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47647A -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락의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락의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47647A
KR20050047647A KR1020030081394A KR20030081394A KR20050047647A KR 20050047647 A KR20050047647 A KR 20050047647A KR 1020030081394 A KR1020030081394 A KR 1020030081394A KR 20030081394 A KR20030081394 A KR 20030081394A KR 20050047647 A KR20050047647 A KR 200500476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ock
connection
portable terminal
terminal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13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지숙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813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47647A/ko
Publication of KR200500476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7647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락에서 휴대 단말기와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연결장치를 구성한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락의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위해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는 도어락에 있어서, 상기 도어락의 소정 위치에 구비된 접속부와, 상기 접속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됨과 동시에 상기 단말기에 구비된 인터페이스 커넥터와 접속되는 와이어 연결부로 구성되어짐 특징으로 하며, 이에 따라, 단말기를 이용하여 도어를 개폐할 수 있을뿐아니라, 이로인해 도어락의 사용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도어락에 구비되던 기존의 버튼 조작부,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발광 장치가 필요없어 부품수를 줄이고, 이로인해, 제품의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락의 연결장치 { CONNECTING APPARATUS FOR DOOR LOCK USING MOBILE PHONE }
본 발명은 도어락에서 휴대 단말기와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연결장치를 구성한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락의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디지털 도어락( DIGITAL DOOR LOCK)은 전기적인 특성을 이용한 전자 카드 시스템 혹은 비밀번호 시스템을 도입하여, 전자의 경우에는 전자카드를 도어락에 구비되어 있는 카드 리더(Card Reader)에 읽혀 상기 전자카드에 등록되어 있는 정보를 읽어 도어를 개폐 제어하였으며, 후자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그 입력한 비밀번호가 등록되어 있는 비밀번호와 일치할 경우에 도어를 개폐 제어가능하였다.
이와 같이, 최근 들어 생활이 더욱 윤택해지고 여유로워지면서 보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기존의 도어락은 사용자가 외출시 열쇠를 필히 휴대해야 하는 불편함과 열쇠의 복사가 쉽고 열쇠 분실로 인한 불안함이 늘 존재하여 왔다. 불편함과 불안함을 동시에 해소시키기 위하여 상기 디지털 도어락(Digital Door Lock)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상기 디지털 도어락(10)은 디지털 신호 감응에 의하여 도어의 잠금해지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방범 및 보안을 목적으로 하는 다양한 기능들을 구비하고 있다. 이는 출입자가 외측몸체에 있는 버튼 조작부에 설정된 비밀번호를 입력시킴에 따라 신호를 받은 제어부에 의하여 잠금자의 잠금상태를 해제하도록 한다.
상기 디지털 도어락(10)은 비밀번호를 사용하여 문을 열고, 외출시에는 최소한의 동작만으로 문을 잠글 수 있어 편리하면서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자동 잠금 기능 설정시에는 문을 닫으면 자동으로 문이 잠기어 사용자가 해야하는 잠금 동작까지도 불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도 1과 같이, 종래의 디지털 도어락(10)은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다수의 키들로 이루어진 버튼 조작부(20)와, 그 내부에는 상기 버튼 조작부(20)에 설정된 비밀번호를 입력시킴에 따라 신호를 받은 제어하는 제어부(30)와, 상기 도어락에 구비된 손잡이부(40)로 구성됨으로, 부품수의 증가로 인한 비용이 상승하고, 보안성이 크게 높아졌지만, 오히려 제품의 고장률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주변 환경이 어두울 때에는 발광소자(LED)와 같은 야간 조명 장치를 따로 구비해야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디지털 도어락은 이용자가 입력한 비밀번호가 올바른지를 확인하기 위한 장치가 없고, 또 있다 하더라도 기존의 장치에 엘씨디(LCD)와 같은 디스레이용 장치가 더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락에서 휴대 단말기와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연결장치를 구성함으로써, 단말기를 이용하여 도어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한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락의 연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어락에서 휴대 단말기와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연결장치를 구성함으로써, 도어락에 구비되던 버튼 조작부, 디스플레이 장치(LCD) 및 발광 소자(LED)가 필요없어 부품수의 절감으로 제품의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락의 연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는 도어락에 있어서,
상기 도어락의 소정 위치에 구비된 접속부; 및
상기 접속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됨과 동시에 상기 단말기에 구비된 인터페이스 커넥터와 접속되는 와이어 연결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는 도어락에 있어서,
상기 도어락의 소정 위치에 상기 단말기에 구비된 인터페이스 커넥터와 접속되는 접속수단을 일체로 제공하는 연결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제 1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도면이 구성요소 중 종래의 기능과 동일한 기능은 동일 부호를 사용하였음을 유의해야 한다.
도 2 내지 도 5와 같이, 휴대 단말기(50)를 이용한 도어락의 연결장치는 접속부(200)와, 와이어 연결부(30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접속부(200)는 상기 와이어 연결부(300)의 와이어측 접속단자(301)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상기 도어락(100)의 소정 위치에 구비되어 있다.
상기 와이어 연결부(300)는 상기 접속부(200)와 전기적으로 접속됨과 동시에 상기 단말기(50)에 구비된 인터페이스 커넥터(52)와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 연결부(300)의 일단에는 상기 도어락(100)의 접속부(20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와이어측 접속단자(301)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와이어 연결부(300)의 타일단에는 상기 인터페이스 커넥터(52)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와이어측 연결잭(302)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 예에 의한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락의 연결장치의 동작과정을 첨부된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와 같이, 휴대 단말기(50)를 이용한 도어락(100)의 연결장치는 접속부(200)와, 와이어 연결부(300)로 이루어진다.
이 상태에서, 도 3과 같이, 상기 와이어 연결부(300)의 일단에는 상기 도어락(100)의 소정 위치에 형성된 접속부(20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와이어측 접속단자(301)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상기 와이어측 접속단자(301)를 상기 접속부(200)에 끼워 삽입함과 동시에 접속한다.
이 상태에서, 도 4와 같이, 상기 와이어 연결부(300)의 타일단에는 상기 휴대 단말기(50)에 구비된 인터페이스 커넥터(52)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와이어측 연결잭(302)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상기 연결잭(302)을 상기 인터페이스 커넥터(52)에 끼워 삽입하여 접속한다.
이 상태에서, 도 5와 같이,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50)에 구비된 다수의 키버튼(51)을 이용하여 비밀번호를 입력한다.
이때, 상기 와이어 연결부(300)를 통해 입력된 비밀번호의 전기적 신호를 상기 도어락(100)의 제어부에 인가하여 도어를 개폐시킨다.
또한, 상기 휴대 단말기(50)에 구비된 터치 스크린을 이용하여 비밀번호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야간에도 상기 휴대 단말기(50)의 발광 장치에 의해 쉽게 비밀번호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 단말기(50)의 전원을 이용함으로써, 도어락(100)에 별도의 전원 공급장치가 필요없으므로, 도어락(100)의 부품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 예에 의한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락의 연결장치의 동작과정을 첨부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과 같이, 휴대 단말기(50)를 이용한 도어락(100)의 연결장치는 접속수단을 일체로 제공하는 연결부(400)로 이루어진다.
이 상태에서, 도 6 및 도 7과 같이, 상기 연결부(400)의 접속수단은 상기 연결부(400)의 접속수단은 상기 단말기(50)에 구비된 인터페이스 커넥터(52)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상기 연결부(400)의 수직방향으로 연결잭(401)이 일체로 제공되어 있으므로, 상기 연결잭(401)에 상기 인터페이스 커넥터(52)를 끼워 삽입하여 접속한다.
이 상태에서, 도 7과 같이,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50)에 구비된 다수의 키버튼(51)을 이용하여 비밀번호를 눌려 입력한다.
이때, 상기 연결부(400)를 통해 입력된 비밀번호의 전기적 신호를 상기 도어락(100)의 제어부에 인가하여 도어를 개폐시킨다.
상기 연결부(400)는 상기 도어락(100)에 일체로 제공된다.
상기와 같이,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는 도어락에서 단말기와 도어락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연결장치를 구성함으로써, 도어락의 사용을 향상시킬 수 있고, 도어락의 부품수를 줄여 제품의 제조원가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락의 연결장치는 전술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은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휴대가 가능한 모든 단말기에 적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락의 연결장치에 의하면,
도어락에서 휴대 단말기와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연결장치를 구성함으로써, 단말기를 이용하여 도어를 개폐할 수 있을뿐아니라, 이로인해 도어락의 사용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도어락에 구비되던 기존의 버튼 조작부,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발광 장치가 필요없어 부품수 줄이고, 이로인해, 제품의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도어락을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락의 연결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의 A부 확대 사시도,
도 4는 도 2의 B부 확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락의 연결장치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락의 연결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락의 연결장치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Claims (5)

  1.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는 도어락에 있어서,
    상기 도어락의 소정 위치에 구비된 접속부; 및
    상기 접속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됨과 동시에 상기 단말기에 구비된 인터페이스 커넥터와 접속되는 와이어 연결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락의 연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연결부의 일단에는 상기 도어락의 접속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와이어측 접속단자가 구비되고, 타일단에는 상기 인터페이스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와이어측 연결잭이 더 구비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락의 연결장치.
  3.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는 도어락에 있어서,
    상기 도어락의 소정 위치에 상기 단말기에 구비된 인터페이스 커넥터와 접속되는 접속수단을 일체로 제공하는 연결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락의 연결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접속수단은. 상기 연결부의 수직방향으로 제공되고, 상기 단말기에 구비된 인터페이스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연결잭으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락의 연결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도어락에 일체로 제공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락의 연결장치.
KR1020030081394A 2003-11-18 2003-11-18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락의 연결장치 KR200500476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1394A KR20050047647A (ko) 2003-11-18 2003-11-18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락의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1394A KR20050047647A (ko) 2003-11-18 2003-11-18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락의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7647A true KR20050047647A (ko) 2005-05-23

Family

ID=37246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1394A KR20050047647A (ko) 2003-11-18 2003-11-18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락의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4764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8441A (ko) * 2016-04-15 2017-10-25 주식회사 시멘텍스 스마트폰 도킹 도어락
WO2018147521A1 (ko) * 2017-02-13 2018-08-16 (주)브로드웨이브 스마트폰 거치형 디지털 도어락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8441A (ko) * 2016-04-15 2017-10-25 주식회사 시멘텍스 스마트폰 도킹 도어락
WO2018147521A1 (ko) * 2017-02-13 2018-08-16 (주)브로드웨이브 스마트폰 거치형 디지털 도어락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17313B1 (en) Case and cover for an electronic device
KR200243685Y1 (ko) 지문인식 기능을 갖는 도어록 손잡이
US10208508B2 (en) Modularized electric door lock
JP2001274567A (ja) 取り外し可能な構成要素のための電気的コネクタ
CN204883484U (zh) 终端
US11641076B2 (en) Device based lock via electrical socket
US2010029972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venient connecting and disconnecting of internet from a computer
KR20050047647A (ko)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락의 연결장치
JP2002328762A (ja) キーボードユニット
US6792298B1 (en) Telephone terminal to control functions and enter digits
CN200990109Y (zh) 钥匙身份识别智能锁
JP4950253B2 (ja) 鍵管理システム
KR100406030B1 (ko) 무선의 원격제어기를 구비한 잠금 시스템
KR100544599B1 (ko) 비상 해정을 위한 외부 통신 인터페이스 포트를 구비한디지털 도어락 및 그 제어 방법
JP7236330B2 (ja) 扉用錠装置
CN114241636A (zh) 一种带摄像头的智能锁
US6745941B1 (en) Electronic key with optical scanner
KR200236033Y1 (ko) 도어록 해정장치
CN201087616Y (zh) 密码指纹电子智能门锁
CN217841202U (zh) 一种多功能新型智能电子锁芯
KR200205565Y1 (ko) 다수의 기능 모듈들을 갖는 인터컴 시스템
KR200310225Y1 (ko) 자물쇠의 잠김 상태 확인 기능이 추가된 열쇠
KR200479521Y1 (ko) 디지털 시건 장치
CN213015932U (zh) 一种可拆卸组合功能的模块化智能保险柜
KR200373352Y1 (ko) 자동 및 수동 겸용 전자식 도어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