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52353A - 지연된 패킷 소거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지연된 패킷 소거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52353A
KR20010052353A KR1020007012780A KR20007012780A KR20010052353A KR 20010052353 A KR20010052353 A KR 20010052353A KR 1020007012780 A KR1020007012780 A KR 1020007012780A KR 20007012780 A KR20007012780 A KR 20007012780A KR 20010052353 A KR20010052353 A KR 200100523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et
delayed
decoder state
decoding
ini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127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76909B1 (ko
Inventor
에쿠덴에릭
스벤슨토마스
순드크비스트짐
Original Assignee
에를링 블로메, 타게 뢰브그렌
텔레폰아크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를링 블로메, 타게 뢰브그렌, 텔레폰아크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 filed Critical 에를링 블로메, 타게 뢰브그렌
Publication of KR200100523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23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69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69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45Arrangements at the receiver end
    • H04L1/0047Decoding adapted to other signal detection op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4Hybrid switching systems
    • H04L12/6418Hybrid transpo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8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 H04L43/0852De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50Tes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4Hybrid switching systems
    • H04L12/6418Hybrid transport
    • H04L2012/6481Speech, voice

Abstract

디코더는 두 디코더 섹션을 사용함으로써 패킷 네트워크에서 지연된 패킷 소거를 개선한다. 제 1의 디코더 섹션(30)은 자신의 디코딩을 소거 단계 동안 에러있는 필터 상태 및 음성 파라미터의 세트에 근거하는 반면, 제 2의 디코더 섹션은 자신의 디코딩을 저장되어(36) 갱신된 필터 상태 및 동일한 음성 파라미터에 근거한다. 그 후에, 두 디코더 섹션의 출력은 결합되어(34) 최종 음성 신호를 형성한다. 이 디코딩 전략은 지연된 패킷으로부터 지연되지 않은 패킷으로의 완만한 변화를 갖는 음성 신호를 발생시키고 가장 최근의 패킷으로부터 음성 발생을 위한 정보를 사용한다.

Description

지연된 패킷 소거 방법 및 장치 {DELAYED PACKET CONCEALMENT MOTHOD AND APPARATUS}
디지털로 압축된 음성 신호는 종종 수신측의 디코더에서 음성 프레임을 재구성하기 위해 음성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패킷으로 전송된다. 그러한 패킷 네트워크의 통상적인 실례가 IP와 ATM 네트워크이다. 패킷이 지연되거나 손실된때, 일종의 소거 방법이 사용되어 지연되거나 손실된 음성 파라미터를 커버한다([1] 참조). 통상적으로 이러한 소거 방법은 지연되거나 손실된 패킷에 대한 음성 파라미터를 사전에 수신된 파라미터로부터 예측하고 지연되거나 손실된 파라미터 대신에 그 예측된 파라미터를 디코딩 공정에 인가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 1의 지연되거나 손실된 패킷의 파라미터는 통상적으로 사전 패킷으로부터 간단히 카피된다. 부가적인 패킷이 지연되거나 손실된다면, 동일한 파라미터가 여전히 사용되지만, 출력 신호는 차차 약해진다. 이러한 방법의 특징은 동일한 전략이 지연된 패킷 및 손실된 패킷 둘 다를 위해서 사용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방법의 결점은 지연된 패킷에서의 정보가 파라미터 예측을 위해 사용된 정보보다 더 최근의 정보일지라도, 지연된 패킷에서의 정보가 간단히 폐기된다는 것이다.
지연된 패킷과 손실된 패킷 사이를 구별하는 방법은 [2]에서 기술된다. 이 참조문헌에서 기술된 방법에서, 지연된 패킷에서 음성 파라미터는 지연된 패킷이 도착하자마자 예측된 파라미터를 대체한다. 그러나, 이 방법의 특징은 디코더가 디지털 필터링에 근거한다라는 사실을 고려하지 않는다라는 것이다. 디코더에서 디지털 필터는 프레임의 디코딩후에 최종 필터 상태에 도달한다. 이러한 최종 필터 상태는 다음 프레임(새로운 음성 파라미터를 갖음)의 디코딩을 위해 초기 필터 상태로 사용된다. 디코딩된 출력 신호가 전송측의 엔코더에서 분석-합성(analysis-by-synthesis) 공정에서 발생된 최적의 신호와 동일한 신호가 된다면, 음성 파라미터와 초기 필터 상태 둘 모두는 동일한 상태여야만 한다. [2]에 기술된 방법에서, 지연된 패킷이 최후에 도달할때, 단지 정확한 음성 파라미터만이 사용될 것이다. 그러나, 한편, 그 필터 상태는 지연된 음성 파라미터가 갑자기 인가될때 급작스럽게 출력 신호를 변화시키는 예측 상황 동안 사전 프레임의 최종 상태로부터 벗어나서 드리프트(drift)된다.
본 발명은 지연된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지연된 패킷의 소거를 개선하는 패킷 네트워크에서의 지연된 패킷 소거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부가적인 목적과 이점은 첨부 도면과 함께 이하의 기술을 참조함으로써 아주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통상적인 음성 디코더의 블럭도.
도 2는 FIR 필터의 블럭도.
도 3은 다른 통상적인 음성 디코더의 블럭도.
도 4는 종래 기술의 지연된 패킷 소거 방법을 도시한 타이밍도.
도 5는 다른 종래 기술의 지연된 패킷 소거 방법을 도시한 타이밍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지연된 패킷 소거 방법을 도시한 타이밍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지연된 패킷 소거 방법을 도시한 다른 타이밍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지연된 패킷 소거 장치의 블럭도.
도 9는 도 8의 지연된 패킷 소거 장치를 수행하는데 적당한 디코더의 바람직한 실시예.
도 10은 본 발명의 지연된 패킷 소거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본 발명의 목적은 지연된 패킷 내에 정보를 사용하지만, 그 패킷 내에서 그런 급작스런 출력 신호 변화를 최소화하거나 심지어 제거시키는 지연된 패킷 소거 방법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첨부된 특허 청구항에 따라서 달성된다.
요약하면, 본 발명은 지연된 패킷 내에서 수신된 정보를 사용하여 음성 파라미터 뿐만 아니라 초기 디코더 상태를 갱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지연된 패킷 소거 동안, 두 디코딩된 출력 신호(드리프트된 디코더 상태에 근거한 하나 및 갱신된 디코더 상태에 근거한 하나)는 동일한 음성 파라미터로 발생된다. 그 후에, 이러한 두 출력 신호 모두는 최종 출력 신호로 가중된다. 이 절차는 예측된 음성 파라미터로부터 갱신된 파라미터로의 변화를 완만하게 한다.
도 1은 통상적인 음성 디코더(10)의 블럭도이다. 고정된 코드북(12)은 음성 신호를 재구성하기 위해 사용된 여자(excitation) 벡터를 포함한다. 고정된 코드북 (12)으로부터 선택된 여자 벡터는 이득 인자(G)로 가중된다. 이 최종 여자 벡터는 장-기간 예측기(디지털 필터)(16)로 전송된다. 장-기간 예측기(16)로부터의 출력 신호는 단-기간 예측기(다른 디지털 필터)(18)로 전송되며, 상기 단-기간 예측기는 디코딩된 음성 샘플을 출력한다. 상술된 디코더는 수신된 음성 파라미터에 의해 제어된다. 이러한 파라미터는 두 그룹, 즉 여자 파라미터(20)와 필터 계수(22)로 분할된다. 여자 파라미터(20)는 고정된 코드북 벡터의 선택을 제어하여 이득 인자(G)를 설정한다. 필터 계수(22)는 장-기간 및 단-기간 예측기(16, 18)의 전달 함수를 결정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서, 디지털 필터의 일부 특징이 우선 도 2를 참조해서 논의될 것이다.
도 2는 FIR 필터의 블럭도이다. 이러한 형태의 필터는 단-기간 예측기(20)에서 사용될 것이다. 그 필터는 지연 소자(D)의 체인(chain)을 포함한다(도면에는 단지 3개의 지연 소자를 도시하였지만, 물론 보다 많은 소자가 있을 수 있다). 한 세트의 승산기(M0,M1,M2,M3)는 입력 신호(X(N))와 지연 신호(X(N-1),X(N-2),X(N-3))를 태핑하여(tap) 이러한 신호를 필터 계수(C0,C1,C2,C3) 각각과 승산한다. 최종적으로, 이러한 승산된 신호는 가산기(A1-A3)에서 가산되어 필터의 출력 신호(Y(N))를 형성한다. 상기 신호(X(N),X(N-1),X(N-2),X(N-3)) 세트는 필터 상태를 형성한다. 이 설명으로부터, 필터 출력 신호(Y(N))는 필터 계수 뿐만 아니라, 초기 필터 상태에 따른다는 것은 명백하다. 그 필터는 "메모리"를 갖는다고 한다. 이 메모리는 단지 필터 계수가 갱신될때 종래 기술의 디코더에서 발생하는 급작스런 신호 변화의 원인이 된다. FIR 필터의 경우에, 에러있는 필터 상태의 영향은 필터의 길이에 따른다. 필터 탭은 짧은 메모리에 거의 제공되지 않을 것이다. 반면, IIR 필터의 경우에는, 장-기간 예측기(18)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과 같이, 메모리는 무한하다.
도 1의 실시예에서, 디코더(10)는 디지털 필터로 장-기간 예측기를 수행함으로써 실현된다. 다른 실시예는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장-기간 예측기가 대신 적응형 코드북으로 사행되는 디코더이다. 적응형 코드북은 장-기간 예측기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지만, 반드시 디지털 필터로 수행되지는 않는다. 대신에 적응형 코드북(16)은 디코딩이 진행될때 피드백 선(15)에 의해 연속적으로 갱신되는 긴 음성 샘플 버퍼이다. 벡터는 이 긴 버퍼의 어떤 부분을 가르킴으로써 선택된다. 이 실시예에서, 여자 파라미터는 또한 선택된 적응형 코드북 벡터용 이득 인자(GA)에 대한 포인터를 포함할 것이다. 적응형 코드북이 디코딩이 진행될때 새로운 샘플로 갱신되기 때문에, 프레임의 디코딩된 음성 샘플은 적응된 코드북의 초기 상태에 따를 것이라는 것이 이해된다. 그러므로, 적응형 코드북은 디지털 필터와 같이 "메모리"를 갖는다. 그러므로, 실시예 모두를 커버하기 위해서, 용어 "초기 디코더 상태"가 사용될 수 있다.
도 4는 종래 기술의 지연된 패킷 소거 방법을 도시한 타이밍도이다. 디코더를 포함한 수신기는 패킷(1-9)을 수신한다. 음성 파라미터(P1-P3와 P7-P9)는 디코딩을 위하여 적절한 시간 내에 수신된 패킷으로부터 추출되지만, 지연된 패킷(4-6)은 간단히 무시된다. 추출된 파라미터(P1-P3)는 디코더로 전송되어 대응 초기 디코더 상태(S1-S3)와 함께 프레임(1-3)에 대한 음성 신호를 발생시킬 것이다. 초기 디코더 상태 사이(가령, 초기 디코더 상태(S2와 S3) 사이)의 점선은 표시된 음성 파라미터(이 예에서 P2)가 디코딩을 위해 사용된 경우, 이후의 초기 디코더 상태가 사전의 초기 디코더 상태로부터 얻어진다는 것을 표시한다. 패킷(4)이 지연되기 때문에, 프레임 (4)에 대한 음성 파라미터는 이용 가능하지 않다. 그러므로, 이러한 음성 파라미터는 사전의 음성 파라미터(P3)로부터 예측된다. 자주 사용된 한 예측 방법은 사전 프레임에서 동일한 음성 파라미터를 간단히 사용하는 것이다. 프레임 (4)에 대한 예측된 음성 파라미터는 도면에서 (P4P)로 표시된다. 그러므로, 프레임 (4)은 정확한 초기 디코더 상태(S4) 그러나 예측된 음성 파라미터(P4P)로 디코딩될 것이다. 패킷(5)이 또한 지연되기 때문에, 음성 파라미터는 또한 프레임(5)에 대해 예측되여야 한다. 그러나, 패킷(5)이 무시되기 때문에 새로운 예측(P5P)은 사전 예측 (P4P)에 근거를 두어야 한다. 자주 사용된 한 예측 방법은 사전 프레임으로부터 음성 파라미터를 다시 한번 사용하지만, 출력 신호의 에너지를 감소시키는 것이다. 더구나, 프레임(4)이 예측된 음성 파라미터(P4P)로 디코딩되었기 때문에, 프레임 (5)에 대한 초기 디코더 상태는 정확한 초기 디코더 상태(S5)가 아니라 에러있는 초기 디코더 상태(S5E)일 것이다. 패킷(6)이 또한 지연되기 때문에, 프레임(5)에서와 동일한 공정(사전 프레임으로부터 음성 파라미터를 카피하고 에너지를 감소시켜 에러있는 초기 디코더 상태에 근거하여 디코딩함)이 프레임(6)에 대해 반복될 것이다. 패킷(7)은 시간에맞게 도착하기 때문에, 자신의 음성 파라미터(P7)는 프레임 (7)을 디코딩하기 위하여 사용될 것이다. 그러나, 사전 프레임이 예측된 음성 파라미터로 디코딩되었기 때문에, 초기 디코더 상태(S7E)는 에러가 있을 것이다. 정확하게 수신된 음성 파라미터에 기인한 갑작스러운 진폭 증가와 함께 이런 환경은 디코딩된 음성 신호의 급격한 변화를 발생시킬 것이다. 프레임(7)의 디코딩후에, 디코더에서 "메모리"의 영향은 무시해도 좋고(일부 형태의 디코더; 다른 형태는 보다 긴 "메모리"를 가질수 있음), 그러므로 패킷(8)이 시간에맞게 도착하면, 프레임(8)은 정확하게 디코딩된다.
도 5는 [2]에서 기술된 다른 종래 기술의 지연된 패킷 소거 방법을 도시한 타이밍 도이다. 상술된 바와 같이, 패킷(1-3)은 시간에맞게 도착하여 정상적으로 디코딩된다. 패킷(4)이 지연되기 때문에, 프레임(4)에 대한 음성 파라미터가 예측된다. 이러한 예측된 음성 파라미터는 프레임(4)의 디코딩을 시작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그러나, 패킷(4)이 도착할때, 도 4에서와 같이, 그 패킷은 무시되지 않는다. 대신에 음성 파라미터(P4)는 추출되어 디코딩하기 위해 즉시 사용된다. 그리고 나서, 아직 출력되지 않은 예측된 음성 샘플은 정확한 음성 파라미터(P4) 그러나 에러있는 초기 디코더 상태(S4E)에 근거한 음성 샘플로 대체된다. 그러나, 이것은 급작스런 출력 신호 변화를 발생시킨다. 패킷(5)이 또한 지연된다라고 가정하면, 음성 파라미터(P5P)는 음성 파라미터(P4)로부터 예측된다. 이러한 예측된 파라미터 (P5P)와 에러있는 초기 디코더 상태(S5E)는 프레임(5)을 디코딩하기 위해 사용된다. 일단 패킷(5)이 도착하면, 아직 출력되지 않은 예측된 신호 샘플은 최근에 도착한 음성 파라미터 (P5)와 에러있는 초기 디코더 상태(S5E)((S5E)로 표시된 두 상태는 동일한 필요는 없고, 그 표기는 단지 그것들이 에러가 있다는 것을 표시함)에 근거하여 디코딩된 음성 샘플로 대체될 것이다. 패킷(6)이 시간에맞게 도착하고 프레임(6)을 디코딩하기 위해 사용될때, 이것은 다른 급작스런 신호 변화를 발생시킨다. 그 후, 패킷(7-9)이 시간에맞게 도착하기 때문에, 디코딩은 다시 정상적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지연된 패킷 소거 방법을 도시한 타이밍도이다. 우선 세개의 정상적인 프레임이 도 4 및 5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취급된다. 프레임(4)는 도 4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제 1의 디코더에서 예측된다. 그러나, 프레임이 디코딩되기 전에 초기 디코더 상태(S4)는 카피되고 이 카피는 이후에 사용을 위해 저장된다. 지연된 패킷(4)이 도착하자마자, 자신의 음성 파라미터(P4)는 추출되며 제 2의 디코더에서 사용되어 초기 디코더 상태를 정확한 상태(S5)로 갱신한다. 그러한 디코딩이 발생시키는 실제 음성 샘플은 무시된다. 제 2의 디코딩의 목적은 단지 초기 디코더 상태를 갱신하는 것이다. 패킷(5)이 또한 지연되기 때문에, 그것의 음성 신호가 예측될 것이다. 그러나, 보다 최근의 음성 파라미터(P4)가 지금 공지되기 때문에, 이러한 파라미터는 파라미터의 예측(P5P)을 위해 사용될 것이다. 더구나 프레임(5)의 두 디코딩 즉, 예측된 음성 파라미터(P5P)와 에러있는 초기 디코더 상태(S5E)에 근거한 하나의 디코딩 및 동일한 음성 파라미터와 수정된 초기 디코더 상태(S5)에 근거한 하나의 디코딩이 수행될 것이다. 디코딩 이후에, 두 음성 샘플 프레임은 결합되어 최종 출력 신호를 형성한다.
도 6의 하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디코딩된 신호는 가중되고, 그 후에 가중된 신호는 가산된다. 그 가중은 디코더(1)로부터의 신호(1)가 높은 초기 가중치와 낮은 최종 가중치(실선)를 가지는 반면, 디코더(2)로부터의 신호(2)가 낮은 초기 가중치와 높은 최종 가중치(점선)을 갖도록하는 방식으로 수행된다. 그 신호는 가령, 공식에 따라서 결합될 수 있으며, 여기서 n은 프레임에서 샘플 수를 표시하고, y1(n)은 신호(1)의 디코딩된 샘플(n)을 표시하고, y2(n)은 신호(2)의 디코딩된 샘플(n)을 표시하고, k(n)은 가령,으로 규정된 가중 함수이며, 여기서 N은 프레임 크기를 표시한다. 가중 인자(k(n))는 물론 또한 다른 방식으로 계산될 수 있다. 그 예가 도 6에서와 같이 지수적으로 감소하는 곡선을 제공한다. 이 방식으로, 신호(1)로부터 보다 정확한 신호(2)로 완만하게 변화한다.
도 6으로 되돌아가서, 패킷(5)이 지연되기 때문에, 정확한 초기 디코더 상태 (S5)는 카피되어 패킷(5)이 도착할때 디코더(2)에 의해 이후에 갱신하기 위해 저장된다. 더구나, 신호(2)는 프레임(5)의 종단에서 엠퍼시스(emphasis)되기 때문에(가중에 기인함), 프레임(6)의 디코딩을 위해 사용된 디코더(1)의 초기 디코더 상태 (S6E)는 프레임(5)의 디코딩후에 디코더(2)로부터 인수받는다. 패킷(6)이 또한 지연되기 때문에, 패킷(5)으로부터 예측된 음성 파라미터(P6P)는 에러있는 초기 디코더 상태(S6E)와 수정된 초기 디코더 상태(S6) 둘 다와 함께 각각 프레임(6)을 디코딩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후에, 두 출력 신호는 가중되어 결합된다. 패킷(6)이 지연되기 때문에, 정확한 초기 디코더 상태(S6)는 카피되어 패킷(6)이 도착할때 디코더(2)에 의해 이후에 갱신하기 위해 저장된다. 사전 프레임에서와 같이, 프레임(7)을 디코딩하기 위해 사용된 디코더(1)의 초기 디코더 상태(S7E)는 프레임(6)의 디코딩후에 디코더(2)로부터 인수받는다. 패킷(7)이 시간에맞기 때문에, 음성 파라미터(P7)는 예측할 필요없이 디코딩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그후에 두 출력 신호는 가중되어 결합된다. 패킷(8)과 (9)는 또한 시간에맞기 때문에, 디코더(2)는 더 이상 필요하지 않고, 디코딩은 디코더(1)에서 정상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이것이 정확하다는 것이 보증되기 때문에, 프레임(8)에서, 디코더(2)로부터의 초기 디코더 상태(S8)가 사용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지연된 패킷 소거 방법을 도시한 다른 타이밍도이다. 이 도면은 도 6에서의 도면과 유사하지만 다른 경우, 즉 패킷(4)이 한 프레임 이상만큼 지연될때를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는 종래의 소거 방법이 프레임(4)과 (5) 둘 모두에서 사용되어야만 하고 초기 디코더 상태가 패킷(4)의 바로 그 늦은 도착에 기인하여 프레임(5)에서 두번 갱신된다는 점에 있어서 사전 경우와 다르다. 그 후에, 도 6과 동일한 단계가 수행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지연된 패킷 소거 장치의 블럭도이다. 음성 파라미터는 두 디코더(30)와 (32)로 각각 전송된다. 이러한 디코더로부터의 출력 신호는 가산기(34)에서 결합되어 실제 음성 샘플을 발생시킨다. 디코더(30, 32) 사이에 갱신될 초기 디코더 상태의 카피를 저장하기 위한 여분의 메모리 세그먼트(36)가 제공된다.
도 9는 도 8의 지연된 패킷 소거 장치를 수행하는데 적당한 디코더의 바람직한 실시예이다. 이 실시예는 도 1을 참조하여 기술된 원리 즉, 단-기간 예측기와 장-기간 예측기 둘 모두의 디지털 필터에 따라서 디코더를 수행한다. 디코더(2)가 단지 지연된 패킷이 있을때만 사용되기 때문에, 두개의 분리된 디코더를 하드웨어에서 수행하는 것은 실제로 필요하지는 않으며, 상기 디코더의 단지 하나만 대부분의 시간에 사용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디코더는 디코더 (1)와 디코더(2) 둘 다를 수행하지만 상이한 시간에 수행하는 마이크로/신호 프로세서 결합(40)에 근거를 둔다. 프로세서(40)는 이득(G), 고정된 코드북 (12), 여자 파라미터(20)와 필터 계수(22)를 포함하는 메모리 세그먼트에 접속된다. 메모리 세그먼트(42)가 제공되어 예측된 필터 계수를 저장하며 검색한다. 디코더(1)와 디코더(2)에 대한 현재 디코더 필터 상태는 메모리 세그먼트(44) 및 (46)에 각각 저장된다. 메모리 세그먼트(36)는 패킷이 지연될때 정확한 초기 필터 상태의 카피를 저장한다. 디코더(1)로부터 디코딩된 음성은 버퍼(48)에 저장되고 디코더(2)로부터 디코딩된 음성은 버퍼(50)에 저장된다. 각 버퍼로부터의 음성 샘플은 가산기(34)에서 가산되기 전에 가중 블럭(52)과 (54)에 의해 각각 가중된다. 프로세서(40)로부터의 제어 신호(C1, C2)에 의해 제어되는 두 스위치(SW1, SW2)는 현재 어느 디코더 프로세서(40)가 수행되는지를 결정한다. 스위치가 도면에서 도시된 위치에 있다면, 디코더(1)가 수행되지만, 다른 위치에서는 디코더(2)가 수행된다. 메모리 세그먼트 (46)와 (44) 사이의 선은 도 6에서 프레임(5)과 (6)의 처음에 표시된 바와 같이, 디코더(2)로부터 디코더(1)로 초기 필터 상태의 전송을 나타낸다. 이 동작 뿐만 아니라 메모리 세그먼트(44)로부터 메모리 세그먼트(36)로 필터 상태의 전송 및 메모리 세그먼트(46)로부터 메모리 세그먼트(36)로 필터 상태의 전송과 역전송은 또한 프로세서(40)에 의해 제어되지만, 대응 제어 신호는 도면을 복잡하지 않게 하기 위해 생략된다.
종종 패킷은 잘못된 순서로 도착한다. 디코더의 형태에 따라서, 그러한 경우는 초기 필터 상태를 저장하기 위한 일부의 메모리 세그먼트(36)를 필요로 할 수 있다. 초기 필터 상태를 저장하기 위해 필요한 메모리 세그먼트의 수는 디코더의 메모리 뿐만 아니라 음성 프레임의 크기에 따른다. 메모리는 디코더 상태의 이력 (history) 뿐만 아니라 파라미터가 그 기간 동안 최후에 수신된 파라미터를 저장할 수 있어야만 하며, 그 기간 내에서 파라미터는 출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고, 그것은 물론 엔코딩 방법에 달려있다. 그러나, 20 ms의 프레임 크기와 단-기간 동작을 예측하는 포워드(forward) 예측 방법을 사용하는 음성 디코더에 대하여, 200ms의 음성을 커버하는 대략 10 메모리 세그먼트가 적당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지연된 패킷 소거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단계(S1)에서, 다음의 예상된 패킷이 지연되는지 여부가 테스트된다. 만약 지연되지 않았다면, 다음 프레임은 단계(S2)에서, 디코더(1)에서 정상적인 프레임으로 디코딩되고, 그 후에 그 루틴은 단계(S1)로 되돌아간다. 만약 패킷이 지연되었다면, 최근의 정확한 필터 상태가 단계(S3)에서 이후에 갱신하기 위해 저장된다. 패킷이 지연되었기 때문에, 디코더(1)는 단계(S4)와 (S5)에서 각각 음성 파라미터를 예측하고 그 지연을 커버하는 음성 프레임을 발생시킴으로써 종래의 소거를 수행한다. 단계(S6)에서, 예상된 패킷이 여전히 지연되는지(도 7에서와 같이) 여부를 테스트한다. 만약 지연되었다면, 단계(S4-S6)가 반복된다. 만약 지연되지 않았다면, 그 루틴은 단계(S7)와 (S8)로 진행되고, 그 단계에서 지금 도착된 패킷이 사용되어 음성 파라미터와 저장된 필터 상태를 갱신한다. 단계(S9)는 다음 패킷이 또한 지연되는지 여부를 테스트한다. 만약 패킷이 또한 지연된다면, 디코더(2)의 필터 상태의 카피는 단계(S10)에서 이후에 갱신을 위해 저장된다. 단계(S11)에서, 음성 파라미터는 사전 프레임으로부터 예측되어 각각 단계(S12)와 (S13)에서 디코더(1)와 (2)로부터 출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단계(S14)에서, 이러한 출력 신호는 최종 음성 프레임으로 (가중후에 바람직하게) 결합된다. 단계 (S15)에서, 디코더(2)의 최종 필터 상태는 디코더(1)로 전송된다(도 6 에서의 프레임(5)에서와 같음). 그 후에, 루틴은 단계(S7)와 (S8)로 되돌아간다. 패킷이 최종적으로 다시 시간에맞을때, 단계(S9)에서의 테스트는 루틴을 단계(S16)와 (S17)로 전송하고, 그 단계에서 정확한 음성 파라미터에 근거한 출력 신호는 디코더(1)와 (2)에서 각각 발생된다. 단계(S18)에서, 이러한 신호는 (가중후에 바라직하게) 결합된다. 지금 모든것이 다시 정상적이고 루틴은 단계(S1)로 진행된다.
본 발명은 음성 신호와 대응 음성 파라미터에 관하여 기술된다. 그러나, 실제로 이러한 파라미터는 단지 음성만을 표현하는 것은 아니다라는 것이 이해된다. 예를 들면, 음악과 배경 사운드가 동일한 방식으로 표현되기 때문에, 보다 정확한 용어는 오디오 파라미터일 것이다. 더구나, 동일한 원리가 가령, 디코딩을 위해 디지털 필터를 필요로하는 비디오 신호와 같은 다른 패킷화된 신호에도 적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음성 또는 오디오 파라미터보다 더 일반적인 용어는 청구항에서 사용된 프레임 파라미터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소거 방법은 예측가능한 실-시간 데이터가 패키화된 모드에서 전송되고, 패킷이 예측불가능한 방식으로 지연된 모든 환경에서 적용가능하다는 것이 이해된다.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 규정된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되고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자들은 이해할 것이다.
참고 문헌
[1] K Cluver,"An ATM Speech Codec with Improved Reconstruction of Lost Cells", Proceedings Eusipco, 1996.
[2] US patent 5 615 214(Motorola Inc.)

Claims (20)

  1. 지연된 프레임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지연된 패킷의 소거를 개선하는 패킷 네트워크에서의 지연된 패킷 소거 방법으로서, 패킷이 지연될때;
    최종의 지연되지 않은 패킷을 디코딩한후에 존재하는 초기 디코더 상태의 카피를 저장하는 단계와,
    예측된 프레임 파라미터와 상기 초기 디코더 상태를 사용해서 패킷 지연을 디코딩하여 소거함으로써 에러있는 초기 디코더 상태를 발생시키는 단계와,
    상기 지연된 패킷과 상기 저장된 초기 디코더 상태로부터 갱신된 프레임 파라미터를 사용해서 디코딩함으로써 수정된 초기 디코더 상태를 발생시키는 단계와,
    프레임 파라미터의 세트와 상기 에러있는 초기 디코더 상태를 사용해서 디코딩함으로써 제 1의 출력 신호와 부가적인 에러있는 초기 디코더 상태를 발생시키는 단계와,
    상기 프레임 파라미터의 세트와 상기 수정된 초기 디코더 상태를 사용해서 디코딩함으로써 제 2의 출력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 1 및 제 2의 출력 신호를 결합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네트워크에서 지연된 패킷 소거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파라미터의 세트는 지연되지 않은 패킷으로부터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네트워크에서 지연된 패킷 소거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파라미터의 세트는 부가적인 패킷이 지연될때 사전 패킷으로부터 예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네트워크에서 지연된 패킷 소거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수정된 초기 디코더 상태의 카피를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부가적인 지연 패킷과 상기 저장된 수정 초기 디코딩 상태로부터 갱신된 프레임 파라미터를 사용해서 디코딩함으로써 부가적인 수정된 초기 디코더 상태를 발생시키는 단계와,
    부가적인 프레임 파라미터의 세트와 상기 부가적인 에러있는 디코더 상태를 사용해서 디코딩함으로써 제 3의 출력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와,
    상기 부가적인 프레임 파라미터의 세트와 상기 부가적인 수정된 초기 디코더 상태를 사용해서 디코딩함으로써 제 4의 출력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 3 및 제 4의 출력 신호를 결합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네트워크에서 지연된 패킷 소거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적인 프레임 파라미터 세트는 지연되지 않은 패킷으로부터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네트워크에서 지연된 패킷 소거 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적인 프레임 파라미터 세트는 다른 패킷이 여전히 지연될때 사전 패킷으로부터 예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네트워크에서 지연된 패킷 소거 방법.
  7. 지연된 프레임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지연된 패킷의 소거를 개선하는 패킷 네트워크에서의 디코딩 방법으로서,
    패킷 지연의 경우에 정확한 초기 디코더 상태의 카피를 저장하는 단계와,
    하나 이상의 지연된 패킷과 프레임 파라미터의 세트의 소거로부터 얻어진 에러있는 초기 디코더 상태를 사용함으로써 제 1의 디코딩된 출력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와,
    상기 저장된 초기 디코더 상태를 갱신하기 위해 상기 저장된 초기 디코더 상태를 사용해서 지연된 패킷을 디코딩하는 단계와,
    상기 갱신된 초기 디코더 상태와 상기 프레임 파라미터의 세트에 근거하여 제 2의 디코딩된 출력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 1 및 제 2의 출력 신호를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패킷 네트워크에서의 디코딩 방법.
  8. 정상적인 디코딩을 위한 디코더에 너무 늦게 도착한 패킷을 재사용하는 방법으로서,
    패킷이 지연될때 초기 디코더 상태를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지연된 패킷이 최종적으로 도착할때 상기 저장된 초기 디코더 상태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재사용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디코더 상태는 초기 단-기간 예측기 상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재사용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디코더 상태는 초기 장-기간 예측기 상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재사용 방법.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디코더 상태는 초기 적응형 코드북 상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재사용 방법.
  12. 지연된 프레임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지연된 패킷의 소거를 개선하는 패킷 네트워크에서 지연된 패킷 소거 장치로서,
    최종의 지연되지 않은 패킷을 디코딩한후 존재하는 초기 디코더 상태의 카피를 저장하는 수단(36)과,
    예측된 프레임 파라미터와 상기 초기 디코더 상태를 사용해서 패킷 지연을 디코딩하여 소거함으로써 에러있는 초기 디코더 상태를 발생시키는 수단(30)과,
    상기 지연된 패킷과 상기 저장된 초기 디코더 상태로부터 갱신된 프레임 파라미터를 사용해서 디코딩함으로써 수정된 초기 디코더 상태를 발생시키는 수단 (32)과,
    프레임 파라미터의 세트와 상기 에러있는 초기 디코더 상태를 사용해서 디코딩 함으로써 제 1의 출력 신호와 부가적인 에러있는 초기 디코더 상태를 발생시키는 수단(30)과,
    상기 프레임 파라미터의 세트와 상기 수정된 초기 디코더 상태를 사용해서 디코딩함으로써 제 2의 출력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 1 및 제 2의 출력 신호를 결합하는 수단(34)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네트워크에서 지연된 패킷 소거 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지연되지 않은 패킷으로부터 상기 프레임 파라미터의 세트를 추출하는 수단 (4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네트워크에서 지연된 패킷 소거 장치.
  14. 제 12항에 있어서,
    부가적인 패킷이 지연될때 사전 패킷으로부터 상기 프레임 파라미터의 세트를 예측하는 수단(4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네트워크에서 지연된 패킷 소거 장치.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수정된 초기 디코더 상태의 카피를 저장하는 수단(36)과,
    상기 부가적인 지연된 패킷과 상기 저장된 수정 초기 디코더 상태로부터 갱신된 프레임 파라미터를 사용해서 디코딩함으로써 부가적인 수정된 초기 디코더 상태를 발생시키는 수단(32)과,
    부가적인 프레임 파라미터의 세트와 상기 부가적인 에러있는 초기 디코더 상태를 사용해서 디코딩함으로써 제 3의 출력 신호를 발생시키는 수단(30)과,
    상기 부가적인 프레임 파라미터의 세트와 상기 부가적인 수정된 초기 디코더 상태를 사용해서 디코딩함으로써 제 4의 출력 신호를 발생시키는 수단(32)과,
    상기 제 3 및 제 4의 출력 신호를 결합하는 수단(34)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네트워크에서 지연된 패킷 소거 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지연되지 않은 패킷으로부터 상기 부가적인 프레임 파라미터의 세트를 추출하는 수단(4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네트워크에서 지연된 패킷 소거 장치.
  17. 제 15항에 있어서,
    다른 패킷이 여전히 지연될때 사전 패킷으로부터 상기 부가적인 프레임 파라미터의 세트를 예측하는 수단(4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네트워크에서 지연된 패킷 소거 장치.
  18. 지연된 프레임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지연된 패킷의 소거를 개선하는 패킷 네트워크에서의 디코더로서,
    패킷 지연의 경우에 정확한 초기 디코더 상태의 카피를 저장하는 메모리 (36)와,
    하나 이상의 지연된 패킷 및 프레임 파라미터의 세트의 소거로부터 얻어진 에러있는 초기 디코더 상태를 사용하여 제 1의 디코딩된 출력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 1의 디코더 섹션(30)과,
    상기 저장된 초기 디코더 상태를 갱신하도록 상기 저장된 초기 디코더 상태를 사용하는 지연된 패킷을 디코딩하기 위해서 사용되며 상기 갱신된 초기 디코더 상태와 상기 프레임 파라미터의 세트에 근거한 제 2의 디코딩된 출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사용된 제 2의 디코더 섹션(32)과,
    상기 제 1 및 제 2의 출력 신호를 결합하는 수단(34)을 구비하는 패킷 네트워크에서의 디코더.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디코더 섹션은 제 1의 시간 구간 동안 상기 제 1의 디코더 섹션(30)을 그리고 제 2의 시간 구간 동안 상기 제 2의 디코더 섹션(32)을 수행하는 마이크로/신호 프로세서 조합을 사용함으로써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네트워크에서의 디코더.
  20. 정상적인 디코딩을 위한 디코더에 너무 늦게 도착한 패킷을 재사용하는 장치로서,
    패킷이 지연될때 초기 디코더 상태를 저장하는 수단(36)과,
    상기 지연된 패킷이 최후로 도착할때 상기 저장된 초기 디코더 상태를 갱신하는 수단(3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재사용 장치.
KR10-2000-7012780A 1998-05-14 1999-04-28 지연된 패킷 소거 방법 및 장치 KR1003769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9801725A SE513520C2 (sv) 1998-05-14 1998-05-14 Förfarande och anordning för maskering av fördröjda paket
SE9801725-4 1998-05-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2353A true KR20010052353A (ko) 2001-06-25
KR100376909B1 KR100376909B1 (ko) 2003-03-26

Family

ID=20411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12780A KR100376909B1 (ko) 1998-05-14 1999-04-28 지연된 패킷 소거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6721327B1 (ko)
EP (1) EP1076965B1 (ko)
JP (1) JP4651194B2 (ko)
KR (1) KR100376909B1 (ko)
CN (1) CN1112007C (ko)
AU (1) AU4402099A (ko)
CA (1) CA2329176A1 (ko)
DE (1) DE69930929T2 (ko)
ES (1) ES2262323T3 (ko)
MY (1) MY121820A (ko)
SE (1) SE513520C2 (ko)
TW (1) TW511356B (ko)
WO (1) WO1999059282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77278B2 (en) 1999-12-09 2007-02-13 Broadcom Corporation Late frame recovery method
JP4597360B2 (ja) * 2000-12-26 2010-12-1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音声復号装置及び音声復号方法
JP2002268697A (ja) * 2001-03-13 2002-09-20 Nec Corp パケット誤り耐性付き音声復号装置、音声符号化復号装置、及びその方法
US7095710B2 (en) * 2001-12-21 2006-08-22 Qualcomm Decoding using walsh space information
US8320391B2 (en) 2004-05-10 2012-11-27 Nippon Telegraph And Telephone Corporation Acoustic signal packet communication method, transmission method, reception method, and device and program thereof
US9047860B2 (en) * 2005-01-31 2015-06-02 Skype Method for concatenating frames in communication system
KR100723409B1 (ko) 2005-07-27 2007-05-30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레임 소거 은닉장치 및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음성복호화 방법 및 장치
US20070174047A1 (en) * 2005-10-18 2007-07-26 Anderson Kyle D Method and apparatus for resynchronizing packetized audio streams
JP4673411B2 (ja) * 2005-11-07 2011-04-20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 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移動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方法および装置
FI20095273A0 (fi) * 2009-03-17 2009-03-17 On2 Technologies Finland Oy Digitaalinen videokoodaus
EP2447943A4 (en) * 2009-06-23 2013-01-09 Nippon Telegraph & Telephone ENCODING METHOD, DECODING METHOD, AND DEVICE AND PROGRAM USING THE METHODS
EP2302845B1 (en) 2009-09-23 2012-06-20 Google, Inc.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a jitter buffer level
EP2405661B1 (en) 2010-07-06 2017-03-22 Google, Inc. Loss-robust video transmission using two decoders
US8630412B2 (en) 2010-08-25 2014-01-14 Motorola Mobility Llc Transport of partially encrypted media
US8477050B1 (en) 2010-09-16 2013-07-02 Google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encoding using signal fragments for redundant transmission of data
US8838680B1 (en) 2011-02-08 2014-09-16 Google Inc. Buffer objects for web-based configurable pipeline media processing
US9014265B1 (en) 2011-12-29 2015-04-21 Google Inc. Video coding using edge detection and block partitioning for intra prediction
US9210424B1 (en) 2013-02-28 2015-12-08 Google Inc. Adaptive prediction block size in video coding
US9313493B1 (en) 2013-06-27 2016-04-12 Google Inc. Advanced motion estimation
GB2515362B (en) * 2013-12-16 2015-12-09 Imagination Tech Ltd Decoding frames
US9807416B2 (en) 2015-09-21 2017-10-31 Google Inc. Low-latency two-pass video coding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26019A (en) * 1986-02-28 1988-02-16 American Telephone And Telegraph Company, At&T Bell Laboratories Digital encoder and decoder synchronization in the presence of late arriving packets
DE4317951C1 (de) 1993-05-28 1994-05-26 Siemens Ag Verfahren und Schaltungsanordnung zur Übertragung von Nachrichtenpaketen nach dem Asynchronen Transfermodus in einem Kommunikationsnetz
SE502244C2 (sv) * 1993-06-11 1995-09-25 Ericsson Telefon Ab L M Sätt och anordning för avkodning av ljudsignaler i ett system för mobilradiokommunikation
SE503547C2 (sv) * 1993-06-11 1996-07-01 Ericsson Telefon Ab L M Anordning och förfarande för döljande av förlorade ramar
JP3240832B2 (ja) * 1994-06-06 2001-12-25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パケット音声復号方法
JP3630460B2 (ja) * 1995-01-23 2005-03-16 富士通株式会社 データ長補正システム
JP2861889B2 (ja) * 1995-10-18 1999-02-24 日本電気株式会社 音声パケット伝送システム
US5615214A (en) * 1995-10-30 1997-03-25 Motorola, Inc. System and method of compensating propagation time variations and substituting for lost packets in a packetized voice communication system
US5764646A (en) * 1996-04-02 1998-06-09 Ericsson Inc. Packet data transmission with clash subtraction
US5960010A (en) * 1996-05-03 1999-09-28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Error detection and error concealment of convolutionally encoded data
US6175871B1 (en) * 1997-10-01 2001-01-16 3Com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real time communication over packet network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930929D1 (de) 2006-05-24
EP1076965B1 (en) 2006-04-19
AU4402099A (en) 1999-11-29
WO1999059282A2 (en) 1999-11-18
KR100376909B1 (ko) 2003-03-26
WO1999059282A3 (en) 2000-02-03
DE69930929T2 (de) 2006-12-07
SE9801725D0 (sv) 1998-05-14
JP2002515612A (ja) 2002-05-28
SE513520C2 (sv) 2000-09-25
CA2329176A1 (en) 1999-11-18
EP1076965A2 (en) 2001-02-21
JP4651194B2 (ja) 2011-03-16
MY121820A (en) 2006-02-28
CN1112007C (zh) 2003-06-18
US6721327B1 (en) 2004-04-13
ES2262323T3 (es) 2006-11-16
SE9801725L (sv) 1999-11-15
TW511356B (en) 2002-11-21
CN1300491A (zh) 2001-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76909B1 (ko) 지연된 패킷 소거 방법 및 장치
US7577565B2 (en) Adaptive voice playout in VOP
US7502733B2 (en) Method and arrangement in a communication system
EP1746581B1 (en) Sound packet transmitting method, sound packet transmitting apparatus, sound packet transmitting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in which that program has been recorded
KR20090026818A (ko) 인터넷 프로토콜을 통한 음성통화용 적응성 디-지터 버퍼
US6549886B1 (en) System for lost packet recovery in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based on time domain interpolation
Ogunfunmi et al. Speech over VoIP networks: Advanced signal processing and system implementation
EP2153436A1 (en) Generating a frame of audio data
JP3266372B2 (ja) 音声情報符号化方法およびその装置
US20080294428A1 (en) Packet loss concealment
JP2005077889A (ja) 音声パケット欠落補間方式
GB2393617A (en) Adaptive predictive playout scheme for packet voice applications
KR100542435B1 (ko) 패킷 망에서의 프레임 손실 은닉 방법 및 장치
JPH021661A (ja) パケット補間方式
KR20070055943A (ko) 음성의 특징을 이용한 패킷 손실 은닉 방법
JP2005309096A (ja) 音声復号化装置および音声復号化方法
CA2584686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providing protection in packet switched communication networks
EP1713194A1 (en) Method for updating an encoder state register
JPH04149600A (ja) 音声復号化方式
JPH0683399A (ja) 音声符号化の無音化処理方式
JPH01300740A (ja) 音声パケット通信における廃棄パケット補償装置
JPH04329600A (ja) 音声符号化および復号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7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