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0048B1 - 휴대용 전화기의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전화기의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0048B1
KR100320048B1 KR1019990037737A KR19990037737A KR100320048B1 KR 100320048 B1 KR100320048 B1 KR 100320048B1 KR 1019990037737 A KR1019990037737 A KR 1019990037737A KR 19990037737 A KR19990037737 A KR 19990037737A KR 100320048 B1 KR100320048 B1 KR 1003200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case
cover
main body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77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26426A (ko
Inventor
오부현
진경규
Original Assignee
박영호
(주)이엘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호, (주)이엘에스 filed Critical 박영호
Priority to KR10199900377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0048B1/ko
Priority to KR2019990026590U priority patent/KR200180595Y1/ko
Publication of KR200100264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64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00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00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33Hand-held trans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의 휴대용 전화기가 덮개부를 열 때 직접 손으로 덮개부를 밀어 올려야 하고 닫힘 상태가 안정적이지 못해 전화연결이 끊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휴대용 전화기의 본체부와 덮개부를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힌지부가 상기 본체부에 삽입고정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되고 케이스 외측으로 돌출된 습합부가 상기 덮개부에 삽입고정되고 선단부에 나선형 캠면이 형성된 상부캠과, 상기 상부캠의 캠면에 대향되는 나선형 캠면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 내부에서 전후 이동되는 하부캠과, 상기 하부캠과 커버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캠을 탄발시키는 리턴 스프링과, 상기 상부캠의 습합부에 형성된 안내구멍에 스프링을 개재하여 삽입되는 액추에이터와, 상기 액추에이터의 측면에서 압입되고 상기 상부캠의 측면에 형성된 장홈을 따라 이동가능하며 선단부가 상기 케이스에 형성된 삽입홈에 끼워져 조립되는 핀으로 구성됨으로써 ; 한번의 동작만으로 휴대용 전화기의 덮개를 열 수 있고 덮개부를 닫는 동작만으로 덮개부가 본체부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휴대용 전화기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휴대용 전화기의 개폐장치 { The apparatus of opening and shutting for portable phone }
본 발명은 사용자가 소지하고 다니면서 통화할 수 있는 휴대용 전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한번 터치하는 것만으로도 수화부를 소정의 각도까지 열어 정지시킬 수 있고 안정적인 닫힘 상태를 유지하는 휴대용 전화기의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전화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다이얼 버튼(2)이 설치되고 송화구(3)가 구비된 본체(1)와, 수화구(5)가 형성된 커버(4) 및 상기 본체(1)와 커버(4)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6)로 구성되어 있으며, 정보를 표시하는 액정부(7)는 본체(1) 또는 커버(4)중 어느 일측에 형성되나 도면에서는 커버(4)에 설치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커버(4)는 상기 본체(1)를 덮어 다이얼 버튼(2) 등을 보호하며, 폴더(folder)라고도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휴대용 전화기는 커버(1)를 연 상태에서 통화하도록 되어 있으며, 통화가 끝나면 커버(1)를 닫아 오프 후크 상태가 되도록 하고 있다. 물론 종료 버튼을 눌러 오프 후크 상태로 만들기도 한다.
그런데, 종래의 휴대용 전화기는 커버를 열 때 직접 커버를 들어올리도록 되어 있어 사용상 불편한 점이 있다. 또, 커버의 닫힘 상태가 안정적이지 못하여 순간적으로 열리거나 닫히게 됨으로써, 전화연결이 끊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전화가 왔을 때 통화를 위하여 커버를 열다가 순간적으로 놓치게 되면 커버가닫히면서 전화연결이 끊어짐으로써 통화가 불가능해지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한번의 터치만으로 수화부를 소정의 각도까지 열어 정지시킬 수 있고 안정적인 닫힘 상태를 유지하는 휴대용 전화기의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휴대용 전화기가 도시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전화기의 개폐장치가 도시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인 케이스를 일부 절개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휴대용 전화기의 개폐장치에서 덮개부가 닫힌 상태가 도시된 단면도,
도 5는 덮개부가 열린 상태가 도시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케이스 13 : 삽입홈
20 : 액추에이터 30 : 스프링
40 : 상부캠 42 : (나선형) 캠면
43 : 습합부 50 : 핀
60 : 하부캠 62 : (나선형) 캠면
70 : 리턴 스프링 80 : 커버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이얼 버튼과 송화구가 형성된 본체부와, 수화구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의 상측을 덮어 주는 덮개부와, 상기 본체부와 덮개부를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힌지부로 구성된 휴대용 전화기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본체부에 삽입고정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되고 케이스 외측으로 돌출된 습합부가 상기 덮개부에 삽입고정되고 선단부에 나선형 캠면이 형성된 상부캠과, 상기 상부캠의 캠면에 대향되는 나선형 캠면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 내부에서 전후 이동되는 하부캠과, 상기 하부캠과 커버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캠을 탄발시키는 리턴 스프링과, 상기 상부캠의 습합부에 형성된 안내구멍에 스프링을 개재하여 삽입되는 액추에이터와, 상기 액추에이터의 측면에서 압입되고 상기 상부캠의 측면에 형성된 장홈을 따라 이동가능하며 선단부가 상기 케이스에 형성된 삽입홈에 끼워져 조립되는 핀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휴대용 전화기의 개폐장치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전화기의 본체부(미 도시)와 덮개부(미 도시)를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힌지부가 상기 본체부에 삽입고정되는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위치되고 케이스(10) 외측으로 돌출된 습합부(43)가 상기 덮개부에 삽입고정되고 선단부에 나선형 캠면(42)이 형성된 상부캠(40)과, 상기 상부캠(40)의 캠면(42)에 대향되는 나선형 캠면(62)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10) 내부에서 전후 이동되는 하부캠(60)과, 상기 하부캠(60)과 커버(8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캠(60)을 탄발시키는 리턴 스프링(70)과, 상기 상부캠(40)의 습합부(43)에 형성된 안내구멍(43')에 스프링(30)을 개재하여 삽입되는 액추에이터(20)와, 상기 액추에이터(20)의 측면에서 압입되고 상기 상부캠(40)의 측면에 형성된 장홈(41)을 따라 이동가능하며 선단부가 상기 케이스(10)에 형성된 삽입홈(13)에 끼워져 조립되는 핀(5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액추에이터(20)의 선단에는 미관을 좋게 하기 위하여 노브(미 도시)가 삽입되며, 상기 하부캠(60)의 측면에는 돌출부(61)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10)의 내면에는 상기 돌출부(61)가 삽입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 홈(11)이 형성된다. 또, 상기 커버(80)에는 2개의 돌출부(81)가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10)에 형성된 구멍(12)에 삽입됨으로써 케이스(10)에 체결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휴대용 전화기의 개폐장치는 노브를 누르면 덮개부가 열리고, 덮개부를 닫으면 고정되어 닫음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휴대용 전화기의 힌지부에 설치된 노브를 누르면, 노브 내부에 삽입된 액추에이터(20)가 전진하게 된다. 상기 액추에이터(20)가 전진됨에 따라 액추에이터(20)에 압입고정된 핀(50)이 이동되어 케이스(10)에 형성된 삽입홈(13)에서 빠져 나오게 된다.
여기서 상부캠(40)과 하부캠(60)의 상태를 살펴보면, 하부캠(60)의 나선형 캠면(62)과 상부캠(40)의 나선형 캠면(42)이 서로 최정점에 있으며, 리턴 스프링(70)의 탄성력을 받고 있는 하부캠(60)이 전진되어 항상 최하점으로 미끄러지려 하고 있다. 상기 상부캠(40)과 하부캠(60)의 캠면(42)(62)이 최정점에서 최하점으로 미끄러지기 위해서는 구조상 최소한 어느 일측이 회전되어야만 함에도 불구하고, 하부캠(60)은 케이스(10)의 내부에 형성된 가이드 홈(11)에 돌출부가 삽입되어 회전될 수 없고 상부캠(40)도 역시 케이스(10)에 형성된 삽입홈(13)에 삽입된 핀(50)에 의해 고정되어 회전되지 않으므로 최정점에 고정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핀(50)이 케이스(10)의 삽입홈(13)에서 빠져 나오게 되면 상부캠(40)의 회전이 가능하게 되며, 이 상황에서 리턴 스프링(70)의 탄성력을 받은 하부캠(60)이 전진되고 상부캠(40)은 회전하게 된다. 상부캠(40)이 회전되면 핀(50)도 함께 회전되고 상부캠(40)의 습합부(43)가 삽입고정된 덮개부도 회전되어 열리게 된다.
열려 있는 휴대용 전화기의 덮개부를 손 또는 외부의 힘을 이용하여 닫게 되면, 덮개부와 연결된 상부캠(40)이 회전하게 된다. 상부캠(40)이 회전되면 상부캠(40)의 나선형 캠면(42)이 하부캠(60)의 나선형 캠면(62)을 따라 습동하여최하점에서 최정점으로 올라가게 되며, 하부캠(60)은 리턴 스프링(70)을 압착하면서 후퇴하게 된다.
상부캠(40)의 캠면(42)이 최정점에 이르게 되면 핀(50)은 삽입홈의 바깥쪽에 위치되고, 이때 스프링(30)의 탄성력을 받고 있던 액추에이터(20)가 후퇴되어 액추에이터(20)에 압입된 핀(50)이 케이스(10)에 형성된 삽입홈(13)에 끼워진다. 따라서, 상부캠(40)의 회전은 멈춰지고 휴대용 전화기의 덮개부도 닫힌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는 바, 상부캠과 분리된 습합부가 핀과 일체형으로 형성된 것이다.
즉, 휴대용 전화기의 본체부와 덮개부를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부가 상기 본체부에 삽입고정되는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위치되고 선단부에 나선형 캠면(42)이 형성된 상부캠(40)과, 상기 상부캠(40)의 캠면(42)에 대향되는 나선형 캠면(62)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10) 내부에서 전후 이동되는 하부캠(60)과, 상기 하부캠(60)과 커버(8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캠(60)을 탄발시키는 리턴 스프링(70)과, 일단이 상기 케이스(10)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덮개부에 삽입고정되고 다른 일단은 스프링(30)을 개재한 상태로 상기 상부캠(40)에 결합되는 습합부(43)와, 상기 습합부(43)에서 양측 가장자리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상부캠(40)의 장홈(41)을 따라 직선이동되며 선단부가 상기 케이스(10)에 형성된 삽입홈(13)에 끼워져 조립되는 돌출핀(50)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케이스의 외측으로 돌출된 습합부(43)를 눌러 덮개부를 오픈시키게 되고, 덮개부를 눌러 닫게 되면 상부캠(40)이 회전되면서 하부캠(60)을 밀어 넣어 상부캠(40)과 하부캠(60)의 나선형 캠면(42)(62)이 최정점에서 만나게 됨과 동시에 스프링(30)에 의해 습합부(43)가 밀려나오게 된다. 따라서, 한번의 동작만으로 휴대용 전화기의 덮개를 열 수 있고, 덮개부를 닫는 동작만으로 덮개부가 본체부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용 전화기 개폐장치는 한번의 동작만으로 휴대용 전화기의 덮개를 열 수 있고 덮개부를 닫는 동작만으로 덮개부가 본체부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다이얼 버튼과 송화구가 형성된 본체부와, 수화구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의 상측을 덮어 주는 덮개부와, 상기 본체부와 덮개부를 회동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힌지부로 구성된 휴대용 전화기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본체부에 삽입고정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되고 돌출된 습합부가 상기 덮개부에 삽입고정되고 선단부에 나선형 캠면이 형성된 상부캠과, 상기 상부캠의 캠면에 대향되는 나선형 캠면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 내부에서 전후 이동되는 하부캠과, 상기 하부캠과 커버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캠을 탄발시키는 리턴 스프링과, 상기 상부캠의 습합부에 형성된 안내구멍에 스프링을 개재하여 삽입되는 액추에이터와, 상기 액추에이터의 측면에서 압입되고 상기 상부캠의 측면에 형성된 장홈을 따라 이동가능하며 선단부가 상기 케이스에 형성된 삽입홈에 끼워져 조립되는 핀과, 상기 액추에이터의 선단이 삽입되는 노브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화기의 개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캠의 측면에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의 내면에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화기의 개폐장치.
  3. 다이얼 버튼과 송화구가 형성된 본체부와, 수화구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의 상측을 덮어 주는 덮개부와, 상기 본체부와 덮개부를 회동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힌지부로 구성된 휴대용 전화기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본체부에 삽입고정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되고 선단부에 나선형 캠면이 형성된 상부캠과, 상기 상부캠의 캠면에 대향되는 나선형 캠면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 내부에서 전후 이동되는 하부캠과, 상기 하부캠과 커버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캠을 탄발시키는 리턴 스프링과, 일단이 상기 케이스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덮개부에 삽입고정되고 다른 일단은 스프링을 개재한 상태로 상기 상부캠에 결합되는 습합부와, 상기 습합부에서 양측 가장자리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상부캠의 장홈을 따라 직선이동되며 선단부가 상기 케이스에 형성된 삽입홈에 끼워져 조립되는 돌출핀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화기의 개폐장치.
KR1019990037737A 1999-09-06 1999-09-06 휴대용 전화기의 개폐장치 KR1003200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7737A KR100320048B1 (ko) 1999-09-06 1999-09-06 휴대용 전화기의 개폐장치
KR2019990026590U KR200180595Y1 (ko) 1999-09-06 1999-11-30 휴대용 전화기의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7737A KR100320048B1 (ko) 1999-09-06 1999-09-06 휴대용 전화기의 개폐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6590U Division KR200180595Y1 (ko) 1999-09-06 1999-11-30 휴대용 전화기의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6426A KR20010026426A (ko) 2001-04-06
KR100320048B1 true KR100320048B1 (ko) 2002-01-10

Family

ID=19610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7737A KR100320048B1 (ko) 1999-09-06 1999-09-06 휴대용 전화기의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00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86022A (ja) * 2001-03-22 2002-10-03 Nifco Inc ヒンジ用ロータリーアクチュエータ
KR100701500B1 (ko) * 2006-06-16 2007-03-29 주식회사 엠투시스 휴대 단말기용 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6426A (ko) 2001-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9847B1 (ko) 접는 전화기용 힌지장치
KR100383623B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힌지모듈
US20100050384A1 (en) Automatically opening hinge assembly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EP0961458B1 (en) A portable radio telephone
US6148079A (en) Hinge apparatus for flip style portable phone
KR200372903Y1 (ko) 슬라이드 힌지 모듈
KR100320048B1 (ko) 휴대용 전화기의 개폐장치
KR200180595Y1 (ko) 휴대용 전화기의 개폐장치
KR100650695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드 개폐장치
KR0145879B1 (ko) 전화기의 버튼 커버 개폐장치
KR100428423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커버 개폐장치
KR20060010333A (ko) 커버의 개폐가 용이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100610373B1 (ko) 양 방향 힌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KR200330255Y1 (ko) 폴더형 단말기의 커버 개폐장치
KR200218503Y1 (ko) 슬라이딩 수납식 이동통신 단말기
EP1521336B1 (en) Port cover unit for electronic equipment
KR200187495Y1 (ko) 핸드폰 덮개 원터치 자동 개방 스위치
KR200319728Y1 (ko) 휴대폰용 힌지장치
KR100512562B1 (ko) 휴대폰용 힌지장치
WO2004045097A1 (en) Hinge device
KR200162075Y1 (ko) 원터치방식의 휴대폰
KR200258170Y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커버 힌지 장치
KR200336284Y1 (ko) 셀룰러폰용 이어폰잭의 슬라이드커버
KR200345390Y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드 개폐장치
KR100596917B1 (ko)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슬라이드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