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44269A - 매트리스 - Google Patents

매트리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44269A
KR20010044269A KR1020010004393A KR20010004393A KR20010044269A KR 20010044269 A KR20010044269 A KR 20010044269A KR 1020010004393 A KR1020010004393 A KR 1020010004393A KR 20010004393 A KR20010004393 A KR 20010004393A KR 20010044269 A KR20010044269 A KR 200100442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support
waist
mattress
cro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43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71582B1 (ko
Inventor
김헌상
Original Assignee
김헌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헌상 filed Critical 김헌상
Priority to KR10-2001-00043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1582B1/ko
Publication of KR200100442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42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15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15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05Means for bathing bedridden pers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트리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매트리스는, 사용자의 허리를 받쳐주도록 그 허리부에 접촉되는 허리받침부와, 허리받침부에서 사용자의 다리에 접촉되는 부위쪽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낮아지게 형성되며 사용자의 둔부에 접촉되어 그 부위를 받쳐주는 둔부받침부 및 그 둔부받침부와 마주하는 위치에 마련되며 사용자의 다리가랑이 사이의 부위에 접촉되어 그 부위를 받쳐주는 가랑이 받침부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사용자의 둔부와 허리부 및 상체부가 고르게 지지되어 장기간 사용시에 피로감을 느끼지 않음은 물론, 누워있는 사용자에게 머리쪽에서 다리쪽 방향으로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더라도 누워있는 사용자는 쉽게 흔들리거나 움직여지지 않고 안정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매트리스{Mattress}
본 발명은 사람이 깔고 누울 수 있는 매트리스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를 지지하는 구조가 개선된 매트리스에 관한 것이다.
매트리스는 일반적으로 누워있는 사용자에 접촉되는 상면이 전체적으로 평면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런데, 사용자의 신체에 있어서 등과 허리부위에 대해 둔부가 돌출되어 있으므로, 상면 전체가 평면형상으로 된 매트리스는 어느정도 탄력을 가지고 있다 하더라도 사용자의 둔부와 등 사이의 오목한 허리부위를 확실하게 받쳐주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매트리스는 그 매트리스에 누운 사용자의 등과 둔부 등에 집중적으로 하중을 가하게 되어 사용자에게 피로감을 유발시키는 경우가 많으며 특히, 사용자가 노인인 경우 또는 허리부위가 약한 환자나 중환자인 경우에는 그러한 영향이 더욱 심하다. 한편, 사용자가 위를 향해 누워서 무릎을 구부리게 되면 허리부위가 매트리스의 상면쪽에 가까워질 수 있으며 그 결과 사용자는 보다 안정된 자세를 유지하고 피로감을 어느정도 덜 느낄 수는 있다. 이러한 자세는 정형외과 의사 등이 허리가 약한 노인이나 환자 등에게 권유하는 자세이다. 그러나, 그러한 경우에도 허리부위보다는 둔부와 등 부위에 작용되는 힘이 크므로 상술한 문제점이 원하는 정도까지 해결되지는 않는다.
또한, 매트리스에 누워있는 사용자에게 수평방향으로 작은 힘을 가하더라도, 매트리스의 상면이 평평하여 그 힘이 가해지는 방향으로의 사용자의 움직임을 저지하지 못하므로, 사용자의 몸이 쉽게 흔들리거나 움직여지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 예를 들어 중환자나 노인 또는 안정된 자세가 요구되는 사용자 특히 허리부위를 움직이지 말아야 할 것이 요구되는 사용자에게 통증 등을 유발시키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를 둔부와 허리부 및 등부위를 편안하게 받쳐줄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의 몸이 쉽게 흔들리거나 움직여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도록, 사용자를 지지하는 구조가 개선된 매트리스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트리스의 개략적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매트리스의 Ⅱ-Ⅱ선 개략적 단면도,
도 3는 도 1에 도시된 매트리스의 Ⅲ-Ⅲ선 개략적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매트리스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도 2에 도시된 "K" 부위의 상세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본체 12...허리받침부
14...둔부받침부 15...가랑이받침부
16...상체받침부 20...손잡이부
30...발받침부 40...벨트
50...에어백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매트리스는, 사용자의 허리를 받쳐주도록 그 허리부에 접촉되는 허리받침부; 상기 허리받침부에서 사용자의 다리에 접촉되는 부위쪽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낮아지게 형성되며 사용자의 둔부에 접촉되어 그 부위를 받쳐주는 둔부받침부; 및 상기 둔부받침부와 마주하는 위치에 마련되며 사용자의 다리가랑이 사이의 부위에 접촉되어 그 부위를 받쳐주는 가랑이받침부;를 구비하는 점에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트리스의 개략적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매트리스의 Ⅱ-Ⅱ선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매트리스의 본체(10)에는 허리받침부(12)와, 둔부받침부(14)와, 가랑이받침부(15)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본체(10)는 그 재질에 크게 구애받을 필요는 없으나, 후술하는 몇가지 기능들을 감안할 때, 탄성을 가지면서도 방수가 잘 되고 마찰력이 비교적 큰 소재 예를 들어, 고무소재나 폴리우레탄 또는 스틸렌폼 등에 의해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 하다.
상기 허리받침부(12)는 사용자가 누웠을 때 사용자의 허리를 받쳐주도록 그 허리부에 접촉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상기 둔부받침부(14)는 허리받침부(12)의 아래쪽에 마련되어 있다. 이 둔부받침부(14)는, 상기 허리받침부(12)에서 사용자의 다리에 접촉되는 부위쪽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낮아지게 형성되어서, 사용자가 누울 경우에 그 사용자의 둔부에 접촉되면서 그 둔부를 받쳐주도록 되어 있다. 상기 가랑이받침부(15)는 상기 둔부받침부(14)와 마주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가랑이받침부(15)는 사용자가 누웠을 때 그 사용자의 다리가랑이 사이의 부위에 접촉되어 그 부위를 받쳐주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가랑이받침부(15)는, 매트리스 본체(10)의 상면에 대해 돌출된 돌출부(15a)와, 상기 돌출부(15a)의 선단부에 설치되는 에어백(5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상기 에어백(50)은 공기주입구(미도시)를 구비하고 있으며, 물놀이용 튜브나 비치볼 등과 마찬가지로, 공기주입구를 통해 공기를 주입시키면 팽창되고, 반대로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키면 수축된다.
본 실시예의 매트리스는, 상기 허리받침부(12)에서 사용자의 머리와 접촉되는 부위쪽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낮아지게 형성된 상체받침부(16)를 구비하고 있다. 이 상체받침부(16)는 사용자의 등과 어깨 부위에 접촉되어 그 부위를 받쳐주게 된다.
본 실시예의 매트리스는 또한, 본체(10)에 설치된 손잡이부(20)와, 발받침부(30)와, 벨트(40)를 더 구비하고 있다.
상기 손잡이부(20)는, 매트리스 본체(10)에 누워 있는 사용자가 다리쪽으로 팔을 내려뻗을 때 양 손에 걸릴 수 있도록, 둔부받침부(14) 양측에 본체(10)에 대해 돌출되게 마련되어 있다. 도 1,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에 각각 한 쌍의 손잡이부(20)를 매트리스 본체(10)의 세로방향을 따라 배치하여 두면, 사용자는 신장이나 팔길이에 크게 구애받지 않고 양쪽에 각각 마련된 한 쌍의 손잡이부(20)들 중 걸어잡기 편리한 곳에 위치한 손잡이부(20)를 선택하여 걸어잡을 수가 있다.
상기 발받침부(30)는 둔부받침부(14)의 아래쪽에 사용자가 무릎을 구부렸을 때 발이 닿아 걸릴 수 있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발받침부(30)는, 사용자의 신장이나 다리길이 또는 누워있는 자세의 차이 등을 감안하여 매트리스 본체(10)의 세로방향을 따라 한 쌍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발받침부(30)들은 모두 본체(10)의 표면에 돌출되게 마련되어 있다.
상기 벨트(40)는 상호 결합되어 사용자의 허리부위를 감아줄 수 있도록 허리받침부(12)의 양측에 하나씩 설치되어 있다. 각 벨트(40)의 일단부는 본체에 고정되어 있으며, 타단부에는 그 벨트(40)들의 결합을 위한 소위 벨크로라고 널리 알려진 결합부재(41)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매트리스는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데, 그러한 용도나 기능들 중의 몇가지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사용자가 매트리스 본체(10) 위에 눕게 되면, 사용자의 허리부위는 허리받침부(12)에 접촉되어 지지되고, 둔부는 둔부받침부(14)에 접촉되어 지지되며, 등과 어깨부 등의 상체부는 상체받침부(16)에 접촉되어 지지된다. 그리고, 사용자의 다리가랑이 사이의 부위는 가랑이받침부(15)에 접촉되어 있게 된다. 이 때, 둔부받침부(14)는 허리받침부(12)로부터 사용자의 다리에 접촉되는 부위쪽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낮아지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사용자의 신체에서 등이나 허리부위에 대해 돌출된 둔부가 자연스럽게 허리보다 밑으로 내려간 상태로 지지되고 사용자의 허리는 허리받침부(12)에 접촉된 상태로 그 허리받침부(12)에 의해 지지되게 된다. 그리고, 둔부받침부(14)에 접촉지지된 사용자의 둔부는, 사용자의 다리가랑이 사이의 부위에 접촉되어 있는 가랑이받침부(15)에 의해, 다리쪽으로 슬립되어 위치이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누워있는 사용자의 등과 어깨를 포함하는 상체부와, 둔부와, 그 상체부와 둔부 사이의 오목한 허리부가 각각 상체받침부(16)와 둔부받침부(14) 및 허리받침부(12)에 의해 균일하게 지지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피로감을 느끼지 않고 장시간 편하게 누워있을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의 매트리스는 허리가 약한 노인이나 환자는 물론 일반인에게도 아주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의 등과 어깨 부위를 받쳐주는 상체받침부(16)를, 도시된 바와 같이, 허리받침부(12)에서 사용자의 머리와 접촉되는 부위쪽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낮아지게 형성하여 두면, 사용자의 허리부위가 펴지면서 그 허리부위와 둔부 및 상체부가 더욱 확실하게 매트리스에 밀착된 상태로 지지될 수 있으므로 더욱 효과적이다.
또한, 사용자의 둔부를 받쳐주는 둔부받침부(14)가 허리를 받쳐주는 허리받침부(12)보다 아래쪽에 있어서 사용자의 둔부가 허리부보다 아래쪽에 있게 되며 또한 가랑이받침부(15)가 사용자의 다리가랑이 사이의 부위를 받쳐주므로, 누워있는 사용자에게 힘이 가해지더라도 사용자가 흔들리거나 움직여지는 것이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몸이 부자유스러운 노인이나 환자의 몸을 닦아주거나 목욕시키고자 하는 등의 경우에 그 노인이나 환자를 매트리스에 눕힌 후 몸을 닦아주게 되면, 몸을 닦아주는 동안 누워있는 사람에게 화살표(A; 도 4 참조)로 도시한 바와 같이 다리쪽에서 머리쪽을 향하는 방향으로 또는 그 반대방향(B)으로 힘이 가해지게 되더라도 누워있는 사람이 그 힘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흔들리거나 움직일 염려가 없다. 그러므로, 누워있는 사람은 보다 편하고 안정된 자세를 유지할 수 있으며 또한 누워있는 사람의 몸을 닦아주는 사람도 편하게 작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발받침부(30)를 구비한 경우에는, 누워있는 사용자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릎을 구부려서 양 발을 발받침부(30)에 접촉지지키셔 둘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발받침부(30)에 발이 접촉지지되므로, 굽혀둔 무릎이 펴지지 않도록 다리에 힘을 주어야 할 필요가 없어지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힘을 안들이고도, 정형외과 의사 등이 허리가 약한 노인이나 환자 등에게 종종 권유하는 자세 즉, 위를 향해 누워서 무릎을 구부린 편안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아울러, 사용자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20)를 걸어잡게 되면 누워 있는 사용자에게 상기 화살표(A) 방향으로의 힘이 가해질 때에는 손잡이부(20)를 걸어잡은 양 손에 의해 버틸 수 있으며, 화살표(B) 방향으로의 힘이 가해질 때에는 발받침부(30)에 접촉지지된 양 발에 의해 버틸 수 있으므로, 누워있는 사람의 흔들림이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매트리스는, 사용자의 몸을 닦거나 목욕시키는 경우가 아니더라도 예를 들어 부부행위시에도 유효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누워있는 사용자는 상기 둔부받침부(14)와 가랑이받침부(15)에 의해 사용자의 유동이 방지되어 안정된 자세를 유지할 수 있으며, 손잡이부(20)를 걸어잡고 발받침부(30)에 발을 지지시켜 두면 사용자의 움직임을 더욱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보다 편안하고 안정된 자세로 행위에 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매트리스에 절대안정이 요구되는 중환자 등이 누워있는 경우에는, 상기 벨트(40)들을 결합하여 누워있는 사람의 허리부위를 감싸줌으로써, 중환자가 무의식적으로 격하게 움직이는 것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누워있는 상태에서 찜질팩 등을 사용하여 허리나 옆구리에 찜질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찜질을 원하는 부위에 찜질팩(미도시)을 밀착시켜 두고 상기 벨트(40)들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하여 사용자의 허리부위 및 찜질팩을 감싸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하면, 찜질팩을 허리 또는 옆구리에 효과적으로 밀착시켜 두고 찜질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가랑이받침부(15)에 에어백(50)을 포함시켜 두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에어백(50)을 팽창시킴으로써 사용자의 가랑이 사이의 부위를 보다 강하에 탄력적으로 압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가랑이 받침부(15)의 에어백(50)에 의해 받쳐올려진 부위의 근육을 통해 사용자의 요도 주위의 부분이 압박되게 되며 그에 따라, 요도의 괄약근 기능이 약한 노인이나 환자의 요실금을 어느정도 억제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또한, 예를 들어 출산등에 의해 질이 확장됨으로써 성기능이 약화된 여성이 본 실시예의 매트리스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팽창된 에어백(50)에 의해 받쳐올려진 부위의 근육을 통해 사용자의 질이 어느정도 수축되게 되므로, 부부행위시의 만족도가 높아질 수 있어 원만한 부부관계를 유지하는데 효과적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기능들이 필요 없는 경우에는 가랑이받침부(15)의 에어백(50) 내의 공기를 빼버리면 그 에어백(50)에 의한 압박력이 해제되므로 단순히 사용자의 다리가랑이 사이를 받쳐줌으로써 사용자의 둔부가 슬립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행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매트리스의 몇가지 사용방법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실시예의 매트리스의 용도나 기능이 앞에서 설명된 용도나 기능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외에도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의 매트리스는, 가랑이받침부(15)가 에어백(50)을 포함하는 것으로 되어 있으나, 이 에어백(50)를 설치하지 않고 단순히 상기 돌출부(15a)만 구비하여 그 돌출부(15a)가 직접 사용자의 다리가랑이 사이의 부위를 받쳐주도록 하더라도, 둔부받침부(14)에 접촉지지된 사용자의 둔부의 슬립을 충분히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실시예의 매트리스는 두 쌍의 손잡이부(22)와 한 쌍의 발받침부(30)를 구비하는 것으로 설명 및 도시하였으나, 그 손잡이부와 발받침부는 각각 하나씩만 있거나 또는 3쌍 이상이 있어도 무방하다. 또한, 상술한 손잡이부와 발받침부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며 그 손잡이부와 발받침부가 없는 경우에도 상술한 허리받침부(12)와 둔부받침부(14)와 가랑이받침부(15)에 의해서, 본원발명의 목적 즉 사용자의 피로감을 줄이고 사용자의 몸이 쉽게 흔들리거나 움직여지는 것을 억제하고자 하는 목적은 충분히 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매트리스는, 사용자의 허리를 받쳐주도록 그 허리부에 접촉되는 허리받침부와, 허리받침부에서 사용자의 다리에 접촉되는 부위쪽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낮아지게 형성되며 사용자의 둔부에 접촉되어 그 부위를 받쳐주는 둔부받침부 및 그 둔부받침부와 마주하는 위치에 마련되며 사용자의 다리가랑이 사이의 부위에 접촉되어 그 부위를 받쳐주는 가랑이받침부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사용자의 둔부와 허리부 및 상체가 고르게 지지되어 장기간 사용시에 피로감을 느끼지 않음은 물론, 누워있는 사용자에게 머리쪽에서 다리쪽 방향으로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더라도 누워있는 사용자는 쉽게 흔들리거나 움직여지지 않고 안정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Claims (4)

  1. 사용자의 허리를 받쳐주도록 그 허리부에 접촉되는 허리받침부(12);
    상기 허리받침부(12)에서 사용자의 다리에 접촉되는 부위쪽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낮아지게 형성되며 사용자의 둔부에 접촉되어 그 부위를 받쳐주는 둔부받침부(14); 및
    상기 둔부받침부(14)와 마주하는 위치에 마련되며 사용자의 다리가랑이 사이의 부위에 접촉되어 그 부위를 받쳐주는 가랑이받침부(1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리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랑이받침부(15)는, 사용자의 다리가랑이 사이의 부위에 접촉되며 공기의 출입에 의해 팽창 및 수축 가능한 에어백(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리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허리받침부(12)에서 사용자의 머리와 접촉되는 부위쪽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낮아지게 형성되며 사용자의 등과 어깨 부위에 접촉되어 그 부위를 받쳐주는 상체받침부(16)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리스.
  4. 제1항에 있어서,
    누워 있는 사용자에게 다리쪽에서 머리쪽을 향하는 방향으로의 힘이 가해질 때 사용자의 양 손에 걸려서 사용자가 그 힘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상기 둔부받침부(14) 양측에 마련된 손잡이부(20);
    누워있는 사용자에게 머리쪽에서 다리쪽을 향하는 방향으로의 힘이 가해질 대 사용자의 발에 걸려서 사용자가 그 힘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상기 둔부받침부(14)의 아래쪽에 마련된 발받침부(30); 및
    상호 결합시에 사용자의 허리부위를 감아줄 수 있도록 상기 허리받침부(12)의 양측에 설치된 한 쌍의 벨트(40);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리스.
KR10-2001-0004393A 2001-01-30 2001-01-30 매트리스 KR1003715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4393A KR100371582B1 (ko) 2001-01-30 2001-01-30 매트리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4393A KR100371582B1 (ko) 2001-01-30 2001-01-30 매트리스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5360U Division KR200189592Y1 (ko) 2000-02-26 2000-02-26 매트리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4269A true KR20010044269A (ko) 2001-06-05
KR100371582B1 KR100371582B1 (ko) 2003-02-15

Family

ID=19705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4393A KR100371582B1 (ko) 2001-01-30 2001-01-30 매트리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15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1511B1 (ko) * 2002-12-09 2005-05-27 이강천 매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04446A1 (ko) * 2022-04-20 2023-10-26 이순호 베드용 상체 받침대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52847B2 (ja) * 1995-11-30 1999-09-27 和彦 中川 健康クッション
JPH1023947A (ja) * 1996-07-12 1998-01-27 Masatami Maruyama 伸び伸び健康寝具の伸び伸び健康敷布団と伸び伸びシーツと健康二段枕の装置とその製造方法
US5797153A (en) * 1997-04-21 1998-08-25 Amioka; James Minoru Orthopedic body pillow
JPH1176001A (ja) * 1997-09-11 1999-03-23 Tetsuo Tokuda クッション
KR19990036219U (ko) * 1998-02-09 1999-09-27 이성준 건강요
JP2000023795A (ja) * 1998-07-07 2000-01-25 Calsonic Corp 寝 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1511B1 (ko) * 2002-12-09 2005-05-27 이강천 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71582B1 (ko) 2003-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22343B2 (en) Lower extremity exerciser and positioning device
US4643175A (en) Device for assisting and maintaining penile erection
KR100371582B1 (ko) 매트리스
KR200189592Y1 (ko) 매트리스
JP2006305225A (ja) 歩行補助具
JP2004236853A (ja) 検診台
CN109996523B (zh) 移乘协助、起立协助等辅助工具
JP4930826B2 (ja) 介護補助具
JP3133019U (ja) 頻尿、失禁の予防改善のトレーニングクッション。
JP2003325700A (ja) 足指の前後屈伸運動補助用具
US20050233876A1 (en) Doctor underpants
CN217744724U (zh) 一种带有支撑体的腰带
CN219332304U (zh) 可调式下肢伸直位抬高装置
JP2001017462A (ja) 膝用サポータ
JP3239966U (ja) 骨盤底用サポーター
US20060211975A1 (en) Male genitalia support device, and method for supporting male genitalia
CN213851295U (zh) 一种下肢骨折牵引装置
KR200330607Y1 (ko) 다목적 운동기구
CN214965030U (zh) 一种脊柱术后辅助患者的入厕装置
CN220213274U (zh) 一种不易滑脱的辅助翻身垫
CN1036631C (zh) 小儿麻痹功能恢复行走器
JP3666425B2 (ja) 体位支え具
CN208464362U (zh) 一种髋关节置换术后防内收新型双侧内凹梯形护理用具
KR200237221Y1 (ko) 환자부축용 이동기구
JP2022139784A (ja) 胴体伸長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