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40916A - 폴리케톤 섬유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폴리케톤 섬유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40916A
KR20010040916A KR1020007008824A KR20007008824A KR20010040916A KR 20010040916 A KR20010040916 A KR 20010040916A KR 1020007008824 A KR1020007008824 A KR 1020007008824A KR 20007008824 A KR20007008824 A KR 20007008824A KR 20010040916 A KR20010040916 A KR 200100409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mer
temperature
spinning
heated
equ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88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델얀스헨드리크
보이린크야네스
위인요하네스안토니
Original Assignee
스무크 제이.
아코르디스 인두스트리알 피베르스 베.파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무크 제이., 아코르디스 인두스트리알 피베르스 베.파우. filed Critical 스무크 제이.
Publication of KR200100409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0916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28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co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1F6/3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co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rising olefins as the major constituent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8Melt spinning metho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Using Thermal Means (AREA)
  • Polyethers (AREA)
  • Spinning Methods And Devices For Manufacturing Artificial Fi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합체가 TNF+ 5℃ 이상(여기서, TNF는 용융된 중합체가 결정 핵을 함유하지 않는 온도이며, 이 온도는 시차주사열량계로 측정할 수 있다)으로 가열되며, 중합체의 융점보다 높은 하나의 온도 또는 서로 상이한 여러 온도에서의 중합체의 체류시간이 다음 수학식 1을 만족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알켄과 일산화탄소로 구성된 교호 공중합체를 용융방사하여 열가소성 섬유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수학식 1
위의 수학식 1에서,
tn은 온도 Tn(K, Tn> Tm)에서 중합체의 체류시간(min)이고,
A 및 B는 여러 온도에서 중합체의 점도와 체류시간을 측정함으로써 결정한다.

Description

폴리케톤 섬유의 제조방법{Process for preparing polyketone fibres}
본 발명은 알켄과 일산화탄소로 구성된 교호 공중합체를 용융방사함으로써 열가소성 섬유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방법은 유럽 특허원 제310 171호에 공지되어 있다. 이 특허원에는 중합체를 Tm+ 20℃ 이상의 온도(여기서, Tm은 중합체의 결정 용융 온도이다)에서 방사하는 방법으로 용융방사된 섬유를 제조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이와 같이 공지된 방법을 보다 대규모의 섬유 제조에 사용한다면, 부분적으로는 중합체의 열분해(중합체의 열분해는 중합체가 이의 융점 이상의 온도로 가열되는 경우 발생한다)에 기인할 수 있는 다수의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는 필라멘트화의 위험, 중합체의 탈색, 형성된 섬유 특성의 넓은 편차 또는 형성된 섬유의 기계적 특성의 취화를 수반하는 불안정한 방사 성능에 비추어 볼 때 명백하다. 이는 섬유가 대규모로 제조되는 경우, 즉 목적 생성물이 단위 시간당 대량 생산되는 연속식 공정에서 크게 문제시된다.
놀랍게도, 이러한 문제는 중합체가 TNF+ 5℃ 이상, 바람직하게는 TNF+ 10℃ 이상(여기서, TNF는 용융된 중합체가 더 이상 결정 핵을 함유하지 않는 온도이며, 이 온도는 시차주사열량계로 측정할 수 있다)으로 가열되며, 중합체의 융점보다 높은 하나의 온도 또는 서로 상이한 여러 온도에서의 중합체의 체류시간이 다음 수학식 1을 만족시키는 경우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위의 수학식 1에서,
tn은 온도 Tn(K, Tn> Tm)에서 중합체의 체류시간(min)이고,
A 및 B는 아래에 기술한 바와 같이 서로 상이한 여러 온도에서 중합체의 점도와 체류시간을 측정함으로써 결정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섬유"는 스테이플 섬유 뿐만 아니라 단섬유, 필라멘트 및 사(필라멘트의 집합체)를 지칭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알켄과 일산화탄소로 구성된 교호 공중합체"는 알켄과 일산화탄소 단위가 교호 배열로 중합된 중합체를 지칭한다. 이는, 중합체 쇄에서 각각의 일산화탄소 양옆에 결합되어 있는 알켄 단위가 2개이거나 각각의 알켄 단위 양옆에 결합되어 있는 일산화탄소 단위가 2개임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방법에서, 기술적으로 적용하기에 적합하도록 탁월한 특성을 갖는 섬유, 즉 강도와 모듈러스가 높은 섬유를 제조하는 데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알켄 단위의 80 내지 100%가 에틸렌으로 구성되는 중합체, 보다 바람직하게는 알켄 단위의 80 내지 100%가 에틸렌으로 구성되고 알켄 단위의 20% 내지 0%가 프로필렌으로 구성된 중합체가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중합체의 고유 점도는 0.3 내지 2.5dl/g, 보다 특정하게는 0.5 내지 1.90dl/g, 바람직하게는 0.8 내지 1.85dl/g의 범위이다.
중합체의 고유 점도, [η] 또는 LVN은 m-크레졸 중의 중합체의 극소 농도에서의 극한 점도값이며, 다음 수학식 2로 나타낼 수 있다.
위의 수학식 2에서,
t는 모세관으로부터 용액이 분출되는 시간이고,
t0은 동일한 모세관으로부터 용매가 분출되는 시간이고,
c는 25℃에서 m-크레졸 중의 중합체의 농도(g/dl)이다.
이러한 교호 공중합체는 널리 공지되어 있다. 이들 공중합체의 제조방법은 다음 문헌에 기재되어 있다: EP 121965, EP 222454, EP 224304, EP 227135, EP 228733, EP 229408, EP 235865, EP 235866, EP 239145, EP 245893, EP 246674, EP 246683, EP 248483, EP 253416, EP 254343, EP 257663, EP 259914, EP 262745, EP 263564, EP 264159, EP 272728 및 EP 277695.
중합체의 열분해에 대한 내성을 개선시키기 위해, 이러한 열분해를 방지하는 보조제를 중합체에 첨가할 수 있다. 이러한 보조제의 예는 무기산 결합 화합물(예: 칼슘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또는 알루미나), 중합체 안정화제(예: 입체 장애된 페놀, 카보디이미드, 에폭시 화합물, 및 포스파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방법에서, 중합체를 TNF+ 5℃ 이상의 온도로 가열한다. 중합체가 TNF로 가열되지 않으면 (액체) 중합체 속에 핵이 여전히 존재하여 중합체의 냉각시 매우 급속한 결정화가 유발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방사 공정에서 불규칙한 방사 양태를 유발하여 다음과 같은 현상을 일으킬 것이다:
- 한번에 방사되는 번들 속의 필라멘트들의 직경의 상이;
- 필라멘트의 길이 방향에서의 직경의 상이;
- 방사 동안의 필라멘트화.
방사 섬유 중의 이러한 표면의 불규칙성은 대부분의 적용에 있어 보다 부적합하게 되며, 일반적으로 말하자면 섬유 규칙성이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불규칙성은 중합체를 TNF+ 5℃ 이상의 온도로 가열하는 경우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바람직하게는, 중합체가 TNF+ 5℃ 이상의 온도에서 방사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중합체가 TNF+ 10℃ 이상의 온도에서 방사되는 데, 이는 중합체의 방사 성능이 보다 고온에서 추가로 개선되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중합체에 대해 방사 공정 동안 다수의 상이한 처리를 수행하며, 이러한 처리는 반드시 동일한 온도에서 수행될 필요는 없다. 일반적으로 말해서, 중합체가 이와 같이 처리되는 시간(체류 시간)은 모든 처리 단계에 있어서 동일하지 않다. 예를 들면, 중합체는 t1분 동안 온도 T1에서 용융 및 균질화된 다음, 가열 파이프(T2, 체류 시간 t2)를 통해 운송되며, 이어서 온도 T3인 방사 펌프(체류 시간 t3)를 거쳐서 온도 T4인 방사구금 판(체류 시간 t4)을 통해 압출될 수 있다.
중합체 분해를 추가로 감소시키기 위해, 공정 조건 설정은 다음 수학식 3과 같이 선정된다.
알켄과 일산화탄소로 구성된 교호 공중합체를 용융 방사함에 있어서, 기타 열가소성 중합체를 용융 방사하는 데 사용하는 것으로 공지된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중합체를 압출하는 데 있어서, 폴리아미드-6, 폴리아미드-66 및 폴리에스테르(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와 같은 기타 열가소성 중합체를 용융 방사하는 데 사용되는 것과 같은 방사구금 판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방사구금 판은 직경이 200 내지 2000μm이고 L/D 비가 1 내지 10인 모세관을 다수 개 갖고 있다.
방사구금 판에 이어서 방사온도(Tspin) 미만의 온도로 가열된 튜브를 탑재하는 경우 매우 유리한 결과가 수득된다. 바람직하게는, Tspin-50℃ 내지 Tspin로 가열된 튜브가 사용된다.
방사된 섬유는 권사하거나, 다른 방법에 의해 가공, 예를 들면, 부직포로 제조할 수 있다.
공업적 용도에 적합한 탁월한 특성을 갖는 섬유를 제조하기 위해, 섬유를 연신시킬 필요가 있다. 방사 직후 섬유를 연신시킬 수 있다. 또한, 권사된 섬유는 별도의 공정에서 추가로 연신될 수 있다.
생성된 섬유는 고강도, 고모듈러스, 고무에 대한 접착성 및 내피로성이 잘 조합됨으로 인해 타이어에서 강화 사로 사용하기에 매우 적합하다.
또한, 당해 섬유는 컨베이어 벨트 및 V자형 벨트와 같은 기타 고무 제품을 강화하기에 매우 적합하다. 또한, 당해 섬유는 공업용 직물, 보다 특히 섬유의 매우 우수한 가수분해 안정성을 이용하는 직물, 예를 들면, 제지용 직물에서 사용하기에 매우 적합하다.
측정 방법
TNF
중합체가 결정핵을 함유하지 않는 온도(TNF)는 다음과 같이 측정될 수 있다:
중합체 3 내지 4mg을 뚜껑에 구멍이 몇개 나 있는 10μl 알루미늄 컵에 넣는다. 이들 컵을 퍼킨 엘머(Perkin Elmer) DSC-7 로봇 시스템에 적용시키고 질소 대기 하에 다음 온도 프로그램을 수행한다:
- 10℃/min의 가열 속도에서 Thold로 가열한다. Thold≥ Tm(중합체의 결정질 융점);
- Thold의 일정 온도에서 t분 동안 유지시킨다[Thold는 Tm내지 Tm+ 50℃의 범위이고, 여기서 일정 온도를 1 내지 3분 동안 유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 10℃/min의 냉각 속도에서 실온으로 냉각시킨다.
냉각 곡선으로 재결정화의 피크 온도(Trc)와 재결정화 개시 온도(Trco)를 둘 다 측정할 수 있다.
일정 온도로 유지되는 동일한 기간 동안 1번 이상 측정된 Trc와 Trco의 값을 Thold에 대해 플롯팅한다. Thold가 플롯팅되는 축 상에서, TNF는 측정된 냉각 곡선에서의 만곡점으로부터 판독될 수 있다.
A 및 B의 측정
중합체의 파라미터 A 및 B는 다음과 같이 측정된다:
직경이 2mm이고 길이가 40mm인 모세관에서의 압력 강하를 측정함으로써 중합체 용융물의 겉보기 용융 점도를 측정하는 장치가 구비된 하아크(Haake) 유량계에서 중합체를 용융시킨다. 중합체가 특정 시간(ta) 동안 Tm(용융될 중합체의 융점) 이상의 온도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유량계를 설치해야 한다. 이어서, 모세관에서의 도입 압력을 유량계에서의 온도의 함수로서 측정한다.
온도가 증가되는 경우, 임계 온도 Tc에 도달할 때까지 모세관의 도입 압력의 강하가 관찰된다. 이 온도에서, 온도 함수로서의 압력 곡선의 불연속성이 관찰된다.
이러한 측정은 상이한 체류시간 ta에서 3회 이상 수행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Tc/ta의 3개(또는 그 이상)의 조합이 구해진다.
이어서, 선형 회귀를 이용하여, x값으로서의 1/T(K)와 y값으로서의 1/ta(min) 사이의 관계식이 측정된다. 측정된 라인의 절편 = A, 측정된 라인 방향의 계수 = B.
본 발명을 다음의 비제한적인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추가로 설명될 것이다.
실시예 1
융점이 220℃이고 고유점도[η]가 1.50이며 A가 30.2이고 B가 -17,000이며 TNF가 240℃인 에틸렌/프로필렌과 일산화탄소와의 교호 공중합체를 5개의 가열 영역이 구비된 압출기에서 용융시킨다. 압출기에서, 중합체는 245℃/1.49분과 248℃/0.38min의 온도/체류시간 프로필에 따라 처리된다.
이어서, 중합체는 방사구금 판을 포함하는 방사 어셈블리로 운송 파이프 및 방사 펌프를 통해 전달된다. 운송 파이프, 방사 펌프 및 방사 어셈블리의 온도는 250℃(=TNF+ 10℃)이다. 이 온도에서 중합체의 체류시간은 43초이다. 각각의 직경이 400μm인 36개의 오리피스를 갖는 방사구금 판을 통해 중합체가 압출된 다음, 200℃로 가열된 12cm 길이의 튜브를 통과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방사된 생성물을 400m/min의 속도로 권사할 수 있다. 생성된 방사 생성물은 필라멘트 직경의 편차가 매우 작다.
이러한 공정 조건에서는,가 유지된다.
실시예 2
실시예 1을 반복하되, 24개의 오리피스를 갖는 5cm 두께의 가열된 방사구금 판을 사용한다. 압출기에서, 중합체는 245℃/5.50min의 온도/체류시간 프로필로 처리된다. 방사실에서의 온도/체류시간 프로필은 245℃/2.45min이고, 방사구금판에서는 270℃/0.30min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방사된 생성물을 400m/min의 속도로 권사할 수 있다. 생성된 방사 생성물은 필라멘트 직경의 편차가 매우 작다.
이러한 공정 조건에서는,이 유지된다.
실시예 3
실시예 2를 반복하되, 방사구금판에서의 온도/체류시간 프로필은 290℃/0.30min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방사된 생성물을 400m/min의 속도로 권사할 수 있다. 생성된 방사 생성물은 필라멘트 직경의 편차가 매우 작다.
이러한 공정 조건에서는,이 유지된다.
비교 실시예 1
실시예 1을 반복하되, 압출기의 모든 가열 영역, 운송 파이프, 방사 펌프, 방사 어셈블리에서의 온도가 235℃(= TNF- 5℃)이다. 방사된 생성물은 방사 판을 떠난 직후 고화되어 후처리가 불가능해진다.
비교 실시예 2
실시예 1을 반복하되, 운송 파이프, 방사 펌프, 방사 어셈블리에서의 온도가 240℃(= TNF)이다. 이러한 공정 조건에서는,가 유지된다. 방사된 생성물을 400m/min의 속도로 연속적으로 권사하는 것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명된다.
실시예 4
실시예 1을 반복하되, 250℃로 가열된 40cm 길이의 튜브를 사용하고, 압출기에서와 방사실에서의 온도가 모두 실시예 1에서의 등식에서 Σ의 값이 1미만일 뿐만 아니라 1초과(대조용)이도록 하는 범위이다.
실험 결과는 다음 표 1에 제시하였다.
실험 A B C D E* F*
압출 온도(℃) 240 250 260 270 280 290
압출기에서 용융되는 체류시간(min) 1.85 1.85 1.85 1.85 1.85 1.85
방사실 온도(℃) 242 252 262 272 282 292
방사실에서 용융되는 체류시간(min) 0.83 0.83 0.83 0.83 0.83 0.83
Σ의 총합 0.1 0.3 0.5 0.9 1.6 2.8
방사 특성 우수 우수 우수 번들 속의필라멘트가조금 느슨함 권사 불가능 권사 불가능황변
표 1에 제시된 결과는 Σ값 > 1(비교실시예 E*및 F*)인 경우 우수한 결과가 수득될 수 없음을 명백하게 나타낸다.

Claims (7)

  1. 중합체가 TNF+ 5℃ 이상(여기서, TNF는 용융된 중합체가 결정 핵을 함유하지 않는 온도이며, 이 온도는 시차주사열량계로 측정할 수 있다)으로 가열되며, 중합체의 융점보다 높은 하나의 온도 또는 서로 상이한 여러 온도에서의 중합체의 체류시간이 다음 수학식 1을 만족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알켄과 일산화탄소로 구성된 교호 공중합체를 용융방사하여 열가소성 섬유를 제조하는 방법.
    수학식 1
    위의 수학식 1에서,
    tn은 온도 Tn(K, Tn> Tm)에서 중합체의 체류시간(min)이고,
    A 및 B는 서로 상이한 여러 온도에서 중합체의 점도와 체류시간을 측정함으로써 결정한다.
  2. 제1항에 있어서, 중합체가 TNF+ 10℃ 이상의 온도에서 가열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공정 설정 조건이 다음 수학식 3을 만족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수학식 3
  4. 제1항에 있어서, 교호 공중합체가 에틸렌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교호 공중합체에서 알켄 단위의 80 내지 100%가 에틸렌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방사 공정에서 방사 온도 미만의 온도로 가열된 튜브가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가열된 튜브의 온도 범위가 방사 온도(Tspin)-50℃ 내지 방사 온도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07008824A 1998-02-12 1999-02-09 폴리케톤 섬유의 제조방법 KR2001004091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L1008280 1998-02-12
NL1008280 1998-02-12
PCT/EP1999/000859 WO1999041437A1 (en) 1998-02-12 1999-02-09 Process for preparing polyketone fibr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0916A true KR20010040916A (ko) 2001-05-15

Family

ID=19766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8824A KR20010040916A (ko) 1998-02-12 1999-02-09 폴리케톤 섬유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6495075B1 (ko)
EP (1) EP1055021B1 (ko)
JP (1) JP2002503769A (ko)
KR (1) KR20010040916A (ko)
CN (1) CN1289378A (ko)
AT (1) ATE259008T1 (ko)
AU (1) AU3140599A (ko)
BR (1) BR9907861A (ko)
DE (1) DE69914584T2 (ko)
TR (1) TR200002321T2 (ko)
WO (1) WO199904143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17002839U1 (de) * 2017-05-30 2018-08-31 Perlon Nextrusion Monofil GmbH Polyketonfasern, deren Herstellung und Verwendung

Family Cites Families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49010T1 (de) 1983-04-06 1990-01-15 Shell Int Researc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olyketonen.
IN167917B (ko) 1985-11-14 1991-01-05 Shell Int Research
CA1275532C (en) 1985-11-26 1990-10-23 Johannes A. M. Van Broekhoven Removal of catalyst remnants from ethene/co copolymers
CA1271291A (en) 1985-11-26 1990-07-03 Johannes Adrianus Maria Van Broekhoven Removal of catalyst remnants from ethene/co copolymers
EP0229408B1 (en) 1985-11-29 1991-01-09 Shell Internationale Researchmaatschappij B.V. Novel catalyst compositions and process for the copolymerization of ethene with carbon monoxide
IN169268B (ko) 1985-12-23 1991-09-21 Shell Int Research
IN168056B (ko) 1986-03-05 1991-01-26 Shell Int Research
IN168306B (ko) 1986-03-05 1991-03-09 Shell Int Research
EP0235866A3 (en) 1986-03-05 1988-01-27 Shell Internationale Researchmaatschappij B.V. Catalyst compositions
CA1271877A (en) 1986-03-24 1990-07-17 Johannes A.M. Van Broekhoven Polymer preparation
EP0246683A3 (en) 1986-05-13 1988-01-27 Shell Internationale Researchmaatschappij B.V.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polymers
EP0245893A3 (en) 1986-05-13 1988-01-27 Shell Internationale Researchmaatschappij B.V. Catalyst compositions
IE60363B1 (en) 1986-05-27 1994-07-13 Shell Int Research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polymers
EP0253416A1 (en) 1986-06-24 1988-01-20 Shell Internationale Researchmaatschappij B.V. Catalyst compositions
US4804739A (en) 1986-07-01 1989-02-14 Shell Oil Company Process for preparing carbon monoxide polymer with quaternary phosphonium compound bidentate ligand
CA1305695C (en) 1986-08-22 1992-07-28 Eit Drent Catalyst compositions and process for olefin/co copolymerization
IN171627B (ko) 1986-08-26 1992-11-28 Shell Int Research
US4831114A (en) 1986-10-01 1989-05-16 Shell Oil Company Polymerization of carbon monoxide and olefin with acid catalyst
US4843145A (en) 1986-10-06 1989-06-27 Shell Oil Company Catalytic polymerization of CO/olefin with ortho polar substituted aryl bidentate p ligand
CA1316288C (en) 1986-10-16 1993-04-13 Eit Drent Catalytic preparation of carbon monoxide/ethylene/secondary ethylenically unsaturated hydrocarbon terpolymer
US4806630A (en) 1986-12-01 1989-02-21 Shell Oil Company Catalytic polymerization of carbon monoxide and olefin, with organo nitro or organo nitrite compound additive
US4820802A (en) 1987-02-03 1989-04-11 Shell Oil Company Improved process of preparing carbon monoxide/olefin copolymer with ortho substituted phosphine catalyst composition.
GB8710171D0 (en) 1987-04-29 1987-06-03 Shell Int Research Copolymer composition
ES2047022T3 (es) * 1987-09-30 1994-02-16 Shell Int Research Procedimiento de hilatura por fusion.
CA1340630C (en) * 1988-01-29 1999-07-06 Johannes Leopold Marie Syrier Thermal stabilization of carbon monoxide copolymers
GB8804726D0 (en) 1988-02-29 1988-03-30 Shell Int Research Thermostabilized copolymer composition
US5229445A (en) 1988-02-10 1993-07-20 Shell Oil Company Stabilized olefin/carbon monoxide copolymers
US5077333A (en) 1991-04-29 1991-12-31 Shell Oil Company Stabilized polymer compositions
ATE125841T1 (de) * 1990-09-27 1995-08-15 Shell Int Research Polymer-zusammensetzungen.
US5115003A (en) 1991-05-20 1992-05-19 Shell Oil Company Stabilized polyketone compositions containing a mixture of a hydroxyapatite and a mercaptobenzimidazole
US5066701A (en) 1990-10-31 1991-11-19 Shell Oil Company Stabilized polyketone polymers
US5021496A (en) 1990-11-13 1991-06-04 Shell Oil Company Filled polyketone blend
US5141981A (en) 1990-09-27 1992-08-25 Shell Oil Company Stabilized polyketone polymers
US5122565A (en) 1990-10-26 1992-06-16 Shell Oil Company Stabilized polyketone polymers containing a mixture of a hydroxyapatite and an alumina hydrogel
US5288822A (en) * 1992-01-14 1994-02-22 Akzo Nv Liquid crystalline epoxy resin as additive for polyketone polymers
US5820806A (en) * 1993-01-13 1998-10-13 Akzo Nobel Nv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polyketone fibers
WO1994020562A1 (en) * 1993-03-01 1994-09-15 Akzo Nobel N.V. Polyketone polymer, polyketone products, and a preparative proces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9907861A (pt) 2000-10-24
EP1055021A1 (en) 2000-11-29
AU3140599A (en) 1999-08-30
TR200002321T2 (tr) 2000-11-21
CN1289378A (zh) 2001-03-28
WO1999041437A1 (en) 1999-08-19
ATE259008T1 (de) 2004-02-15
JP2002503769A (ja) 2002-02-05
EP1055021B1 (en) 2004-02-04
DE69914584T2 (de) 2005-01-05
DE69914584D1 (de) 2004-03-11
US6495075B1 (en) 2002-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59365A (en) Polyphenyl-1,4-phenylene terephthalates and fibers therefrom
Wu et al. High‐strength polyethylene
EP1445356B1 (en) High-strength polyethylene fiber
JPS6327442B2 (ko)
KR20100069689A (ko) 초고분자량 폴리아미드 필라멘트의 제조
JP3734077B2 (ja) 高強度ポリエチレン繊維
CN112969565B (zh) 用于制造吸收性缝合线纤维的新型挤出方法
US5073453A (en) High tenacity nylon yarn
US5714101A (en) Process of making polyketon yarn
KR20010040916A (ko) 폴리케톤 섬유의 제조방법
EP0295147B1 (en) High strength polyester yarn
Boussias et al. Copolyester studies. VI. Melt spinning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tetramethylene terephthalate–poly (tetramethylene oxide) random block copolymers
KR100230899B1 (ko) 고신도 폴리(P-페닐렌 테레프탈아미드) 섬유(High Elongation PPD-T Fibers)
KR20080061155A (ko) 열 특성이 우수한 산업용 고강력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섬유
MXPA00007912A (en) Process for preparing polyketone fibres
KR101838500B1 (ko) 고강도 방향족 폴리아미드 멀티 필라멘트의 제조방법
Schmack et al. Relation between molecular orientation and mechanical properties in differently processed polyamide 4.6/6 textile yarns
JPS6021907A (ja) 高強力、高弾性率ポリアミド繊維の製造法
JPH0931748A (ja) 高強度ポリアミドモノフィラメント及びその製造方法
US3631160A (en) 3-methylbutene-1 polymer fiber
US5472658A (en) Pre-stressing of heat treated liquid crystalline polymer fiber to improve modulus
WO2003014438A1 (en) Yarn of ethylene/tetrafluoroethylene copolymer
AU2001284698A1 (en) Yarn of ethylene/tetrafluoroethylene copolymer
JPH03810A (ja) 高弾性率ナイロン66繊維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50064612A (ko) 고무 또는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보강재용 폴리에스테르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