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53968A - 쓰레기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쓰레기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53968A
KR20010053968A KR1019990054548A KR19990054548A KR20010053968A KR 20010053968 A KR20010053968 A KR 20010053968A KR 1019990054548 A KR1019990054548 A KR 1019990054548A KR 19990054548 A KR19990054548 A KR 19990054548A KR 20010053968 A KR20010053968 A KR 200100539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ket
blower fan
waste
drying apparatus
s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45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58920B1 (ko
Inventor
최용원
박종국
Original Assignee
최용원
박종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용원, 박종국 filed Critical 최용원
Priority to KR10199900545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8920B1/ko
Publication of KR200100539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39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89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89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5/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04Garb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부에 배출구를 갖는 개수대와, 상기 배출구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바스켓을 수용하는 바스켓수용부가 형성된 배수로를 갖는 싱크대에 마련하는 쓰레기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배수로에서 분기된 송풍로와; 상기 송풍로에 설치되어 공기를 흡인하여 상기 바스켓에 수용된 쓰레기를 건조시키는 송풍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구조가 단순한 쓰레기 건조장치를 마련할 수 있어, 실내에 쓰레기 악취가 잔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음식물 쓰레기를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다.

Description

쓰레기 건조장치{Garbage Drying Apparatus}
본 발명은, 쓰레기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저부에 배출구를 갖는 개수대와, 상기 배출구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바스켓을 수용하는 바스켓수용부가 형성된 배수로를 갖는 싱크대에 마련하는 쓰레기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현대 사회에서 가장 문제시되고 있는 것은 환경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산업폐기물, 가정 쓰레기 등을 포함한 폐기물들의 처리문제는 가장 중요한 해결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산업폐기물의 경우 법적으로 제재를 가하거나 여러 가지 대응책을 마련하여 서서히 줄여나가고 있는 반면에, 가정이나 음식점 등에서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들은 인구 증가와 산업의 발달로 인하여 더욱 더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러한 음식물 쓰레기는 대부분이 젖은 상태로 배출되기 때문에 소각이 용이하지 않으며, 매립을 하는 경우 주변의 토양이 산성화가 되어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에, 가정 및 음식점 등에서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를 위해 많은 쓰레기 처리장치들이 개발되고 시판되어 왔다. 이러한 대다수의 쓰레기 처리장치들은 압착 및 분쇄를 통해 음식물 쓰레기의 수분을 제거하거나 가축의 사료로 이용하기 위해 별도의 효소 등을 첨가하는 장치들이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쓰레기 처리장치들에 있어서는, 장치의 크기가 워낙 커서 별도의 설치공간을 마련해야 하므로 좁은 공간에서는 설치가 용이하지 않으며, 비교적 고가이기 때문에 가정에 설치하는 것은 어려움이 따른다. 또한, 종래의 쓰레기 장치들의 경우 구조적으로 복잡하게 제작되어져 설치작업성이 떨어짐은 물론이고 사용이 불편하다는 문제점들을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별도의 설치공간을 마련하지 않고 단순한 구조를 가지며, 싱크대에 마련되어 있는 개수대에 장착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가 제공된다면, 일반 가정에 쓰레기 처리장치를 보급될 수 있어 음식물 쓰레기로 인한 각종 환경문제 등을 개선하고 쓰레기량을 줄이는 데 효과적일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구조의 쓰레기 처리장치를 마련하여, 쓰레기 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음식물 쓰레기로 인해 발생하는 환경문제 등을 개선할 수 있는 쓰레기 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건조장치가 장착된 싱크대의 부분절취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쓰레기 건조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부분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건조장치의 제어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 : 개수대 9 : 배출구
11 : 배수로 13 : 바스켓수용부
20 : 쓰레기 건조장치 21 : 송풍로
23 : 분기부 25 : 송풍팬
27 : 송풍팬케이싱 33 : 배기로
35 : 후드덕트 37 : 체크밸브
39 : 습기감지센서 41 : 컨트롤러
50 : 제어부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저부에 배출구를 갖는 개수대와, 상기 배출구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바스켓을 수용하는 바스켓수용부가 형성된 배수로를 갖는 싱크대에 마련하는 쓰레기 건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수로에서 분기된 송풍로와; 상기 송풍로에 설치되어 공기를 흡인하여 상기 바스켓에 수용된 쓰레기를 건조시키는 송풍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건조장치에 의해서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분기부 하류영역에 마련되어 상시 차단상태가 유지되고 상기 배수로를 통한 배수에 의해 개방되는 체크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송풍팬을 온오프시키는 조작부와, 상기 송풍팬의 동작시간을 설정하는 타이머와, 상기 송풍팬의 자동 및 수동모드를 선택하는 모드선택부를 구비한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송풍팬은 실내에 마련되어 후드덕트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바스켓에 수용된 쓰레기의 습기량을 감지하는 습기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모드선택부에서 자동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습기감지센서로부터 감지된 감지값에 기초하여 상기 송풍팬을 동작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건조장치가 설치된 싱크대의 부분 절취사시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싱크대는, 사각통형상의 본체(1)와, 본체(1)의 전면에 일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도어(3)를 갖는다. 본체(1)의 상면에는 판면으로부터 함몰 형성되어 식기 및 접시를 설거지 할 수 있도록 마련된 개수대(5)와, 개수대(5)의 일측에 마련되어 식기 등을 안착시킬 수 있는 안착부(7) 등으로 구획되어 있다.
개수대(5)의 중앙영역에는 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구(9)가 판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이 배출구(9)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바스켓(15)을 수용하는 바스켓수용부(13)가 형성된 배수로(11)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본 쓰레기 건조장치(20)는 배수로(11)와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배수로(11) 영역에 설치된 쓰레기 건조장치(20)를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쓰레기 건조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부분 종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쓰레기 건조장치(20)는 싱크대의 배수로에 연통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배수로(11)에서 분기된 송풍로(21)와, 송풍로(21)에 설치되어 공기를 흡인하여 바스켓(15)에 수용된 쓰레기를 건조시키는 송풍팬(25)을 갖는다.
이 송풍팬(25)은, 통형상의 송풍팬케이싱(27)에 수용되어 있으며, 이 송풍팬케이싱(27)의 하부 판면에는 바스켓(15)에 수용된 쓰레기의 수분을 송풍로(21)를 통해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29)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송풍팬케이싱(27)의 상부판면에는 흡입구(29)를 통해 흡입된 수분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31)가 형성되어 있다. 송풍팬케이싱(27)의 배출구(31)의 상부영역에는 배출구(31)를 둘러싸며 흡입구(29)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로(33)가 마련되며, 이 배기로(33)는 실내에 마련되어 있는 후드덕트(35)에 연결되어 있다.
배수로(11) 분기부(23) 하류영역에는 체크밸브(37)가 마련되어 있으며, 송풍로(21)의 일영역에는 바스켓(15)에 수용되어 있는 쓰레기의 습기를 감지하는 습기감지센서(39)가 마련되어 있다. 이 체크밸브(37)는, 항상 차단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가 배수로(11)를 통한 배수에 의해 개방되며, 습기감지센서(39)는 체크밸브(37)가 차단상태를 유지하고 있을 때 동작한다.
한편, 쓰레기 건조장치(20)는, 송풍팬(25)을 온오프시키는 조작부(43)와, 송풍팬의 모드를 선택하는 모드선택부(45), 그리고, 송풍팬(25)의 동작시간을 설정하는 타이머(47)를 구비한 컨트롤러(41)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쓰레기 건조장치(20)에는 모드선택부(45)에서 자동모드가 선택되면, 체크밸브(37)의 개폐여부 및 습기감지센서(39)에서 감지한 감지값에 따라 송풍팬(25)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50)가 마련되어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건조장치의 제어흐름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쓰레기 건조장치(20)는, 외부로부터 전원이 공급되고 사용자가 모드선택부(43)를 통하여 선택하는 자동(ⅰ) 및 수동모드(ⅱ)에 따라 동작을 진행한다(S1).
이때, 사용자가 자동모드(ⅰ)를 선택하는 경우, 제어부(50)는, 모드선택부에서 선택된 모드가 자동모드(ⅰ)인지를 판단하고(S2), 체크밸브(37)의 개폐상태를 체크한다(S3). 체크밸브(37)가 차단상태임이 판단되면, 제어부(50)는 습기감지센서(39)를 가동시켜 습기감지센서(39)에서 감지된 감지값이 설정범위 이내인지를 판단하여(S4,S5) 설정범위 이내가 아니면 송풍팬(25)을 동작 개시시킨다(S6). 송풍팬(25)이 동작하면, 제어부(50)는 습기감지센서(39)를 계속 작동시켜 습기감지센서(39)에서 감지한 습기량이 기준 설정 범위에 도달하는 지를 판단한다(S7).
습기감지센서(39)에서 감지한 습기량이 기준설정범위에 도달하지 않으면, 제어부(50)는 송풍팬(25)을 동작을 계속 진행시키고(S6). 습기감지센서(39)에서 감지한 습기량이 기준 설정범위에 도달하면, 제어부(50)는 바스켓(15)에 수용된 쓰레기가 건조상태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하여 송풍팬(25)의 동작을 정지시킨다(S8).
한편, 사용자가 수동모드(ⅱ)를 선택하는 경우, 송풍팬(25)은 사용자가 타이머(47)를 통해 선택하는 시간만큼만 동작하게 된다. 이에, 사용자는 바스켓(15)에 수용되어 있는 쓰레기의 양이나 쓰레기의 건조상태를 고려하여 타이머(47)의 시간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자동모드(ⅰ)가 선택되는 경우, 조작부(41)는 온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수동모드(ⅱ)인 경우에는 온상태를 유지시키지 않아도 된다.
이와 같이, 배수로에서 분기된 송풍로와, 송풍로에 설치되어 공기를 흡인하여 바스켓에 수용된 쓰레기를 건조시키는 송풍팬을 마련함으로서, 바스켓에 수용된 쓰레기를 건조시키는 것이 용이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간단한 구조의 쓰레기 건조장치를 마련하여, 쓰레기 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음식물 쓰레기로 인해 발생하는 환경문제 등을 개선할 수 있는 쓰레기 건조장치가 제공된다.

Claims (5)

  1. 저부에 배출구를 갖는 개수대와, 상기 배출구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바스켓을 수용하는 바스켓수용부가 형성된 배수로를 갖는 싱크대에 마련하는 쓰레기 건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수로에서 분기된 송풍로와;
    상기 송풍로에 설치되어 공기를 흡인하여 상기 바스켓에 수용된 쓰레기를 건조시키는 송풍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건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부 하류영역에 마련되어 상시 차단상태가 유지되고 상기 배수로를 통한 배수에 의해 개방되는 체크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건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팬을 온오프시키는 조작부와, 상기 송풍팬의 동작시간을 설정하는 타이머와, 상기 송풍팬의 자동 및 수동모드를 선택하는 모드선택부를 구비한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건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팬은 실내에 마련되어 후드덕트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건조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바스켓에 수용된 쓰레기의 습기량을 감지하는 습기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모드선택부에서 자동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습기감지센서로부터 감지된 감지값에 기초하여 상기 송풍팬을 동작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건조장치.
KR1019990054548A 1999-12-02 1999-12-02 쓰레기 건조장치 KR1003589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4548A KR100358920B1 (ko) 1999-12-02 1999-12-02 쓰레기 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4548A KR100358920B1 (ko) 1999-12-02 1999-12-02 쓰레기 건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3968A true KR20010053968A (ko) 2001-07-02
KR100358920B1 KR100358920B1 (ko) 2002-11-01

Family

ID=19623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4548A KR100358920B1 (ko) 1999-12-02 1999-12-02 쓰레기 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89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6747B1 (ko) 2007-12-04 2010-06-29 (주)세퍼스 시스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58920B1 (ko) 2002-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78900B2 (en) Bowl ventilation apparatus with proximity sensor
US6804837B1 (en) Odor transporter system for a toilet bowl
US20090056007A1 (en) Ventilation system for a toilet
KR100358920B1 (ko) 쓰레기 건조장치
KR101018875B1 (ko) 하이브리드형 악취 제거장치를 이용한 포터블 음식물 처리장치와 그의 제어방법
KR20170083821A (ko) 제습 기능을 가지는 양변기
KR101596360B1 (ko) 스마트 환풍기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200251116Y1 (ko) 양변기의 악취배기장치
KR102200979B1 (ko) 이오나이저를 이용한 음식물 처리기
KR102335409B1 (ko) 급기장치의 제어방법
KR100316348B1 (ko) 의류건조기
JP2523158B2 (ja) 便所装置
JPH085238A (ja) 厨芥処理装置
KR0172914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탈취장치
KR20090024414A (ko)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
KR100622814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도어 개방 시 흡기밸브 제어방법 및 장치
JPH08290152A (ja) 廃棄物処理装置
JP2002349900A (ja) 収納部の排湿ユニット
KR200319695Y1 (ko) 송풍 기능을 갖는 소변기
KR200308537Y1 (ko) 음식물쓰레기처리기의 악취유출방지구조
KR20000015203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JP2001140320A (ja) トイレルーム内換気構造
WO2004063480A2 (en) Apparatus for exhausting bad smell from chamber
CN110792143A (zh) 便器除臭方法及坐便器
KR200202097Y1 (ko) 좌변기의 가스 제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