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56353A - 호출용 발신 번호 자동 송출 방법 - Google Patents

호출용 발신 번호 자동 송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56353A
KR20010056353A KR19990057794A KR19990057794A KR20010056353A KR 20010056353 A KR20010056353 A KR 20010056353A KR 19990057794 A KR19990057794 A KR 19990057794A KR 19990057794 A KR19990057794 A KR 19990057794A KR 20010056353 A KR20010056353 A KR 200100563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ing
call
caller
calling number
cal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99900577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74354B1 (ko
Inventor
권오성
강원철
Original Assignee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filed Critical 이계철
Priority to KR199900577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4354B1/ko
Publication of KR200100563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63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43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4354B1/ko

Links

Landscapes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호출시 발신 번호를 정확하고 간단하게 자동으로 송출하는 호출용 발신번호 자동 송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발신자는 다수개의 호출용 발신번호 예를 들어, 가입자 댁내의 유선 번호, 휴대폰 번호, 호출기 번호를 저장한 상태에서 착신측으로부터 제공되는 음성 사서함 서비스의 호출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할 경우 발신자는 원하는 호출용 발신번호가 저장되어 있는 순서에 해당하는 숫자키만을 입력하므로써, 호출용 발신번호를 일일이 입력할 필요가 없으며, 또한 정확하게 입력되어 저장된 호출용 발신번호가 송출되므로써 잘못된 발신번호가 입력됨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트래픽의 증가를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호출용 발신 번호 자동 송출 방법{METHOD FOR AUTOMATICALLY TRANSMITTING THE NUMBER REQUIRING OF RESPONCE}
본 발명은 호출용 발신번호 자동 송출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호출시 발신 번호를 간단하게 자동으로 송출하고자하는 호출용 발신번호 자동 송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호출기(pager)나 휴대폰에 접속하고자할 경우 착신측에서는 전화를 받을 수 없는 경우 음성 사서함 서비스를 제공한다. 음성 사서함 서비스는 지능망 교환기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로서, 발신측에서 요구한 호가 착신측과 연결되지 않을 때 호출할 번호 또는 음성 메시지를 남겨놓으라는 음성 서비스를 발신측으로 제공하는 서비스를 말한다.
이 때, 발신자가 호출할 번호를 남겨놓고자 할 경우 자신과 연결될 수 있는 전화 번호 예를 들어, 가입자 댁내의 유선 전화번호 또는 휴대폰 번호 또는 호출기의 번호를 전화기상의 숫자키를 통하여 입력하고 호출완료버튼을 눌러 착신측으로 전송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발신측에서 착신측으로 호출 번호를 전송하는 경우, 발신자는 발신자 댁내의 유선 전화의 전화 번호나 또는 휴대폰의 전화 번호를 호출할 때마다 일일이 입력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었으며, 또한 발신 번호를 잘못 입력시 호출한 해당 발신자의 전화 번호가 아닌 다른 가입자의 전화 번호가 입력이 되어 착신자는 잘못된 즉, 호출하지 않은 가입자의 번호로 호출 확인 전화를 하게 되는 불편함뿐만 아니라 이로 인하여 트래픽(traffic)이 증가되어 망관리면에서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다수개의 호출용 발신 번호를 저장한 후 호출시 원하는 호출용 발신 번호를 선택하여 송출하므로써, 호출할 때마다 호출용 발신 번호를 일일이 입력할 필요가 없으며 정확하게 입력되어 저장된 호출용 발신번호가 송출되므로써 트래픽이 증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호출용 발신 번호 자동 송출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발신자의 전화번호를 착신측으로 송출하는 호출용 발신번호 자동 송출 방법에 있어서, 호출용 발신 번호를 다수개 저장하는 제 1 과정; 상기 발신자의 호요구에 따른 음성 사서함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 2 과정; 상기 음성 사서함 서비스중 호출을 선택하는 제 3 과정; 상기 제 1 과정에서 저장된 다수개의 호출용 발신 번호중 하나의 호출용 발신 번호를 선택하여 송출하는 제 4 과정을 포함하는 특징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호출용 발신 번호를 자동 송출하기 위한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호출용 발신 번호를 저장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른 호출용 발신 번호를 자동으로 송출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발신측 단말기 120 : 발신측 교환기
130 : 이동통신망 140 : PSTN망
150 : 착신측 교환기 160 : 지능망 교환기
170 : 착신측 단말기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호출용 발신번호를 자동으로 송출하기 위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참조부호 110은 발신측 단말기(110)로서, 키패드부(111), 송수화부(112), 제어부(113), 저장부(114), DTMF(Dual Tone Multi Freqauency) 신호 발생부(115)로 구성되어, 발신자로부터 입력되는 다수개의 호출용 발신 번호를 저장하고 저장된 다수개의 호출용 발신번호중 선택된 발신 번호와 착신번호를 송출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발신측 교환기(120)는 발신측 단말기(110)가 속해있는 해당 교환기로서 발신측 단말기(110)에서 요구되는 호 즉, 착신번호를 번호번역하여 이동통신호이면 이동통신망(130)을 통하여 해당 착신측 교환기(150)로 호를 요구하고, PSTN호이면 PSTN망(140)을 통하여 해당 착신측 교환기(150)로 호를 요구한다.
또한, 발신측 교환기(120)는 착신번호에 해당하는 통신망 즉, 이동 통신망(130) 또는 PSTN망(140)을 통하여 발신측 단말기(110)를 통해 선택된 발신번호를 해당 착신측 교환기(150)로 전송한다.
이 때, 착신측 교환기(150)는 요구한 호에 해당하는 착신측 단말기(170)로 호 연결을 시도하여 착신측 단말기(170)가 후크 오프하면 호를 연결하고, 착신측 단말기(170)가 후크 온상태를 유지하면 착신측 단말기(170)의 음성 사서함 서비스 등록 여부를 판별하여 음성 사서함 서비스 등록이 되어 있으면 지능망 교환기(160)로 음성 사서함 서비스를 요청하여 발신측으로 음성 사서함 서비스를 제공하도록하고, 또한 이동 통신망(130) 또는 PSTN망(140)을 통하여 발신측으로부터 전송되는 호출용 발신번호를 착신측 단말기(170) 가입자로 전송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수개의 호출용 발신번호를 저장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제 210 단계에서 발신자로부터 키패드부(111)를 통하여 호출에 따른 키신호 예를 들어, 호출용 발신번호 저장키가 입력되면 제어부(113)는 제 220 단계에서 발신자로부터 키패드부(111)를 통하여 호출용 발신번호 입력에 따른 숫자키가 입력되는가를 판단하여 호출용 발신번호 입력에 따른 숫자키가 입력되면 제 230 단계로 진행되어 키패드부(111)를 통해 입력되는 다수의 호출용 발신번호를 저장부(114)의해당 어드레스에 순차적으로 저장시킨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과정에 의하여 저장된 다수개의 호출용 발신번호를 자동으로 송출하기 위한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착신측 교환기(150)는 제 310 단계에서 이동 통신망(130) 또는 PSTN(140)망을 통하여 호를 요구하는 신호가 전송되면 제 320 단계로 진행되어 착신측 단말기(170)로 호연결을 시도하기 위한 착신 신호음을 발생한다.
그리고, 착신측 교환기(150)는 제 330 단계로 진행되어 착신측 단말기(170)의 후크 오프여부를 판단하여 착신측 단말기(170)가 후크 오프하면 제 380 단계로 진행하여 호를 연결하고, 착신측 단말기(170)가 후크 온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하면 제 340 단계로 진행하여 지능망 교환기(160)로 음성 사서함 서비스를 요청하여 음성 사서함으로 연결하여 음성 사서함 서비스를 발신측으로 제공한다.
이 때, 지능망 교환기(160)로부터 제공되는 음성 사서함 서비스에 대하여 발신자는 발신측 단말기(110)의 키패드부(111)를 통하여 호출에 대한 선택을 한 후(제 350 단계), 다수개의 호출용 발신번호 예를 들어, 가입자 댁내의 유선 전화 번호, 휴대폰 번호, 호출기 번호 등 등의 번호들중 원하는 호출용 발신번호에 대한 저장 순서에 해당하는 숫자키를 입력하여 선택한다(제 360 단계).
그리고, 키패드부(111)의 호출 완료키를 입력하면(제 370 단계), 제어부(113)는 저장부(114)에 저장되어 있는 다수개의 호출용 발신번호중 입력된 숫자키에 해당하는 어드레스의 호출용 발신번호를 독출하여 DTMF 신호 발생부(115)로 제공하고, DTMF 신호 발생부(115)는 제어부(113)에서 제공되는 발신번호를 DTMF신호음으로 변환하여 전화라인을 통하여 발신측 교환기(120)로 제공한다.
따라서, 발신측 교환기(120)는 해당 통신망(130 또는 140)을 통하여 착신측 교환기(150)를 거쳐 착신측 단말기(170)로 전송되도록 한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과정에 의하여 저장된 다수개의 호출용 발신번호를 자동으로 송출하기 위한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착신측 교환기(150)는 제 410 단계에서 이동 통신망(130) 또는 PSTN(140)망을 통하여 호를 요구하는 신호가 전송되면 제 420 단계로 진행되어 착신측 단말기(170)로 호연결을 시도하기 위한 착신 신호음을 발생한다.
그리고, 착신측 교환기(150)는 제 430 단계로 진행되어 지능망 교환기(160)로 음성 사서함 서비스를 요청하여 음성 사서함으로 연결하여 음성 사서함 서비스를 발신측으로 제공한다.
이 때, 지능망 교환기(160)로부터 제공되는 음성 사서함 서비스에 대하여 발신자는 발신측 단말기(110)의 키패드부(111)를 통하여 호출에 대한 선택을 한 후(제 440 단계), 다수개의 호출용 발신번호 예를 들어, 가입자 댁내의 유선 전화 번호, 휴대폰 번호, 호출기 번호 등 등의 번호들중 원하는 호출용 발신번호에 대한 저장 순서에 해당하는 숫자키를 입력하여 선택한다(제 450 단계).
그리고, 키패드부(111)의 호출 완료키를 입력하면(제 460 단계), 제어부(113)는 저장부(114)에 저장되어 있는 다수개의 호출용 발신번호중 입력된 숫자키에 해당하는 어드레스의 호출용 발신번호를 독출하여 DTMF 신호 발생부(115)로 제공하고, DTMF 신호 발생부(115)는 제어부(113)에서 제공되는 발신번호를 DTMF신호음으로 변환하여 전화라인을 통하여 발신측 교환기(120)로 제공한다.
따라서, 발신측 교환기(120)는 해당 통신망(130 또는 140)을 통하여 착신측 교환기(150)를 거쳐 착신측 단말기(170)로 전송되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호출용 발신번호 자동 송출 장치는, 호출기나 또는 휴대폰에 호출하고자 할 경우 다수개의 호출용 발신번호를 저장한 후 호출시 원하는 호출용 발신번호만을 선택하여 송출하므로써, 호출할 때마다 호출용 발신 번호를 일일이 입력할 필요가 없으며 정확하게 입력되어 저장된 호출용 발신번호가 송출되므로써 잘못된 발신전화로 호출확인 전화를 하게 됨에 따라 발생하는 트래픽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및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도 다양한 수정 및 변화, 생략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4)

  1. 발신자의 전화번호를 착신측으로 송출하는 호출용 발신번호 자동 송출 방법에 있어서,
    호출용 발신 번호를 다수개 저장하는 제 1 과정;
    상기 발신자의 호요구에 따른 음성 사서함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 2 과정;
    상기 음성 사서함 서비스중 호출을 선택하는 제 3 과정;
    상기 제 1 과정에서 저장된 다수개의 호출용 발신 번호중 하나의 호출용 발신 번호를 선택하여 송출하는 제 4 과정을 포함하는 호출용 발신 번호 자동 송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과정을 수행한 후 상기 발신자의 호 요구시 착신자가 후크 온상태를 유지하면 상기 음성 사서함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출용 발신 번호 자동 송출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과정은,
    상기 다수개의 호출용 발신번호중 송출하고자 하는 발신 번호에 해당하는 순서키를 입력한 다음 호출 완료키를 입력하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출용 발신 번호 자동 송출 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호출용 발신번호는 발신자 가입자 댁내의 유선 전화 번호, 휴대폰 번호, 호출기 번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출용 발신 번호 자동 송출 방법.
KR19990057794A 1999-12-15 1999-12-15 호출용 발신 번호 자동 송출 방법 KR1005743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9990057794A KR100574354B1 (ko) 1999-12-15 1999-12-15 호출용 발신 번호 자동 송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9990057794A KR100574354B1 (ko) 1999-12-15 1999-12-15 호출용 발신 번호 자동 송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6353A true KR20010056353A (ko) 2001-07-04
KR100574354B1 KR100574354B1 (ko) 2006-04-27

Family

ID=19625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9990057794A KR100574354B1 (ko) 1999-12-15 1999-12-15 호출용 발신 번호 자동 송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435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74354B1 (ko) 2006-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12483B1 (ko) 페이저가 장착된 핸드셋들간의 원격 지점간 통화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CN1582596B (zh) 电信网络中控制及启用移动电话中高级服务和用户界面的方法、装置和配置
CA2177759C (en) Transmission of a data message during silent intervals of ringing for selection of terminal equipment
EP1068717B1 (en) Computer telephony integration
US20010044307A1 (en) Incoming call notification apparatus
KR100450964B1 (ko) 인터넷 프로토콜 텔레포니 시스템의 가입자 그룹 서비스방법
JP3186918B2 (ja) 着信ディレクトリ番号の識別方法
GB2308270A (en) Telephone system with remote call pick-up capability
JP2001298535A (ja) 公衆交換電話網を介して選択された電子メールを通知し聞き取るサービスを備えたインテリジェント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KR20070074291A (ko) 멀티링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
US6396918B1 (en) Method for forwarding a call to a telephone behind a key telephone system
KR20030025046A (ko) 전화기의 부재중 착신 전화정보를 단문 메시지로 제공하는장치 및 그 방법
JP2007082163A (ja) 電話交換装置及び電話交換装置の着信制御方法
KR100574354B1 (ko) 호출용 발신 번호 자동 송출 방법
KR100705365B1 (ko) 사설 교환기에서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 및 발신 정보 송출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US657447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nding a message to a pager using a subscriber telephone number
JP2908423B1 (ja) 発呼者番号情報通知方式および発呼者番号情報通知方法
KR20020076004A (ko)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를 이용한 확장 가능형 발신자정보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20040100806A (ko) 듀얼모드 착발신 전화 단말기
KR20030082308A (ko) 사설교환기의 발신번호 선택적 전송 방법
KR20040099077A (ko) 인터넷 전화연결정보 제공장치 및 방법
KR100674335B1 (ko) 지능망에서 통화자간 자동연결 방법
JP3928903B2 (ja) ワンタッチ応答機能を有する通信端末
JP2843335B2 (ja) 不在内線加入者による外部端末からの加入者呼出方法
JPH0964983A (ja) Isdn中継線による付加情報転送サービス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0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