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52777A - 일방향 그래픽 물품 및 이의 제법 - Google Patents

일방향 그래픽 물품 및 이의 제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52777A
KR20010052777A KR1020007014079A KR20007014079A KR20010052777A KR 20010052777 A KR20010052777 A KR 20010052777A KR 1020007014079 A KR1020007014079 A KR 1020007014079A KR 20007014079 A KR20007014079 A KR 20007014079A KR 20010052777 A KR20010052777 A KR 200100527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pigment
imageable
image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14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82479B1 (ko
Inventor
불샐리제이
라인하트어니스트엠
윌슨케니스디
Original Assignee
스프레이그 로버트 월터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춰링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프레이그 로버트 월터,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춰링 캄파니 filed Critical 스프레이그 로버트 월터
Publication of KR200100527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27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24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24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FSPECIAL DESIGNS OR PICTURES
    • B44F1/00Designs or pictures characterised by special or unusual light effects
    • B44F1/08Designs or pictures characterised by special or unusual light effects characterised by colour effects
    • B44F1/10Changing, amusing, or secret pi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16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for applying transfer pictures or the like
    • B44C1/165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for applying transfer pictures or the like for decalcomanias; sheet material therefor
    • B44C1/17Dry transfer
    • B44C1/1712Decalcomanias applied under heat and pressure, e.g. provided with a heat activable adhesive
    • B44C1/1716Decalcomanias provided with a particular decorative layer, e.g. specially adapted to allow the formation of a metallic or dyestuff layer on a substrate unsuitable for direct deposi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0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 Y10T156/1052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with cutting, punching, tearing or severing
    • Y10T156/1056Perforating lamina

Abstract

본 발명은 기재를 통해 영상을 조망할 수 있도록 반투명 또는 실질적으로 투명한 기재의 표면에 부착시킬 수 있는 그래픽 또는 정보가 담긴 물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2 종의 부재를 포함하는 실내용 광고계 또는 키트에 관한 것이다. 제1의 부재는 이의 표면상에서 천공된 접착제층(14)을 갖는 실질적으로 투명한 천공 영상화 가능한 필름층(12)이다. 제2의 성분은 이의 표면상에 1 종 이상의 착색층(33,34,36)을 포함하는 제거 가능한 캐리어 필름(32)을 포함하는 미천공 착색제 전사 부재(30)이다. 본 발명은 또한 그래픽 물품의 제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영상층은 실질적으로 투명한 천공 영상화 가능한 층의 제1주요면상에 형성된다. 1 종 이상의 착색된 층은 영상층의 미천공 부위에 접착되도록 안료를 포함하는 1 종 이상의 착색층을 포함하는 착색제 전사 부재가 영상화 가능한 층에 적층된다. 착색제는 영상층의 미천공 랜드 부위에 접착되며, 이는 영상층의 개구를 통해서는 거의 가교를 형성하지 않는다.

Description

일방향 그래픽 물품 및 이의 제법{UNIDIRECTIONAL GRAPHIC ARTICLE AND METHOD FOR MAKING}
광고업자나 광고주는 각종 표면상에 그래픽 및/또는 정보가 담긴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역량을 갈망하고 있다. 최근 수년동안, 윈도우, 벽면 등과 같은 투명 표면이 광고 매체를 위한 기재로서 사람들의 많은 관심을 끌어내고 있다. 그래픽 영상을 투명 기재에 부착시킬 경우, 이를 윈도우의 한면으로부터 조망시에 눈에 보이는 영상이, 윈도우로부터 벗어나 윈도우의 대향면으로부터 조망시에는 실질적으로 투명하게 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그래서, 예를 들면, 버스나 택시와 같은 자동차 윈도우에 영상이 부착되는 경우, 보행자는 자동차의 외부에서 그래픽 영상을 보면서도, 또한 승객들도 윈도우를 통해 명확하게 볼 수 있을 것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효과를 달성하는 그래픽 물품은 통상적으로 한 표면에서 영상을 수용하도록 하는 불투명(밝게 착색됨, 통상적으로 백색) 필름을 갖는 다층 필름 구조물 및 대향면에 도포된 흡광(어두움, 통상적으로 흑색) 필름 또는 잉크를 포함하는 다층막 구조물이다. 감압 접착제 및 제거 가능한 백킹 또는 담체, 물질을 어두운 필름 또는 잉크에 도포하여 인쇄된 그래픽이 처리되고 윈도우에 부착되도록 한다.
막층을 통한 다수의 천공은 그래픽 물품을 통한 "투명"의 착시를 일으키게 된다. 천공은 영상화면으로부터 조망시에는 조망자가 영상에 촛점을 맞출 수 있도록 하는 크기 및 형상을 갖는다. 그러나, 비교적 어두운 면으로부터의 조망시에는 조망자가 그래픽 물품을 통해 보게 되는 경향이 있어서, 윈도우를 차폐시키지 못하게 된다. 또한, 윈도우는 비교적 밝은 주변 조도로부터 비교적 어두운 부위를 조망할 경우 어둡거나 또는 불투명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비교적 어두운 주변 조도를 갖는 부위로부터 비교적 밝은 부위로 조망시에는, 윈도우가 투명하게 나타난다. 그래픽 물품의 일방향 효과는 이러한 효과에 의해 증강되며, 이는 자동차 또는 빌딩 내부에서와 같이 비교적 어두운 부위에서 조망자가 일방향 그래픽 물품을 통해 보게 되며, 비교적 밝은 주변 조도에서의 조망자는 인쇄된 그래픽을 보게 된다.
필름 제조업자 이외의 관계자들은 통상적으로 전술한 바와 같은 유형의 일방향 그래픽 물품을 생각하고 있다. 필름은 접착제와 백킹 소재를 통해서는 영상을 형성할 수가 없기 때문에, 영상 및 백킹 소재는 필름의 밝은 면에 부착되어야만 했다. 그래픽 물품은 영상이 형성된 표면이 직접 조망될 수 있고, 어두운 면이 유리를 통과하여 조망될 수 있도록 윈도우 상에 장착된다(이를 "제1면" 부착으로 칭함). 그 결과, 윈도우가 실내와 실외 사이의 장벽이 되는 경우, 일방향 필름이 외부 환경에 노출되는 영상이 형성된 표면을 갖는 윈도우의 외부에 부착되어야만 한다. 불행하게도, 일부의 경우에는, 그래픽 물품의 영상이 형성된 표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이상적이지가 않을 때가 있는데, 이는 영상이 자외선 및 기타의 주변 조도에 대해 내성이 있어야 하며, 내구성 및 내후성을 구비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또한, 때 및 기타의 오염물들이 필름의 천공내에 끼일 수가 있으며, 이는 윈도우에 대해 감압 접착제에 접착되어 그래픽 물품의 유효 수명을 감소시키게 된다. 영상이 형성된 표면에 투명한 미천공 보호층을 부착하는 것이 특정의 조건하에서 유효 수명을 연장시킬 수는 있지만, 이러한 층은 고가의 것으로서, 추가의 처리 단계를 요하는데, 이는 최종 사용자가 실시하기에는 곤란할 수도 있다.
그래픽 물품이 외부에 노출됨으로써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영상이 투명 기재를 통해 조망가능하게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이를 "제2면" 부착으로 칭함). 예를 들면, 그래픽 물품은 영상이 건물의 외부에서 관찰자가 윈도우 유리를 통해 조망할 수 있도록 윈도우의 내부에 부착할 수 있다. 그러나, 건물의 거주자에게는 윈도우 유리를 통한 외부로의 조망이 비교적 차폐되지 않게 된다. 이러한 장착 절차로 인해서 윈도우 유리는 그 자체가 그래픽 물품의 영상이 형성된 표면에 대한 보호 차단물로서 작용하게 된다.
WO96/11798의 도 6C에는 일방향 조망이 가능한 영상을 갖는 실내 장착용 그래픽 물품의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물품에는 제1면 상에 부착된 착색 영상층(22)을 갖는 단일의 투명 패널(12)이 있다. 영상층(22)의 제2면에는 임의의 박리 라이너층(50)에 의해 보호될 수 있는 접착제층(48)이 있다. 흡광(흑색) 도료층(24)이 영상층(22)상에 부착되어 있다. 전체 구조물은 천공(42)으로 천공되어 있다. WO96/11798의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이너층(50)이 제거될 수 있으며, 천공된 구조물은 접착제층(48)을 사용하여 윈도우의 실내면에 부착될 수 있다.
상표명 Interior Mount Clear Focus Film으로 캐딜락 플라스틱 앤 케미칼 컴파니에서 시판하는 일방향 그래픽 물품은 한면상에 역상이 형성된 투명 천공 폴리(염화비닐)(PVC)을 포함한다. 영상의 대향면 상의 PVC 필름의 표면은 윈도우 내부면상의 그래픽 물품을 장착하는데 사용할 수도 있는 감압 접착제 층을 포함한다. 영상 형성후, PVC층의 영상 형성된 표면을 우선 불투명 백색 잉크층으로 인쇄하고(흐름 코팅), 그 다음 흑색 잉크층으로 스크린 인쇄(흐름 코팅)하였다. 흐름 코팅 단계 수행후, 그래픽 물품을 감압 접착제를 사용하여 윈도우의 내부면에 도포할 수 있다.
Andriash의 미국 특허 제5,769,436호의 도 2에는 재귀 반사 불투명 시이트(12)를 포함하는 일방향 실내 장착용 그래픽 물품(14)을 예시한다. 불투명 시이트(12)는 재1면 상에 영상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2면 상에 어두운 접착제층(15)을 포함한다. 양면 투명 전사 접착제(13)가 인쇄후, 시이트(12)의 영상면상에 배치한다. 그후, 복합재료 구조물을 레이저로 천공한다. 투명한 적층물(19)을 흑색의 접착제층(15)에 부착시켜 구조물을 밀봉시키고, 천공으로의 오염물의 유입을 방지한다. 그후, 그래픽 물품(14)을 전사 접착제(13)로 윈도우의 실내측 표면에 장착할 수 있다.
광고업자 및 광고주는 해당 지역 프린트 상점에서 제조할 수 있는 그래픽 물품을 선호하는 것으로 주지되어 있다. 이러한 물품은 적정한 가격에서 각종 맞춤용 영상으로 용이하게 업데이트가 가능하며, 인쇄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시판되고 있는 실내 장착용 일방향 그래픽 물품이 잘 기능하고는 있으나, 이러한 물품은 최종 사용자가 시판되는 인쇄 기기를 사용하여 제조하기에는 곤란하다. 어두운 도료층을 WO96/11798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영상에 도포하거나 또는 백색 및/또는 흑색층을 영상에 흐름 코팅시키는 것은 특수 제작된 인쇄 기기 및 잉크를 필요로 하는데, 이러한 것들은 입수가 불가능하거나 및/또는 다수의 최종 사용자에게는 비용적인 면에서 부담이 된다. 또한, 특수 제작된 잉크 및 스크린 인쇄 기기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대부분의 경우에는 이러한 코팅 단계가 영상층에 적절하게 도포되지 않게 되어 덜 만족스러운 영상을 생성하게 된다. 미국 특허 제5,769,436호에 기재된 바와 같은 구조물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였으나, 영상화 단계 수행후 레이저 천공 단계를 필요로 한다. 이는 통상의 최종 사용자가 실시하기에는 적절하지 않다.
본 발명은 영상이 기재를 통해 조망될 수 있도록 반투명 또는 실질적으로 투명한 기재의 표면에 도포할 수 있는 그래픽 또는 정보가 담긴 물품에 관한 것이다. 상세히 말하자면, 본 발명은 실내용 광고계 또는 키트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히 말하자면, 본 발명은 2 개의 부재를 포함하는 그래픽 물품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제1의 부재는 이의 표면상에 천공된 접착제층을 갖는 실질적으로 투명한 천공 영상화 가능한 필름층이다. 제2의 부재는 이의 표면상에 1 이상의 착색층을 포함하는 제거 가능한 캐리어 필름을 포함하는 미천공 착색제 전사 부재가다.
추가로, 본 발명은 그래픽 물품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영상층은 실질적으로 투명한 천공 영상화 가능한 필름층의 제1의 주요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1 이상의 착색층을 포함하는 착색제 전사 부재는 영상화 가능한 필름층에 적층되어 1 이상의 착색층이 영상층의 미천공 부위에 접착되도록 한다. 착색제는 영상층의 천공 부위를 가로지르는 상당한 가교를 형성하지 않고도 영상층의 미천공 부위에 접착된다.
본 발명의 그래픽 물품이 기재상에 장착될 때,기재의 한쪽 면상의 관찰자는 기재를 통해 영상 또는 메시지를 조망할 수 있게 된다. 기재의 대향면상의 관찰자는 영상 및 기재를 통과하여 실질적으로 차단되지 않은 조망을 즐기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사용하기 위한 영상화 가능한 부재의 영상 형성 이전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A는 본 발명에 사용하기 위한 착색제 전사 부재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B는 본 발명에 사용하기 위한 착색제 전사 부재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C는 본 발명에 사용하기 위한 착색제 전사 부재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공정의 적층 단계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공정에 있어서 착색제 전사 부재에 영상화 가능한 부재를 적층시킨 후, 캐리어 필름층을 제거하는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공정에 의해 생성되고, 윈도우에 부착된 그래픽 물품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발명의 구체예
본 발명의 공정은 2 종의 부재를 이용한다. 그중 하나는 영상화 가능한 천공 부재이고, 다른 하나는 착색제 전사 부재가다. 도 1은 영상 형성 이전에 영상화 가능한 부재(10)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영상화 가능한 부재(10)는 실질적으로 투명한 천공 영상화 가능한 필름층(12), 실질적으로 투명한 천공 접착제층(14) 및 임의의 박리 라이너(16)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바와 같은 용어 "실질적으로 투명하거나 또는 투명한"이라는 것은 영상화 가능한 필름층(12)의 표면상에 부착된 영상층은, 영상화 가능한 필름층(12) 및/또는 접착제층(14)을 통해 조망할 수 있어서 영상이 실질적으로 차폐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영상화 가능한 층에 대해 선택된 중합체 필름은 의도하는 용도에 따라 크게 달라지지만, 비닐 필름 및 폴리올레핀 필름이 바람직하다. 폴리(염화비닐)(PVC)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비닐 필름이 특히 바람직하다. 필름은 임의의 보호 종이 라이너(도 1에 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이의 노출면을 덮을 수도 있다. 영상화 가능한 필름층(12)에는 제1의 주요면(20) 및 제2의 주요면(22)이 제공된다. 영상화 가능한 필름층(12)의 제1의 주요면(20)은 2 종 이상의 색상, 바람직하게는 4 종 이상의 색상을 갖는 영상을 인쇄하고자 한다. 당업계에 주지되어 있는 바와 같이, 영상화 가능한 필름층(12)의 표면을 변형시킬 수도 있으며, 특수 잉크, 염료 또는 토너의 접착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추가의 층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접착제층(14)은 영상화 가능한 필름층(12)의 제2의 주요면(22)에 부착된다. 접착제층(14)을 사용하여 실질적으로 투명한 기재에 본 발명의 공정에 의해 생성된 그래픽 물품을 부착시킨다. 완성된 그래픽 물품이 기재에 부착되는 경우 영상화 가능한 필름층(12)상의 영상이 차폐되지 않도록 실질적으로 투명한한 임의의 공지의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접착제층(14)을 형성하는데 사용된 접착제는 소정의 기재로부터 제거될 수 있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제거 가능한"이라는 것은 접착제층(14)이 기재상에 실질적인 접착제 잔류물을 남기지 않고도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그래픽 물품이 용이하게 제거되도록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우레탄계 접착제 및 아크릴 감압 접착제는 접착제층(14)을 형성하도록 잘 기능하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아크릴 감압 접착제가 바람직하다. 임의의 박리 라이너(16)는 접착제층(14)을 보호할 수 있다. 라이너의 예로는 실리콘 코팅지, 중합체 필름 또는, 중합체 필름이 보강된 코팅지 등이 유용하다. 라이너는 천공되거나(도 1) 천공되지 않을(도 3)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그래픽 물품에 일방향 특성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영상화 가능한 필름층(12) 및 접착제층(14)이 다수의 천공 또는 개구(19)로 천공된다, 각 개구(19)의 직경은 목적하는 조망 거리에 맞도록 원하는 밀도에 따라 크게 변경될 수 있다. 개구(19)는 원형, 정사각형, 삼각형 또는 임의의 기타의 형태가 될 수 있으며, 규칙형 또는 불규칙 반복 패턴을 형성할 수도 있다. 개구(19)는 원형이며, 직경이 약 0.03∼약 0.25 인치(0.08∼0.64 ㎝)인 것이 바람직하고, 대부분의 제2의 표면 윈도우 용도로는 직경은 약 0.06 인치(0.15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러한 범위내에서, 영상화 가능한 필름층(12)의 표면적의 약 10∼70%는 개방 공간을 포함하며, 영상화 가능한 필름층(12)의 나머지 표면은 개구를 둘러싸는 해당 랜드 부위를 형성한다. 영상화 가능한 필름층(12)의 약 50%는 개방 공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천공은 다이 절단, 펀칭과 같은 임의의 통상의 기법으로 또는 레이저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영상화 가능한 부재의 예로는 미국 미네소타주 세인트 폴에 소재하는 3엠 컴파니에서 상표명 Scotchcal Marking Film으로 시판하는 천공 투명 비닐 필름이 유용하다. 특히 Scotchcal V6089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공정에 사용된 제2의 성분은 도 2A에 도시된 착색제 전사 부재(30)이다. 착색제 전사 부재(30)는 중합체 필름, 통상적으로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 이루어진 일시적 캐리어 필름층(32)을 포함한다. 캐리어 필름층(32)상에는 1 이상의 착색제층(33)이 코팅되어 있다. 착색제층(33)은 안료 입자 및 임의의 결합제(도 2A에 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하는 분말 안료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임의의 안료 또는 안료/결합제 조합물은, 안료 및/또는 결합제가 영상화 가능한 부재(10)의 제1의 주요면(20)상에서 인쇄될 영상층에 접착되는 한, 캐리어 필름층(32)상에 코팅된 안료층에 사용될 수 있다(도 1 참조).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는 바와 같이, 안료층을 형성하는 결합제 및 입자는 기계 가공되어 층에 임의의 소정의 외형 또는 마무리를 제공할 수 있다. 임의의 수의 안료층은 캐리어 필름층(32)에 도포될 수 있으며, 이러한 안료층은 착색, 배치 또는 적층되어 임의의 소정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B에 도시된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2 종의 안료층(34, 36)은 캐리어 필름층(32)에 부착된다. 캐리어(32)에 부착된 제1의 안료층(34)은 불투명한 흡광 안료이다. 통상적으로, 흡광 안료층(34)은 어둡게 착색되며, 바람직하게는 흑색이다. 안료층(34)은 가공되어 임의의 소정의 외형 또는 마무리를 제공할 수 있으며, 대부분의 제2의 윈도우 용도에는 매트(matte)한 마무리감이 요구된다. 안료층(34)의 용도는 특정의 용도에 필요한 만큼 불투명층의 마무리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통상적으로, 통상의 스크린 인쇄된 흑색 잉크층은 광택이 있는 마무리감만을 제공하며, 이러한 조절 방법은 통상의 공정으로는 얻을 수 없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공정에 의해 생성된 완성 그래픽 물품이 제2의 표면 윈도우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 조망자에게 흡광 안료층(34)이 노출되기 때문에 특히 중요하다.
흡광 안료층(34)상에 부착된 제2의 안료층은 반사 안료층(36)이다. 반사 안료층(36)은 약하게 착색된, 바람직하게는 백색인 것이 통상적이다. 안료층(36)은 기계 가공되어 임의의 소정의 외형 또는 마무리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요할 경우, 제2의 반사 안료층(38)은 캐리어 필름층(32)과 흡광 안료층(34)의 사이에서 캐리어 필름층(32)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안료 전사 부재(30)는 영상화 가능한 부재(10)상에 형성된 영상에 반투명 "홀로그래픽" 패턴을 전사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임의의 패턴 형성층(39)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홀로그래픽" 페턴은 장식적인 효과를 제공하거나 또는 제품의 식별 또는 안전상 이유로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공정에 사용하기 위한 안료 전사 부재로는 미국 뉴저지주 이스트 브룬스윅에 소재하는 트랜스퍼 프린트 포일즈, 인코포레이티드에서 상표명 FL 700 006 및 AG6298 897(백색), IPT 100 726FP 및 9E4C(흑색) 및 PR9 098 001 126 및 DHP 174 001 567(홀로그래픽)으로 시판되는 "전사 인쇄 호일" 등이 적절하다. 이러한 안료 전사 부재는 일반적으로 중합체 필름 캐리어, 통상적으로는 폴리에스테르 상에 분말 코팅된 건조 안료층으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의 방법을 사용하여 그래픽 물품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최종 사용자가 전술한 2 종의 주부재, 즉 영상화 가능한 부재 및 착색제 전사 부재를 포함하는 실내용 광고계를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그래픽 물품을 생성하기 위해, 최종 사용자는 우선 영상화 가능한 부재(12)에 영상을 형성하여야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상층(40)은 영상화 가능한 필름층(12)의 제1의 주요면(20)상에 형성된다. 영상화 가능한 필름층(12)은 다수의 개구(19)로 천공되며, 영상층(40)은 개구내에서는 형성되지 않으나, 개구 주위의 랜드 부위에서는 형성되는 불연속성을 띠게 된다. 본 발명의 공정에 의해 생성된 완성 그래픽 물품이 근접 조망될 경우, 개구(19)가 뚜렷해지며, 영상은 불연속적인 것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그래픽 물품으로부터 이격되어 법선 조망될 경우에는 육안으로 불연속 영상을 연속 영상으로 분해하도록 기능하여 개구(19)가 눈에 보이지 않게 된다.
영상층(40)은 1 종 이상의 착색층을 포함하며, 이들 중의 임의의 것은 연속적으로 또는 불연속적으로 부착될 수 있어서 정보가 담기거나 또는 장식적 디자인을 형성할 수 있다. 특정 용도에 사용되는 특정 수의 착색층은 그래픽 물품의 목적하는 시각 효과, 인쇄 비용 등에 의해 정해질 수 있다. 그러나, 영상층이 상당한 광고 효과를 제공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착색층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러한 다중 색상 영상층은 사진과 같은 현실감을 갖는 영상을 제공하기 위해 커다란 포맷 프린터를 통해 1 패스로 디지탈 방식으로 생성되어 부착된다.
영상층(40)을 형성하는 착색층은 예를 들면 스크린 인쇄, 전위기록(정전기식 및 전자사진식) 인쇄, 오프셋 인쇄, 열 잉크 제트 인쇄, 피에조 잉크 제트 인쇄, 또는 열 질량 전사 등을 비롯한, 중합체 필름상에 영상을 형성하기 위한 임의의 공지의 인쇄 또는 도색 기법에 의해 부착될 수 있다. 비닐 베이스층에 대한 인쇄 기법은 미국 미네소타주 세인트 폴에 소재하는 3엠에서 상표명 "Scotchprint" 및 "Scotchprint 2000"로 시판하는 정전기식 인쇄 기법이 바람직하다.
주지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유용한 착색층은 결합제, 착색제 및 각종의 임의의 성분을 포함하는 수용액, 에멀젼 또는 분산액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Ho et al.의 미국 특허 제5,468,532호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착색층 조성물은 영상층을 제공하는 특수한 잇점을 제공하기 위해 이를 가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착색층에 사용하기 위해 선택한 결합제(들)는 핫 멜트 접착제 특성을 나타낼 수 있으며, 이는 베이스층 또는 영상 보호 표면층에 대한 접착력 뿐 아니라, 착색층의 인장 강도, 내열성 및 환경 저항을 개선하기 위해 혼합할 수도 있다. 착색층에 사용되는 결합제는 가교되어 영상층의 탄성율, 온도와 습도에 대한 치수 안정성, 융점, 인장 강도, 접착력 또는 내열성을 변형시킬 수도 있다. 착색층에 혼입될 수 있는 기타의 임의의 첨가제의 예로는 공용매, 소포제, 계면활성제, 산화방지제, 광안정화제, 자외선 흡광제, 살생제 등이 있다.
구매자는 통상적으로 영상화 가능한 부재(10)에 디지탈 방식으로 영상을 형성하며, 임의의 맞춤형 광고 메시지는 입수가능한 인쇄 기기를 사용하여 임의의 통상의 인쇄 기법에 의해 인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다지탈 영상화를 위한 정전 전사는 컴퓨터를 사용하여 전자 디지탈 영상을 생성하고, 정전기식 프린터는 전자 디지탈 영상을 다중 색상의 색조를 띠는 영상으로 전사 매체상에서 변환시키고, 적층기는 색조를 띠는 영상을 내구성 기재에 전사시킨다. 정전기식 인쇄 시스템은 미국 미네소타주 세인트 폴에 소재하는 3엠에서 상표명 "Scotchprint Electronic Graphic Systems"로 시판하는 것 등이 있다. 이러한 시스템에서, 퍼스널 컴퓨터를 사용하여 영상을 전자 방식으로 저장하고 조작할 수 있다. 정전기식 프린터의 예로는 단일 패스 프린터 그리고 다중 패스 프린터가 적절하다. 단일 패스 프린터는 일본 도쿄도에 소재하는 닛폰 스틸 코포레이션에서 상표명 "9510" 및 "9512"로 시판하는 기기 및 미국 미네소타주 세인트 폴에 소재하는 3엠에서 상표명 "Scotchprint 2000 Electrostatic Printer"로 시판하는 것 등이 있다. 다중 패스 프린터의 예로는 미국 뉴욕주 로체스터에 소재하는 제록스 코포레이션에서 상표명 "Model 8900 Series"로 시판되는 것 및 미국 캘리포니아주 새너제이에 소재하는 래스터 그래픽스에서 상표명 "Model 5400 Series"로 시판되는 것 등이 적절하다. 피에조 잉크 제트 프린터의 예로는 미국 매사츄세츠주 벌링턴에 소재하는 거버, 인코포레이티드에서 시판하는 프린터 및 미국 코네티컷 주 스탬포드에 소재하는 제록스 코포레이션에서 시판하는 것 뿐 아니라, 미국 캘리포니아주 새너제이에 소재하는 래스터 그래픽스에서 시판하는 5000 시리즈 등이 적절하다.
정전기식 토너의 예로는 미국 미네소타주 세인트 폴에 소재하는 3엠 컴파니에서 상표명 "Model 8700 Series" 등이 적절하며, 전사 매체의 예로는 3엠에서 상표명 "Model 8600" 매체(예, 8601) 등이 적절하다.
영상층(40)을 형성하기 위한 영상화 단계를 수행한 후, 영상화 가능한 부재(10) 및 착색제 전사 부재(30)를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함께 적층시킨다. 적층 공정에서, 착색제 전사 부재상의 착색층[예를 들면 도 2A에 도시되어 있는 착색층(33)]을 영상화 가능한 부재상의 영상층(40)에 부착시킨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반사 안료층(36)(도 2B 참조)을 영상층(40)에 부착시킨다. 적층 단계는 최종 사용자가 시판되는 적층 기기를 사용하여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적층 단계에 필요한 온도 및 압력은 전사시키고자 하는 착색층의 수 뿐 아니라, 착색 성분상의 착색층의 조성에 따라 크게 달라질 수 있다. 적층 압력 및 온도는 착색층을 전사시키고, 이를 영상화 가능한 부재(10)상의 영상층에 접착시키기에 충분하여야 한다. 통상의 적층 온도는 약 250℉∼290℉(120℃∼145℃)이고, 통상의 적층 압력은 약 30∼100 psi(2×105∼7×105N/㎡)이다. 안료 전사 부재(30)를 영상화 가능한 부재(10)에 부착시키기 위한 적층기는 미국 위스컨신주 디포레스트에 소재하는 GBC 프로텍에서 상표명 "Orca III", "Orca IV" 또는 9542로 시판되는 것 등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안료 전사 부재의 예로는 의도하는 용도 및 목적하는 효과에 따라서 안료 단일층 또는 안료 다중층을 포함할 수도 있다. 안료 다중층은 단일의 적층 단계로 부착될 수 있거나 또는 안료층이 연속적인 적층 단계에서 일시에 부착될 수도 있다.
적층 단계를 수행한 후,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캐리어층(32)을 박리 제거하여 안료층(34 및 36)을 노출시킨다. 안료층(34 및 36)에서의 안료는 영상층(40)에 부착되고, 그리고 영상화 가능한 필름층(12)의 노출된 랜드 부위에 부착되지만, 안료층(36) 중의 안료는 영상화 가능한 부재(10) 중의 천공(19)에 부착되지 않으며, 착색층의 가교는 천공 상에서는 실질적으로 발생하지 않는다.
임의의 제2의 반사 안료층(38)(도 4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도 2를 참조함)을 사용할 경우, 이후의 캐리어층(32)을 제거한 후, 층(38)에 영상을 형성하여 제2의 영상층을 형성한다(도 4에는 도시하지 않음). 제2의 표면 부착에 있어서, 이와 같은 제2의 영상층은 통상적으로 건물 또는 룸 내부의 관찰자에게 보이게 된다.
임의의 "홀로그래픽"층을 사용할 경우(도 4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도2를 참조함), 약한 반투명 패턴이 영상층(40)에 부착되어 영상층(40)을 조망하는 관찰자에게 "홀로그래픽" 광학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반투명 패턴을 선택하여 임의의 소정의 효과를 제공하며, 이의 예로는 꽃 패턴, 동심축 고리 또는 원형 "회절" 패턴 둥이 있다. 영상층(40)을 형성하는 영상화 단계 이후, 광학적 투명 보호층(도 4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음)은 노출된 안료에 적층되며, 흡광 안료층(34)의 경우에는, 완성된 그래픽 물품의 천공내에 오염물과 세정 용매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일단, 영상화 가능한 부재(10)가 안료 전사 부재(30)에 적층되고, 캐리어층(32)이 박리되어 흡광 안료층(34)이 노출될 경우, 완성된 그래픽 물품은 윈도우와 같은 실질적으로 투명한 기재에 언제든지 부착할 수 있게 된다. 완성된 그래픽 물품을 윈도에 부착시키기 위해서는, 감압 접착제층(14)의 위에 있는 박리 라이너(16)를 제거한다. 그리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래픽 물품(50)은 감압 접착제층(14)을 사용하여 윈도우(60)의 내부면(62)에 직접 부착된다. 윈도우 표면에 잘 부착시키기 위해서는, 표면상의 오염, 화학물질 잔류물 및 액체를 표면으로부터 제거한 후, 표면에 그래픽 물품을 부착시켜야만 한다. 통상적으로 박리 라이터를 제거한 후, 그래픽 물품은 하나의 연속 동작으로 유연하게 그리고 찰딱 부착된다. 그래픽 물질은 롤러를 사용하여 평편하게 눌러주어 포집된 기포를 제거하며, 그 아래의 유리 표면과 접착제가 잘 잡착되도록 한다.
완성된 그래픽 물품을 윈도우 기재(60)의 내부면(62)에 부착시킨 후, 제1의 관찰자(70)는 윈도우(60)의 외부면(64)에서 직접 보게 되어 윈도우(60)을 통해 보게 되어 영상층(40)을 관찰하게 된다. 제2의 관찰자(72)는 불투명 흡광 안료층(34)을 보며, 영상층(40)내의 개구를 통해 보게 되고, 윈도우를 통해 광을 보게 된다. 제2의 관찰자(72)는 법선광 조건하에서는 영상층(40)을 볼 수가 없다.
본 발명은 하기의 비제한적인 실시예를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맞춤형 영상을 형성하기 위해 최종 사용자가 용이하게 영상을 형성할 수 있는 일방향 그래픽 물품이 요구되고 있다. 그래픽 물품은 시판되는 인쇄 및 적층 기기를 사용하여 생성하기에 단순하여야만 하며, 최종 사용자가 복합 인쇄 단계, 흐름 코팅 단계 또는 레이저 천공 단계를 수행할 필요가 없어야만 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수요를 체감하여 영상이 기재를 통해 조망될 수 있도록 반투명 또는 실질적으로 투명한 기재면에 도포할 수 있는 일방향 그래픽 또는 정보가 담긴 물품을 제공하고자 한다. 기재가 윈도우일 경우, 물품상에 형성된 영상은 물품이 장착되어 있는 윈도우로부터의 대향면으로부터 조망될 수 있으며, 필름이 장착된 면을 통해서 조망시에는 실질적으로 차폐되지 않는 조망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산업 분야에서, 윈도우의 대향면으로부터 조망시키고자 하는 영상을 포함하는 윈도우의 한면에 부착된 그래픽 물품을 "제2면" 부착으로 칭한다.
본 발명은 다중 성분 그래픽 물품을 포함하는 실내용 광고계 또는 키트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계내에서의 그래픽 물품은 2 가지의 부재를 포함하는데, 그중 하나는 영상화 가능한 부재이고, 다른 하나는 착색제 전사 부재이다. 영상화 가능한 부재는 이의 표면상에 실질적으로 투명한 천공 접착제층을 포함하는 실질적으로 투명한 천공 영상화 가능한 필름층이다. 착색제 전사 부재는 이의 표면상에 1 이상의 착색층을 포함하는 제거 가능한 캐리어 필름층을 포함한다. 착색층은 통상적으로 안료를 포함하며, 이는 흡광, 반사성을 띨 수 있거나 또는 그래픽 물품 상에서 임의의 소정의 외관을 제공하도록 생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그래픽 물품의 제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 실질적으로 투명한 천공 영상 형성된 중합체 필름층을 포함하는 영상화 가능한 부재는 임의의 통상의 인쇄 기법에 의해 제1의 주요면에 영상을 형성하여 영상층을 형성하게 된다. 영상층은 2종 이상의 색상, 바람직하게는 4 종 이상의 색상을 포함하며, 영상화 가능한 필름층의 표면에서 천공을 둘러싼 랜드(land) 부위에서 형성된다. 영상화 단계 이후, 안료를 포함하는 1 종 이상의 착색층을 갖는 일시적 제거 가능한 캐리어 필름을 포함하는 착색제 전사 부재는 영상화 가능한 부재에 적층된다. 일시적인 캐리어 필름을 제거하고, 착색된 층(들)은 영상층의 미천공 랜드 부분에 접착된다. 영상화 가능한 층 내의 개방 천공에 착색제가 거의 부착되지 않는다.
착색제 전사 부재는 캐리어 필름상의 단일의 착색층을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그래픽 물품에 각종의 색상 및 효과를 제공하기 위해 다수의 착색층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수의 착색층은 단일 적층 단계 동안 영상층에 부착될 수 있거나 또는, 착색층은 연속하는 적층 단계에서 일시에 부착될 수도 있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반사성 안료를 포함하는 제1의 불투명 착색층은 영상화 가능한 필름층의 제1의 주요면상에서 완전 영상층의 상부에 고온 적층에 의해 전사된다. 캐리어 필름이 제거될 경우, 반사 착색층은 영상층의 미천공된 랜드 부위에 접착된다. 영상화 가능한 층에는 개방 천공에 착색제가 거의 접착되지 않는다.
그 다음, 흡광 안료를 포함하는 불투명 착색층을 반사층의 상부에서 고온 적층에 의해 전사한다. 캐리어 필름을 제거할 경우, 흡광 착색층은 반사 착색층의 미천공 랜드 부위에 부착된다. 반사 착색층에는 개방 천공에 착색제가 거의 접착되지 않는다.
영상화 가능한 층의 제2의 주요면상의 거의 투명한 접착제의 천공층을 사용하여 그래픽 물품을 투명 기재에 그래픽 물품을 부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장착될 경우, 기재의 한면 상에서의 관찰자는 기재를 통해 영상 또는 메시지를 조망할 수 있으며, 기재의 대향면에서의 관찰자는 영상 및 기재를 통하여 실질적으로 차폐되지 않은 조망을 즐기게 된다.
실시예 1
미국 미네소타주 세인트 폴에 소재하는 3엠 컴파니에서 상표명 Scotchcal V6089로 시판하는 필름을 본 실시예에서의 영상화 가능한 천공 필름으로서 사용하였다. Scotchcal V6089는 라이너의 이면에 부착된 미천공된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EVA) 코팅된 폴리에스테르(PET) 필름을 포함하는 천공된 종이 박리 라이너 및 두께가 50 ㎛인 천공된 투명 아크릴 접착제를 포함하는 두께가 125 ㎛인 천공 투명 비닐-아크릴 필름이다.
Scotchprint Printer 2000 및 3엠 8700 시리즈 토너 프리믹스 및 8800 시리즈 토너 농축물을 사용하여 3M 8601 Image Transfer Media상에 4 색 컬러 영상을 인쇄하였다. 참고 문헌[3M Instruction Bulletin 4.7 "Transfer of 3M Scotchprint Images"]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GBC Protech Orca 3 적층기를 사용한 열 전사에 의해 영상을 8601 종이로부터 V6089 필름의 비닐-아크릴 표면으로 전사시켰다.
미국 뉴저지주 이스트 브룬스윅에 소재하는 트랜스퍼 프린트 포일즈, 인코포레이티드에서 시판하는 백색 안료 호일 FL 700 006을 V6089의 영상 형성된 표면에 270℉(132℃) 및 3.5×105N/㎡의 압력에서 Orca 3 적층기를 사용하여 전사 적층시켰다. 폴리에스테르 필름 백킹을 스트리핑 제거하여 영상이 형성된 V6089 필름에 백색 호일만을 잔류시켰다. 오일은 영상 형성된 Scotchcal V6089 필름내의 천공에 가교를 형성하지 않았다. 호일 전사법을 반복하였으며, 트랜스퍼 프린트 포일즈, 인코포레이티드에서 시판하는 백색 호일, AG6 298 897의 제2층을 도포한 후, 마찬가지로 트랜스퍼 프린트 포일즈, 인코포레이티드에서 시판하는 흑색 호일 IPT 100 726의 층을 부착시켰다. 각각의 단계에서, 호일은 호일이 이전에 부착된 층에만 부착되었으며, 천공상에는 가교 결합이 생성되지 않았다.
박리 라이너를 제거하고, 상기에서 생성된 접착제 코팅된 그래픽 물품을 윈도우의 실내측 표면에 장착시켰다. 영상은 윈도우의 외부로부터 조망이 용이하였다. 부착된 마킹의 흑색 실내측 표면은 윈도우를 통해 외부에서 비교적 차폐되지 않은 조망이 가능하였으며, 실내로부터는 뚜렷한 영상이 관찰되지 않았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한 윈도우 그래픽을 보호 필름을 갖는 호일측에 적층시켰다. 3엠에서 상표명 8914 Scotchcal Electrostatic Protective Clear for Perforated Window Film으로 시판하는 보호용 필름을 사용하여 제1의 시료를 준비하였다. 3엠에서 상표명 8925 Scotchcal Electrostatic Hot Transfer Protective Clear로 시판하는 보호용 필름을 사용하여 제2의 시료를 준비하였다. 3엠에서 상표명 8920 Scotchcal Electrostatic Over Print Liquid Protective Clear로 시판하는 보호용 필름을 사용하여 제3의 시료를 준비하였다.
각각의 3 종의 시료에서, 박리 라이너를 제거하고, 접착제가 코팅된 그래픽을 윈도우의 실내측에 장착하였다. 보호용 클리어는 윈도우로의 장착 및 세정 동안 호일 및 영상의 추가의 스크래칭 내성을 제공하였다. 영상은 윈도우의 외부로부터 쉽게 조망된다. 부착된 마킹을 갖는 흑색의 실내측 표면은 윈도우를 통해 외부에서 비교적 차폐되지 않은 조망이 가능케 되며, 실내에서는 뚜렷한 영상이 관찰되지 않았다.
실시예 3
영상이 형성된 V6089 필름은 실시예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준비하였다. 트랜스퍼 프린트 포일즈, 인코포레이티드에서 상표명 RP9 098 001 126으로 시판하며, "홀로그래픽" 꽃 무늬 영상을 갖는 안료, 백색 호일 AG6 298 897 및 흑색 호일 IPT 100 726을 실시예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V6089 필름의 영상이 형성된 표면에 순차적으로 전사시켰다.
박리 라이너를 제거하고, 상기에서 생성된 접착제가 코팅된 그래픽을 윈도우의 실내측 표면에 장착하였다. "홀로그래픽" 영상은 윈도우의 외부에서는 쉽게 조망되었다. 부착된 마킹의 흑색 실내측 표면은 윈도우를 통해 외부에서 비교적 차폐되지 않은 조망이 가능하였으며, 실내측에서는 뚜렷한 영상이 관찰되지 않았다.
실시예 4
3엠에서 상표명 9700 Series Screen Printing Inks로 시판되는 UV 스크린 인쇄 잉크를 사용하여 천공된 V6089 필름상에 다색 영상을 스크린 인쇄하였다. 트랜스퍼 프린트 호일즈, 인코포레이티드에서 시판하는 백색 안료 호일 FL 700 006, AG6 298 897 및 흑색 안료 호일 IPT 100 726을 실시예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V6089의 영상 형성된 표면에 순차적으로 전시시켰다.
박리 라이너를 제거하고, 상기에서 생성한 접착제가 코팅된 그래픽을 윈도우의 실내측 표면에 장착하였다. 영상은 윈도우의 외부에서 쉽게 조망되었다. 부착된 마킹의 흑색 실내측 표면은 윈도우를 통해 외부에서 비교적 차폐되지 않은 조망이 가능하였으며, 실내측에서는 뚜렷한 영상이 관찰되지 않았다.
실시예 5
휴렛 팩커드 HP 2000 프린터 및 HP 염료계 잉크를 사용하여 3엠에서 상표명 8501CP Clear Imaging Media로 시판되는 매체의 잉크 수용면상에 4색 영상을 인쇄하였다. 3엠에서 상표명 8560 Clear Application Adhesive로 시판하는 접착제를 영상이 형성된 8501 CP 매체의 이면에 적층시키고, 이의 정면에는 잉크 제트 잉크 수용면을 갖는 두께가 100 ㎛인 투명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 적층시켰다. 필름, 접착제 및 라이너를 종이 천공기를 사용하여 천공시켰다. 천공된 박리 라이너를 접착제로부터 제거하고, 3엠에서 상표명 3657-10 Scotchcal Opaque Imaging Media로 시판하는 매체의 시료로부터 떼어낸 미천공 박리 라이너로 대체하였다.
트랜스퍼 프린트 호일즈, 인코포레이티드에서 시판하는 백색 안료 호일 FL 700 006, AG6 298 897 및 흑색 안료 호일 IPT 100 726을 실시예 1과 같이 영상 형성된 표면에 순차적으로 전사시켰다.
박리 라이너를 제거하고, 상기에서 생성한 접착제가 코팅된 그래픽을 윈도우의 실내측 표면에 장착하였다. 영상은 윈도우의 외부에서 쉽게 조망되었다. 부착된 마킹의 흑색 실내측 표면은 윈도우를 통해 외부에서 비교적 차폐되지 않은 조망이 가능하였으며, 실내측에서는 뚜렷한 영상이 관찰되지 않았다.
본 발명의 다양한 변형예 및 수정예는 본 발명의 영역 및 정신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한,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본 발명은 명세서에 시재된 예시적인 구체예 및 실시예에 의해 부당하게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이러한 실시예 및 구체예는 단지 예시를 위해 제시할 뿐이며, 본 발명의 영역은 이하와 같은 청구의 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만 한다.

Claims (7)

  1. 제1의 주요면 및 제2의 주요면이 구비된 실질적으로 투명한 천공 영상화 가능한 필름 부재를 제공하는 단계,
    영상화 가능한 부재의 제1의 주요면의 적어도 일부에 영상층을 형성하는 단계,
    이의 표면에 1 이상의 착색층을 코팅한 캐리어 필름을 포함하는 착색제 전사 부재를 제공하는 단계,
    1 종 이상의 착색층이 영상화 가능한 부재상의 영상층에 접착되도록 착색제 전사 부재에 영상화 가능한 부재를 적층시키는 단계,
    캐리어 필름을 안료 전사 부재로부터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그래픽 물품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영상화 가능한 부재는 이의 제2의 주요면상에 실질적으로 투명한 접착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영상화 가능한 부재는 비닐 필름인 것인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캐리어층상의 착색층은 반사 안료 및 흡광 안료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흡광 안료는 매트(matte)한 피니쉬감을 갖는 흑색 안료인 것인 방법.
  6. 표면상에 실질적으로 투명한 천공 감압 접착제층을 포함하는 실질적으로 투명한 천공 영상화 가능한 비닐 필름 부재, 1 이상의 착색층상에 반사 안료를 포함하는 제1의 착색제 전사 부재 및, 흡광 안료를 포함하는 1 종 이상의 착색층을 갖는 제2의 착색제 전사 부재를 포함하는 그래픽 물품을 제조하기 위한 키트.
  7. 감압 접착제층의 대향 영상화 가능한 필름 부재 표면의 적어도 일부상에 영상층을 형성하는 단계,
    반사 안료를 포함하는 착색층이 영상화 가능한 부재상의 영상층에 접착되도록 제1의 안료 전사 부재에 영상화 가능한 부재를 적층시키는 단계,
    캐리어 필름을 제1의 안료 전사 부재로부터 제거하는 단계,
    흡광 안료를 포함하는 착색층이 영상화 가능한 부재상의 반사 안료층에 접착되도록 제2의 안료 전사 부재에 영상화 가능한 부재를 적층시키는 단계,
    제2의 안료 전사 부재로부터 캐리어 필름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면상에 실질적으로 투명한 천공 감압 접착제층을 포함하는 실질적으로 투명한 천공 영상화 가능한 비닐 필름 부재, 반사 안료를 포함하는 1 종 이상의 착색층을 갖는 제1의 안료 전사 부재 및 흡광 안료를 포함하는 1 종 이상의 착색층을 갖는 제2의 안료 전사 부재를 포함하는 그래픽 물품 키트를 사용하는 방법.
KR1020007014079A 1998-06-15 1999-01-08 일방향 그래픽 물품 및 이의 제법 KR1005824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094,895 US6254711B1 (en) 1998-06-15 1998-06-15 Method for making unidirectional graphic article
US09/094,895 1998-06-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2777A true KR20010052777A (ko) 2001-06-25
KR100582479B1 KR100582479B1 (ko) 2006-05-23

Family

ID=22247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14079A KR100582479B1 (ko) 1998-06-15 1999-01-08 일방향 그래픽 물품 및 이의 제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254711B1 (ko)
EP (1) EP1093418B1 (ko)
JP (1) JP4091258B2 (ko)
KR (1) KR100582479B1 (ko)
CN (1) CN1134351C (ko)
AU (1) AU747805B2 (ko)
BR (1) BR9911253A (ko)
DE (1) DE69908364T2 (ko)
WO (1) WO199906570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7047481A1 (en) * 1996-06-14 1997-12-18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Display unit and methods of displaying an image
JP3628209B2 (ja) * 1999-05-11 2005-03-09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圧力測定方法および圧力測定フィルム
DE10101935C1 (de) * 2001-01-17 2002-11-07 Testo Gmbh & Co Kg Mehrschichtiges Druckmaterial und Verwendung
FI111922B (fi) * 2002-05-31 2003-10-15 Perlos Oyj Menetelmä kolmiulotteisten pintojen kuviointiin
EP1540678A2 (en) * 2002-08-30 2005-06-1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thod of making writable erasable articles and articles therefrom
US6805048B2 (en) 2002-08-30 2004-10-1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thod of marking a substrate using an electret stencil
US20040043221A1 (en) * 2002-08-30 2004-03-0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thod of adhering a film and articles therefrom
US20040040652A1 (en) * 2002-08-30 2004-03-0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thods for electrostatically adhering an article to a substrate
US20040202820A1 (en) * 2002-08-30 2004-10-1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erforated electret article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20050003154A1 (en) * 2002-12-13 2005-01-06 White Gary L. Laminated building panels having preselected colors
DE602004000341T2 (de) * 2003-04-04 2006-09-28 Fiechter, Andre Plakat sowie Materialien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US20040238096A1 (en) * 2003-05-30 2004-12-02 Michael Cooper Method of painting a fluorescent window advertisement
US7384669B2 (en) * 2003-11-26 2008-06-10 Cadlink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for printing unidirectional and see-through graphics
US7198372B2 (en) * 2003-12-31 2007-04-0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Dual display
JP5213204B2 (ja) * 2004-03-08 2013-06-19 リンテック株式会社 粘着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060046159A1 (en) * 2004-09-02 2006-03-02 Emslander Jeffrey O Methods of manufacturing substrates with multiple images
US7416776B2 (en) 2004-09-02 2008-08-2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ubstrates with multiple images
US7404997B2 (en) * 2004-09-02 2008-07-2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ubstrates with multiple images
US7446940B2 (en) * 2004-09-02 2008-11-0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ubstrates with multiple images and methods of use
US8114502B2 (en) 2004-09-02 2012-02-1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ubstrates with multiple images
US7131227B1 (en) * 2005-04-19 2006-11-07 Jeffrey Dome Advertising medium for helmet or hat
US20060232057A1 (en) * 2005-04-19 2006-10-19 Jeffrey Dome Advertising medium
US7299574B2 (en) * 2005-04-19 2007-11-27 Jeffrey Dome Advertising medium for helmet or hat
US7594976B2 (en) 2005-05-13 2009-09-2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thods of manufacturing substrates
WO2007009102A2 (en) * 2005-07-14 2007-01-18 Privace, L.L.C. Apparatuses and methods for protecting confidential information
WO2008078825A1 (ja) 2006-12-25 2008-07-03 Sanryu Co., Ltd. インクジェット印刷用ワンウェイビジョンフィルム及び印刷フィルム並びにそれらの作製方法
EP2048001A1 (de) 2007-10-11 2009-04-15 DeMaxZ AG Aufbringung eines Dekors auf einen Gegenstand mit einer Klebefolie, auf welche zuvor das Dekor im Release-Verfahren aufgebracht ist
US20090169795A1 (en) * 2007-12-26 2009-07-02 Andre Fiechter Poster as well as methods and materials for its manufacture
BR112014000367A2 (pt) * 2011-07-08 2017-07-11 Contra Vision Ltd material perfurado aberto e método de formação de imagem para formar um painel de controle de visão
AU2013264926A1 (en) * 2012-05-25 2014-12-04 Contra Vision Ltd. Perforated adhesive assembly with removable non-perforated bonding layer
US20160001522A1 (en) * 2013-03-12 2016-01-0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olymeric multilayer films and methods to make the same
EP3079867B1 (en) 2013-12-12 2018-05-3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thod of making polymeric multilayer films
US10120202B2 (en) * 2014-07-23 2018-11-06 Quantum Innovations, Inc. Patterned articles and methods for coating substrates with a patterned layer
WO2016118885A1 (en) * 2015-01-23 2016-07-28 Sistine Solar, Inc. Graphic layers and related methods for incorporation of graphic layers into solar modules
US20220056704A1 (en) * 2020-08-24 2022-02-24 Wellmade Floor Covering International, Inc. Adhesive Floor/Wallboard and Method of Using Same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91140A (en) 1970-03-09 1972-09-12 Spencer Ferguson Silver Acrylate copolymer microspheres
US4358488A (en) 1981-01-09 1982-11-09 Larry Eugene Reeves Simulated vehicle louvre applique
US4421816A (en) 1981-11-18 1983-12-20 Advanced Graphic Technology Dry transfer decal and method of manufacture
EP0170472B1 (en) 1984-07-28 1989-12-06 Contra Vision Limited Panel
US5582434A (en) 1986-12-15 1996-12-10 Flexcon Company, Inc. Tamper-resistant labeling
US4952783A (en) 1989-03-20 1990-08-28 W. H. Brady Co. Light transmitting flexible film electrical heater panels
GB9004825D0 (en) 1990-03-03 1990-04-25 Akers Raymond Clear vinyl for printing,with perforations
US5468532A (en) 1992-12-10 1995-11-21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Multilayer graphic article with color layer
US5609938A (en) 1993-06-23 1997-03-11 Creative Minds Foundation, Inc. Image display apparatus with holes for opposite side viewing
US5773110A (en) 1994-02-28 1998-06-30 Creative Minds Foundation Window painting apparatus and method
FR2718217B1 (fr) 1994-03-31 1996-05-31 Androll Sarl Socle mobile de parasol, à roues escamotables et non visibles.
US5550346A (en) 1994-06-21 1996-08-27 Andriash; Myke D. Laser sheet perforator
US5679435A (en) 1994-06-21 1997-10-21 Andriash; Michael D. Vision control panels with perforations and method of making
US5525177A (en) 1994-09-01 1996-06-11 Clear Focus Imaging, Inc. Image transfer method for one way vision display panel
NL1002379C2 (nl) 1996-02-19 1997-08-20 Sallmetall Bv Bedrukbare folie.
WO1997043128A1 (en) 1996-05-16 1997-11-20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Protective clear layer for imag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908364D1 (de) 2003-07-03
EP1093418A1 (en) 2001-04-25
DE69908364T2 (de) 2004-04-08
JP2002518217A (ja) 2002-06-25
BR9911253A (pt) 2001-03-13
US6254711B1 (en) 2001-07-03
CN1305416A (zh) 2001-07-25
AU2217799A (en) 2000-01-05
KR100582479B1 (ko) 2006-05-23
WO1999065708A1 (en) 1999-12-23
CN1134351C (zh) 2004-01-14
AU747805B2 (en) 2002-05-23
JP4091258B2 (ja) 2008-05-28
EP1093418B1 (en) 2003-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2479B1 (ko) 일방향 그래픽 물품 및 이의 제법
AU750889B2 (en) Multi-component unidirectional graphic article
US6258429B1 (en) One-way see-thru panel and method of making same
EP1547055B1 (en) Color changing tape, label, card and game intermediates
US20050123707A1 (en) Method for printing unidirectional and see-through graphics
AU752743B2 (en) Luminescent perforated one way vision film
US7018501B1 (en) One-way see-thru panel and method of making same
WO2002076764A2 (en) Sheet for forming graphics and graphics-displaying sheet
JP2002543462A (ja) グラフィック画像を保持した物品
JPH0948172A (ja) インクジェット被記録媒体および被記録物、並びにインクジェット被記録媒体の製造方法
JP2001219495A (ja) 記録用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7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