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6128A - 스마트 도어록 - Google Patents

스마트 도어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6128A
KR20160146128A KR1020150082818A KR20150082818A KR20160146128A KR 20160146128 A KR20160146128 A KR 20160146128A KR 1020150082818 A KR1020150082818 A KR 1020150082818A KR 20150082818 A KR20150082818 A KR 20150082818A KR 20160146128 A KR20160146128 A KR 201601461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door lock
unit
door
relay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28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44571B1 (ko
Inventor
문덕열
Original Assignee
(주)서진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서진테크 filed Critical (주)서진테크
Priority to KR10201500828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4571B1/ko
Publication of KR201601461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61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45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45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05B2047/0071Connecting lockparts by electronic communication means only, e.g. bus systems, time multiplex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94Mechanical aspects of remotely controlled locks
    • E05B2047/0095Mechanical aspects of locks controlled by telephone signals, e.g. by mobile 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 및 중계 서버를 이용함으로써, 사용자가 원거리에서 도어록을 잠금 또는 해제하는 스마트 도어록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스마트 도어록은 도어를 잠금 또는 해제하는 도어록 유니트와, 도어록 유니트의 잠금 또는 해제를 요청하는 단말기와, 도어록 유니트 및 단말기에 통신 연결되는 중계 서버 유니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마트 도어록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기의 단말기 식별 코드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어록 유니트의 도어록 식별 코드가 매칭되어 등록되는 중계 서버 유니트를 포함하고, 중계 서버 유니트는 단말기와 도어록 유니트를 통신 연결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마트 도어록{A smart door-lock}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 및 중계 서버를 이용하고, 사용자가 원거리에서 도어록을 잠금 또는 해제하는 스마트 도어록에 관한 것이다.
도어의 잠금 또는 해제를 위해 사용되는 도어록 장치는 자물쇠와 열쇠를 기본적 구성으로 한다. 종래에는 자물쇠 및 열쇠의 기계적 구동을 통해서 도어가 잠금 또는 해제되는 기계식 도어록 장치들이 사용되어 왔지만, 최근에는 사용자가 입력한 전자 신호에 의해 잠기거나 열리는 디지털 도어록 장치가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한국 공개특허 특2001-0056007호에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 고유 정보를 이용한 도어록 장치 및 제어 방법이 개시되고 있다.
하지만, 한국 공개특허 특2001-0056007호에 개시된 도어록 장치에 따르면, 도어록과 휴대용 무선 단말기가 근접거리에 있어야 하며, 원거리에서의 도어 잠금 및 해제는 어렵다.
한국 공개특허 특2001-0056007호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 및 중계 서버를 이용하고, 사용자가 원거리에서 도어록을 잠금 또는 해제하는 스마트 도어록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스마트 도어록은 도어를 잠금 또는 해제하는 도어록 유니트와, 도어록 유니트의 잠금 또는 해제를 요청하는 단말기와, 도어록 유니트 및 단말기에 통신 연결되는 중계 서버 유니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마트 도어록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기의 단말기 식별 코드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어록 유니트의 도어록 식별 코드가 매칭되어 등록되는 중계 서버 유니트를 포함하고, 중계 서버 유니트는 단말기와 도어록 유니트를 통신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마트 도어록은 단말기와 도어록 유니트가 중계 서버 유니트를 통해서 통신 연결됨으로써, 사용자는 단말기를 통해 원거리에서 도어록 유니트의 잠금 또는 해제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마트 도어록은 중계 서버 유니트가 통신 노드가 됨으로써, 한 단말기가 복수의 도어록 유니트를 제어하거나 복수의 단말기가 하나의 도어록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마트 도어록은 중계 통신망을 이용함으로써, 원거리에서 도어락이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스마트 도어록은 1인이 다세대를 관리하는 경우나 다수가 공공 시설 등을 관리하는 경우 등과 같이 다양한 환경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스마트 도어록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스마트 도어록을 구성하는 단말기와 도어록 유니트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스마트 도어록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스마트 도어록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스마트 도어록의 다른 동작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6은 도어록 유니트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7은 다른 도어록 유니트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스마트 도어록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스마트 도어록을 구성하는 단말기와 도어록 유니트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스마트 도어록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스마트 도어록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스마트 도어록의 다른 동작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6은 도어록 유니트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7은 다른 도어록 유니트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스마트 도어록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스마트 도어록은 도어를 잠금 또는 해제하는 도어록 유니트(300), 도어록 유니트(300)의 잠금 또는 해제를 요청하는 단말기(100), 도어록 유니트(300) 및 단말기(100)에 통신 연결되는 중계 서버 유니트(200)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100)는 제1 단말기(110) 및 제2 단말기(1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단말기(110)는 도어록 유니트(300)의 소유주가 사용하는 단말기(100)가 될 수 있으며, 제2 단말기(130)는 제1 단말기(110)에 도어록 유니트(300)의 잠금 또는 해제의 요청이 필요한 사람의 단말기(100)가 될 수 있다. 제1 단말기(110)는 도어록 유니트(300)의 잠금 또는 해제 작동의 승인 권한, 전자키 부여 및 삭제 권한을 가질 수 있다.
도어록 유니트(300)는 도어에 부착되어 도어를 직접적으로 잠금 또는 해제 가능한 기계적 장치일 수 있다.
도어록 유니트(300)는 직접적으로 문자열 입력 또는 단말기(100)와 접촉인식 입력이 가능한 입력 패널부(310), 신호 처리 및 기계적 제어를 하는 제어부(330), 기계적 구동원인 액츄에이터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30)는 도어의 암호인 전자키를 확인하는 전자키 매칭부(331) 및 액츄에이터부(350)를 제어하는 액츄에이터 제어부(333)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100)는 사용자가 휴대하는 통신장치로, 스마트폰, 일반 휴대 전화기, 노트북, 테블릿 PC 등이 될 수 있다.
중계 서버 유니트(200)는 통신망의 중심이 되고, 데이터의 저장 및 처리가 가능한 기기이다.
본 발명의 스마트 도어록은 사용자가 원거리에서도 도어에 장착된 도어록 유니트(300)를 잠금 또는 해제하기 위한 기술이다. 단말기(100)와 도어록 유니트(300)가 중계 서버 유니트(200)를 통해서 통신 연결됨으로써, 사용자는 단말기(100)를 통해 원거리에서 도어록 유니트(300)의 잠금 또는 해제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예기치 않은 손님이나, 택배 배달 등으로 원거리에서 현관문의 개방이 필요할 시에 사용자가 집에 있지 않더라도 도어를 열어줄 수 있다. 다른 예로는 사용자가 깜박하고 집 현관문을 잠그지 않고 외출하였을 시에도 본 발명의 스마트 도어록을 사용하면 원거리에서 도어를 잠글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단말기(100), 도어록 유니트(300), 중계 서버 유니트(200)에서 사용하는 통신은 인터넷 또는 전화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중계 서버 유니트(200)는 단말기(100)의 단말기 식별 코드 및 도어록 유니트(300)의 도어록 식별 코드가 등록될 수 있다. 단말기(100)와 도어록 유니트(300)가 전화망에서 중계 서버 유니트(200)에 등록될 경우, 단말기 식별 코드 및 도어록 식별 코드는 전화 번호 형식의 코드일 수 있다. 단말기(100)와 도어록 유니트(300)가 인터넷 망에서 중계 서버 유니트(200)에 등록될 경우, 단말기 식별 코드 및 도어록 식별 코드는 IP 주소 또는 임의로 사용자가 지정한 문자열일 수 있다.
중계 서버 유니트(200)에 복수의 단말기(100) 또는 복수의 도어록 유니트(300)가 개별적으로 고유의 식별 코드로 등록됨으로써, 단말기(100) 또는 도어록 유니트(300) 간의 상호 인식 또는 통신연결에 혼선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중계 서버에는 단말기 식별 코드와 도어록 식별 코드가 매칭되어 등록될 수 있다. 단말기 식별 코드와 도어록 식별 코드를 사전에 매칭시켜 둠으로써, 단말기(100)가 도어에 대한 잠금 또는 해제 명령을 중계 서버 유니트(200)에 전송할 시에 별도의 정보 입력 없이 해당 도어록 유니트(300)에 명령을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전 매칭이 없다면 사용자는 도어에 잠금 또는 해제를 요청할 때마다 해당 도어에 설치된 도어록 유니트(300)의 도어록 식별 코드를 추가로 입력해야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스마트 도어록은 사전 매칭 기능을 통해서, 사용자가 단말기(100)를 통해 도어의 잠금 또는 해제 명령을 중계 서버 유니트(200)에 전송하면, 중계 서버 유니트(200)는 즉각적으로 사전에 매칭된 도어록 유니트(300)에 잠금 또는 해제 명령을 전달할 수 있다.
하나의 도어록 식별 코드에는 복수의 단말기 식별 코드가 매칭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복수의 사용자가 동일한 도어록 유니트(300)를 잠금거나 해제할 수 있다. 예들 들어, 한 세대 가족 구성원은 1인 이상일 수가 있고, 따라서 하나의 도어록 유니트(300)에 복수의 단말기(100)가 매칭될 필요가 있다.
단말기(100)가 도어에 대한 잠금 또는 해제 명령을 중계 서버 유니트(200)에 전송할 시, 중계 서버 유니트(200)는 단말기 식별 코드에 매칭된 상기 도어록 유니트(300)에 도어록 유니트(300)의 작동 코드가 되는 전자키를 송신할 수 있다.
전자키는 도어록 유니트(300)에 입력되는 문자열로, 도어록 유니트(300)가 잠금 또는 해제 작동을 하기 위한 최종 승인 암호이다. 구체적으로 전자키는 도어록 유니트(300)에 구비된 전자키 매칭부(331)에 입력되고, 전자키 매칭부(331)는 전자키가 도어의 잠금 또는 해제 권한이 있는 문자열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확인결과가 권한이 있는 전자키로 판정되면 잠금 또는 해제 명령은 도어록 유니트(300)의 액츄에이터 제어부(333)로 전달되고, 액츄에이터 제어부(333)는 액츄에이터부(350)를 제어하여 도어를 잠금 또는 해제할 수 있다. 전자키는 중계 서버 유니트(200)로부터 전자키 매칭부(331)로 입력될 수도 있고, 중계 서버 유니트(200)를 거치지 않고 근거리 통신을 통해 단말기(100)로부터 입력될 수도 있다.
근거리 통신을 통해 단말기(100)의 전자키를 도어록 유니트(300)에 입력할 경우, 단말기(100)는 보안 강화를 위해서 별도의 단말기 암호가 입력된 후에 전자키를 근거리 통신으로 도어록 유니트(300)에 전송할 수 있다. 단말기(100)를 분실할 경우에 단말기(100) 주인이 아닌 제3자가 단말기(100)를 습득하여 도어록 유니트(300)를 조작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단말기(100)에 단말기 암호를 입력해야 단말기(100)는 근거리 통신을 통해 전자키를 도어록 유니트(300)에 전송할 수 있다.
중계 서버 유니트(200)에는 복수의 단말기(100)의 단말기 식별 코드가 등록될 수 있다. 복수로 등록된 단말기(100)는 제1 단말기(110) 및 제2 단말기(130)를 포함하며, 중계 서버 유니트를 통해서 제1 단말기(110)는 제2 단말기(130)에 도어록 유니트(300)의 작동 코드가 되는 전자키를 전송할 수 있다. 전자키를 보유한 단말기(100)를 제1 단말기(110)라고 하고, 전자키를 보유하지 않은 단말기(100)를 제2 단말기(130)라고 할 때, 제1 단말기(110)의 중계 서버 유니트(200)를 통해서 전자키를 제2 단말기(130)에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단말기(110)의 사용자가 제2 단말기(130)의 사용자와 떨어진 곳에 있을 때, 도어의 오픈 권한이 될 수 있는 전자키를 중계 서버 유니트(200)를 통해 원거리에서 전달할 수 있다.
중계 서버 유니트(200)에는 복수의 단말기(100)의 단말기 식별 코드가 계층화되어 등록될 수 있다. 단말기(100)는 상위 계층의 제1 단말기(110) 및 하위 계층의 제2 단말기(130)를 포함하며, 제2 단말기(130)는 중계 서버 유니트(200)에 도어의 잠금 또는 해제 요청이 가능하고, 중계 서버 유니트(200)는 제1 단말기(110)에 제2 단말기(130)의 요청에 대한 알림 메시지를 발송할 수 있다. 상위 계층인 제1 단말기(110)가 하위 계층인 제2 단말기(130)의 요청에 대해서 승인을 하면 중계 서버 유니트(200)는 도어록 유니트(300)에 전자키를 송신하고, 도어록 유니트(300)는 잠금 또는 해제 작동을 하게 된다.
제1 단말기(110)는 중계 서버 유니트(200)에 일부 제2 단말기(130)의 요청 알림 메시지를 차단 등록할 수 있다. 제1 단말기(110)가 차단 대상이 되는 제2 단말기(130)의 단말기(100) 식별코드를 중계 서버 유니트(200)에 차단 등록하면 중계 서버 유니트(200)는 차단 대상이 되는 제2 단말기(130)의 도어 잠금 또는 해제 요청을 제1 단말기(110)로 전달하지 않을 수 있다.
제2 단말기(130)는 중계 서버 유니트(200)에 도어록 유니트(300)의 작동 코드가 되는 전자키의 수신 요청이 가능하고, 중계 서버 유니트는 전자키 발송의 허용 여부에 대한 알림 메시지를 제1 단말기(110)로 발송할 수 있다. 제1 단말기(110)는 알림 메시지에 대한 승인 여부를 중계 서버 유니트(200)에 피드백할 수 있고, 피드백 결과에 따라 중계 서버 유니트(200)는 제2 단말기(130)에 전자키를 발송할 수 있다. 전자키 발송 승인 권한은 상위 계층의 제1 단말기(110)만이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가족 구성원이 휴대 전화를 바꿀 경우에 전자키를 새로운 단말기(100)에 다시 저장할 필요가 있고, 다른 가족 구성원의 휴대 전화에 저장된 전자키를 중계 서버 유니트(200)를 통해서 전달받을 수 있다. 중계 서버 유니트(200)를 통해서 전자키를 전달하기 때문에 원거리에서도 전자키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복수의 단말기 식별 코드는 계층화되어 도어록 식별 코드와 매칭될 수 있다. 상위 계층의 제1 단말기(110)는 하위 계층의 제2 단말기(130)의 도어록 유니트(300)의 도어 오픈 권한을 부여하거나 해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구주가 가사 도우미를 고용하고 도어를 잠금 또는 해지할 수 있게 전자키를 부여했다가 가사 도우미가 바뀌게 되면 이전의 가사 도우미의 단말기(100)에 저장된 전자키를 삭제할 필요가 있다. 이때 가사 도우미의 단말기(100)보다 상위 계층의 가구주의 단말기(100)는 가사 도우미의 단말기(100)에 저장된 전자키를 삭제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진다. 즉, 도어 오픈 권한의 부여는 전자키를 제공하는 것이고, 도어 오픈 권한의 해지는 전자키를 삭제하는 것일 수 있다.
중계 서버 유니트(200)는 도어록 유니트(300)의 작동, 요청, 승인, 명령 등이 기록될 수 있다. 중계 서버 유니트(200)에는 도어의 잠금 또는 해제를 요청했던 단말기(100)의 단말기 식별 코드, 전자키를 송수신한 단말기(100)들의 단말기 식별 코드, 잠금 또는 해제를 승인한 단말기(100)의 단말기 식별 코드 등과 관련된 모든 이벤트와 이벤트 발생시간이 기록될 수 있다. 모든 이벤트를 기록함으로써, 도어 내부 공간에서 도난 등의 범죄가 발생할 시 범죄 대상을 쉽게 추적할 수 있다.
도어록 유니트(300)는 도어의 잠금 또는 해제 요청이 가능한 입력 패널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 패널부(310)는 직접적으로 문자열 입력 또는 단말기(100)와 접촉인식 입력이 가능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패널부(310)는 문자열 입력이 가능한 숫자 버튼(313), 단말기(100)와 근거리 통신 또는 접촉 인식을 위한 통신 패널(315), 도어록 유니트(300)의 잠금 및 해제를 요청하는 오픈 콜 버튼(311), 도어에 접근하는 사람을 확인하는 센서(317)를 포함할 수 있다.
숫자 버튼(313)은 전자키의 문자열을 사용자가 직접 도어록에 입력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통신 패널(315)은 근거리 통신 또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로 단말기(100)의 전자키를 인식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통신 패널(315)을 통해서 사용자는 버튼 입력없이 단말기(100)를 도어록 유니트(300)에 접근 또는 접촉시키는 동작으로 도어록 유니트(300)에 전자키를 입력할 수 있다.
오픈 콜 버튼(311)은 제3의 사용자가 단말기(100) 없이 도어록 유니트(300)와 중계 서버 유니트(200)를 통해서 도어록 유니트(300)의 소유주의 단말기(100)인 제1 단말기(110)에 도어의 잠금 또는 해제 요청을 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입력 패널부(310)의 오픈 콜 버튼(311)을 통해서 도어의 잠금 또는 해제 요청이 입력될 시, 중계 유니트는 제1 단말기(110)에 도어의 잠금 또는 해제 요청에 대한 허용 여부의 알림 메시지를 발송할 수 있다. 제1 단말기(110)의 사용자가 메시지 확인 후 허용에 대한 답을 입력하면, 입력 결과는 중계 서버 유니트(200)를 통해 다시 도어록 유니트(300)에 전달되고 제어부(330)는 입력 결과에 따라 액츄에이터부(35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센서(317)는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 지문 인식 모듈, 홍채 인식 모듈일 수 있다.
입력 패널부(310) 또는 제2 단말기(130)를 통해서 도어의 잠금 또는 해제 요청이 입력될 시, 센서(317)는 도어의 잠금 또는 해제 요청자를 촬영 또는 스캔할 수 있다. 센서(317)가 촬영 또는 스캔한 데이터는 제1 단말기(110)로 전달되어 제1 단말기(110) 사용자가 영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중계 서버 유니트(200) 또는 제1 단말기(110) 또는 제어부(330)에는 측정값 판별 기준 데이터가 입력될 수 있다. 측정값 판별 기준 데이터는 사전에 센서(317) 또는 제1 단말기(110)를 통해서 입력된 도어의 잠금 또는 해제 요청자의 얼굴, 지문, 홍채 등의 영상일 수 있다. 측정값 판별 기준 데이터는 센서(317)로 측정된 영상과 일치율을 판별하는 기준일 수 있다. 제1 단말기(110)는 일치율을 판별하는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단말기(110)는 일치율을 판별하는 장치를 중계 서버 유니트(200), 제1 단말기(110), 제어부(33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설정할 수 있다. 판별 위치로 설정된 모든 장치에서 센서(317)가 촬영 또는 스캔한 영상과 측정값 판별 기준 데이터와 일치율이 일정 값 이상으로 판별될 때 도어의 잠금 또는 해제를 허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본 발명의 입력 패널부(310)는 보안을 위해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숫자 버튼(313)을 생략하고 오픈 콜 버튼(311)과 통신 패널(315), 센서(317)만을 구비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스마트 도어록의 기능 및 작동을 다시 한번 상세히 설명한다.
도시된 도 1은 본 발명의 스마트 도어록의 통신 연결 상태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스마트 도어록은 단말기(100)와 도어록 유니트(300)가 직접 통신할 수도 있지만, 중계 서버 유니트(200)를 통해서 통신 연결된다. 중계 서버 유니트(200)가 통신 노드가 됨으로써, 한 단말기(100)가 복수의 도어록 유니트(300)를 제어하거나 복수의 단말기(100)가 하나의 도어록 제어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또한 중계 통신망을 이용함으로써, 원거리 통신이 용이 해진다. 따라서 1인이 다세대를 관리하는 경우나 다수가 공공 시설 등을 관리하는 경우 용이할 수 있다.
도시된 도 2는 근거리 통신 또는 RFID 등으로 단말기(100)와 도어록 유니트(300)가 직접 통신하여 전자키를 입력하는 경우다. 이 경우에 도어록 유니트(300)는 전자키를 사용하여 도어를 잠금 또는 해제한 단말기(100)의 단말기 식별 코드를 중계 서버 유니트(200)에 전송하여 작동 기록을 저장할 수 있다.
도시된 도 3은 입력 패널부(310)의 오픈 콜 버튼(311)을 통해서 도어록 유니트(300)를 잠금 또는 해제하는 동작을 나타낸다. 오픈 콜 버튼(311)으로 도어의 잠금 또는 해제 요청이 도어록 유니트(300)에 입력되면, 요청 신호는 중계 서버 유니트(200)에 전달 되고, 중계 서버 유니트(200)는 요청의 승인에 대한 메시지를 가구주의 단말기(100)인 제1 단말기(110)에 발송한다. 제1 단말기(110)에서 승인이 되면 중계 서버 유니트(200)는 전자키를 도어록 유니트(300)의 전자키 매칭부(331)에 전송한다. 전송된 전자키가 올바르다면 전자키 매칭부(331)는 제어 허용 신호를 액츄에이터 제어부(333)에 전달하고 액츄에이터 제어부(333)는 액츄에이터부(350)를 제어하여 도어를 잠금 또는 해제한다.
도시된 도 4 내지 5는 전자키의 전달과정을 나타낸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말기(110)에서 중계 서버 유니트(200)를 통해서 제2 단말기(130)로 전자키를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2 단말기(130)의 요청에 의해 중계 서버 유니트(200)를 통해서 제1 단말기(110)의 승인 후 전자키를 제2 단말기(130)에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단말기 110...제1 단말기
130...제2 단말기 200...중계 서버 유니트
300...도어록 유니트 310...입력 패널부
311...오픈 콜 버튼 313...숫자 버튼
315...통신 패널 317...센서
330...제어부 331...전자키 매칭부
333...액츄에이터 제어부 350...액츄에이터부

Claims (11)

  1. 도어를 잠금 또는 해제하는 도어록 유니트;
    상기 도어록 유니트의 잠금 또는 해제를 요청하는 단말기; 및
    상기 도어록 유니트 및 상기 단말기에 통신 연결되는 중계 서버 유니트;
    를 포함하는 스마트 도어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서버 유니트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단말기의 단말기 식별 코드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도어록 유니트의 도어록 식별 코드가 등록되는 스마트 도어록.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서버에는 상기 단말기 식별 코드와 상기 도어록 식별 코드가 매칭되어 등록되고,
    상기 단말기가 상기 도어에 대한 잠금 또는 해제 명령을 상기 중계 서버 유니트에 전송할 시,
    상기 중계 서버 유니트는 상기 단말기 식별 코드에 매칭된 상기 도어록 유니트에 상기 도어록 유니트의 작동 코드가 되는 전자키를 전송하는 스마트 도어록.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서버 유니트에는 상기 복수의 단말기의 단말기 식별 코드가 등록되고,
    상기 단말기는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중계 서버를 통해서 상기 제1 단말기는 상기 도어록 유니트의 작동 코드가 되는 전자키를 상기 제2 단말기로 전송하는 스마트 도어록.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록 유니트는 상기 도어의 잠금 또는 해제 요청이 가능한 입력 패널부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 패널부에 상기 도어의 잠금 또는 해제 요청이 입력될 시,
    상기 중계 유니트는 상기 도어의 잠금 또는 해제 요청에 대한 허용 여부의 알림 메시지를 상기 단말기로 발송하는 스마트 도어록.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단말기는 상기 중계 서버 유니트에 상기 도어의 잠금 또는 해제 요청이 가능하고,
    상기 중계 서버 유니트는 상기 제2 단말기의 요청에 대한 알림 메시지를 상기 제1 단말기로 발송하는 스마트 도어록.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단말기는 상기 도어록 유니트의 작동 코드가 되는 전자키를 보내줄 것을 상기 중계 서버 유니트에 요청하고,
    상기 중계 서버 유니트는 상기 전자키 발송의 허용 여부에 대한 알림 메시지를 상기 제1 단말기로 발송하는 스마트 도어록.
  8. 단말기의 단말기 식별 코드 및 도어록 유니트의 도어록 식별 코드가 매칭되어 등록되는 중계 서버 유니트;를 포함하고,
    상기 중계 서버 유니트는 상기 단말기와 상기 도어록 유니트를 통신 연결하는 스마트 도어록.
  9. 제8항에 있어서,
    하나의 상기 도어록 식별 코드에는 복수의 상기 단말기 식별 코드가 매칭되고,
    복수의 상기 단말기 식별 코드의 단말기는 상기 중계 서버 유니트를 통해서 매칭된 상기 도어록 식별 코드의 도어록 유니트를 잠금 또는 해제 가능한 스마트 도어록.
  10. 제8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단말기 식별 코드는 계층화되어 상기 도어록 식별 코드와 매칭되고,
    상위 계층의 단말기 식별 코드의 단말기를 제1 단말기라 하고, 하위 계층의 단말기 식별 코드의 단말기를 제2 단말기라 할 때,
    제1 단말기는 제2 단말기의 도어록 유니트의 도어 오픈 권한을 부여 또는 해지 가능한 스마트 도어록.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록 유니트는 상기 도어의 잠금 또는 해제 요청이 가능한 입력 패널부와 상기 도어에 접근하는 사람을 확인하는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 패널부에 상기 도어의 잠금 또는 해제 요청이 입력될 시,
    상기 센서는 상기 도어의 잠금 또는 해제 요청자를 촬영 또는 스캔하고, 상기 촬영 또는 스캔한 데이터는 상기 제1 단말기로 전달되는 스마트 도어록.
KR1020150082818A 2015-06-11 2015-06-11 스마트 도어록 KR1017445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2818A KR101744571B1 (ko) 2015-06-11 2015-06-11 스마트 도어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2818A KR101744571B1 (ko) 2015-06-11 2015-06-11 스마트 도어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6128A true KR20160146128A (ko) 2016-12-21
KR101744571B1 KR101744571B1 (ko) 2017-06-09

Family

ID=57735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2818A KR101744571B1 (ko) 2015-06-11 2015-06-11 스마트 도어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45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66521A1 (en) * 2017-09-28 2019-04-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2281A (ko) 2018-10-15 2020-04-23 주식회사 빈자리 스마트 도어록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6007A (ko) 1999-12-14 2001-07-04 윤종용 휴대용 무선 단말기 고유 정보를 이용한 도어락 장치 및그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1245B1 (ko) * 2006-09-20 2008-03-07 주식회사 아이리스 영상전송 기능이 구비된 디지털 도어락 장치
KR100795587B1 (ko) * 2006-10-26 2008-01-21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전자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과, 이를 위한 단말기 및그의 기록 매체
KR100969594B1 (ko) * 2009-10-29 2010-07-14 (주)라우즈미 도어락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5007309A (ja) * 2013-06-24 2015-01-15 美和ロック株式会社 鍵配信システム及び鍵配信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6007A (ko) 1999-12-14 2001-07-04 윤종용 휴대용 무선 단말기 고유 정보를 이용한 도어락 장치 및그 제어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66521A1 (en) * 2017-09-28 2019-04-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US10666453B2 (en) 2017-09-28 2020-05-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4571B1 (ko) 2017-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93850B2 (en) Wireless tag-based lock actuation systems and methods
US7741969B2 (en) Door entry security device with electronic lock
US10529160B2 (en) Method for controlling door lock of home network system
WO2001052561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ccess to a secure region
CA2324679A1 (en) Method and system for physical access control using wireless connection to a network
CN109155088A (zh) 动态密钥访问控制系统、方法和装置
US20180114384A1 (en) Cloud-based keyless access control system for housing facilities
KR101872847B1 (ko) 출입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328402B1 (ko) 스마트 도어락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JP2004360200A (ja) 入退場管理システム
KR101954449B1 (ko) 스마트 도어락 및 그의 운용 방법
KR101744571B1 (ko) 스마트 도어록
KR20150035644A (ko) 디지털 도어락, 도어락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025830B1 (ko) 지문인식 방범시스템
US11380153B2 (en) System for receiving delivery items and method therefor
TWI737660B (zh) 用以操作入口之控制系統的方法及用以控制入口之系統
JP7181710B2 (ja) 入退出用開閉体制御システム
US20220327881A1 (en) System for receiving delivery items and method therefor
Raju et al. Smart lock controlled using voice call
JP2017214702A5 (ko)
JP4344303B2 (ja) 入退室管理システム
KR20160109899A (ko) 모바일, 이를 이용한 자물쇠 관리 방법 및 이 방법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0836366B1 (ko) 비접촉식 스마트 디지털 도어락
JP4541835B2 (ja) 入室管理システム
TW201800652A (zh) 具有自動解鎖功能的門禁系統及其解鎖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