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44745A - 에이치빔이나 아이빔을 사용한 강재 보의 웹 폭 내에서프리스트레스를 적용한 강재 보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에이치빔이나 아이빔을 사용한 강재 보의 웹 폭 내에서프리스트레스를 적용한 강재 보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44745A
KR20010044745A KR1020010014732A KR20010014732A KR20010044745A KR 20010044745 A KR20010044745 A KR 20010044745A KR 1020010014732 A KR1020010014732 A KR 1020010014732A KR 20010014732 A KR20010014732 A KR 20010014732A KR 20010044745 A KR20010044745 A KR 200100447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beam
steel
width
prestress
tension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47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선규
강창구
Original Assignee
강창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창구 filed Critical 강창구
Priority to KR10200100147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44745A/ko
Publication of KR200100447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4745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 E04C3/10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prestressed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30Metal
    • E01D2101/32Metal prestres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d-Shaped Construction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출물 등에 적용되는 강재 H빔이나 I빔을 사용한 강재 보의 웹(Web) 폭(형고) 내에서 강재 보에 프리스트레스를 적용하여 형고를 높이지 않고 장스팬의 보를 가능하게 하도록 한 강재 보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H빔이나 I빔을 사용한 강재 보의 웹(Web) 폭(형고) 내에서 프리스트레스를 적용한 강재 보는수직방향의 웹과 웹의 상측과 하측에 수평방향으로 접합되며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가지는 강재 보와, 강재 보의 내부에 장착되는 장착부재들과, 장착부재들 각각에 고정점을 두고 소정의 인장력으로 강재 보의 폭 내에서 강재 보에 프리스트레스를 가하기 위한 인장재를 구비한다. 이 강재 보의 제조방법은 강재 보의 폭 내에서 장착부재를 설치하고 장착부재를 이용하여 인장재를 설치함으로써 강재 보의 폭 내에서 강재 보에 프리스트레스를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형고를 높이지 않고 강재 보의 쳐짐 극복과 설계하중 작용시 상부 슬래브(Slab)의 콘크리트에 발생될 수 있는 균열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장스팬의 보 구현이 가능하게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재 보의 폭 내에서 프리스트레스를 적용한 강재 보 및 그 제조방법은 형고를 높이지 않고 장스팬의 강재 보를 구현하게 되므로 소정 높이에서 많은 층수로 건축물을 설계할 수 있음은 물론이거니와 필요한 기둥의 수를 최소화하여 가변성 있는 공간을 충분히 확보하게 되므로 공연장, 백화점, 주차장 등과 같은 건축물의 미관성을 높이고 설계 가변성을 확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에이치빔이나 아이빔을 사용한 강재 보의 웹 폭 내에서 프리스트레스를 적용한 강재 보 및 그 제조방법{A Steel Beam Adapted Prestress in Web Width of Steel Beam Using H-beam or I-beam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본 발명은 건축물 및 토목 구조물의 구조부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강재 H빔이나 I빔을 사용한 강재 보의 웹(Web) 폭(형고) 내에서 강재 보에 프리스트레스를 적용하여 형고를 높이지 않고 장스팬의 보를 가능하게 하도록 한 강재 보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슬래브(Slab)를 횡방향으로 지지하기 위한 강재 보(Steel beam)에는 자중에 의한 처짐을 고려하여 소정 간격마다 기둥이 연결된다. 이렇게 소정 간격마다 설치되는 기둥은 건축물 및 토목 구조물의 설계 및 미관의 가변성을 저하시키고 공사비를 상승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최근에는 건축물 및 토목 구조물의 기둥을 줄일 수 있게 하는 방안으로 프리스트레스 공법과 프리플렉스 공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이를 적용한 건축물과 토목 구조물이 나타나고 있다.
프르스트레스(Prestress) 공법과 프리플렉스(Preflex) 공법은 도 1과 같이 자중에 의한 강재 보의 휨 모멘트를 반대방향의 굽힘 모멘트(Bending moment)를 가지는 프리스트레스를 가하여 상쇄하게 된다.
프리스트레스 공법은 교량과 같은 토목 구조물에 적용되고 있으며, 도 2와 같이 H 빔(1)의 하부 양끝단에 고정부재(2a,2b)를 설치하고 소정의 인장력을 가지는 인장선(3)의 양끝단을 고정부재(2a,2b)에 고정하게 된다.
도 2와 같이 H 빔(1)의 하부에 설치된 인장선(3)에 의해 프리스트레스가 적용된 강재 보는 인정선(3)과 고정부재(2a,2b)의 폭만큼 강재 보의 폭(h) 즉, 형고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도 1과 같은 방법으로 강재 보에 프리스트레스를 적용하면 소정 높이의 건축물에는 강재 보의 폭으로 인한 층 수의 제한이 따르게 된다.
프리플렉스 공법은 규모가 큰 건축물에 적용되고 있으며, 도 3과 같이 H 빔(1)의 하부에 프리스트레스 부가용 철근 콘크리트(4)를 설치하여 강재 보에 프리스트레스를 적용하게 된다. 철근 콘크리트(4)는 H 빔(1)의 'U' 자형 쳐짐을 상쇄하기 위하여 '∩'형의 굽힘 모멘트를 가지게 된다.
도 3과 같은 프리플렉스 공법은 강재 보의 자중을 크게 함은 물론 철근 콘크리트의 제작에 따른 공사비와 공사기간 연장의 문제점을 초래한다. 나아가, 프리플렉스 공법은 도 4와 같이 시간이 경과하여 H 빔(1)의 쳐짐량이 철근 콘크리트(4)의 프리스트레스양보다 커지게 될 때 철근 콘크리트(4)의 저면부터 전단파괴에 의한 크랙(5)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강재 H빔이나 I빔을 사용한 강재 보의 웹(Web) 폭(형고) 내에서 강재 보에 프리스트레스를 적용하여 형고를 높이지 않고 장스팬의 보를 가능하게 하도록 한 강재 보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프리스트레스 원리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2는 종래의 프리스트레스 공법이 적용된 강재 보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프리플렉스 공법이 적용된 강재 보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도 3과 같은 프리플렉스 강재 보에서 나타나는 철근 콘크리트의 전단파괴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강재 보의 폭 내에서 프리스트레스를 적용한 강재 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a는 도 5에 도시된 강재 보의 정면도.
도 6b는 도 5에 도시된 강재 보의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강재 보의 폭 내에서 프리스트레스를 적용한 강재 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a는 도 7에 도시된 강재 보의 정면도.
도 8b 및 도 7에서 'A' 및 'B' 방향으로 보이는 측면도.
도 8c는 도 7에서 'C' 방향으로 바라 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강재 보의 폭 내에서 프리스트레스를 적용한 강재 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a는 도 9에 도시된 강재 보의 정면도.
도 10b는 도 9에 도시된 강재 보의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강재 보의 폭 내에서 프리스트레스를 적용한 강재 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2a는 도 11에 도시된 강재 보의 정면도.
도 12b는 도 11에서 'D' 및 'E' 방향으로 보이는 강재 보의 측면도.
도 12c는 도 11에서 'F' 방향으로 보이는 강재 보의 측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강재 보의 폭 내에서 프리스트레스를 적용한 강재 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연속 강재 보의 휨 모멘트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15는 도 13에 도시된 연속 강재 보에 작용하며 프리스트레스로 인하여 발생되는 굽힘 모멘트를 나타내는 모식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H빔이나 I빔을 사용한 강재 보의 웹(Web) 폭(형고) 내에서 프리스트레스를 적용한 강재 보는수직방향의 웹과 웹의 상측과 하측에 수평방향으로 접합되며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가지는 강재 보와, 강재 보의 내부에 장착되는 장착부재들과, 장착부재들 각각에 고정점을 두고 소정의 인장력으로 강재 보의 폭 내에서 강재 보에 프리스트레스를 가하기 위한 인장재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H빔이나 I빔을 사용한 강재 보의 웹(Web) 폭(형고) 내에서 프리스트레스를 적용한 강재 보의 제조방법은 강재 보의 폭 내에서 장착부재를 설치하고 장착부재를 이용하여 인장재를 설치함으로써 강재 보의 폭 내에서 강재 보에 프리스트레스를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이하, 도 5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H빔이나 I빔을 사용한 강재 보의 웹(Web) 폭(형고) 내에서의 프리스트레스를 적용한 강재 보는 상/하부 플렌지(Flange)(51a,51b) 및 웹(Web)(52)을 포함한 H 빔과, 인장재(56)가 고정되는 장착판(53a,53b)과, 장착부재(53a,53b)에 취부된 삼각 보강판(54a,54b)을 구비한다.
H 빔의 웹(52)을 사이에 두고 H 빔의 양측 각각에는 장착판(53a,53b)이 용접 등의 방법으로 접합된다. 장착판(53a,53b)의 바깥쪽면 하부에는 고정판(55)이 취부된다.
삼각 보강판(54a,54b)은 인장재(56)와 나란한 방향으로 장착판(53a,53b)의 안쪽면에 취부되어 인장재(56)의 인장력에 의해 장착판(53a,53b)의 변형이나 전단파괴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 삼각 보강판(54a,54b)은 상부 플렌지(51a) 측 보다 하부 플렌지(51b) 측에서 장착판(53a,53b)에 압축력이 더 강하게 작용하므로 수직변이 장착판(53a,53b)의 안쪽 면에 접합되고 밑변이 하부 플렌지(51b)의 안쪽면에 접합된다.
인장재(56)는 강봉, 강선, 강연선 등으로 제작되고, 평행하게 당겨진 상태에서 그 양끝단이 장착판(53a,53b)을 관통하여 고정판(55)에 고정되어 소정의 인장력이 잔류하게 된다. 이러한 인장재(56)는 H 빔의 하부 플렌지(51b) 측에 위치하여 H 빔에 인장력을 가하게 되므로 H 빔의 쳐짐을 상쇄하는 프리스트레스를 H 빔에 부가하게 된다.
인장재(56)에 의해 가해지는 프리스트레스양을 측정할 수 있도록 장착판(63a,63b) 또는 고정판(65)에는 도시하지 않은 응력 계측기가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H 빔에는 인장재(56)가 하부 플렌지(51b)의 안쪽면 상에 위치하게 되므로 H 빔의 폭(h_H 빔) 안에서 프리스트레스가 부가된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H빔이나 I빔을 사용한 강재 보의 웹(Web) 폭(형고) 내에서 프리스트레스를 적용한 강재 보를 나타낸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강재 H빔이나 I빔을 사용한 강재 보의 웹(Web) 폭(형고) 내에서 프리스트레스를 적용한 강재 보는 상/하부 플렌지(Flange)(61a,61b) 및 웹(Web)(62)을 포함한 H 빔과, 인장재(66)가 고정되는 장착판(63a,63b)과, 장착판(63a,63b)에 취부된 역삼각 보강판(64a,64b)과, H 빔의 길이방향 중간부에 설치되는 인장재 통과판(67)을 구비한다.
H 빔의 웹(62)을 사이에 두고 H 빔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장착판(63a,63b)이 용접 등의 방법으로 접합된다. 장착판(63a,63b)의 바깥쪽면에는 고정판(65)이 취부된다.
역삼각 보강판(64a,64b)은 인장재(66)와 나란한 방향으로 장착판(63a,63b)의 안쪽면에 취부되어 인장재(66)의 인장력에 의해 장착판(63a,63b)의 변형이나 전단파괴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 역삼각 보강판(64a,64b)은 하부 플렌지(61b) 측 보다 상부 플렌지(61a) 측에서 장착판(63a,63b)에 압축력이 더 강하게 작용하므로 수직변이 장착판(63a,63b)의 안쪽 면에 접합되고 밑변이 상부 플렌지(61a)의 안쪽면에 접합된다.
인장재(66)는 강봉, 강선, 강연선 등으로 제작되고, 일측 끝단이 일측 장착판(63a)을 관통하여 일측 고정판(65)에 고정되며 중간부까지 소정의 하향 기울기로 경사진 다음, 인장재 통과판(67)을 통과한 후에 상향 기울기로 굴절되어 반대측 끝단이 타측 마루리판(63b)의 고정판(65)에 고정된다. 인장재(66)의 굴절부는 H 빔의 굽힘 모멘트(bending moment)가 가장 크게 작용하는 길이방향 중간지점에 해당한다. 이러한 인장재(66)는 H 빔의 쳐짐을 상쇄하는 방향과 크기의 굽힘 모멘트를 가지는 소정의 인장력이 잔류하게 된다.
인장재(66)에 의해 가해지는 프리스트레스양을 측정할 수 있도록 장착판(63a,63b) 또는 고정판(65)에는 도시하지 않은 응력 계측기가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H 빔에는 인장재(66)가 상부 플렌지(61a)와 하부 플렌지(61b)의 사이에서 'V'자 형태로 굴절되므로 H 빔의 폭(h_H 빔) 안에서 프리스트레스가 부가된다.
인장재 통과판(67)의 하부에는 자신을 통과한 인장재(66)의 굴절부에 가해지는 마찰을 줄임으로써 인장재(66)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롤러(68)가 설치된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H빔이나 I빔을 사용한 강재 보의 웹(Web) 폭(형고) 내에서 프리스트레스를 적용한 강재 보를 나타낸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강재 보의 폭 내에서 프리스트레스를 적용한 강재 보는 상/하부 플렌지(91a,91b) 및 웹(92)을 포함한 H 빔과, H 빔의 양끝단 측벽에 보강된 마구리판(93a,93b)과, 마구리판(93a,93b)에 고정되는 인장재(96)를 구비한다.
H 빔의 양측벽 각각에는 양측단면 모두를 덮도록 마구리판(93a,93b)이 용접 등의 방법으로 접합된다. 마구리판(93a,93b)의 바깥쪽면 하부에는 고정판(95)이 취부된다. 이러한 마구리판(93a,93b)에는 그 안쪽면에 인장재(96)와 나란한 방향으로 도시하지 않은 보강판이 접합될 수 있다.
인장재(96)는 강봉, 강선, 강연선 등으로 제작되고, 평행하게 당겨진 상태에서 그 양끝단이 마구리판(93a,93b)을 관통하여 고정판(95)에 고정되어 소정의 인장력이 잔류하게 된다. 이러한 인장재(96)는 H 빔의 하부 플렌지(91b) 측에 위치하여 H 빔에 인장력을 가하게 되므로 H 빔의 쳐짐을 상쇄하는 프리스트레스를 H 빔에 부가하게 된다.
인장재(96)에 의해 가해지는 프리스트레스양을 측정할 수 있도록 마구리판에는 도시하지 않은 응력 계측기가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H 빔에는 인장재(96)가 하부 플렌지(91b)의 안쪽면 상에 위치하게 되므로 H 빔의 폭(h_H 빔) 안에서 프리스트레스가 부가된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H빔이나 I빔을 사용한 강재 보의 웹(Web) 폭(형고) 내에서 프리스트레스를 적용한 강재 보를 나타낸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강재 보의 폭 내에서 프리스트레스를 적용한 강재 보는 상/하부 플렌지(111a,111b) 및 웹(112)을 포함한 H 빔과, H 빔의 양끝단 측벽에 보강된 마구리판(113a,113b)과, 마구리판(113a,113b)에 고정되는 인장재(116)와, 인장재(116)과 관통되고 H 빔의 길이방향 중간에 설치되는 인장재 통과판(17)을 구비한다.
H 빔의 양측벽 각각에는 양측단면 모두를 덮도록 마구리판(113a,113b)이 용접 등의 방법으로 접합된다. 마구리판(113a,113b)의 바깥쪽면 하부에는 고정판(115)이 취부된다. 이러한 마구리판(113a,113b)에는 그 안쪽면에 인장재(116)와 나란한 방향으로 도시하지 않은 역삼각 보강판이 접합될 수 있다.
인장재(116)는 강봉, 강선, 강연선 등으로 제작되고, 일측 끝단이 일측 마구리판(113a)을 관통하여 일측 고정판(115)에 고정되며 중간부까지 소정의 하향 기울기로 경사진 다음, 인장재 통과판(117)을 통과한 후에 상향 기울기로 굴절되어 반대측 끝단이 타측 마루리판(113b)의 고정판(115)에 고정된다. 인장재(116)의 굴절부는 H 빔의 굽힘 모멘트가 가장 크게 작용하는 길이방향 중간지점에 해당한다. 이러한 인장재(116)는 H 빔의 쳐짐을 상쇄하는 방향과 크기의 굽힘 모멘트를 가지는 소정의 인장력이 잔류하게 된다.
인장재(116)에 의해 가해지는 프리스트레스양을 측정할 수 있도록 마구리판(113a,113b)에는 도시하지 않은 응력 계측기가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H 빔에는 인장재(116)가 상부 플렌지(111a)와 하부 플렌지(111b)의 사이에서 'V'자 형태로 굴절되므로 H 빔의 폭(h_H 빔) 안에서 프리스트레스가 부가된다.
인장재 통과판(117)의 하부에는 자신을 통과한 인장재(116)의 굴절부에 가해지는 마찰을 줄임으로써 인장재(116)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롤러(118)가 설치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H빔이나 I빔을 사용한 강재 보의 웹(Web) 폭(형고) 내에서 프리스트레스를 적용한 강재 보를 나타낸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강재 보의 폭 내에서 프리스트레스를 적용한 강재 보는 두 개 이상의 H 빔이 길이방향으로 연속되도록 접합된 연속 강재 보 내에서 상측과 하측에 교번되도록 설치되는 인장재(132a,132b,132c)를 구비한다.
연속 강재 보(131)는 G, H, I 지점이 기둥에 의해 지지되는 경우에, 그 휨 모멘트가 도 14와 같이 위아래로 굽이치는 파면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연속 강재 보(131)에 대한 쳐짐을 프리스트레스로 상쇄하기 위하여, G 지점과 H 지점 사이 그리고 H 지점과 I 지점 사이의 하측 플렌지의 안쪽면 측에 'U' 자 형상의 굽힘 모멘트를 주기 위한 제1 및 제3 인장재(132a,132c)를 설치하고, 양측에서 이들과 소정길이 만큼 중첩되도록 상측 플렌지의 안쪽면 측에 '∩'자 형상의 굽힘 모멘트를 주기 위한 제2 인장재(132a,132c)를 설치하게 된다.
이렇게 연속 강재 보(131)의 폭(h_H 빔) 안에서 위 아래로 교번되게 설치되는 인장재(132a,132b,132c)는 연속 강재 보(131)의 자중에 의한 파면 형태의 휨 모멘트에 대하여 상반된 위상과 동일한 크기를 가지는 도 15와 같은 굽힘 모멘트를 연속 강재 보(131)에 잔류시킴으로써 연속 강재 보(131)의 쳐짐을 최소화하게 된다.
인장재(132a,132b,132c)는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4 실시예와 같은 방법으로 연속 강재 보(131)의 폭(h_H 빔) 내에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H빔이나 I빔을 사용한 강재 보의 웹(Web) 폭(형고) 내에서 프리스트레스를 적용한 강재 보 및 그 제조방법은 H 빔의 상부 플렌지와 하부 플렌지 사이에 장착판 및/또는 보강판을 설치하고 이들 각각에 끝단이 고정되는 인장재를 설치함으로써 빔 즉 강재 보의 폭(h_H 빔) 내에서 강재 보에 프리스트레스를 적용하게 된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재 보의 폭 내에서 프리스트레스를 적용한 강재 보 및 그 제조방법은 형고를 높이지 않고 강재 보의 쳐짐 극복과 설계하중 작용시 상부 슬래브(Slab)의 콘크리트에 발생될 수 있는 균열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장스팬의 강재 보 구현이 가능하게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재 보의 폭 내에서 프리스트레스를 적용한 강재 보 및 그 제조방법은 형고를 높이지 않고 장스팬의 강재 보를 구현하게 되므로 소정 높이에서 많은 층수로 건축물을 설계할 수 있음은 물론이거니와 필요한 기둥의 수를 최소화하여 가변성 있는 공간을 충분히 확보하게 되므로 공연장, 백화점, 주차장 등과 같은 건축물의 미관성을 높이고 설계 가변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재 보의 폭 내에서 프리스트레스를 적용한 강재 보 및 그 제조방법은 필요한 기둥 수를 최소화함으로써 상부 및 하부 구조의 물량감소를 가능하게 하므로 건축물의 공사비 저감과 공공기 단축의 효과를 유발하는 장점이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6)

  1. 슬래브를 아래에서 지지하는 강재 H빔이나 I빔을 사용한 강재 보가 설치되는 건축물에 있어서,
    수직방향의 웹과 상기 웹의 상측과 하측에 수평방향으로 접합되며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가지는 강재 보와,
    상기 강재 보의 내부에 장착되는 장착부재들과,
    상기 장착부재들 각각에 고정점을 두고 소정의 인장력으로 상기 강재 보의 폭 내에서 상기 강재 보에 프리스트레스를 가하기 위한 인장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 보의 폭 내에서 프리스트레스를 적용한 강재 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재는 상기 강재 보의 양측 끝단으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떨어진 안쪽에 위치하며, 상기 웹을 사이에 두고 좌측과 우측 각각에서 상기 웹 및 플렌지와 수직하게 상기 강재 보에 접합되고,
    상기 인장재는 상기 강재 보의 하측에서 평행하게 인장된 상태에서 양측 끝단이 상기 장착부재 각각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 보의 폭 내에서의 프리스트레스를 적용한 강재 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재는 상기 강재 보의 양측 끝단에서 상기 웹 및 플렌지에 접합되는 마구리판이며,
    상기 인장재는 상기 강재 보의 하측에서 평행하게 인장된 상태에서 양측 끝단이 상기 마구리판 각각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 보의 폭 내에서 프리스트레스를 적용한 강재 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강재 보의 중간부에 설치되어 하측에서 상기 인장재가 관통되는 인장재 관통부재 및 상기 인장재 관통부재의 상기 인장재 관통지점에 설치되어 상기 인장재의 마찰을 줄이기 위한 롤러를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인장재는 상기 인장재 관통부재를 관통하면서 굴절되어 상기 인장재 관통부재를 사이에 두고 대칭되는 기울기로 상기 강재 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 보의 폭 내에서 프리스트레스를 적용한 강재 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강재 보는 적어도 둘 이상의 H 빔이 연속되는 연속 보이며,
    상기 인장재는 상기 강재 보의 폭 내에서 상기 강재 보에 위 아래로 교번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 보의 폭 내에서 프리스트레스를 적용한 강재 보.
  6. 슬래브를 아래에서 지지하는 강재 H빔이나 I빔을 사용한 강재 보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강재 보의 폭 내에서 장착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장착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인장재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강재 보의 폭 내에서 상기 강재 보에 프리스트레스를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 보의 폭 내에서 프리스트레스를 적용한 강재 보의 제조방법.
KR1020010014732A 2001-03-21 2001-03-21 에이치빔이나 아이빔을 사용한 강재 보의 웹 폭 내에서프리스트레스를 적용한 강재 보 및 그 제조방법 KR200100447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4732A KR20010044745A (ko) 2001-03-21 2001-03-21 에이치빔이나 아이빔을 사용한 강재 보의 웹 폭 내에서프리스트레스를 적용한 강재 보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4732A KR20010044745A (ko) 2001-03-21 2001-03-21 에이치빔이나 아이빔을 사용한 강재 보의 웹 폭 내에서프리스트레스를 적용한 강재 보 및 그 제조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7813U Division KR200234927Y1 (ko) 2001-03-21 2001-03-21 에이치빔이나 아이빔을 사용한 강재 보의 웹 폭 내에서프리스트레스를 적용한 강재 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4745A true KR20010044745A (ko) 2001-06-05

Family

ID=19707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4732A KR20010044745A (ko) 2001-03-21 2001-03-21 에이치빔이나 아이빔을 사용한 강재 보의 웹 폭 내에서프리스트레스를 적용한 강재 보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4474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24220A (zh) * 2018-08-24 2018-12-18 苏交科集团股份有限公司 钢板加强方法及低梁高工字型钢板梁结构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68969A (ja) * 1988-04-19 1989-10-26 Takenaka Komuten Co Ltd プレストレスを導入した鉄骨受梁を用いる張弦型枠サポート工法
JPH07145655A (ja) * 1993-11-24 1995-06-06 Kajima Corp プレストレス導入鉄骨梁
JPH11158819A (ja) * 1997-11-25 1999-06-15 Shinko Kosen Kogyo Kk 構築物のケーブル補強構造
KR19990068800A (ko) * 1999-04-02 1999-09-06 박대열 조립식장력강재보
KR19990084496A (ko) * 1998-05-07 1999-12-06 한만엽 외부프리스트레스 보강공법을 위한 개량된 지압지지방식의 정착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68969A (ja) * 1988-04-19 1989-10-26 Takenaka Komuten Co Ltd プレストレスを導入した鉄骨受梁を用いる張弦型枠サポート工法
JPH07145655A (ja) * 1993-11-24 1995-06-06 Kajima Corp プレストレス導入鉄骨梁
JPH11158819A (ja) * 1997-11-25 1999-06-15 Shinko Kosen Kogyo Kk 構築物のケーブル補強構造
KR19990084496A (ko) * 1998-05-07 1999-12-06 한만엽 외부프리스트레스 보강공법을 위한 개량된 지압지지방식의 정착방법 및 장치
KR19990068800A (ko) * 1999-04-02 1999-09-06 박대열 조립식장력강재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24220A (zh) * 2018-08-24 2018-12-18 苏交科集团股份有限公司 钢板加强方法及低梁高工字型钢板梁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45418B2 (ja) 箱桁橋の構築方法
JP2006316580A (ja) 波形鋼板ウエブpc合成桁及びその波形鋼板ウエブpc合成桁を使用した橋梁構築方法
JP2003253621A (ja) 既設単純桁橋梁を連続化した連続桁構造
JP2011214221A (ja) 吊橋の補剛桁および吊橋の補剛桁の施工方法
KR20170090961A (ko) 횡단면 압축 좌굴이 보강된 슬림 조립보
JP4805202B2 (ja) 天井走行クレーンを有する建築構造物の補強構造
JP2002266317A (ja) 橋梁用連続桁
KR100316518B1 (ko) 조립식 장력강재보
KR100796216B1 (ko) 건축물의 콘크리트 복합보
KR100644081B1 (ko) 철골―콘크리트 샌드위치 합성보를 이용한 고강성메가트러스 구조 및 이를 적용한 공장건축물
KR200234927Y1 (ko) 에이치빔이나 아이빔을 사용한 강재 보의 웹 폭 내에서프리스트레스를 적용한 강재 보
KR102325276B1 (ko) 하프 pc 연속슬래브 및 이의 시공 방법
KR20010044745A (ko) 에이치빔이나 아이빔을 사용한 강재 보의 웹 폭 내에서프리스트레스를 적용한 강재 보 및 그 제조방법
JP2963879B2 (ja) 橋 桁
KR20060032968A (ko) 횡방향 강선을 이용해 조립 및 해체가 가능한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가설교량의 시공법
KR102173616B1 (ko) 강-콘크리트 합성 연속교의 프리스트레싱 구조 및 프리스트레싱 설계 방법
KR20010088998A (ko) 가설교량 주거더에 있어 편향부를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콤팩트 거더의 시공법과 그 구조
KR20180011528A (ko) 트러스 작용을 활용한 프리스트레스트 하이브리드 합성보
KR20120018562A (ko) 연속 지점부의 강성이 증대된 교량용 복부파형강판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박스거더
JP6089096B2 (ja) プレキャスト桁のねじれ抑制方法及びプレキャスト桁の接合方法
KR20090093540A (ko) 무거푸집 공법을 이용한 구조물 시스템
KR20160144782A (ko) 튜브형 플랜지를 갖는 하이브리드보
JP2000248685A (ja) 鉄骨構造物の梁部材
KR102268469B1 (ko) 절곡형 수평 지지부를 갖는 철골보 및 이를 이용한 춤이 깊은 데크의 시공방법
KR20140045819A (ko) 에이치형 강재를 이용하여 온도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임시구조물용 거더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