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54478A - 가변속도 전달 체계 통신망에서의 중계선 정합장치 - Google Patents

가변속도 전달 체계 통신망에서의 중계선 정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54478A
KR20010054478A KR1019990055308A KR19990055308A KR20010054478A KR 20010054478 A KR20010054478 A KR 20010054478A KR 1019990055308 A KR1019990055308 A KR 1019990055308A KR 19990055308 A KR19990055308 A KR 19990055308A KR 20010054478 A KR20010054478 A KR 200100544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data
channel
variable speed
tru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53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19080B1 (ko
Inventor
김현수
Original Assignee
박원배
주식회사 한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원배, 주식회사 한화 filed Critical 박원배
Priority to KR10199900553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9080B1/ko
Publication of KR200100544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44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90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90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7/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 H04M7/0024Services and arrangements where telephone services are combined with data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30Definitions, standards or architectural aspects of layered protocol stacks
    • H04L69/32Architecture of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OSI] 7-layer type protocol stacks, e.g. the interfaces between the data link level and the physical level
    • H04L69/322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 H04L69/324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in the data link layer [OSI layer 2], e.g. HDL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변속도 전달 체계 통신망의 중계선에 각 채널의 데이터를 분석하는 기능을 수용하여 고정속도 전달 체계 통신망에서의 전화 서비스와 가변속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가변속도 전달 체계 통신망에서의 중계선 정합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대국 중계 장치와 전기적/물리적 특성을 규정하여 대국 중계 장치와의 데이터 전달을 위한 프레임을 구성하는 트렁크 인터페이스; 수신된 정보의 그룹화된 채널을 분리하고 신호 정보 전달에 필요한 채널 또는 신호 정보 전달을 위한 프레임을 분석/조합하며 각 채널에 실리는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각기 다른 경로로 분배하는 채널 제어부; 시스템의 동작 상태를 감시하고 중계선 정합장치의 상위 프로세서와의 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통신 제어부; 중계선 정합장치의 데이터 프로토콜 처리/호 진행을 관리하고, 통신 제어부를 통해 상위 프로세서로부터 수신되는 채널 구성 정보 및 중계선 정보에 의거하여 채널 제어부를 제어하는 CPU; CPU에서 생성된 정보를 저장하고 중계선 호제어 또는 프로토콜 상태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요구된 통화 품질에 따라 채널 제어부로부터 제공되는 음성 정보를 압축하여 스위치 정합장치로 출력하며, 스위치로부터 압축된 음성 정보가 제공되면 이를 압축 해제하여 채널 제어부로 전송하는 압축 CODEC; 채널 제어부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 정보에 대해 No.7 신호의 계층 2(layer-2) 처리와 데이터 신호의 계층 2 처리를 수행하는 HDLC 제어부; 데이터 정보와 압축된 음성 정보를 구분하여 각각의 ID를 부여하므로써 착신하고자 하는 통신 경로를 지정하는 스위치 ID제어부; 가변속도 스위치와 정합되어 데이터 정보 및 상기 압축된 음성 정보를 가변속도 스위치와 송수신하는 가변속도 스위치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므로써, 교환기의 구조 및 통신망의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가변속도 전달 체계 통신망에서의 중계선 정합장치{APPARATUS FOR MATCHING TRANSMISSION LINES IN A VARIABLE SPEED COMMUNICATIONS NETWORK}
본 발명은 가변속도 전달 체계 통신망에서의 중계선 정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종래의 고정속도 전달 체계 통신망에서의 전화 서비스를 모두 수용하는동시에 가변속도 전달 체계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적합한 가변속도 전달 체계 통신망에서의 중계선 정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고정속도 전달 체계 통신망에서의 중계선 정합장치에 대한 구성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서, 트렁크 인터페이스(trunk interface)(210), 채널 제어부(220), 메모리부(230), CPU(240), 통신 제어부(250), 시분할 스위치 인터페이스(260)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중계선 정합장치는 고정속도의 타임 스위치(도시 생략됨) 정합과 다른 교환기(도시 생략됨) 트렁크와의 정합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데, 동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중계선 정합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트렁크 인터페이스(210)는 대국 중계 장치와 전기적/물리적 특성을 규정하여 데이터 전달을 위한 프레임을 구성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채널 제어부(220)는 H 채널 접속과 같은 그룹화된 채널 분리 이외에 B 채널 및 신호 정보 전달에 필요한 채널(공통선 신호방식(CCS : Common Channel Signaling)) 혹은 신호 정보 전달을 위한 프레임(R2의 경우)의 분석/조합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술한 채널 제어부(120)는 CAS(Channel Associated Signaling : 채널결합 신호방식) 트렁크에 사용되는 R2MFC(R2 Multi-Frequency Compelled) 신호음 발생 및 검출 기능, CCS 방식 트렁크의 통화로 상태 감시용 연속성 신호음 발생 및 검출 기능을 수행하는 외부의 톤(Tone) 제어기(도시 생략됨)와 연동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
그리고, CPU(240)는 도시 생략된 상위 프로세서로부터 수신되는 채널 구성 정보 및 중계선 정보(CCS/CAS)에 의거하여 상술한 채널 제어부(220)를 제어하며, 이때 CPU(240)로부터 생성된 각종 정보는 메모리부(230)에 저장된다.
통신 제어부(250)는 시스템 동작 상태를 감시하거나 중계선 정합장치의 상위 프로세서와 통신 기능을 담당하는 역할을 하며, 시분할 스위치 인터페이스(260)는 도시 생략된 타임 스위치와의 정합 기능을 수행하여 중계선과 트렁크 인터페이스(210)를 통해 연결되는 채널 제어부(220)로부터 전달되는 정보를 타임 스위치로 전달하고, 반대로 타임 스위치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중계선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고정속도 전달 체계 중계선 정합장치는 급격히 늘어나고 있는 인터넷 통신처럼 가변속도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 타임 스위치의 전송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프로토콜 처리를 위해서는 또 다른 프로토콜 처리부를 시스템 내에 구비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CCS 방식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No.7 처리부와 프레임 릴레이(Frame relay) 처리를 위한 프레임 릴레이 처리부, 패킷 처리부를 각각 구비해야 하기 때문에 새로운 프로토콜을 적용하기 위해서 빈번한 시스템 변화가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가변속도 전달 체계 통신망에 수용될 수 있는 중계선 정합장치를 고안하여 고정속도 전달 체계의 전화 서비스와 가변속도 전달 체계의 데이터 서비스를 수용하는 동시에 기존의 중계망과 정합할 수 있는 가변속도 전달 체계 통신망에서의 중계선 정합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가변속도 전달 체계 통신망에서의 중계선 정합장치에 있어서, 대국 중계 장치와 전기적/물리적 특성을 규정하여 상기 대국 중계 장치와의 데이터 전달을 위한 프레임을 구성하는 트렁크 인터페이스; 수신된 정보의 그룹화된 채널을 분리하고 신호 정보 전달에 필요한 채널 또는 신호 정보 전달을 위한 프레임을 분석/조합하며 각 채널에 실리는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각기 다른 경로로 분배하는 채널 제어부; 시스템의 동작 상태를 감시하고 상기 중계선 정합장치의 상위 프로세서와의 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통신 제어부; 상기 중계선 정합장치의 데이터 프로토콜 처리/호 진행을 관리하고, 상기 통신 제어부를 통해 상기 상위 프로세서로부터 수신되는 채널 구성 정보 및 중계선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채널 제어부를 제어하는 CPU; 상기 CPU에서 생성된 정보를 저장하고 중계선 호제어 또는 프로토콜 상태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요구된 통화 품질에 따라 상기 채널 제어부로부터 제공되는 음성 정보를 압축하여 스위치 정합장치로 출력하며, 스위치로부터 압축된 음성 정보가 제공되면 이를 압축 해제하여 상기 채널 제어부로 전송하는 압축 CODEC; 상기 채널 제어부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 정보에 대해 No.7 신호의 계층 2(layer-2) 처리와 데이터 신호의 계층 2 처리를 수행하는 HDLC 제어부; 상기 데이터 정보와 상기 압축된 음성 정보를 구분하여 각각의 ID를 부여하므로써 착신하고자 하는 통신 경로를 지정하는 스위치 ID 제어부; 가변속도 스위치와 정합되어 상기 데이터 정보 및 상기 압축된 음성 정보를 상기 가변속도 스위치와 송수신하는 가변속도 스위치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가변속도 전달 체계에서의 중계선 정합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변속도 전달 체계 통신망에서의 중계선 정합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고정속도 전달 체계 통신망에서의 중계선 정합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트렁크 인터페이스 120 : 채널 제어부
130 : 메모리부 140 : 제 1 압축 CODEC
150 : 제 2 압축 CODEC 160 : HDLC 제어부
170 : CPU 180 : 통신 제어부
190 : 스위치 ID 제어부 200 : 가변속도 스위치 인터페이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변속도 전달 체계 통신망에서의 중계선 정합장치에 대한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로서, 트렁크 인터페이스(110), 채널 제어부(120), 메모리부(130), 제 1 압축 CODEC(140), 제 2 압축 CODEC(150), HDLC 제어부(160), CPU(170), 통신 제어부(180), 스위치 ID 제어부(190), 가변속도 스위치 인터페이스(200)를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트렁크 인터페이스(110)는 대국 중계 장치와 전기적/물리적 특성을 규정하여 데이터 전달을 위한 프레임을 구성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CO널 제어부(120)는 H 채널 접속과 같은 그룹화된 채널 분리 외에 B 채널 및 신호 정보 전달에 필요한 채널(CCS의 경우) 혹은 신호 정보 전달을 위한 프레임(R2의 경우)을 분석/조합하고 채널에 실리는 데이터 종류에 따라 후술하는 경로(L125), 제 1 및 제 2 압축 CODEC(140, 150) 및 HDLC 제어부(160)로 분리하여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채널 제어부(120)는 CAS 방식 트렁크에 사용되는 R2MFC(R2 Multi-Frequency Compelled) 신호음 발생 및 검출 기능, CCS 방식 트렁크의 통화로 상태감시용 연속성 신호음 발생 및 검출 기능을 수행하는 외부의 톤(Tone) 제어기(도시 생략됨)와 연동 기능을 병행하여 수행한다.
그리고, 메모리부(130)는 후술하는 CPU(170)에서 생성된 정보와 중계선 호제어 또는 프로토콜 상태 등을 저장하기 위한 수단이며, 제 1 및 제 2 압축 CODEC(140, 150)은 통화 품질에 따라 음성 정보를 압축/분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제 1 압축 CODEC(140)은 16 비트 압축 CODEC이며 제 2 압축 CODEC(150)은 8 비트 압축 CODEC이다. 여기서, 음성 정보의 압축/분해 과정이 필요 없는 경우에는 경로(L125)를 거쳐 처리된다.
한편, HDLC 제어부(160)는 CCS 형태 트렁크인 경우 No.7 신호의 계층 2(layer-2) 처리와 데이터의 계층 2 처리를 수행하며, CPU(170)는 CCS 트렁크인 경우 No.7 신호와 CAS 트렁크의 신호 및 데이터 프로토콜 처리/호 진행을 관리하고, 도시 생략된 상위 프로세서로부터 수신되는 채널 구성 정보 및 중계선 정보(CCS/CAS)에 의거하여 상술한 채널 제어부(120)를 제어하게 된다.
그리고, 통신 제어부(180)는 시스템 동작 상태를 감시하거나 중계선 정합장치의 상위 프로세서와 송신 기능을 수행하고, 스위치 ID 제어부(190)는 데이터와 압축된 음성 정보를 구분하여 착신하고자 하는 통신 경로를 구분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가변속도 스위치 인터페이스(200)는 스위치 ID 제어부(190)로부터 제공되는 가변속도의 데이터 전송 및 수신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가변속도 전달 체계 중계선 정합장치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는 데이터 통화와 음성 통화로 구분되는데, 도 1을 참조하여 각각의 통화에 따른 중계선 정합장치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중계선 정합장치의 동작은 대국 장치와 채널 운용 특성(CAS, CCS)에 대해 사전 협의가 이루어진 상태에서 시작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중계선 정합장치는 시스템 운용 초기 또는 중계선 설정 초기에 CAS/CCS 형태의 설정과 연동되는 대국 교환기가 압축된 음성 신호를 처리할 수 있는지의 유무를 미리 알 수 있도록 설정되어 동작한다.
그리고, 타 망으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는 대국 교환기가 압축된 음성을 처리하는 교환기일 때 음성 정보와 데이터 정보 모두 HDLC 형태로 수신되기 때문에 경로(L125)를 사용하며, 대국 교환기가 압축된 음성을 처리하지 못하는 경우의 음성 정보에 한해 압축 CODEC로 처리된다. 또한, 타 망으로부터 송신해야 하는 정보는 압축된 음성을 처리하지 못하는 대국 교환기로 음성 정보를 전달할 경우에만 압축 CODEC로 처리하며, 그 이외의 경우는 경로(L125)를 통하여 HDLC 형태로 처리된다.
일반적으로 중계선 데이터의 송수신은 트렁크 인터페이스(110)에서 분석 가능한 프레임 구조로 송수신되며, 중계선 데이터에는 음성 정보, 데이터 정보, 신호 정보로 구분되는데, 음성 정보와 데이터 정보는 신호 정보에 의해 경로가 설정된 이후에 사용된다.
한편, CAS 방식에서 신호는 각각의 채널정보에 실려 전달되는데, 이때 경로 설정은 도시 생략된 상위 프로세서에서 이루어지며, 신호 정보 수집 절차는 다음과 같다.
네트워크를 통해 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는 트렁크 인터페이스(110)에서 프레임을 분리하고, 채널 제어부(120)에서 각 쪽의 채널을 분석하여 신호 정보를 추출하게 된다. 이때 추출된 정보는 CPU(170)와 통신 제어부(180)를 통해 도시 생략된 상위 프로세서로 전달되며, 다시 CPU(170)는 통신 제어부(180)를 통해 상위 프로세서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여 채널 제어부(120)를 제어하므로써, 신호 정보 송신이 이루어진다.
한편, CCS 방식에서 신호는 특정 채널정보에 실려 전송되는데, 이때 경로 설정은 No.7 상위 계층 프로토콜 처리를 위한 상위 프로세서와 호 제어를 위한 상위 프로세서에서 이루어지며, 신호 정보 수집 절차는 다음과 같다.
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는 트렁크 인터페이스(110)에서 프레임을 분석하고, 채널 제어부(120)에서 미리 설정된 특정 채널을 HDLC 제어부(160)로 전송하며, HDLC 제어부(160)는 이를 분석하여 No.7 신호 정보를 추출하게 된다.
이때, 추출된 정보는 마이크로 프로세서(170)와 통신 제어부(180)를 통해 도시 생략된 상위 프로세서로 전송되고, CPU(170)는 다시 상위 프로세서로부터 수신되는 No.7 신호 정보를 통신 제어부(180)를 통해 수신하여 HDLC 제어부(160)로 송신하며, HDLC 제어부(160)는 이를 해당 프로토콜 형식으로 가공하여 채널 제어부(120)로 전송하게 된다. 그리고, 채널 제어부(120)는 미리 설정된 특정 채널에 프로토콜로 가공된 정보를 트렁크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대국으로 전송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 의해 호 경로 설정이 이루어지며, 이후 채널에 실리는 정보가CPU(170)와 채널 제어부(120)를 거쳐 음성 정보인지 데이터 정보인지 구분되고, CPU(170)는 해당 호가 착신되는 지점에 대한 스위치 ID를 인식하게 된다.
한편, 이와는 달리 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정보가 HDLC를 가지는 프로토콜 형태의 데이터인 경우의 처리 과정은 다음과 같다.
트렁크 인터페이스(110)는 네트워크를 통해 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의 프레임을 분석하여 채널 제어부(120)로 전송하게 되고, 채널 제어부(120)는 전송된 데이터에 대한 채널을 분리하여 얻어진 정보를 HDLC 제어부(160)로 전송하게 된다.
그리고, HDLC 제어부(160)는 계층 2(layer-2) 프로토콜을 분석하여 스위치 ID 제어부(190)로 전송하는 동시에, 전송되는 데이터 량을 산출하여 CPU(170)로 보고하게 되고, CPU(170)는 이에 의거하여 과금/통계에 대한 데이터를 산출하여 통신 제어부(170)를 통해 도시 생략된 상위 프로세서로 전달하게 된다.
한편, 스위치 ID 제어부(190)는 HDLC 제어부(160)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에 대해 경로 설정 절차에서 기정의된 채널 고유값(ID)을 부여하여 가변속도 스위치 인터페이스(200)로 전송하고, 가변속도 스위치 인터페이스(200)는 수신된 데이터를 도시 생략된 가변속도 스위치에 전송하므로써, 대국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착신 지점으로 전송하게 된다.
그리고, 이에 대한 역방향 HDLC 형태 데이터 전달 처리 과정, 즉 가변속도 스위치로부터 전송되는 HDLC 형태 데이터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과정은 상술한 순방향 처리 과정의 역순으로 진행된다.
다른 한편, 압축된 음성을 처리할 수 없는 대국 교환기로부터 수신되는 음성정보를 중계선 정합장치에서 수신하여 처리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트렁크 인터페이스(110)는 네트워크를 통해 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정보의 프레임을 분석하여 채널 제어부(120)로 전송하게 되고, 채널 제어부(120)는 전송된 음성 정보에 대한 채널을 분리하여 이로부터 얻어진 정보를 호처리 경로 설정 단계에서 주어진 통화 품질 또는 기설정된 통화 품질로 압축하기 위해서 제 1 압축 CODEC(140) 또는 제 2 압축 CODEC(150)으로 전달한다. 고품질의 통화 품질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제 1 압축 CODEC(140)을 이용하여 처리하게 된다. 만일, 여기서 대국이 이미 압축된 음성 정보를 전송한 경우에는 경로(L125)를 통해 가변속도 스위치 인터페이스(200)로 바이패스 된다.
그리고, 제 1 압축 CODEC(140) 및 제 2 압축 CODEC(150)에서 압축된 음성 정보는 스위치 ID 제어부(190)로 전송되고, 스위치 ID 제어부(190)는 압축된 음성 정보에 대해 경로 설정 절차에서 기정의된 채널 고유값(ID)을 부여하여 가변속도 스위치 인터페이스(200)로 전송하게 된다. 따라서, 가변속도 스위치 인터페이스(200)는 수신된 데이터를 도시 생략된 외부의 가변속도 스위치를 통해서 착신 지점으로 전송하므로써, 대국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에 대한 역방향 처리, 즉 도시 생략된 가변속도 스위치로부터 음성 정보가 중계선 정합장치에 수신되어 이를 처리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도시 생략된 가변속도 스위치에서 감지된 정보는 가변속도 스위치 인터페이스(200)를 통해 스위치 ID 제어부(190)로 전송되고, 스위치 ID 제어부(190)는 수신된 정보에 포함된 채널 고유값(ID)을 분리하여 CPU(170)로 통보한다.
그리고, CPU(170)는 이 채널 고유값(ID)이 사용할 채널과 통신 형태에 따라 제 1 및 제 2 압축 CODEC(140, 150), 경로(L125) 또는 HDLC 제어부(160)의 사용 여부를 스위치 ID 제어부(190)로 통보하게 된다. 따라서, 스위치 ID 제어부(190)는 해당 채널 고유값(ID)에 대한 처리 경로를 인식할 수 있게 되며, CPU(170)에서 지정해 준 장치, 즉 음성 정보일 경우에는 경로(L125), 제 1 또는 제 2 압축 CODEC(140 또는 150)으로 전달하게 된다. 여기서, 경로(L125)는 대국 교환기가 압축된 음성신호 처리를 할 수 있는 경우에 사용되며, 제 1 또는 제 2 압축 CODEC(140 또는 150)은 대국 교환기가 압축된 음성 신호를 처리할 수 없을 때 사용된다.
따라서, 제 1 또는 제 2 압축 CODEC(140 또는 150)은 전달 대상 정보를 압축 해제하여 일반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게 되고, 변환된 데이터를 채널 제어부(120)로 전송하게 된다. 그리고, 채널 제어부(120)는 수신한 음성 정보를 해당 채널정보에 실어 트렁크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대국으로 전달하여 처리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중계선 정합장치를 이용하여 종래 기술에 처리될 수 없었던 가변속도 정합 처리를 수행하여 음성 통신과 데이터 서비스를 동시에 수용하므로써, 교환기의 구조 및 통신망의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가변속도 전달 체계 통신망에서의 중계선 정합장치에 있어서,
    대국 중계 장치와 전기적/물리적 특성을 규정하여 상기 대국 중계 장치와의 데이터 전달을 위한 프레임을 구성하는 트렁크 인터페이스;
    수신된 정보의 그룹화된 채널을 분리하고 신호 정보 전달에 필요한 채널 또는 신호 정보 전달을 위한 프레임을 분석/조합하며 각 채널에 실리는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각기 다른 경로로 분배하는 채널 제어부;
    시스템의 동작 상태를 감시하고 상기 중계선 정합장치의 상위 프로세서와의 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통신 제어부;
    상기 중계선 정합장치의 데이터 프로토콜 처리/호 진행을 관리하고, 상기 통신 제어부를 통해 상기 상위 프로세서로부터 수신되는 채널 구성 정보 및 중계선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채널 제어부를 제어하는 CPU;
    상기 CPU에서 생성된 정보를 저장하고 중계선 호제어 또는 프로토콜 상태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요구된 통화 품질에 따라 상기 채널 제어부로부터 제공되는 음성 정보를 압축하여 전달하며, 외부로부터 압축된 음성 정보가 제공되면 이를 압축 해제하여 상기 채널 제어부로 전송하는 압축 CODEC;
    상기 채널 제어부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 정보에 대해 No.7 신호의 계층 2(layer-2) 처리와 데이터 신호의 계층 2 처리를 수행하는 HDLC 제어부;
    상기 데이터 정보와 상기 압축된 음성 정보를 구분하여 각각의 ID를 부여하므로써 착신하고자 하는 통신 경로를 지정하는 스위치 ID 제어부;
    가변속도 스위치와 정합되어 상기 데이터 정보 및 상기 압축된 음성 정보를 상기 가변속도 스위치와 송수신하는 가변속도 스위치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가변속도 전달 체계에서의 중계선 정합장치.
KR1019990055308A 1999-12-07 1999-12-07 가변속도 전달 체계 통신망에서의 중계선 정합장치 KR1003190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5308A KR100319080B1 (ko) 1999-12-07 1999-12-07 가변속도 전달 체계 통신망에서의 중계선 정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5308A KR100319080B1 (ko) 1999-12-07 1999-12-07 가변속도 전달 체계 통신망에서의 중계선 정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4478A true KR20010054478A (ko) 2001-07-02
KR100319080B1 KR100319080B1 (ko) 2001-12-29

Family

ID=19623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5308A KR100319080B1 (ko) 1999-12-07 1999-12-07 가변속도 전달 체계 통신망에서의 중계선 정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90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4036644B4 (de) * 2004-03-09 2011-02-03 Lg Electronics Inc. Motor für Waschmaschin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4036644B4 (de) * 2004-03-09 2011-02-03 Lg Electronics Inc. Motor für Waschmas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19080B1 (ko) 2001-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90304B1 (en) Protocol conversion apparatus and protocol conversion method
US6078580A (en) Operator status server for voice over data
US6636528B1 (en) Method for operating a switching device upon utilization of different signaling protocols and apparatus therefor
KR100319080B1 (ko) 가변속도 전달 체계 통신망에서의 중계선 정합장치
JPH1032556A (ja) 伝送容量を減少させるための装置
JP2005086817A (ja) ケーブルモデムを利用した緊急電話発信装置及びその方法
JP2000216882A (ja) コ―ド化されたテレコミュニケ―ション用の信号を送信する方法、システムおよび装置
JPH05227279A (ja) 加入者系ディジタル伝送装置の信号方式自動切換え装置及び方法
KR100317251B1 (ko) 회선다중화장치
EP2191630B1 (en) Transmitting data respecting different formats at source and required by the receiver
KR100328207B1 (ko) 가변속도 전달체계 통신망에서의 아이에스디엔 가입자정합장치
CA2261007C (en) Subrate voice switching over switching and telecommunication networks
US6052391A (en) Dynamic assignment of subrate voice channels in telecommunication networks
KR100328206B1 (ko) 가변속도 전달체계 통신망에서의 전화 가입자 정합장치
KR100216588B1 (ko) 광대역 종합정보 통신망에서의 다지점 제어 장치
KR960003030B1 (ko) 디지탈 데이터를 이용한 음성신호 모니터링 장치
JPH09298613A (ja) 端末機器を接続する方法
JPH0447817A (ja) デジタル構内交換システム
US6810117B1 (en) Method and circuit for simultaneously establishing communication links between a subscriber station and further subscriber stations
JP2883255B2 (ja) 多重中継装置
JPH06253352A (ja) 構内交換機
KR19990020336A (ko) 실시간 및 비실시간 서비스를 위한 역다중화 장치 및 방법
JPWO2004093358A1 (ja) 通信装置
JPH0637753A (ja) 通信装置
JPH09116599A (ja) ターミナルアダプ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