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8441A - 스마트폰 도킹 도어락 - Google Patents

스마트폰 도킹 도어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8441A
KR20170118441A KR1020160046236A KR20160046236A KR20170118441A KR 20170118441 A KR20170118441 A KR 20170118441A KR 1020160046236 A KR1020160046236 A KR 1020160046236A KR 20160046236 A KR20160046236 A KR 20160046236A KR 20170118441 A KR20170118441 A KR 201701184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ock
password
portable terminal
door
outside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6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66535B1 (ko
Inventor
강재욱
강재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시멘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시멘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시멘텍스
Priority to KR10201600462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6535B1/ko
Publication of KR201701184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84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65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65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3Handles pivoted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519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 도킹 도어락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도어락에 스마트폰이 도킹되어 스마트폰을 통해 도어 잠금을 해제하거나 인터폰 또는 화상통화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스마트폰 도킹 도어락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도킹 도어락은 도어의 외측에 설치되며 휴대단말이 전기적으로 도킹되는 외기와, 도어의 내측에 설치되는 내기와, 상기 외기 및 내기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외기 및 내기에 설치된 레버의 회전에 연동하는 잠금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마트폰 도킹 도어락{Smart phone docking door lock}
본 발명은 스마트폰 도킹 도어락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도어락에 스마트폰이 도킹되어 스마트폰을 통해 도어 잠금을 해제하거나 인터폰, 화상통화, 동영상 녹화나 SNS 서비스를 제공하여 도어락의 기능을 업그레이드할 수 있는 스마트폰 도킹 도어락에 관한 것이다.
기계식 도어락의 경우 열쇠를 가지고 다녀야 하는 불편함이 있기 때문에 대부분 비밀번호나 지문 입력을 통해 문을 열 수 있는 전기식 도어락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전기식 도어락은 비밀번호 입력을 위해 버튼을 구비하고 있는데, 최근에는 가벼운 터치만으로 비밀번호 입력이 용이하며 디자인적 미감을 발휘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을 채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디지털 도어락은 대부분 도어의 외측 면에 터치스크린이 설치되어 있는 구조를 가지며, 터치스크린의 형태는 하우징만 다를 뿐 대동소이하다.
종래의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디지털 도어락에서 벗어나 사용자에게 새로운 미감을 줄 수 있도록 도어락의 레버에 입력인터페이스가 설치된 구조가 본 출원인에 의해 제안되었다. 이처럼 도어락의 레버에 입력인터페이스를 설치함으로써 도어 외측 면에 터치스크린이 차지하는 공간이 필요 없게 되었다.
한편, 새로운 모델의 스마트폰이 계속해서 출시되면서 스마트폰의 라이프주기는 점점 짧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이전 모델의 스마트폰 재고가 점점 늘어나 재고 처리가 어려지고 있으며, 각 집안에서는 중고 스마트폰이 한 두 개씩 쌓여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실정에서 이전 모델이나 중고 스마트폰의 활용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도어락에 스마트폰을 연계시켜 도어락의 기능을 업그레이드 시키면서 스마트폰의 활용을 높일 수 있는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한국등록특허 제088677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 스마트폰을 도어락에 사용할 수 있게 하여 도어락의 기능을 업그레이드하는 동시에 구 모델이나 중고 스마트폰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스마트폰 도킹 도어락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도킹 도어락은 도어의 외측에 설치되며 휴대단말이 전기적으로 도킹되는 외기와, 도어의 내측에 설치되는 내기와, 상기 외기 및 내기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외기 및 내기에 설치된 레버의 회전에 연동하는 잠금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도어락에 전기적으로 도킹되는 휴대단말을 도어락 서비스에 사용하기 위한 휴대단말에서의 도어락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도어락에 도킹되면 휴대단말과 도어락 간 통신을 설정하는 단계와, 도어락 관리를 위한 관리자 모드를 제공하는 단계와, 관리자 모드에서 도어락의 비밀번호가 입력되면 도어락의 비밀번호를 도어락에 전송하는 단계와, 도어락 서비스 모드를 제공하는 단계와, 도어락 서비스 모드에서 번호가 입력되면 입력된 번호를 도어락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락에 스마트폰을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어서 스마트폰이 종래 디지털 도어락의 터치스크린과 같이 입력인터페이스로 사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때 스마트폰의 비밀번호와 도어락의 원래 비밀번호를 구분하여, 스마트폰이 도킹되어 있을 때는 방문자가 임시로 도어를 열 수 있더라도 스마트폰을 도어락에서 분리했을 때는 방문자가 스마트폰의 비밀번호로는 도어를 열 수 없으므로 도어락 보안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스마트폰의 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방문자가 스마트폰을 인터폰이나 화상통화단말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킹 스마트폰이 SNS 서비스 접속을 위한 메뉴를 제공하여 방문자가 SNS를 통해 기 설정된 사람과 채팅을 할 수 있으며, 카메라 동영상 모드를 이용해 방문자의 모습을 동영상 녹화할 수 있다.
이처럼 구 모델이나 중고 스마트폰과 같이 향후 사용되기 어려운 스마트폰을 도어락에 사용하여 도어락의 기능을 업그레이드하면서 구 모델이나 중고 스마트폰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도킹 도어락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도킹 도어락에서 스마트폰이 도킹 또는 분리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도킹 도어락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의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도킹 도어락의 잠금 처리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표시하며, 공지된 구성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함에 유의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도킹 도어락을 나타낸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도어락은 크게 내기(100), 외기(200) 및 잠금장치(300)로 구성된다.
내기(100)는 도어(10)의 내측에 설치되는 부품으로서, 도어 내벽에 부착되는 내측 하우징(101) 및 내측 하우징(10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내측 레버(103)로 구성된다. 내측 하우징(101)에는 내측 레버(103)와 연결된 회전 구조체, 배터리 및 전자회로가 내장되어 있다.
외기(200)는 도어(10)의 외축에 설치되는 부품으로서, 도어 외벽에 부착되는 외측 하우징(201) 및 외측 하우징(20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외측 레버(203)로 구성된다. 외측 하우징(201)에는 외측 레버(203)와 연결된 회전 구조체 및 전자회로가 내장되어 있으며, 스마트폰(20)을 집어넣는 격납부(205)가 설치되어 있다. 외측 레버(203)에는 비밀번호 입력을 위한 버튼 어레이가 설치되어 있다.
잠금장치(300)는 내기(100)와 외기(200) 사이의 도어 내부에 삽입되는 부품으로서, 도 1 및 도 2에서는 래치(latch)(301) 부분만 도시되어 있다. 잠금장치(300)는 래치(301)의 전진 또는 후진 동작에 따라 도어를 잠그거나 도어 잠금을 푸는 역할을 수행한다. 잠금장치(300)는 내기(100) 및 외기(200)와 연결되어 내측 레버(103) 및 외측 레버(203)의 회전에 연동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도킹 도어락은 외측 하우징(201)에 스마트폰(20)을 내장할 수 있는 격납부(205)를 구비하고 있다. 스마트폰(20)을 격납부(205)에 장착하면 스마트폰(20)이 격납부(205)의 접속단자에 연결되어 스마트폰(20)이 도어락과 전기적으로 접속하게 된다.
격납부(205)는 스마트폰(20) 화면을 보여주고 터치 입력을 할 수 있는 투명 재질의 전면 창과 스마트폰(20)을 탈착하기 위한 힌지 개폐 구조를 가지고 있다. 또한 격납부(205)는 내장된 스마트폰(20)의 도난을 방지하기 위한 잠금 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격납부(205)의 잠금 구조는 스마트폰(20)에서 도킹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잠금 해제할 수 있다. 즉, 스마트폰(20)을 격납부(205)의 접속단자에 연결한 후 격납부(205)의 힌지 개폐 도어를 닫으면, 격납부(205)가 잠금 상태가 되고, 격납부(205)의 잠금 상태에서 스마트폰(20)의 도킹 비밀번호 입력 화면을 통해 기 설정한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잠금 상태가 해제되어 격납부(205)의 힌지 개폐 도어가 열리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도킹 도어락은 도어락에 스마트폰(20)을 장착함으로써 스마트폰(20)을 이용하여 도어락 사용자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도킹 도어락의 내부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도어락은 내기(100), 외기(200) 및 잠금장치(300)로 구성되며, 외기(200)는 제어부(210), 도어락 구동부(212), 외기 입력부(214) 등을 포함한다.
외기(200)의 격납부(205)에는 접속단자 구비되고 접속단자가 제어부(210)에 연결되어, 격납부(205)에 스마트폰(20)이 장착되면 접속단자를 통해 스마트폰(20)이 도어락 제어부(210)와 연결된다. 이와 같이 스마트폰(20)이 제어부(210)에 전기적으로 접속됨으로써 스마트폰(20)이 도어락의 주변장치가 된다.
외기 입력부(214)는 도어락의 비밀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부분으로 푸시버튼이나 정전용량식의 터치 버튼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입력부(214)는 외측 레버(203)에 숫자 및 기호 버튼이 일렬로 배치된 구성이다.
도어락 구동부(212)는 제어부(210)의 제어 명령에 따라 잠금장치(300)가 열리거나 닫히도록 한다. 도어락 구동부(212)는 제어부(210)로부터 개방 명령을 받으면 잠금장치(300)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고, 제어부(210)로부터 폐쇄 명령을 받으면 잠금장치(300)를 잠금 상태로 만든다.
제어부(210)는 도어락의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부분이다. 제어부(210)는 기본적으로 외기 입력부(214)에 입력된 비밀번호가 기 저장된 비밀번호와 일치하는지 확인하여 일치하는 경우 도어락 구동부(212)로 개방 명령을 출력하고 도어의 닫힘이 확인되면 도어락 구동부(212)로 폐쇄 명령을 출력한다.
또한, 제어부(210)는 스마트폰(20)에서 생성된 신호를 입력받아 도어락 구동부(212)를 제어하거나 격납부(205)의 힌지 개폐 도어를 열고 닫는 힌지 개폐 구동부(미도시)를 제어할 수 있다. 힌지 개폐 구동부는 힌지 개폐 도어에 연결된 모터나 솔레노이드를 구동시킨다. 즉, 제어부(210)는 스마트폰(20)으로부터 도어락 비밀번호를 입력받아 도어락의 잠금을 해제하거나 또는 스마트폰(20)로부터 도킹 비밀번호를 입력받아 격납부(205)의 힌지 개폐 도어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스마트폰(20)에는 도어락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으며, 도어락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다양한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다.
우선, 스마트폰(20)은 외기 입력부(214)와 별도로 비밀번호 입력장치로 사용될 수 있다. 방문자는 스마트폰(20)을 활성화시킨 후 스마트폰(20) 화면에 표시된 번호판을 터치하여 비밀번호를 입력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스마트폰(20)에서 입력된 번호가 기 저장된 비밀번호와 일치하는지 확인하여 도어락 구동부(212)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폰(20)은 댁내 단말기(30)와 통신하여 인터폰으로 사용될 수 있다. 방문자는 스마트폰(20)을 활성화시킨 후 스마트폰(20) 화면에서 호출을 눌러 댁내 단말기(30)를 통해 집안에 있는 사람과 통화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폰(20)은 특정 사용자의 휴대단말기(40)와 통신하여 화상통화단말로 사용될 수 있다. 방문자는 스마트폰(20)을 활성화시킨 후 스마트폰(20) 화면에서 화상통화를 눌러 특정 사용자와 화상통화를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의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먼저, 도어락 사용자가 스마트폰(20)에 도어락 애플리케이션을 설치 및 실행한 후 도어락에 스마트폰(20)을 도킹시킨다. 또는 도어락 사용자가 스마트폰(20)을 도어락에 도킹시키면 도어락 애플리케이션이 자동 실행될 수 있다. 이후 방문자가 도어락에 도킹된 스마트폰(20)을 활성화시키면, 도 4와 같은 도어락 서비스 모드의 초기화면이 표시된다.
방문자가 초기화면의 메뉴에서 번호입력(1)을 터치하게 되면, 비밀번호를 입력할 수 있는 번호판이 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에서는 외기 입력부 전용 비밀번호 및 스마트폰 전용 비밀번호를 각각 설정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도어락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스마트폰 전용 비밀번호를 설정하고, 외기 입력부(214)를 통해 외기 입력부 전용 비밀번호를 설정할 수 있다. 스마트폰 전용 비밀번호 설정의 경우, 사용자가 도어락 애플리케이션의 관리자 모드에서 스마트폰 전용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설정하면 입력한 비밀번호가 도어락의 제어부(210)에 전송되어 등록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외기 입력부 전용 비밀번호는 제1 비밀번호로, 스마트폰 전용 비밀번호는 제2 비밀번호로 칭하기로 한다. 한편 관리자 모드에서 사용자는 도어락 잠금 해제를 위한 비밀번호뿐만 아니라 도킹 잠금 해제를 위한 비밀번호도 설정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의 잠금 동작을 나타낸 것이다.
도어락에 스마트폰(20)이 도킹되면(S10), 제어부(210)는 스마트폰(20)을 통해 입력된 번호와 외기 입력부(214)를 통해 입력된 번호를 처리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210)는 입력되는 번호가 스마트폰(20)에서 입력된 번호인지 외기 입력부(214)에서 입력된 번호인지를 구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스마트폰(20)이나 외기 입력부(214)에서 번호가 입력되면 입력된 번호와 함께 식별정보가 제어부(210)로 전송되거나, 스마트폰(20)의 포트번호와 외기 입력부(214)의 포트번호가 할당되어 있어서, 제어부(210)가 식별정보나 포트번호를 확인하여 입력된 신호가 스마트폰(20)에서 발생했는지 또는 외기 입력부(214)에서 발생했는지를 판별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외기 입력부(214)에서 입력된 번호가 기 저장된 제1 비밀번호와 일치하는지 확인하여(S12), 일치하는 경우 도어락 구동부(212)를 제어하여 잠금장치(300)의 잠금이 해제되도록 한다(S16).
또한, 제어부(210)는 스마트폰(20)에서 입력된 번호가 기 저장된 제2 비밀번호와 일치하는지 확인하여(S14), 일치하는 경우 도어락 구동부(212)를 제어하여 잠금장치(300)의 잠금이 해제되도록 한다(S16).
그러나 제어부(210)는 외기 입력부(214)에서 입력된 번호가 제1 비밀번호가 아니거나 스마트폰(20)에서 입력된 번호가 제2 비밀번호가 아니면 잠금장치(300)의 잠금이 유지되도록 한다(S18).
이러한 처리 동작을 통해, 방문자가 스마트폰(20)에 제2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도어를 열었다 하더라도 이후 스마트폰(20)을 제거한 상태에서는 방문자가 외기 입력부(214)에 제2 비밀번호를 입력해도 도어를 열 수 없게 된다.
다시 말해서, 방문자가 스마트폰 전용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임시로 도어를 열 수 있도록 하고 이후 스마트폰을 제거하거나 아니면 스마트폰 도킹을 유지하는 경우 스마트폰 전용 비밀번호를 변경함으로써 방문자가 인지한 번호로는 도어를 열 수 없게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주 변경하기 어려운 도어락의 원래 비밀번호는 계속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도 4로 돌아가, 방문자가 초기화면의 메뉴에서 호출(2)을 터치하게 되면, 스마트폰(20)이 댁내 단말기(30)와 연결되어 인터폰으로 동작하게 된다.
댁내 단말기(30)는 인터넷에 접속되어 있고 스마트폰(20)은 Wi-Fi 통신을 통해 인터넷에 연결되어 댁내 단말기(30)와 통신할 수 있다. 인터폰 기능이 실행되면, 스마트폰(20)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방문자의 영상이 댁내 단말기(30)에 전송된다. 그리고 스마트폰(20) 화면에는 사용자가 기 설정한 인터폰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방문자가 초기화면의 메뉴에서 화상통화(3)를 터치하게 되면 스마트폰(20)이 휴대 단말기(40)와 연결되어 화상통화단말로 동작하게 된다.
스마트폰(20)에는 미리 화상통화 상대방의 전화번호가 설정되어 있어서, 방문자가 화상통화(3)를 누르게 되면 기 설정된 전화번호의 휴대단말기(40)로 화상통화가 연결된다.
도어락 사용자는 상술한 메뉴의 기능이 실행될 수 있도록 스마트폰(20)의 관리자 모드에서 스마트폰 전용 비밀번호, 댁내 단말기의 식별정보, 화상통화 대상 단말기의 전화번호, 메모나 인터폰 화면 등을 설정할 수 있다. 특히, 관리자 모드에서 스마트폰 전용 비밀번호를 설정하는 경우, 스마트폰(20)과 도어락이 통신하여 사용자가 설정한 비밀번호와 스마트폰(20)의 식별정보가 도어락의 제어부(210)로 전송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어락에 도킹되는 장치로서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격납부(205)의 크기와 형태를 조정하여 태블릿 PC나 기타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다른 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에 도킹되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의 성능과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추가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가 슬립모드에 있다가 카메라 영상이나 적외선 센서 등을 통해 도어락 근처에 사람이 있음을 인식하게 되면 슬립모드에서 깨어나 활성화될 수 있다.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가 활성화될 때 나타나는 초기화면은 도 4의 애플리케이션 화면이 될 수도 있으나, 사용자가 기 설정한 메모나 애플리케이션이 제공받은 광고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방문자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를 터치하지 않더라도 도어락에 접근하는 것으로 사용자에 의해 기 설정된 초기화면을 볼 수 있다.
또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는 센서를 통해 방문자를 인식하거나 방문자가 터치하는 경우 카메라를 동영상 모드로 전환하여 방문자의 모습을 동영상 녹화하거나 초기화면에 추가적으로 카카오 톡이나 라인 등의 SNS 서비스 접속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SNS 서비스 접속 메뉴를 통해 방문자는 기설정된 사람과 SNS 채팅을 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10: 도어 20: 스마트폰
30: 댁내 단말기 40: 휴대단말기
100: 내기 101: 내측 하우징
103: 내측 레버 200: 외기
201: 외측 하우징 210: 제어부
212: 도어락 구동부 214: 외기 입력부
203: 외측 레버 300: 잠금장치
301: 래치(latch)

Claims (12)

  1. 도어의 외측에 설치되며 휴대단말이 전기적으로 도킹되는 외기와,
    도어의 내측에 설치되는 내기와,
    상기 외기 및 내기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외기 및 내기에 설치된 레버의 회전에 연동하는 잠금장치를 포함하는 도어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기는 상기 잠금장치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거나 상기 잠금장치를 잠금 상태로 만드는 도어락 구동부와,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외기 입력부와,
    상기 외기 입력부로부터 설정 받은 제1 비밀번호를 저장하고, 상기 휴대단말의 도킹에 의해 상기 휴대단말과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상기 휴대단말로부터 설정 받은 제2 비밀번호를 저장하고, 상기 외기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번호가 기 저장한 제1 비밀번호와 일치하거나 상기 휴대단말부터 입력된 번호가 기 저장한 제2 비밀번호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도어락 구동부에 개방 명령을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도어락.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기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번호가 제2 비밀번호와 일치하더라도 상기 도어락 구동부에 개방 명령을 출력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이 활성화되면 초기화면이 나타나고 초기화면은 비밀번호 입력을 위한 메뉴, 인터폰 호출을 위한 메뉴, 화상통화를 위한 메뉴 또는 SNS 서비스 접속을 위한 메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이 활성화되면 초기화면이 나타나고 초기화면은 특정 광고나 기 설정한 메모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6. 도어락에 전기적으로 도킹되는 휴대단말을 도어락 서비스에 사용하기 위한 휴대단말에서의 도어락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도어락에 도킹되면 휴대단말과 도어락 간 통신을 설정하는 단계와,
    도어락 관리를 위한 관리자 모드를 제공하는 단계와,
    관리자 모드에서 도어락의 비밀번호가 입력되면 도어락의 비밀번호를 도어락에 전송하는 단계와,
    도어락 서비스 모드를 제공하는 단계와,
    도어락 서비스 모드에서 번호가 입력되면 입력된 번호를 도어락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 모드에서 인터폰 기능을 위해 댁내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 모드에서 화상통화 기능을 위해 화상통화 대상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 모드에서 휴대단말의 초기화면에 표시될 메모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 모드에서 도어락의 비밀번호와 함께 휴대단말의 식별정보를 도어락에 전송하고,
    상기 도어락 서비스 모드에서 입력된 번호와 함께 상기 휴대단말의 식별정보를 도어락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락 서비스 모드는 도어락 비밀번호 입력을 위한 메뉴, 인터폰 호출을 위한 메뉴, 화상통화를 위한 메뉴 또는 SNS 서비스 접속을 위한 메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도어의 외측에 설치되며 휴대단말이 전기적으로 도킹되는 외기와,
    도어의 내측에 설치되는 내기와,
    상기 외기 및 내기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외기 및 내기에 설치된 레버의 회전에 연동하는 잠금장치를 포함하여,
    상기 외기에는 상기 휴대단말이 전기적으로 도킹되도록 상기 휴대단말을 장착시키는 격납부를 구비하며, 상기 격납부는 상기 휴대단말을 넣고 빼기 위한 힌지 개폐 도어를 가지며, 상기 힌지 개폐 도어는 상기 휴대단말에 입력한 비밀번호가 기설정한 도킹 비밀번호와 일치하면 열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KR1020160046236A 2016-04-15 2016-04-15 스마트폰 도킹 도어락 KR1018665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6236A KR101866535B1 (ko) 2016-04-15 2016-04-15 스마트폰 도킹 도어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6236A KR101866535B1 (ko) 2016-04-15 2016-04-15 스마트폰 도킹 도어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8441A true KR20170118441A (ko) 2017-10-25
KR101866535B1 KR101866535B1 (ko) 2018-06-11

Family

ID=60299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6236A KR101866535B1 (ko) 2016-04-15 2016-04-15 스마트폰 도킹 도어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65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6757A (ko) * 2019-04-02 2020-10-13 엄문회 화장실 안심 사용 시스템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6007A (ko) * 1999-12-14 2001-07-04 윤종용 휴대용 무선 단말기 고유 정보를 이용한 도어락 장치 및그 제어방법
KR20050047647A (ko) * 2003-11-18 2005-05-2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락의 연결장치
KR20050099343A (ko) * 2004-04-09 2005-10-13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가정 자동화 시스템에서 도어락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20060036981A (ko) * 2004-10-27 2006-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키 기능 구현 시스템 및 운용방법
KR20060058315A (ko) * 2004-11-25 2006-05-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해 잠금 해정되는 도어록장치
JP2007009538A (ja) * 2005-06-30 2007-01-18 X Cube:Kk 扉の解錠制御装置
KR100886772B1 (ko) 2007-01-26 2009-03-04 주식회사 에스씨티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도어락과 이를 이용한 개폐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6007A (ko) * 1999-12-14 2001-07-04 윤종용 휴대용 무선 단말기 고유 정보를 이용한 도어락 장치 및그 제어방법
KR20050047647A (ko) * 2003-11-18 2005-05-2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락의 연결장치
KR20050099343A (ko) * 2004-04-09 2005-10-13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가정 자동화 시스템에서 도어락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20060036981A (ko) * 2004-10-27 2006-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키 기능 구현 시스템 및 운용방법
KR20060058315A (ko) * 2004-11-25 2006-05-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해 잠금 해정되는 도어록장치
JP2007009538A (ja) * 2005-06-30 2007-01-18 X Cube:Kk 扉の解錠制御装置
KR100886772B1 (ko) 2007-01-26 2009-03-04 주식회사 에스씨티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도어락과 이를 이용한 개폐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6757A (ko) * 2019-04-02 2020-10-13 엄문회 화장실 안심 사용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6535B1 (ko) 2018-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7276840B2 (en) Padlock device, systems including a padlock device, and methods of operating therefor
EP2709031B1 (en) Gesture- and expression-based authentication
EP3331226B1 (en) Method and device for reading messages
US20130169411A1 (en) Method for operating an electronic lock
CN104778416B (zh) 一种信息隐藏方法及终端
CN104112091A (zh) 文件锁定方法和装置
CN104992092A (zh) 一种验证指纹信息的方法、装置和系统
US20200002977A1 (en) Door access device
CN105677214A (zh) 应用程序管理方法及装置
CN104216742A (zh) 基于密码的刷机控制方法及装置
CN105491236A (zh) 终端解锁方法及装置
US20180239915A1 (en) Methods, apparatuses, and storage mediums for protecting information
CN106023370A (zh) Nfc设备的解锁方法及装置
CN108537096A (zh) 指纹采集位置的提示方法、装置和电子设备
CN109325336A (zh) 解锁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5421934A (zh) 一种网络智能指纹保险柜
CN107733872A (zh) 信息打印方法及装置
CN107729735A (zh) 指纹解锁方法、装置、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1866535B1 (ko) 스마트폰 도킹 도어락
CN108804894A (zh) 屏幕解锁方法、装置、移动终端及计算机可读介质
KR20140006513A (ko)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도어락 시스템
US8963985B2 (en) Automatically ringing electronic door lock
CN107465819A (zh) 终端防误触方法及装置
AU2016206286A1 (en) A method for disguising a computer system's login interface
KR20170073109A (ko) 휴대용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록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