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47672A - 운용 메모리부의 메모리 모듈 - Google Patents

운용 메모리부의 메모리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47672A
KR20010047672A KR1019990051986A KR19990051986A KR20010047672A KR 20010047672 A KR20010047672 A KR 20010047672A KR 1019990051986 A KR1019990051986 A KR 1019990051986A KR 19990051986 A KR19990051986 A KR 19990051986A KR 20010047672 A KR20010047672 A KR 200100476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ory
unit
chip enable
bank
enabl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19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51799B1 (ko
Inventor
김남용
Original Assignee
서평원
엘지정보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평원, 엘지정보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평원
Priority to KR10-1999-00519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1799B1/ko
Publication of KR200100476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76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17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17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06Data managing, e.g. manipulating data before writing or reading out, data bus switches or control circuit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G06F13/16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for access to memory bus
    • G06F13/1668Details of memory controller

Abstract

본 발명은 운용 메모리부의 메모리 모듈 (memory module)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종래의 마더 보드와 저장 용량이 큰 메모리를 사용하여, 총 메모리 용량은 동일하고 뱅크(bank) 수를 줄일 수 있는 운용 메모리부의 메모리 모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운용 메모리부의 메모리 모듈은, 주제어부로부터 버스가 전송되는 버스 접속부와, 복수의 메모리로 구성된 뱅크 및 버스 접속부로부터 칩 인에이블 신호를 메모리로 전송하는 칩 인에이블 신호 변환기를 구비한다.
특히, 칩 인에이블 신호 변환기는 복수의 앤드(AND) 게이트와 낫(NOT) 게이트의 조합회로로 구성된다.
이와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마더 보드와 저장 용량이 큰 메모리를 사용하여, 총 메모리 용량은 동일하고 뱅크 수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운용 메모리부의 메모리 모듈{Memory module in a operating memory part}
본 발명은 일반적인 데이터 처리 시스템에 채용되는 운용 메모리부의 메모리 모듈(memory module)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종래의 마더 보드와 저장 용량이 큰 메모리를 사용하여, 총 메모리 용량은 동일하고 뱅크(bank) 수를 줄일 수 있는 운용 메모리부의 메모리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엠디씨유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성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엠디씨유(100)는 연산과 처리를 수행하는 중앙처리장치부(110)와, 시스템에 대한 인터럽트부(121)와 경보감시부(122)를 갖는 인터럽트/경보 감시부(120)와, 메모리 영역과 외부 시스템과의 연결을 위한 외부 프로그램 접속부(130) 및 제어 단말기가 연결되는 씨아이티 터미널 연결부(140)를 구비한다.
한편, 도 2는 종래의 중앙처리장치부의 구성 및 신호 흐름을 나타낸 개요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중앙처리장치부(110)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디램(DRAM)(111)과, 연산을 처리하는 씨피유(112)와, 운영체제(operating system)를 탑재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포함된 부트업(bootup) 메모리부(113) 및 플래시(FLASH) 메모리로 구성되어 언제든지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software upgrade)를 할 수 있는 운용 메모리부(114)를 구비한다.
또한, 도 3은 종래의 운용 메모리부의 메모리 모듈 구성을 나타낸 개요도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운용 메모리부(114)는, 심(SIMM:Single In-line Memory Module)형태의 분리형 모듈로 제작되며, 4Mbit 용량의 메모리 4개(151, 152, 153, 154)를 갖는 제 1 뱅크(150)와, 또 다른 4Mbit 용량의 메모리 4개(161, 162, 163, 164)를 갖는 제 2 뱅크(160) 및 상기 씨피유(112)와 버스를 접속시키는 버스 접속부(170)를 구비한다.
여기서, 도 3의 버스 접속부(170)에 있는 씨에스1(CS1)과 씨에스2(CS2)는 각 메모리 칩을 선택하는 칩 인에이블 신호를 나타낸다. 이때, 씨에스1<0:3>은 각각 제 1 뱅크(150)에 있는 메모리(151, 152, 153, 154)로 전달되는 4개의 칩 인에이블 신호를 나타내며, 씨에스2<0:3>은 각각 제 2 뱅크(160)에 있는 메모리(161, 162, 163, 164)로 전달되는 4개의 칩 인에이블 신호를 나타낸다.
그런데, 메모리는 시장 특성상 그 용량이나 종류가 빠른 속도로 업그레이드 되고 있으며, 조기에 단종되기도 한다. 이에 따라, 용량이 큰 메모리를 사용하면 메모리 칩의 수를 줄여 뱅크의 수를 줄일 수도 있으며, 시장 환경의 변화에도 대처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마더보드를 이용할 경우에는, 메모리 사용 구조상 뱅크의 수를 줄일 수 없으므로 용량이 큰 메모리로 대체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종래의 마더 보드와 저장 용량이 큰 메모리를 사용하여, 총 메모리 용량은 동일하고 뱅크 수를 줄일 수 있는 운용 메모리부의 메모리 모듈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엠디씨유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종래의 중앙처리장치부의 구성 및 신호 흐름을 나타낸 개요도.
도 3은 종래의 운용 메모리부의 메모리 모듈 구성을 나타낸 개요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운용 메모리부의 메모리 모듈 구성을 나타낸 개요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엠디씨유 110... 중앙처리장치부
111... 디램 112... 씨피유
113... 부트업 메모리부 114, 200... 운용 메모리부
120... 인터럽트/경보감시부 121... 인터럽트부
122... 경보집중부 130... 외부 프로그램 접속부
140... 씨아이티 터미널 연결부 150, 210... 제 1 뱅크
151, 152, 153, 154... 메모리(4M) 160... 제 2 뱅크
161, 162, 163, 164... 메모리(4M) 170, 230... 버스 접속부
211... 제 1 메모리(8M) 212... 제 2 메모리(8M)
213... 제 3 메모리(8M) 214... 제 4 메모리(8M)
220... 칩 인에이블 신호 변환기 221... 제 1 변환 회로부
222... 제 2 변환 회로부 223... 제 3 변환 회로부
224... 제 4 변환 회로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운용 메모리부의 메모리 모듈은, 주제어부로부터 버스가 전송되는 버스 접속부와, 복수의 메모리로 구성된 뱅크 및 상기 버스 접속부로부터 칩 인에이블 신호를 상기 메모리로 전송하는 칩 인에이블 신호 변환기를 구비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특히, 상기 칩 인에이블 신호 변환기는 복수의 앤드(AND) 게이트와 낫(NOT) 게이트의 조합회로로 구성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이와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마더 보드와 저장 용량이 큰 메모리를 사용하여, 총 메모리 용량은 동일하고 뱅크 수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엠디씨유 운용 메모리부의 메모리 모듈 구성을 나타낸 개요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운용 메모리부(200)는 8Mbit 용량의 메모리 4개(211, 212, 213, 214)를 갖는 제 1 뱅크(210)와, 칩 인에이블 신호를 메모리에 전달하는 4개의 변환 회로부(221, 222, 223, 224)를 갖는 칩 인에이블 신호 변환기(220) 및 엠디씨유의 씨피유와 버스를 접속시키는 버스 접속부(230)를 구비한다.
도 4에 나타낸 본 발명에 따른 운용 메모리부(200)와 도 3에 나타낸 종래의 운용 메모리부(114)는 모두 32Mbit의 총 메모리 용량을 가지며,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종래의 운용 메모리부(114)는 8개의 4Mbit 메모리(151, 152, 153, 154, 161, 162, 163, 164)를 사용하였으며, 본 발명에 따른 운용 메모리부(200)는 4개의 8Mbit 메모리(211, 212, 213, 214)를 사용하였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버스 접속부(230)에서 처리하는 A<2:20>, D<0:31>, CS1<0:3> 및 CS2<0:3>의 어드레스, 데이터, 칩 인에이블 신호는 종래의 버스 접속부(170)에서 처리하는 것과 동일하다.
다만, 종래의 운용 메모리부(114)는 8개의 4Mbit 메모리(151, 152, 153, 154, 161, 162, 163, 164)와 8개의 칩 인에이블 신호(CS1<0:3>, CS2<0:3>)를 갖는데 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운용 메모리부(200)는 4개의 8Mbit 메모리(211, 212, 213, 214)와 8개의 칩 인에이블 신호(CS1<0:3>, CS2<0:3>)를 갖는다. 이것은, 마더 보드의 변경없이 메모리 용량만을 변경하여 메모리 모듈을 구성하기 때문에, 상기 버스 접속부(230)를 통해 전달되는 신호들은 종래의 신호 구성과 동일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 1 메모리(211)에 전달되는 칩 인에이블 신호는 CS1_0와 CS2_0이며, 이 칩 인에이블 신호들은 제 1 변환 회로부(221)를 거쳐서 상기 제 1 메모리(211)에 전달된다. 이때, 상기 제 1 메모리(211)의 칩 인에이블이 활성화 된 상태는 전달되는 칩 인에이블 신호가 로우(low) 신호일 때이다.
한편, 상기 제 1 변환 회로부(221)는 종래 운용 메모리부(114)의 제 1 뱅크 (150)의 4Mbit 메모리(151)에 전달되는 칩 인에이블 신호 CS1_0과 제 2 뱅크(160)의 4Mbit 메모리(161)에 전달되는 칩 인에이블 신호 CS2_0을 상기 버스 접속부 (230)로부터 8Mbit 용량의 상기 제 1 메모리(211)로 전달한다. 이때, 상기 제 1 변환 회로부(221)는 앤드(AND) 게이트와 낫(NOT) 게이트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있음으로써, 칩 인에이블 신호 CS1_0와 CS2_0를 처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변환 회로부(221)에서의 칩 인에이블 신호 처리를 설명하면, CS1_0가 로우(low) 신호이고 CS2_0가 하이(high) 신호인 경우, 즉 종래의 제 1 뱅크(150)의 메모리(151)가 칩 인에이블인 경우에는, 상기 제 1 변환 회로부(221)를 거쳐서 상기 제 1 메모리(211)로 전달되는 신호는, 칩 인에이블 신호가 로우 신호이고 A19 핀으로 전달되는 신호는 로우 신호가 된다. 한편 CS1_0가 하이 신호이고 CS2_0가 로우 신호인 경우, 즉 종래의 제 2 뱅크(160)의 메모리(161)가 칩 인에이블인 경우에는, 상기 제 1 변환 회로부(221)를 거쳐서 상기 제 1 메모리(211)로 들어가는 신호는, 칩 인에이블 신호가 로우이고 A19 핀으로 전달되는 신호가 하이 신호가 된다. 여기서 A19핀으로 전달되는 신호에 따라서 종래의 제 1 뱅크(150)로 전달되는 신호와 제 2 뱅크(160)로 전달되는 신호가 구분된다.
한편, 제 2 메모리(212), 제 3 메모리(213) 및 제 4 메모리(214)에 칩 인에이블 신호를 각각 전달하는 제 2 변환 회로부(222), 제 3 변환 회로부(223) 및 제 4 변환 회로부(224)의 동작은 상기 설명된 제 1 변환 회로부(221)의 동작과 동일하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 모듈은, 종래의 마더 보드와 저장 용량이 큰 메모리를 사용하여, 총 메모리 용량은 동일하고 뱅크 수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2)

  1. 주제어부로부터 버스가 전송되는 버스 접속부와;
    복수의 메모리(memory)로 구성된 뱅크(bank); 및
    상기 버스 접속부로부터 칩 인에이블(chip enable) 신호를 상기 메모리로 전송하는 칩 인에이블 신호 변환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용 메모리부의 메모리 모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칩 인에이블 신호 변환기는 복수의 앤드(AND) 게이트와 낫(NOT) 게이트의 조합회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용 메모리부의 메모리 모듈.
KR10-1999-0051986A 1999-11-22 1999-11-22 운용 메모리부의 메모리 모듈 KR1004517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1986A KR100451799B1 (ko) 1999-11-22 1999-11-22 운용 메모리부의 메모리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1986A KR100451799B1 (ko) 1999-11-22 1999-11-22 운용 메모리부의 메모리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7672A true KR20010047672A (ko) 2001-06-15
KR100451799B1 KR100451799B1 (ko) 2004-10-08

Family

ID=19621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1986A KR100451799B1 (ko) 1999-11-22 1999-11-22 운용 메모리부의 메모리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179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54946B2 (en) 2009-03-10 2012-04-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ata storage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2445B1 (ko) 2015-01-26 2021-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선택적으로 동작하는 복수의 디램 장치를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30836A (en) * 1994-08-12 1996-06-2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ple memory bank selection
JP2643896B2 (ja) * 1995-02-23 1997-08-20 日本電気株式会社 半導体メモリ
KR0154748B1 (ko) * 1995-11-28 1998-11-16 김광호 다양한 메모리 폭 및 길이를 갖는 시스템의 피지컬 어드레스 제어방법
KR19990011185A (ko) * 1997-07-22 1999-02-18 구자홍 입출력보드의 데이터 버퍼 메모리 확장회로
KR19990080078A (ko) * 1998-04-13 1999-11-05 유기범 메모리 자동 검출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54946B2 (en) 2009-03-10 2012-04-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ata storage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51799B1 (ko) 2004-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80968B2 (en) Switch/network adapter port incorporating shared memory resources selectively accessible by a direct execution logic element and one or more dense logic devices in a fully buffered dual in-line memory module format (FB-DIMM)
US677152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transfer
US7194593B2 (en) Memory hub with integrated non-volatile memory
US7424552B2 (en) Switch/network adapter port incorporating shared memory resources selectively accessible by a direct execution logic element and one or more dense logic devices
US6032246A (en) Bit-slice processing unit having M CPU&#39;s reading an N-bit width data element stored bit-sliced across M memories
US7565461B2 (en) Switch/network adapter port coupling a reconfigurable processing element to one or more microprocessors for use with interleaved memory controllers
US20020103988A1 (en) Microprocessor with integrated interfaces to system memory and multiplexed input/output bus
US8767430B2 (en) Configurable module and memory subsystem
KR20080047998A (ko) 장치, 장치를 전력 절감 모드로 스위칭하는 방법, 메모리시스템, 메모리 모듈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US7466761B2 (en) Configuration for the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a data processing device and a functional unit
US5467461A (en) Multiprocessor computer system having bus control circuitry for transferring data between microcomputers
US7197575B2 (en) Switch/network adapter port coupling a reconfigurable processing element to one or more microprocessors for use with interleaved memory controllers
KR100451799B1 (ko) 운용 메모리부의 메모리 모듈
US5895496A (en) System for an method of efficiently controlling memory accesses in a multiprocessor computer system
CN201159895Y (zh) 多处理器连接电路
US20040225830A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linking a processor and cache
US5307475A (en) Slave controller utilizing eight least/most significant bits for accessing sixteen bit data words
JPS6059665B2 (ja) メモリ構成方式
KR0145541B1 (ko) 디지탈 이동통신 교환기에서 대 용량 프로세서간 통신보드의 예비용 노드 이용방법
CN209784996U (zh) 控制电路
JPH01195555A (ja) マイクロコンピュータ
CN117806553A (zh) 一种多源异构分布式系统、内存访问方法和存储介质
JPS61271541A (ja) 暴走処理回路
JPH02133856A (ja) データ転送装置
JPH05307527A (ja) 記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1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