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42460A - 기계적 연동 장치에 관한 장치 - Google Patents

기계적 연동 장치에 관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42460A
KR20010042460A KR1020007011072A KR20007011072A KR20010042460A KR 20010042460 A KR20010042460 A KR 20010042460A KR 1020007011072 A KR1020007011072 A KR 1020007011072A KR 20007011072 A KR20007011072 A KR 20007011072A KR 20010042460 A KR20010042460 A KR 200100424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unit
elastic
plunger
uni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110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퍼슨퍼-하칸
프로흐런트스티그
필체르마틴
Original Assignee
클라스 노린, 쿨트 헬스트룀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클라스 노린, 쿨트 헬스트룀,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filed Critical 클라스 노린, 쿨트 헬스트룀
Publication of KR200100424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2460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06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in which the securing part if formed or carried by a spring and moves only by distortion of the spring, e.g. sna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using combined folding and rotation mo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49Details of the mechanical connection between the housing parts or relating to the method of assembly
    • H04M1/0252Details of the mechanical connection between the housing parts or relating to the method of assembly by means of a snap-on mechanis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Transmitter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naps, Bayonet Connections, Set Pins, And Snap Rings (AREA)

Abstract

전화 단말기 같은 휴대용 장치의 잠금 장치를 도시한다. 상기 장치는 메인 바디(303) 및 플립-덮개 같은 움직일 수 있는 돌출 멤버를 포함한다. 돌출 멤버는 적어도 메인 바디의 제 1 위치와 제 2 위치간에 스위치 가능하다. 잠금 장치는 플런저 유니트(305)와 탄성부(301)와 고정부(302)를 가진 잠금 및 해제 유니트(300)를 포함한다. 탄성부(302)는 적어도 고정부(301)와 별도로 한쪽 탄성 방향(X)으로 탄성된다. 플런저 유니트(305)는 고정부(301)와 탄성부(302) 사이의 맞물린 위치와 이탈 위치간에 삽입 및 리트랙션 방향으로 스위치 가능하다.

Description

기계적 연동 장치에 관한 장치{ARRANGEMENT RELATING TO MECHANICALLY INTERLOCKING DEVICES}
휴대용 이동 전화 단말기 분야에서 무게 및 크기 같은 특성의 기술적인 진전은 외관을 고려해서 만들어야 하는 데까지 이르렀다. 이전의 이동 단말기 생산의 크기에 있어서의 한계는 단말기 부품의 크기에도 나타났지만, 다소 배터리 팩 때문이었다. 반면, 최근의 단말기는 손바닥 크기(palm-sized)의 유니트 내에 쉽게 맞는 고도로 통합된 소수의 저-전력 회로를 포함한다. 실제로, 최근 개발된 단말기 중 소형 단말기의 크기(dimensions)는 스피커와 마이크로폰간의 거리가 중요한 설계 요소이다. 스피커/마이크로폰 및 이용자의 귀/입 간에 적당한 정렬을 가능하게 하면서, 마이크로폰이나 스피커를 포함하는 암(arm) 및 덮개 같은 단말기를 더욱 소형화하기 위한 기계적인 해결책이 보편화되었다.
폴더블(doldable) 및 플립-덮개(flip-lid)가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문제, 사실상, 예를 들어 힌지 유니트(hinge unit)가 부착되고, 장치의 메인 하우징(main housing)의 서로 다른 위치간에 접을 수 있는, 돌출 멤버(protruding member)를 포함하는 어떠한 휴대용 장치에 관한 문제는 돌출 멤버의 단일 작동 해제(single action release)와 단일 작동 잠금(single action locking)을 가능하게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점에 있어 본 기술 분야 상황의 예는 커버 해제 메커니즘(cover release mechanism)을 가진 휴대용 라디오를 나타내는 US-5327584 에 개시된다. 수개의 별도 부품은 서로 같이 작동하여 커버 해제 메커니즘을 형성한다: 홀(hole)과 돌출부의 맞물림, 작동 돌출부에 의해 작동되는 잠금 판(locking plate), 스토퍼(stopper)에 장착된 와이어 스프링(wire spring). 물론, 다수의 부분-부품을 포함한다는 단순한 사실에 의해, 이러한 메커니즘은 조립 및 제조 두 가지 모두에 있어 상대적으로 완성된다.
잠금 장치의 다른 예는 UK 특허 출원 GB-2106977에 나타난다. 리셉터클(receptacle) 및 커버 멤버(cover member)를 포함하는 휴대용 화장품 케이스는 커버 멤버와 리셉터클간에 스냅(snap) 맞물림을 가능하게 하는 장치를 포함한다. 스냅 맞물림과 이탈은, 1 개는 커버 멤버에 포함되고 1 개는 리셉터클의 부분이 되는 2 개의 탄성 래치 텅(tongue)간에 힘을 가함으로서 이루어진다. 상기 힘은 별개의 슬라이더 요소로 적용된다.
본 발명은 2 개의 장치간에 기계적 연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기계적 잠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플런저 유니트와 잠금 및 해제 유니트를 포함하는 잠금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a에서 도 1c는 잠금 장치 제 1 실시예의 2 개의 개략적 측면도 및 1 개의 횡-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2a에서 도 2c는 잠금 장치 제 2 실시예의 1 개의 개략적 측면도 및 2 개의 횡-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3은 잠금 장치 제 3 실시예의 개략적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4는 잠금 장치 제 4 실시예의 개략적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5는 플립-덮개를 장착한 휴대용 전화기의 개략적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6a에서 도 6c는 플런저 유니트의 3 개의 개략적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7a에서 도 7b는 장치의 하우징에 부착된 잠금 및 해제 유니트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문제는, 예를 들어 휴대용 통신 장치의 플립-덮개같은 돌출 멤버의 단일 작동 잠금 및 해제를 한손으로 가능하게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문제는 소수의 부품을 이용하여, 돌출 멤버의 단일 작동 잠금 및 해제를 가능하게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간단히, 이러한 것은 탄성부와 고정부를 포함하는 잠금 및 해제 유니트에 맞물리고 이탈될 수 있는 플런저 유니트가 있는 잠금 장치를 제공함으로서 이루어진다.
더 상세하게, 휴대용 장치의 잠금 장치가 있다. 상기 장치는 메인 바디와 움직일 수 있는 돌출 멤버를 포함한다. 돌출 멤버는 적어도 메인 바디의 제 1 위치와 제 2 위치간에 스위치가능하다. 잠금 장치는 플런저 유니트, 그리고 고정부와 탄성부를 가진 잠금 및 해제 유니트를 포함한다. 탄성부는 적어도 고정부와 별도로 한쪽 탄성 방향으로 탄성된다. 플런저 유니트는 잠금 및 해제 유니트의 고정부와 탄성부간의 이탈 위치와 맞물림 위치간에서, 삽입 및 리트랙션(retraction) 방향으로 스위치가능하다.
본 발명의 이점은, 본 발명의 이용자가 단지 작은 동작, 예를 들어 손동작만으로 잠금 및 해제 유니트 앞뒤로 플런저 유니트를 맞물리고 이탈하여, 장치의 메인 바디에서 돌출 멤버를 해제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이점은, 잠금 및 해제 유니트는 1 개의 단일 유니트인 복잡도로 제조될 수 있어, 장치의 제조 및 조립과 관련된 가격 또한 낮아진다는 것이다.
메인 바디(103)에 멤버(104)를 잠그는 일반 기능을 나타내는 본 발명에 따른 잠금 장치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는 도 1a, 도 1b 및 도 1c에 도시된다. 상기 장치는 잠금 및 해제 유니트(100)와 플런저(105)를 포함한다.
메인 바디(103)에 부착된 잠금 및 해제 유니트(100)의 제 1 측면도가 도 1a에 도시된다. 통상적인 메인 바디(103)가 아래에 더 예증되는 전화기 같은 휴대용 장치이더라도, 메인 바디(103)의 상세한 특징은 본 발명의 범위 밖이다. 게다가, 잠금 및 해제 장치(100)를 메인 바디(103)에 부착하는 것 역시 본 발명의 적용범위 밖이어서, 도 1a에서 도 1c과 관련하여 더 상세히 설명되지 않는다.
잠금 및 해제 장치(100)는 메인 바디(103)에 부착된 연장된 고정부(101) 및 연장된 탄성부(102)를 포함한다. 탄성부(102)는 고정부(101)와 탄성부(102)간에 변하는 범위를 가진 갭(120)을 만드는 고정부(101)와 별도로 X 방향으로 탄성된다.
도면에 표시된 구분 라인(109)은 잠금 및 해제 유니트(100)의 탄성부(102)와 고정부(101)가 서로 다른 곳으로 통과하는 곳을 개략적으로 도시한것이다. 구분 라인(109)은 2 개의 부품(101, 102)이 서로 다른 곳에 부착되므로 2 개의 별도 부품이 필요하다는 것을 뜻하는 도면은 아니다. 게다가, 구분 라인(109)은 잠금 및 해제 유니트(100)는 함께 결합된 2 개의 별도 부분의 형태 뿐만 아니라 1 개의 단일 유니트 형태로도 될 수 있다는 사실을 나타내는 단순한 표시이다.
탄성부(102)의 실제 탄성은 부품의 물리적 특성에 의해 획득된다. 적당한 탄성 특성을 획득하는 방법은 본 기술 분야에 공지되어 있으므로, 상세히 기술하지 않는다. 그러나, 예를 들어 주입 몰딩 과정으로 제조된 플라스틱 물질이 합리적인 선택이라는 것은 알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금속, 심지어 나무 같은 다른 물질도 적용에 따라 적절할 수 있다.
도 1b 및 도 1c를 참조로, 노치(106) 및 테이퍼 단(107)을 포함하는 연장된 플런저 유니트(105)는 멤버(104)에 부착된다. 플런저 유니트(105)와 잠금 및 해제 유니트(100)를 포함하는 잠금 장치로 멤버(104)가 메인 바디(103)에 잠겨야 한다. 특정한 특성을 갖는 멤버(104)의 예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와 관련하여 아래에 기술된다.
도 1a에서 도 1c의 플런저 유니트(105)는 메인 바디(103)에 멤버(104)를 잠그기 위한 고정부(101)와 탄성부(102)의 갭(120)내에 위치한다. 잠금은 테이퍼 단(107)을 포함하는 플런저(105)를 Y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서, X 방향으로 탄성부(102)에 힘을 가함으로서, 노치(106)가 X 의 역방향으로 밀어내는 탄성부(102)에 닿을 때까지 X 방향으로 갭(120)을 넓히는 탄성부(102)에 힘을 가함으로서 달성된다. 노치(106)를 뒤로 당길시에, 탄성부(102)가 미끄러지는 경사진 에지(108)를 포함한다. X 방향은 대체로 Y 방향과 수직이다. 이런 것은 본 발명의 다음 실시예에도 있다.
플런저(105)가 부착된 멤버(104)를 Y 의 역 방향으로 힘을 가함으로서, 멤버(104)는 메인 바디(103)에서 열릴 수 있다. 이러한 역 방향 모션은 노치(106)에 있는 경사진 에지(108)에 대해 미끄러지는 탄성부(102)를 수반하여, X 방향으로 갭(120)을 넓히는 탄성부(102)의 모션 방향을 X 방향으로 바꾼다. 게다가 멤버(104)와 플런저(105)의 역방향 모션은 잠금 및 해제 유니트(100)로부터 플런저를 열리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 2 실시예는 도 2a에서 도 2c에 개시된다. 전술된 예처럼, 고정부(201)와 해제부(202)를 포함하는 잠금 및 해제 유니트(200)는, 예를 들어 휴대용 장치의 메인 바디(203)에 부착된다. 구현의 통상적인 예에서, 메인 바디(203)는 이동 전화 단말기가 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메인 바디(203)는 이러한 전화 단말기의 하우징에 대응한다.
고정부(201)와 탄성부(202) 둘 모두 연장되어, 단일 유니트로 형성된다. 점선(209)은 두 부분(201, 202)간의 변이가 위치하는 곳을 개략적으로 표시한다. 탄성부(202)는, 범위가 변하는 갭(220)을 만드는 고정부와 별도로 X 방향을 따라 탄성된다. 동작부(212)는 탄성부(202)에 부착되거나, 다소 통합되어 형성된다. 동작부(212)는 홀(hole)(213)을 통해 외부에서 엑세스(access)할 수 있는 메인 바디(203)에 이르른다.
또한, 전술된 예에서 처럼, 노치(206) 및 테이퍼 단(207)을 포함하는 연장된 플런저 유니트(205)는 멤버(204)에 부착된다. 멤버(204)는 플런저 유니트(205)와 잠금 및 해제 유니트(200)를 포함하는 잠금 장치로 메인 바디(203)에 잠긴다. 멤버(204)의 통상적인 예는 이동 전화 단말기의 플립-덮개일 수 있다.
플런저 유니트(205)는 멤버(204)를 메인 바디(203)에 잠그는 고정부(201)와 탄성부(202)간의 갭(220)내에 위치한다.
도 1a에서 도 1c와 관련하여 도시된 예에서처럼, 잠금 및 해제는 플런저(205)를 Y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서, 노치(206)가 탄성부(202) 노치(210)의 경사진 에지(211)에 닿을 때까지, 갭(220)을 확장하는 X 방향으로 탄성부(202)에 힘을 가함으로서 이루어진다. 또한, 플런저의 노치(206)는 탄성부(202)를 당길시에 탄성부(202)가 미끄러지는 경사진 에지(208)를 포함한다.
플런저(205)가 부착된 멤버(204)는 Y 의 역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메인 바디에서 해제된다. 이러한 힘으로 인한 역방향 모션은 노치(206)의 경사진 에지(208)와 반대 방향으로 미끄러지는 탄성부(202) 노치(210)의 경사진 에지(211)를 수반하여, 갭(220)을 확장하는 X 방향으로 탄성부(202) 모션의 방향을 바꾼다. 게다가, 멤버(204) 및 플런저(205)의 역방향 모션은 잠금 및 해제 유니트(200)에서 플런저(205)를 이탈시킨다. 물론, 플런저(205)를 잠긴 위치에서 이탈시키는데 필요한 당기는 힘은 포함된 부품의 물리적 특성인 크기에 따라 달라진다. 또한, X 방향으로 탄성부(202)에 힘을 가함으로서, 이탈 작동은 용이해질 수 있다. 이러한 힘은 동작부(212)에 가해질 수 있다. 사실, X 방향으로 동작부(212)에 힘을 가함으로서 잠금 및 해제 작동이 용이하게 될 수 있다.
잠금 장치(300)의 다른 실시예는 도 3 에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전술된 예에서 처럼, 고정부(301)는 전화 단말기의 하우징 같은 메인 바디(303)에 부착된다. 고정부(301)는 점선(309)으로 표시된 위치에 있는 탄성부(302)로 트랜스퍼(transfer)된다. 탄성부(302)는 X 방향으로 탄성되며, 동작부(312)를 통해 X 방향의 앞뒤로 위치를 바꿀 수 있다. 동작부(312)는 X 방향으로 연장되고, 탄성부(302)에 부착된 작동 암(314)의 단부를 형성한다. 작동 암(314)은 다소 전술된 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홀(313)을 통해 메인 바디(303)에 이르른다.
또한, 도 3은 전술된 예에 나타난 것처럼 잠김 위치에서 맞물릴 수 있고 이탈될 수 있는 노치(306)를 가진 플런저(305)를 나타낸다.
그러나, 잠금 장치(400)의 다른 예는 도 4에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고정부(401)는 메인 바디(403)에 부착된다. 고정부(401)는 X 방향으로 탄성하는 탄성부(402)로 트랜스퍼된다. 노치(406)를 가진 플런저(405)는 고정부(401)와 탄성부(402)사이 갭(420)에 위치한다. 이러한 예는,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된 플런저(405)의 직사각형의 단면도 처럼, 단순히 부품의 서로 다른 모양을 묘사하는 것이다.
도 5, 도 6a에서 도 6c 및 도 7a와 도 7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또 다른 도면을 도시한다. 이동 전화 단말기(500)는 플립-덮개(520)가 부착된 하우징(503) 형태로 메인 바디를 포함한다. 본 기술 분야에 공지된 것 처럼, 전화 단말기는 전기 통신 네트워크에서 통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하우징(503)에는 디스플레이(524), 키(525) 및 스피커(523)가 있고, 플립-덮개(520)에는 마이크로폰이 있다.
플립-덮개(520)는 힌지 메커니즘(521)으로 개방 위치에서 축 R을 중심으로 키(525)를 커버하는 폐쇄된 위치까지 움직일 수 있다. 도 5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힌지 메커니즘(521)이 하우징(503)에 대해 폐쇄 위치에 있을 시에, 스프링-로드 플립-덮개(520)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플립-덮개(520)는 개방 위치 상태로 도 5에 도시되었다.
덮개가 폐쇄 위치 및 개방 위치에서 각각 맞물리고 이탈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상기 단말기(500)는 본 발명에 따른 잠금 장치를 포함한다. 플런저 유니트(505)는 플립-덮개(520)에 부착되고, 잠금 및 해제 유니트(도 7a (700))는 하우징(503) 내부에 부착된다. 하우징(503)의 홀(513)은 플런저(505)를 잠금 및 해제 유니트(도 7a (700))에 엑세스하도록 한다.
도 6a에서 도 6c는, 도 5에서 플립-덮개(520)에 부착되어 도시된 플런저(505)와 같은, 3개의 플런저(605) 측면도이다. 일반적으로, 전술된 예에서 도시된 플런저(105, 205)와 동일한 모양인 플런저는 경사진 에지(608)를 가진 노치(606) 및 테이퍼 단(607)을 포함한다. 플런저(605)가 어떤 플립-덮개 등 으로부터 분리된 별개 부분으로 도시된다 하더라도, 플런저(605)는 플립-덮개(도 5(520))의 요긴한 부분이 될 수 있다.
도 7a와 도 7b는 도 5의 하우징(503)에 대응하는 하우징(703)의 내부에 부착된 잠금 및 해제 유니트(700)를 상세하게 나타낸다. 고정부(701), 탄성부(702) 및 동작부(712)를 가진 동작 암(714)을 나타낸다. 전술된 예와 유사하게, 동작부(712)에 X 방향으로 힘을 가할시에, 고정부(701) 및 탄성부(702)간의 갭(720)을 넓힐 수 있는 고정부(701)와 별도로 탄성부(702)는 X 방향으로 탄성된다. 고정부(701)는 하우징(703)에서 돌출되어, 개방부(716)를 통해 고정부(701)를 맞물리게 하는 노브(717)로 하우징(703) 내부에 부착된다.
테이퍼 단(707)을 포함하는 플런저(도 5의 (505), 도 6a에서 도 6c의 (605))의 팁(tip)(707)은 전술된 예에서 개시된 것과 같은 동일한 방법으로 탄성부(702)의 노치(708)에 맞물린다. 확장된 갭(720)과 홀(713)을 통해 하우징(703) 외부로 돌출된 작동부(712)에 X 방향으로 힘을 가함으로서, 플런저는 맞물린 위치에서 분리된다.
전술된 예는, 플런저가 돌출 멤버에 부착되고, 잠금 및 해제 유니트가 장치의 메인 바디에 부착되는 본 발명의 구현을 나타낸다. 그러나, 플런저가 메인 바디에 부착되고, 잠금 및 해제 유니트가 돌출 멤버에 부착되는 다른 실시예도 실행할 수 있다.

Claims (29)

  1. 메인 바디(103, 203, 303, 403, 503, 703) 및 움직일 수 있는 돌출 멤버(104, 204, 520)를 포함하는 휴대용 장치의 잠금 장치로서, 상기 돌출 멤버(104, 204, 520)는 적어도 메인 바디(103, 203, 303, 403, 503, 703)의 제 1위치 및 제 2위치간에 스위치가능하고, 상기 잠금 장치는 플런저 유니트(105, 205, 305, 405, 505, 605)와 잠금 및 해제 유니트(100, 200, 300, 400, 700)를 포함하는데:
    - 잠금 및 해제 유니트(100, 200, 300, 400, 700)는 고정부(101, 201, 301, 401, 701)와 탄성부(102, 202, 302, 402, 702)를 포함하고,
    - 탄성부(102, 202, 302, 402, 702)는 고정부(101, 201, 301, 401, 701)와 별도로 한쪽 탄성 방향(X)을 가지며,
    - 플런저 유니트(105, 205, 305, 405, 505, 605)는 잠금 및 해제 유니트(100, 200, 300, 400, 700)의 고정부(101, 201, 301, 401, 701)와 탄성부(102, 202, 302, 402, 702)사이의 맞물림 위치와 이탈 위치간에서, 삽입 및 리트랙션 방향(Y)으로 스위치 가능한 휴대용 장치의 잠금 장치로서,
    잠금 및 해제 유니트(100, 200, 300, 400, 700)가 삽입과 리트랙션 방향(Y)에 주로 수직인 탄성 방향(X)으로 탄성부(102, 202, 302, 402, 702)를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부(212, 312, 712)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장치의 잠금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플런저 유니트(105, 205, 305, 405, 505, 605)는 돌출 멤버(104, 204, 520)에 부착되고, 잠금 및 해제 유니트(100, 200, 300, 400, 700)는 고정부(101, 201, 301, 401, 701)에 의해 상기 장치의 메인 바디(103, 203, 303, 403, 503, 703)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장치의 잠금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플런저 유니트(105, 205, 305, 405, 505, 605)는 상기 장치의 메인 바디(103, 203, 303, 403, 503, 703)에 부착되고, 잠금 및 해제 유니트(100, 200, 300, 400, 700)는 고정부(101, 201, 301, 401, 701)에 의해 돌출 멤버(104, 204, 520)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장치의 잠금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방향(X)으로 작동 암(314, 714)에 힘을 가하는 방식으로, 잠금 및 해제 작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작동 암(314, 714)은 탄성부(102, 202, 302, 402, 702)에 부착되고, 상기 탄성 방향(X)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장치의 잠금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작동부(212, 312, 712)는 잠금 및 해제 유니트(100, 200, 300, 400, 700) 탄성부(102, 202, 302, 402, 702)의 범위(extension)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장치의 잠금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잠금 및 해제 유니트(100, 200, 300, 400, 700)가 단일 유니트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장치의 잠금 장치.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잠금 및 해제 유니트(100, 200, 300, 400, 700)는 함께 결합된 적어도 2 개의 별도 부분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장치의 잠금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잠금 및 해제 유니트(100, 200, 300, 400, 700)의 탄성부(102, 202, 302, 402, 702) 및 고정부(101, 201, 301, 401, 701) 둘 모두 대체로 연장된 형태이며, 그것의 각 단의 한쪽이 함께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장치의 잠금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플런저 유니트(105, 205, 305, 405, 505, 605)가 삽입 및 리트랙션 방향(Y)으로 맞물림 위치에 삽입될 시에, 플런저 유니트(105, 205, 305, 405, 505, 605)가 고정부(101, 201, 301, 401, 701)에서 잠금 및 해제 유니트(100, 200, 300, 400, 700)의 탄성부(102, 202, 302, 402, 702)를 용이하게 분리하기 위한 테이퍼 단(107, 207, 607, 70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장치의 잠금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플런저 유니트(105, 205, 305, 405, 505, 605)는 자신을 맞물림 위치에 잠그기 위한 노치(106, 206, 306, 406, 60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장치의 잠금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노치(106, 206, 306, 406, 606)는 경사 방향이 삽입 및 리트랙션 방향(Y)과 관련된 경사진 에지(108, 208, 60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장치의 잠금 장치.
  12. 제10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잠금 및 해제 유니트(100, 200, 300, 400, 700)는 플런저 노치(106, 206, 306, 406, 606)를 맞물림 위치에 맞물리게 하기 위한 노치(210, 310, 7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장치의 잠금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잠금 및 해제 유니트(100, 200, 300, 400, 700)의 노치(210, 310, 710)는 경사 방향이 삽입 및 리트랙션 방향(Y)에 관련된 경사진 에지(211, 70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장치의 잠금 장치.
  14. 제12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잠금 및 해제 유니트(100, 200, 300, 400, 700)의 노치(210, 310, 710)는 탄성부(102, 202, 302, 402, 702)에 위치한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장치의 잠금 장치.
  15. 메인 바디(103, 203, 303, 403, 503, 703) 및 힌지 유니트(521)를 가진 메인 바디(103, 203, 303, 403, 503, 703)에 부착된 플립-덮개(104, 204, 520)를 포함하는 휴대용 통신 장치로서, 상기 플립-덮개(104, 204, 520)는 적어도 메인 바디(103, 203, 303, 403, 503, 703)의 제 1 위치 및 제 2 위치간에 스위치 가능하고, 또한 상기 장치는 플런저 유니트(105, 205, 305, 405, 505, 605)와 잠금 및 해제 유니트(100, 200, 300, 400, 700)를 가진 잠금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통신 장치에 있어서,
    - 상기 잠금 및 해제 유니트(100, 200, 300, 400, 700)는 고정부(101, 201, 301, 401, 701) 및 탄성부(102, 202, 302, 402, 702)를 포함하며,
    - 상기 탄성부(102, 202, 302, 402, 702)는 고정부(101, 201, 301, 401, 701)와 별도로 적어도 한쪽 탄성 방향(X)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장치를 가진 휴대용 통신 장치 및,
    - 잠금 및 해제 유니트(100, 200, 300, 400, 700)의 고정부(101, 201, 301, 401, 701) 및 탄성부(102, 202, 302, 402, 702)간의 맞물림 위치와 이탈 위치 사이에서, 삽입 및 리트랙션 방향(Y)으로 스위치 가능한 플런저 유니트(105, 205, 305, 405, 505, 605)에 있어서, 상기 잠금 및 해제 유니트(100, 200, 300, 400, 700) 역시, 삽입 및 리트랙션 방향(Y)과 주로 수직인 탄성 방향(X)으로 탄성부(102, 202, 302, 402, 702)의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부(212, 312, 7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런저 유니트(105, 205, 305, 405, 505, 605).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 유니트(105, 205, 305, 405, 505, 605)는 돌출 멤버(104, 204, 520)에 부착되고, 잠금 및 해제 유니트(100, 200, 300, 400, 700)는 고정부(101, 201, 301, 401, 701)에 의해 상기 장치의 메인 바디(103, 203, 303, 403, 503, 703)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장치를 가진 휴대용 통신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 유니트(105, 205, 305, 405, 505, 605)는 상기 장치의 메인 바디(103, 203, 303, 403, 503, 703)에 부착되며, 잠금 및 해제 유니트(100, 200, 300, 400, 700)는 고정부(101, 201, 301, 401, 701)에 의해 돌출 멤버(104, 204, 520)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장치를 가진 휴대용 통신 장치.
  18. 제15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작동 암(314, 714)은 상기 탄성 방향(X)으로 연장되고, 상기 탄성 방향(X)으로 작동 암(314, 714)에 힘을 가함으로서, 잠금 작동 또는 해제 작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탄성부(102, 202, 302, 402, 702)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장치를 가진 휴대용 통신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작동부(212, 312, 712)는 잠금 및 해제 유니트(100, 200, 300, 400, 700) 탄성부(102, 202, 302, 402, 702)의 범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잠금 장치를 가진 휴대용 통신 장치.
  20. 제15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잠금 및 해제 유니트(100, 200, 300, 400, 700)가 단일 유니트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장치를 가진 휴대용 통신 장치.
  21. 제15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잠금 및 해제 유니트(100, 200, 300, 400, 700)는 함께 결합된 적어도 2 개의 별도 부분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장치를 가진 휴대용 통신 장치.
  22. 제15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잠금 및 해제 유니트(100, 200, 300, 400, 700)의 탄성부(102, 202, 302, 402, 702)와 고정부(101, 201, 301, 401, 701) 둘 모두 전반적으로 연장된 형태이며, 그것의 각 단의 한쪽이 함께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장치를 가진 휴대용 통신 장치.
  23. 제15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플런저 유니트(105, 205, 305, 405, 505, 605)가 삽입 및 리트랙션 방향(Y)으로 맞물림 위치에 삽입될 시에, 플런저 유니트(105, 205, 305, 405, 505, 605)는 고정부(101, 201, 301, 401, 701)에서 잠금 및 해제 유니트(100, 200, 300, 400, 700)의 탄성부(102, 202, 302, 402, 702)를 용이하게 분리하기 위한 테이퍼 단(107, 207, 607, 70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장치를 가진 휴대용 통신 장치.
  24. 제15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플런저 유니트(105, 205, 305, 405, 505, 605)는 자신을 맞물림 위치에 잠그기 위한 노치(106, 206, 306, 406, 60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장치를 가진 휴대용 통신 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노치(106, 206, 306, 406, 606)가 경사 방향이 삽입 및 리트랙션 방향(Y)에 관련된 경사진 에지(108, 208, 60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장치를 가진 휴대용 통신 장치.
  26. 제24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잠금 및 해제 유니트(100, 200, 300, 400, 700)가 맞물림 위치에 플런저 노치(106, 206, 306, 406, 606)를 맞물리게 하기 위한 노치(210, 310, 7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장치를 가진 휴대용 통신 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잠금 및 해제 유니트(100, 200, 300, 400, 700)의 노치(210, 310, 710)는 경사 방향이 삽입 및 리트랙션 방향(Y)에 관련된 경사진 에지(211, 70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장치를 가진 휴대용 통신 장치.
  28. 제26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잠금 및 해제 유니트(100, 200, 300, 400, 700)의 노치(210, 310, 710)는 탄성부(102, 202, 302, 402, 702)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장치를 가진 휴대용 통신 장치.
  29. 제15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잠금 및 해제 유니트(100, 200, 300, 400, 700)는 하우징(103, 203, 303, 403, 503, 703)의 내부 면에 부착되고, 이탈 위치에서 맞물림 위치로 스위칭될 시에, 플런저(105, 205, 305, 405, 505, 605)가 들어가게 하는 홀(213, 313, 513, 713)에 의해 하우징(103, 203, 303, 403, 503, 703)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장치를 가진 휴대용 통신 장치.
KR1020007011072A 1998-04-07 1999-04-06 기계적 연동 장치에 관한 장치 KR2001004246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9801221-4 1998-04-07
SE9801221A SE511860C2 (sv) 1998-04-07 1998-04-07 Låsmekanism för mekanisk sammankoppling av två anordningar samt portabel kommunikationsanordning försedd med en dylik låsmekanism
PCT/SE1999/000560 WO1999051885A1 (en) 1998-04-07 1999-04-06 Arrangement relating to mechanically interlocking devic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2460A true KR20010042460A (ko) 2001-05-25

Family

ID=20410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11072A KR20010042460A (ko) 1998-04-07 1999-04-06 기계적 연동 장치에 관한 장치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6363243B1 (ko)
EP (1) EP1070205B1 (ko)
JP (1) JP4391688B2 (ko)
KR (1) KR20010042460A (ko)
CN (1) CN1148515C (ko)
AR (1) AR015267A1 (ko)
AU (1) AU756891B2 (ko)
BR (1) BR9909466A (ko)
CO (1) CO5021174A1 (ko)
DE (1) DE69918282T2 (ko)
EE (1) EE04251B1 (ko)
HK (1) HK1035220A1 (ko)
MY (1) MY124326A (ko)
SE (1) SE511860C2 (ko)
TR (1) TR200002861T2 (ko)
WO (1) WO199905188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51400A (ja) * 2000-03-03 2001-09-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電話機
US7003333B2 (en) * 2002-09-17 2006-02-21 Motorola, Inc. Latch mechanism and electronic device employing a latch mechanism
JP4703982B2 (ja) * 2004-07-15 2011-06-1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携帯電子機器
CN201123002Y (zh) * 2007-07-11 2008-09-24 招家荣 一种便携式携带装置
CN105593512B (zh) * 2013-10-01 2018-12-04 恩普乐斯股份有限公司 燃料喷射装置用喷嘴板的安装构造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6070U (ja) * 1981-07-03 1983-01-14 北川工業株式会社 電線クランプ
GB2106977B (en) * 1981-09-10 1985-02-13 Yoshida Industry Co Vanity case
SE441261B (sv) * 1984-03-26 1985-09-23 Jan Ingemar Neslund Pasklemma
JPH04281628A (ja) * 1991-03-11 1992-10-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形無線機
US5274882A (en) * 1992-03-03 1994-01-04 Ericsson Ge Mobile Communications Inc. Hinge mechanism
JP2689913B2 (ja) * 1994-07-15 1997-12-10 日本電気株式会社 自動開放型折畳み携帯無線機
JP2658906B2 (ja) * 1994-09-22 1997-09-30 日本電気株式会社 自動オープン式折り畳み携帯電話機
FI99070C (fi) * 1995-06-30 1997-09-25 Nokia Mobile Phones Ltd Teline
SE507149C2 (sv) * 1996-08-29 1998-04-06 Ericsson Telefon Ab L M Gångjärnsanordning
US5956398A (en) * 1997-07-11 1999-09-21 Ericsson Inc. Telephone switching mechanism
US6151486A (en) * 1998-10-30 2000-11-21 Ericsson Inc. Magnetic latch and release device and radiotelephones incorporating same
KR100621606B1 (ko) * 1998-12-03 2006-11-3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형 컴퓨터_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035220A1 (en) 2001-11-16
BR9909466A (pt) 2000-12-19
EE200000572A (et) 2002-04-15
AU756891B2 (en) 2003-01-23
SE9801221D0 (sv) 1998-04-07
TR200002861T2 (tr) 2001-01-22
US6363243B1 (en) 2002-03-26
EE04251B1 (et) 2004-02-16
EP1070205A1 (en) 2001-01-24
WO1999051885A1 (en) 1999-10-14
DE69918282D1 (de) 2004-07-29
CN1148515C (zh) 2004-05-05
SE9801221L (sv) 1999-10-08
AU3857499A (en) 1999-10-25
CN1296553A (zh) 2001-05-23
CO5021174A1 (es) 2001-03-27
EP1070205B1 (en) 2004-06-23
AR015267A1 (es) 2001-04-18
SE511860C2 (sv) 1999-12-06
JP4391688B2 (ja) 2009-12-24
DE69918282T2 (de) 2005-07-28
JP2002510778A (ja) 2002-04-09
MY124326A (en) 2006-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146537A1 (en) Slide mechanism for slide-type portable terminal devices
CN1965560B (zh) 包括带片簧的可滑动铰链的可折叠的电子设备
JPH04281628A (ja) 携帯形無線機
EP1858233B1 (en) Battery cover locking device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US20070111086A1 (en) Battery cover latching assembly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050137000A1 (en) Rotatable latching device for a housing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WO2002089343A1 (en) Hinge device
US8006346B2 (en) Automatically opening hinge assembly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KR100959096B1 (ko) 전자기기
KR100640380B1 (ko) 스윙 타입 휴대용 단말기
KR100337788B1 (ko) 폴더형 통신 장치
US7643857B2 (en) Foldable electronic device
KR20010042460A (ko) 기계적 연동 장치에 관한 장치
KR20020088214A (ko) 슬라이드 모듈이 적용된 휴대폰 단말기
US20080259535A1 (en) Sliding open/closed device
KR20000014986A (ko) 플립형 무선 단말기의 커버 개폐장치
JP2658933B2 (ja) フリップ開閉型携帯電話機
KR200244598Y1 (ko) 슬라이드 모듈이 적용된 휴대폰 단말기
KR20060010333A (ko) 커버의 개폐가 용이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100442729B1 (ko) 휴대폰용 슬라이드 기구
KR100320048B1 (ko) 휴대용 전화기의 개폐장치
WO2000056039A1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 cover and a locking device for the cover
KR20080022011A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 모듈
KR20050091220A (ko) 팝-업 타입 휴대용 단말기
KR100596917B1 (ko)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슬라이드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