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56007A - 휴대용 무선 단말기 고유 정보를 이용한 도어락 장치 및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무선 단말기 고유 정보를 이용한 도어락 장치 및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56007A
KR20010056007A KR1019990057399A KR19990057399A KR20010056007A KR 20010056007 A KR20010056007 A KR 20010056007A KR 1019990057399 A KR1019990057399 A KR 1019990057399A KR 19990057399 A KR19990057399 A KR 19990057399A KR 20010056007 A KR20010056007 A KR 200100560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ock
wireless terminal
portable wireless
lock device
uniqu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7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18915B1 (ko
Inventor
좌경윤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900573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8915B1/ko
Publication of KR200100560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60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89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89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4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near field communication means, e.g. RF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락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고유정보를 이용하여 도어를 개폐하는 도어락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휴대용 무선 단말기 고유 정보를 이용한 도어락 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락 장치의 적소에 고정되며, 상기 휴대용 무선 단말기가 장착될 경우 상기 휴대용 무선 단말기와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 인터페이스부와, 소정 제어에 따라 상기 도어락 장치의 도어를 도어락 개시 혹은 도어락 해제로 구동하기 위한 메카니즘을 수행하는 도어락 메카니즘과, 상기 도어락 장치를 제어가능한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고유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휴대용 무선 단말기 인터페이스부에 휴대용 무선 단말기가 장착됨을 감지하면 상기 휴대용 무선 단말기로 인증요구 메시지를 전송하며, 상기 휴대용 무선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고유 정보가 등록된 고유 정보일 경우, 사용자로부터 도어락 상태를 선택받아 그 선택받은 도어락 상태로 상기 도어락 메카니즘을 구동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휴대용 무선 단말기 고유 정보를 이용한 도어락 장치 및 그 제어방법{DOOR ROCK APPARATUS USING IDENTITY INFORMATION OF PORTABLE RADIO TELEPHON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도어락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고유정보를 이용하여 도어를 개폐하는 도어락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도어락(DOOR LOCK) 장치는 전기적인 특성을 이용한 전자카드 시스템 혹은 비밀번호 시스템을 도입하여, 전자의 경우에는 전자카드를 도어락 장치에 구비되어 있는 카드리더(Card Reader)에 읽혀 상기 전자카드에 등록되어 있는 정보를 읽어 도어를 개폐 제어하였으며, 후자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그 입력한 비밀번호가 등록되어 있는 비밀번호와 일치할 경우에 도어를 개폐 제어가능하였었다.
그런데, 전자카드를 가지고서 도어락 장치를 제어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별도로 상기 전자카드를 항상 소지하여야만 하고, 상기 전자카드를 사용자가 분실하였을 경우 도어락 장치를 제어하는 것이 불가능하였었다.
또한 상기 비밀번호를 이용할 경우에는 사용자가 비밀번호를 기억하지 못할 경우 도어락 장치의 제어가 불가능하였었으며, 혹은 비밀번호가 타인에게 노출되었을 경우 도어락 장치의 안전성에 문제가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무선단말기 고유 정보를 이용하여 도어를개폐하는 도어락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용 무선 단말기 고유 정보를 이용하여 도어를 개폐하는 도어락 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 고유 정보를 이용한 도어락 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락 장치의 적소에 고정되며, 상기 휴대용 무선 단말기가 장착될 경우 상기 휴대용 무선 단말기와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 인터페이스부와, 소정 제어에 따라 상기 도어락 장치의 도어를 도어락 개시 혹은 도어락 해제로 구동하기 위한 메카니즘을 수행하는 도어락 메카니즘과, 상기 도어락 장치를 제어가능한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고유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휴대용 무선 단말기 인터페이스부에 휴대용 무선 단말기가 장착됨을 감지하면 상기 휴대용 무선 단말기로 인증요구 메시지를 전송하며, 상기 휴대용 무선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고유 정보가 등록된 고유 정보일 경우, 사용자로부터 도어락 상태를 선택받아 그 선택받은 도어락 상태로 상기 도어락 메카니즘을 구동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도어락 장치 적소에 설치되며, 휴대용 무선 단말기가 상기 도어락 장치에 장착됨을 감지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 인터페이스부를 구비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 고유 정보를 이용한 도어락 장치 제어방법에 있어서, 휴대용 무선 단말기가 장착됨을 감지하면 상기 휴대용 무선 단말기로 인증요구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인증요구 메시지를 전송한 후 상기 휴대용 무선 단말기로부터 고유 정보가 수신되면 그 수신된 고유정보가 등록된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고유정보인지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검사 결과 등록된 고유정보일 경우 사용자로부터 도어락 상태를 선택받는 과정과, 상기 도어락 상태를 선택받을 경우 상기 그 선택받은 도어락 상태로 도어를 제어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도어락 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무선 단말기와 도어락 장치의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무선 단말기와 도어락 장치의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 제어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 제어 과정을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휴대용 무선 단말기 제어부(111)는 상기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휴대용 무선 단말기 메모리(113)는 상기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제어 프로그램 및 상기 제어부(111)의 제어에 따라 발생하는 제어 데이터를 저장하며,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NAM(Number Assignment Module: 번호 할당 모듈)에서 구비하는 파라미터(Parameter), 즉 상기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전화번호, 전자일련번호(ESN:Electric Serial Number), 비밀번호 등과 같은 파라미터가 도어락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고유 정보(Identity Information)로서 저장된다.
휴대용 무선 단말기 키입력부(115)는 다수의 다이얼링 디지트 키와,메뉴(MENU)키 및 통화(SEND)키 및 종료(END)키 등을 구비하며, 사용자가 선택한 키에 해당하는 키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휴대용 무선 단말기 제어부(111)로 전달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휴대용 무선 단말기 키입력부(115)에 구비되어 있는 다수의 키들을 조합하여 도어락 선택키 및 도어락 해제 선택키 등을 구비한다.
휴대용 무선 단말기 음성메모리(117)는 다수의 음성 메시지를 저장하며, 휴대용 무선 단말기 음성처리부(119)는 상기 제어부(111)의 제어에 따라 상기 휴대용 무선 단말기 음성 메모리(117)로부터 독출된 음성 메시지를 아날로그 처리하여 스피커를 통해 송출하며, 또한 마이크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음성을 디지털 신호 처리한다.
송신부(121)는 상기 휴대용 무선 단말기 제어부(111)에서 발생한 신호를 입력하여 디지털 무선 변조하여 듀플렉서(123)로 전달한다. 상기 듀플렉서(123)는 상기 송신부(121)로부터 전달받은 무선 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송출하며,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수신부(125)로 전달한다. 상기 수신부(125)는 상기 듀플렉서(123)로부터 전달받은 무선 신호를 복조하여 상기 휴대용 무선 단말기 제어부(111)로 전달하고, 상기 휴대용 무선 단말기 제어부(111)는 상기 전달받은 신호에 상응하여 통화를 제어한다.
표시부(127)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Unit) 및 LED(Light Emitting Diode) 등으로 구현되며, 상기 휴대용 무선 단말기 제어부(111)의 제어에 따라 수행되는 상기 휴대 전화 단말 장치의 제어 데이터 및 입력되는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한다.
도어락 장치 인터페이스부(129)는 도어락 장치와 인터페이스하며, 잭(Jack)을 구비하여 상기 도어락 장치와 접속하거나, 혹은 상기 도어락 장치의 적소에 구비되어 있는 장착모듈에 장착되어 상기 도어락 장치와 인터페이스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도어락 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어락 장치 제어부(111)는 상기 도어락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도어락 장치 메모리(213)는 상기 도어락 장치 제어부(211)의 제어에 따라 발생하는 제어 데이터 및 상기 도어락 장치를 개폐 제어가능한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고유 정보를 저장한다.
도어락 장치 키입력부(215)는 호출키, 디지트키 등을 구비하며, 사용자가 선택한 키에 해당하는 키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도어락 장치 제어부(111)로 전달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도어락 장치 키입력부(115)에 구비되어 있는 다수의 키들을 조합하여 도어락 선택키 및 도어락 해제 선택키 등을 구비한다.
도어락 장치 음성메모리(117)는 다수의 음성 메시지를 저장하며, 특히 상기 도어락 장치의 인증 성공 여부 및 도어락 장치 제어 상태를 안내하는 음성메시지 들을 저장한다. 도어락 장치 음성처리부(219)는 상기 도어락 장치 제어부(111)의 제어에 따라 상기 도어락 장치 음성 메모리(117)로부터 독출된 음성 메시지를 아날로그 처리하여 스피커를 통해 송출하며, 또한 마이크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음성을 디지털 신호 처리한다.
도어락 메카니즘(221)dms 상기 도어락 장치 제어부(211)의 제어에 따라 상기 도어락 장치의 도어 개폐를 제어하는 기계적 메카니즘을 수행한다. 도어락 장치 표시부(225)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Unit) 및 LED(Light Emitting Diode) 등으로 구현되며, 상기 도어락 장치 제어부(111)의 제어에 따라 수행되는 상기 도어락 장치의 제어 데이터 및 입력되는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한다.
휴대용 무선 단말기 인터페이스부(223)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와 인터페이스하며, 잭(Jack)을 구비하여 상기 휴대용 무선 단말기와 접속하거나, 혹은 상기 도어락 장치의 적소에 상기 휴대용 무선 단말기가 장착 가능한 장착모듈dmf 구비하여 상기 휴대용 무선 단말기가 상기 장착모듈에 장착될 경우 상기 휴대용 무선 단말기와 인터페이스한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휴대용 무선 단말기와 도어락 장치간에 반드시 하드웨어적으로 접속단자를 통해 정합하지 않아도 적외선 등을 통해 무선으로 인터페이스 가능함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무선 단말기와 도어락 장치의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휴대용 무선 단말기(100)와 도어락 장치(200)의 휴대용 무선 단말기 인터페이스부(223)에 구비되어 있는 장착모듈에 장착되어 있는 경우의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휴대용 무선 단말기(100)의 적소에는 상기 도어락 장치(200)의 휴대용 무선 단말기 인터페이스부(223)와 정합할 수 있는 접속단자를 구비하며, 상기 휴대용 무선단말기 인터페이스부(223) 역시 상기 휴대용 무선 단말기와 정합할 수 있는 접속단자를 구비하여 상기 접속단자간 정합으로 상기 휴대용 무선 단말기(100)와 도어락 장치(200)가 인테페이스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무선 단말기와 도어락 장치의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휴대용 무선 단말기(100)와 도어락 장치(200)의 휴대용 무선 단말기 인터페이스부(223)에 구비되어 있는 잭(Jack)을 통해 접속되는 경우의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휴대용 무선 단말기(100)의 적소에는 상기 도어락 장치(200)의 휴대용 무선 단말기 인터페이스부(223)와 정합할 수 있는 접속단자를 구비하며, 상기 휴대용 무선단말기 인터페이스부(223) 역시 상기 휴대용 무선 단말기와 정합할 수 있는 접속단자, 즉 잭을 구비하여 상기 접속단자간 정합으로 상기 휴대용 무선 단말기(100)와 도어락 장치(200)가 인테페이스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 제어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휴대용 무선 단말기(100)가 도어락 장치(200)에 장착되면 상기 도어락 장치(200)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100)가 장착되었음을 감지하고(511단계) 상기 휴대용 무선 단말기(100)로 인증요구 메시지를 전송한다.(513단계) 여기서, 인증 요구 메시지라함은 상기 장착된 휴대용 무선 단말기(100)의 고유 정보를 가지고 인증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휴대용 무선 단말기(100)의 고유 정보를 전송하기를 요구하는 메시지이다.
상기 휴대용 무선 단말기(100) 제어부(111)는 상기 도어락 장치(200)의 휴대용 무선 단말기 인터페이스부(223)를 통해 인증 요구 메시지가 수신됨을 감지하면 상기 휴대용 무선 단말기 제어부(111)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 메모리(113)에 저장되어 있는 고유 정보를 검출하고, 그 검출한 고유 정보를 도어락 장치 인터페이스부(129)를 통해 상기 도어락 장치(200)로 전송한다.(515단계) 이에 상기 도어락 장치 제어부(211)는 상기 전송받은 고유 정보가 등록된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고유 정보인지를 검사한다.(517단계) 검사 결과 등록된 휴대용 무선 단말기가 아니라면 상기 도어락 장치 제어부(211)는 상기 도어락 장치 메모리(113)로부터 상기 도어락 장치(200)를 제어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제어불가 메시지를 휴대용 무선 단말기 인터페이스부(223)를 통해 상기 휴대용 무선 단말기(100)로 전송한다.(519단계) 상기 휴대용 무선 단말기 제어부(111)는 상기 제어불가 메시지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휴대용 무선 단말기 메모리(113)에 저장되어 있는 제어불가 메시지, 예를 들어 "도어락 장치 제어 불가능"과 같은 메시지를 읽어 휴대용 무선 단말기 표시부(127)를 통해 디스플레이하고 리턴한다.(521단계)
한편, 상기 휴대용 무선 단말기(100)의 고유 정보가 등록된 휴대용 무선 단말기 고유 정보일 경우 상기 도어락 장치 제어부(211)는 인증 성공 메시지를 상기 휴대용 무선 단말기 인터페이스부(223)를 통해 전송한다.(523단계) 상기 휴대용 무선 단말기 제어부(111)는 상기 인증 성공 메시지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휴대용 무선 단말기 메모리(113)에 저장되어 있는 인증 성공 메시지, 예를 들어 "인증성공"과 같은 메시지를 읽어 상기 휴대용 무선 단말기 표시부(127)에 디스플레이한다.(525단계)
또한, 상기 인증 성공 메시지를 상기 휴대용 무선 단말기(100)로 전송한 후 도어락 장치 음성 메모리(217)에 저장되어 있는 인증성공 음성메시지, 예를 들어 "인증성공"과 같은 메시지를 읽어 도어락 장치 음성처리부(219)를 통해 아날로그 처리하여 스피커를 통해 송출한다.(527단계) 그리고 나서, 상기 도어락 장치 제어부(211)는 도어락 상태 선택 메시지를 상기 휴대용 무선 단말기 인터페이스부(223)를 통해 상기 휴대용 무선 단말기(100)로 전송한다.(529단계)
상기 휴대용 무선 단말기 제어부(111)는 상기 도어락 장치(200)로부터 도어락 상태 선택 메시지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휴대용 무선 단말기 메모리(113)에 저장되어 있는 도어락 상태 선택 메시지, 예를 들어 "1: 도어락 개시, 2: 도어락 해제"와 같은 메시지를 읽어 상기 휴대용 무선 단말기 표시부(127)를 통해 디스플레이한다.(531단계) 그리고 나서, 상기 휴대용 무선 단말기 제어부(111)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 키입력부(115)로부터 도어락 상태가 선택되는지를 검사한다.(533단계) 여기서, 도어락 상태를 선택한다 함은 상기 도어락 상태 선택 메시지에서 디스플레이한 바와 같이 도어락 개시를 요구하는 도어락 개시 선택키, 일 예로 디지트키 "1" 혹은 도어락 해제를 요구하는 도어락 해제 선택키, 일 예로 디지트키 "2" 중 어느 하나를 선택받음을 의미한다.
상기 검사 결과 도어락 상태가 선택되지 않았다면 상기 휴대용 무선 단말기 제어부(111)는 미리 설정한 설정 시간, 예를 들어 5초가 경과되었는지를 검사한다.(535단계) 검사 결과 설정 시간이 경과되지 않았을 경우 상기 휴대용 무선 단말기 제어부(111)는 상기 설정 시간이 경과될 때까지 도어락 상태 선택을 대기한다. 만약 검사 결과 설정 시간이 경과되었을 경우 상기 휴대용 무선 단말기 제어부(111)는 현재까지의 과정을 에러처리하고 리턴한다.(537단계)
상기 설정 시간내에 도어락 상태를 선택받았다면 상기 휴대용 무선 단말기 제어부(111)는 상기 선택된 도어락 상태에 관한 메시지를 상기 도어락 장치 인터페이스부(129)를 통해 상기 도어락 장치(200)로 전송한다.(539단계) 상기 도어락 장치 제어부(211)는 상기 휴대용 무선 단말기(100)로부터 선택된 도어락 상태 메시지를 수신하면 도어락 메카니즘(221)을 구동하여 상기 수신한 선택된 도어락 상태에 상응한 도어락 제어를 수행한다.(541단계) 즉, 상기 선택된 도어락 상태가 도어락 개시일 경우 상기 도어락 메카니즘(221)을 구동하여 상기 도어락 장치(200)의 도어를 락시키며, 상기 선택된 도어락 상태가 도어락 해제일 경우 상기 도어락 메카니즘(221)을 구동하여 상기 도어락 장치(200)의 도어 락을 해제시킨다.
그리고 나서, 상기 도어락 장치 제어부(211)는 상기 도어락 장치 음성메모리(217)로부터 상기 제어된 도어락 상태를 나타내는 음성메시지, 예를 들어 상기 제어된 도어락 상태가 도어락 개시일 경우에는 "도어락 개시"와 같은 음성메시지, 만약 상기 제어된 도어락 상태가 도어락 해제일 경우에는 "도어락 해제"와 같은 음성메시지를 읽어 상기 도어락 장치 음성처리부(219)를 통해 아날로그 처리하여 스피커를 통해 송출시키고 리턴한다.(543단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 제어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휴대용 무선 단말기(100)가 도어락 장치(200)에 장착되면 상기 도어락장치(200)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100)가 장착되었음을 감지하고(611단계) 상기 휴대용 무선 단말기(100)로 인증요구 메시지를 전송한다.(613단계) 여기서, 인증 요구 메시지라 함은 상기 장착된 휴대용 무선 단말기(100)의 고유 정보를 가지고 인증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휴대용 무선 단말기(100)의 고유 정보를 전송하기를 요구하는 메시지이다.
상기 휴대용 무선 단말기(100) 제어부(111)는 상기 도어락 장치(200)의 휴대용 무선 단말기 인터페이스부(223)를 통해 인증 요구 메시지가 수신됨을 감지하면 상기 휴대용 무선 단말기 제어부(111)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 메모리(113)에 저장되어 있는 고유 정보를 검출하고, 그 검출한 고유 정보를 도어락 장치 인터페이스부(129)를 통해 상기 도어락 장치(200)로 전송한다.(615단계) 이에 상기 도어락 장치 제어부(211)는 상기 전송받은 고유 정보가 등록된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고유 정보인지를 검사한다.(617단계) 검사 결과 등록된 휴대용 무선 단말기가 아니라면 상기 도어락 장치 제어부(211)는 상기 도어락 장치 메모리(113)로부터 상기 도어락 장치(200)를 제어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제어불가 메시지, 예를 들어 "도어락 장치 제어불가"와 같은 메시지를 읽어 도어락 장치 표시부(225) 디스플레이한다.(619단계) 그리고, 상기 도어락 장치 제어부(211)는 도어락 장치 음성메모리(217)로부터 제어불가 음성 메시지, 예를 들어 "도어락 장치 제어불가"와 같은 음성메시지를 읽어 도어락 장치 음성처리부(219)를 통해 아날로그 처리하여 스피커를 통해 송출하고 리턴한다.(621단계)
한편, 상기 휴대용 무선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고유 정보가 등록된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고유 정보일 경우 상기 도어락 장치 제어부(111)는 상기 도어락 장치 메모리(213)로부터 인증 성공을 나타내는 메시지, 예를 들어 "인증성공"과 같은 메시지를 읽어 상기 도어락 장치 표시부(225)를 통해 디스플레이한다.(623단계) 그리고, 상기 도어락 장치 제어부(211)는 상기 도어락 장치 음성메모리(217)로부터 인증성공을 나타내는 음성 메시지, 예를 들어 "인증성공"과 같은 음성메시지를 읽어 상기 도어락 장치 음성 처리부(219)를 통해 아날로그 처리하여 스피커를 통해 송출한다.(625단계)
상기 도어락 장치 제어부(211)는 상기 인증성공 음성메시지를 송출한 후 상기 도어락 장치 메모리(113)에 저장되어 있는 도어락 상태 선택 메시지, 예를 들어 "1: 도어락 개시, 2: 도어락 해제"와 같은 메시지를 읽어 상기 도어락 장치 표시부(225)를 통해 디스플레이한다.(627단계) 그리고 나서, 상기 도어락 장치 제어부(111)는 도어락 장치 키입력부(215)로부터 도어락 상태가 선택되는지를 검사한다.(629단계) 여기서, 도어락 상태를 선택한다 함은 상기 도어락 상태 확인 메시지에서 디스플레이한 바와 같이 도어락 개시를 요구하는 도어락 개시 선택키, 일 예로 디지트키 "1" 혹은 도어락 해제를 요구하는 도어락 해제 선택키, 일 예로 디지트키 "2" 중 어느 하나를 선택받음을 의미한다.
상기 검사 결과 도어락 상태가 선택되지 않았다면 상기 도어락 장치 제어부(111)는 미리 설정한 설정 시간, 예를 들어 5초가 경과되었는지를 검사한다.(631단계) 검사 결과 설정 시간이 경과되지 않았을 경우 상기 도어락 장치 제어부(211)는 상기 설정 시간이 경과될 때까지 도어락 상태 선택을 대기한다.만약 검사 결과 설정 시간이 경과되었을 경우 상기 도어락 장치 제어부(211)는 현재까지의 과정을 에러처리하고 리턴한다.(633단계)
상기 설정 시간내에 도어락 상태를 선택받았다면 상기 도어락 장치 제어부(111)는 도어락 메카니즘(221)을 구동하여 상기 선택된 도어락 상태로 상기 도어락 장치의 도어를 제어한다.(635단계) 즉, 상기 선택된 도어락 상태가 도어락 개시일 경우 상기 도어락 장치의 도어를 락시키며, 상기 선택된 도어락 상태가 도어락 해제일 경우 상기 도어락 장치의 도어를 락 해제시킨다.
상기 선택된 도어락 상태로 상기 도어를 제어한 후 상기 도어락 장치 제어부(211)는 상기 도어락 장치 메모리(113)로부터 상기 제어된 도어락 상태를 나타내는 메시지, 예를 들어 상기 제어된 도어락 상태가 도어락 개시일 경우에는 "도어락 개시"와 같은 메시지, 만약 상기 제어된 도어락 상태가 도어락 해제일 경우에는 "도어락 해제"와 같은 메시지를 읽어 상기 도어락 장치 표시부(225)를 통해 디스플레이한다.(637단계)
또한 상기 도어락 장치 제어부(211)는 상기 도어락 장치 음성메모리(217)로부터 상기 제어된 도어락 상태를 나타내는 음성메시지, 예를 들어 상기 제어된 도어락 상태가 도어락 개시일 경우에는 "도어락 개시"와 같은 음성메시지, 만약 상기 제어된 도어락 상태가 도어락 해제일 경우에는 "도어락 해제"와 같은 음성메시지를 읽어 상기 도어락 장치 음성처리부(219)를 통해 아날로그 처리하여 스피커를 통해 송출시키고 리턴한다.(639단계)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전화번호, 전자일련번호, 비밀번호 등과 같은 고유정보를 가지고 도어락 장치를 제어가능하게 함으로써, 별도의 시스템, 즉 비밀번호 시스템이나 전자카드 및 카드 리더 시스템을 구비하지 않아도 도어락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는 이점을 가진다.
따라서, 종래의 비밀번호 시스템처럼 비밀번호 누출로 인한 도어락 장치의 안전성 결여문제를 제거하며, 또한 전자카드 및 카드 리더 시스템 구비로 인한 자원의 낭비와 전자카드 분실로 인한 도어락 장치 제어 불가능 상태를 제거한다는 이점을 가진다.

Claims (11)

  1. 휴대용 무선 단말기 고유 정보를 이용한 도어락 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락 장치의 적소에 고정되며, 상기 휴대용 무선 단말기가 장착될 경우 상기 휴대용 무선 단말기와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 인터페이스부와,
    소정 제어에 따라 상기 도어락 장치의 도어를 도어락 개시 혹은 도어락 해제로 구동하기 위한 메카니즘을 수행하는 도어락 메카니즘과,
    상기 도어락 장치를 제어가능한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고유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휴대용 무선 단말기 인터페이스부에 휴대용 무선 단말기가 장착됨을 감지하면 상기 휴대용 무선 단말기로 인증요구 메시지를 전송하며, 상기 휴대용 무선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고유 정보가 등록된 고유 정보일 경우, 사용자로부터 도어락 상태를 선택받아 그 선택받은 도어락 상태로 상기 도어락 메카니즘을 구동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 고유 정보를 이용한 도어락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무선 단말기 인터페이스부는 접속단자를 통해 상기 휴대용 무선단말기와 인터페이스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 고유 정보를 이용한 도어락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무선 단말기와 상기 도어락 장치는 적외선을 통해 무선 인터페이스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 고유 정보를 이용한 도어락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요구 메시지는 상기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고유 정보를 상기 도어락 장치로 전송하기를 요구하는 메시지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 고유 정보를 이용한 도어락 장치.
  5. 도어락 장치 적소에 설치되며, 휴대용 무선 단말기가 상기 도어락 장치에 장착됨을 감지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 인터페이스부를 구비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 고유 정보를 이용한 도어락 장치 제어방법에 있어서,
    휴대용 무선 단말기가 장착됨을 감지하면 상기 휴대용 무선 단말기로 인증요구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인증요구 메시지를 전송한 후 상기 휴대용 무선 단말기로부터 고유 정보가 수신되면 그 수신된 고유정보가 등록된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고유정보인지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검사 결과 등록된 고유정보일 경우 사용자로부터 도어락 상태를 선택받는 과정과,
    상기 도어락 상태를 선택받을 경우 상기 그 선택받은 도어락 상태로 도어를 제어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 고유 정보를 이용한 도어락 장치 제어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락 상태를 설정 시간 이내에 선택받지 못할 경우 에러처리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 고유 정보를 이용한 도어락 장치 제어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요구 메시지는 상기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고유 정보를 상기 도어락 장치로 전송하기를 요구하는 메시지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 고유 정보를 이용한 도어락 장치 제어방법.
  8. 도어락 장치 적소에 설치되며, 휴대용 무선 단말기가 상기 도어락 장치에 장착됨을 감지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 인터페이스부를 구비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 고유 정보를 이용한 도어락 장치 제어방법에 있어서,
    휴대용 무선 단말기가 장착됨을 감지하면 상기 휴대용 무선 단말기로 인증요구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용 무선 단말기가 상기 인증요구 메시지를 수신하면 자신의 고유 정보를 상기 도어락 장치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도어락 장치가 상기 휴대용 무선 단말기로부터 고유 정보가 수신되면 그 수신된 고유정보가 등록된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고유정보인지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검사 결과 등록된 고유정보일 경우 인증성공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상기 휴대용 무선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인증성공 메시지를 수신한 휴대용 무선단말기가 설정 시간 이내에 도어락 상태를 선택받는 과정과,
    상기 선택받은 도어락 상태를 상기 도어락 장치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도어락 장치에서 상기 휴대용 무선 단말기로부터 선택받은 도어락 상태에 따라 도어를 제어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 고유 정보를 이용한 도어락 장치 제어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무선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고유 정보가 등록된 고유정보일 경우 제어불가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상기 휴대용 무선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제어불가 메시지를 수신한 휴대용 무선단말기가 제어불가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 고유 정보를 이용한 도어락 장치 제어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요구 메시지는 상기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고유 정보를 상기 도어락 장치로 전송하기를 요구하는 메시지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 고유 정보를 이용한 도어락 장치 제어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무선 단말기로부터 선택받은 도어락 상태에 따라 도어를 제어한 후 상기 제어된 도어락 상태를 나타내는 음성메시지를 송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 고유 정보를 이용한 도어락 장치 제어방법.
KR1019990057399A 1999-12-14 1999-12-14 휴대용 무선 단말기 고유 정보를 이용한 도어락 장치 및그 제어방법 KR1003189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7399A KR100318915B1 (ko) 1999-12-14 1999-12-14 휴대용 무선 단말기 고유 정보를 이용한 도어락 장치 및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7399A KR100318915B1 (ko) 1999-12-14 1999-12-14 휴대용 무선 단말기 고유 정보를 이용한 도어락 장치 및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6007A true KR20010056007A (ko) 2001-07-04
KR100318915B1 KR100318915B1 (ko) 2001-12-29

Family

ID=19625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7399A KR100318915B1 (ko) 1999-12-14 1999-12-14 휴대용 무선 단말기 고유 정보를 이용한 도어락 장치 및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8915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1477A (ko) * 2001-08-03 2003-0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록 개폐장치 및 그제어방법
KR20030044248A (ko) * 2001-11-29 2003-06-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전자키 장치 및 그 방법
KR100700975B1 (ko) * 2006-08-23 2007-03-28 신은순 휴대폰이 내장된 비상문 개폐장치
KR100724413B1 (ko) * 2005-07-06 2007-06-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개폐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964458B1 (ko) * 2003-08-18 2010-06-1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 잠금 장치 및 그 방법
KR20160146128A (ko) 2015-06-11 2016-12-21 (주)서진테크 스마트 도어록
KR20170118441A (ko) * 2016-04-15 2017-10-25 주식회사 시멘텍스 스마트폰 도킹 도어락
WO2018147521A1 (ko) * 2017-02-13 2018-08-16 (주)브로드웨이브 스마트폰 거치형 디지털 도어락 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1477A (ko) * 2001-08-03 2003-0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록 개폐장치 및 그제어방법
KR20030044248A (ko) * 2001-11-29 2003-06-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전자키 장치 및 그 방법
KR100964458B1 (ko) * 2003-08-18 2010-06-1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 잠금 장치 및 그 방법
KR100724413B1 (ko) * 2005-07-06 2007-06-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개폐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700975B1 (ko) * 2006-08-23 2007-03-28 신은순 휴대폰이 내장된 비상문 개폐장치
KR20160146128A (ko) 2015-06-11 2016-12-21 (주)서진테크 스마트 도어록
KR20170118441A (ko) * 2016-04-15 2017-10-25 주식회사 시멘텍스 스마트폰 도킹 도어락
WO2018147521A1 (ko) * 2017-02-13 2018-08-16 (주)브로드웨이브 스마트폰 거치형 디지털 도어락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18915B1 (ko) 2001-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69943B1 (en) Motor vehicle diagnostic system using hand-held remote control
US6161005A (en) Door locking/unlocking system utilizing direct and network communications
US20060148533A1 (en) Motor vehicle mobile phone configuration and communication method
US6081704A (en) Mobile radio communication device
KR100724413B1 (ko)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개폐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20030017820A1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a secure wireless link between a handset and base station
KR100318915B1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 고유 정보를 이용한 도어락 장치 및그 제어방법
NO178360B (no) Mobiltelefonkontroller
CN110197545A (zh) 一种智能锁及其管理方法、系统
KR101392571B1 (ko) 근거리 통신 인터페이스 제어방법
JP2001111705A (ja) 機器制御装置
KR100620917B1 (ko)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락 시스템 및 운영 방법
KR20070002574A (ko)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차 원격 제어 장치 및 방법
CN210038899U (zh) 一种智能锁
JP2003056232A (ja) 解錠方法および錠制御装置
KR20070072671A (ko) 근거리의 차량을 무선으로 제어하기 위해 휴대폰을이용하는 원격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JPH10317748A (ja) 車載キーレスエントリ装置および携帯電話機
KR20070080652A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는 도어 록 제어 시스템 및 방법
JPH06125305A (ja) 移動無線通信装置
JP2003253940A (ja) キーレスエントリシステム
KR20090044651A (ko) 카 오디오 기기에서의 차량 원격 제어장치 및 방법
KR20060036981A (ko) 전자키 기능 구현 시스템 및 운용방법
KR100698776B1 (ko) 지그비를 이용한 전자식 도어록 장치
KR20050093050A (ko) 차량 도난 자동호출시스템
KR100638025B1 (ko) 잠금 해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