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52127A - 약물을 함유한 액체의 분배 장치 - Google Patents

약물을 함유한 액체의 분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52127A
KR20010052127A KR1020007006714A KR20007006714A KR20010052127A KR 20010052127 A KR20010052127 A KR 20010052127A KR 1020007006714 A KR1020007006714 A KR 1020007006714A KR 20007006714 A KR20007006714 A KR 20007006714A KR 20010052127 A KR20010052127 A KR 200100521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ensing
dispensing means
liquid
opening
dispens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67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크아르네
닐손빌리
Original Assignee
아스트라제네카 악티에볼라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스트라제네카 악티에볼라그 filed Critical 아스트라제네카 악티에볼라그
Publication of KR200100521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2127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04Deformable containers producing the flow, e.g. squeeze bott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1/00Devices for introducing or retaining media, e.g. remedies, in cavities of the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02Membranes or pistons acting on the contents inside the container, e.g. follower pist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02Membranes or pistons acting on the contents inside the container, e.g. follower pistons
    • B05B11/025Membranes or pistons acting on the contents inside the container, e.g. follower pistons with stepwise advancement of the piston, e.g. for spraying a predetermined quantity of cont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28Pumps having a pumping chamber with a deformable wall
    • B05B11/1032Pumps having a pumping chamber with a deformable wall actuated without substantial movement of the nozzle in the direction of the pressure stro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65Inhalators with dosage or measu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06Head
    • A61M2210/0618No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약물을 함유한 액체를 비강의 후방 구역으로 분배하는 분배 수단에 관한 것으로, 분배 수단은 긴 튜브형 부재(35; 151) 및 노즐(37; 153)을 자유 단부에서 포함하고, 노즐(37; 153)은 사용시 액체가 분배되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39; 155)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약물을 함유한 액체의 분배 장치{Device for delivering liquid containing medicament}
미국 특허 제4,886,493호는 접형구개 신경절(sphenopalatine ganglion)로의 국부 마취제의 분배를 위한 도포기(applicator)를 개시하고 있는데, 도포기는 가요성 튜브를 포함하고, 그 일단부는 개방 상태로 있다가 사용시 접형구개 신경절에 인접하게 위치되고 그 타단부를 통해 분무(spray) 형태의 계량된 부피의 국부 마취제가 통과된다. 이러한 도포기는 계량된 부피의 국부 마취제를 접형구개 신경절로 분배하지만 아직도 국부 마취제를 완전히 효과적으로 분배하지는 못한다.
본 발명은 약물을 함유한 액체를 비강(nasal cavity)의 후방 구역으로 분배하는 분배 수단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혈관성 두통(vascular headache)의 치료시 국부 마취제(local anaesthetic)의 분배에 관한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분배 수단을 포함한 제1 분배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2는 도1의 분배 장치의 분배 유닛의 본체 및 플런저의 일부 확대 측면도이다.
도3은 사용전 도1의 분배 장치의 (도2의 섹션 A-A를 따른) 직경 방향 단면도이다.
도4는 사용후 도1의 분배 장치의 (도2의 섹션 B-B를 따른) 직경 방향 단면도이다.
도5는 도1의 분배 장치의 분배 수단의 말단부의 확대 측면도이다.
도6은 도5의 분배 수단의 말단부의 단부도이다.
도7은 도5의 분배 수단의 말단부의 (도6의 섹션 C-C를 따른) 직경 방향 단면도이다.
도8 내지 도15는 본 발명의 제2 내지 제9 실시예에 따른 분배 수단의 말단부의 확대 단부도이다.
도16은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에 따른 분배 수단의 말단부의 직경 방향 확대 단면도이다.
도17은 도16의 분배 수단의 말단부의 단부도이다.
도18은 본 발명의 제11 실시예에 따른 분배 수단을 포함한 사용 위치의 제2 분배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19는 사용 위치의 도18의 분배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20은 사용 위치의 도18의 분배 장치의 (도19의 섹션 D-D를 따른) 수직 단면도이다.
도21은 폐쇄 또는 저장 위치의 도18의 분배 장치의 (도19의 섹션 D-D를 따른) 수직 단면도이다.
도22는 도18의 분배 장치의 분배 수단의 말단부의 (도23의 섹션 E-E를 따른) 직경 방향 확대 단면도이다.
도23은 도22의 분배 수단의 말단부의 단부도이다.
도24는 본 발명의 제12 실시예에 따른 분배 수단의 말단부의 (도25의 섹션 F-F를 따른) 직경 방향 확대 단면도이다.
도25는 도24의 분배 수단의 말단부의 단부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약물을 비강의 후방 특히 가장 후방 구역으로 효과적으로 분배하는 분배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직접적인 효과가 얻어질 것이고, 사용자가 소정의 효과를 얻도록 약물을 재투여하여야 하는 경우가 감소될 것이다. 과도한 분배는 부작용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약물을 함유한 액체를 비강의 후방 구역으로 분배하는 분배 수단을 제공하는데, 분배 수단은 긴 튜브형 부재 및 노즐을 자유 단부에서 포함하고, 노즐은 사용시 액체가 분배되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포함한다. 분배 수단은 혈관성 두통 특히 편두통(migraine)의 치료를 위한 등록 상표 Xylocaine 등의 국부 마취제의 분배라는 특정한 분야에서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분배 수단을 포함한 분배 장치까지 확장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분배 장치는 복수개의 계량된 부피의 약물 함유 액체를 분배하는 분배 유닛을 포함하는데, 분배 유닛은 배럴을 갖는 본체와, 배럴 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플런저를 포함하며, 배럴 및 플런저 중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통로를 포함하고, 배럴 및 플런저 중 다른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통로를 따라 이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통로는 액체의 분배 단계에서 적어도 하나의 통로를 통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의 이동 방향으로 축방향 전방면을 갖고, 축방향 전방면은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가 위치 가능한 복수개의 축방향 이격 계단을 형성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분배 장치는 하나 이상의 계량된 부피의 약물 함유 액체를 분배 수단으로 분배하는 분배 유닛을 포함하는데, 분배 유닛은 작동시 계량된 부피의 액체가 출구로 분배되는 펌프 조립체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펌프 조립체는 입구를 형성하는 제1 개구와, 출구를 형성하는 제2 개구와, 탄성 멤브레인이 가로질러 배치된 제3 개구을 갖는 챔버를 형성하는 본체를 포함하고, 출구로의 계량된 부피의 액체의 분배는 멤브레인의 이동에 의해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약물을 함유한 액체를 비강의 후방 구역으로 분배하는 분배 방법을 제공하는데, 분배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갖는 노즐과 긴 튜브형 부재를 자유 단부에서 구비한 분배 수단을 하나의 콧구멍 내로 삽입하여 노즐을 비강의 후방 구역 근방에 위치시키는 단계와, 액체를 노즐 내의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통해 분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분배 수단 및 분배 방법은 약물을 함유한 액체를 날개구개 오목(pterygopalatine fossa)과, 기단에 위치된 안와골(proximally os orbitale) 및 말단에 위치된 악골(distally os maxillaris)에 의해 윤곽이 그려진 인두 및 코 영역(pharyngeal and nasal area)으로 분배하는 데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개의 계량된 부피의 약물 함유 액체를 분배하는 분배 장치를 제공하는데, 분배 장치는 사용시 약물 함유 액체가 분배되는 긴 튜브형 부재로서의 분배 수단과, 분배 수단에 연결된 분배 유닛을 포함하고, 분배 유닛은 배럴을 구비한 본체와, 배럴 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플런저를 포함하며, 배럴 및 플런저 중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통로를 포함하고, 배럴 및 플런저 중 다른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통로를 따라 이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통로는 액체의 분배 단계에서 적어도 하나의 통로를 통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의 이동 방향으로 축방향 전방면을 갖고, 축방향 전방면은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가 위치 가능한 복수개의 축방향 이격 계단을 형성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계량된 부피의 약물 함유 액체를 분배하는 분배 장치를 제공하는데, 분배 장치는 사용시 약물 함유 액체가 분배되는 분배 수단과, 분배 수단에 연결된 분배 유닛을 포함하고, 분배 유닛은 작동시 계량된 부피의 액체가 분배 수단으로 분배되는 펌프 조립체와, 분배 수단 및 펌프 조립체가 활주 가능하게 배치된 하우징을 포함하고, 분배 수단은 실질적으로 하우징 내에 있게 되는 제1 위치와, 분배 수단이 하우징으로부터 사용 준비 위치로 연장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이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통해 설명될 것이다.
도1은 본체(2) 및 본체(2) 내에서 축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플런저(3)를 구비한 (본 실시예에서는 주사기인) 분배 유닛(1)과, 사용시 액체가 분배되는 분배 수단(5)을 포함한 제1 분배 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본체(2)는 원통형 배럴(7) 및 (본 실시예에서는 형상이 부분 구형인) 벽 부재(9)를 일단부에서 포함한다. 상기 실시예에서, 본체(2)는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되고,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으로 형성된다. 단부벽 부재(9)는 배럴(7)의 종축과 일치하는 개구(11)를 내부에 갖는다. 배럴(7)의 타단부는 개방 상태이고 플런저(3)를 수용한다. 배럴(7)의 외주벽은 배럴의 개방 단부로부터 (본 실시예에서는 반시계 방향으로) 연장된 통로(13)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통로(13)는 관통 슬롯에 의해 형성된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통로(13)는 배럴(7)의 내면의 블라인드 슬롯(blind slot)에 의해 엇갈려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통로(13)는 복수개의 축방향 이격 계단(15a 내지 15e)을 형성한 축방향 전방면(13a)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 통로(13)는 대칭이지만 통로(13)의 전방면(13a)에 의해 형성된 계단(15a 내지 15e)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된 복수개의 축방향 이격 계단(17a 내지 17e)을 형성한 축방향 후방면(13b)도 갖는다. 통로(13)의 후방면(13b)에 의해 형성된 계단(17a 내지 17e)은 각각 그 위에 형성된 디텐트(19)를 (본 실시예에서는 반시계 방향으로) 플런저(3)의 회전 방향에 대해 후단 모서리에서 갖는다. 디텐트(19)는 플런저(3)의 역회전을 방지하지만 배럴(7)에 대한 플런저(3)의 축방향 이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분배 장치가 재사용 가능하여야 하는 경우에, 디텐트(19)는 생략될 수 있어서, 배럴(7)로부터의 플런저(3)의 인출을 가능하게 한다.
플런저(3)는 자유롭지만 배럴(7) 내에 헐겁게 끼워지지 않을 정도의 치수로 된 제1 부품(20)과,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플런저(3)의 말단부에서 제1 부품(20)보다 반경 방향 치수가 작은 제2 부품(21)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플런저(3)는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되고,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으로 형성된다. 제2 부품(21)의 말단부는 부분 구형 표면(23)으로서 형성된다. 플런저(3)는 제1 부품(20)에 대해 축방향으로 연장되고 반경 방향으로 돌출한 돌출부(25)를 추가로 포함한다. 돌출부(25)는 통로(13) 내에서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돌출부(25)는 모따기된 종방향 모서리(27)를 갖고, 모서리(27)는 사용시 플런저(3)의 회전 방향에 대한 전방 모서리이다. 모따기된 모서리(27)는 (본 실시예에서는 반시계 방향인) 조작 방향으로의 플런저(3)의 회전시 돌출부(25)가 각각의 디텐트(19)를 통과할 수 있게 한다. 플런저(3)는 돌출부(25)와 결합된 디텐트(19)에 의해 반대 방향으로 역회전되는 것이 방지된다.
분배 유닛(1)은 본체(2) 내에서 분배 유닛의 단부벽(9)에 (본 실시예에서는 클립핑된) 끼워진 용기(29)를 추가로 포함한다. 용기(29)는 본체(2)의 단부벽(9)의 형상과 대응하는 제1 강성 반구형 부분(29a)과, 제1 부분(29a)으로부터 본체(2)의 단부벽(9) 내의 개구(11)를 통해 축방향으로 연장되고 분배 수단(5)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긴 보어(31)를 갖는 제2 섕크 부분(29b)과, 분배를 위한 소정 부피의 액체를 담는 구형 챔버(33)를 제1 부분(29a)과 함께 형성하는 제3 변형 가능 반구형 부분(29c)을 포함한다. 재사용 가능한 분배 장치에서는 이미 사용된 용기(29)가 분배 유닛(1)으로부터 제거되어 새로운 용기(29)에 의해 교체될 수 있다. 용기(29)의 재료는 담긴 액체에 따라 선택되는데, 필수적으로 재료는 담긴 액체에 불활성이어야 한다. 전형적인 재료로는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이 포함된다. 상기 실시예에서, 분배 수단(5)의 끼움 단계 전, 용기(29)의 섕크 부분(29b)의 말단부는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등의 플라스틱 재료가 바람직한 (도시되지 않은) 피막에 의해 폐쇄되고, 피막은 액체를 용기(29) 내에 담는 역할을 한다. 용기(29)의 제3 부분(29c)은 플런저(3)에 의해 압력이 인가됨에 따라 파괴되도록 구성되어, 액체를 분배 수단(5) 내로 분배 수단(5)을 통과시킨다. 이러한 관점에서, 용기(29)의 챔버(33)의 형상이 구형이기 때문에, 플런저(3)의 제2 부품(21)의 부분 구형 표면의 곡률 반경은 일정한 부피의 액체가 플런저(3)의 축방향 이동시마다 제공되도록 되어 있다는 것을 주목하여야 할 것이다.
분배 수단(5)은 긴 튜브형 부재(35) 및 노즐(37)을 말단부에서 포함하고, 노즐(37)은 액체를 집중 패턴으로 방출시키도록 배열된 복수개의 개구(39)를 갖는다. 용기(29)의 섕크 부분(29b) 내로 끼워진 튜브형 부재(35)의 타단부는 섕크 부분(29b)의 말단부를 폐쇄시킨 피막을 관통할 수 있는 절삭날(40)을 제공하도록 경사져 있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튜브형 부재(35)는 가요성을 갖고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중 하나를 포함한다. 튜브형 부재(35)는 길이가 약 40 ㎜이고 외경이 1 내지 2 ㎜이고 벽두께가 약 0.1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시예에서, 노즐(37)은 단면이 원형이고 부분 구형 말단부를 갖는 삽입체에 의해 제공되고, 개구(39)는 약 90°의 섹터에 걸쳐 외주에 위치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 노즐(37)은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등의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된다. 튜브형 부재(35)의 외면은 폴리비닐 피롤리돈(polyvinyl pyrrolidone) 등의 친수성 재료로 피복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재료는 사용전 젖게 되어 신체 조직과 접촉시 마찰 저항을 감소시킨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튜브형 부재(35)에는 사용시 액체가 개구(39)로부터 방출되는 방향으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 (도시되지 않은) 지시 수단이 제공된다. 이러한 지시 수단은 사용자가 액체가 분배 수단(5)으로부터 방출될 방향을 용이하게 결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분배 장치는 분배 수단(5)을 보호하는 외피(41)를 추가로 포함한다. 외피(41)는 튜브형이고, 용기(29)의 섕크 부분(29b) 상에 끼워지도록 일단부는 폐쇄 상태이고 타단부는 개방 상태이다. 상기 실시예에서, 외피(41)는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되고,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으로 형성된다. 외피(41)의 개방 단부는 분배 장치의 수명 동안에 필요에 따라 외피(41)가 용이하게 제거 및 교체될 수 있게 하기 위해 용기(29)의 섕크 부분(29b)과 밀폐식 끼움이 되도록 구성된다.
도8 내지 도15는 본 발명의 제2 내지 제9 실시예에 따른 분배 수단(5)의 말단부를 도시하고 있다. 도8에서, 개구(39)는 노즐(37)보다 반경이 작은 원 상에 위치된 반경 방향으로 배치된 긴 슬롯이고, 약 90°의 섹터에 걸쳐 위치된다. 도9에서, 개구(39)는 엇갈리게 반경 방향으로 배치된 긴 슬롯이고, 서로 다른 반경을 갖지만 노즐(37)보다 반경이 작은 원 상에서 약 90°의 섹터에 걸쳐 위치된다. 도10에서, 개구(39)는 엇갈리게 반경 방향으로 배치되고 약 90°의 섹터에 걸쳐 위치된 된 긴 슬롯이지만, 제1 개구(39)는 노즐(37)의 외주에 위치되고 제2 개구(39)는 노즐(37)보다 반경이 작은 원 상에 위치된다. 도11에서, 개구(39)는 도10의 노즐(37)의 개구(39)와 유사한 반경 방향 위치에 위치되지만 약 180°의 섹터에 걸쳐 연장된 반경 방향으로 배치된 긴 슬롯이다. 도12에서, 개구(39)는 도9의 노즐(37)의 개구(39)와 유사한 반경 방향 위치에서 약 90°의 섹터에 걸쳐 위치된 긴 슬롯이지만, 반경 방향 배치와 반대로 원형 방향으로 배치된다. 도13에서, 개구(39)는 원형이고 노즐(37)보다 반경이 작은 원 상에서 약 120°의 섹터에 걸쳐 위치된다. 도14에서, 노즐(37)은 노즐(37)보다 반경이 작은 원 상에서 약 90°의 섹터에 걸쳐 위치된 슬롯 형태의 하나의 아치형 개구(39)를 포함한다. 도15에서, 노즐(37)은 슬롯 형태의 하나의 직경 방향으로 배치된 긴 개구(39)를 포함한다.
도16 및 도17은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에 따른 분배 수단(5)의 말단부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노즐(37)은 튜브형 부재(35)의 말단부에 부착된 피막을 포함한다. 노즐(37)은 반경 방향으로 배치된 슬릿 형태로 된 복수개의 개구(39)를 포함한다. 상기 실시예에서, 도8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노즐(37)은 탄성 재료로부터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전형적으로는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등의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된다. 노즐(37)이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된 경우에, 부착은 가열 용융(heat melting)에 의해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시, 사용자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형적으로 등록 상표 Xylocaine 등의 국부 마취제가 로딩되는 분배 장치를 파지하고 분배 수단(5) 주위로부터 외피(41)를 제거한다. 다음에, 사용자는 친수성 피복물을 분배 수단(5)의 튜브형 부재(35) 상에 젖게 하여 사용자의 콧구멍 내로 통과시킨다. 노즐(37)을 포함한 분배 수단(5)의 말단부는 전형적으로 비강의 후방 구역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노즐(37)이 개구(39)를 일측에만 포함한 경우에, 사용자는 액체가 인가되는 위치를 향해 개구(39)가 위치된 노즐(37)측이 배치된 것을 확신한다. 분배 수단(5)이 완전히 삽입된 때, 사용자는 계량된 부피의 액체를 분배 수단(5)으로부터 방출시키도록 분배 장치를 조작한다. 분배 장치의 조작은 2개의 별개 단계를 요구하는데, 하나는 분배 장치를 조작하도록 본체(2)에 대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반시계 방향으로의) 플런저(3)의 회전이고, 둘째는 액체를 분배 수단(5)으로부터 방출시키는 플런저(3)의 가압(depression)이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분배 장치는 2개의 인접한 전방 계단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예컨대 계단(15a)으로부터 계단(15b)으로의 플런저(3)의 이동에 의해 100 내지 200 ㎕ 부피의 액체가 분배 수단(5)으로부터 방출되도록 구성된다. 다음에, 사용자는 약물에 의한 소정의 효과 유무를 결정하기 위해 잠시 대기한다. 소정의 효과가 없다면, 분배 수단(5)은 재위치되고 분배 장치는 동일한 방식으로 재조작된다. 마찬가지로, 분배된 약물로부터 충분한 효과가 없다면, 분배 수단(5)이 동일한 위치에 있는 상태로, 사용자는 분배 장치를 재조작한다. 소정의 효과가 있을 때, 사용자는 분배 수단(5)을 인출하여 외피(41)를 분배 수단에 끼운다. 다음에, 분배 장치는 사용되지 않거나 재사용되어야 한다는 재요구를 받을 때까지 방치 또는 저장될 수 있다.
도18은 사용시 액체가 분배되는 본 발명의 제11 실시예에 따른 분배 유닛(101) 및 분배 수단(103)을 포함한 제2 분배 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분배 유닛(101)은 긴 튜브형 하우징(105)과, 내부에서 활주 가능하게 배치된 펌프 조립체(107)를 포함한다. 상기 실시예에서, 하우징(105) 및 펌프 조립체(107)는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되고,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으로 형성된다.
펌프 조립체(107)는 입구를 형성하는 제1 개구(113)와, 출구를 형성하는 제2 개구(115)와, 탄성 멤브레인(119)이 가로질러 배치된 제3 개구(117)를 갖는 챔버(111)를 형성하는 본체(109)를 포함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형상이 볼록한) 탄성 멤브레인(119)은 챔버(111)벽의 일부를 형성하고 멤브레인(119)이 본체에 부착되게 하는 외주 비드(bead)(121)를 포함한다. 제1 개구(113)는 액체가 챔버(111) 내로 유동되게 하지만 챔버(111)로부터 유동되지 못하게 하는 (상기 실시예에서는 플랩 밸브인) 일방향 밸브(123)와, 이하에서 설명되겠지만 사용시 용기(127)가 부착되는 중공 니들(125)을 포함한다. 제2 개구(115)는 액체가 챔버(111)로부터 유동되게 하지만 챔버(111) 내로 유동되지 못하게 하는 일방향 밸브(129)와, 이하에서 설명되겠지만 분배 수단(103)의 일단부를 수용하는 튜브형 섹션(131)을 포함한다. 펌프 조립체(107)는 하우징(105) 내의 펌프 조립체(107)를 도18 내지 도20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연장 사용 위치와 도2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후퇴 저장 위치 사이에서 활주시키도록 사용자의 손가락(finger or thumb)에 의해 조작될 수 있는 (상기 실시예에서는 노브 형태의) 돌출부(133)를 추가로 포함한다.
하우징(105)은 사용시 분배 수단(103)이 통과하는 작은 개구(137)가 형성된 단부 부재(135)를 갖는다. 하우징(105)의 타단부(139)는 펌프 조립체(107)의 삽입 및 제거가 가능하도록 개방 상태이다. 또한, 하우징(105)은 펌프 조립체(107)가 도18 내지 도20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연장 사용 위치에 있을 때 펌프 조립체(107)의 멤브레인(119)이 위치되는 측방향 개구(141)를 단부 부재(135) 근방에서 포함한다. 이러한 연장 위치에서, 펌프 조립체(107)는 이하에서 설명되겠지만 멤브레인(119)을 가압함으로써 조작될 수 있다. 하우징(105)은 그 개방 단부(139)로부터 측방향 개구(141) 근방의 위치로 연장된 종방향 슬롯(143)을 추가로 포함하는데, 종방향 슬롯(143)에서 펌프 조립체(107) 상의 돌출부(133)는 활주 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 실시예에서, 하우징(105)의 개방 단부(139)의 종방향 슬롯(143)의 단부는 펌프 조립체(107) 상의 돌출부(135)가 하우징(105)의 개방 단부(139)의 종방향 슬롯(143)을 먼저 개방하여 확장시키지 않고는 통과할 수 없는 포획부(catch)로서 작용을 하는 구속부(restriction)(145)를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가 분배 수단(103)을 후퇴시킬 때, 펌프 조립체(107)는 하우징(105)으로부터 우연히 인출될 수 없다.
분배 유닛(101)은 용기(127)를 추가로 포함한다. 용기(127)는 상기 제1 분배 장치와 동일하게 구성되고, 제1 강성 반구형 부분(127a)과, 제1 부품(127)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되고 중공 니들(125)을 펌프 조립체(107)의 제1 개구(113)에서 수용하도록 구성된 긴 보어(147)를 갖는 제2 섕크 부분(127b)과, 분배를 위한 소정 부피의 액체를 담는 구형 챔버(149)를 제1 부분(127a)과 함께 형성하는 제3 변형 가능 반구형 부분(127c)을 포함한다. 재사용 가능한 분배 장치에서는 이미 사용된 용기(127)가 새로운 용기(127)에 의해 제거 및 교체될 수 있다. 용기(127)의 재료는 담긴 액체에 따라 선택되는데, 필수적으로 재료는 담긴 액체에 불활성이어야 한다. 전형적인 재료로는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이 포함된다. 상기 실시예에서, 끼움 단계전, 용기(127)의 섕크 부분(127b)의 말단부는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등의 플라스틱 재료가 바람직한 (도시되지 않은) 피막에 의해 폐쇄되고, 피막은 액체를 용기(127) 내에 담는 역할을 한다. 사용시, 용기(127)의 제3 부분(127c)은 액체가 용기(127)로부터 인출됨에 따라 파괴되도록 구성된다.
분배 수단(103)은 긴 튜브형 부재(151) 및 노즐(153)을 말단부에서 포함하는데, 노즐(153)은 액체를 노즐로부터 집중 패턴으로 방출하도록 배열된 복수개의 개구(155)를 포함한다. 도22 및 도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에서, 노즐(153)은 튜브형 부재(151)와 일체로 형성되고, 개구(155)는 반경 방향으로 배치된 슬릿이다. 실제로, 노즐(153)은 폐쇄된 부분 구형 표면을 제공하도록 튜브형 부재(151)의 단부를 용융시킨 다음에 복수개의 개구(155)를 제공함으로써 형성된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튜브형 부재(151)는 가요성을 갖고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중 하나를 포함한다. 튜브형 부재(151)는 약 40 ㎜의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24 및 도25는 본 발명의 제12 실시예에 따른 분배 수단(103)의 말단부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튜브형 부재(151)는 상기 제11 실시예와 대체로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지만 형상이 비대칭이다. 이러한 비대칭 형상은 2가지 기능을 수행하는데, 이는 (이는 노즐(153) 내의 개구(155)가 일측에만 제공되는 경우에 중요한) 튜브형 부재(151)가 특정한 각도 관계로 분배 유닛(101)에 부착되게 하는 기능과, 사용시 액체가 노즐(153) 내의 개구(155)로부터 방출될 방향을 지시하는 기능을 말한다.
사용시, 사용자는 도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형적으로 등록 상표 Xylocaine 등의 국부 마취제가 로딩되는 전형적인 분배 장치를 파지하고, 분배 수단(103)을 도18 내지 도20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연장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펌프 조립체(107) 상의 돌출부(133)를 손가락으로 조작한다. 다음에, 사용자는 펌프 조립체(107)의 챔버(111)가 액체로 충만한 것을 보증할 정도의 충분한 횟수로 펌프 조립체(107)의 멤브레인(119)을 가압함으로써 분배 장치를 조작한다. 다음에, 사용자는 친수성 피복물을 분배 수단(103)의 튜브형 부재(151) 상에 추가로 젖게 하여 사용자의 콧구멍 내로 통과시킨다. 노즐(153)을 포함한 분배 수단(103)의 말단부는 전형적으로 비강의 후방 구역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노즐(153)이 개구(155)를 일측에만 포함한 경우에, 사용자는 액체가 인가되는 위치를 향해 개구(155)가 위치된 노즐(153)측이 배치된 것을 확신한다. 도24 및 도25의 실시예에서, 이는 분배 수단(103)의 비대칭 튜브형 부재(151)의 긴 부분을 액체가 방출되어야 하는 방향으로 배치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분배 수단(103)이 완전히 삽입된 때, 사용자는 계량된 부피의 액체를 분배 수단(103)으로부터 방출시키도록 멤브레인(119)을 가압함으로써 펌프 조립체(107)를 작동시킨다. 멤브레인(119)을 가압하는 데 있어서, 챔버 내에는 출구 밸브(129)를 개방하여 액체가 챔버(111)를 떠나게 하고 입구 밸브(123)를 폐쇄하는 정압(positive pressure)이 발생된다. 멤브레인(119)의 해제시, 출구 밸브(129)를 폐쇄시키고 멤브레인(119)이 원위치로 복귀될 때까지 액체가 용기(127)로부터 인출되는 입구 밸브(123)를 개방시켜 챔버(111) 내에는 감소된 압력이 나타난다. 이러한 방식으로, 챔버(111)는 펌프 조립체(107)의 추가 작동시, 분배 수단(103)으로부터 방출되어야 하는 계량된 부피의 액체가 충전된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펌프 조립체(107)는 각각의 펌프 조립체(107)의 작동시 100 내지 200 ㎕ 부피의 액체가 분배 수단(103)으로부터 방출되도록 구성된다. 펌프 조립체(107)를 작동시킨 후, 사용자는 약물에 의한 소정의 효과 유무를 결정하기 위해 잠시 대기한다. 소정의 효과가 없다면, 분배 수단(103)은 재위치되고 분배 장치는 동일한 방식으로 재조작된다. 마찬가지로, 분배된 약물로부터 충분한 효과가 없다면, 분배 수단(103)이 동일한 위치에 있는 상태로 사용자는 분배 장치를 재조작한다. 소정의 효과가 있을 때, 사용자는 분배 수단(103)을 콧구멍으로부터 인출하고, 인출후 분배 수단(103)을 하우징(105) 내로 후퇴시키도록 펌프 조립체(107) 상의 돌출부(133)를 조작한다. 다음에, 분배 장치는 사용되지 않거나 재사용되어야 한다는 재요구를 받을 때까지 방치 또는 저장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제한되지 말아야 하고 첨부된 청구의 범위의 범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다른 많은 방식으로 변형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Claims (45)

  1. 약물을 함유한 액체를 비강의 후방 구역으로 분배하는 분배 수단에 있어서,
    분배 수단은 긴 튜브형 부재(35; 151) 및 노즐(37; 153)을 자유 단부에서 포함하고, 노즐(37; 153)은 사용시 액체가 분배되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39; 15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 수단.
  2.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개구(39; 155)는 반경 방향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 수단.
  3.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개구(39; 155)는 원형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 수단.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개구(39; 155)는 노즐(37; 153)의 외주에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 수단.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개구(39; 155)는 노즐(37; 153)보다 반경이 작은 원 상에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 수단.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개구(39; 155)는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 수단.
  7. 제6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개구(39; 155)는 직선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 수단.
  8. 제6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개구(39; 155)는 아치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 수단.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개구(39; 155)는 슬릿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 수단.
  10.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개구(39; 155)는 슬롯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 수단.
  11.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개구(39; 155)는 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 수단.
  12.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개구(39; 155)는 다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 수단.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분배 수단은 복수개의 개구(39; 15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 수단.
  14. 제13항에 있어서, 개구(39; 155)는 서로 다른 반경을 갖는 적어도 2개의 원 상에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 수단.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노즐(37)은 삽입체를 튜브형 부재(35)의 말단부 내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 수단.
  16.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노즐(37)은 튜브형 부재(35)의 말단부에 고정된 피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 수단.
  17.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튜브형 부재(151) 및 노즐(153)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 수단.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노즐(37; 153)의 말단부는 부분 구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 수단.
  19.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튜브형 부재(35; 151)는 가요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 수단.
  20.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튜브형 부재(35; 151)는 친수성 피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 수단.
  21.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튜브형 부재(35; 151)는 사용시 액체가 방출될 방향을 지시하도록 튜브형 부재(35; 151)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 지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 수단.
  22. 제1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튜브형 부재(35; 151)는 단면이 비대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 수단.
  23. 제1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분배 수단을 포함한 분배 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분배 장치는 배럴(7)을 갖는 본체(2)와, 배럴(7) 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플런저(3)를 구비한 복수개의 계량된 액체의 분배 유닛(1)을 포함하며, 배럴(7) 및 플런저(3) 중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통로(13)를 포함하고, 배럴(7) 및 플런저(3) 중 다른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통로(13)를 따라 이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25)를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통로(13)는 액체의 분배 단계에서 적어도 하나의 통로(13)를 통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25)의 이동 방향으로 축방향 전방면(13a)을 갖고, 축방향 전방면(13a)은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25)가 위치 가능한 복수개의 축방향 이격 계단(15a 내지 15e)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 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통로(13)는 배럴(7) 내에 있고,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25)는 플런저(3) 상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 장치.
  26. 제24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통로(13)는 플런저(3) 내에 있고,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25)는 배럴(7) 상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 장치.
  27. 제24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통로(13)는 관통 슬롯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 장치.
  28. 제24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통로(13)는 블라인드 슬롯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 장치.
  29. 제24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25)는 축방향으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 장치.
  30. 제24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25)는 모따기된 선단 모서리(2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 장치.
  31. 제24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통로(13)는 계량된 부피의 액체의 분배 단계에서 전방면(13a)에 의해 형성된 각각의 계단(15a 내지 15e)으로의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25)의 이동시 배럴(7)에 대한 플런저(3)의 연속적인 축방향 이동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 장치.
  32. 제24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통로(13)는 액체의 분배 단계에서 적어도 하나의 통로(13)를 통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25)의 이동 방향으로 축방향 후방면(13b)을 포함하고, 축방향 후방면(13b)은 복수개의 축방향 이격 계단(17b 내지 17e)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 장치.
  33. 제32항에 있어서, 후방면(13b)에 의해 형성된 계단(17a 내지 17e)은 전방면(13a)에 의해 형성된 계단(15a 내지 15e)에 대해 대칭 관계로 축방향으로 이동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 장치.
  34. 제32항 또는 제33항에 있어서, 후방면(13b)에 의해 형성된 계단(17b 내지 17e)은 각각 그 위에 형성된 디텐트(19)를 후단 모서리에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 장치.
  35. 제24항 내지 제3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분배 유닛(1)은 용기(29)를 추가로 포함하고, 용기(29)의 적어도 일부(29c)는 소정 부피의 액체를 보유하도록 변형 가능하고, 용기(29)는 배럴(7)에 대한 플런저(3)의 축방향 이동시 계량된 부피의 액체를 분배하도록 사용시 파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 장치.
  36. 제35항에 있어서, 용기(29)는 분배 유닛(1)의 본체의 일체 부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 장치.
  37. 제35항에 있어서, 용기(29)는 분배 유닛(1)의 본체(109)와 분리된 부품이고 그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 장치.
  38. 제23항에 있어서, 분배 장치는 하나 이상의 계량된 부피의 약물 함유 액체를 분배 수단(103)으로 분배하는 분배 유닛(101)을 포함하고, 분배 유닛(101)은 작동시 계량된 부피의 액체가 출구로 분배되는 펌프 조립체(10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 장치.
  39. 제38항에 있어서, 펌프 조립체(107)는 입구를 형성하는 제1 개구(113)와, 출구를 형성하는 제2 개구(115)와, 탄성 멤브레인(119)이 가로질러 배치된 제3 개구를 갖는 챔버(111)를 형성하는 본체(109)를 포함하고, 출구로의 계량된 부피의 액체의 분배는 멤브레인(119)의 이동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 장치.
  40. 제38항 또는 제39항에 있어서, 분배 유닛(101)은 분배 수단(103) 및 펌프 조립체(107)가 활주 가능하게 배치된 하우징(105)을 추가로 포함하고, 분배 수단(103)은 실질적으로 하우징(105) 내에 있게 되는 제1 위치와, 하우징(105)으로부터 사용 준비 위치로 연장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 장치.
  41. 제40항에 있어서, 하우징(105)은 종방향 슬롯(143)을 포함하고, 펌프 조립체(107)는 분배 수단(103)을 활주 가능하게 위치시키는 수단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슬롯(143)을 통해 연장된 돌출부(1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 장치.
  42. 제38항 내지 제4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분배 유닛(101)은 용기(127)를 추가로 포함하고, 용기의 적어도 일부(127c)는 소정 부피의 액체를 보유하도록 변형 가능하고, 용기(127)는 액체의 분배시 파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 장치.
  43. 약물을 함유한 액체를 비강의 후방 구역으로 분배하는 분배 방법에 있어서,
    분배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개구(39; 155)를 갖는 노즐(37; 153)과 긴 튜브형 부재(35; 151)를 자유 단부에서 구비한 분배 유닛(1; 101)을 하나의 콧구멍 내로 삽입하여 노즐을 비강의 후방 구역 근방에 위치시키는 단계와, 액체를 노즐(37; 153) 내의 적어도 하나의 개구(39; 155)를 통해 분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 방법.
  44. 복수개의 계량된 부피의 약물 함유 액체를 분배하는 분배 장치에 있어서,
    분배 장치는 사용시 약물 함유 액체가 분배되는 긴 튜브형 부재(35)로서의 분배 수단(5)과, 분배 수단(5)에 연결된 분배 유닛(1)을 포함하고, 분배 유닛(1)은 배럴(7)을 구비한 본체(2)와, 배럴(7) 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플런저(3)를 포함하며, 배럴(7) 및 플런저(3) 중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통로(13)를 포함하고, 배럴(7) 및 플런저(3) 중 다른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통로(13)를 따라 이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25)를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통로(13)는 액체의 분배 단계에서 적어도 하나의 통로(13)를 통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25)의 이동 방향으로 축방향 전방면(13a)을 갖고, 축방향 전방면(13a)은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25)가 위치 가능한 복수개의 축방향 이격 계단(15a 내지 15e)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 장치.
  45. 하나 이상의 계량된 부피의 약물 함유 액체를 분배하는 분배 장치에 있어서,
    분배 장치는 사용시 약물 함유 액체가 분배되는 분배 수단(103)과, 분배 수단(103)에 연결된 분배 유닛(101)을 포함하고, 분배 유닛(101)은 작동시 계량된 부피의 액체가 분배 수단(103)으로 분배되는 펌프 조립체(107)와, 분배 수단(103) 및 펌프 조립체(107)가 활주 가능하게 배치된 하우징(105)을 포함하고, 분배 수단(103)은 실질적으로 하우징(105) 내에 있게 되는 제1 위치와, 하우징(105)으로부터 사용 준비 위치로 연장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 장치.
KR1020007006714A 1997-12-19 1998-12-15 약물을 함유한 액체의 분배 장치 KR2001005212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9704769A SE9704769D0 (sv) 1997-12-19 1997-12-19 Medical device
SE9704769-0 1997-12-19
PCT/SE1998/002318 WO1999032185A1 (en) 1997-12-19 1998-12-15 Device for delivering liquid containing medicam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2127A true KR20010052127A (ko) 2001-06-25

Family

ID=20409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6714A KR20010052127A (ko) 1997-12-19 1998-12-15 약물을 함유한 액체의 분배 장치

Country Status (22)

Country Link
US (1) US6322542B1 (ko)
EP (1) EP1039945A1 (ko)
JP (1) JP2001526097A (ko)
KR (1) KR20010052127A (ko)
CN (1) CN1282260A (ko)
AR (1) AR017439A1 (ko)
AU (1) AU1989399A (ko)
BR (1) BR9813774A (ko)
CA (1) CA2315381A1 (ko)
EE (1) EE200000361A (ko)
HU (1) HUP0102644A3 (ko)
ID (1) ID25633A (ko)
IL (1) IL136427A0 (ko)
IS (1) IS5535A (ko)
NO (1) NO20003056L (ko)
PL (1) PL341284A1 (ko)
SE (1) SE9704769D0 (ko)
SK (1) SK8122000A3 (ko)
TR (1) TR200001929T2 (ko)
TW (1) TW418099B (ko)
WO (1) WO1999032185A1 (ko)
ZA (1) ZA9811585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3565B1 (ko) * 2011-08-26 2013-12-02 한상관 사람이나 동물의 콧속 또는 항문 또는 여성의 성기 속을 청결하게 소독하여주는 다기능 소독기 및 여기에 적용되는 다기능 소독기용 소독액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44211A1 (de) * 1999-09-15 2001-03-22 Pfeiffer Erich Gmbh & Co Kg Vorrichtung zum ggf. zerstäubten Ausbringen eines insbesondere flüssigen Mediums
US6382204B1 (en) * 1999-10-14 2002-05-07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Drug delivery system including holder and drug container
US7331944B2 (en) 2000-10-23 2008-02-19 Medical Instill Technologies, Inc. Ophthalmic dispenser and associated method
SG178625A1 (en) 2000-10-23 2012-03-29 Medical Instill Tech Inc Fluid dispenser having a rigid vial and flexible inner bladder
WO2002083230A1 (en) * 2001-04-10 2002-10-24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Drug delivery system including holder and drug container
US7798185B2 (en) 2005-08-01 2010-09-21 Medical Instill Technologies, Inc. Dispenser and method for storing and dispensing sterile food product
AU2003273230A1 (en) 2002-08-13 2004-02-25 Medical Instill Technologies, Inc. Container and valve assembly for storing and dispensing substances, and related method
US20040146831A1 (en) * 2003-01-23 2004-07-29 Kerrhawe Sa Unit dose delivery system for dental sensitivity product
DE10321902A1 (de) * 2003-05-06 2004-12-09 Ing. Erich Pfeiffer Gmbh Austragvorrichtung für zumindest ein Medium
US6997219B2 (en) 2003-05-12 2006-02-14 Medical Instill Technologies, Inc. Dispenser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filling a dispenser
US7226231B2 (en) 2003-07-17 2007-06-05 Medical Instill Technologies, Inc. Piston-type dispenser with one-way valve for storing and dispensing metered amounts of substances
US7810677B2 (en) 2004-12-04 2010-10-12 Medical Instill Technologies, Inc. One-way valve and apparatus and method of using the valve
DE102005004889A1 (de) 2005-02-03 2006-08-10 Krämer, Ulrich, Dr. med. Sprayflasche zum Einführen eines Flüssigkeitsvolumens, insbesondere Nasensprayflasche
FR2884505B1 (fr) * 2005-04-13 2007-07-06 Techpack Int Sa Vaporisateur rechargeable
JP4761837B2 (ja) * 2005-05-27 2011-08-31 信行 大原 鼻腔内麻酔薬塗布装置
DE102005025371A1 (de) * 2005-05-31 2006-12-07 Seaquist Perfect Dispensing Gmbh Vorrichtung zur Ausgabe eines vorzugsweise kosmetischen Fluids
JP4832071B2 (ja) * 2005-10-07 2011-12-07 哲丸 宮脇 麻酔装置
DE102006012302A1 (de) 2006-03-15 2007-09-27 Seaquist Perfect Dispensing Gmbh Abgabevorrichtung
DE102006030741A1 (de) * 2006-04-04 2007-10-11 Seaquist Perfect Dispensing Gmbh Dosierventil und Vorrichtung zur Abgabe einer vorzugsweise kosmetischen Flüssigkeit
WO2007131790A2 (de) * 2006-05-16 2007-11-22 Seaquist Perfect Dispensing Gmbh Abgabevorrichtung
DE102006027042A1 (de) * 2006-06-08 2007-12-13 Seaquist Perfect Dispensing Gmbh Abgabevorrichtung
US20080097286A1 (en) * 2006-08-04 2008-04-24 0696578 B.C. Ltd Incorporation Anal ointment applicator
EP2099572B1 (de) * 2006-09-07 2014-07-23 Aptar Dortmund GmbH Abgabevorrichtung
JP2008200130A (ja) * 2007-02-16 2008-09-04 Jichi Medical Univ 薬液供給チューブ
DE102007049614B4 (de) 2007-03-15 2015-03-05 Aptar Dortmund Gmbh Abgabevorrichtung
ES2436002T3 (es) 2008-06-20 2013-12-26 Aptar Dortmund Gmbh Dispositivo de distribución
US8690839B2 (en) 2008-08-01 2014-04-08 Tian Xia Devices for delivering a medicament and connector for same
US20100030187A1 (en) * 2008-08-01 2010-02-04 Tian Xia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Headaches
US8231588B2 (en) * 2008-08-01 2012-07-31 Tian Xia Methods for ameliorating pain and devices for delivering a medicament
US8905980B2 (en) * 2008-08-01 2014-12-09 Tian Xia Devices for delivering a medicament and methods for ameliorating pain
DE102008038654B4 (de) 2008-08-12 2019-09-19 Aptar Dortmund Gmbh Abgabekopf mit schwenkbarem Ventilelement
US8286839B2 (en) 2008-08-12 2012-10-16 Aptar Dortmund Gmbh Dispensing device
US20100057048A1 (en) 2008-09-04 2010-03-04 Stephen Eldredge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Treating Atypical Headaches
DE102009030627B4 (de) 2009-06-25 2020-03-12 Aptar Dortmund Gmbh Ventil und Abgabevorrichtung
CN102740903B (zh) 2009-12-23 2014-12-17 贝克顿·迪金森公司 单剂量经鼻药物输送设备
US9408746B2 (en) 2010-03-31 2016-08-09 Ocuject, Llc Device and method for intraocular drug delivery
AU2011249932B2 (en) 2010-05-07 2015-12-17 Alps, Llc Dispensing machine valve and method
WO2012061140A1 (en) 2010-10-25 2012-05-10 Medrad, Inc. Bladder syringe fluid delivery system
US9498570B2 (en) 2010-10-25 2016-11-22 Bayer Healthcare Llc Bladder syringe fluid delivery system
WO2012119262A1 (en) * 2011-03-04 2012-09-13 Hoffmann Neopac Ag Medical device for dispensing a medical or pharmaceutical product
WO2012147862A1 (ja) * 2011-04-26 2012-11-01 ぺんてる株式会社 定量吐出容器
US9486190B2 (en) 2011-10-28 2016-11-08 Medtronic Xomed, Inc. Spray delivery system
US10441959B2 (en) 2011-10-28 2019-10-15 Medtronic Xomed, Inc. Multi-orifice spray head
US8974436B2 (en) 2011-10-28 2015-03-10 Medtronic Xomed, Inc. Multi-sectioned cannula with multiple lumens
US9421129B2 (en) * 2012-04-02 2016-08-23 Ocuject, Llc Intraocular delivery devices and methods therefor
US9504603B2 (en) 2012-04-02 2016-11-29 Ocuject, Llc Intraocular delivery devices and methods therefor
US9180252B2 (en) 2012-04-20 2015-11-10 Bayer Medical Care Inc. Bellows syringe fluid delivery system
US20140054189A1 (en) * 2012-08-23 2014-02-27 Lih-Chiu Wu Nasal flushing device
WO2014037524A1 (en) * 2012-09-06 2014-03-13 Norwegian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Ntnu) Intervention device
CN103800973A (zh) * 2012-11-09 2014-05-21 段七梅 边置式喷嘴喷鼻器
DE102013114336A1 (de) * 2012-12-18 2014-06-18 Slg Pharma Gmbh & Co. Kg Dosierung entnehmbar
US9814871B2 (en) 2013-03-15 2017-11-14 Bayer Healthcare Llc Connector assembly for syringe system
US9539402B2 (en) * 2013-06-10 2017-01-10 Guidance Airway Solutions, Llc Combined laryngo-tracheal anesthetic and stylet device
US9510743B2 (en) * 2013-12-17 2016-12-06 Biovision Technologies, Llc Stabilized surgical device for performing a sphenopalatine ganglion block procedure
US10016580B2 (en) * 2013-12-17 2018-07-10 Biovision Technologies, Llc Methods for treating sinus diseases
US9516995B2 (en) * 2013-12-17 2016-12-13 Biovision Technologies, Llc Surgical device for performing a sphenopalatine ganglion block procedure
US9694163B2 (en) 2013-12-17 2017-07-04 Biovision Technologies, Llc Surgical device for performing a sphenopalatine ganglion block procedure
FR3016304B1 (fr) * 2014-01-13 2018-03-09 Aptar France Sas Ensemble de distribution de produit fluide et procede d'utilisation d'un tel ensemble.
KR200473199Y1 (ko) * 2014-03-28 2014-06-18 김학범 의료용 복합 마취장치
USD772406S1 (en) 2014-12-16 2016-11-22 Biovision Technologies, Llc Surgical device
US20160361507A1 (en) * 2015-06-11 2016-12-15 Bruce H. Levin Nasal Delivery Device and Methods of Use
AR106795A1 (es) 2015-11-25 2018-02-21 Bayer Healthcare Llc Jeringa y sistema conector
WO2019087071A1 (en) * 2017-10-31 2019-05-09 Clexio Biosciences Ltd. Nasal delivery devices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10968031B2 (en) 2017-12-27 2021-04-06 Sulzer Mixpac Ag Piston for a collapsible cartridge
CN108020334B (zh) * 2018-01-09 2024-05-28 李永彬 一种牲畜用自膨胀防滑脱体温计
WO2020005910A1 (en) 2018-06-28 2020-01-02 Sandler Scientific, Llc Sino-nasal rinse delivery device with agitation, flow-control and integrated medication management system
FR3088224B1 (fr) * 2018-11-14 2023-01-13 Aptar France Sas Dispositif de distribution de produit fluide.
BR112022014156A2 (pt) 2020-02-21 2022-09-13 Bayer Healthcare Llc Conectores de percurso de fluido para distribuição de fluido médico
EP4168064A1 (en) 2020-06-18 2023-04-26 Bayer HealthCare, LLC In-line air bubble suspension apparatus for angiography injector fluid paths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12344A (en) * 1980-04-03 1982-01-26 Kenova Ab Syringe
US4405308A (en) * 1981-12-23 1983-09-20 The Kendall Company Anesthesia device with selective spray ports
US4548607A (en) * 1983-04-13 1985-10-22 Cordis Corporation Implantable manually actuated medication dispensing system
EP0168675B1 (en) * 1984-06-21 1990-04-11 David R. Fischell Finger actuated medication infusion system
WO1987000758A1 (en) * 1985-08-06 1987-02-12 Baxter Travenol Laboratories, Inc. Patient-controlled delivery of beneficial agents
US4886493A (en) 1987-10-22 1989-12-12 Jordan Yee Medical applicator process
US5053031A (en) * 1988-03-29 1991-10-01 Baxter International Inc. Pump infusion system
US4898585A (en) * 1988-05-18 1990-02-06 Baxter Healthcare Corporation Implantable patient-activated fluid delivery device with bolus injection port
US4898583A (en) * 1988-05-18 1990-02-06 Baxter Healthcare Corporation Implantable patient-activated fluid delivery device and outlet valve therefor
EP0363519A1 (en) * 1988-10-14 1990-04-18 Su-Haw Liu A vagina cleansing device
US5232448A (en) * 1989-12-05 1993-08-03 Prime Medical Products Patient-controlled analgesia device
US5085644A (en) * 1990-04-02 1992-02-04 Pudenz-Schulte Medical Research Corporation Sterilizable medication infusion device with dose recharge restriction
US5152753A (en) * 1990-04-02 1992-10-06 Pudenz-Schulte Medical Research Corporation Medication infusion device with dose recharge restriction
DE4016126A1 (de) * 1990-04-17 1991-10-24 Coster Tecnologie Speciali Spa Vorrichtung zur transnasalen oder oralen verabreichung von medikamenten o. dgl.
IT1248456B (it) * 1991-03-18 1995-01-19 Profarm Spa Siringa autobloccante
GB9316692D0 (en) 1993-08-11 1993-09-29 Smithkline Beecham Plc Novel device
US5419772A (en) * 1993-09-29 1995-05-30 Teitz; Bernard R. Surgical irrigation apparatus for cleaning and sterilizing wounds and surgical areas during surgery
US5840076A (en) * 1996-04-12 1998-11-24 Ep Technologies, Inc. Tissue heating and ablation systems and methods using electrode structures with distally oriented porous regions
SE9400821D0 (sv) * 1994-03-10 1994-03-10 Siemens Elema Ab Implanterbart infusionssystem med tryckneutral läkemedelsbehållare
US5766157A (en) * 1995-03-17 1998-06-16 Tilton, Jr.; Eugene B. Instrumentation for surgical endoscopic insertion and application of liquid and gel material
EP0846011A1 (en) 1995-08-18 1998-06-10 Pharmasol Limited Spray applicat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3565B1 (ko) * 2011-08-26 2013-12-02 한상관 사람이나 동물의 콧속 또는 항문 또는 여성의 성기 속을 청결하게 소독하여주는 다기능 소독기 및 여기에 적용되는 다기능 소독기용 소독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ZA9811585B (en) 2000-06-19
NO20003056D0 (no) 2000-06-14
AU1989399A (en) 1999-07-12
JP2001526097A (ja) 2001-12-18
TR200001929T2 (tr) 2001-05-21
BR9813774A (pt) 2004-09-14
AR017439A1 (es) 2001-09-05
PL341284A1 (en) 2001-04-09
HUP0102644A2 (hu) 2001-11-28
WO1999032185A1 (en) 1999-07-01
IS5535A (is) 2000-06-15
EP1039945A1 (en) 2000-10-04
CN1282260A (zh) 2001-01-31
SK8122000A3 (en) 2001-01-18
SE9704769D0 (sv) 1997-12-19
TW418099B (en) 2001-01-11
CA2315381A1 (en) 1999-07-01
US6322542B1 (en) 2001-11-27
ID25633A (id) 2000-10-19
IL136427A0 (en) 2001-06-14
EE200000361A (et) 2001-10-15
NO20003056L (no) 2000-08-15
HUP0102644A3 (en) 2001-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52127A (ko) 약물을 함유한 액체의 분배 장치
KR100831386B1 (ko) 투약 장치
EP0702575B1 (en) Device for administering pharmaceutical substances
AU734535B2 (en) Discharge device for flowable media using a thrust piston pump
US6530371B2 (en) Drug delivery system including holder and drug container
US9636489B2 (en) Dispensing applicator for fluids
US6910822B2 (en) Antiseptic preoperative applicator
AU2002220352A1 (en) Dispensing device
EP3380176A1 (en) Triggered quantal drug delivery device, method and system ("tqd3")
EP2271388B1 (en) Particulate dispenser
CS203046B2 (en) Device for dosing the liquid
KR102425471B1 (ko) 의료용 분말 분사장치
MXPA00006009A (en) Device for delivering liquid containing medicament
CZ20002255A3 (cs) Zařízení pro dodávání kapaliny obsahující lék
MXPA99007222A (en) Applicator for semi-solid medic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