에 장착된 하부레일(21)과 위치고정된 중간레일(41)사이의 간격은 넓어지게 되면서 상기 하부, 중간레일(21)(41)의 안내홈(22)(42)에 수평활주이동가능하게 조립된 한쌍의 하부활주부재(23)(23a)사이와, 좌우한쌍의 중간활주부재(43)(43a)사이의 간격은 좁아지게 된다. 이는 힌지핀(25)을 매개로 길이중간을 연결구성한 하부링크바(24)(24a)에 의해서 이루어지진다.
연속하여, 상기 중간활부재(43)(43a)의 수평활주이동에 연동하여 이를 하단에 연결구성하고, 힌지핀(35)에 연결된 상부링크바(34)(34a)의 상부활주부재 (33)(33a)도 상부레일(31)의 안내홈(32)내에서 서로 좁아지면서 상부레일(31)과 중간레일(41)사이의 간격을 넓힘에 따라, 상기 상부레일(31)에 장착된 마개부재(39)는 배출관(3)측으로 상승되면서 그 출구단을 밀폐하여 상기 배출관(3)으로부터 응축수 및 유해가스가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그리고,상기 마개부재(39)에 의해서 배출관(3)이 밀폐되면, 상기 배출관(3)상부는 배출되지 못한 응축수가 모이게 되고, 관내에 모여진 응축수의 압력이 수주의 증가에 따라 일정치 이상이 되면 상기 마개부재(39)는 다시 내려와 상기 배출관(3)의 출구단을 개방하고, 개방된 배출관(3)을 통해 배출되는 응축수는 상기 용기(15)내에 모아지면서 낮아진 용기(15)내의 수위를 높이게 되며, 상기와 같은 부력부재(15)의 승하강에 따른 마개부재(39)의 상하운동을 유발하는 것이다.
한편, 응축수 및 보충수가 배출되는 배출구(11)의 패킹부재가 마모되거나 파손되어 용기(15)내의 물이 모두 외부로 유출되는 사고가 발생하여도 유해가스가 배출되는 배출관(3)의 출구단을 상기 마개부재(39)로서 완전히 밀폐하기 때문에 유해가스가 배출구(11)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보충수가 채워진 용기내의 물이 일정수위이하로 낮아져 부력부재가 하강되면서 배출구를 닫을 때 응축수 및 유해가스가 배출되는 배출관을 마개부재로서 동시에 차단할수 있기 때문에, 용기내의 물의 모두 외부로 유출되어도 배관내의 유해가스가 외부로 유출될 우려가 없어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종래와 같이 보충수를 계속 공급할 필요가 없어져 응축수 처리비용을 절감할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Claims (3)
- 가스배관으로부터 연장된 배출관(3)과 연통되는 원통형 용기(15)와, 상기 용기(15)내로 보충수를 공급하는 보충수공급라인(9)과, 상기 용기(15)의 수위변화에 따라 승하강되는 부력부재(15)의 중심축(16)하단에 의해서 개폐조절되는 배출구(11)를 갖추어 부생가스의 응축수 및 유해가스를 포집하는 씰포트설비에 있어서,상기 부력부재(15)의 상부면에 장착되는 하부레일(21)과, 상기 하부레일(21)의 안내홈(22)에 조립되는 하부활주부재(23)(23a)를 하단에 장착하고, 힌지핀(25)을 매개로 크로스조립되는 한쌍의 하부링크바(24)(24a)와, 상기 배출관(3)의 출구단과 대응하는 마개부재(39)의 하부면에 장착되는 상부레일(31)과, 상기 상부레일(31)의 안내홈(32)에 조립되는 상부활주부재(33)(33a)를 상단에 장착하고, 힌지핀(35)을 매개로 크로스조립되는 한쌍의 상부링크바(34)(34a)와, 상기 용기(15)의 내벽에 양단이 수평하게 위치고정되고, 상기 상,하부링크바(24)(24a)(34)(34a)의 상,하단이 각각 회동가능하게 조립되는 롤축(45)의 중간활주부재(43)(43a)가 안내홈(42)에 조립되는 한쌍의 중간레일(41)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씰포트의 가스누출 방지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마개부재(39)는 응축수 및 유해가스가 배출되는 배출관(3)의 출구단에대한 밀폐효과를 높힐수 있도록 원추형, 반구형 단면구조를 갖는 부재로 갖추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씰포트의 가스누출 방지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상,하부활주부재 및 중간활주부재(23)(23a)(33)(33a)(43)(43a)는 상,하부 및 중간레일(21)(31)(41)의 각 안내홈(22)(32)(42)내에서 원활한 수평구름이동이 가능하도록 롤러부재로 갖추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씰포트의 가스누출 방지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90060902A KR20010057461A (ko) | 1999-12-23 | 1999-12-23 | 씰포트의 가스누출 방지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90060902A KR20010057461A (ko) | 1999-12-23 | 1999-12-23 | 씰포트의 가스누출 방지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0057461A true KR20010057461A (ko) | 2001-07-04 |
Family
ID=19628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90060902A KR20010057461A (ko) | 1999-12-23 | 1999-12-23 | 씰포트의 가스누출 방지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10057461A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1852335A (zh) * | 2010-06-12 | 2010-10-06 | 南通宝钢钢铁有限公司 | 防堵防泄漏煤气装置及方法 |
CN107726052A (zh) * | 2017-11-28 | 2018-02-23 | 温作泽 | 一种智能防泄漏煤气排水器 |
KR20190125112A (ko) * | 2018-04-27 | 2019-11-06 | 주식회사 포스코 | 가스관의 수봉 상태 유지 장치 |
CN111992024A (zh) * | 2020-08-26 | 2020-11-27 | 盐城工学院 | 一种生物滴滤脱硝塔 |
-
1999
- 1999-12-23 KR KR1019990060902A patent/KR20010057461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1852335A (zh) * | 2010-06-12 | 2010-10-06 | 南通宝钢钢铁有限公司 | 防堵防泄漏煤气装置及方法 |
CN107726052A (zh) * | 2017-11-28 | 2018-02-23 | 温作泽 | 一种智能防泄漏煤气排水器 |
KR20190125112A (ko) * | 2018-04-27 | 2019-11-06 | 주식회사 포스코 | 가스관의 수봉 상태 유지 장치 |
CN111992024A (zh) * | 2020-08-26 | 2020-11-27 | 盐城工学院 | 一种生物滴滤脱硝塔 |
CN111992024B (zh) * | 2020-08-26 | 2022-01-28 | 盐城工学院 | 一种生物滴滤脱硝塔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03650B1 (ko) | 가스배관의 시일포트장치 | |
KR20010057461A (ko) | 씰포트의 가스누출 방지장치 | |
CN106837407A (zh) | 一种瓦斯抽采管路连续自动化放水排渣装置 | |
TWI525188B (zh) | 用以調節與控制氣體壓力的裝置及方法 | |
CN206772642U (zh) | 便于油浸式变压器和电抗器的取油固定套件 | |
CN215891935U (zh) | 新型煤气防泄漏装置 | |
KR101766549B1 (ko) | 코크스 건식 소화 설비의 장입구 커버 장치 | |
CN213833569U (zh) | 一种具有隔离功能的湿式漏渣输送机 | |
CN201141515Y (zh) | 煤气管道防泄漏排水器 | |
RU2388788C2 (ru) | Способ регулирования гидравлического режима коксовой батареи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 |
US2568751A (en) | Graving dock | |
US3566908A (en) | Gastight, liquid sealed, swing-type valve assembly | |
KR102008815B1 (ko) | 하수관과 연결되는 맨홀의 역류방지장치 | |
KR200267435Y1 (ko) | 침전지 수로의 게이트 실링장치 | |
KR200179224Y1 (ko) | 가스 흐름 차단용 수봉장치 | |
KR0138115Y1 (ko) | 취수탑의 취수개폐장치 | |
CN109267627B (zh) | 一种自动排水装置 | |
KR200178988Y1 (ko) | 비중차이에 의해 분리된 유체배출장치 | |
CN220185223U (zh) | 一种膨胀水箱 | |
CN219011306U (zh) | 一种窨井井口安全防护装置 | |
CN105253480B (zh) | 一种油泵房油气排放装置和使用其的油气排放方法 | |
CN220888900U (zh) | 一种雨水排口截污及分流的智能排口装置 | |
CN220816984U (zh) | 一种管道漏点修复及保护一体化装置 | |
CN213332360U (zh) | 一种水封移动排风装置 | |
CA1164279A (en) | Removable seal for ash hoppers and the lik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91223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