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49605A - 볼 조인트 - Google Patents

볼 조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49605A
KR20010049605A KR1020000034733A KR20000034733A KR20010049605A KR 20010049605 A KR20010049605 A KR 20010049605A KR 1020000034733 A KR1020000034733 A KR 1020000034733A KR 20000034733 A KR20000034733 A KR 20000034733A KR 20010049605 A KR20010049605 A KR 200100496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shank
boot seal
circumferential wall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47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시라이다께끼
Original Assignee
데라마찌 아끼히로
티에치케이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라마찌 아끼히로, 티에치케이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데라마찌 아끼히로
Publication of KR200100496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9605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16C11/06Ball-joints; Other joints having more than one degree of angular freedom, i.e. universal joints
    • F16C11/0666Sealing means between the socket and the inner member shaft
    • F16C11/0671Sealing means between the socket and the inner member shaft allowing operative relative movement of joint parts due to flexing of the sealing means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볼 섕크의 요동에 대해 부츠 시일이 유연하게 변형되어 추종할 수 있음과 동시에 외부로부터의 먼지와 쓰레기나 흙탕물 침입을 완전히 방지할 수 있고, 또한 볼 섕크의 반복 요동에 의해서도 부츠 시일이 파손될 염려가 없는 볼 조인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의 볼 조인트는 상호 요동 및 회전 운동이 자유롭게 연결된 홀더와 볼 섕크 사이에 부츠 시일을 장착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부츠 시일이 상기 홀더에 대해 고정되는 원고리형 고정부와, 상기 볼이 부착된 섕크에 대해 끼워맞춰진 원고리형 립부와, 상기 홀더 외경과 거의 동일하거나 그 이하의 직경으로 상기 고정부로부터 기립한 외측 둘레벽과, 상기 립부로부터 외측 둘레벽과 겹쳐지도록 하여 이 외측 둘레벽의 내경측으로 수하(垂下) 된 내측 둘레벽과, 상기 외측 둘레벽과 내측 둘레벽을 상호 연결하는 S 자 굴곡부로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볼 조인트{ball joint}
본 발명은 예컨대 자동차의 서스펜션아암부나 미션컨트롤부 등에 사용되어 링크기구를 구성하는 볼 조인트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요동 및 회전 운동이 자유롭게 걸어맞춘 홀더와 볼 섕크 사이에 외부로부터 불순물 등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개량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런 종류의 볼 조인트는 선단에 볼부가 형성된 볼 섕크와, 상기 볼부를 둘러싸는 볼 수신부가 형성된 홀더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볼부와 볼 수신부가 아주 근소한 간극을 사이에 두고 슬라이딩함으로써 볼 섕크가 홀더에 대해 일정한 각도 이내에서 자유롭게 요동할 수 있는 것 이외에 이러한 볼 섕크의 축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 운동을 이룰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이렇게 구성된 볼 조인트에서는 볼 섕크의 볼부와 홀더의 볼 수신부 사이에 먼지와 쓰레기가 침입하면, 이들 양자의 슬라이딩면에 흠이 나서 조기 마모의 원인이 되는 것 이외에 홀더에 대한 볼 섕크의 원활한 운동이 손상된다. 따라서, 종래부터 볼 섕크와 홀더 사이에는 부츠 시일이 부착되어 볼부와 볼 수신부 사이에 외부로부터 먼지와 쓰레기가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 상기 부츠 시일은 그리스 등 윤활제의 유지공간을 제공하고 있으며, 부츠 시일 내에 윤활제를 유지함으로써 볼부와 볼 수신부의 슬라이딩면에 항시 그리스가 공급되어 볼 섕크의 원활한 운동을 장기간에 걸쳐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종래 상기 부츠 시일로는 도 6 및 도 7 에 나타낸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부츠 시일 (100) 은 시일 본체부 (101) 의 양단에 개구부를 구비한 대략 통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 개구부의 가장자리에는 홀더 (102) 의 볼 수신부 (103) 에 대해 간극없이 긴밀하게 끼워맞춰진 고정부 (104) 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 개구부의 가장자리에는 볼 섕크 (105) 의 섕크부 (106) 를 조이는 립부 (107) 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볼 섕크 (105) 의 움직임에 유연하게 주종할 수 있도록 이러한 부츠 시일 (100) 은 고무 등의 탄성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부츠 시일 (100) 은 도 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순히 본체부 (101) 양단에 립부 (107) 와 고정부 (104) 를 형성한 것에 지나지 않는 형상이기 때문에, 예컨대 볼 섕크 (105) 가 홀더 (102) 에 대해 요동하면 이러한 볼 섕크 (105) 가 경사진 방향과 반대측에서는 립부 (107) 와 고정부 (104) 의 거리가 확대되어 시일 본체부 (101) 가 늘어나고 이 늘어남에 따라 립부 (107) 가 시일 본체부 (101) 측으로 당겨진다는 결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립부 (107) 와 볼 섕크 (105) 사이에 간극이 잘 생겨 부츠 시일 (100) 내로 외부로부터 먼지와 쓰레기나 흙탕물 등이 침입할 염려가 있었다.
이러한 간극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부츠 시일 (100) 장착후에 립부 (107) 위에서부터 금속 링을 장착하는 등 하여 립부 (107) 의 볼 섕크 (105) 에 대한 밀착성을 높이면 되지만, 링 장착작업에 시간이 걸리는 것 이외에 비용이 비싸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시일 본체부 (101) 에 여유를 두게 함으로써 립부 (107) 의 변형을 적게 할 수도 있으나, 이러한 구성을 채택한 경우 볼 섕크 (105) 가 경사진 측에서는 이 섕크부 (106) 에 눌려진 시일 본체부 (101) 가 더 크게 외측으로 볼록해져 홀더 (102) 의 볼 수신부 (103) 외경보다도 외측으로 삐져 나온다. 따라서, 부츠 시일 (100) 이 볼 조인트의 주변 기기와 접촉하여 부츠 시일 (100) 의 파손이 염려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하는 것은 볼 섕크의 요동에 대해 부츠 시일이 유연하게 변형되어 추종할 수 있음과 동시에 부츠 시일의 볼 섕크에 대한 밀착성을 높여 외부로부터의 먼지와 쓰레기나 흙탕물의 침입을 완전히 방지할 수 있고, 또한 볼 섕크의 반복 요동에 의해서도 부츠 시일이 파손될 염려가 없는 볼 조인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볼 조인트는 일단에 볼부를 가짐과 동시에 타단에는 피부착부재가 고정되는 볼 섕크와, 이 볼 섕크의 볼부를 둘러싸는 볼 수신부를 가지며, 상기 볼 섕크에 대해 요동 및 회전 운동 자유롭게 연결된 홀더와, 상기 홀더와 볼 섕크 사이에 장착되고 상기 볼부와 볼 수신부의 슬라이딩면에 공급되는 윤활제를 수용함과 동시에 이들 사이에 먼지와 쓰레기가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부츠 시일을 구비한 볼 조인트를 전제로 하고, 상기 부츠 시일이 상기 홀더에 대해 고정되는 원고리형 고정부와, 상기 볼 섕크에 대해 끼워맞춰진 원고리형 립부와, 상기 홀더 외경과 거의 동일하거나 그 이하의 직경으로 상기 고정부로부터 기립한 외측 둘레벽과, 상기 립부로부터 외측 둘레벽과 겹쳐지도록 하여 이 외측 둘레벽의 내경측으로 수하된 내측 둘레벽과, 상기 외측 둘레벽과 내측 둘레벽을 상호 연결하는 S 자 굴곡부로 구성되고, 그리고 상기 립부가 상기 피부착부재 또는 이 피부착부재를 고정하기 위해 볼 섕크에 형성된 플랜지부에 대해 힘이인가된 상태로 밀착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볼 조인트에 의하면 볼 섕크와 홀더 사이에 장착된 부츠 시일은 외측 둘레벽과 내측 둘레벽이 겹쳐지도록 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을 S 자 굴곡부로 연결하고 있기 때문에, 볼 섕크를 홀더에 대해 경사시킨 경우 이러한 볼 섕크가 경사진 방향과 반대측에서는 S 자 굴곡부가 늘어나도록 하여 부츠 시일이 변형된다. 따라서, 볼 섕크의 요동에 대해 부츠 시일이 여유를 두고 무리없이 추종할 수 있어 립부를 볼 섕크에서 분리하는 힘이 잘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립부는 볼 섕크에 고정된 피부착부재, 또는 이 피부착부재를 고정시키기 위해 볼 섕크에 형성된 플랜지부에 대해 탄성지지된 상태에서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볼 섕크가 요동하여도 부츠 시일의 립부가 상기 피부착부재 또는 플랜지부에서 이간되는 일도 있다. 그럼으로써 부츠 시일의 립부와 볼 섕크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는 것을 완전히 방지할 수 있다.
또, 볼 섕크가 경사진 측에서는 외측 둘레벽, S 자 굴곡부 및 내측 둘레벽이 접혀 겹쳐지도록 하여 부츠 시일이 변형되기 때문에, 볼 섕크에 눌린 부츠 시일이 홀더의 볼 수신부보다도 외측으로 크게 삐져 나오는 일도 없고, 볼 섕크의 요동시에 부츠 시일이 볼 조인트의 주변 기기와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부츠 시일은 그 외측 둘레벽, 내측 둘레벽 및 S 자 굴곡부를 균일한 두께로 형성해도 지장없으나 바람직하게는 외측 둘레벽을 내측 둘레벽 및/또는 S 자 굴곡부보다도 두껍게 형성하는 것이 좋다. 이렇게 외측 둘레벽을 형성하면 외측 둘레벽은 내측 둘레벽이나 S 자 굴곡부보다도 변형을 잘 발생시키지 않기 때문에 볼 섕크를 요동시켰을 때에 부츠 시일이 홀더 외경보다도 외측으로 삐져 나와 변형을 발생시키는 일 없이 볼 섕크의 요동에 의해 번형된 부츠 시일이 볼 조인트의 주변 기기와 간섭하는 것을 한층 더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 볼 섕크에 고정된 부츠 시일의 립부는 외측 둘레벽의 상단은 보다 상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립부는 볼 섕크에 고정되기 때문에 일정한 궤도를 그리면서 요동하게 되지만, 이렇게 구성하면 볼 섕크의 요동에 추종하여 외측 둘레벽, S 자 굴곡부 및 내측 둘레벽이 접혀 맞닿아 있을 때에 립부가 외측 둘레벽의 상단보다도 하측으로 가라앉지 않는다. 따라서, 볼 섕크의 요동시에 부츠 시일의 외측 둘레벽이나 S 자 굴곡부가 볼 섕크에 고정된 피부착부재 등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렇게 본 발명의 볼 조인트에 의하면 볼 섕크의 요동에 대해 부츠 시일이 여유를 두고 무리없이 추종할 수 있어 립부를 볼 섕크에서 분리하는 힘이 잘 발생하지 않게 되는 것 이외에 립부는 볼 섕크에 고정된 피부착부재, 또는 이 피부착부재를 고정시키기 위해 볼 섕크에 형성된 플랜지부에서 이간되는 일도 없기 때문에, 부츠 시일의 볼 섕크에 대한 밀착성을 높여 외부로부터의 먼지와 쓰레기나 흙탕물 침입 등읠 완전히 방지할 수 있어 장기간에 걸쳐 볼 섕크의 양호한 요동 및 회전 운동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 볼 섕크가 경사졌을 때에 부츠 시일은 그 외측 둘레벽, S 자 굴곡부 및 내측 둘레벽을 겹쳐지도록 하여 변형하기 때문에, 볼 섕크의 요동중에 부츠 시일이 홀더의 볼 수신부보다도 외측으로 크게 삐져 나와 주변 기기와 간섭하는 일도 없고 부츠 시일의 파손을 가급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 은 본 발명을 적용한 볼 조인트의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단면도이다.
도 2 는 실시예에 관한 부츠 시일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 은 실시예에 관한 부츠 시일의 고정부를 홀더에 고정하는 모양을 나타낸 확대단면도이다.
도 4 는 실시예에 관한 부츠 시일의 고정부를 홀더에 고정한 상태를 나타낸 확대단면도이다.
도 5 는 실시예에 관한 볼 조인트에서 그 볼 섕크를 요동시킨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 은 종래의 부츠 시일이 장착된 볼 조인트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 은 종래의 부츠 시일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볼 섕크 2 : 홀더 3 : 부츠시일
10 : 섕크부 11 : 볼부 12 : 수나사부
13 : 플랜지부 20 : 볼 수신부 23 : 개구부
24 : 윤활창 25 : 수용부 26 : 캡부재
31 : 고정부 32 : 립부 33 : 외측 둘레벽
34 : 내측 둘레벽 35 : s 자 굴곡부 36 : 보강고리
37 : 갈고리부 A : 고리형 산부 B : 중앙 산부
이하 첨부 도면을 의거하여 본 발명의 볼 조인트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을 적용한 볼 조인트를 나타낸 것이다. 이 도면에서 도면부호 (1) 는 볼 섕크, 도면부호 (2) 는 이 볼 섕크 (1) 와 상호 요동 및 회전 운동 자유롭게 연결된 홀더, 도면부호 (3) 는 상기 볼 섕크 (1) 와 홀더 (2) 의 연결부분을 덮도록 부착된 부츠 시일이다.
상기 볼 섕크 (1) 는 대략 원주형의 섕크부 (10) 선단에 볼부 (11) 를 형성한 것이다. 이러한 볼부 (11) 는 홀더 (2) 와의 매끄러운 슬라이딩을 실현하기 위해 진구도가 높은 베어링용 강구를 섕크부 (10) 에 용접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또, 볼부 (11) 와 반대측의 섕크부 (10) 단부에는 수나사부 (12) 가 형성됨과 동시에 이 수나사부 (12) 와 인접하여 플랜지부 (13) 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플랜지부 (13) 를 시트면으로 예컨대 링크기구를 구성하는 커넥팅로드 등을 볼 섕크 (10) 에 나사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홀더 (2) 는 볼 섕크 (1) 의 볼부 (11) 를 둘러싸는 볼 수신부 (20) 를 구비함과 동시에 역시 커넥팅로드 등을 나사 고정할 수 있는 연결부 (도시 생략) 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볼 수신부 (20) 상부에는 볼 섕크 (1) 의 섕크부 (10) 가 돌출된 개구부 (23) 가 형성되어 있고, 이 볼 섕크 (1) 는 이 개구부 (23) 범위내에서 홀더 (2) 에 대해 자유롭게 요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볼 수신부 (20) 하부에는 볼부 (11) 의 구면이 노출된 윤활창 (24) 이 형성되어 있고, 이 윤활창 (24) 에는 윤활제의 수용부 (25) 를 형성하기 위한 캡부재 (26) 가 끼워맞춰져 있다.
그리고, 상기 부츠 시일 (3) 은 홀더 (2) 의 홀 수신부 (20) 의 가장자리와 볼 섕크 (1) 의 섕크부 (10) 사이에 부착되어 볼부 (11) 와 볼 수신부 (20) 의 슬라이딩면에 대해 개구부 (23) 로부터 먼지와 쓰레기가 침입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이 개구부 (23) 에 노출된 볼부 (11) 의 구면에 대해 윤활제를 공급하는 윤활제 포켓 (30) 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부츠 시일 (3) 은 고무 등 탄성재료로 성형되어 있고, 볼 섕크 (1) 의 자유롭운 요동 운동을 저해하지 않도록 이 볼 섕크 (1) 에 추종하여 자유롭게 변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부츠 시일 (3) 은 양단이 개구된 포켓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홀더 (2) 의 볼 수신부 (20) 의 가장자리에 대해 고정된 원고리형 고정부 (31) 와, 상기 볼 섕크 (1) 에 대해 고정된 원고리형 립부 (32) 와, 상기 볼 수신부 (20) 외경과 거의 동일하거나 그 이하의 직경으로 상기 고정부 (31) 로부터 기립한 외측 둘레벽 (33) 과, 상기 립부 (32) 로부터 외측 둘레벽 (33) 과 겹쳐지도록 하여 이 외측 둘레벽 (33) 의 내경측으로 수하된 내측 둘레벽 (34) 과, 상기 외측 둘레벽 (33) 과 내측 둘레벽 (34) 을 상호 연결하는 S 자 굴곡부 (35) 로 구성되어 있다.
도 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 (31) 에는 홀더 (2) 의 볼 수신부 (20) 의 가장자리와 맞물리는 금속성 보강고리 (36) 가 형성되어 있고, 볼 섕크 (1) 의 요동에 추종하여 부츠 시일 (3) 이 변형을 발생시킨 경우라도 상기 고정부 (31) 가 볼 수신부 (20) 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상기 보강고리 (36) 는 고무재로 형성된 고정부 (31) 내부에 매설되어 있으며, 볼 수신부 (20) 와 맞물리는 갈고리부 (37) 만 고정부 (31) 의 내경측으로 노출되어 있다. 또, 보강고리 (36) 가 고정된 볼 수신부 (20) 의 가장자리에는 부착부 (32) 가 원고리형으로 노치되어 있으며, 보강고리 (36) 내경은 상기 부착부 (23) 외경보다도 약간 작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부츠 시일 (3) 의 고정부 (31) 를 볼 수신부 (20) 에 고정할 때에는 도 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용 지그 (4) 를 사용하며 이 지그 (4) 를 고정부 (31) 에 대해 상측으로부터 맞닿게 하도록 하여 고정부 (31) 를 볼 수신부 (20) 의 원고리형 부착부 (23) 에 대해 강제적으로 누른다. 그럼으로써 도 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강고리 (36) 의 돌기부 (37) 가 볼 수신부 (20) 에 압입되고 부츠 시일 (3) 이 볼 섕크 (1) 의 요동에 추종하여 변형된 경우라도 고정부 (31) 의 볼 수신부 (20) 에 대한 이탈이 방지되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립부 (32) 는 윤활제 포켓 (30) 에서 윤활제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약간의 조임대로 볼 섕크 (1) 의 섕크부 (10) 에 끼워맞춰져 있고, 강제적으로 눌러 폄으로써 섕크부 (10) 에 장착되어 있다. 상기 립부 (32) 의 내주면에는 고리형 오일홈 (38) 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고, 이 오일홈 (38) 에 수용된 윤활제에 의해 립부 (32) 와 섕크부 (10) 사이의 윤활이 이뤄지도록 되어 있다. 그럼으로써 볼 섕크 (1) 가 그 축을 중심으로 홀더 (2) 에 대해 회전 운동을 발생시킨 경우라도 상기 섕크부 (10) 는 립부 (32) 로부터 작용하는 마찰력으로 그 회전을 방해할 수 없고 홀더 (2) 에 대해 원활한 회전 운동을 할 수 있다.
상기 부츠 시일 (3) 은 고정부 (31) 로부터 기립한 외측 둘레벽 (33) 과 립부 (32) 로부터 수하된 내측 둘레벽 (34) 을 S 자 굴곡부 (35) 로 연결하고 있기 있기 때문에, 외측 둘레벽 (33) 과 S 자 굴곡부 (35) 로 형성된 고리형 산부 (A) 의 내측에 S 자 굴곡부 (35) 와 내측 둘레벽 (34) 에 의해 형성된 고리형 계곡부 (B) 를 구비하고, 또 이 고리형 계곡부 (B) 의 내측에 내측 둘레벽 (34) 과 립부 (32) 로 이루어진 중앙 산부 (C) 가 돌출된 형상을 이루고 있다. 따라서, 볼 섕크 (1) 를 요동시키면 립부 (32) 에 연속되는 내측 둘레벽 (34) 및 S 자 굴곡부 (35) 는 섕크부 (10) 의 요동에 추종하여 탄성 변형되고, 도 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볼 섕크 (1) 가 쓰러진 측에서는 내측 둘레벽 (34) 및 S 자 굴곡부 (35) 가 외측 둘레벽 (33) 과 겹쳐지도록 하여 접혀진다. 또한, 반대측에서는 볼 섕크 (1) 의 요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S 자 굴곡부 (35) 가 외측 둘레벽 (33) 과 내측 둘레벽 (34) 사이에서 늘어나 이 볼 섕크 (1) 의 요동에 대해 부츠 시일 (3) 이 여유를 두고 추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볼 조인트에서는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부츠 시일 (3) 의 고정부 (31) 에서 립부 (32) 까지의 높이를 H, 도 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홀더 (2) 의 부착부 (23) 에서 볼 섕크 (1) 의 플랜지부 (13) 까지의 높이를 h 로 한 경우 H>h 관계가 이루어지고, 부츠 시일 (3) 을 볼 조인트에 장착한 상태에서는 S 자 굴곡부 (35) 가 탄성 변형됨으로써 부츠 시일 (3) 높이가 눌려 조여지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립부 (32) 는 힘이 인가된 상태로 볼 섕크 (1) 의 플랜지부 (13) 의 하면측에 밀착되어 있으며, 볼 섕크 (1) 가 요동하여도 립부 (32) 는 플랜지부 (13) 에서 이간되지 않고 볼 섕크 (1) 의 움직임에 추종한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의 볼 조인트에서는 볼 섕크 (1) 의 요동 중에 부츠 시일 (3) 의 립부 (32) 는 섕크부 (10)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지 않고, 또한 플랜지부 (13) 와도 이간되지 않기 때문에, 먼지와 쓰레기나 흙탕물 등이 부츠 시일 (3)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의 부츠 시일 (3) 에서는 외측 둘레벽 (33) 의 두께 (d) 를 내측 둘레벽 (34) 이나 S 자 굴곡부 (35) 의 두께보다도 두껍게 형성하고 있으며, 이 외측 둘레벽 (33) 이 내측 둘레벽 (34) 이나 S 자 굴곡부 (35) 보다도 잘 변형되지 않게 설정되어 있다. 그럼으로써 도 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볼 섕크 (1) 가 요동한 경우라도 외측 둘레벽 (33) 이 변형되는 것보다도 먼저 내측 둘레벽 (34) 및 S 자 굴곡부 (35) 가 크게 탄성 변형을 하고 외측 둘레벽 (33) 이 크게 탄성 변형되는 일이 없다.
따라서, 볼 섕크 (1) 가 요동하였을 때에는 고리형 산부 (A) 보다도 중앙 산부 (C) 가 크게 변형되고, 도 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볼 섕크 (1) 를 요동 범위의 한계까지 쓰러뜨린 경우라도 고리형 산부 (A) 를 이루는 외측 둘레벽 (33) 이 홀더 (2) 의 볼 수신부 (20) 외경보다도 외측으로 삐져 나오는 일이 없다. 따라서, 볼 섕크 (1) 의 요동 운동이 한창 중에 부츠 시일 (3) 이 볼 조인트의 주변 기기에 접촉하는 트러블을 회피할 수 있어 부츠 시일 (3) 의 파손을 예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상기 볼 조인트에서는 부츠 시일 (3) 의 립부 (32) 가 고리형 산부 (A) 정점, 즉 외측 둘레벽 (33) 상단보다도 상측으로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도 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볼 섕크 (1) 가 크게 쓰러진 경우라도 립부 (32) 가 고리형 산부 (A) 정점과 접촉하도록 부츠 시일 (3) 이 접혀지기 때문에, 이 고리형 산부 (A) 정점이 볼 섕크 (1) 의 플랜지 (13) 에 접촉하지 않고 역시 이 점에서도 부츠 시일 (3) 의 파손을 예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원 발명은, 볼 섕크의 요동에 대해 부츠 시일이 유연하게 변형되어 추종할 수 있음과 동시에 부츠 시일의 볼 섕크에 대한 밀착성을 높여 외부로부터의 먼지와 쓰레기나 흙탕물의 침입을 완전히 방지할 수 있고, 또한 볼 섕크의 반복 요동에 의해서도 부츠 시일이 파손될 염려가 없다.

Claims (5)

  1. 일단에 볼부를 가짐과 동시에 타단에는 피부착부재가 고정된 볼 섕크와, 이 볼 섕크의 볼부를 둘러싸는 볼 수신부를 가지며 상기 볼 섕크에 대해 요동 및 회전 운동이 자유롭게 연결된 홀더와, 상기 홀더와 볼 섕크 사이에 장착되고 상기 볼부와 볼 수신부의 슬라이딩면에 공급되는 윤활제를 수용함과 동시에 이들 사이에 먼지와 쓰레기가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부츠 시일을 구비한 볼 조인트에 있어서,
    상기 부츠 시일은 상기 홀더에 대해 고정된 원고리형 고정부와, 상기 볼 섕크에 대해 끼워맞춰진 원고리형 립부와, 상기 홀더 외경과 거의 동일하거나 그 이하의 직경으로 상기 고정부로부터 기립한 외측 둘레벽과, 상기 립부로부터 외측 둘레벽과 겹쳐지도록 하여 이 외측 둘레벽의 내경측으로 수하(垂下) 된 내측 둘레벽과, 상기 외측 둘레벽과 내측 둘레벽을 상호 연결하는 S 자 굴곡부로 구성되고,
    상기 립부는 상기 피부착부재 또는 이 피부착부재를 고정하기 위해 볼 섕크에 형성된 플랜지부에 대해 힘이 인가된 상태로 밀착되어 있느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조인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츠 시일은 그 외측 둘레벽의 두께가 내측 둘레벽 및/또는 S 자 굴곡부보다도 두껍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조인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볼 섕크에 고정된 부츠 시일의 립부는 이 부츠 시일의 외측 둘레벽 상단보다도 상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조인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츠 시일의 고정부에는 홀더의 둘레 가장자리와 맞물리는 금속제 보강고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조인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츠 시일의 립부의 내주면에는 고리형 오일홈을 하나 내지 복수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조인트.
KR1020000034733A 1999-07-02 2000-06-23 볼 조인트 KR2001004960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188857A JP2001012450A (ja) 1999-07-02 1999-07-02 ボールジョイント
JP99-188857 1999-07-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9605A true KR20010049605A (ko) 2001-06-15

Family

ID=16231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4733A KR20010049605A (ko) 1999-07-02 2000-06-23 볼 조인트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1012450A (ko)
KR (1) KR20010049605A (ko)
DE (1) DE1003115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120096U1 (de) * 2001-12-10 2002-03-21 Sachsenring Fahrzeugtechnik Gm Abdichtung für ein Kugelgelenk
DE102006039861A1 (de) * 2006-08-25 2008-03-13 Zf Friedrichshafen Ag Dichtungs- oder Faltenbalg
JP5057219B2 (ja) * 2007-07-09 2012-10-24 Nok株式会社 ボールジョイント用ダストカバー
JP6605530B2 (ja) 2017-03-31 2019-11-13 ファナック株式会社 ボールジョイントのシール部材
JP7017538B2 (ja) 2019-04-24 2022-02-08 ファナック株式会社 ブーツシール、ロボットおよびパラレルリンクロボット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73973U (ja) * 1983-10-25 1985-05-24 日本トムソン株式会社 ロツドエンド軸受のダストカバ−
JPS62270812A (ja) * 1986-05-19 1987-11-25 Hiroshi Teramachi ボ−ルジョイントのダストシ−ル
JPH0266714A (ja) * 1988-09-01 1990-03-06 Nec Corp ディスク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73973U (ja) * 1983-10-25 1985-05-24 日本トムソン株式会社 ロツドエンド軸受のダストカバ−
JPS62270812A (ja) * 1986-05-19 1987-11-25 Hiroshi Teramachi ボ−ルジョイントのダストシ−ル
JPH0266714A (ja) * 1988-09-01 1990-03-06 Nec Corp ディスク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1012450A (ja) 2001-01-16
DE10031150A1 (de) 2001-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65212B1 (en) Ball joint
US3901518A (en) Dust seal cover for ball joint
JP4953865B2 (ja) ボールジョイント
EP1367272B1 (en) Ball joint seal
EP2657552A2 (en) Ball joint
US20020101042A1 (en) Ball joint with seal
US4241928A (en) Boot seal
US10718372B2 (en) Dust boot for a moveable joint
KR20010049605A (ko) 볼 조인트
EP1630431B1 (en) Ball joint
JPS62137408A (ja) ボ−ルジヨイント用ダストカバ−
CN109469728B (zh) 防尘罩
US20060159375A1 (en) Inverted ball joint
US20210033141A1 (en) Dust cover
EP3686447B1 (en) Ball joint and dust cover
CN108691883B (zh) 球窝接头的密封构件以及球窝接头
JP2019196837A (ja) ボールジョイント用ダストカバー
JPH10205524A (ja) 密封カバー
CN110741171B (zh) 用于联合收割机的收割器的球铰接头的改进的防尘罩和制造方法
JPH0523853Y2 (ko)
JP2024065544A (ja) ボールジョイントのダストカバー
JPH02221711A (ja) ホールジョイント用ダストカバーのシール
JPH0522834U (ja) ボールジヨイント
KR19980020968U (ko) 볼조인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