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43479A - 캐노피 실 클램프 조립체 및 설치 방법 - Google Patents

캐노피 실 클램프 조립체 및 설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43479A
KR20010043479A KR1020007012552A KR20007012552A KR20010043479A KR 20010043479 A KR20010043479 A KR 20010043479A KR 1020007012552 A KR1020007012552 A KR 1020007012552A KR 20007012552 A KR20007012552 A KR 20007012552A KR 20010043479 A KR20010043479 A KR 200100434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
weld
clamp assembly
plate
reactor vess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12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93301B1 (ko
Inventor
그라에프커트알.
마르틴케네스에이.
Original Assignee
프로브스트 발데마 비.
시이 뉴클리어 파워 엘엘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로브스트 발데마 비., 시이 뉴클리어 파워 엘엘시 filed Critical 프로브스트 발데마 비.
Publication of KR200100434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34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33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33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3/00Pressure vessels; Containment vessels; Containment in general
    • G21C13/02Details
    • G21C13/032Joints between tubes and vessel walls, e.g. taking into account thermal stresses
    • G21C13/036Joints between tubes and vessel walls, e.g. taking into account thermal stresses the tube passing through the vessel wall, i.e. continuing on both sides of the wal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Nuclear Reactors (AREA)
  • Butt Welding And Welding Of Specific Article (AREA)

Abstract

원자로 용기 노즐(22)과 장형 하우징(24) 사이에 위치된 캐노피 실 용접점(42)에서의 누수를 막기 위한 캐노피 실 클램프 조립체(40)는, 중심 애퍼처(66)와 내부 플랜지(68)를 가지는 하판(60)으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져 있는, 중심 애퍼처(50)와 내부 플랜지(52)를 가지는 상판(44)을 포함하며, 상기 하판과 인접하게 위치된 실 캐리어(70)는 누수 용접점(42)의 외면과 접촉하기 위한 실(72)을 운반(carry)하며, 상판과 하판 사이의 커넥터(56)는 누수 용접점을 단단하게 밀봉하기 위해 압축 부하를 유지하며, 압축 부하는 용접점에서 추가적인 크랙 전파를 차단하고 정지시키게 한다. 용접점을 수리하는 방법도 개시된다.

Description

캐노피 실 클램프 조립체 및 설치 방법{CANOPY SEAL CLAMP ASSEMBLY AND METHOD OF INSTALLATION}
본 발명은 원자력 원자로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원자로 용기의 헤드 위에 있는 누수 용접점을 밀봉(seal)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가압 수형 원자로에 있어서, 다수의 제어봉 구동 기구(CRDM : Control Rod Drive Mechanism)가 용기 헤드 위에 장착된다. 이 기구들은 압력 경계 하우징(pressure boundary housings) 내에 위치되며 중성자 흡수 제어봉에 대한 제어 운동을 제공한다. 하우징을 구성하는 성분은 서로 조립되며 최후 밀봉 용접점(omega sealed welds)과 함께 결합된다. 캐노피 실 최후 용접점(canopy seal omega weld)은 원자로 용기 헤드 노즐과 맞물림 요소(mating part) 사이에 위치된다(도 1 참조). 이 용접점은 응력 부식 크랙킹(stress corrosion cracking)의 결과로서 크랙으로 진전하는 경향을 가진다. 이들 크랙은 일반적으로 용접점을 통해 전파하여 누수를 일으킨다.
원자로 헤드 노즐을 모든 잠재적(every potential) 제어봉 위치에 위치되게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대다수의 노즐은 제어봉을 위해 사용되며, 더 적은 수의 노즐은 노심에서 나가는(core-exiting) 열전쌍 측정 수단을 위해 사용되며 또 몇몇 다른 노즐(여분)은 캡핑(capped)된다.
캐노피 실 오메가 용접점의 누수는, 원자력 발전소를 운전 정지(shutting down)시키고, 원자로 냉각제(reactor coolant)를 원자로 용기 헤드의 아래 레벨로 배출하며, 누수 위치에 용접점 웃덮개(weld overlay)를 가함으로써 수리되어 왔다. 그러한 과정은, 많은 시간을 소요하며, 원자로 용기 헤드와의 매우 근접한 접근과 접촉으로 인해 작업자에게 과도한 방사선량(a large dose of radioactivity)을 주며, 종래의 용접과 구조적으로 차이가 없다. 따라서, 누수는 동일한 위치에서 다시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원자력 원자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원자로 용기 노즐과 장형 하우징(elongated housing) 사이에 위치된 누수 용접점(a leaking weld)을 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실 클램프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
본 출원의 주제는 출원인의 공동 계류 중인 미국 가출원 번호 60/084,906호(1998년 5월 11일 출원, 출원인 관리 번호:C980360)와 공동 계류 중인 미국 특허 출원 번호 09/070,846호(1998년 5월 1일경에 출원)에 관한 것이다.
도 1 은, 원자로 용기 헤드로부터 뻗어 있는(extending) 원자로 용기 노즐에 연결된 제어봉 구동 기구 하우징을 도시하는, 원자로 용기의 상부(upper portion)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종래 기술의 입면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실 클램프 조립체의 횡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사용하는 실 캐리어의 윗면도.
도 4 는 도 3 의 실 캐리어의 횡단면 입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른 실 캐리어 및 실의 횡단면 입면도.
본 발명은 캐노피 실 용접점에서의 누수를 막기 위해 용접 방식이 아닌 기계적 방법 및 장치(a non-welded mechanical method and device)로서 캐노피 실 클램프 조립체(CSCA : Canopy Seal Clamp Assembly)를 제공한다. CSCA는, 누수 용접점을 밀봉하며, 크랙 전파를 차단하고 정지시키는, 압축 부하(compressive load)를 캐노피 실에 제공한다. CSCA는 환상형(annular) 캐노피 실 용접점 영역 전체에 걸쳐 그라호일 실(Grafoil seal)을 압축하여 누수 용접점을 밀봉한다.
이 캐노피 실 클램프 조립체는, 시간, 방사선량, 및 누수의 재발을 절감할 수 있다는 점에서 용접점 수리 옵션에 대해 3가지의 주요한 이점을 가진다.
용접점 수리 옵션에 대해 CSCA의 독특한 장점은, 원자로 냉각 시스템의 "배출(draindown)" 없이도 설치가 완료될 수 있다는 점이다. 이것은, 대다수의 누수가 운전 정지 후에 발전소 가동 동안에 발견되어지기 때문에, 주요한 장점이다. 최상의 용접점 수리를 위해서는, 노즐에 물(또는 수분)이 없어야 하는 것을 필요로 한다. 그러므로, 수리하기 위해 "배출(draindown)"하여야 할 필요가 없음으로써 시간이 절약된다.
CSCA 는 또한 방사선량을 절감할 수 있다. 용접점 수리는, 상당히 많은 시간 동안 작업자가 원자로 용기 헤드 노즐{고선량 영역(high dose area)}과 매우 근접한 작업 영역 내에 있어야 할 필요가 있다. CSCA는 긴 핸들 도구(long hande tools)를 사용하여 원자로 용기 헤드 리프트 리그(the reactor vessel head lift rig){보다 더 낮은 선량의 영역(much lower dose area)}의 상부로부터 설치된다. 그리하여, CSCA 작업자는, 작업자가 용접점 수리를 하는 것보다 더 적은 양의 방사선량을 받게 된다.
누수는 용접 수리된 노즐보다 CSCA를 통해 수리된 노즐에서 덜 재발하는 것 같다. 이것은, CSCA가 크랙 전파를 차단하며 정지시키게 하는, 압축 부하를 캐노피 실로 제공하기 때문이다. 이 용접 수리는 이미 존재하는 용접과 다르지 않다. 그러므로, CSCA 는 누수를 수리하며 차후에 누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특징과 진보적인 측면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 청구 범위, 및 이하 간단한 설명이 있는 도면을 읽음으로서 보다 명료하게 될 것이다.
도 1 은, 실질적으로 직립 원통형 용기(14)와 실질적으로 반구형 헤드(16)를 포함하는 원자로(12)를 구비하는 원자로 시스템(10)의 일부를 도시한다. 이 용기는 상부 플랜지(18)를 구비하며 이 헤드(16)는 하부 플랜지(20)를 구비하며 상기 플랜지들은 원자로 시스템(10)의 정상 동작을 위해 공지되어 있는 방식으로 함께 볼트로 결합된다. 원자로 공학 분야에서 이미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원자로에서 발생된 원자력은 용기(14) 내 노심으로부터 삽입되거나 노심으로부터 회수되는 중성자 흡수재의 양을 증가 또는 감소시켜 제어될 수 있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22와 같은 노즐을 각각 통과하는 다수의, 정상적으로 적어도 몇몇 제어봉 클러스터 또는 조립체(도시되지 않음)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의 설명을 간략하게 하기 위하여, 헤드(16) 내 원자로 용기 노즐(22) 중 단 하나의 노즐만이 도시되어 있지만, 거기에는 동작시 용기(14) 안으로 및 용기 밖으로 이동되는 제어봉 조립체와 적어도 같은 많은 노즐(22)이 보편적으로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각 제어봉 조립체는, 제어봉을 운동시키는 관련 모터(도시되지 않음)를 구비하는 제어봉 구동 기구 하우징(24) 내에 수납된다. 제어봉 구동 하우징(24), 제어봉 조립체, 및 관련 모터는 모든 점에서 종래의 것이며 본 발명의 부분을 형성하지 않는다.
종래에는, 제어봉 구동 하우징(24)은, 노즐 상부(36)와 맞물리도록 적용된 하우징 하부(34) 가까이에 원주 쇼울더(circumferential shoulder) 또는 플랜지(26)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하우징 하단부(28)는 노즐 상단부(30)와 마주보며, 마주보는 단부는 원주 용접 라인(32)을 이루도록 용접된 최후 즉 캐노피 실 구조(an omega or canopy seal structure)를 구비한다. 이 범위에서, 하우징(24)은 서로 조밀하게 패킹되며 용접 수리를 위해 최소 영역을 제공한다.
도 2 는 누수 용접점(42)의 누수 방지 및/또는 수리하기 위한 실 클램프 조립체(40)를 도시한다. 이 실 클램프 조립체(40)는, 윗면부(46)와 밑면부(48)를 구비하며 제어봉 구동 기구 하우징(24)이 통과하도록 해주기 위해 중심 애퍼처(50)를 더 포함하는 상판(44)을 포함한다. 내부 플랜지(52)는 제어봉 구동 하우징(24)의 쇼울더(26)에 인접하도록 내부 쪽 반지름 방향(radially)으로 뻗어 있다. 내부 플랜지(52)는 상판(44)의 윗면부(46)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상판(44)은 일반적으로 역전된 L자 형상의 횡단면(a generlly inverted L-shaped cross-section)을 포함하는 환상형 형상을 가진다. 리세스(recess)(54)를 가지는 일련의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 떨어져 있는 구멍(a series of circumferentially bores)(53)이 패스너(fasteners)(56)와 벨르빌 와셔(belleville washer)(58)를 수용하도록 상판(44)에 제공된다.
실 클램프 조립체(40)는 또한 윗면부(62)와 밑면부(64)를 구비하는 하판(60)을 가진다. 부가적으로, 66 및 68로 형성된 중심 애퍼처는 충분히 크며 하판(60)이 쇼울더(26)를 지나 용접점(42)에 인접한 위치까지 낮아지도록 쇼울더(26)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진다. 하판(60)은, 내부 쪽 반지름 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밑면부(64)에 형성된 내부 플랜지(68)를 가진다. 하판(60)은 일반적으로 환상형이며 일반적으로 L 자형의 횡단면을 가진다. 그 다음, 실 캐리어(seal carrier)(70)는 실(72)을 지지(carry)하도록 제공되며 하판 내부 플랜지(68)에 인접하게 디자인된다. 하판(60)은, 커넥터(56)를 보유하도록 나사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실(72)에 클램핑 부하를 주는, 일련의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 떨어져 있는 애퍼처(73)를 더 포함한다. 실 캐리어(70)는 내부 쪽 반지름 방향으로 뻗어 있는 내부 플랜지(74)를 포함하며 노즐 상단부(30)가 통과하도록 하는 중심 애퍼처(76)를 가진다. 하지만, 실 캐리어 중심 애퍼처(76)는 쇼울더(26)보다 더 작은 직경을 가지기 때문에, 실 캐리어(70)는 제 1 및 제 2 반쪽 부분(first and second halves)(78, 80)으로 형성된다. 실(72)은, 이 실(72)이 노즐 상부(36)의 쇼울더(77) 근처에 설치되게 하며 노즐 상부(36)로부터 제어봉 구동 기구 하우징(24)을 해체하지 않고도 용접점(42)과 접촉하게 하도록 분할된 링 실(a split ring seal)인 것이 바람직하다. 실(72)은 (유니온 카바이드 컴퍼니사로부터 구입 가능한) 그라호일(등록 상표) 급을 포함하는 임의의 적절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하지만, 임의의 적절한 재료가, 실(72)이 용접점(42)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도록 사용될 수 있다. 커넥터(56)가 죄어짐(tightened)에 따라, 실(72)은 용접점(42)의 외면(an exterior surface)과 용접점(42)에 인접한 주위면을 단단하게 맞닿도록 압축되게 위치되어 그 면들을 밀봉되게 맞닿게 하며 용접점(42)을 통하는 추가적인 누수를 방지해준다.
도 3 은, 용접점(42)과 인접한 실 캐리어 희망 위치로 실 캐리어(70)를 초기에 위치시키고 이송하는데 사용되는 유도봉(guide rod)을 수용하기 위한 중심 애퍼처(76)와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 떨어져 있는 다수의 애퍼처(82)를 포함하는 실 캐리어(70)의 윗면도를 도시한다. 아크형으로 리세스된 부분(an arc-shaped recessed portion)(84)은 실 캐리어(70)의 측벽(86) 상부에 형성된다. 아크형으로 절단된 부분(84)은 제어봉 구동 기구 하우징(24) 상에 위치된 라벨(90)을 볼 수 있으며 라벨(90)에 대한 실 캐리어(70)의 방해를 제거하도록 형성된다.
도 4 는 분할선(92)을 포함하는 제 1 및 제 2 반쪽 부분(78,80)을 가지는 실 캐리어(70)의 입면 횡단면도를 도시한다. 리세스된 부분(84)은 도면의 오른손 쪽(the right hand side)으로 측벽(86)의 상부에 위치되어 도시된다.
도 5 는 제 1 및 제 2 반쪽 부분(78', 80')을 가지며 실 스페이서(100) 위에 위치된 분할된 실(72')을 포함하는 실 캐리어(70')의 추가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실 스페이서(100)는 실 캐리어 내부 플랜지(74') 위의 미리 결정된 거리로 실(72')을 상승시키기 위해 미리 결정된 높이를 가진다. 실(72')은 실(72)보다 더 얇아서, 일반적으로 재료비를 줄여준다. 스페이서(100)는 누수 용접점의 사이트에 실(72')을 위치시키도록 보다 정밀한 조정을 가능하게 한다. 더욱이, 여러 크기의 실 스페이서가 제어봉 구동 기구 하우징(24)과 노즐 상부(36)의 여러 구성을 수용하도록 교환될 수 있다.
다음으로, 실 클램프 조립체를 설치하는 방법이 논의될 것이다. 원자로 용기 노즐과 제어봉 구동 기구 하우징 사이에 위치된 특정 용접점이 누수되고 있는 것을 결정한 후, 크리닝 절차(cleaning procedure)가 와이어 브러시를 사용하여 부드럽고 청결한 면을 확보하며 붕산을 포함하는 임의의 먼지(dirt)나 오염물을 제거하도록 누수 용접점의 외면을 청결하게 하기 위해 수행된다. 다음으로, 길이가 약 40 피트(약 12미터)인 다수의 장형 유도봉(elongated guide rod)은 원자로 노즐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하판(60)은 유지 보수원(maintenance personnel)의 노출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원자로 용기 위 안전 거리로부터 용기 노즐 아래로 낮아진다. 하판(60)은 그 위치가 낮아질 때 장형 유도봉으로 유도된다. 다음으로, 실 캐리어(70)의 각 반쪽 부분은 하판(60) 위의 위치에 놓여지며 분할된 실(72)은 또한 원자로 용기 노즐 상부(36) 부근에 삽입되며 실(72)은 실 캐리어(70)의 내부 플랜지(74) 상에 놓여진다. 그후 상판(44)은 하판(60) 및 실 캐리어(70) 모두 위의 작업 위치로 낮아진다. 상판(44)은 장형 유도봉으로 유도되며 제어봉 구동 기구 하우징(24)의 쇼울더(26)와 맞닿는다. 커넥터(56)는 그후 상판 및 하판(44, 60)과 적극적으로 연결되도록 설치되며, 커넥터(56)가 죄여질 때, 실(72)은 용접점의 추가적인 누수 방지를 위해 용접점(42)의 외면과 인접 영역에 대해 단단히 압축된다. 더욱이, 실 클램프 조립체(40)의 압축 부하는 용접점에서 누수를 일으켰던 파단 부분(fracture)을 밀폐시키게 한다. 그러므로, 실 클램프 조립체(40)는 누수를 2 가지 방법 즉,- 외부 용접면을 재밀봉하며 용접 파단 부분을 함께 압축하는 방법으로 방지한다.
실 캐리어(70) 및 실(72)의 측면 삽입을 도모하기 위해, 하판(60)은 충분한 유격(suffieient clearance)을 확보하기 위해 용접점(42) 아래로 낮아진다. 일단 실 캐리어(70)와 실(72)이 위치되면, 하판(60)은, 하판 내부 플랜지(68)가 실 캐리어(70)에 인접하며 실 캐리어를 제 위치에 유지하도록 윗방향으로 상승된다. 실 클램프 조립체에 완전하게 부하를 가하기 위해, 고압 유닛이 사용될 수 있으며 다수의 커넥터(56)가 클램프 조립체에 완전히 부하가 가하면서 적절히 죄어질 수 있다. 이 방식으로, 매우 꽉 죄인 실 클램프 조립체(40)가 원자로 용기 노즐 상부(36) 위 약 40피트(약12미터) 거리에서 누수 용접점(42)에 걸쳐 설치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개시되어졌다. 하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설명 내에서 특정 변형이 나올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하 청구 범위가 본 발명의 진정한 범주와 내용을 결정하기 위해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9)

  1. 원자로 용기 노즐과 장형 하우징(elongated housing) 사이에 위치된 누수 용접점(leaking weld)을 수리하기 위한 실 클램프 조립체(seal clamp assembly)로서,
    내부 프랜지와 중심 애퍼처를 포함하며, 윗면부와 밑면부를 구비하는 상판,
    내부 플랜지와 중심 애퍼처를 포함하며, 윗면부와 밑면부를 구비하는 하판,
    상기 상판 및 하판 사이에 뻗어 있으며, 상기 상판과 하판의 외주면(outer peripheries) 근처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
    상기 상판과 하판 중 하나의 판과 인접해 있으며, 상기 하나의 판으로부터 실 캐리어로 클램핑 부하(clamping load)를 전달하기 위한, 상기 실 캐리어, 및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누수 용접점의 외면(outer surface)과 접촉하기 위한 실을 포함하는, 실 클램프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 캐리어는 상기 하판에 인접해 있는, 실 클램프 조립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실 캐리어는 상기 내부 플랜지와 상보적으로 맞물리게 하기 위하여 설계된 외면을 구비하는, 실 클램프 조립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 캐리어는 일반적으로 L 자형의 횡단면을 구비하는, 실 클램프 조립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판은 일반적으로 L 자형의 횡단면을 구비하는, 실 클램프 조립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은 일반적으로 역전된 L 자형의 횡단면(a generally inverted L-shaped cross-section)을 구비하는, 실 클램프 조립체.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 캐리어는 상기 원자로 용기 노즐에 인접하게 설치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제 1 및 제 2 분리 가능한 반쪽 부분(first and second separable halves)을 포함하는, 실 클램프 조립체.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 캐리어는 상기 장형 하우징에 위치된 표식(indicia)을 볼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상기 내부 플랜지 부분 위에 아치형의 리세스(arcuate recess)를 더 포함하는, 실 클램프 조립체.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는 다수의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 떨어져 있는 패스너(a plurality of circumferentially spaced apart fasteners)인, 실 클램프 조립체.
  10. 장형 하우징과 원자로 용기 노즐 사이에 위치된 누수 용접점(leaking weld)을 가지며 상기 장형 하우징에 연결된 상기 원자로 용기 노즐과, 상기 누수 용접점을 수리하기 위한 실 클램프 조립체의 조합에 있어서,
    상기 장형 하우징 상에 위치된 제 1 쇼울더(shoulder),
    상기 원자로 용기 노즐 상에 위치된 제 2 쇼울더,
    상기 원자로 용기 노즐에 상기 장형 하우징을 밀봉하기 위한 용접점,
    윗면부와 밑면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쇼울더에 인접하게 하기 위한 내부 플랜지와 중심 애퍼처를 포함하는, 상판,
    윗면부와 밑면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 2 쇼울더에 인접하게 하기 위한 내부 플랜지와 중심 애퍼처를 포함하는, 하판,
    상기 상판과 하판 사이에 뻗어 있으며, 상기 상판과 하판의 외주면(outer peripheries) 부근에 위치된, 다수의 커넥터,
    상기 하판으로부터 상기 실 캐리어로 클램핑 부하를 전달하기 위해 상기 하판에 인접하는 실 캐리어(seal carrier), 및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누수 용접점의 외면(outer surface)과 접촉시키기 위한 실을 포함하는, 조합.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실 캐리어는 상기 원자로 용기 노즐에 인접한 설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제 1 및 제 2 분리 가능한 반쪽 부분을 포함하는, 조합.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실 캐리어는 상기 장형 하우징에 위치된 표식을 볼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상기 내부 플랜지 부분 상에 아치형의 리세스를 더 포함하는, 조합.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커넥터는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 떨어져 있는 패스너인, 조합.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실은 해체하지 않고 상기 용접점 부근에서 조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분할된 실인, 조합.
  15. 원자로 용기 노즐과 장형 하우징 사이의 경계면을 밀봉하는 누수 용접점을 수리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누수 용접점의 미리 결정된 외부면 영역을 청결하게 하는 단계,
    상기 원자로 용기 노즐에 인접한 다수의 장형 유도봉을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다수의 장형 유도봉을 사용하여 하판을 상기 용기 노즐 아래로 낮추는 단계,
    실 캐리어의 각 반쪽 부분을 상기 하판 위의 위치로 측면(laterally)으로 삽입하는 단계,
    분할된 실을 상기 실 캐리어로 삽입하는 단계,
    상기 다수의 장형 봉을 사용하여 상기 하판과 상기 실 위의 작업 위치로 상판을 낮추는 단계, 및
    상기 용접점의 추가적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상판과 하판을 연결시키며 상기 실에 압축 부하를 가하기 위해 다수의 패스너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누수 용접점 수리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은 상기 작업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장형 하우징 상의 쇼울더에 인접한 위치로 낮아지는, 누수 용접점 수리 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실은 상기 누수 용접점과 맞닿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용기 노즐의 쇼울더 부근에 삽입되는, 누수 용접점 수리 방법.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패스너 설치 단계 이전에 상기 누수 용접점에 인접한 위치로 상기 하판을 상승시키며 상기 실 캐리어와 접촉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누수 용접점 수리 방법.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실에 완전히 부하를 가하며 미리 결정된 수의 상기 다수의 패스너를 죄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누수 용접점 수리 방법.
KR10-2000-7012552A 1998-05-11 1999-02-24 실 클램프 조립체와 이를 사용한 누수 용접점 수리 방법 KR1003933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490698P 1998-05-11 1998-05-11
US60/084,906 1998-05-11
US09/226,125 US6125159A (en) 1998-05-11 1999-01-07 Canopy seal clamp assembly and method of installation
US09/226,125 1999-01-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3479A true KR20010043479A (ko) 2001-05-25
KR100393301B1 KR100393301B1 (ko) 2003-07-31

Family

ID=26771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12552A KR100393301B1 (ko) 1998-05-11 1999-02-24 실 클램프 조립체와 이를 사용한 누수 용접점 수리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125159A (ko)
EP (1) EP1078375B8 (ko)
KR (1) KR100393301B1 (ko)
CN (1) CN1139076C (ko)
AU (1) AU3064299A (ko)
WO (1) WO199905915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48427A1 (de) * 2002-10-17 2004-05-06 Framatome Anp Gmbh Verfahren zur Reparatur oder zum Vermeiden eines Schadens an einer Durchführung
KR100959889B1 (ko) 2003-07-12 2010-05-27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원자로의 모터하우징 실링부 용접방법
KR101103581B1 (ko) 2009-08-24 2012-01-09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원자로용 제어봉구동장치(cedm) 압력하우징의 밀봉면 누설감지장치
CN101826371B (zh) * 2010-03-15 2012-07-04 中国原子能科学研究院 反应堆水池贯穿预埋件结构
CN103680644B (zh) * 2013-11-29 2016-06-01 北京广利核系统工程有限公司 一种与压力容器的引导管路口连接的密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479015A (de) * 1968-07-30 1969-09-30 Smith Blair Inc Abdichtungsklampe für eine Muffenrohrverbindung
US4480841A (en) * 1982-10-13 1984-11-06 Combustion Engineering,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sealing a tube joint
US4655483A (en) * 1984-05-14 1987-04-07 Combustion Engineering, Inc. Boundary seal for vessel penetration
US4611813A (en) * 1984-09-28 1986-09-16 Combustion Engineering Co., Inc. Method of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n annular seal
US4709729A (en) * 1984-10-03 1987-12-01 Team, Inc. Pipe weld repair device and method for the installation thereof
US4834935A (en) * 1984-12-24 1989-05-30 Combustion Engineering, Inc. Feedwater sparger assembly
US4826217A (en) * 1986-03-31 1989-05-02 Combustion Engineering,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sealing a tube joint
US4676573A (en) * 1986-04-04 1987-06-30 Combustion Engineering, Inc. Clamp for hermetic cable connector
US4723795A (en) * 1986-05-05 1988-02-09 Combustion Engineering, Inc. Instrument penetration for high pressure vessels
KR880005393A (ko) * 1986-10-30 1988-06-29 빌링스 알.브이. 두 도관간의 이음매 밀봉장치
US5316319A (en) * 1992-09-22 1994-05-31 Rm Engineered Products, Inc. Liveload assembly for maintaining torque on bolts
US5513227A (en) * 1992-12-31 1996-04-30 Combustion Engineering Inc. Readily disconnectable nozzle arrangement for use with a nuclear reactor
US5323428A (en) * 1992-12-31 1994-06-21 Combustion Engineering, Inc. Readily disconnectable nozzle arrangement for use with nuclear reactor
US5631936A (en) * 1994-03-09 1997-05-20 Combustion Engineering, Inc. Method and arrangement for compression sealing an omega joint
US5605361A (en) * 1994-05-06 1997-02-25 Entergy Operations, Inc. Replacement nozzle for pressure vessels and method of a attaching same
US5619546A (en) * 1995-04-20 1997-04-08 Combustion Engineering, Inc. Resistance temperature detector nozzle mechanical clam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1999059159A1 (en) 1999-11-18
EP1078375A1 (en) 2001-02-28
US6125159A (en) 2000-09-26
CN1300434A (zh) 2001-06-20
EP1078375B8 (en) 2005-10-26
AU3064299A (en) 1999-11-29
CN1139076C (zh) 2004-02-18
EP1078375B1 (en) 2005-08-24
KR100393301B1 (ko) 2003-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05361A (en) Replacement nozzle for pressure vessels and method of a attaching same
US20120175352A1 (en) Nozzle welding method, nozzle portion repair method, and nozzle welded structure
JP6332871B2 (ja) 原子炉底部取付け型計装ノズルの補修方法
MX2008008150A (es) Aparatos y metodos de inspeccion, mantenimiento y reparacion para reactores nucleares.
KR20080005873A (ko) 원자로 용기의 바닥 헤드 수리 방법
KR101040809B1 (ko) 원자로 냉각재 계통 평형 게이트밸브 밀봉부 누설시험장치
US20070121776A1 (en) System and method for multiple usage tooling for pressurized water reactor
KR100393301B1 (ko) 실 클램프 조립체와 이를 사용한 누수 용접점 수리 방법
US5089684A (en) Tooling for working within a tubular element
GB2533735A (en) Device for checking reactor pressure vessel of nuclear power station
KR101842356B1 (ko) 원자로용 소형 배관의 용접부 정비 방법
KR101825817B1 (ko) 원자로용 소형 배관의 용접부 정비 방법
US20140098922A1 (en) Apparatus and method to inspect, modify, or repair nuclear reactor core shrouds
JPH07181285A (ja) 原子炉用蒸気発生器の損傷管下方部分の溶接装置及び方法
US6111928A (en) Top mount canopy seal clamp assembly
JP2005098998A (ja) シールプレートを用いて原子炉容器クラッディングを補修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CN110189842B (zh) 一种核反应堆中子通量管堵管工艺
JP3425217B2 (ja) 圧力容器貫通ハウジングの補修用シール装置
JPH02105097A (ja) 中性子束モニタハウジングの補修方法
US5898115A (en) Pole installed X-Y scanner
KR100253890B1 (ko) 착탈식 노심 상부구조물
US20050135537A1 (en) Pressure vessel
JPH0298696A (ja) 中性子束モニタハウジングの補修方法
Itoh Weld investigation of nuclear power plant pressure vessels
JPH0298695A (ja) 中性子束モニタハウジングの補修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