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46721A - 공기조화기의 제상운전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제상운전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46721A
KR20010046721A KR1019990050602A KR19990050602A KR20010046721A KR 20010046721 A KR20010046721 A KR 20010046721A KR 1019990050602 A KR1019990050602 A KR 1019990050602A KR 19990050602 A KR19990050602 A KR 19990050602A KR 20010046721 A KR20010046721 A KR 200100467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frosting operation
time
defrosting
heating
predeterm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0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성엽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900506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46721A/ko
Publication of KR200100467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6721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41Defrosting; Preventing freezing
    • F24F11/42Defrosting; Preventing freezing of outdo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4Electronic processing using pre-stored dat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4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system states
    • F24F2140/20Heat-exchange fluid temper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제상운전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냉난방 겸용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난방운전시 일정시간 동안 제상운전이 얼마나 자주 시행되었는가의 빈도를 고려하여 그 회수가 많을 경우에 강제적으로 제상운전을 추가하기 위한 공기조화기의 제상운전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난방운전일 경우 난방운전시간과 난방운전 누적시간을 증가시켜 저장하는 저장단계(S1)와; 상기 난방운전 누적시간이 일정시간(Xz)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누적시간판단단계(S2)와; 상기 누적시간판단단계(S2)에서 난방운전 누적시간이 일정시간(Xz)이 경과하지 않았다면, 제상운전 중인지를 판단하는 제상운전판단단계(S3)와; 제상운전이 아닌 경우, 난방운전시간이 일정시간(Xh) 경과했는지를 판단하여, 일정시간(Xh)이 경과하여도 배관온도가 일정온도(Th ℃) 이하이면 제상운전을 실시하는 제상운전단계(S4)와; 제상운전상태인 경우에는 제상운전상태에서 일정시간(Xd)이 경과하거나 실내기 또는 실외기의 배관온도가 일정온도(Td ℃) 이상이면 제상운전회수를 누적시켜 저장하고 제상운전을 해제하는 제상운전해제단계(S5)와; 상기 누적시간판단단계(S2)에서 난방운전 누적시간이 일정시간(Xz) 경과하였다면 상기 누적된 제상운전회수가 일정회수(K) 이상인지를 판단하여, 일정회수 이상이 아니면 상기 제상운전판단단계(S3)로 진행하며, 상기 누적된 제상회수가 일정회수(K) 이상이면 제상시간을 지정하고 직접 상기 제상운전단계(S4)의 제상운전으로 진행시키는 추가제상운전단계(S6)로 구성되어, 난방운전시 실외기 누적 결빙에 의해 난방능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제상운전 제어방법 {Method for controlling defrosting operation for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제상운전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냉난방 겸용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난방운전시 일정시간 동안 제상운전이 얼마나 자주 시행되었는가의 빈도를 고려하여 그 회수가 많을 경우에 강제적으로 제상운전을 추가하여, 난방운전시 실외 열교환기의 누적 결빙에 의해 난방능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제상운전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냉난방 겸용 공기조화기의 순환회로를 도시하는 개략도로서, 냉방운전시에는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압축기(1)에서 토출된 냉매가 사방변(2)을 통하여 실외 열교환기(3)를 거쳐서 모세관(4)을 통과한 후에 실내 열교환기(5)에서 열 교환 한 후, 다시 사방변(2)을 통하여 압축기(1)로 유입되게 된다.
그러나 난방운전시에는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순환방향과 정 반대의 순환회로를 통과하게 되므로 실외기측으로 찬 공기를 내보내게 되는데, 난방운전을 실시할 때의 실외는 보통 기온이 낮은 상태이므로 따라서, 실외 열교환기(3)의 결빙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와 같은 난방 운전시 발생하는 실외 열교환기(3)의 결빙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파이프에 배관 온도를 감지할 수 있도록 온도 센서를 부착시키고 이를 전기적 회로로 실내기의 제어부에서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배관 온도가 제어부에 프로그램 되어 있는 온도 값 이하로 떨어지면 실내기 제어부에 의해 난방운전이 냉방운전으로 전환되어 실외 열교환기(3)로 차가운 액 냉매 대신 뜨거운 가스 냉매가 유입되어 결빙을 녹여주며, 이를 제상운전이라고 한다.
도 2는 종래의 공기조화기의 제상운전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로서, 종래의 제상운전 제어방법은 난방운전이 시작된 후에 제상운전 상태여부를 판단하여 제상운전이 아니라면 난방운전이 일정시간(Xh) 경과했는지를 판단하여, 일정시간(Xh)이 경과한 후 배관온도가 일정온도(Th ℃) 이하이면 제상운전으로 들어가는 제상운전단계(10)와; 제상운전상태에서 일정시간(Xd)이 경과하거나 실내 열교환기 또는 실외 열교환기의 배관온도가 일정온도(Td ℃) 이상이면 제상운전을 해제하는 제상운전해제단계(20)로 구성되며 상기의 동작단계를 단순히 반복하면서 제상운전을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상운전 제어방법은 난방운전 중에 무조건 정해진 시간 및 온도에 따라 제상운전을 반복하게 되며, 따라서 실제로 제상운전이 반복될 때, 실외 열교환기의 결빙이 완전히 제거되지 않았는데 제상운전이 해제될 수도 있고, 실외 열교환기의 결빙이 완전히 해빙되지 않은 상태에서 계속 결빙이 누적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난방운전시 실외 열교환기의 누적 결빙에 의해 난방능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제상운전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난방운전시 일정시간 동안 제상운전이 얼마나 자주 시행되었는가의 빈도를 고려하여 그 회수가 많을 경우에 강제적으로 제상운전을 추가함으로써 달성된다.
도 1은 종래의 냉난방 겸용 공기조화기의 순환회로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2는 종래의 공기조화기의 제상운전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제상운전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단계도,
도 4는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제상운전 제어방법의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P1 : 제상운전회수 누적단계 P2 : 추가제상운전단계
S1 : 저장단계 S2 : 누적시간판단단계
S3 : 제상운전판단단계 S4 : 제상운전단계
S5 : 제상운전해제단계 S6 : 추가제상운전단계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제상운전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단계도로서, 본 발명의 구성은 크게, 냉난방 겸용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제상운전을 수행할 때마다 그 회수를 누적시키는 제상운전회수 누적단계(P1)와; 난방운전시작 후 일정시간 경과 후 상기 누적된 제상운전회수를 참조하여 누적회수가 일정회수 이상이면 강제로 제상운전을 추가 실시하는 제상운전추가단계(P2)로 구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제상운전 제어방법의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로서, 난방운전일 경우 난방운전시간과 난방운전 누적시간을 증가시켜 저장하는 저장단계(S1)와; 상기 난방운전 누적시간이 일정시간(Xz)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누적시간판단단계(S2)와; 상기 누적시간판단단계(S2)에서 난방운전 누적시간이 일정시간(Xz)이 경과하지 않았다면, 제상운전 중인지를 판단하는 제상운전판단단계(S3)와; 제상운전이 아닌 경우, 난방운전시간이 일정시간(Xh) 경과했는지를 판단하여, 일정시간(Xh)이 경과하였을 때 배관온도가 일정온도(Th ℃) 이하이면 제상운전을 실시하는 제상운전단계(S4)와; 제상운전상태인 경우에는 제상운전상태에서 일정시간(Xd)이 경과하거나 실내 열교환기 또는 실외 열교환기의 배관온도가 일정온도(Td ℃) 이상이면 제상운전회수를 누적시켜 저장하고 제상운전을 해제하는 제상운전해제단계(S5)와; 상기 누적시간판단단계(S2)에서 난방운전 누적시간이 일정시간(Xz) 경과하였다면 상기 누적된 제상운전회수가 일정회수(K) 이상인지를 판단하여, 일정회수 이상이 아니면 상기 제상운전판단단계(S3)로 진행하며, 상기 누적된 제상회수가 일정회수(K) 이상이면 제상시간을 지정하고 직접 상기 제상운전단계(S4)의 제상운전으로 진행시키는 추가제상운전단계(S6)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공기조화기를 난방 운전하는 상태라면 난방운전시간과 난방운전 누적시간을 증가시키고 난방운전 누적시간을 조회하여 그 시간이 일정시간(Xz) 미만이면 난방운전시간을 기본 난방운전시간(Xh)과 비교하여 작으면 복귀하고 크다면 실내 또는 실외 배관온도를 체크하여 일정온도(Th ℃) 이하일 경우에는 제상운전을 수행하고 , 일정온도(Th ℃) 보다 클 경우에는 난방운전을 시속시킨다.
제상운전을 수행할 경우에는 주어진 제상운전시간(Xd)이 경과하거나 실내 또는 실외 배관온도가 일정온도(Td ℃) 이상일 경우 제상운전을 해제하고 제상운전회수의 카운터를 증가시켜 제상운전누적회수를 저장하고 복귀한다.
이후 상기 난방운전 누적시간이 일정시간(Xz) 이상이면 제상운전 누적회수를 체크하여 일정회수(K) 이상이면 실외기 누적결빙 상태로 판단하여 제상시간을 지정하고 추가적인 제상운전을 실시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난방운전시 실외기 누적 결빙에 의해 난방능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발명인 것이다.

Claims (2)

  1. 냉난방 겸용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제상운전을 수행할 때마다 그 회수를 누적시키는 제상운전회수 누적단계와;
    난방운전시작 후 일정시간 경과 후 상기 누적된 제상운전회수를 참조하여 누적회수가 일정회수 이상이면 강제로 제상운전을 추가 실시하는 제상운전추가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상운전 제어방법.
  2. 냉난방 겸용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난방운전일 경우 난방운전시간과 난방운전 누적시간을 증가시켜 저장하는 저장단계와;
    상기 난방운전 누적시간이 일정시간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누적시간판단단계와;
    상기 누적시간판단단계에서 난방운전 누적시간이 일정시간이 경과하지 않았다면, 제상운전 중인지를 판단하는 제상운전판단단계와;
    제상운전이 아닌 경우, 난방운전시간이 일정시간 경과했는지를 판단하여, 일정시간이 경과하였을 때 배관온도가 일정온도 이하이면 제상운전을 실시하는 제상운전단계와;
    제상운전상태인 경우에는 제상운전상태에서 일정시간이 경과하거나 실내기 또는 실외기의 배관온도가 일정온도 이상이면 제상운전회수를 누적시켜 저장하고 제상운전을 해제하는 제상운전해제단계와;
    상기 누적시간판단단계에서 난방운전 누적시간이 일정시간 경과하였다면 상기 누적된 제상운전회수가 일정회수 이상인지를 판단하여, 일정회수 이상이 아니면 상기 제상운전판단단계로 진행하며, 상기 누적된 제상회수가 일정회수 이상이면 제상시간을 지정하고 직접 상기 제상운전단계의 제상운전으로 진행시키는 추가제상운전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상운전 제어방법.
KR1019990050602A 1999-11-15 1999-11-15 공기조화기의 제상운전 제어방법 KR200100467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0602A KR20010046721A (ko) 1999-11-15 1999-11-15 공기조화기의 제상운전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0602A KR20010046721A (ko) 1999-11-15 1999-11-15 공기조화기의 제상운전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6721A true KR20010046721A (ko) 2001-06-15

Family

ID=19620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0602A KR20010046721A (ko) 1999-11-15 1999-11-15 공기조화기의 제상운전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4672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50809A (zh) * 2015-12-30 2016-06-08 青岛海信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智能家居设备的控制方法、设备及系统
CN110631207A (zh) * 2018-06-25 2019-12-31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一种空调的除霜控制方法及装置
CN111189171A (zh) * 2018-11-14 2020-05-22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一种空调及其防冻结的控制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50809A (zh) * 2015-12-30 2016-06-08 青岛海信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智能家居设备的控制方法、设备及系统
CN110631207A (zh) * 2018-06-25 2019-12-31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一种空调的除霜控制方法及装置
CN110631207B (zh) * 2018-06-25 2022-06-14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一种空调的除霜控制方法及装置
CN111189171A (zh) * 2018-11-14 2020-05-22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一种空调及其防冻结的控制方法
CN111189171B (zh) * 2018-11-14 2022-04-19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一种空调及其防冻结的控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17872B1 (en) Control method of refrigerator
JP6137461B2 (ja) 空気調和機
JP2005249254A (ja) 冷凍冷蔵庫
WO2017221287A1 (ja) 冷却装置
JP2009144951A (ja) 冷凍冷蔵装置のデフロスト運転制御装置及び方法
KR101203995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상운전방법
JP2008121918A (ja) 空気調和装置
KR20010046721A (ko) 공기조화기의 제상운전 제어방법
JP5722160B2 (ja) 冷却貯蔵庫
KR100208334B1 (ko) 냉장고의 제상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JP2007298218A (ja) 冷凍装置
JP2910849B1 (ja) 空気調和機の除霜制御装置
WO2019159621A1 (ja) 空気調和装置
JP3513740B2 (ja) 空気調和装置
JP2007303698A (ja) 給湯システム
KR100234080B1 (ko) 냉난방겸용 공조기기 및 그 난방시 제상제어방법
JP2007333298A (ja) 冷媒流量制御装置
JP3036519B2 (ja) 冷凍装置
KR100507685B1 (ko) 냉장고의 제상제어방법
JP2002267295A (ja) 冷蔵庫
KR101186323B1 (ko) 직냉식 냉장고의 냉장실제상방법
JP6881502B2 (ja) 空気調和装置
CN114440400B (zh) 一种空调器控制方法、装置及空调器
KR20070065749A (ko) 냉장고의 제상 제어 방법
JP5070773B2 (ja) 冷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