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49777A - 차량탑재용 입력장치 - Google Patents

차량탑재용 입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49777A
KR20010049777A KR1020000040154A KR20000040154A KR20010049777A KR 20010049777 A KR20010049777 A KR 20010049777A KR 1020000040154 A KR1020000040154 A KR 1020000040154A KR 20000040154 A KR20000040154 A KR 20000040154A KR 20010049777 A KR20010049777 A KR 200100497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manual operation
input device
operation unit
clamp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0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49212B1 (ko
Inventor
오노데라미키오
Original Assignee
가타오카 마사타카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타오카 마사타카,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타오카 마사타카
Publication of KR200100497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97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92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92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5/00Means for preventing, limiting or returning the movements of parts of a control mechanism, e.g. locking controlling member
    • G05G5/06Means for preventing, limiting or returning the movements of parts of a control mechanism, e.g. locking controlling member for holding members in one or a limited number of definite positions only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5/00Means for preventing, limiting or returning the movements of parts of a control mechanism, e.g. locking controlling member
    • G05G5/005Means for preventing, limiting or returning the movements of parts of a control mechanism, e.g. locking controlling member for preventing unintentional use of a control mechanism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9/00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 G05G9/02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 G05G9/04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 G05G9/047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by hand about orthogonal axes, e.g. joystick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9/00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 G05G9/02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 G05G9/04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 G05G9/047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by hand about orthogonal axes, e.g. joysticks
    • G05G2009/04766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by hand about orthogonal axes, e.g. joysticks providing feel, e.g. indexing means, means to create counterfor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7/00Facilitation of operation; Human engineering
    • H01H2217/048Facilitation of operation; Human engineering adapted for operation by left- and right-hand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동조작부의 조작성을 방해하지 않고 가동부의 안정성 및 전력 절약성이 뛰어난 차량탑재용 입력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탑재용 입력장치(1)의 기구부(11)에 구면베어링 (13)과, 구면베어링(13)에 요동자유롭게 축지지된 요동축(14)과, 구면베어링(13)의 아래쪽에 배치된 솔레노이드(15)와, 솔레노이드(15)의 구동축(15a)의 상단부에 설치된 요동축(14)의 클램프부재(16)를 구비한다. 요동축(14)의 하단부는 아래쪽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원추형으로 형성되고, 이것과 대향하는 클램프부재(16)의 상면에는 요동축(14)의 선단부를 삽입할 수 있는 대략 원추형의 오목부(16a)가 형성된다. 솔레노이드(15)의 온·오프를, 수동조작부(3) 또는 그 근방에 배치되어 수동조작부(3)를 조작하고자 하는 사람의 손가락을 검출하는 포토인터럽터로 제어한다.

Description

차량탑재용 입력장치{INPUT DEVICE MOUNTED ON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에 탑재된 각종 전자기기의 조작을 하나의 수동조작부에서 집중적으로 행하는 차량탑재용 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해당 입력장치의 조작성 및 전력절약성을 향상하는 수단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자동차에는 에어컨이나 라디오, 텔레비젼, CD 플레이어, 내비게이션시스템 등의 각종 전자기기가 장비되어 있으나, 이와 같은 수 많은 전자기기를 각각에 구비된 조작체로 개별로 조작하고자 하면 자동차의 운전에 지장을 초래할 염려가 있다. 따라서 안전운전을 방해하지 않고 소망하는 전자기기의 온·오프전환이나 기능선택 등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종래부터 1개의 수동조작부를 조작함으로써 각종 전자기기의 여러가지의 조작이 가능하게 되는 차량탑재용 입력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이와 같은 차량탑재용 입력장치의 종래기술을 도 16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단, 도 16은 차량탑재용 입력장치의 설치예를 나타내는 자동차의 내면도, 도 17은 종래 제안되어 있는 차량탑재용 입력장치의 측면도, 도 18은 도 17에 나타내는 차량탑재용 입력장치의 수동조작부의 평면도, 도 19는 도 17에 나타내는 차량탑재용 입력장치에 조립되어 있는 가이드플레이트의 평면도이다.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예의 차량탑재용 입력장치(100)는 자동차의 운전석과 조수석의 사이에 설치된 콘솔박스(200)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 17에 나타내는 종래의 차량탑재용 입력장치(100)는 신호입력수단으로서 2개의 클릭용 스위치(111, 112) 및 3개의 회전형 가변저항기(113, 114, 115)을 구비한 수동조작부 (110)(도 18참조)와, 이 수동조작부(110)에 의해 서로 직교하는 2방향(도 17의 지면에 직교하는 방향과 도시 좌우방향)으로 구동되는 XY 테이블(120)과, 이 XY 테이블(120)의 동작방향 및 동작량에 따른 신호를 외부기기에 입력하는 위치신호입력수단으로서의 스틱콘트롤러(130)와, XY테이블(120)의 하면에 돌출 설치된 걸어맞춤핀 (160)과 걸어맞춤관계에 있는 가이드플레이트(140)(도 19참조)에 의하여 주로 구성되어 있다.
수동조작부(110)와 XY테이블(120)은 연결축(150)을 거쳐 일체화되어 있고, 또 XY 테이블(120)과 가이드플레이트(140)는 걸어맞춤핀(160)의 선단부를 가이드플레이트(140)의 가이드홈(141)에 이동가능하게 삽입함으로써 걸어맞춰져 있다. 이 가이드홈(141)은 걸어맞춤핀(160)의 선단부를 특정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임의의 형상으로 설정가능하나, 예를 들어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면형상이 십자형인 가이드홈(141)을 가이드플레이트(140)의 상면에 새겨설치하고 걸어맞춤핀 (160)의 선단부를 중심(A)으로부터 대략 직교하는 2방향을 따라 B, C, D, E의 각 끝단부까지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수동조작부(110)를 조작함으로써 XY테이블(120)을 거쳐 걸어맞춤핀(160)을 가이드플레이트(140)의 가이드홈(141)에 따라 이동시키킬 수 있어 이 걸어맞춤핀(160)의 선단부를 가이드홈(141)내의 각 지점(A, B, C, D, E)에 위치시킨 상태에 있어서 그 걸어맞춤위치에 관한 정보(위치신호)가 스틱콘트롤러(130)로부터 출력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위치신호를 이용하여 차량에 탑재되어 있는 전자기기의 조작대상이 되는 기능(조정하고자 하는 기능)을 택일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하여 전자기기의 소망하는 기능을 선택하면 수동조작부(110)에 설치되어 있는 3개의 회전형 가변저항기(113∼115)를 적절히 조작함으로써 그 선택한 기능의 조정이나 변환을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차량탑재용 입력장치(100)는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량에 탑재되어 있는 복수의 전자기기중에서 소망하는 전자기기를 택일적으로 선택하는 스위치장치(170)나, 이 스위치장치(170)에 의해 선택된 전자기기의 명칭 및 차량탑재용 입력장치(100)에 의해 조작된 내용 등을 표시하는 표시장치(180)나, 이들 각 장치를 제어하는 도시 생략한 컴퓨터 등과 조합하여 복수의 전자기기를 집중적으로 조작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스위치장치(170)는 콘솔박스(200)에 설치되어 있어 그 조작스위치(171a∼171e)는 차량탑재용 입력장치(100)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고, 이들 조작스위치(171a∼171e)가 각각 다른 전자기기와 개별로 접속되어 있다. 예를 들어 각 조작스위치(171a∼171e)가 각각 차량에 탑재된 에어컨, 라디오, 텔레비젼, CD 플레이어, 내비게이션시스템과 개별로 접속되어 있다고 하면, 조작스위치(171a)를 조작함으로써 에어컨의 온·오프전환이나 차량탑재용 입력장치 (100)에 대한 에어컨모드의 지정이 행하여지고, 조작스위치(171b)를 조작함으로써 라디오의 온·오프전환이나 차량탑재용 입력장치(100)에 대한 라디오모드의 지정이 행하여지고, 마찬가지로, 다른 조작키(171c∼171e)를 조작함으로써 각각 대응하는 전자기기의 온·오프전환이나 차량탑재용 입력장치(100)에 대한 모드지정을 행할 수 있다. 또 액정표시장치 등의 표시장치(180)는 운전석에서 보기쉬운 장소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컴퓨터는 콘솔박스(200)내에 설치되어 있다.
스위치장치(170)에 의해 선택된 전자기기의 기능선택이나 기능조정은 차량탑재용 입력장치(100)를 조작함으로써 행할 수 있으나, 선택된 전자기기의 종류에 따라 차량탑재용 입력장치(100)의 조작으로 선택가능한 기능이나 조정가능한 기능은 다르다. 예를 들어 스위치장치(170)를 조작하여 에어컨모드에서 지정하였을 때, 수동조작부(110)를 조작하여 걸어맞춤핀(160)을 가이드플레이트(140)의 가이드홈 (141)의 끝단부(B)에 위치시키고, 킬릭용 스위치(111)를 눌러 클릭하면 「풍량조정」의 기능이 선택되나, 걸어맞춤핀(160)을 가이드홈(141)의 끝단부(C)에 위치시켜 클릭용 스위치(111)를 클릭하면 「바람의 분찰위치의 조정」의 기능이 선택되고, 마찬가지로 걸어맞춤핀(160)을 가이드홈(141)의 끝단부(D, E)에 위치시켜 클릭용 스위치(111)를 클릭하면 각각 「바람의 분출방향의 조정」이나 「온도조정」의 기능이 선택된다.
그리고 이들 기능을 선택한 후에 회전형 가변저항기(113 ~ 115)를 적절히 조작함으로써 그 기능의 조정을 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위치장치(170)에 의해 에어컨모드가 지정되어 수동조작부(110)에 의해 「풍량조정」이 선택되어 있을 때에는 회전형 가변저항기(113)를 조작함으로써 에어컨의 풍량을 조정할 수 있고, 마찬가지로 에어컨모드에서 「바람의 분출위치의 조정」이 선택되어 있을 때에는 회전형 가변저항기(114, 115)를 조작함으로써 에어컨의 바람의 분출위치를 조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스위치장치(170)에 의하여 라디오모드가 지정되어 수동조작부 (110)에 의해 「음량조정」이 선택되어 있을 때에는 회전형 가변저항기(113)를 조작함으로써 라디오의 음량의 조정을 행할 수 있고, 마찬가지로 라디오모드에서 「튜닝」이 선택되어 있을 회전형 가변저항기(114, 115)를 조작함으로써 라디오의 튜닝을 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종래예에 관한 차량탑재용 입력장치(100)는 가동부인 수동조작부(110), X-Y테이블(120) 및 걸어맞춤핀(160)중 어느 것에도 수동조작부(110)의 비조작시에 있어서 이들 부재를 일정위치에 고정하는 클램프부재가 구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수동조작부(110)의 비조작시에 있어서 이들 부재가 자동차의 진동을 받아 진동하기 쉽고, 수동조작부(110)가 요동하거나 소음을 발생하여 운전자 동승자에게 불안정감을 주기 쉽다는 문제가 있다. 또 상기 가동부를 구성하는 각 부재가 자동차의 진동을 받아 요동하기 때문에, 실제로는 조작되어 있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컴퓨터측에서 수동조작부(110)가 조작되어 있다고 판단되어 예를 들어 표시장치(180) 등이 항상 통전상태가 되기 때문에 소비전력량이 높아진다는 문제도 있다.
또한 이들 문제는 가동부인 수동조작부(110), X-Y테이블(120) 또는 걸어맞춤 핀(160)중 어느 하나에 클램프부재를 설치하여 수동조작부(110)를 조작할 때 상기 클램프부재에 의한 클램프를 해제하도록 하면 해소할 수 있으나, 상기 클램프부재의 클램프상태 또는 클램프해제상태로의 전환이 자동적으로 행하여지지 않으면 수동조작부(110)를 조작하기 이전에 클램프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특별한 조작이 필요하게 됨과 동시에 수동조작부(110)의 조작을 종료한 후에 클램프부재를 클램프상태로 하기 위한 특별한 조작이 필요하게 되어 수동조작부(110)의 조작성이 현저하게 저해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불비를 해소하기 위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그 과제로 하는 점은 수동조작부의 조작성을 저해하는 일 없이 가동부의 안정성 및 전력절약성이 뛰어난 차량탑재용 입력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예에 관한 차량탑재용 입력장치의 계기판에 대한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예에 관한 차량탑재용 입력장치가 설치된 자동차의 실내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수동조작부와 이 수동조작부가 구비되는 기구부의 사시도,
도 4는 수동조작부와 이 수동조작부가 구비되는 기구부의 측면방향에서 본 요부단면도,
도 5는 기구부의 평면도,
도 6은 커버를 제거한 수동조작부의 평면도,
도 7은 수동조작부의 조작방향과 그에 의하여 선택되는 차량탑재 전기기기의 종별을 예시하는 설명도,
도 8은 수동조작부의 조작방향과 그에 의하여 전환되는 기능의 종별을 예시하는 설명도,
도 9는 전기모터의 제어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0은 컴퓨터에 구비된 메모리에 기억되는 데이터테이블의 일례를 나타내는 표도,
도 11은 전기모터의 제어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12는 계기판에 대한 차량탑재용 입력장치의 설치기구를 나타내는 평면방향에서 본 일부파단도,
도 13은 계기판에 대한 차량탑재용 입력장치의 설치기구를 나타내는 측면방향에서 본 일부파단도,
도 14는 표시장치에 표시되는 차량탑재 전기기기의 메뉴를 예시하는 설명도,
도 15는 표시장치에 표시되는 기능조정중인 차량탑재 전기기기의 상태를 예시하는 설명도,
도 16은 종래에 관한 차량탑재용 입력장치의 설치예를 나타내는 자동차의 내면도,
도 17은 종래 제안되어 있는 차량탑재용 입력장치의 측면도,
도 18은 도 17에 나타내는 차량탑재용 입력장치의 수동조작부의 평면도,
도 19는 도 17에 나타내는 차량탑재용 입력장치에 조립되어 있는 가이드플레이트의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차량탑재용 입력장치 2 : 박스체
3 : 수동조작부
4a, 4b, 4c, 4d, 4e, 4f : 푸시버튼스위치
5a, 5b, 5c : 푸시버튼스위치 6 : 볼륨 손잡이
7 : 카드슬롯 8 : 디스크슬롯
11 : 기구부 12 : 베이스
13 : 구면베어링 14 : 요동축
15 : 솔레노이드(구동수단) 16 : 클램프부재
17a, 17b : 회전축 18a, 18b : 대기어
19a, 19b : 전기모터(액츄에이터) 20a, 20b : 소기어
21a, 21b : 엔코더(위치센서) 22a, 22b : L자부재
31 : 투명창 32 : 회로기판
33 : 포토인터럽트(손가락 검지센서)
34 : 제 1 스위치 35 : 제 2 스위치
41 : CPU 42 : 조회부
43 : 테이블선택부 44 : ROM
45a, 45b, 45c, …: 테이블 46 : 위치신호검출부
51 : 베이스 52, 53 : 안내축
54 : 볼나사 55 : 베어링
56 : 죠인트 57 : 제 1 모터
58 : 너트 59 : 이송판
60 : 슬라이더 61 : 베어링
62 : 회전축 63 : 대기어
64 : 제 2 모터 65 : 소기어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차량탑재용 입력장치에 박스체의 내부에서 요동자유롭게 지지된 요동축과, 상기 박스체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상기요동축의 상단부에 설치된 수동조작부와, 상기 박스체의 내부에 구비된 구동수단과, 이 구동수단의 구동축에 고정되고, 이 구동수단의 온·오프동작에 따라 상기 요동축를 클램프하는 위치 또는 상기 요동축의 클램프를 해제하는 위치로 이동하는 클램프부재와, 상기 수동조작부를 조작하고자 하는 사람의 손가락을 검출하여 상기 구동수단을 자동적으로 온·오프하는 센서를 구비한다는 구성으로 하였다.
이와 같이 수동조작부가 설치되는 요동축을 클램프부재로 클램프하면 비조작시에 있어서의 수동조작부의 요동이 억제되기 때문에 운전자 또는 동승자에게 주는 불안정감을 해소할 수 있다. 또 수동조작부의 비조작시에는 불필요한 표시장치 등의 전원을 차단할 수 있으므로 소비전력량을 저감할 수 있다. 한편 수동조작부를 조작하고자 하는 사람의 손가락을 검출하여 클램프부재가 설치된 구동수단을 자동적으로 온·오프하는 센서를 구비하면 클램프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특별한 조작도 클램프상태로 변환하기 위한 특별한 조작도 불필요하게 되므로, 클램프부재가 없는 경우와 동일한 감각으로 수동조작부를 조작할 수 있어 수동조작부 나아가서는 차량탑재용 입력장치의 양호한 조작성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센서로서는 비접촉으로 사람의 손가락을 검출할 수 있기 때문에 내구성이 뛰어나고, 또한 소형으로 하여 좁은 공간내에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포토인터럽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포토인터럽터는 수동조작부 또는 박스체의 내부에 설정할 수 있다.
구동수단으로서는 소형으로 설정할 수 있는 솔레노이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요동축에는 원추형상의 하단부가 설치되어 있고, 요동축의 하단부와 대향하는 클램프부재의 상면에는 원추형상의 오목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구동수단의 온동작에 의해 클램프부재가 상승하면 요동축의 하단부와 클램프부재의 상면이 걸어맞춰져 클램프한다는 구성으로 하였다.
이와 같이 요동축의 하단부를 원추형상으로 하고, 요동축의 하단부에 대향하는 클램프부재의 상면에 원추형의 오목부를 설치하여 클램프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요동축이 경사진 상태에서 클램프가 개시되면, 서로 원추형상으로 되어 있음으로써 클램프부재의 상승과 동시에 요동축의 경사가 교정되므로 클램프가 원활하게 행하여진다.
차량탑재용 입력장치에 박스체와, 박스체의 상면에 설치된 수동조작부와, 수동조작부를 클램프하는 클램프부재와, 박스체 내부에 구비된 클램프부재를 구동하는 구동수단과, 수동조작부를 조작하고자 하는 사람의 손가락을 검출하여 구동수단을 자동적으로 구동하는 센서를 구비한다는 구성으로 하였다.
이와 같이 수동조작부를 클램프부재로 클램프하면 비조작시에 수동조작부의 진동이 억제된다. 또 수동조작부를 조작하고자 하는 사람의 손가락을 검출하여 자동적으로 구동수단을 구동하는 센서를 구비하면 클램프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특별한 조작의 필요가 없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차량탑재용 입력장치의 일 실시형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실시형태예에 관한 차량탑재용 입력장치의 계기판에 대한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실시형태예에 관한 차량탑재용 입력장치가 설치된 자동차의 실내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에서 분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예에 관한 차량탑재용 입력장치(1)는, 박스체(2)가 원하는 크기의 각형 용기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박스체(2)의 상면에는 수동조작부(3)와, 이 수동조작부(3)의 설정부를 중심으로 하는 원호형상으로 배열된 6개의 푸시버튼스위치(4a, 4b, 4c, 4d, 4e, 4f)와, 이 6개의 푸시버튼스위치군의 배열위치의 바깥둘레 부분에 이것과 동심원형상으로 배열된 3개의 푸시버튼스위치(5a, 5b, 5c)와, 볼륨손잡이(6)가 배치되어 있다. 또 이 박스체(2)의 앞면에는 카드슬롯(7)과 디스크슬롯(8)이 뚫려있다. 이 차량탑재용 입력장치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동차 계기판(A)의 운전석(B)과 조수석(C)의 사이에 설치되고, 계기판(A)에 구비된 표시장치(D) 및 계기판(A)내에 수납된 도시 생략한 컴퓨터와 함께 작동하여 소요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한 총 9개의 푸시버튼스위치(4a, 4b, 4c, 4d, 4e, 4f 및 5a, 5b, 5c)는 차량탑재용 입력장치(1)를 사용하여 조작하고자 하는 차량탑재 전기기기 예를 들어 에어컨, 라디오, 텔레비젼, CD 플레이어, 카내비게이션시스템 등에 개별로 접속된다. 어떤 푸시버튼스위치와 어떤 차량탑재 전기기기를 접속할 지는 임의로 설정할 수 있으나, 본 예의 차량탑재용 입력장치(1)에 있어서는 푸시버튼스위치(4a)가 메뉴선택, 푸시버튼스위치(4b)가 전화, 푸시버튼스위치(4c)가 에어컨, 푸시버튼스위치(4d)가 카내비게이션시스템, 푸시버튼스위치(4e)가 라디오, 푸시버튼스위치(4f)가 카드의 판독·기록 또는 디스크드라이브장치, 푸시버튼스위치(5a)가 차량탑재용 입력장치(1)의 자세제어, 푸시버튼스위치(5b)가 표시장치(D)의 전면(全面)에 설치된 액정셔터의 온·오프제어, 푸시버튼스위치(5c)가 텔레비젼에 각각 접속되어 있어 소망하는 푸시버튼스위치의 노브를 누름으로써 해당 푸시버튼스위치에 접속된 차량탑재 전기기기를 선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각 푸시버튼스위치의 노브의 표면에는 오조작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 스위치가 접속된 각 차량탑재 전기기기를 나타내는 문자나 그림문자 등이 표시된다(도시 생략).
도 3은 수동조작부(3)와 이 수동조작부(3)가 구비되는 기구부(11)의 사시도, 도 4는 수동조작부(3)와 이 수동조작부(3)가 구비되는 기구부(11)의 측면방향에서 본 요부단면도, 도 5는 기구부(11)의 평면도, 도 6은 커버를 제거한 수동조작부(3)의 평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서 분명한 바와 같이 기구부(11)는 박스체(2)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베이스(12)와, 베이스(12)에 설치된 구면베어링(13)과, 중앙부보다 약간 아래쪽에 설치된 볼형상부(14a)가 구면베어링(13)에 요동자유롭게 축지지된 요동축 (14)과, 구면베어링(13)의 아래쪽에 배치된 솔레노이드(15)와, 솔레노이드(15)의 구동축(15a)의 상단부에 설치된 요동축(14)의 클램프부재(16)와, 구면베어링(13)을 중심으로하여 베이스(12)에 평행한 면내에서 직교하는 축선상에 배치된 2개의 회전축(17a, 17b)과, 각 회전축(17a, 17b)의 선단부에 고정된 2개의 대기어(18a, 18b)와, 상기 각 회전축(17a, 17b)과 평행하게 배치된 2개의 전기모터(19a, 19b)와, 이 전기모터(19a, 19b)의 주축에 고정되고 상기 대기어(18a, 18b)와 맞물리는 2개의 소기어(20a, 20b)와, 상기 전기모터(19a, 19b)의 주축의 회전방향 및 회전량을 검출하는 2개의 엔코더(21a, 21b)와, 상기 요동축(14)의 X 방향 및 Y 방향(도 5 참조)의 요동을 X 방향 및 Y 방향의 회전으로 변환하여 상기 회전축(17a, 17b)에 전달하는 L 자부재(22a, 22b)로 이루어지고, 상기 요동축(14)의 상단부에 수동조작부 (3)가 설치되어 있다.
요동축(14)의 하단부는 아래쪽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원추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것과 대향하는 클램프부재(16)의 상면에는 요동축(14)의 선단부를 삽입가능한 대략 원추형의 오목부(16a)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솔레노이드(15)를 온조작하여 클램프부재(16)를 상승시키면 오목부(16a)내에 요동축(14)의 선단부가 삽입되어 요동축(14)이 클램프되어 볼형상부(14a)를 중심으로 하는 요동이 금지된다. 이에 대하여 솔레노이드(15)를 오프하여 클램프부재(16)를 하강시키면 요동축(14)과 클램프부재(16)와의 걸어맞춤이 해제되어 요동축(14)은 볼형상부(14a)를 중심으로 하여 요동가능하게 된다. 또한 솔레노이드(15)의 온·오프조작에 대해서는 뒤에서 설명한다.
대기어(18 a, 18b) 및 소기어(20a, 20b)로서는, 규격에 합치한 통상의 기어를 적용할 수 있는 외에 백러시를 없애기 위한 연구가 이루어진 것을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백러시를 없애기 위한 연구로서는, 대기어(18a, 18b) 및/또는 소기어(20a, 20b)의 톱니끝부분에 고무 등의 탄성체를 배치하고, 이 탄성체를 거쳐 대기어(18a, 18b)와 소기어(20a, 20b)를 맞물리게 하도록 하는 것을 들 수 있다.
L 자부재(22a, 22b)의 한변에는 나사구멍(23)이 설치되고, 다른 변에는 긴 구멍형상의 요동축 관통구멍(24)이 뚫려있다. 이 L 자부재(22a, 22b)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요동축 관통구멍(24)에 요동축(14)을 관통한 상태에서 한변이 나사구멍(23)에 삽입된 비스(25)에 의해 대기어(18a, 18b)의 측면에 체결된다. 요동축 관통구멍(24)의 횡폭은 요동축(14)과의 사이에 생기는 백러시를 작게 하기 위하여 요동축(14)의 원활한 슬라이딩을 확보가능한 범위에서 가능한 한 요동축(14)의 직경에 가까운 값으로 형성된다. 또 요동축 관통구멍(24)의 길이는 요동축(14)의 가동범위와 동일하거나 그것보다 큰 값으로 설정된다. 따라서 수동조작부(3)를 쥐고 요동축(14)을 센터위치로부터 요동하면 그 X 방향성분 및 Y 방향성분에 따른 회전량으로 L 자부재(22a, 22b)가 선회하고, 그 회전이 대기어(18a, 18b) 및 소기어 (20a, 20b)를 거쳐 각 엔코더(21a, 21b)에 전달되어 계기판(A)내에 설정된 컴퓨터에 의해 요동축(14)의 회전방향 및 회전량이 검출된다.
수동조작부(3)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점면의 중앙부에 투명창(31)을 가지는 돔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내부에 도 4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로기판(32)과, 이 회로기판(32)의 상기 투명창(31)과 대향하는 부분에 설치된 발광소자와 수광소자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포토인터럽터(33)와, 상기 회로기판(32)의 주변부에 설치된 제 1 및 제 2 스위치(34, 35)로 구성되어 있다.
포토인터럽터(33)는 상기 솔레노이드(15)를 온·오프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도시 생략한 발광소자로부터 특정파장의 광, 예를 들어 적외선을 방사하고, 도시 생략한 수광소자에 상기 특정피장의 광이 입사했을 때, 상기 솔레노이드(15)를 온제어하여 상기 클램프부재(16)를 하강시켜 이 클램프부재(16)와 상기 요동축 (14)과의 걸어맞춤을 해제하여 요동축(14)의 요동조작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 포토인터럽터(33)에 대한 전원공급과 이 포토인터럽터(33)로부터의 신호전송은 요동축(14)에 삽입된 코드(28)에 의해 행하여진다.
한편 상기 제 1 및 제 2 스위치(34, 35)로서는, 회전검출조작스위치 및 누름검출조작스위치의 각 기능을 가지고 이 스위치의 비조작시에는 노브가 센터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종류의 스위치로서는 본원 출원인이 앞서 제안한 것이나, 이들 제 1 및 제 2 스위치(34, 35)를 조작하는 제 1 및 제 2 노브(34a, 35a)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동조작부(3)의 바깥둘레면에 좌우대칭으로 설정되어 있고, 수동조작부(3)의 바깥둘레면을 따라 센서위치로부터 화살표 (l) 또는 (m)의 방향으로 회전조작할 수 있는 외에, 화살표(m)방향으로 눌러 조작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이들 제 1 및 제 2 스위치(34, 35)는 제 1 및 제 2 노브(34a, 35a)의 각 조작방향과, 이에 의해 변환되는 기능이 동일하게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즉 이들 제 1 및 제 2 스위치(34, 35)는 박스체(2)의 상면에 설정된 푸시버튼스위치(4a, 4b, 4c, 4d, 4e, 4f)를 조작함으로써 선택된 차량탑재 전기기기의 기능을 변환하는 스위치로서 사용되나, 제 1 스위치(34)도 제 2 스위치(35)도 동일방향으로 조작함으로써 선택된 차량탑재 전기기기의 동일기능을 전환하도록 되어 있다. 예를 들어 푸시버튼스위치(4c)를 조작하여 에어컨이 선택된 경우, 제 1 스위치(34)도 제 2 스위치(35)도 제 1 및 제 2 노브(34a, 35a)를 화살표(l)방향으로 조작함으로써 에어컨의 설정온도를 상승시키고, 제 1 및 제 2 노브(34a, 35a)를 화살표(m)방향으로 조작함으로써 에어콘의 설정온도를 하강시키고, 제 1 및 제 2 노브(34a, 35a)를 화살표(n)방향으로 조작함으로써 에어컨을 온·오프제어한다.
이와 같이 제 1 및 제 2 노브(34a, 35a)의 각 조작방향과, 이에 의하여 변환되는 기능을 동일화하면, 본 실시형태예에 관한 차량탑재 입력장치를 오른쪽 핸들차에 장비한 경우에도, 또한 왼쪽 핸들차에 장비한 경우에도, 운전자가 보아 동일한 위치관계가 되는 노브를 동일방향으로 조작함으로써 동일한 기능변환을 행할 수 있으므로 운전자가 조작미스를 범하기 어렵고, 동일구성의 차량탑재용 입력장치를 오른쪽 핸들차용으로서도 왼쪽 핸들차용으로서도 적용할 수 있어 차량탑재 입력장치의 범용성을 높일 수 있다. 또 제 1 노브(34a)와 제 2 노브(35a)를 구분하여 사용함으로써 운전석으로부터도, 또 조수석으로부터도 이 수동조작부(3)에 구비된 스위치를 동일감각으로 조작할 수 있기 때문에 조작미스를 범하기 어렵고, 차량탑재 입력장치의 조작성을 높일 수 있다.
전기모터(19a, 19b)는 수동조작부(3)의 조작에 저항감을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수동조작부(3)의 조작방향의 규제, 수동조작부(3)의 조작량에 따른 조작속도의 규제 및 수동조작부(3)의 정지점규제 등에 적용된다.
즉 수동조작부(3)는 특정한 방향으로 요동함으로써 제어하고자 하는 차량탑재 전기기기의 선택이나 선택된 차량탑재 전기기기의 기능조정을 행하므로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 정확하게 조작할 수 없으면 차량탑재 전기기기의 선택이나 기능조정을 정확하게 행할 수 없다. 따라서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의 수동조작부(3)의 조작은 작은 조작력으로 행할 수 있으나, 그 이외의 방향으로의 수동조작부(3)의 조작에는 전기모터(19a, 19b)를 구동하여 요동축(14)에 조작방향과 반대방향의 토크를 부하하여 수동조작부(3)의 조작에 저항감을 부여한다. 이에 의하여 조작자는 예정되어 있지 않은 방향으로 수동조작부(3)를 조작하였음을 감각적으로 알 수 있으므로 차량탑재 전기기기의 오선택이나 기능조정의 잘못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 수동조작부(3)를 조작하여 차량탑재 전기기기의 기능조정을 행하고자 하는 경우, 예를 들어 에어컨의 설정온도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수동조작부(3)의 조작량이 작은 경우에는 설정온도의 변환이 완만하게 행하여지나, 수동조작부(3)의 조작량을 크게 하면 설정온도의 변환이 고속으로 행하여진다. 이 때문에 수동조작부(3)의 조작에 아무런 저항감이 없으면 수동조작부(3)의 조작량이 커지기 쉽기 때문에 설정온도의 작은 변경을 정확하고 또한 신속하게 행하는 것이 어렵게 되어 조작성이 나쁘게 된다. 따라서 수동조작부(3)의 조작량이 어느정도 커졌을 때 전기모터(19a, 19b)를 구동하여 요동축(14)에 조작방향과 반대방향의 토크를 부하하여 수동조작부(3)의 조작에 저항감을 부여한다. 이에 의하여 조작자는 수동조작부 (3)의 조작량이 너무 커 에어컨의 설정온도를 미조정할 수 없음을 감각적으로 알 수 있으므로 수동조작부(3)의 조작량을 작게 함으로써 에어컨의 설정온도의 미조정을 정확하고 또한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수동조작부(3)의 조작량이 어느정도 커진 단계에서 수동조작부(3)의 조작에 저항감을 부여하는 구성 대신, 수동조작부(3)의 조작량에 따라 다른 저항감을 수동조작부(3)에 순차 부여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 상기 설명에서는 수동조작부(3)의 조작량을 증가함에 따라 예를 들어 에어컨의 설정온도 등의 조정속도가 상승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수동조작부(3)의 조작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조정속도가 상승하는 경우에도 동일한 방법에 의해 수동조작부(3)에 저항감을 부여할 수도 있다.
다시 수동조작부(3)의 조작한계를 규제하는 수단으로서 기계적인 방법, 예를 들어 구면베어링(13)의 에지에 요동축(14)를 충합(衝合)시킨다는 방법을 취하면, 수동조작부(3)를 조작할 때마다 이들 구면베어링(13) 및 요동축(14)의 충합부에 큰 기계력이 작용하여 마모가 생기기 때문에 마모분이 구면베어링(13)과 요동축(14)의 볼형상부(14a)의 사이에 들어가 요동축(14)의 조작력이 커지거나, 최악의 경우에는 요동축(14)의 요동이 불가능하게 된다는 불편이 생기기 쉽다. 따라서 수동조작부 (3)가 미리 정해진 위치까지 조작되었을 때, 전기모터(19a, 19b)를 구동하여 요동축(14)에 조작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예를 들어 충격적인 토크를 부하한다. 이와 같이 하면 조작자는 조작한계까지 수동조작부(3)를 조작한 것을 감각적으로 알 수 있으므로 그 이상의 수동조작부(3)의 조작을 정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구면베어링 (13)의 에지와 요동축(14)과의 충합이 방지되어 마모분의 발생이 저감되어 마모분의 발생에 기인하는 상기한 단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 전기모터(19a, 19b)의 토크에 의해 수동조작부(3)를 센터위치까지자동적으로 복귀시킬 수 있어 수동조작부(3)의 조작성을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이들 각 전기모터(19a, 19b)의 제어는 계기판(A)내에 구비된 컴퓨터로부터의 지령에 따라 행하여진다. 이하 상기 컴퓨터에 의해 행하여지는 전기모터(19a, 19b)의 제어방법을 도 7 내지 도 11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수동조작부(3)의 조작방향과 그것에 의해 선택되는 차량탑재 전기기기의 종별을 예시하는 설명도, 도 8은 수동조작부(3)의 조작방향과 그에 의해 변환되는 기능의 종별을 예시하는 설명도, 도 9는 전기모터(19a, 19b)의 제어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0은 컴퓨터에 구비된 메모리에 기억되는 데이터테이블의 일례를 나타내는 표도, 도 11은 전기모터(19a, 19b)의 제어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7a,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예의 차량탑재 입력장치(1)는, 수동조작부(3)를 센터위치로부터 앞, 오른쪽 앞, 오른쪽, 오른쪽 뒤, 뒤, 왼쪽 뒤, 왼쪽, 왼쪽 앞 등, 각 방향으로 조작함으로써 각각 라디오, 에어컨, 카내비게이션시스템, CD 플레이어, 텔레비젼, 감시카메라, 전자메일, 전화를 선택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차량탑재 입력장치(1)에 구비된 푸시버튼스위치(4a, 4b, 4c, 4d, 4e, 4f 및 5a, 5b, 5c)에 의해 선택되는 전기기기의 종별과 이 수동조작부(3)를 조작함으로써 선택되는 전기기기의 종별은 동일한 종류의 전기기기의 조합으로 할 수도 있고, 다른 종류의 전기기기의 조합으로 할 수도 있다. 본 실시형태예에 있어서는 푸시버튼스위치(4a∼4f 및 5a∼5c)에 의하여 선택되는 전기기기의 종별과 수동조작부(3)를 조작함으로써 선택되는 전기기기의 종별을 다른 종류의 전기기기의 조합으로 하고 있다.
수동조작부(3)를 센터위치로부터 뒤쪽 방향으로 조작함으로써 텔레비젼이 선택된 경우에는 도 8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동조작부(3)를 센터위치보다 앞쪽 방향으로 조작함으로써 채널업, 수동조작부(3)를 센터위치로부터 뒤쪽 방향으로 조작함으로써 채널다운, 수동조작부(3)를 센터위치로부터 오른쪽 방향으로 조작함으로써 음량업, 수동조작부(3)를 센터위치로부터 왼쪽 방향으로 조작함으로써 음량다운의 각 기능조정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수동조작부(3)를 조작함으로써 조정해야 할 기능의 수가, 수동조작부(3)의 가동방향의 최대수인 “8"이하인 경우에는 기능조정용으로서 할당된 방향(도 8a에 나타내는 각 방향)이외의 방향으로 수동조작부(3)를 조작하여도 선택된 차량탑재 전기기기의 기능조정을 행할 수 없다. 이와 같은 불감대(不感帶)를 수동조작부(3)의 조작범위에 가지면 조작자는 수동조작부(3)를 기능조정이 가능한 방향으로 신중하게 조작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조작용이성이 떨어지며 자동차의 안전운전상에서도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예에 관한 차량탑재용 입력장치(1)에 있어서는, 전기모터 (19a, 19b)의 제어시스템을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구성으로 하고, 도 11에 나타내는 순서로 전기모터(19a, 19b)를 제어함으로서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즉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계기판(A)내의 컴퓨터에 구비된 CPU(41)에 대조부(42)와 테이블선택부(43)를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컴퓨터에 구비된 ROM(44)에 수동조작부(3)의 조작영역과 각 조작영역에 따른 전기모터(19a, 19b)의 회전방향 및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토크의 크기를 부호화한 테이블(45a, 45b, 45c, …)을 기억한다. 또 상기 컴퓨터에 엔코더(21a, 21b)로부터의 신호를 받아들여 상기 테이블선택부(43)에 수동조작부(3)의 조작영역에 따른 테이블선택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표시장치(D)에 수동조작부(3)의 조작궤적을 표시하는 위치신호검출부(46)를 구비한다.
도 10은 ROM(44)에 기억된 테이블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수동조작부(3)의 가동범위를 X 방향으로 8등분, Y 방향으로 8등분하여 등분된 각 영역내에 수동조작부가 조작된 경우에 있어서의 전기모터(19a, 19b)의 구동·정지와 회전방향이 부호화하여 표시되어 있다. 각 테이블내에 기재된 부호 및 숫자는 상단이 제 1 전기모터(19a)의 구동·정지와 회전방향, 하단이 제 2 전기모터(19b)의 구동·정지와 회전방향을 나타내고 있으며, 부호「+」는 모터의 정전, 부호「-」는 모터의 역전을 나타내고 있다. 또 숫자「0」은 전기모터(19a, 19b)가 회전하지 않음을 표시하고, 숫자「1」은 전기모터(19a, 19b)가 회전하는 것을 표시하고 있다. 이 테이블에 따르면 (X3, Y0)∼(X3, Y7)의 영역, (X4, YO)∼(X4, Y7)의 영역, (X0, Y3)∼(X7, Y3)의 영역 및 (X0, Y4)∼(X7, Y4)의 영역내에서 수동조작부(3)를 조작한 경우에는 어느 한쪽의 전기모터(19a, 19b)도 회전되지 않아 수동조작부(3)의 움직임에 전기모터(19a, 19b)의 회전에 따른 저항감이 부여되지 않고, 수동조작부(3)를 이외의 다른 영역내에서 조작한 경우에는 적어도 어느 한쪽의 전기모터(19a, 19b)가 회전하여 수동조작부(3)의 움직임에 전기모터(19a, 19b)의 회전에 따른 저항감이 부여된다.
따라서 수동조작부(3)를 조작함으로써 먼저 텔레비젼이 선택되어 도 8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동조작부(3)를 센터위치로부터 앞쪽 방향, 뒤쪽 방향, 오른쪽방향 및 왼쪽 방향으로 조작한 경우에만 텔레비젼의 기능조정이 가능하게 되는 경우에 있어서, 도 10의 테이블을 사용하여 전기모터(19a, 19b)의 회전제어를 행하면, 수동조작부(3)를 센터위치로부터 앞쪽 방향, 뒤쪽 방향, 오른쪽 방향 및 왼쪽방향 이외의 경사방향으로 조작하면 적어도 어느 한쪽의 전기모터(19a, 19b)가 회전하여 수동조작부(3)의 움직임에 전기모터(19a, 19b)의 회전에 따르는 저항감이 부여되므로 조작자는 불감대에 수동조작부(3)를 조작하고 있음을 감각적으로 알 수 있다. 따라서 조작자는 소망하는 기능조정을 행할 수 있는 방향으로 수동조작부 (3)를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수동조작부(3)의 조작용이성이 향상하여 자동차의 운전을 저해하는 일도 없다.
컴퓨터에 있어서의 전기모터(19a, 19b)의 회전제어는 도 11의 플로우차트에 표시되는 순서로 행하여진다.
즉 조작자가 수동조작부(3)를 센터위치로부터 어느 한쪽 방향으로 조작하면(순서 S1), L 자부재(22a, 22b), 대기어(18a, 18b) 및 소기어(20a, 20b)를 거쳐 엔코더(21a, 21b)가 수동조작부(3)의 요동방향으로 수동조작부(3)의 요동량에 비례한 회전량만큼 회전하여 위치신호를 출력한다. 컴퓨터에 구비된 위치신호검출부(46)는 이 위치신호를 판독하여(순서 S2) 수동조작부(3)의 조작위치를 확정함(순서 S3)과 동시에 테이블선택부(43)로의 테이블선택신호의 송신과, 표시장치(D)에의 위치신호의 송신을 행한다(순서 S4). CPU(41)의 테이블선택부(43)는 위치신호검출부 (46)로부터의 테이블선택신호에 의거하여 ROM(44)으로부터 소정의 테이블을 선택하여 받아들인다(순서 S5). CPU(4l)의 대조부(42)는 엔코더(21a, 21b)로부터 출력된 위치신호와 테이블선택부(43)에 받아들여진 테이블로부터 모터출력치를 확정하여 모터드라이버(47)에 출력한다(순서 S6). 모터드라이버(47)는 모터출력치에 따라 전기모터(19a, 19b)를 구동하여 수동조작부(3)의 움직임에 저항감을 준다(순서 S7). 조작자는 수동조작부(3)의 저항감을 감득(感得)하여 수동조작부(3)의 조작위치를 변경한다(순서 S8).
또한 이들 모터제어수단 및 방법은 수동조작부(3)의 조작방향의 규제에 적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한 수동조작부(3)의 조작량에 따른 저항감의 부여나, 수동조작부(3)의 조작한계에 있어서의 저항감의 부여에도 응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실시형태예에 관한 차량탑재용 입력장치(1)는 자동차의 계기판(A)에 대하여 전후이동가능 및 경사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12는 계기판 (A)에 대한 차량탑재용 입력장치(1)의 설치기구를 나타내는 평면방향에서 본 일부파단도이고, 도 13은 그 측면방향에서 본 일부파단도이다.
이들 도면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계기판(A)내에 설치된 베이스(51)상에는 2개의 안내축(52, 53)과 1개의 볼나사(54)가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다. 볼나사(54)는 베어링(55)에 의해 회전자유롭게 지지되어 있고, 그 한쪽 끝에는 조인트(56)를 거쳐 전후진용 제 1 모터(57)가 연결되어 있다. 또 상기 볼나사(54)에는 너트(58)를 거쳐 이송판(59)이 전후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이 이송판(59)은 슬라이더(60)를 거쳐 상기 안내축(52, 53)에 슬라이딩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이송판(59)의 선단부에는 베어링(61)에 의해 회전자유롭게 지지된 회전축(62)이 안내축(52, 53) 및 볼나사(54)와 직각으로 설치되어 있고, 이 회전축(62)의 선단부에 차량탑재용 입력장치(1)의 박스체(2)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회전축(62)에는 대기어(63)가 고정되어 있고, 이 대기어(63)는 제 2 모터(64)의 주축에 고정된 소기어(65)와 맞물려져 있다.
따라서 차량탑재용 입력장치(1)는 제 1 모터(57)를 정전 또는 역전함으로써, 계기판(A)에 대하여 전진 또는 후퇴시킬 수 있고, 또 제 2 모터(64)를 정전 또는 역전함으로써, 계기판(A)에 대하여 상향 또는 하향으로 선단부를 선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조작자가 수동조작부(3)나 각종 푸시버튼스위치(4a∼4f, 5a∼5c), 그것에 볼륨손잡이(6) 등을 조작하기 쉽게 차량탑재용 입력장치(1)의 자세를 적절히 변경할 수 있으므로, 차량탑재용 입력장치(1)의 조작성을 더 한층 높일 수 있다.
이 차량탑재용 입력장치(1)의 자세제어도 차량탑재용 입력장치(1)에 탑재된 수동조작부(3) 및 푸시버튼스위치(4a∼4f, 5a∼5c)를 조작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즉 푸시버튼스위치(4a)를 누르면 표시장치(D)에 도 14에 예시하는 메뉴가 나타난다. 따라서 수동조작부(3)를 조작하여 메뉴로부터「차량탑재용 입력장치」를 선택하면 표시장치(D)에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차량탑재용 입력장치(1)의 화상이 나타난다. 이 상태에서 수동조작부(3)를 「전진 a」의 방향으로 조작하면 상기 제 1 모터(57)가 정회전하여 차량탑재용 입력장치(1)가 전진하고, 수동조작부(3)를 「후퇴 b」의 방향으로 조작하면 상기 제 1 모터(57)가 역전하여 차량탑재용 입력장치(1)가 후퇴한다. 또 수동조작부(3)를「상승 c」의 방향으로 조작하면 상기 제 2 모터(64)가 정회전하여 차량탑재용 입력장치(1)의 선단부가 회전축(62)을 중심으로하여 상향으로 선회하고, 수동조작부(3)를「하강 d」의 방향으로 조작하면 상기제 2 모터(64)가 역전하여 차량탑재용 입력장치(1)의 선단부가 회전축(62)을 중심으로 하여 하향으로 선회한다. 메뉴화면으로부터 「시트」를 선택하면 동일한 순서로 운전석이나 조수석의 착석감을 조정할 수 있고, 또 메뉴화면으로부터「핸들」을 선택하면 동일한 순서로 핸들의 기울기와 신축성을 조정하여 핸들의 높이조정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수동조작부(3)를 조작함으로써 상기한 차량탑재용 입력장치(1)나 시트, 또한 핸들 등의 자세를 변경하는 경우에는 이들 기기의 가동범위와 수동조작부 (3)에 가해지는 저항감을 서로 관련지어, 예를 들어 기기의 가동범위의 말단에 접근함에 따라 수동조작부(3)에 가해지는 저항감을 점차로 강하게 하거나, 가동범위의 말단에 도달하였을 때 수동조작부(3)에 충격적인 저항감을 부여하도록 테이블을 설정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조작자가 기기를 가동범위의 어디까지 조정하였는 지를 인식할 수 있기 때문에 이용이 더욱 편리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예에 관한 차량탑재용 입력장치(1)는, 박스체(2)의 상면에 구비된 푸시버튼스위치(4a∼4f, 5a∼5c)를 조작하거나, 수동조작부(3)를 조작함으로써 기능조정을 행하고자 하는 소망하는 차량탑재 전기기기를 선택할 수 있다. 또 소망하는 차량탑재 전기기기를 선택한 후에 수동조작부(3)를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 조작하거나, 수동조작부(3)에 설치된 제 1 및 제 2 스위치(34, 35)를 조작함으로써 차량탑재 전기기기의 기능조정을 행할 수 있다. 또 라디오나 텔레비젼 및 CD 플레이어 등의 음량은 볼륨손잡이(6)를 회전함하는 것에 의해서도 행할 수 있다. 이 차량탑재용 입력장치(1)에 의해 선택가능한 차량탑재 전기기기의 메뉴나 각 차량탑재 전기기기에 관한 조정가능한 기능의 내용을 나타내는 메뉴, 게다가 수동조작부(3)의 조작방향 등에 있어서는 차례로 표시장치(D)에 표시된다. 또 수동조작부(3)의 비조작상태에 있어서는 요동축(14)이 클램프부재(16)로 클램프되어 자동차의 진동에 따르는 수동조작부(3)의 부정한 진동이나 소음의 발생이 방지된다. 수동조작부(3)의 위쪽에 손가락을 대면 포토인터럽터(33)의 수광소자에 발광소자로부터의 특정파장의 광이 입사하여 솔레노이드(15)가 온제어되어 클램프부재(16)와 요동축(14)의 걸어맞춤이 해제되어 수동조작부(3)가 자동적으로 조작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예에 있어서는 요동축(14)의 요동을 엔코더(21a, 21b)에 전달하는 동력전달기구로서 기어기구를 사용하였으나, 본 발명의 요지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마찰차나 벨트기구 등, 공지에 속하는 임의의 동력전달기구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예에 있어서는 요동축(14)의 요동방향 및 요동량을 검출하는 센서로서 엔코더(21a, 21b)를 사용하였으나, 본 발명의 요지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기타 임의의 공지에 속하는 위치센서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예에 있어서는 클램프부재(16)의 구동수단으로서 솔레노이드(15)를 사용하였으나, 본 발명의 요지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전자석이나 유압 또는 액츄에이터 등의 다른 수단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예에 있어서는 수동조작부(3)의 조작에 저항감을 부여하는 동력원으로서 전기모터(19a, 19b)를 사용하였으나, 본 발명의 요지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에어모터나 유압모터 등, 공지에 속하는 다른 임의의 액츄에이터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 회전력을 발생하는 액츄에이터 뿐만 아니라 리니어모터 등의 직선방향의 힘을 발생하는 액츄에이터이더라도 단독으로 또는 적당한 동력전달기구와 조합시킴으로써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차량탑재용 입력장치는 수동조작부가 설치되는 요동축을 클램프부재로 적절히 클램프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비조작시에 있어서의 수동조작부의 요동이 억제되어 운전자 또는 동승자에게 주는 불안정감을 해소할 수 있다. 또 수동조작부의 비조작시에는 불필요한 표시장치 등의 전원을 차단할 수 있기 때문에 소비전력량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수동조작부를 조작하고자 하는 사람의 손가락을 검출하여 구동수단을 자동적으로 온제어하고, 클램프부재의 걸어맞춤을 해제하는 센서를 구비하기 때문에 수동조작부의 조작을 클램프부재가 없는 경우와 동일한 감각으로 행할 수 있고, 수동조작부 나아가서는 차량탑재용 입력장치의 양호한 조작성도 유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차량탑재용 입력장치는 클램프부재가 설치된 구동수단을 자동적으로 온·오프제어하기 위한 센서로서 포토인터럽터를 사용하기 때문에 비접촉으로 사람의 손가락을 검출할 수 있으므로 내구성이 뛰어나고, 또한 소형이기 때문에 좁은 공간내에 설정할 수 있다.

Claims (7)

  1. 박스체의 내부에서 요동자유롭게 지지된 요동축과, 상기 박스체의 상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상기 요동축의 상단부에 설치된 수동조작부와, 상기 박스체의 내부에 구비된 구동수단과, 이 구동수단의 구동축에 고정되고, 이 구동수단의 온·오프동작에 따라 상기 요동축을 클램프하는 위치 또는 상기 요동축의 클램프를 해제하는 위치로 이동하는 클램프부재와, 상기 수동조작부를 조작하고자 하는 사람의 손가락을 검출하여 상기 구동수단을 자동적으로 온·오프하는 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탑재용 입력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가 상기 수동조작부 또는 상기 박스체의 내부에 설정된 포토인터럽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탑재용 입력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이 솔레노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탑재용 입력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요동축에는 원추형상의 하단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요동축의 하단부와 대향하는 상기 클램프부재의 상면에는 원추형상의 오목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구동수단의 온동작에 의하여 상기 클램프부재가 상승하면 상기 요동축의 하단부와 상기 클램프부재의 상면의 오목부가 걸어맞춰져 클램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탑재용 입력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이 솔레노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탑재용 입력장치.
  6. 박스체와, 이 박스체의 상면에 설치된 수동조작부와, 이 수동조작부를 클램프하는 클램프부재와, 상기 박스체 내부에 구비된 상기 클램프부재를 구동하는 구동수단과, 상기 수동조작부를 조작하고자 하는 사람의 손가락을 검출하여 상기 구동수단을 자동적으로 구동하는 센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탑재용 입력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이 솔레노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탑재용 입력장치.
KR1020000040154A 1999-07-14 2000-07-13 차량탑재용 입력장치 KR1003492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200944 1999-07-14
JP20094499A JP3839191B2 (ja) 1999-07-14 1999-07-14 車載用入力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9777A true KR20010049777A (ko) 2001-06-15
KR100349212B1 KR100349212B1 (ko) 2002-08-14

Family

ID=16432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0154A KR100349212B1 (ko) 1999-07-14 2000-07-13 차량탑재용 입력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366442B1 (ko)
EP (1) EP1069490B1 (ko)
JP (1) JP3839191B2 (ko)
KR (1) KR100349212B1 (ko)
DE (1) DE60024173T2 (ko)
MX (1) MXPA0000691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02384B2 (en) 2005-07-29 2012-01-24 Honda Motor Co., Ltd. Interface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28221A (ja) * 1999-07-14 2001-01-30 Alps Electric Co Ltd 車載用入力装置
JP3850619B2 (ja) * 1999-07-14 2006-11-29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車載用入力装置
US6848332B2 (en) * 2001-03-01 2005-02-01 Kabushiki Kaisha Tokai Rika Denki Seisakusho Shift device and switch device thereof for vehicle
KR100976826B1 (ko) 2003-07-16 2010-08-18 한라공조주식회사 자동차용 공조기의 조작장치 및 이의 조작제어방법
US7571662B2 (en) * 2004-08-18 2009-08-11 Jaguars Cars Limited Selector mechanism for a motor vehicle transmission
JP5071753B2 (ja) * 2005-02-18 2012-11-14 株式会社デンソー 機器操作装置
DE102005042883B4 (de) * 2005-06-02 2008-05-08 Preh Gmbh Bestätigungsvorrichtung mit Mitteln zum Blockieren von Bewegungen
US20070008305A1 (en) * 2005-06-28 2007-01-11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Multiple function radio bezel interface
JP4596020B2 (ja) * 2008-03-07 2010-12-08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操作装置
JP4577586B2 (ja) * 2008-03-26 2010-11-10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操作装置
US8106783B2 (en) * 2008-03-12 2012-01-31 Denso Corporation Input apparatus, remote controller and operating device for vehicle
CN104601744A (zh) * 2013-10-31 2015-05-06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具有推出机构的移动终端
KR101565027B1 (ko) * 2013-12-13 2015-11-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2버튼으로 구성된 통합형 컨트롤러를 이용한 시프트 바이 와이어 오토레버 제어 구조
US9810314B2 (en) 2015-02-25 2017-11-07 Kongsberg Driveline Systems I, Inc. Rotary shifter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80352A (en) * 1969-01-21 1971-05-25 Gen Motors Corp Steering torque servo
US4026048A (en) * 1975-12-31 1977-05-31 Douglas Dynamics Corporation Multiple circuit control
US4663713A (en) * 1984-02-21 1987-05-05 J. I. Case Company Automatic power control for variable power train
US4981202A (en) * 1988-03-17 1991-01-01 Automotive Products Plc Motor vehicle control system
DE4024524A1 (de) * 1990-08-02 1992-02-06 Iveco Magirus Einhand-bedienhebelelement mit totmannschaltung zur steuerung eines rettungskorbes, insbesondere eines rettungseinsatzfahrzeuges
US5931254A (en) * 1997-04-30 1999-08-03 Clark Equipment Company Non-contact operator presence sensor
US5945646A (en) 1997-08-04 1999-08-31 Lear Automotive Dearborn, Inc. Multi-switch device for controlling vehicle subsystem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02384B2 (en) 2005-07-29 2012-01-24 Honda Motor Co., Ltd. Interface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839191B2 (ja) 2006-11-01
EP1069490A2 (en) 2001-01-17
KR100349212B1 (ko) 2002-08-14
MXPA00006912A (es) 2002-04-24
EP1069490A3 (en) 2004-07-28
JP2001028223A (ja) 2001-01-30
EP1069490B1 (en) 2005-11-23
DE60024173T2 (de) 2006-07-20
DE60024173D1 (de) 2005-12-29
US6366442B1 (en) 2002-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16717B1 (ko) 차량탑재용 입력장치
KR100450031B1 (ko) 차량탑재용 입력장치
KR100349212B1 (ko) 차량탑재용 입력장치
US7176892B2 (en) Lever handle type haptic input apparatus equipped with electromagnetic brake
US6859198B2 (en) Force feedback functioning manual input device and onboard instrument control system having it
EP1205956B1 (en) Manual input device using a motor as an actuator for applying an external force to its manual control knob
US6805020B2 (en) Manual input device enabling control of various electric apparatus with single knob
JPH11339600A (ja) 車載用入力装置
US6459169B1 (en) Vehicular input device capable of being adjusted to conform to the physical constitution of the operator
KR100403432B1 (ko) 차량탑재용 입력장치
US20040183779A1 (en) Image displaying device
JP2002189560A (ja) 手動入力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車載機器制御装置
JP3814104B2 (ja) 車載用入力装置
JP2005096515A (ja) 車載用入力装置
JP3790372B2 (ja) 入力装置
WO1996013025A1 (en) Variable speed computer input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71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