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49614A - 백판장치 - Google Patents

백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49614A
KR20010049614A KR1020000034802A KR20000034802A KR20010049614A KR 20010049614 A KR20010049614 A KR 20010049614A KR 1020000034802 A KR1020000034802 A KR 1020000034802A KR 20000034802 A KR20000034802 A KR 20000034802A KR 20010049614 A KR20010049614 A KR 200100496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ackplate
movable member
whiteboard
back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4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토레이지로
Original Assignee
이토 레이지로
고쿠사이 디스플레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토 레이지로, 고쿠사이 디스플레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토 레이지로
Publication of KR200100496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9614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00Repeatedly-usable boards or table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04Blackboards
    • B43L1/10Writing surfaces thereof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rawing Aids And Blackboards (AREA)

Abstract

통상적인 백판(白板)은 쓰기나 지우기만 하는 필기매체를 위한 기능만을 제공하는 바, 흑판(黑板)의 기능과 유사하다. 따라서, 게시판에서와 같이 주의를 끄는 것은 통상적인 백판에서는 요구되지 않는다.
백판장치는 프레임(4)과 이 프레임(4)으로 에워싸인 백판부분(2)으로 이루어진 백판을 구비하는바, 백판장치는 프레임(4)의 표면상에 디스플레이된 디스플레이 몸체의 부분을 갖는 고정부분(17)과, 프레임(4) 근방에서 그 표면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 몸체의 다른 부분인 이동가능 부재(13) 및, 백판상에 구비되는 이동가능 부재(13)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백판장치{WHITE BOARD DEVICE}
본 발명은 고정체인 필기매체으로서의 소위 백판(白板)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알림기능 및 그 부가가치를 증대시킴으로써 사람의 주의를 끌도록 된 백판장치에 관한 것이다.
프레임 내에서 백판부분으로 사용되는 판의 표면이 PP(폴리프로필렌) 처리된 백색판을 구비하는 고정체의 범주에 속하는 백판이 제안되고 있는바, 이 판위에 필요한 사항들을 매직 펜으로 쓰거나 지울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백판"은, 프레임과 그리고 소정의 매직 펜으로 쓰고 지우개로 지울 수 있는 백색 필기면을 갖는 판 부분을 구비하는 보드(board)를 의미한다. 백판 중 일부는 플라스틱으로 제작되며, 어떤 백판들은 신속 건조되는 특별한 오일 매직 펜으로 필기되는 바, 이 매직 펜은 휘발성 솔벤트로 만들어지므로 필기 후 즉시 건조되는 특성을 갖는다.
이러한 통상적인 백판에 있어서는, 분필로 쓰는 흑판과 비교하여 손을 더럽히지 않고도 쉽게 쓰고 지울 수 있지만, 흑판의 기능과 유사한 필기매체로서의 기능만을 가진다.
본 발명은, 부가가치를 높혀 이러한 통상의 백판을 개선시키고, 특히 백판이 게시문 등을 디스플레이하는데 사용되는 경우, 사람의 주위를 끌게 하여 그 알림기능을 증대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동원으로서 건전지와 같은 소모품을 사용하지 않고, 판상에 기록된 메시지가 읽혀질 수 있는 정도로 밝을 때만, 주의를 끌기 위해서 이동가능 부재에 에너지를 공급함으로써 구동에너지를 절약하는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백판의 정상적인 기능에 더하여, 시간계획이나 사진 등과 같은 게시물의 교체를 가능하게 하는 다목적 백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백판장치의 전방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백판장치의 시간계획표가 부분적으로 보이는 상태를 나타낸 후방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백판장치의 이동가능 부재만을 나타낸 후방사시도,
도 4는 도 1의 백판장치의 종단면도,
도 5는 도 1의 백판장치를 구동시키기 위한 회로도,
도 6은 도 1의 백판장치에서 이동가능 부재의 이동을 연속적으로 나타낸 설명도,
도 7은 도 1의 백판장치의 실시예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부분적으로 생략된 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하우징, 1a,1b - 고리구멍(설치수단),
2 - 백판부분, 2a - 노치,
2b - 매직펜 수납부, 15b - 수평만곡부,
3 - 스페이서, 4 - 프레임,
4a - 슬릿, 5 - 시간계획표(시트),
6- 회로기판(구동수단), 7 - 구동코일(구동수단),
8 - 구동회로(구동수단), 9 - 탑재부재,
10 - 회전축, 11 - 암,
12 - 자석, 13 - 이동가능 부재,
14 - 중량체, 15 - 연결부재,
15a - 직립부분, 16 - 매직 펜,
17 - 고정부분, 18 - 태양판(구동수단),
19 - 도선.
본 발명에 따르면, 프레임과 이 프레임으로 에워싸인 백판부분으로 구성되는 백판을 구비하는 백판장치에 있어서, 백판의 앞면상에 디스플레이 몸체를 갖는 이동가능 부재가 상기 프레임 근방에 구비되고, 상기 이동가능 부재를 위한 구동수단이 상기 백판상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주변의 빛에 의해 반영구적으로 동작되고, 유명한 캐릭터 및 곰 인형 얼굴 등이 탑재된 진자와 같은 반고형 조상(彫像)의 몸체에 대응하는 부분의 후방에 탑재되는 태양판 몸체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책상 및 벽에 탑재되는 액세서리로서 사용되는 백판이 제공된다. 그 목 부분은 흔들리도록 되어 생생하게 역동적인 운동을 제공하므로, 근방에 배열된 게시영역내의 메시지(시간계획표, 주간계획표, 백판, 우편카드, 사진, 메모시트 등)에 사람의 주의가 끌리게 된다. 본 발명은, 가족 서로간의 통신을 위해 사용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백판장치의 전방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후방 사시도이며, 도 3은 백판의 이동가능부만을 도시한 후방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종단면도, 도 5는 백판장치를 구동시키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1에는 백판부분의 앞면상에 제공된 프린트시트로서의 시간계획표가 부분 생략되어 나타난다.
도면에 있어서, 시트 형상의 백판부분(2)은 상부가 개방된 박스로 형성된 하우징(1)의 앞면에 고정된다. 백판부분(2)은 이 판의 표면이 PP처리된 백색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백판부분(2)에 적합한 재료는 열경화성 수지이다.
백판부분(2)을 에워싸도록 프레임(4)이 제공되는바, 이 백판부분(2)과 프레임(4)이 백판을 구성한다. 스페이서(3)가 백판부분(2)과 프레임(4) 사이에 삽입되어, 이 스페이서(3)에 의해 백판부분(2)과 프레임(4) 사이에 평면 틈새가 형성된다.
프레임(4) 우측의 종방향 프레임(4a)의 끝면에는 종방향 삽입슬릿(4a)이 형성되어, 이 삽입슬릿(4a)을 통해 프린트 시트인 시간계획표(5;도 1에 부분적으로 나타낸)가 백판부분(2)의 표면상의 틈새에 삽입된다. 시간계획표(5)를 쉽게 잡아 빼기 위해서, 반원형의 노치(2a)가 백판부분(2)의 측단부 표면에 형성된다.
더욱이,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임(4)의 앞면의 상부에는 디스플레이 몸체의 일부분인 곰 인형의 양손이 프레임(4)으로부터 위쪽으로 돌출된 고정부분(17)이 구비되는데, 마치 곰 인형이 백판을 잡고 있는 것 처럼 양손이 떨어져 백판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고정부분(17)의 곰 인형의 손들(디스플레이 몸체의 일부분)은 프레임(4) 중 횡방향 프레임의 앞면상에서 이격되어 제공되고, 반면에 디스플레이된 곰 인형의 얼굴(디스플레이 몸체)을 갖는 이동가능 부재(13)는 프레임(4)의 상부에서 횡방향 프레임 부분의 중앙에 인접하여 위쪽에 구비된다. 이동가능 부재(13)는 횡방향으로 선회될 수 있는 바, 그 구동이 이하에 구동회로(8)와 함께 설명된다.
백판부분(2)의 후방에 구비된 하우징(1)의 내부에는, 구동코일(7)을 포함하는 구동회로(도 5의 8)를 구비하는 회로기판(6)이 탑재된다. 이 구동코일(7)은 위쪽으로 개방된 상태로 몸체 하우징(1)에 설치된 탑재부재(9)를 통과하여 위쪽으로 뻗어있다. 백판부분(2)의 뒷면에 대해서 직각인 종방향으로 회전축(10)이 탑재부재(9)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이동가능 부재(13)는 회전축(10)상에 고정·장착된다.
두 갈래로 나누어져 아래 방향을 향하는 암(11)이 회전축(10) 아래에 위치된 이동가능 부재(13)의 연결부재(15)상에 구비된다. 구동코일(7)의 양쪽에 간격을 두고 마주보게 위치되도록 한 쌍의 자석(12;영구자석)이 암(11)의 내측에 고정·장착된다.
더욱이, 도 4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몸체의 다른 부분으로서 디스플레이된 곰 인형 얼굴을 갖는 시트 형상의 이동가능 부재(13)가 연결부재(15)의 직립부분(15a)의 표면상에 수직으로 설치된다. 연결부재(15)는 그 하단부에 후방으로 구부러진 수평 만곡부(15b)를 구비하며, 이 수평 만곡부(15b)의 하부 표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11)이 고정된다. 더욱이, 중량체(14)가 이동가능 부재(13)의 뒤쪽 상부에 탑재되어 이동가능 부재(13)의 매끄러운 선회운동을 가능하게 한다.
즉, 공간을 형성하는 2개의 지점에서 구부러진 금속판으로 이루어진 연결부재(15)의 직립부분(15a)은 디스플레이된 곰 인형 얼굴을 갖는 이동가능 부재(13)의 후방에 고정된다. 금속으로 제작된 연결부재(15)의 하단부에 있는 수평 만곡부(15b)가 암(11)의 상부 표면에 고정된다.
다음,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백판장치의 구동회로(8)의 일례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안정 다중 진동기 회로의 발진 전류에 의해 구동코일(7)이 여기되어, 구동코일(7)에 대향하여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된 전자석(12)에 전자기력이 인가된다. 결과적으로, 적절한 복원력 시스템을 가지며, 예컨대 이동가능 부재(13)인 디스플레이 몸체의 일부분을 구비하는 자유 진동기가 전자석과 구동코일(7)에 상대적으로 가해지는 전자기력에 의해 활성화되어 선회장치가 제공된다.
비안정 다중 진동기 회로는 PNP타입과 NPN타입의 2개의 트랜지스터의 베이스들 각각이 상대편 트랜지스터의 콜렉터에 연결된 자체 발진회로로 구성되는데, 이 연결은 하나의 트랜지스터에는 직접적으로 이루어지고 그리고 다른 트랜지스터에는 시간상수 설정 캐패시터(C1)를 매개로 이루어진다.
더욱이, 콜랙터에 연결된 시간상수 설정 캐패시터(C1)를 갖는 다른 트랜지스터의 부하를 위해서, 구동코일(7)이 콜랙터에 연결된다. 자체 발진회로로부터 구동코일(7)이 활성화되면, 구동코일(7)에 생성된 자기장에 의해 전자기력이 자석(12)에 인가된다. 자석(12)은 구동코일(7)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하고, 적절한 복원력에 의해 상대적으로 선회될 수 있다. 자석(12)중 하나와 구동코일(7) 모두는 선회하는 쪽에 배치된다.
자유 진동기를 발진측상에서 선회시키기 위해서, 다른 자석(12) 및 구동코일(7)은, 고정 측면의 선회운동의 중립지역 근방의 위치에 배치된다. 전해 캐패시터(C2)는 짧은 시간주기동안의 방전에 의해, 전자석(12)을 구동시키는데 필요한 전기에너지를 구동코일(7)로 흘릴 수 있는 용량을 갖는다. 자체 발진회로의 전원을 위해서, 태양판(18)이 전해 콘덴서(C2)에 연결되어 충전전류를 흘려 보내고, 구동코일(7)이 활성화되지 않는 짧은 시간주기동안 방전에 의해 손실된 전하를 보충시킨다. 도 2에서, 참조부호 19는 태양판(18)으로부터 내부 구동회로(8)내로 연결된 도선을 나타낸다.
상기 백판장치의 구동을 이하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태양판(18)이 광 에너지를 받아들이면 구동회로(8)가 작동되고, 이동가능 부재(13)의 하단부에 배치된 자석(12)이 전자기력에 의해 끌어당겨지고 그리고 반발된다. 그 다음, 이동가능 부재(13)가 그 동작지점 주위를 횡방향으로 선회한다. 이와 같은 선회는, 이동가능 부재(13)의 상단에 탑재된 디스플레이 몸체인 곰 인형의 얼굴이 프레임(4)상에서 도 1의 화살표 방향으로 움직이게 한다.
도 6은 이동가능 부재(13)의 선회운동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면에 있어서는, 초기상태(A)로부터 시작하여, 우선 곰 인형의 얼굴이 상태(B)로 나타낸 바와 같이 왼쪽으로 선회하고, 상태(C)로 되돌려진다. 그 다음, 곰 인형의 얼굴이 상태(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른쪽으로 선회하고, 다시 초기상태(A)로 되돌려진다. 이와 같은 상태들은 반복적으로 계속된다. 주위가 어둡고 구동회로(8)가 구동되지 않을 때, 이동가능 부재(13)는 상태(A)에 계속 있게 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시간계획표(5) 등이 기록된 프린트시트가 프레임(4)의 종방향 프레임 부분(4a)의 슬릿(4aa)으로 삽입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프린트시트가 금속으로 제작된 경우, 자석조각으로 백판부분(2)상에 다른 게시문을 부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바, 백판장치의 백판(2)의 앞면 하단부가 전방으로 돌출되어, 매직 펜 위치부(2b)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매직 펜 위치부(2b)가 구비되면, 백판에 필수적인 매직 펜(16)이 다른 장소에 놓여지거나 걸리적 거리지 않게 되므로, 편리하다.
본 발명의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구동수단은 백판부분(2)에 직접 탑재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변형에 있어서, 고정판이 백판부분(2)과 구동수단 사이에 구비되어 백판시트를 교체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변형에 있어서, 백판시트의 앞쪽은 그 뒤쪽과 교체될 수 있고, 시간계획표와 같은 원하는 내용이 미리 백판부분(2)상에 쓰여질 수 있다.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고리구멍(1a,1b)인 2개의 크고 작은 설치수단이 백판부분(2)의 후방에서 돌출된 하우징(1)의 후방판상에 제공되어, 백판장치가 기둥 등에 설치수단으로 걸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고리구멍(1a,1b) 대신 흡입판이 후방에 설치되면, 백판장치는 유리표면상에도 보다 쉽게 설치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더욱이, 자석이 장치의 바닥상에 부착되면, 장치는 좁고 불안정한 장소에도 설치될 수 있다.
더욱이, 백판장치가 그 전후에 방해물이 없는 장식품으로서 사용되는 경우, 장치를 종방향으로 위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이동가능 부재는 종방향, 즉 백판부분(2)에 대해 직각으로 선회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설계에 맞는 충실한 이동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된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곰 인형, 즉 동물이 디스플레이 몸체의 예로서 사용된다. 그러나, 디스플레이 몸체는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동물 뿐아니라 무생물 및 가상의 캐릭더가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특정 실시예는, 합성 종이 UPO에 의해 글레이즈(glaze) 및 프린트된 진공 주조된 물품인 곰 인형부분과, 내충격 스틸렌 주입 주조된 물품인 후방부분 및 베이스판 부분을 구비한다. 상기 주조된 물품내의 게시영역 부분의 프레임은, 폭 90mm, 높이 120mm를 갖는 포개진 3개의 카드(이중PP)로 구성되는 바, 교체 가능하다. 게시면상에 엽서나 메모지를 올리기 위한 2개의 포올(pawl)이 제공된다.
게시영역 부분은 바닥 펜 위치 베이스와 태양판(14;35mm×13mm)이 보호되는 구성을 갖는바, 백판을 위한 매직 펜(16)이 수평으로 놓인다. 더욱이, 전력부분은, 소위 태양 발동기(100 lux에서 시동됨)를 구비한다. 장치의 전체 크기는, 예컨대 폭 190mm, 높이 150mm, 깊이 60mm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하의 효과가 있다.
우선, 통상적인 백판이 개선되는바, 특히 백판이 게시판으로 사용되는 경우, 사람의 관심을 끌게됨으로써 백판장치의 알림기능이 증대된다.
더욱이, 사람이 메시지 내용을 읽기에 충분히 밝을 때만, 사람의 주의를 끌기 위한 이동가능 부재에 에너지가 공급되므로, 구동에너지가 절약된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르면 백판의 정상적인 기능에 추가하여, 시간계획표나 사진과 같은 게시물들을 교체할 수 있는 다목적이고 비싸지 않은 백판장치가 제공된다.

Claims (6)

  1. 프레임과 이 프레임으로 에워싸인 백판부분을 구비하는 백판으로 구성된 백판장치에 있어서, 백판의 앞면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 몸체를 갖는 이동가능 부재가 상기 프레임의 근방에 구비되고, 상기 이동가능 부재를 위한 구동수단이 상기 백판상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몸체의 한쪽 부분은 상기 이동가능 부재의 앞면상에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몸체의 다른쪽 부분은 프레임의 앞면 중 적어도 일부분상에 디스플레이되는 고정 부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판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가능 부재를 위한 상기 구동수단을 구성하는 구동원이 태양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판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기둥 등에 설치될 설치수단이 상기 백판의 뒷면으로부터 돌출된 하우징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태양판이 프레임 후방에서 위쪽을 향하도록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판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시간계획표 등의 시트가 그 주변부의 적어도 한 방향에서 삽입될 수 있어 백판부분의 앞면을 덮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판장치.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백판부분은 상기 프레임에 대해서 그 내측 및 외측면을 교체할 수 있도록 만들어지고, 시간계획표 등을 포함하는 원하는 내용이 상기 백판부분에 기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판장치.
KR1020000034802A 1999-06-24 2000-06-23 백판장치 KR2001004961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9-177664 1999-06-24
JP11177664A JP2001001687A (ja) 1999-06-24 1999-06-24 ホワイトボード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9614A true KR20010049614A (ko) 2001-06-15

Family

ID=16034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4802A KR20010049614A (ko) 1999-06-24 2000-06-23 백판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1001687A (ko)
KR (1) KR20010049614A (ko)
CN (1) CN1287059A (ko)
TW (1) TW49292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92623A (zh) * 2015-07-03 2015-10-21 中国十七冶集团有限公司 一种可移动拆卸式全信息标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1001687A (ja) 2001-01-09
TW492927B (en) 2002-07-01
CN1287059A (zh) 2001-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6041979A2 (en) Book with spinning globe
EP1658995A2 (en) Display book with viewing compartment and self-illumination
EP0595460B1 (en) Self-starting swinging apparatus
KR20010049614A (ko) 백판장치
US20080062631A1 (en) Multi-function desktop assembly
JP2004194791A (ja) メッセージ人形セット
KR100653239B1 (ko) 다용도 디스플레이 보드
JP3140044U (ja) 中吊り広告装置
KR19990011953U (ko) 판촉 광고용 카드
CN218162530U (zh) 折叠式磁吸支架
CN209848332U (zh) 一种玩具腰带头及玩具腰带
CN210824741U (zh) 一种带有渐进式给出机构的发票打印装置
KR100549562B1 (ko) 다기능 멀티 캘린더
CN2397556Y (zh) 图文变换同步语音提示广告牌
KR200171496Y1 (ko) 움직이는전시장치
KR200211215Y1 (ko) 다목적 휴대용 전화기 받침대
JP3500613B2 (ja) 携帯電話用着信表示装置
KR20220000199U (ko) 밴딩 조절 기능이 구비된 자력 교구 장치
JP3069896U (ja) ブック兼用カ―ドフレ―ム
WO2004081757A2 (en) Mailbox delivery signal device with panels to display signs or message
JP3035273U (ja) 発光クリップ用発光ユニット及び発光クリップ
KR200297418Y1 (ko) 컴퓨터 액자
JP2011018005A (ja) ディスプレイ基板
KR200388492Y1 (ko) 다용도 디스플레이 보드
JP2006071885A (ja) 表示体の揺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