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41327A - 흡착물질을 사용한 vpsa 방법 - Google Patents

흡착물질을 사용한 vpsa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41327A
KR20010041327A KR1020007009439A KR20007009439A KR20010041327A KR 20010041327 A KR20010041327 A KR 20010041327A KR 1020007009439 A KR1020007009439 A KR 1020007009439A KR 20007009439 A KR20007009439 A KR 20007009439A KR 20010041327 A KR20010041327 A KR 200100413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sorbent
adsorption
scrr
fom
l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94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82914B1 (ko
Inventor
죠셉 티모씨 멀헙프
프랭크 노타로
Original Assignee
조안 엠. 젤사 ; 로버트 지. 호헨스타인 ; 도로시 엠. 보어
프랙스에어 테크놀로지,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안 엠. 젤사 ; 로버트 지. 호헨스타인 ; 도로시 엠. 보어, 프랙스에어 테크놀로지,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조안 엠. 젤사 ; 로버트 지. 호헨스타인 ; 도로시 엠. 보어
Publication of KR200100413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13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29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29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01D53/0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with stationary adsorbents
    • B01D53/047Pressure swing adsorption
    • B01D53/0476Vacuum pressure swing ad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B01J20/06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oxides or hydroxides of metal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0/04
    • B01J20/08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oxides or hydroxides of metal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0/04 comprising aluminium oxide or hydroxide; comprising bauxi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B01J20/1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silica or silicate
    • B01J20/103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silica or silicate comprising silic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B01J20/1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silica or silicate
    • B01J20/16Alumino-silicates
    • B01J20/18Synthetic zeolitic molecular sie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8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20/28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properties
    • B01J20/28004Sorbent size or size distribution, e.g. particle siz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8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20/28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properties
    • B01J20/28011Other properties, e.g. density, crush str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8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20/28014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B01J20/28016Particle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3/00Adsorbents used in seperation treatment of gases and vapours
    • B01D2253/10Inorganic adsorbents
    • B01D2253/104Alumin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3/00Adsorbents used in seperation treatment of gases and vapours
    • B01D2253/10Inorganic adsorbents
    • B01D2253/106Silica or silic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3/00Adsorbents used in seperation treatment of gases and vapours
    • B01D2253/10Inorganic adsorbents
    • B01D2253/106Silica or silicates
    • B01D2253/108Zeoli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3/00Adsorbents used in seperation treatment of gases and vapours
    • B01D2253/10Inorganic adsorbents
    • B01D2253/106Silica or silicates
    • B01D2253/108Zeolites
    • B01D2253/1085Zeolites characterized by a silicon-aluminium rati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3/00Adsorbents used in seperation treatment of gases and vapours
    • B01D2253/10Inorganic adsorbents
    • B01D2253/112Metals or metal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B01D2253/104 or B01D2253/10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6/00Main component in the product gas stream after treatment
    • B01D2256/10Nitrog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6/00Main component in the product gas stream after treatment
    • B01D2256/12Oxyg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10Single element gases other than halogens
    • B01D2257/102Nitrog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10Single element gases other than halogens
    • B01D2257/104Oxyg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9/00Type of treatment
    • B01D2259/40Further details for adsorption processes and devices
    • B01D2259/40007Controlling pressure or temperature swing adsorption
    • B01D2259/40009Controlling pressure or temperature swing adsorption using sensors or gas analy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9/00Type of treatment
    • B01D2259/40Further details for adsorption processes and devices
    • B01D2259/401Further details for adsorption processes and devices using a single b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9/00Type of treatment
    • B01D2259/40Further details for adsorption processes and devices
    • B01D2259/402Further details for adsorption processes and devices using two be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01D53/0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with stationary adsorbents
    • B01D53/0407Constructional details of adsorbing systems
    • B01D53/0446Means for feeding or distributing g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01D53/0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with stationary adsorbents
    • B01D53/047Pressure swing adsorp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95/00Gas separation: processes
    • Y10S95/90Solid sorbent
    • Y10S95/902Molecular siev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Separation Of Gases By Adsorption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질의 고유 흡착율과 평형 특성 간의 관계를 기초로 선택되는 흡착 물질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흡착물질을 사용한 VPSA 방법{VPSA PROCESS USING IMPROVED ADSORBENT MATERIALS}
공기를 분리하는 다양한 PSA, VSA 및 VPSA 방법은 지난 30년간에 걸쳐서 상당한 발전이 있었으며, 주된 발전은 최근 10년 동안에 이루어졌다. 이들 방법의 상업화 및 연속된 생산범위의 확장은 일차적으로 흡착제와 공정 사이클에서의 개선에 기인될 수 있으며, 흡착제 디자인에서의 발전은 보다 적은 정도로 도움이 된다. PSA O2에 대한 통상의 흡착제는 평형에서 N2-선택적이며, 예를 들어, 13X, CaA, CaX, 및 CaA와 CaX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개선된 흡착제는 높은 △N2부하(예, 작업 용량), 높은 질소/산소 선택성 및 높은 용량과 같은 증진된 평형 특성을 지닌다. 차오(Chao)의 미국특허 제4,859,217호에서 예시되고 있는 바와 같은 고도로 변화된 리튬 분자체 흡착제는 O2생산을 위한 개선된 흡착제이다.
공정 효율을 개선시키고 경량 성분 생성물의 생산 비용을 감소시키는 것은 요구되는 흡착제의 양을 감소시키고 생성물 회수율을 증가시킴으로써 성취된다. 요구되는 흡착제의 양을 감소시키는 것은 일반적으로 파운드로 나타낸 흡착제/TPDO(함유된 O2의 일일 톤수)의 베드 크기 인자(bed size factor: BSF)로 나타내며, 생성물의 비용을 감소시키는 것은 생성물로 포집된 공급물 중의 경량의 성분의 분율로 나타낸다.
흡착제의 개선 및 사이클 타임의 감소는 BSF를 감소시키는 두 가지의 주요한 방법이다. 짧은 사이클은 짧은 베드 및 보다 높은 흡착제 이용을 유도하지만, 흡착율이 증가하지 않는 한 생성물 수율은 일반적으로 나빠진다. 이러한 현상은 이상적으로는 질량 전달 영역(mass transfer zone: MTZ)의 크기에 의해서 특성화될 수 있는데, 다시 말하면, 질량 전달 영역은 층의 깊이가 감소함에 따라서 흡착제의 분율을 증가시킨다. 중량의 성분과 연관된 흡착제 이용은 평형 영역에서 보다 MTZ 영역에서 더욱 더 적기 때문에, 작업 용량(예, △N2부하)은 이러한 분율이 감소함에 따라서 줄어든다.
흡착물질의 특성을 공정 사이클에서의 이들의 성능과 보다 명백하게 관련시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보다 작은 흡착 입자를 이용할 할 수 있는 질량 전달율의 공지된 증가는 사이클 개선: (1) 서카(Sircar)에 의한 이중의 분리된 흡착층(미국특허 제5,071,449호), (2) 히루카(Hirooka)등에 의한 짧은 사이클 타임 및 연속된 단계(미국특허 제5,122,164호) 및 (3) 헤이(Hay)등에 의한 교차 가스 흐름이 있는 상이한 입자 크기의 베드(미국특허 제5,176,721호)을 포함한다. 게프니(Gaffney)등은 평형 물질 특성: (1) 등온 작업 용량과 불활성 희석제의 양(미국특허 제5,258,060호) 및 (2) 선택성과 함께 등온 작업 용량(미국특허 제5,266,102호)의 조합에 대한 실질적인 값의 범위를 확인하는 사이클 연구를 이용하였다.
종래 기술의 이러한 예는 평형-선택적 흡착 물질 특성이 공정 성능과 상호 관련되는 두 가지 방법을 예시하고 있다. 첫 번째 방법에서, 흡착제 조성은 고정되어 주어지며, 이어서 질량 수송이 별도로 이루어지며 입자 크기 및 베드 디자인에서의 조절에 의해서 조정된다. 두 번째 방법에서, 전체적으로 고려할 경우에, 흡착제 조성은 평형 특성이 변경되도록 변화되고, 이어서 질량 전달이 측정된다.
마지막으로, 모러(Moreau)(미국특허 제5,672,195호)등은 제올라이트에서 보다 높은 다공성을 제안하여 PSA 공기 분리에서의 개선된 O2생성 및 산출량을 달성시키고 있다. 0.38 내지 0.60의 바람직한 다공성 범위가 최소 비율 계수와 함께 청구되고 있다. 모러는 시판중의 제올라이트가 그들의 발명에서 적합하지 못한데 그 이유는 다공성이 0.36 미만이기 때문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모러는 높은 다공성의 상당한 오프세팅 효과를 유도하지 못하였다.
발명의 목적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개선된 성능 특성을 지니는 PSA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개선된 흡착 물질을 사용하여 PSA 방법의 성능을 개선시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개선된 고유의 흡착율 특성을 지닌 흡착물질을 사용하여 PSA 방법의 성능을 개선시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흡착물질의 평형 특성과 연관된 고유의 흡착율을 지닌 흡착물질을 사용하여 PSA 성능을 개선시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PSA 방법을 위한 흡착제를 선택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흡착제 고유의 흡착율과 흡착 평형 특성의 바람직하고 관련된 조합에 근거하여 선택되는 흡착물질의 사용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압력 변동 흡착(pressure swing adsorption: PSA) 방법에 사용되는 흡착물질에 관한 것이다. 더욱 특히, 본 발명은 고순도 산소(예, 순도가 90 내지 95 용적% O2인 산소)의 생산을 위한 PSA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PSA 방법에 사용하기 위한 흡착물질을 선택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특히, 본 발명은 흡착물질의 고유의 흡착율과 흡착 평형 특성의 관련된 조합을 근거로 하여 선택되는 흡착물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은 본 기술 분야의 전문가라면 이하의 바람직한 구체예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을 통해서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흡착제의 고유의 흡착율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장치의 모형도이다.
도 2는 타입 X 제올라이트 기재 흡착제에 대한 SCRR 대 NML FoM 데이터의 그래프이다.
도 3은 도 2에서 1 내지 7로 번호가 부여된 물질에 대한 SCRR 대 NML FoM 데이터 및 곡선의 그래프이다.
도 4는 표정된 O2회수율 대 [(SCRR*(NML FoM)]0.5의 그래프이다.
도 5는 표정된 BSF 대 [(SCRR*(NML FoM)]0.5의 그래프이다.
도 6은 SCRR 대 NML FoM과 상수 상대적 PSA 생산비 곡선이다.
본 발명은 부분적으로 고유의 흡착율 특성이 다양한 흡착제 대해서 불변성이 아닐 뿐만 아니라, 제조 조건 및/또는 조건들에서의 변화에 주어진 흡착제에 대해서 불변성이 아니라는 인식으로부터 발명되고 있다.
용어 "흡착율"은 흡착제 부하가 주어진 흡착 분리 공정에 대한 흡착 입자에서 주어진 시간 동안 변화하는 비율을 의미한다. 이러한 흡착율은 (입자 직경)의 역에 대체로 비례하며 "고유의 흡착율"(또한 "고유의 비율"이라 일컬어짐)에 직접적으로 비례한다. 용어 "고유의 흡착율"은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입자내의 세공 크기 및/또는 분포를 포함한 흡착 입자의 고유의 특성에 기인되는 흡착 비율을 의미한다. 물질의 고유의 흡착율은 입자 크기에 의존하지 않는다. 용어 "상대적인 흡착율"은 "흡착율"의 비교치이며, 용어 "크기 상보된 상대적인 흡착율"(SCRR)은 고유의 흡착율의 측정치이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흡착율을 흡착제 평형 특성과 조합하는 것이 질량 전달 한계에 기인되어 달성되지 않는 고용량 흡착제의 전체 성능을 달성하는데 중요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달리 설명하면, 흡착물질은 흡착질을 보유하는 큰 용량을 지닐 수 있지만, 그러한 용량은 흡착제중의 흡착질의 질량 전달이 불충분하고/거나 그 용량과 상호 관련되지 않는다는 사실에 기인되어 효과적으로 이용되지 못한다.
고유의 흡착율은 흡착물질의 형태(예, 흡착물질의 형상) 뿐만 아니라 흡착물질(예, 조성물)의 특성 둘 모두에 좌우된다. 따라서, 이들의 형상을 변화시킴으로써 특정 조성의 흡착물질(예, LiX(2.3)≥88% Li, 여기서, 2.3은 SiO2대 Al2O3의 몰 비율이다)의 고유의 흡착율을 증진시킬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은,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실리카-알루미나, 알루미나, 실리카, 티탄 실리케이트, 인산염 및 이의 혼합물 뿐만 아니라 A-제올라이트, X-제올라이트, Y-제올라이트, 챠바자이트(chabazite), 모르데나이트(mordenite), 및 이들의 다양한 이온 교환된 형태를 포함한 어떠한 형태의 평형-선택성 흡착물질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흡착물질의 고유의 흡착율은 흡착물질의 평형 특성(예, 질소 대 산소에 대한 선택성 및 △N2부하)과 함께 고려되어야 한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은 흡착제를 평가하는 새로운 기본 기준을 제공함으로써 PSA 공정에 이용되는 흡착제를 선택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방법은 (1) 물질의 특성(O2와 N2에 대한 흡착평형의 측정) 및 (2) 종래 기술에서 일반적인 O2회수율 및 베드 크기 인자와 같은 공정 사이클 파라메터에 대한 광범위하고 시간 소모적인 시험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고유의 흡착율과 평형 특성 둘 모두가 PSA 시스템에서 특정의 흡착제를 선택하는데 고려되어야 한다는 인식을 근거로 한다. 특히, 본 발명자들은 이들 두 파라메터 사이의 관계를 설정하여, 주어진 평형 특성(예, 작업 용량)에서, 작업 용량의 효과적인 이용을 제공하는 상응하는 최소 흡착율이 있다는 것을 정의하고 있다. 이러한 인식 및 관계는 종래의 기술에서는 인식되지 않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주어진 흡착제에 대한 흡착율은 다음 방정식 (1)에 의해 정의된다. 이러한 방정식은 공급 가스가 재생된 흡착제에 수용되는 PSA 공정 사이클내의 지점과 관련이 있다. 이러한 방정식은 가스상으로부터의 N2의 흡착과 흡착제로부터의 O2의 수반된 탈착 둘 모두를 고려하고 있다. 이하의 실험에서, 공급 가스는 깨끗하고 건조한 CO2-유리 공기이며, 재생 가스는 O2이다.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실험으로부터 전체 압력 "p"에서의 상대적인 흡착율 "RR"을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방정식 1)
RR(p) = [△N2(YF, YO)]/(t2-t1)
상기 식에서, △N2(방정식 1의 분자)는 하기와 같다:
(방정식 2)
△N2(YF, YO) = [p, YF에서의 N2부하] - [p, YO에서의 N2부하]
상기 식에서, YF= 0.20, YO=1.0, Y1=0.90, 및 Y2=0.30은 가스상에서의 O2의 몰분율이고,
t1및 t2는 농도 전선에서의 Y1및 Y2에 상응하는 시간이다.
YF와 YO는 각각 공급 및 재생 가스를 의미하고; Y1과 Y2는 브레이크쓰루(breakthrough) 곡선상에서 선택된 조성을 의미한다.
입자 크기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해서는, 크기 상보된 상대적 비율 "SCRR"은 전체 압력 "p"에서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방정식 3)
SCRR(p) = RR(p) * [d입자]2
상기 식에서,
"d입자"는 입자 크기 분포로부터 유도된 어건(Ergun) 입자 직경이다.
본 기술 분야의 전문가라면 상대적인 흡착율 RR이 주어진 시간에 걸쳐 입자의 베드에서 흡착된 가스의 양의 측정치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SCRR의 정의는 입자 크기에 대한 명백한 의존성을 설명할 수 있게 하고 고유의 흡착율에 대한 의존성에 초점을 맞출 수 있게 한다.
RR(mmol/g sec) 및 SCRR (mmol mm2/g sec)를 계산하는데 요구되는 데이터를 측정하는 시험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용적 흐름 장치에서 수행될 수 있다. 특히, 브레이크쓰루 시험은 두 단계로 수행되는데, 공급 가스의 유속, 압력 및 온도가 동일한 두 단계 모두에서 동일하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러한 공정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첫 번째 단계는 유속 측정기(2) 및 라인(3)을 통해서 제공된 O2, 즉 다소 덜 선택적인 성분으로 흡착 베드(1)을 포화시킴을 포함한다. 두 번째 단계에서, N2및 O2를 함유하는 공기 또는 합성의 공기 혼합물은 이어서 단계 2에서 유속 측정기(4) 및 라인(3)을 통해 베드(1)로 도입된다. 밸브(6)은 유속 측정기(2)와 함께 작동하여, 4개의 포트 밸브(7)이 공기/합성 공기 공급물을 라인(3)에 연결하여 공기/합성 공기가 베드(1)로 흐를 때까지, 공기 또는 합성 공기의 압력이 외부 루프내에서 유지되게 한다. 두 번째 단계에서의 공급 혼합물의 압력, 온도 및 조성은 실질적인 공정의 흡착단계에서의 압력, 온도 및 조성, 예를 들어, 1.5바(bar), 300oK 및 공급 공기 조성을 나타내어야 한다. 몰 유출량은 약 10mol/m2s였다. 압력은 실질적으로 흡착 베드의 하류측상에 위치된 조절 밸브(8)을 사용함으로써 베드(1)에서 일정하게 유지된다. 엔드스페이스(endspace)와 연결 파이핑 용적(데드 용적: dead volume)은 흡착 베드 용적의 약 5% 이하가 되게 디자인된다.
O2의 유속과 농도는 N2의 브레이크쓰루가 완료되는 때까지 유속 측정기(9) 및 산소 분석기(10)을 통해 단계 2 전체에 걸쳐서 연속적으로 및 정밀하게 모니터링된다. 분석기(10)으로의 흐름은 고정된 밸브(5)를 통해서 일정한 양으로 유지된다. 단계 2에서, 보다 선택적으로 흡착된 N2는 앞선 베드(1)에서 흡착된 O2와 치환된다. 베드가 공기 혼합물로 포화됨에 따라서, N2의 브레이크쓰루가 O2농도의 감소 및 베드로부터의 유출물의 전체 유속의 증가에 반영된다. 파이핑 및 흡착베드는 공급물과 동일한 온도로 조절된 자동온도조절장치욕중에 침지시킴으로써 공급물과 동일한 온도로 유지된다.
상대적인 흡착율 및 SCRR은 이러한 시험의 결과로부터 측정된다. N2의 시차 부하(방정식(2)에 나타냄)는 브레이크쓰루 결과를 분석함으로써 측정된다. 방정식(2)에서 T2-T1은 시험 베드의 출구에서(산소 분석기(10)을 사용함으로써) 측정된 산소 농도 전선으로부터 직접적으로 측정된다. 방정식(2)로부터 계산된 상대적인 흡착율은 SCRR을 측정하는 입자 크기 정보와 함께 방정식(1)에 사용된다.
본원에 개시된 특정의 측정에 있어서, 흡착율 데이터는 활성화된 상태의 샘플에 의해서 얻었다. 흡착제는 건조 N2하에 유지시켜서 활성화 상태를 보존된다.
본 기술 분야의 전문가라면 상기된 2-단계 방법은 RR이 유도될 수 있는 N2및 농도 브레이크쓰루 곡선을 생성시키는 한 수단의 예를 제공한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방법은 실질적인 공정을 나타내는 실험 규모의 시험에서 공급 단계와 관련되는 재현 가능한 값을 생성시킨다. 이러한 실험은 혼합 손실 및 온도 구배와 같은 오차의 주요 원인이 최소화되도록 디자인된다.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서 샘플이 시판되는 상태로의 샘플 상태, 또는 평형 측정에 사용된 진공 활성화된 상태에 근접되게 활성화된 상태에 상응하는 다양한 활성화 상태로 시험될 수 있다는 것을 주지하고 있다.
공기 분리 사이클와 관련된 조건에서 흡착제의 평형 특성을 특정화하기 위해서, 별도의 가스 N2및 O2의 흡착 등온선 측정치를 근거로 하는 정의가 이용한다. 이러한 정의는 NML 피겨 오브 메릿(NML Figure of Merit: "NML FoM")으로 일컬어진다. NML FoM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방정식 4)
NML FoM ≡[△N2(T,B)]*[αT(N2/O2)]2/[αB(N2/O2)]2
상기 식에서,
하첨자 "T"와 "B"는 각각 최고 흡착 압력 및 최저 흡착 압력에 상응하는 "탑" 및 "바닥" 압력을 의미한다. 탑 및 바닥 압력과 조성 사이의 △N2부하는 다음과 같은 방정식으로 정의된다:
(방정식 5)
△N2(T,B)=[pT, XT에서의 N2부하] - [pB, XB에서의 N2부하]
탑 및 바닥 압력과 조성에서의 분리 인자는 각각 일정한 온도를 가정하는 다음 두 방정식으로 정의된다:
(방정식 6)
αT(N2/O2) = [XT(N2)/XT(O2)] / [YT(N2)/YT(O2)]
(방정식 7)
αB(N2/O2) = [XB(N2)/XB(O2)] / [YB(N2)/YB(O2)]
상기 방정식(5), (6) 및 (7)에서, XT및 XB는 하첨자로 표시된 압력에서 흡착된 상으로의 표시된 분자의 몰 분율이며, YT및 YB는 하첨자로 표시된 압력에서 가스상으로의 표시된 분자의 몰 분율이다. 방정식(2)로부터의 △N2(YF,YO)의 값과 방정식(4)로부터의 △N2(T,B)의 값은 동일한 온도에서 거의 동일하다. 그러나, △N2(YF,YO)는 흡착율 시험에서 혼합된 흡착 데이터로부터 얻으며, △N2(T,B)는 순수한 가스 평형 데이터로부터 계산된다.
상기 정의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NML FoM(mmol/g)은 세 개의 인자로부터의 결과이며, 이들 각각의 인자는 평형 성능에 기여한다. 첫째로, △N2부하는 사이클에서 분리될 수 있는 N2의 최대량의 측정치이다. 둘째로, αT는 공급 단계에서의 선택성의 측정치이다. 셋째로, [αTB]는 공급물 선택성과 관련된 재생 동안의 선택성의 악효과를 의미한다.
NML FoM의 파라메타를 계산하는데 요구되는 흡착 데이터를 측정하는 실험은 범위 10-4토르 내지 500psia로 가압할 수 있는 압력 미량천칭, 250K 내지 340K의 조절된 흡착 온도, 및 500℃로의 활성화 온도에서 수행되었다. 등온 흡착 데이터는 동일반응계내에서의 샘플 활성화 후의 각각의 순수한 가스 N2및 O2에 의해 얻어진다. 이용된 중력 방법은 16 시간 동안 10-4토르 및 350℃에서의 샘플 진공 활성화, 부력 효과에 대한 보정, 및 평형 부하를 고압 및 저압 둘 모두에서 측정함에 의한 평형 부하의 측정을 포함한다. 등온선은 6atm 미만의 압력에서 작도되었다.
흡착 데이터는 세 단어 용어 로딩 레이티오 코릴레이션(Loading Ratio Correlation: LRC)를 통해서 흡착제의 최대 및 최소 N2부하(예, 각각 "탑" 및 "바닥" 압력)에 상응하는 공정 사이클내의 일정 지점에서 평형에 근접된 조건으로 전환된다. NML FoM에 요구된 합해진 흡착 데이터는 합해진 흡착에 대한 LRC를 이용함으로써 계산된다. 이용된 사이클의 "탑" 압력에서의 조건은 다음과 같다: 온도=300K, pT=150kPa, YT(O2)=0.20, YT(N2)=0.80. "바닥" 압력에서의 조건은 다음과 같다: 온도=300K, pT=35kPa, YT(O2)=0.05, YT(N2)=0.95.
본 기술 분야의 전문가라면 방정식(4)에 요구된 파라메터를 측정하는 그 밖의 방법이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물질 파라메터의 조합은 시험 규모 PSA (O2) 플랜트로부터 얻은 회수율 및 생산성(역 BSF)의 측정치와 상호 관련될 수 있다. 실험 규모의 시험에서의 O2회수율 및 베드 크기 인자의 측정치는 대규모의 실시로부터 얻은 측정치와 상호 관련되고, 도 6에서의 일정한 성능의 곡선에 의해 표시된 생산비용과 상호 관련될 것이다. 또한, 상호 관련을 구성시킬 수 있는 충분한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이러한 파라메터의 조합은 주어진 파라메터 조합을 나타내는 흡착제와 상응하는 통계적인 비용과 직접적으로 관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종래의 흡착 성능 개선을 설명하고 성능을 증진시키는 수단을 예측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종래의 흡착 성능 개선의 예로서, 평형 특성이 NaX 물질 대신 고도로 교환된 LiX 제올라이트를 사용하고/거나 낮은 SiO2/Al2O3비율의 물질, 예를 들어, X(2.3) 대 X(2.5)를 사용함으로써 종래 기술에 비해서 개선되고 있다. 이러한 개선은 도 6(이하 기재됨)에 나타낸 데이터와 일관되고 있다.
종래의 기술에서는 증가된 흡착율이 일반적으로 압력을 강하시키면서 입자의 직경을 감소시킴에 의해서 얻어진다는 것을 인지하고 있다. 이러한 발명의 기술에 따르면, 본 발명자들은 흡착제 입자의 고유 흡착율을 증가시킴으로써 요구되는 높은 흡착율을 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공정 흡착율은 통상의 압력 강하 단점 없이 증가된다.
표 1 및 표 2는 흡착제 입자 직경을 감소시킴에 의해서 동일한 SCRR을 달성시켜야 함으로써 직면하게 되는 압력 강하 효과의 크기를 나타낸다. 압력 강하의 이러한 증가는 공정의 성능을 저하시켜서,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증가된 공정 흡착율에 의해서 얻어지는 어떠한 이익을 상쇄시킨다. 따라서, 흡착제 입자 직경을 감소시키는 것이 아니라 SCRR를 증가시킴으로써 성능을 증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또한 SCRR을 증가시키고 입자 직경을 조절함으로써 특정의 FoM을 지닌 주어진 물질에 대해서 성능을 증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궁극적으로는 보다 큰 공정 사이클 탄력을 가능하게 하여 주어진 흡착제 및 입자 직경에 대해서 보다 작은 베드, 보다 적은 압력 강하, 및 보다 짧은 사이클을 가능하게 하고, 궁극적으로는 자본 및 전력이 보다 적게 요구되게 한다.
보다 빠른 상대적인 흡착율을 달성시키는 고유의 흡착율과 입자크기 효과의 비교
상대적인 흡착율 "RR" 1.8mm로 고정된 입자 직경에 대한 SCRR 0.64로 고정된 SCRR에 대한 어건 직경(mm)
0.2 0.64 1.8
0.31 0.8 1.61
0.48 1 1.44
0.69 1.2 1.32
0.94 1.4 1.22
1.23 1.6 1.14
주: 컬럼 2 및 3에서, 첫 번째 열의 값은 실험 데이터로부터 직접적으로 유도된다. 이어지는 열에서의 값은 방정식(3)을 이용함으로써 계산된다.
어건 방정식으로부터 계산된 압력 강하에 대한 입자 크기의 효과
어건 직경(mm) 압력 강하(mbar)
1.8 87
1.61 101
1.44 119
1.32 136
1.22 152
1.14 1.68
주: 압력 강하에 대한 어건 방정식은 하기 방정식이다.
△p/L = A + B
상기 식에서,
A = [150*μ*ν/(d입자)2]*[(1-φ23]
B = [1.75*ρ*ν2/d입자]*[(1-φ/φ3]
계산에서의 상수:
L = 베드 길이 -100cm
μ = 300K에서의 점도 = 1.846 x 10-4푸아즈
ν = 전선 속도 - 50cm/sec
φ = 베드 공극 분율 = 0.37
ρ = 300K 및 1.5atm에서의 가스 밀도 = 1.766x10-3g/cm3
독립 가변값
d입자= 입자 직경(cm)
종속 가변값:
△p = 압력 강하 (g/cm-sec2)
압력강하(mbar) = △p/1000
방정식 참조:
F.A.L. Dullien
"Porous Media -- Fluid Transport and Pore Structure
Academic Press, New York (1979)
공기 분리 공정을 위한 우수한 성능 흡착제를 확인하거나, 선택하거나, 얻는 방법은 고유의 흡착율과 특정의 흡착 물질의 평형 특성 사이의 상호관계를 특정의 물질의 사용에 의해서 얻어지는 베드 크기 인자(BSF)와 생성물 수율과 같은 공정 특성과 상호 관련시킴을 포함한다. 본 기술 분야의 전문가라면 이러한 공정 특성이 PSA (O2) 실험 플랜트에 대한 실질적인 실험을 통하거나 모형화를 통해서 측정될 수 있다는 것이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서, 데이터는 실험 플랜트로부터의 성능 측정치를 통해서 상호 관련되고 있다. 사용된 실험 플랜트는 흡착 비드(8 x 12 메시)가 충전되고 전형적으로는 높이가 66인치에 이르는 두 개의 실린더형 베드(직경이 각각 3인치)를 포함한다. 흡착제는 활성화된 상태로 사용되며, 건조 N2하에 처리되어 그 상태로 보존된다. 플랜트는 150kPa의 탑 압력과 35kPa의 바닥 압력을 이용함으로써 주위 온도에서 작동하여 90% O2순도로 생성물을 생성시킨다. 장치의 일정한 상태의 작동은 단열 상태 보다는 등온 상태에 더 가깝고, 선형 유속은 1.3 노르말 ft3/s-ft2였다.
측정된 데이터로부터, 두 가지의 분리 효능 측정치가 90% O2의 생성물 순도에 대해서 계산된다: (1) 공급 공기의 백분율로서 O2회수율, 및 (2)사이클 작동 조건에 대해서 1톤/일의 속도로 생성물을 생성시키는 흡착제 중량 (1b)로서 정의되는 BSF.
제올라이트 기재 흡착제의 24 로트(lot)에 대한 SCRR 및 NML FoM 데이터를 도 2에 나타낸다. 모든 로트는 미국 일리노이 소재의 UOP 오브 데스 플레인스(UOP of Des Plaines)로부터 얻어진다. 유사한 화학적 조성의 샘플에 대한 데이터는 FoM에 따른 유사한 평형 특성을 지니는 그룹에 속한다. 최저값은 NaX(2.3)(개방 삼각형)(12% 아타겔 결합제: attagel binder)에 대한 것이다. 나머지 샘플은 상이한 SiO2/Al2O3비율: 원 X(2.5), 삼각형 X(2.3), 및 사각형 X(2.0)을 지닌 LiX(12% 아타겔 결합제)이다. FoM 값에 관한 순서는 예측 불가능한 것이 아니다. 0.55 내지 0.75 범위에서의 SCRR 값에서, 평형 특성이 개선됨에 따라서(예, FoM 증가), 실험 성능이 증진된다.
그러나, 흡착율 특성(SCRR)과 관련된 이들 그룹내의 서열화는 유사한 평형 특성(예, 매우 인접된 FoM 값)을 지닌 샘플이 제조에서의 변수에 기인된 두 가지의 인자에 의해서 SCRR값과 실질적으로 다를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이들 흡착제의 개선된 시스템(실험) 성능은 증가하는 SCRR과 관련이 있다. 이러한 사항은 흡착 물질의 고유의 흡착율 및 평형 특성이 PSA 공정 성능을 개선시키기 위해서 고려되는 중요한 파라메터라는 본 발명의 기본을 형성하는 전제조건을 지지한다.
도 3은 도 2로부터 선택된 일곱 개의 최상 성능 샘플에 대한 SCRR과 FoM값을 나타난다. 이러한 일곱 개의 샘플에 있어서, 0.893 ±0.019와 동일한 표정된 O2회수율 및 1.211 ±0.074와 동일한 표정된 베드 크기 인자의 평균값은 실험 플랜트 성능 데이터로부터 측정된다. 나머지 샘플에 있어서, 표정된 양의 상응하는 평균은 회수율이 0.840 ±0.060이고 베드 크기 인자가 1.303 ±0.173이었다.
도 3의 두 부분에서의 데이터는 흡착율과 평형 특성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다음 방정식의 곡선을 정의하는데 이용된다:
(방정식 8)
(SCRR-d)*FoM = c
도 3에서 두쌍의 점은 다음 방정식을 정의하는데 이용된다:
(SCRR1-d)*FoM1= c, 및 (SCRR2-d)*FoM2= c
"d" 및 "c"의 값에 대해서는 동시에 계산하였다. 값 d=0.22는 모든 데이터에서 보유되는 반면, "c"의 값은 이하 기재된 바와 같이 성능에서 차이를 나타낸다.
관계가 선형이 아니라는 것을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다. 예를 들어, 도 3에서의 곡선으로부터, FoM=3 및 SCRR=1.0인 물질이 FoM=5 및 SCRR=0.7인 물질과 동일하게 예측된 공정 플랜트 성능을 지닐 것이다. 따라서, 흡착율과 평형은 이러한 일정한 성능 곡선에 따라서 서로 교환될 수 있다.
고유의 흡착율과 평형 사이의 이러한 비-선형 관계는 종래의 기술에서는 어느 곳에서도 교시되거나 제시된 바 없다.
도 3은 7 가지의 최상 성능 물질과 함께 c=2.29에 대한 곡선을 나타낸다. 상수 "c"는 특정의 흡착물질에 의해서 실질적으로 얻어진 실험 플랜트 성능의 측정치이다.
본 발명은 유사한 조성의 물질이 특정 물질의 고유 흡착율에 기인되어 상당히 상이한 성능을 지닐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다. 물질 특성과 실험 플랜트 성능 사이의 관계는 상수 "c", 즉, SCRR 및 FoM의 측정치에 대한 베드 크기 인자 및 O2회수율의 의존성을 시험함으로써 명백하게 입증될 수 있다. 예를 들어,에 대한 표정된 O2회수율의 의존성이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SCRR*FoM]의 값이 증가하면서 표정된 O2회수율이 증가하는 것이 명백하게 나타나고 있다. 표정된 베드 크기 인자(역 생산성)의 의존성이에 대해서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도면은 [SCRR*FoM]의 값이 증가하면서 표정된 베드 크기 인자가 명백하게 증가함을 나타내고 있다. 이들 도면에서 나타난 특징은 방정식 (8)에서 및 도 6에서의 관계를 확고하게 지지하고 있다.
도면에서 그래프로 입증된 관계에 대한 상세한 사항은 특정의 PSA 플랜트 조건(예, 베드 크기 및 형태, 사이클 단계 및 시간, 및 가스 흐름 뿐만 아니라 온도, 탑 및 바닥 압력 및 공급물 조성)에 좌우된다. 본 발명에서 관찰되는 일반적인 경향은 유지되지만, 수치적인 값은 변할 것이다.
도 2 및 방정식(8)에 의해서 제시된 곡선들은 실험 성능 및 대규모 실시 사이의 관계를 이용함으로써 PSA(O2)에 대한 실험적 성능으로부터 상대적인 생성물 생산비로 전환될 수 있다. 대규모 성능 대 물질 특성의 관계는 사이클 조건의 상세한 사항에 의존하지 않는다.
도 6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보다 작은 평형 특성(예, 보다 작은 NML FoM), 그러나 높은 SCRR을 지니는 물질은 보다 큰 평형 특성(예, 보다 큰 NML FoM), 그러나 낮은 SCRR을 지니는 물질과 동일한 성능을 나타낼 수 있다.
도 6에서, 곡선에 대한 방정식은 "c"의 값만이 다르다. 상기된 바와 같이, 각각의 "c"의 값을 지닌 각각의 곡선은 일정한 전체 성능을 나타낸다. "c"가 증가함에 따라서, 전체 생성물 생산비가 적어도 증가된 회수율 및/또는 감소된 BSF에 기인되어 감소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에 있어서, >2.5의 값을 지니는 물질이 바람직하며; >5의 값을 지닌 물질이 더욱 바람직하고; >8의 값이 더욱 더 바람직하고; >10의 값이 더욱 더 바람직하며; >11의 값이 가장 바람직하다.
도 6에 대한 데이터는 다음과 같다:
SCRR FoM C
NaX(2.3) .596 .88 .311
LiX(2.5) .447 2.28 .52
샘플 1: LiX(2.3) 1.06 2.96 2.47
샘플 2: LiX(2.3) .82 2.68 1.61
샘플 3: LiX(2.0) .642 5.43 2.29
샘플 4: LiX(2.0) 1.16 5.54 5.2
샘플 5: LiX(2.0) 1.17 4.55 4.3
샘플 6: LiX(2.0) 2.37 5.57 11.8
NaX, 및 LiX(2.5) 및 샘플 1-5는 모두 12% 아타겔 결합제를 함유한다.
도 6에 도시된 NML FoM, SCRR, 및 성능 사이의 관계는 실험적 시험에 사용된 흡착제 베드에 직접적으로 적용된다. 이러한 관계는 베드 깊이, 흡착제 입자 크기 및 가스 유출 속도에 영향을 받는다. 시험에 있어서, 베드 깊이는 66 인치였으며, 어건 입자 직경은 평균 약 1.9mm였다. 유출 속도는 1.3 노르말 ft3/s-ft2였다. 이러한 경우는 기본 경우이다. 또 다른 조건에 있어서, SCRR 값은 다음 방정식으로 주어진다:
(방정식 9)
SCRRA= SCRRB*(66/ZA)*(DPA/1.9)2*(μA/1.3)
상기 식에서,
SCRRA는 또 다른 경우에 대한 고유의 흡착율이며,
SCRRB는 기본 경우에 대한 고유의 흡착율이고,
ZA는 또 다른 경우에 대한 베드 깊이(인치)이며,
μA는 노르말 ft3/s-ft2에서의 유출 속도이고,
DpA는 또 다른 경우에 대한 어건 직경(mm)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주어진 NML FoM에서 동일한 성능을 달성시키기 위한 또 다른 경우에, 도 6으로부터의 SCRRB의 값을 이용함으로써 방정식(9)로부터 계산된 SCRRA의 값을 이용해야 한다. 본 기술 분야의 전문가라면 또한 압력 강하의 효과를 고려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정의된 하기 방정식의 흡착율과 평형 특성 사이의 관계로부터 명백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흡착제는 몇 가지 방법으로 증진될 수 있다:
(SCRR-0.22)*FoM = c
바람직한 방법은 흡착제(즉, 제올라이트 또는 제올라이트 유사 결정)을 변화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성분은 흡착을 조절하기 때문에, NML FoM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인자: (1) △N2부하, (2) 공급물에 대한 αT, (3) 재생을 위한 비율 [αTB]을 증가시킴으로써 평형 특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개선된 고유의 흡착율은 이하 기재된 특이적 제형 및/또는 흡착제의 처리를 조작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어떠한 이론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이러한 제조 방법은 흡착제 물질의 결정간 가스 수송 세공의 전체 용적, 세공 크기 분포, 세공 길이 및 비틀림을 포함한 상기 세공의 변화를 포함할 것이다.
이러한 제형 및/또는 공정의 예는 결합제 함량 및 타입의 변화, 결합제의 가성 분해, 및 소정의 치수, 농도 및 조성을 지닌 섬유의 함유 및 이어지는 연소를 포함한다.
흡착제는 이러한 방법을 적용하여 생성되는 SCRR이 상기 파라메터에 따라서 생성되지 않는 것들 보다 현저하게 크게함으로써 생성된다. 또한, 이러한 증가는 바람직한 통상의 흡착제 범위내의 다공성을 유지시키면서 달성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된 과정 및 제형, 특히 가성 분해는 SCRR을 증가시키면서 다공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의 경우에 대한 특정의 파라메터는 공동 출원되고 공통 양도된 특허원 D-20,658(Chao)에 개시되어 있으며, 이들 내용은 본 발명에서 참조로 인용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에서 사용되는 물질은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닌 이하의 실시예에 따라서 제조된 95% 교환된 LiX(2.0) 제올라이트이다. 이러한 물질은 도 6의 샘플 6으로서 확인되고 있다.
실시예
결합된 생성물을 제조하기 위해서, 2640g(건조 중량)의 건조 및 스크리닝된 NaKX(2.0) 및 360g(건조 중량)의 카올린 점토를 심슨 믹스-뮬러(Simpson Mix-Muller)에서 함께 혼합하였다. 물을 15분 동안 10ml/분으로 펌핑하고, 이어서 40분 동안 4ml/분으로 펌핑하였다. 혼합물을 다시 20분 동안 분쇄하고, 나타 믹서(Nauta mixer: Hosokawa Micron DBY-10R)로 옮겨서 가루반죽을 비드로 전환시켰다. 하소시키기 전에, 비드를 공기 중에서 밤새 건조시켰다. 건조한 공기로 세정하면서, 비드를 오븐에서 얇은 베드 형태로 하소시켰다. 온도를 2시간 후에 600℃까지 올리고, 2시간 동안 600℃에서 유지시켰다. 하소된 비드를 이어서 냉각시키고 체에 통과시켰다.
가성 분해된 물질의 경우에, 1861.8g의 6x16메시 NaKX(2.0) 비드를 다음 방법으로 제조된 분해 용액으로 처리하였다. 첫째로, 360g의 NaOH와 251.1g의 KOH를 7386g의 물에 용해시켰다. 두 번째로, 320ml의 "희생" 비분해된 비드를 용액에 가하고, 이어서 90℃에서 2시간 동안 교반시키면서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가라앉힌 후에, 6397.7g의 상등액을 회수하였다. 셋째로, 이러한 액체에 1477.2ml 물, 72.0g NaOH, 및 50.2g KOH를 첨가하여 버려진 가소제를 보충하였다. 비분해된 비드를 두 개의 스테인리스강 컬럼(직경 3인치)내로 부하시켰다. 분해 용액을 26 시간 동안 88℃에서 30ml/분으로 컬럼을 통해서 공통의 용기로부터 펌핑하였다. 각각의 컬럼에서의 비드를 이어서 88℃에서, 먼저 40ℓ의 NaOH 용액(pH=12)로 세척하고, 이어서 30ℓ의 NaOH 용액(pH=8.5)로 세척하고, 마지막으로 분해된 생성물을 공기 건조하여 스크리닝하였다.
Li 이온 교환된 생성물을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694.5g(건조 중량)의 8x12메시 NaKX(2.0) 가성 분해된 비드를 가열된 유리 컬럼(직경 3 인치)에 충전시켰다. 이온 교환 용액을 90℃로 예열하고, 탈기시켜서, 약 24시간 동안 15ml/분으로 바닥으로부터 컬럼을 통해서 순환시켰다. 교환 용액은 2162g LiCl을 80ℓ의 증류수에 용해시키고, 이어서 LiOH 용액을 가함으로써 pH를 9로 조절함에 의해서 제조하였다. 전형적으로는, Li의 화학양론적 양의 10 내지 12배를 사용하였다. 교환 후에, 비드를 pH=9(LiOH로 조절됨)인 30ℓ의 예열된 증류수를 60ml/분으로 펌핑함으로써 세척하였다. 세척된 생성물을 이어서 공기 건조시켰다.
가성 분해된 LiX(2.0) 비드의 샘플을 오일 확산 펌프 및 액체 질소 트랩이 장착된 진공 시스템에서 활성화시켰다. 샘플을 10시간 이내에 약 450℃까지 가열하고 약 6시간 동안 450℃로 유지시켰다. 활성화된 샘플을 상기된 흡착율 측정 장치에서 시험하였다. 물질은 하기 특성을 지녔다.
평균 비드 직경: 2.001mm
벌크 밀도: 0.560g/cm3
상대적인 흡착율: 0.327mmol/g-s
SCRR: 2.371 mmol-mm2/g-s
NML FoM (300K): 5.57mmol/g
흡착제 물질에 대한 평형 및 흡착율 특성 사이에 관계가 있다는 사실에 관하여 종래의 기술에서는 어떠한 공지 문헌이 없다는 것이 주지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주된 흡착 영역, 예를 들어, 다양한 타입 또는 동일한 타입의 흡착제의 층 및 혼합물로, 그러나 흡착 및 물리적인 특성을 변화시키면서 흡착제의 다양한 전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또한 주지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증진된 흡착율은 노타로(Notaro)등의 미국특허 제5,674,311호 및 와트슨(Watson)등의 미국특허 제5,529,610호 뿐만 아니라 액클리(Ackley)의 공동 계류중인 특허원 SN 08/837,411호에 의해서 제안된 층화된 베드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종래 기술에서의 상당한 진보를 나타낸다. 종래의 기술은 부하(전체 N2용량), △N2부하(작업 용량), 및 흡착 선택성과 같은 평형 특성에 주로 중점을 두고 있지만, 본 발명은 흡착율, 및 평형특성과의 이의 관계를 고려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모든 내용은 일반적으로 전범위의 공정 조건, 예를 들어, 온도, 압력, 압력 비율, 공급 속도 등에 적용된다. 최대 공정 성능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모든 내용을 적용하기 전에 목적하는 공정 조건에서의 흡착제의 흡착율 특성을 평가하는 것이 필요하다. 유사하게, 본 발명의 내용은 서브대기(subatmospheric: VSA) 사이클, 트랜스대기(VPSA) 사이클 또는 수퍼대기(PSA) 사이클로 작동하는 다중-베드 공정 뿐만 아니라 단일-베드 공정에 적용될 수 있다. 본원에 기재된 증진된 흡착율 개념은 어떠한 특정의 흡착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축상 흐름, 방사상 흐름, 측면 흐름 등의 흡착제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흡착제는 흡착제 용기내에 담겨지거나 담겨지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이적 특징이 단지 편리를 위해서 하나 이상의 도면으로 도시되고 있는 것이며, 이러한 특징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특징과 조합될 수 있다. 본 기술 분야의 전문가라면 또 다른 구체예가 인지될 수 있을 것이며 그러한 구체가 청구범위 내에 포함된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7)

  1. 질소를 포함하는 공급 가스로부터 질소를 분리하는 방법으로서, 공급 가스를 흡착 영역에서 질소에 평형 선택적인 흡착제와 접촉시키고 질소를 흡착제상에 흡착시킴을 포함하며, 흡착제 영역이 A-제올라이트, Y-제올라이트, NaX, 혼합된 양이온 X-제올라이트, 챠바자이트(chabazite), 모르데나이트(mordenite), 클리노프틸롤라이트(clinoptilolite), 실리카-알루미나, 알루미나, 실리카, 티탄 실리케이트, 인산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평형 선택적 흡착물질을 포함하고, 흡착제가 하기 쌍곡선 부등식으로 정의된 특성을 지님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SCRR - 0.22) * NML FoM ≥ 2.5
    상기 식에서,
    SCRR = RR * (d입자)2,
    RR = △N2(YF, YO)/(t2-t1),
    △N2(YF, YO) = 300K에서의 [p, YF에서의 N2부하] - [p, YO에서의 N2부하],
    YF, YO, Y2, 및 Y1은 가스상에서의 몰분율이고,
    t1및 t2는 농도 프런트에서의 Y1및 Y2에 상응하는 시간이며,
    d입자는 흡착제 입자의 어건 직경이고,
    NML FoM =300K에서 측정된 [△N2(T,B)]*[αT(N2/O2)]2/[αB(N2/O2)],
    △N2(T,B)=[pT, XT에서의 N2부하] - [pB, XB에서의 N2부하],
    αT(N2/O2) = [XT(N2)/XT(O2)] / [YT(N2)/YT(O2)],
    αB(N2/O2) = [XB(N2)/XB(O2)] / [YB(N2)/YB(O2)],
    하첨자 T는 가장 높은 흡착 압력이고,
    하첨자 B는 가장 낮은 흡착 압력이며,
    XT및 XB는 하첨자로 표시된 압력에서 흡착된 상으로의 표시된 분자의 몰 분율이며,
    YT및 YB는 하첨자로 표시된 압력에서 가스상으로의 표시된 분자의 몰 분율이다.
  2. 제 1항에 있어서, NML FoM이 다음 파라메터: △N2부하, 공급물에 대한 αT및 재생을 위한 비율 [αTB]중의 하나 이상의 파라메터를 증가시킴으로써 증가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흡착제가 Li+와 알칼리금속 또는 알칼리토금속 또는 이들 둘 모두와의 혼합물을 지니는 X 제올라이트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흡착제가 5.0 이하의 SiO2/Al2O3비율을 지님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흡착제가 2.5 이하의 SiO2/Al2O3비율을 지님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흡착 영역이 공급 공기의 흐름에 방사상으로, 축상으로, 또는 측면으로 배향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흡착 영역이 둘 이상의 흡착물질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둘 이상의 흡착물질이 분리된 층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둘 이상의 흡착물질이 단일층 또는 하나 이상의 층으로 혼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질소 함유 가스로부터 질소를 분리하는데 사용되는 흡착제를 선택하는 방법으로서, A-제올라이트, Y-제올라이트, NaX, 혼합된 양이온 X-제올라이트, 챠바자이트, 모르데나이트, 클리노프틸롤라이트, 실리카-알루미나, 알루미나, 실리카, 티탄 실리케이트, 인산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흡착제를 선택함을 포함하고, 흡착제가 하기 부등식으로 정의된 특성을 지님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SCRR - 0.22) * NML FoM ≥ 2.5
    상기 식에서,
    SCRR = RR * [d입자]2,
    RR = △N2(YF, YO)/(t2-t1),
    △N2(YF, YO) = 300K에서의 [p, YF에서의 N2부하] - [p, YO에서의 N2부하],
    YF, YO, Y2, 및 Y1은 가스상에서의 몰분율이고,
    t1및 t2는 농도 전선에서의 Y1및 Y2에 상응하는 시간이며,
    d입자= 흡착제 입자의 어건 직경,
    NML FoM =300K에서 측정된 [△N2(T,B)]*[αT(N2/O2)]2/[αB(N2/O2)],
    △N2(T,B)=[pT, XT에서의 N2부하] - [pB, XB에서의 N2부하],
    αT(N2/O2) = [XT(N2)/XT(O2)] / [YT(N2)/YT(O2)],
    αB(N2/O2) = [XB(N2)/XB(O2)] / [YB(N2)/YB(O2)],
    T = 가장 높은 흡착 압력,
    B = 가장 낮은 흡착 압력,
    XT및 XB는 하첨자로 표시된 압력에서 흡착된 상으로의 표시된 분자의 몰 분율이며,
    YT및 YB는 하첨자로 표시된 압력에서 가스상으로의 표시된 분자의 몰 분율이다.
  11. 제 10항에 있어서, NML FoM이 다음 파라메터: △N2부하, 공급물에 대한 αT및 재생을 위한 비율 [αTB]중의 하나 이상의 파라메터를 증가시킴으로써 증가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 10항에 있어서, 흡착제가 Li+와 알칼리금속 또는 알칼리토금속 또는 이들 둘 모두와의 혼합물을 지니는 제올라이트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 10항에 있어서, 흡착제가 5.0 이하의 Si/Al 비율을 지님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 10항에 있어서, 흡착제가 2.5 이하의 Si/Al 비율을 지님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공기로부터 산소를 생산하는 방법으로서, 흡착 영역에서 공기를 질소에 평형 선택적인 흡착제와 접촉시키고 질소를 흡착제상에 흡착시킴을 포함하며, 흡착 영역은 고유의 흡착율이 흡착물질의 용량과 상호 관련되는 평형 선택적 흡착물질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a) 흡착제의 NML FoM 평형 특성을 측정하는 단계, b) 하기 방정식을 풀어서 SCRR의 최소값을 구하는 단계, c) 흡착물질의 합성법을 변화시켜 흡착물질의 형상을 흡착물질의 SCRR이 변화되고록 변화시킴으로써 SCRR의 최소값 이상의 SCRR을 지닌 흡착물질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소정의 흡착물질의 성능을 개선시키는 방법:
    (SCRR - 0.22) * NML FoM ≥ 2.5
    상기 식에서,
    SCRR = RR * (d입자)2,
    RR = △N2(YF, YO)/(t2-t1),
    NML FoM =300K에서 측정된 [△N2(T,B)]*[αT(N2/O2)]2/[αB(N2/O2)],
    △N2(T,B)=[pT, XT에서의 N2부하] - [pB, XB에서의 N2부하],
    αB(N2/O2) = [XB(N2)/XB(O2)] / [YB(N2)/YB(O2)],
    αT(N2/O2) = [XT(N2)/XT(O2)] / [YT(N2)/YT(O2)],
    YF, YO, Y2, 및 Y1은 가스상에서의 몰분율이고,
    t1및 t2는 농도 전선에서의 Y1및 Y2에 상응하는 시간이며,
    d입자= 흡착제 입자의 어건 직경,
    T = 가장 높은 흡착 압력,
    B = 가장 낮은 흡착 압력,
    XT및 XB는 하첨자로 표시된 압력에서 흡착된 상으로의 표시된 분자의 몰 분율이며,
    YT및 YB는 하첨자로 표시된 압력에서 가스상으로의 표시된 분자의 몰 분율이다.
  17. a) 흡착 베드;
    b) 흡착 베드에 산소를 공급하는 수단 및 산소 공급원;
    c) 흡착 베드에 산소를 공급하는 수단 및 N2및 O2를 함유하는 공기 또는 합성 공기 혼합물의 공급원;
    d) 흡착 베드의 하류에 있는 산소의 농도를 측정하는 산소 분석기; 및
    e) 흡착 베드의 하류에 있는 산소의 유속을 측정하는 유속 측정기를 포함하여, 흡착 가능한 물질이 흡착제에 흡착되는 비율을 측정하는 장치.
KR1020007009439A 1998-02-27 1999-02-26 흡착제 물질을 사용한 vpsa 방법 KR1005829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625798P 1998-02-27 1998-02-27
US60/076,257 1998-02-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1327A true KR20010041327A (ko) 2001-05-15
KR100582914B1 KR100582914B1 (ko) 2006-05-24

Family

ID=22130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9439A KR100582914B1 (ko) 1998-02-27 1999-02-26 흡착제 물질을 사용한 vpsa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6444014B1 (ko)
EP (1) EP1059998A1 (ko)
JP (1) JP2002504419A (ko)
KR (1) KR100582914B1 (ko)
CN (1) CN1168522C (ko)
AU (1) AU2796499A (ko)
BR (1) BR9908291A (ko)
CA (1) CA2321552A1 (ko)
IN (1) IN192147B (ko)
WO (1) WO199904341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22085B1 (fr) 2001-03-16 2003-05-09 Air Liquide Adsorbant a transfert de matiere ameliore pour procede vsa ou psa
US6605136B1 (en) * 2002-07-10 2003-08-12 Air Products And Chemicals, Inc. Pressure swing adsorption process operation and optimization
JP4644517B2 (ja) 2005-04-19 2011-03-02 伸和コントロールズ株式会社 4ポート自動切換えバルブ
US7717985B2 (en) * 2006-07-26 2010-05-18 Donaldson Company Sorption systems with naturally occurring zeolite, and methods
CN101678314B (zh) * 2007-03-08 2013-10-16 普莱克斯技术有限公司 高速率和高抗碎强度吸附剂
US8906138B2 (en) 2007-11-12 2014-12-09 Exxonmobil Upstream Research Company Methods of generating and utilizing utility gas
EA022697B1 (ru) 2008-04-30 2016-02-29 Эксонмобил Апстрим Рисерч Компани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избирательного удаления масла из потока газа, содержащего метан
AU2011258795B2 (en) 2010-05-28 2014-06-26 Exxonmobil Upstream Research Company Integrated adsorber head and valve design and swing adsorption methods related thereto
TWI495501B (zh) 2010-11-15 2015-08-11 Exxonmobil Upstream Res Co 動力分餾器及用於氣體混合物之分餾的循環法
AU2012223486A1 (en) 2011-03-01 2013-08-15 Exxonmobil Upstream Research Company Apparatus and systems having a rotary valve assembly and swing adsorption processes related thereto
WO2012118755A1 (en) 2011-03-01 2012-09-07 Exxonmobil Upstream Research Company Apparatus and systems having an encased adsorbent contractor and swing adsorption processes related thereto
US9017457B2 (en) 2011-03-01 2015-04-28 Exxonmobil Upstream Research Company Apparatus and systems having a reciprocating valve head assembly and swing adsorption processes related thereto
EP2680947A4 (en) 2011-03-01 2015-04-29 Exxonmobil Upstream Res Co APPARATUS AND SYSTEMS HAVING MULTI-MODULATED ADSORPTION BEDS WITH COMPACT CONFIGURATION AND RELATED METHODS
CA2842928A1 (en) 2011-03-01 2012-11-29 Exxonmobil Upstream Research Company Apparatus and systems having a rotary valve assembly and swing adsorption processes related thereto
EP2680954B1 (en) 2011-03-01 2018-09-12 Exxonmobil Upstream Research Company Methods of removing contaminants from a hydrocarbon stream by pressure swing adsorption and related apparatus and systems
EA201501140A1 (ru) 2011-03-01 2016-04-29 Эксонмобил Апстрим Рисерч Компани Способы удаления загрязняющих примесей из потока углеводородов в циклическом адсорбционном процессе и связанные с этим устройства и системы
US9034078B2 (en) 2012-09-05 2015-05-19 Exxonmobil Upstream Research Company Apparatus and systems having an adsorbent contactor and swing adsorption processes related thereto
US9675925B2 (en) 2014-07-25 2017-06-13 Exxonmobil Upstream Research Company Apparatus and system having a valve assembly and swing adsorption processes related thereto
EP3218326B1 (en) 2014-11-11 2020-03-04 ExxonMobil Upstream Research Company High capacity structures and monoliths via paste imprinting
CA2970286C (en) 2014-12-10 2019-08-13 Exxonmobil Research And Engineering Company Adsorbent-incorporated polymer fibers in packed bed and fabric contactors, and methods and devices using same
CN107635644A (zh) 2014-12-23 2018-01-26 埃克森美孚上游研究公司 结构化吸附床,其生产方法及其用途
AU2016265110B2 (en) 2015-05-15 2019-01-24 Exxonmobil Upstream Research Company Apparatus and system for swing adsorption processes related thereto
WO2016186725A1 (en) 2015-05-15 2016-11-24 Exxonmobil Upstream Research Company Apparatus and system for swing adsorption processes related thereto comprising mid-bed purge systems
US10080991B2 (en) 2015-09-02 2018-09-25 Exxonmobil Upstream Research Company Apparatus and system for swing adsorption processes related thereto
US10220345B2 (en) 2015-09-02 2019-03-05 Exxonmobil Upstream Research Company Apparatus and system for swing adsorption processes related thereto
CA3002648A1 (en) 2015-10-27 2017-05-04 Exxonmobil Upstream Research Company Apparatus and system for swing adsorption processes related thereto having a plurality of valves
JP6615373B2 (ja) 2015-10-27 2019-12-04 エクソンモービル アップストリーム リサーチ カンパニー 能動制御型供給ポペット弁及び受動制御型生成物弁を有するスイング吸着プロセス用の装置及びシステム
AU2016344415B2 (en) 2015-10-27 2019-08-22 Exxonmobil Upstream Research Company Apparatus and system for swing adsorption processes related thereto having a plurality of valves
KR20180083911A (ko) 2015-11-16 2018-07-23 엑손모빌 업스트림 리서치 캄파니 흡착재 및 이산화탄소의 흡착 방법
CA3017612C (en) 2016-03-18 2021-06-22 Exxonmobil Upstream Research Company Apparatus and system for swing adsorption processes related thereto
RU2702545C1 (ru) 2016-05-31 2019-10-08 Эксонмобил Апстрим Рисерч Компани Устройство и система для осуществления процессов циклической адсорбции
AU2017274289B2 (en) 2016-05-31 2020-02-27 Exxonmobil Upstream Research Company Apparatus and system for swing adsorption processes
US10434458B2 (en) 2016-08-31 2019-10-08 Exxonmobil Upstream Research Company Apparatus and system for swing adsorption processes related thereto
CN109922872A (zh) 2016-09-01 2019-06-21 埃克森美孚上游研究公司 使用3a沸石结构移除水的变化吸附处理
US10328382B2 (en) 2016-09-29 2019-06-25 Exxonmobil Upstream Research Company Apparatus and system for testing swing adsorption processes
CA3045034C (en) 2016-12-21 2021-06-29 Exxonmobil Upstream Research Company Self-supporting structures having active materials
CA3045040C (en) 2016-12-21 2022-04-26 Exxonmobil Upstream Research Company Self-supporting structures having foam-geometry structure and active materials
US11331620B2 (en) 2018-01-24 2022-05-17 Exxonmobil Upstream Research Company Apparatus and system for swing adsorption processes
EP3758828A1 (en) 2018-02-28 2021-01-06 ExxonMobil Upstream Research Company Apparatus and system for swing adsorption processes
US11318410B2 (en) 2018-12-21 2022-05-03 Exxonmobil Upstream Research Company Flow modulation systems, apparatus, and methods for cyclical swing adsorption
US11376545B2 (en) 2019-04-30 2022-07-05 Exxonmobil Upstream Research Company Rapid cycle adsorbent bed
US11655910B2 (en) 2019-10-07 2023-05-23 ExxonMobil Technology and Engineering Company Adsorption processes and systems utilizing step lift control of hydraulically actuated poppet valves
EP4045173A1 (en) 2019-10-16 2022-08-24 Exxonmobil Upstream Research Company (EMHC-N1-4A-607) Dehydration processes utilizing cationic zeolite rho
CN116407923A (zh) * 2021-12-31 2023-07-11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快周期变压吸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59217A (en) * 1987-06-30 1989-08-22 Uop Process for separating nitrogen from mixtures thereof with less polar substances
DE69124276T2 (de) 1990-03-29 1997-05-07 Boc Group Inc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mit Sauerstoff angereicherten Produktstroms
US5074892A (en) 1990-05-30 1991-12-24 Union Carbide Industrial Gases Technology Corporation Air separation pressure swing adsorption process
FR2667800B1 (fr) 1990-10-11 1992-12-04 Air Liquide Procede de separation par adsorption, et adsorbeur.
US5071449A (en) 1990-11-19 1991-12-10 Air Products And Chemicals, Inc. Gas separation by rapid pressure swing adsorption
US5258060A (en) * 1992-09-23 1993-11-02 Air Products And Chemicals, Inc. Adsorptive separation using diluted adsorptive phase
US5266102A (en) 1992-09-23 1993-11-30 Air Products And Chemicals, Inc. O2 VSA process with low O2 capacity adsorbents
US5529610A (en) 1993-09-07 1996-06-25 Air Products And Chemicals, Inc. Multiple zeolite adsorbent layers in oxygen separation
FR2737975B1 (fr) * 1995-08-21 1997-10-03 Air Liquide Appareil de separation de gaz par adsorption
US5674311A (en) 1995-10-20 1997-10-07 Praxair Technology, Inc. Adsorption process and system using multilayer adsorbent beds
US5711787A (en) 1995-11-22 1998-01-27 Praxair Technology, Inc. Oxygen recovery pressure swing adsorption process
FR2743507B1 (fr) 1996-01-16 1998-03-06 Air Liquide Procede pour la separation de melanges d'oxygene et d'azote utilisant un adsorbant a porosite amelioree
US5868818A (en) * 1996-08-08 1999-02-09 Tosoh Corporation Adsorbent for air separation, production method thereof, and air-separation method using it
US5769928A (en) 1996-12-12 1998-06-23 Praxair Technology, Inc. PSA gas purifier and purification process
FR2767717B1 (fr) * 1997-08-28 1999-10-01 Air Liquide Granulometrie et epaisseur de lit d'une unite ps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796499A (en) 1999-09-15
US6444014B1 (en) 2002-09-03
IN192147B (ko) 2004-02-28
CN1168522C (zh) 2004-09-29
CN1291908A (zh) 2001-04-18
KR100582914B1 (ko) 2006-05-24
BR9908291A (pt) 2000-10-31
JP2002504419A (ja) 2002-02-12
CA2321552A1 (en) 1999-09-02
EP1059998A1 (en) 2000-12-20
WO1999043417A1 (en) 1999-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41327A (ko) 흡착물질을 사용한 vpsa 방법
KR100596903B1 (ko) 비율 증가된 기체 분리
US6500234B1 (en) Rate-enhanced gas separation
US6284021B1 (en) Composite adsorbent beads for adsorption process
CA2106351C (en) Adsorptive separation using diluted adsorptive phase
CN1306988C (zh) 变压吸附方法的运行和优化
CA2432419C (en) Enhanced rate psa process
KR19980081442A (ko) 압력 스윙 흡착 공정을 이용한 가스 분리에 사용되는 다중층흡착제 베드
US6824590B2 (en) Use of lithium-containing fau in air separation processes including water and/or carbon dioxide removal
Sircar et al. Fractionation of air by zeolites
EP3752283B1 (en) Superior core-in-shell component composite adsorbents for vsa/vpsa/psa systems
KR20190093212A (ko) Psa 사전정제기에 사용하기 위한 코어-인-쉘 복합 흡착제
KR20140064836A (ko) 가스 분리 방법 및 그 방법에서 사용되는 흡착제 조성물
CA2360717C (en) Use of lithium-containing fau in air separation processes including water and/or carbon dioxide removal
Lemcoff Nitrogen separation from air by pressure swing adsorption
Budner et al. Study and modelling of the vacuum swing adsorption (VSA) process employed in the production of oxygen
US20180126320A1 (en) Process for producing an adsorption unit and adsorption unit
CN111886066A (zh) 气体流的除碳方法
MXPA00008379A (en) Vpsa process using improved adsorbent materials
Dabrowski Nitrogen separation from air by pressure swing adsorption
MXPA00008380A (en) Rate-enhanced gas separ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