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54281A - 미세 광변조기를 이용한 투과형 표시소자 - Google Patents
미세 광변조기를 이용한 투과형 표시소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10054281A KR20010054281A KR1019990055026A KR19990055026A KR20010054281A KR 20010054281 A KR20010054281 A KR 20010054281A KR 1019990055026 A KR1019990055026 A KR 1019990055026A KR 19990055026 A KR19990055026 A KR 19990055026A KR 20010054281 A KR20010054281 A KR 2001005428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splay device
- transparent substrate
- fixing member
- transmissive display
- movable member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8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125000006850 spacer group Chemical group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29910052581 Si3N4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HQVNEWCFYHHQES-UHFFFAOYSA-N silicon nitride Chemical compound N12[Si]34N5[Si]62N3[Si]51N64 HQVNEWCFYHHQES-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5
- VYZAMTAEIAYCRO-UHFFFAOYSA-N Chromium Chemical compound [Cr] VYZAMTAEIAYCRO-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ZOKXTWBITQBERF-UHFFFAOYSA-N Molybdenum Chemical compound [Mo] ZOKXTWBITQBERF-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RTAQQCXQSZGOHL-UHFFFAOYSA-N Titanium Chemical compound [Ti] RTAQQCXQSZGOHL-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52804 chrom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1651 chromium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52750 molybden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1733 molybdenum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52719 tita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0936 titanium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WFKWXMTUELFFGS-UHFFFAOYSA-N tungsten Chemical compound [W] WFKWXMTUELFFGS-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52721 tungste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0937 tungste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ium dioxide Chemical compound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claims 2
- 229910052814 silicon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2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151 depos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59 patter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206 photolith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0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semiconductor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having a PN or PIN junction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 G02B26/0816—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by means of one or more reflecting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echanical Light Control Or Optical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효율을 높이도록 한 미세 광변조기를 이용한 투과형 표시소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미세 광변조기를 이용한 투과형 표시소자는 각각 제 1 및 제 2 표면을 갖는 제 1 및 제 2 투명기판과, 상기 제 1 투명기판의 제 1 표면 상에 스트라입(Stripe) 형태로 소정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형성되는 다수 개의 고정부재와, 상기 제 2 투명기판의 제 1 표면 상에 양 끝단이 고정되고 중앙부분이 소정 간격 만큼 부상된 브릿지(bridge) 형태를 가지며 상기 제 1 투명기판의 상기 고정부재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과 대응되게 형성된 다수 개의 가동부재와, 상기 고정부재과 상기 가동부재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상기 제 1 투명기판의 제 1 표면과 상기 제 2 투명기판의 제 1 표면이 마주하게 가장자리에 형성된 스페이서(spacer)를 구비한다. 따라서, 고정부재와 가동부재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도록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광빔을 변조하여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소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광효율을 높이도록 한 미세 광변조기를 이용한 투과형 표시소자에 관한 것이다.
차세대 표시장치로서 각종 평판 표시소자(Flat Panel Display Device)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평판 표시소자에는 이미 일반화된 액정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 이하 "LCD"라 함)와, 가스방전을 이용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 이하 "PDP"라 함) 등이 있다. LCD는 시야각이 좁고 응답속도가 느릴뿐 아니라 반도체 제조공정으로 스위치소자인 박막트랜지터(Thin Film Transistor : 이하 "TFT"라 함)와 전극 등을 형성하게 되므로 제조공정이 복잡한 단점이 있다. PDP는 제조공정이 단순하여 대면적화에 유리하지만 방전 및 발광효율이 낮고 고가인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평판 표시장치의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표시소자에 대한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최근에는 극초미세 가공기술인 마이크로 일렉트로메커니컬 시스템(Micro Electromechanical System : 이하 "MEMS"라 함)을 이용하여 화소셀(Pixel)마다 미세한 광변조기를 형성하여 화상을 표시할 수 있는 투과형 표시소자가 제안된 바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 기술에 따른 미세 광변조기를 이용한 투과형 표시소자를 도시한 개략도로, 도 1a은 단면도이고, 도 1b는 측면도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미세 광변조기를 이용한 투과형 표시소자는 투명기판(11) 상에 스트라입(Stripe) 형태로 소정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형성되는 다수 개의 고정부재(13)와, 브릿지(bridge) 형태를 가져 고정부재(13)와 이격되며 양변이 고정부재(13)와 중첩되게 형성된 가동부재(15)를 구비한다.
상기에서 브릿지(bridge) 형태로 형성된 가동부재(15)는 투명기판(11)에 양 끝단이 고정되며 중앙부분이 투명기판(13)으로부터 소정 간격 만큼 부상되어 고정부재(13)와 이격된다. 고정부재(13)는 전극으로 이용되는 전도성 물질과 절연층으로 이용되는 절연물질 등 다층 박막으로 형성되고, 가동부재(15)는 탄성이 양호한 물질과, 전극으로 이용되는 전도성 물질과 절연층으로 이용되는 절연물질 등 다층 박막으로 형성된다. 또한, 고정부재(13) 및 가동부재(15)의 표면은 불투명하여야 한다.
가동부재(15)를 형성하는 방법은 고정부재(13)가 형성된 투명기판(11)에 희생층(도시되지 않음)을 증착하고, 이 희생층 상에 투명기판(11)과 접촉되게 가동부재(15)를 형성하는 탄성이 양호한 물질, 전극으로 이용되는 전도성 물질 및 절연층으로 이용되는 절연물질 등을 증착하고 패터닝한 후 희생층을 제거하므로써 형성된다.
상술한 구성의 투과형 표시장치는 고정부재(13)와 가동부재(15)는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제어되어 화면의 표시상태와 비표시상태를 나타낸다. 즉, 고정부재(13)와 가동부재(15)는 각각의 전극에 인가되는 전기적인 신호에 따라 상호 작용하는 정전기력에 의해 접촉 또는 분리되어 광경로를 개폐시키는 것에 의해 화면을 나타낸다.
도 2a 및 도 2b는 종래 기술에 따른 미세 광변조기를 이용한 투과형 표시소자의 구동시 단면도이다.
도 2a는 미세 광변조기를 이용한 투과형 표시소자의 비표시상태를 도시하는 것으로 스위치(S1)를 '온(on)'시키면 고정부재(13)와 가동부재(15) 각각의 전극에는 소정 레벨의 전압이 인가된다. 이 때, 고정부재(13)와 가동부재(15) 사이에 정전기력에 의한 인력이 작용되어 가동부재(15)가 응력을 받아 고정부재(13) 쪽으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 고정부재(13)와 가동부재(15)는 중첩된 부분이 접촉된다. 그러므로, 투명기판(11)의 배면에 설치된 배면 광원(도시되지 않음)으로부터 입사되는 입사광은 고정부재(13) 및 가동부재(15)에 의해 반사되어 입사광은 표시장치를 투과하지 못하고 차단된다.
이와 반대로 도 2b는 미세 광변조기를 이용한 투과형 표시소자의 표시상태를 도시하는 것으로 스위치(S1)를 '오프(off)'시키면 고정부재(13)와 가동부재(15)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는다. 이 때, 가동부재(15)는 자신의 탄성력에 의해 원래의 상태로 복귀하게 되어 고정부재(13)와 분리되므로 고정부재(13)와 가동부재(15) 사이에 틈이 형성된다. 이에 의해, 고정부재(13)와 가동부재(15) 사이에는 광경로가 형성된다. 이 광경로를 통하여 배면 광원(도시되지 않음)으로부터 입사되는 입사광이 표시면(도시되지 않음) 쪽으로 투과되어 화상 또는 영상을 표시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미세 광변조기를 이용한 투과형 표시소자는 희생층을 이용하여 고정부재과 가동부재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데, 이는 희생층을 일정한 두께로 형성하기 어려워 고정부재와 가동부재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기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정부재와 가동부재 사이가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미세 광변조기를 이용한 투과형 표시소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 기술에 따른 미세 광변조기를 이용한 투과형 표시소자를 도시한 개략도.
도 2a 및 도 2b는 종래 기술에 따른 미세 광변조기를 이용한 투과형 표시소자의 구동시 단면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미세 광변조기를 이용한 투과형 표시소자를 도시한 개략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미세 광변조기를 이용한 투과형 표시소자의 구동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1 : 제 1 투명기판 23 : 고정부재
25 : 제 2 투명기판 27 : 가동부재
29 : 스페이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미세 광변조기를 이용한 투과형 표시소자는 각각 제 1 및 제 2 표면을 갖는 제 1 및 제 2 투명기판과, 상기 제 1 투명기판의 제 1 표면 상에 스트라입(Stripe) 형태로 소정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형성되는 다수 개의 고정부재와, 상기 제 2 투명기판의 제 1 표면 상에 양 끝단이 고정되고 중앙부분이 소정 간격 만큼 부상된 브릿지(bridge) 형태를 가지며 상기 제 1 투명기판의 상기 고정부재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과 대응되게 형성된 다수 개의 가동부재와, 상기 고정부재과 상기 가동부재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상기 제 1 투명기판의 제 1 표면과 상기 제 2 투명기판의 제 1 표면이 마주하게 가장자리에 형성된 스페이서(spacer)를 구비한다.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한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미세 광변조기를 이용한 투과형 표시소자를 도시한 개략도로, 도 3a은 단면도이고, 도 3b는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미세 광변조기를 이용한 투과형 표시소자는 제 1 및 제 2 투명기판(21)(25)과, 제 1 투명기판(21)의 제 1 표면 상에 스트라입(Stripe) 형태로 소정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형성되는 다수 개의 고정부재(23)와, 제 1 투명기판(21)의 고정부재(23)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과 대응되며 제 2 투명기판(25)의 제 1 표면 상에 양 끝단이 고정되고 중앙부분이 소정 간격 만큼 부상된 브릿지(bridge) 형태로 형성된 가동부재(27)와, 제 1 투명기판(21)의 제 1 표면과 제 2 투명기판(25)의 제 1 표면이 마주하도록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고정부재(23)과 가동부재(27)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하는 스페이서(spacer : 29)를 구비한다.
상기에서 고정부재(23)는 제 1 투명기판(21)의 제 1 표면 상에 전극으로 이용되는 전도성 물질과 절연층으로 이용되는 절연물질 등 다층 박막으로 10∼15㎛ 정도의 폭을 가지며, 5∼10㎛ 정도의 폭 만큼 이격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가동부재(27)는 제 1 투명기판(21)의 고정부재(23) 사이 부분과 대응되게 제 2 투명기판(25)의 제 1 표면 상에 양 끝단이 고정된 브릿지 형태를 갖는 것으로 탄성이 양호한 물질과, 전도성 물질과 절연층으로 이용되는 절연물질 등 다층 박막으로 10∼15㎛ 정도의 폭을 가지며, 5∼10㎛ 정도의 폭 만큼 이격되게 형성된다. 상기에서 고정부재(23) 및 가동부재(27)의 구조에서 전극으로 이용되는 전도성 물질은알루미늄, 구리, 크롬, 티타늄, 몰리브덴 또는 텅스텐 등의 금속으로 형성되며, 절연층으로 이용되는 절연물질은 산화실리콘 또는 질화실리콘 등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가동부재(27)를 구성하는 탄성이 양호한 물질은 질화실리콘 등으로 형성된다. 또한, 고정부재(23) 및 가동부재(27)의 표면은 불투명하여야 한다.
상기에서 가동부재(27)를 형성하는 방법은 제 2 투명기판(25)의 제 1 표면 상에 희생층(도시되지 않음)을 증착하고, 이 희생층 상에 제 2 투명기판(25)의 제 1 표면과 접촉되게 가동부재(27)를 형성하는 탄성이 양호한 물질, 전극으로 이용되는 전도성 물질 및 절연층으로 이용되는 절연물질 등을 순차적으로 증착하고 포토리쏘그래피 방법으로 패터닝한 후 희생층을 제거하므로써 형성된다.
스페이서(spacer : 29)는 고정부재(23)와 가동부재(27)가 형성된 제 1 투명기판(21)의 제 1 표면과 제 2 투명기판(25)의 제 1 표면이 마주하도록 부착한다. 상기에서 스페이서(29)는 가동부재(27)가 구동되는 공간이 필요하므로 고정부재(23)와 2.5∼3.5㎛ 정도의 간격을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제 1 투명기판(21)과 제 2 투명기판(25)은 빛샘을 방지하기 위해 고정부재(23)와 가동부재(27)가 3∼5㎛ 정도 중첩되게 형성된다. 상기에서 고정부재(23)와 가동부재(27) 사이를 스페이서(29)에 의해 2.5∼3.5㎛ 정도의 간격으로 유지시키므로 이 고정부재(23)와 가동부재(27) 사이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용이하다.
상술한 구성의 투과형 표시장치는 고정부재(23)와 가동부재(27)는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제어되어 화면의 표시상태와 비표시상태를 나타낸다. 즉, 고정부재(23)와 가동부재(27)는 각각의 전극에 인가되는 전기적인 신호에 따라 상호 작용하는 정전기력에 의해 접촉 또는 분리되어 광경로를 개폐시키는 것에 의해 화면을 나타낸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미세 광변조기를 이용한 투과형 표시소자의 구동시 단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미세 광변조기를 이용한 투과형 표시소자의 비표시상태를 도시하는 것으로 스위치(S2)를 '온(on)'시키면 고정부재(23)와 가동부재(27) 각각의 전극에는 소정 레벨의 전압이 인가된다. 이 때, 고정부재(23)와 가동부재(27) 사이에 정전기력에 의한 인력이 작용되어 가동부재(27)가 고정부재(23) 쪽으로 이동된다. 이에 의해, 고정부재(23)와 가동부재(27)는 중첩된 부분이 접촉된다. 그러므로, 제 1 투명기판(21)의 제 2 표면 쪽에 설치된 광원(도시되지 않음)으로부터 입사되는 입사광은 고정부재(23) 및 가동부재(27)에 의해 반사되어 제 2 투명기판(25)의 제 2 표면 쪽으로 진행하지 못하므로 입사광은 표시장치를 투과하지 못하고 차단된다. 이 때, 고정부재(23)와 가동부재(27)는 단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각각의 표면에 절연층이 형성되어 서로 접촉되도록 한다.
상기에서 제 1 투명기판(21)의 제 2 표면 쪽에 설치된 광원으로부터 입사되는 입사광이 70∼80°정도의 입사각을 갖고 고정부재(23)와 가동부재(27)의 중첩된 부분을 가지므로 고정부재(23)와 가동부재(27)가 0.4∼0.8㎛ 정도 이하의 간격만 되면 제 1 투명기판(21)의 제 2 표면 쪽으로 입사되는 입사광이 제 2 투명기판(25)의 제 2 표면 쪽으로 진행하지 못하여 표시장치는 차광 상태가 된다.
이와 반대로 도 4b는 미세 광변조기를 이용한 투과형 표시소자의 비표시상태를 도시하는 것으로 스위치(S2)를 '오프(off)'시키면 고정부재(23)와 가동부재(27)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는다. 이 때, 가동부재(27)는 자신의 탄성력에 의해 원래의 상태, 즉, 제 2 투명기판(25)의 제 1 표면 쪽으로 복귀하게 된다. 그러므로, 고정부재(23)와 가동부재(27)은 분리되어 이 고정부재(23)와 가동부재(27) 사이에 틈이 형성되어 광경로가 형성된다. 이 광경로를 통하여 제 1 투명기판(21)의 제 2 표면 쪽으로 입사되는 입사광이 제 2 투명기판(25)의 제 2 표면 쪽으로 투과되어 화상 또는 영상을 표시하게 된다.
상술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미세 광변조기를 이용한 투과형 표시소자는 가동부재가 형성된 제 2 투명기판의 제 2 표면 쪽에 광원을 설치하여 입사되는 광을 제 1 투명기판의 제 2 표면 쪽으로 투과시킬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미세 광변조기를 이용한 투과형 표시소자는 고정부재가 제 1 투명기판의 제 1 표면 상에 형성되고 가동부재가 제 2 투명기판에 형성되며, 스페이서(spacer)에 의해 고정부재와 가동부재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도록 제 1 투명기판의 제 1 표면과 제 2 투명기판의 제 1 표면이 마주하게 부착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미세 광변조기를 이용한 투과형 표시소자는 고정부재와 가동부재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도록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16)
- 각각 제 1 및 제 2 표면을 갖는 제 1 및 제 2 투명기판과,상기 제 1 투명기판의 제 1 표면 상에 스트라입(Stripe) 형태로 소정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형성되는 다수 개의 고정부재와,상기 제 2 투명기판의 제 1 표면 상에 양 끝단이 고정되고 중앙부분이 소정 간격 만큼 부상된 브릿지(bridge) 형태를 가지며 상기 제 1 투명기판의 상기 고정부재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과 대응되게 형성된 다수 개의 가동부재와,상기 고정부재과 상기 가동부재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상기 제 1 투명기판의 제 1 표면과 상기 제 2 투명기판의 제 1 표면이 마주하게 가장자리에 형성된 스페이서(spacer)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광변조기를 이용한 투과형 표시소자.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고정부재가 전도성 물질층과 절연층을 포함하는 등 다층 박막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광변조기를 이용한 투과형 표시소자.
-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전도성 물질층이 알루미늄, 구리, 크롬, 티타늄, 몰리브덴 또는 텅스텐의 금속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광변조기를 이용한 투과형 표시소자.
-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절연층이 산화실리콘 또는 질화실리콘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광변조기를 이용한 투과형 표시소자.
-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고정부재가 10∼15㎛의 폭을 가지며, 5∼10㎛의 폭 만큼 이격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광변조기를 이용한 투과형 표시소자.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가동부재가 탄성이 양호한 물질층, 전도성 물질층과 절연층을 포함하는 다층 박막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광변조기를 이용한 투과형 표시소자.
- 제 6 항에 있어서,상기 탄성이 양호한 물질층이 질화실리콘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광변조기를 이용한 투과형 표시소자.
- 제 6 항에 있어서,상기 전도성 물질층이 알루미늄, 구리, 크롬, 티타늄, 몰리브덴 또는 텅스텐의 금속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광변조기를 이용한 투과형 표시소자.
- 제 6 항에 있어서,상기 절연층이 산화실리콘 또는 질화실리콘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광변조기를 이용한 투과형 표시소자.
- 제 6 항에 있어서,상기 고정부재가 10∼15㎛의 폭을 가지며, 5∼10㎛의 폭 만큼 이격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광변조기를 이용한 투과형 표시소자.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가동부재가 상기 고정부재와 3∼5㎛ 정도 중첩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광변조기를 이용한 투과형 표시소자.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고정부재 및 상기 가동부재의 표면이 불투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광변조기를 이용한 투과형 표시소자.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가동부재는 상기 고정부재와의 전압 차에 의해 발생되는 정전기력에 의한 인력으로 상기 고정부재와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광변조기를 이용한 투과형 표시소자.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가동부재는 상기 고정부재와의 전압 차가 없어짐에 따라 자신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고정부재와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광변조기를 이용한 투과형 표시소자.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제 1 투명기판의 제 2 표면 쪽에 광원을 설치하여 입사되는 광을 제 2 투명기판의 제 2 표면 쪽으로 투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광변조기를 이용한 투과형 표시소자.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제 2 투명기판의 제 2 표면 쪽에 광원을 설치하여 입사되는 광을 제 1 투명기판의 제 2 표면 쪽으로 투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광변조기를 이용한 투과형 표시소자.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90055026A KR100634831B1 (ko) | 1999-12-04 | 1999-12-04 | 미세 광변조기를 이용한 투과형 표시소자 |
US09/727,514 US6421160B2 (en) | 1999-12-04 | 2000-12-04 | Transmissive display device using micro light modulat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90055026A KR100634831B1 (ko) | 1999-12-04 | 1999-12-04 | 미세 광변조기를 이용한 투과형 표시소자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0054281A true KR20010054281A (ko) | 2001-07-02 |
KR100634831B1 KR100634831B1 (ko) | 2006-10-17 |
Family
ID=19623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90055026A KR100634831B1 (ko) | 1999-12-04 | 1999-12-04 | 미세 광변조기를 이용한 투과형 표시소자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6421160B2 (ko) |
KR (1) | KR100634831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15364B1 (ko) * | 2004-06-03 | 2008-03-19 | 삼성전기주식회사 | 정전기 방식의 가변형 회절 광변조기 및 그 제조 방법 |
KR101241074B1 (ko) * | 2011-12-23 | 2013-03-11 |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 거울상태와 투명상태의 고속 전환장치 |
KR20130030105A (ko) * | 2011-09-16 | 2013-03-26 | 삼성전자주식회사 | 광 스위칭 소자, 이를 포함한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US10156896B2 (en) | 2015-01-14 | 2018-12-18 | Samsung Display Co., Ltd. | Head-wearable electronic devic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34831B1 (ko) * | 1999-12-04 | 2006-10-17 |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 미세 광변조기를 이용한 투과형 표시소자 |
US6700554B2 (en) * | 1999-12-04 | 2004-03-02 | Lg. Philips Lcd Co., Ltd. | Transmissive display device using micro light modulator |
US7023604B2 (en) * | 2000-03-25 | 2006-04-04 | Analog Devices, Inc. | Three dimensional optical switches and beam steering modules |
US6768589B2 (en) * | 2001-12-21 | 2004-07-27 | Polychromix Corporation | Method and apparatus providing reduced polarization-dependent loss |
CA2479301C (en) * | 2002-03-26 | 2011-03-29 | Dicon A/S | Micro light modulator arrangement |
KR100919535B1 (ko) * | 2006-08-31 | 2009-10-01 | 삼성전기주식회사 | 회절형 광변조기 |
KR101447995B1 (ko) | 2008-01-02 | 2014-10-08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장치 |
JP5210901B2 (ja) * | 2008-02-06 | 2013-06-12 |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 液晶表示装置 |
JP5877992B2 (ja) | 2010-10-25 | 2016-03-08 |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 表示装置 |
US8953120B2 (en) | 2011-01-07 | 2015-02-10 |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 Display device |
CN104058363B (zh) * | 2013-03-22 | 2016-01-20 | 上海丽恒光微电子科技有限公司 | 基于mems透射光阀的显示装置及其形成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195196B1 (en) * | 1998-03-13 | 2001-02-27 | Fuji Photo Film Co., Ltd. | Array-type exposing device and flat type display incorporating light modulator and driving method thereof |
JPH11258558A (ja) * | 1998-03-13 | 1999-09-24 | Fuji Photo Film Co Ltd | 平面表示装置 |
JPH11254752A (ja) * | 1998-03-13 | 1999-09-21 | Fuji Photo Film Co Ltd | 露光素子 |
US6014257A (en) * | 1998-10-14 | 2000-01-11 | Eastman Kodak Company | Light modulator |
US6288824B1 (en) * | 1998-11-03 | 2001-09-11 | Alex Kastalsky | Display device based on grating electromechanical shutter |
KR100634831B1 (ko) * | 1999-12-04 | 2006-10-17 |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 미세 광변조기를 이용한 투과형 표시소자 |
-
1999
- 1999-12-04 KR KR1019990055026A patent/KR100634831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0
- 2000-12-04 US US09/727,514 patent/US6421160B2/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15364B1 (ko) * | 2004-06-03 | 2008-03-19 | 삼성전기주식회사 | 정전기 방식의 가변형 회절 광변조기 및 그 제조 방법 |
KR20130030105A (ko) * | 2011-09-16 | 2013-03-26 | 삼성전자주식회사 | 광 스위칭 소자, 이를 포함한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KR101241074B1 (ko) * | 2011-12-23 | 2013-03-11 |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 거울상태와 투명상태의 고속 전환장치 |
US10156896B2 (en) | 2015-01-14 | 2018-12-18 | Samsung Display Co., Ltd. | Head-wearable electronic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010005239A1 (en) | 2001-06-28 |
US6421160B2 (en) | 2002-07-16 |
KR100634831B1 (ko) | 2006-10-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679095B1 (ko) | 미세 광변조기를 이용한 투과형 표시소자 | |
KR100634831B1 (ko) | 미세 광변조기를 이용한 투과형 표시소자 | |
KR960001941B1 (ko) | 평면 디스플레이 장치 | |
KR20040060705A (ko) | 광 간섭형 패널 및 그 제조방법 | |
US6700554B2 (en) | Transmissive display device using micro light modulator | |
KR20020010322A (ko) | 멤스(mems)를 이용한 투과형 디스플레이 장치 | |
JPH112764A (ja) | 光開閉装置及び表示装置並びに光開閉装置の製造方法 | |
EP1156353B1 (en) | Flat panel display | |
JP2002296519A (ja) | 光変調装置及びその光変調装置の製造方法並びにその光変調装置を具備する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光変調装置を具備する画像投影表示装置 | |
CN101604092B (zh) | 显示面板及其制造方法、显示装置及其色彩还原方法和电子设备 | |
KR101331941B1 (ko) |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
JP4684448B2 (ja) | 光変調装置及びその光変調装置の製造方法並びにその光変調装置を具備する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光変調装置を具備する画像投影表示装置 | |
KR100641730B1 (ko) | 미세 광변조기를 이용한 표시소자 | |
KR100610607B1 (ko) | 미세 광변조기를 이용한 투과형 표시소자 | |
KR101107711B1 (ko) | 횡전계 방식의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 |
KR100606960B1 (ko) | 미세 광 변조기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 |
KR100606409B1 (ko) | 미세 광변조기를 이용한 투과형 표시소자 | |
KR20020009270A (ko) | 미세 광 변조기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 |
KR100610606B1 (ko) | 미세 광변조기를 이용한 표시소자의 제조방법 | |
KR100696261B1 (ko) | 미세 광변조기를 이용한 투과형 표시소자 | |
KR100724743B1 (ko) | 극초미세 가공기술을 이용한 투과형 표시소자 | |
KR100701897B1 (ko) | 액정표시소자와 그 제조방법 | |
KR100610608B1 (ko) | 미세 광변조기를 이용한 투과형 표시소자 | |
KR100416585B1 (ko) | 박막트랜지스터액정표시장치의제조방법 | |
KR20020057240A (ko) | 프린지필드구동 액정표시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930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918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10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