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40178A - 차량용 저전동저항 타이어 - Google Patents

차량용 저전동저항 타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40178A
KR20010040178A KR1020000063109A KR20000063109A KR20010040178A KR 20010040178 A KR20010040178 A KR 20010040178A KR 1020000063109 A KR1020000063109 A KR 1020000063109A KR 20000063109 A KR20000063109 A KR 20000063109A KR 20010040178 A KR20010040178 A KR 200100401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ad
tire
layer
radial
rat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3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76435B1 (ko
Inventor
아마드데오안젤라
이소라마리오
세라안토니오
Original Assignee
지아네시 피에르 지오반니
피렐리 뉴아티씨 소시에떼 퍼 아찌오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아네시 피에르 지오반니, 피렐리 뉴아티씨 소시에떼 퍼 아찌오니 filed Critical 지아네시 피에르 지오반니
Publication of KR200100401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01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64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64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9/00Reinforcements or ply arrangement of pneumatic tyres
    • B60C9/02Carcasses
    • B60C9/04Carcasses the reinforcing cords of each carcass ply arranged in a substantially parallel relationshi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00Tyre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composition or the physical arrangement or mixture of the composition
    • B60C1/0016Compositions of the tr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041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comprising different tread rubber layers
    • B60C11/005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comprising different tread rubber layers with cap and base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14Anti-skid inserts, e.g. vulcanised into the tread band
    • B60C11/18Anti-skid inserts, e.g. vulcanised into the tread band of strip form, e.g. metallic combs, rubber strips of different wear resistan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80Technologies aiming to reduce greenhouse gasses emissions common to all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 Y02T10/86Optimisation of rolling resistance, e.g. weight red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Tyre Moul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저항이 저감된 차량용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는; 적어도 하나의 카커스 플라이(3) 둘레를 동일축상에서 감싼 적어도 하나의 벨트층(7)과, 상기 벨트층의 둘레를 동일축상에서 감싸고 지면과 접촉하는 방사형 외부층과 상기 방사형 외부층과 상기 벨트층의 사이에 개재된 방사형 내부층을 포함한 혼합 트레드(10)를 구비하고, 70℃에서, 상기 트레드(10)의 방사형 내외부층(11)(12)이 갖는 탄성계수 E′사이의 비가 1.1 ~ 3이고, 상기 두 층이 갖는 tang값의 비는 0.8 이하이다.
상기 타이어(1)는 동일한 사용 용도를 갖는 공지 형태의 타이어와 비교해 볼 때, 저전동저항과 조정 및 안정 특성의 사이에서 향상된 타협점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가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저전동저항 타이어 {low rolling resistance tire for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용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저전동저항 트레드가 제공된 차량용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카커스 플라이 둘레를 동일축상에서 감싼 적어도 하나의 벨트층과, 상기 벨트층의 둘레를 동일축 상에서 감싸고 지면과 접촉하는 방사형 외부층과, 상기 방사형 외부층과 상기 벨트층의 사이에 개재된 방사형 내부층을 구비한 혼합 트레드를 구비한 차량용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타이어 생산 분야에서, 점점 중요시되는 연구의 주목적은 한편으로는 (반드시 최소화되어야만 하는) 타이어의 전동저항과, 다른 한편으로는 타이어의 조정 및 안정 특성의 사이에서 최적의 타협점을 찾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은 타이어에 혼합형 트레드가 제공되었을 때 즉, 타이어에 기계적인 특성과 히스테리시스 특성이 서로 다르게 갖는 방사형 내외부층을 갖는 혼합형 트레드가 제공되었을 때 특히 달성하기가 어렵다.
이런 특별한 트레드 구조는, 실제적으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정반대의 히스테리시스 특성 사이에 존재하는 모순에 의해 특히 영향을 받는다.
타이어의 전동저항을 저감하기 위해서는, 실제적으로, 타이어 회전시 제한된 에너지양이 손실되는 (70℃에서의 tang값과 관련된) 낮은 히스테리시스 값을 갖는 방사형 내부층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 경우 타이어의 조정성과 안정성은 악화되는데, 이는 상기 타이어의 조정 및 안정 특성이 트레드와 지면 사이에 높은 접지성을 보장하기에 적당한 에너지량이 손실되는 높은 히스티리시스 값을 갖는 고무 합성물을 사용함으로서 달성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미국특허번호 제4,319,619호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천연고무 및/또는 디엔 고무류(diene rubbers)가 포함된 고무 합성물을 가황하여 얻은 방사형 내부층을 포함하고, 40℃에서 0.2 이하의 tang값과 120kg/㎠ 이상의 탄성계수값 E´를 갖는 혼합형 트레드를 사용하는 것이 제안된 바 있다.
상기 특허에 의해서 기재된 바에 따라 트레드의 방사형 내부층에 낮은 tang값과 높은 탄성계수를 가지는 고무 합성물 사용하게 되면, 차량의 고속주행시 또는 건조한 노면 주행시에 타이어 특성이 악화되지 않고도 타이어의 전동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하지만, 출원인은 이러한 트레드가 지면의 비평탄부를 지날 때 타이어의 안정성을 악화시키는 원인이 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타이어의 조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종래의 기술은 예를 들어 캐나다 특허번호 제 CA 1 228 282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25℃에서 100 ~ 250kg/㎠ 의 탄성계수값 E´을 갖는 방사형 내부층과 25℃에서 70 ~ 150kg/㎠ 의 탄성계수값 E´을 갖고 0.25 이상의 tang을 갖는 방사형 외부층을 포함하며, 25℃에서 측정된 상기 방사형 내외부층의 탄성계수 비는 1.15 이상인 혼합 트레드의 사용을 제안한 바 있다.
그러나, 출원인은 상기 캐나다 특허에 따라 제조된 타이어가 실질적으로 그 목적과는 부합하지만 높은 히스테리시스 값을 가지기 때문에 고전동저항을 가진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 과제는 타이어의 전동저항과 타이어의 조정 및 안정 특성과의 사이에서 인용된 종래 기술의 타이어보다 나은 타협점을 얻을 수 있는 복합형 트레드가 제공된 차량용 타이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의 부분 종단면도
도 2는 도 1의 타이어 트레드 세부의 확대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타이어 3: 카커스 플라이
7: 벨트층 11: 방사형 내부층
12: 방사형 외부층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문제는 첨부된 제 1 청구항에 의해 한정되는 타이어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의 출원인은 타이어의 전동저항과 운전성 및 안정성의 사이에서 최선의 가능한 타협점을 달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넓은 의미에서 방사형 내부층의 히스테리시스 또는 탄성계수 특성을 최적화시키는 것 만으로는 불충분하고, (보통 사용 조건(70℃)에서의 타이어의 주행온도와 거의 동일한 특정한 온도에서 측정된) 방사형 외부층을 기준으로 트레드의 방사형 내부층의 탄성계수 값과 tang이 특정한 범위값 내에 속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알아내었다.
보다 상세하게는, 출원인은 타이어의 전동저항과 조정성 및 안정성 사이의 최선의 가능한 타협점을 달성할 수 있다는 것을 하기와 같이 발견하였는바:
ⅰ) 70℃의 온도에서 측정된 방사형 내부층의 탄성계수 값과 이에 대응하는 방사형 외부층의 탄성계수 값의 비는 1.1 ~ 3이고,
ⅱ) 70℃의 온도에서 측정된, 방사형 내부층의 tang값과 이에 대응하는 방사형 외부층의 tang값의 비는 0.8 이하가 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70℃에서 혼합 트레드의 내부층의 탄성계수값 E'와 tang값의 비를 고려해 볼 때, 동일한 형태로 사용되는 공지의 타이어에 의해서 얻어진 전동저항과 조정성 및 안정성을 기준으로 판단하면 타이어의 전동저항을 저감시키는 것 뿐만 아니라, 보다 나은 조정성과 안정성을 달성하는 것을 상당히 놀랍게도 발견하였다.
바람직하게는, 70℃에서 방사형 내외부층이 갖는 탄성계수 E´의 비는 1.2 ~ 2.5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 2이다.
바람직하게는, 더욱이 70℃에서 트레드의 방사형 내외부층의 tang값의 비는 0.7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 2이다.
이러한 방법에 의해, 타이어의 전동저항과 조정 및 안정 성능을 모두 만족할 수 있는 최선의 타협점을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가 있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비를 구현하기 위해서, 70℃에서 트레드의 방사형 내부층의 탄성계수 E´가 5 ~ 14M㎩인 반면 70℃에서 방사형 외부층의 탄성계수 E´는 4 ~ 8M㎩가 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70℃에서 방사형 내부층의 탄성계수 E´가 6 ~ 12M㎩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6.5 ~ 9M㎩인 반면 70℃에서 방사형 외부층의 탄성계수 E´는 5 ~ 7M㎩가 된다.
70℃에서 방사형 내부층의 상기 탄성계수값 E´을 실행함으로서, 타이어의 조정성과 안정성을 점차적으로 향상시킬수 있으면서도 타이어의 저전동 저항을 유지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바람직하게는, 70℃에서 트레드의 방사형 내부층의 tang값은 0.120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03 ~ 0.06가 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타이어의 가능한 최저 전동저항을 달성할 수가 있고 이에 수반되는 잇점을 달성하면서도 타이어의 조정성과 안정성 어느 쪽에도 악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가 있다.
바람직하게는, 트레드의 방사형 내부층의 두께가 균일하고, 상기 두께는 1 ㎜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 2.5㎜가 된다.
이와는 반대로, 상기 트레드의 방사형 외부층은 트레드에 형성된 글루브(자동차에 있어서는 보통 7-8mm)의 두께와 동일하고, 바람직하게는 글루브의 두께보다도 큰 두께를 갖고 있어서 방사형 외부층이 마모되더라도 방사형 내부층이 지면과 접촉되지 않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트레드의 방사형 외부층 두께는 (상기 범위의 값들로부터 선택된) 방사형 내부층의 두께와 트레드의 전체 두께의 비가 0.01 ~ 0.7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5 ~ 0.5가 된다.
0.01 이하의 이러한 두께비 값에 대해서, 방사형 외부층의 계수를 기준으로 70℃에서 방사형 내부층의 높은 탄성계수로부터 수반되는 효과가 확인되지는 않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타이어는 보다 낮은 조정 특성을 갖게 된다.
이와는 반대로, 0.7 이상의 이러한 두께비에 대해서, 방사형 외부층의 효과가 확인되지 않았기 때문에 타이어는 보다 낮은 조정 특성을 나타내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한, 트레드의 방사형 내외부층은 70℃에서 상기 요구되는 탄성계수값 E′과 tang값을 달성할 수 있도록 선택된 적합한 고무 화합물을 성형 및 가황처리함으로써 얻어질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트레드의 방사형 내부층은 하기의 구성을 갖는 고무 화합물을 성형 및 가황처리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a) 가교-결합 가능한 불포화 체인 중합체 기제(a cross-linkable unsatur -ated chain polymer base)와,
b) 10 ~ 60phr에서 적어도 하나의 카본 블랙(carbon black)에 기초한 보강 충진제와,
c) 효과적인 양의 적어도 하나의 황에 기초한 가황처리제.
하기 설명과 첨부된 청구항에서, 용어 "phr"은 중합체 기제의 중량비를 100으로 할 때, 고무 화합물의 구성물의 중량비를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중합체 기제는 천연 고무와, 용해액이나 유제(emulsion)속에서 중합함으로서 얻을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엘라스토머 디올레핀 폴리머 (elastomeric diolefin polymer), 방향 비닐 탄화수소를 가진 혼합물 속에서 얻을수 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컨쥬게이트된 디엔 단량체(diene monomer)를 포함하며, 상기 컨쥬게이트된 디엔 단량체는 중합체내에서 일반적으로 중합체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중량비 50% 미만의 양이 존재한다.
바람직하게는, 엘라스토머 디엔 중합체는 중합체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 2구조를 가진 디올레핀 단위 중량의 30 ~ 70%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한 컨쥬게이트된 디엔 단량체의 바람직한 사용은: 1,3-부타디엔, 이소프렌, 2,3-디메칠-1,3-부타디엔, 1,3-펜타디엔, 1,3-헥사디엔, 및 상기 혼합물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반면, 방향 비닐 탄화수소의 바람직한 사용은 : 스티렌, alpha -메칠-스티렌, p-메칠-스티렌, 비닐-톨루엔, 비닐-나프탈렌, 비닐-피리딘(pyridine), 및 이들 혼합물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되어진다.
하기 설명과 첨부된 청구항에서, 용어: 1,2-구조를 가진 디올레핀 단위는 컨쥬게이트된 디엔 단량체의 1,2-중합(a 1,2-polymerization of the conjugated diene monomer)으로부터 유래된 단위 분획을 정의하는 데 사용되었다.
컨쥬게이트된 디엔 단량체가 1,3-부타디엔일 경우, 1,2-구조를 가지는 상기 디올레핀 단위는 다음과 같은 구조 공식을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천연고무질 디올레핀 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스티렌/1,3-부타디엔 공중합체(SBR), 폴리-1,3-부타디엔(BR), 스티렌/이소프렌 공중합체와 그것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그룹들로부터 선택되어진다.
부가적으로 천연고무질 디올레핀 중합체는 개조된 형태, 즉 "종결된" 또는 "연결된" 형태일 것이다.
용어: "종결된" 공중합체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금속유기물의 개시제 (metallorganic initiator)가 있는 비닐 방향 탄화수소와 컨쥬게이트된 디올레핀을 중합시키고, 이후 얻어지는 중간 공중합체(intermediate copolymer)를 하기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합한 체인-종결 화합물과 반응시킴으로서 얻을 수 있는 공중합체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었다: 치환된 이민(imine), 할로겐화된 주석 화합물, 다음 구조 공식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벤조페논(benzophenone) 화합물:
여기서, R₁과 R₂는 하이드르겐, 할로겐, 알킬, 알케닐(alkenyl), 아미노, 알킬아미노(alkylamino) 또는 디알킬아미노 그룹이고, 또한 이들은 독립적이거나 서로 혼합가능하며, m과 n은 1에서 10까지의 정수이다.
용어: "연결된" 공중합체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금속유기물의 개시제에 가 있는 방향 비닐 탄화수소와 컨쥬게이트된 디올레핀을 중합시키고, 이후 중합 체인과 적절한 체인-연결 작용제를 연결함으로서 얻을수 있는 공중 중합체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었는데, 상기 공중 중합체는 예를 들어, 상기와 같이 얻어진 공중합체의 분자량을 증가시키는 주된 목적을 갖는 할로겐화된 주석 화합물을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고무 화합물에서 얻을 수 있는 트레드에 적합한 히스테리시스 특성을 부여할 수 있도록, 중합체 기제는 바람직하게는 천연고무 30 ~ 80phr을 구비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 70phr을 구비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정의된 적어도 하나의 엘라스토머 디올레핀 중합체 20 ~ 70phr을 구비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 60phr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트레드의 방사형 내부층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된 고무 화합물은 보강 충진제로서 단지 카본 블랙만을 구비하며, 그 양은 10 ~ 60phr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 50phr이다.
고무 화합물 속에 사용되어질 수도 있는 카본 블랙에 기초한 보강 충진제는 통상적으로 타이어 트레드 분야에 사용되고, 예를 들면 ASTM 표준에 따라 표시되는 명칭 N110, N121, N134, N220, N231, N234, N299, N330, N339, N347, N351, N358 및 N375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서, 황 또는 황을 포함한 분자(황 제공인자)는 당해 기술분야의 기술자에게 공지된 촉진제 또는 활성제와 함께 보다 효과적으로 사용되는 가황처리제이다.
바람직하게는 황 또는 황 제공인자에 기초한 가황처리제의 양은 1 ~ 4.5phr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 ~ 4.1phr이다.
바람직하게는 트레드의 방사형 내부층의 고무 화합물은 70℃에서 가황처리된 고무 화합물의 탄성계수의 값을 증가시키고 tang의 값을 이와 동시에 상당히 증가시키지 않는 적합한 화합물의 효과적인 양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서, 이러한 화합물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열경화성 합성수지, 보강 충진제, 예를 들면, 유리, 카본, 셀룰로우즈, 폴리비닐 알콜, 폴리아미드 또는 폴리에스테르, 또는 그 혼합물과 같은 짧은 미세 섬유로 이루어진 적합한 재료를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어진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서, 상기 열경화성 합성수지는 바람직하게는: 레조르시놀(resorcinol)/메칠렌-제공인자 화합물 합성수지, 에폭시 합성수지, 알키드 합성수지 및 그 혼합물을 구비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어진다.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상기 메칠렌 제공인자 화합물들은 아민 형태의 제공인자 예를 들면, 헥사메속시(hexamethoxy), 메칠멜라민(methylmelamine)(HMMM), 헥사메칠렌 테트라민(hexamethylene tetramine)(HMT) 및 그 혼합물을 포함하는 그룹들로부터 선택되어진다.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상기 에폭시 합성수지는 에폭시/폴리올, 에폭시/디아민 또는 에폭시/디카르복시 형태의 합성수지를 구비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어진다.
이러한 열경화성 합성수지는 70℃에서 트레드의 방사형 내부층의 탄성계수를 효과적으로 증가시키는데 더 기여하여 고무 화합물의 바람직하지 못한 리버전 현상 (reversion)을 유발하는 경향이 없을 만큼의 황의 양을 사용하도록 한다.
본질적으로, 이런 현상들은 타이어의 가황처리 및/또는 주행중 도달하게 되는 고온에 실질적으로 기인한 고무 화합물의 중합체 체인간에서 황에 기초한 가교 결합의 부분적인 파괴 및/또는 사이클화(cyclization)등으로 이루어진다.
이는 대개 70℃에서 상기 층의 탄성계수값의 감소를 나타내게 되고, 따라서 타이어의 조정성을 악화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서 열경화성 합성수지는 고무 화합물에 존재하는데 그 양은 70℃에서 요구되는 탄성계수값 E′을 달성할 정도이며, 초기 합성수지에 존재하는 가교-결합 그룹의 수 및/또는 (두-구성요소로 된 합성수지 또는 미리 응축된 합성수지 어느 것이라도 가능한) 초기 합성수지의 성질에 의존한다.
바람직하게는, 열경화성 합성수지의 양은 0.5 ~ 15phr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 ~ 10phr이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3 ~ 7phr이다.
상기 보강섬유는 소위 아라미드 펄프(폴리-파라피렌-테레프탈라미드(tereph talamide)의 짧은 미세섬유)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형태는 상업적으로 "Kevlar-pulp" 또는 "Twaron-pulp"(Kevlar와 Twaron은 각각 DuPont사와 Akzo사의 상표로 등록되었슴)로 공지되어 있으며 미국특허번호 제4,871,004호에 개시되어 있고, 이러한 내용은 본 명세서에 편입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서, 상기 보강 섬유는 그와 같은 종류의 섬유로 사용될 수도 있고, 예를 들면, 천연고무, 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에칠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또는 그 유사물 등에 의해 구성된 수송 기능을 가진 적합한 중합 매트릭스에서 미리 분산된 형태로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서, 상기 보강섬유는 보상 섬유의 화학적 성질, 길이/직경비 및 사용된 중합체 기제의 형태에 따라 70℃에서 요구되는 탄성계수값 E′을 성취할 수 있는 양의 고무 화합물에 존재한다.
바람직하게는, (가능한 중합체 수송체를 제외하는) 보강 섬유의 양은 1 ~ 6 phr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 ~ 4phr이다.
타이어의 조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상기한 구성 요소에 부가하여,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반-리버전 작용제(anti-reversion agent)를 0.5 ~ 3phr에서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 ~ 2.5phr이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 ~ 2phr이다.
상기 반리버전 작용제의 부가적인 존재는 타이어의 가황 및 사용중에 고무 화합물의 리버전 현상을 최소화시켜 타이어의 조정 특성을 향상시키고, 시간에 따른 타이어의 조정 특성을 동일하게 유지하는데 기여한다.
반리버전 작용제은 방향 이미드 화합물을 구비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데; 예를 들면, 상업적으로 상표명 Perkalink900(Flexys, 네덜란드)으로 입수 가능한 1,3-비스(시트라코니미도메칠; citraconimidomethyl)벤젠을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가적인 또는 선택적인 반리버전 작용제는 가황처리 격자를 안정화시키는 황을 포함하는 작용제로부터 선택되어질 수도 있는데; 예를 들면, 황을 포함한 시레인 화합물, 디사이어디모폴린(dithiodimorpholine), 디사이어카프로락탐 2황화합물(dithiocaprolatame disulfide), 그 혼합물을 포함하는 그룹들로부터 선택되어질 수도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황을 포함한 안정화 작용제는 하기 구조 공식을 가지는 황을 포함하는 시레인 화합물이다:
R은 1 ~ 4개의 탄소원자 또는 염소원자를 구비하는 알킬 또는 알콕시 (alkoxy)그룹이고, n은 1 ~ 6 사이의 정수이며, X는 머캅토(mercapto)그룹 또는그룹이고, 여기서 Y는이고, R과 n은 상기에 정의된 바와 같고, 또는 다음 기능적인 그룹들로부터 선택된 그룹이다
여기서 m은 1 ~ 6의 정수이고, 바람직하게는 4이고, R은 1 ~ 5개의 탄소원자 또는 염소원자를 포함하는 알킬 또는 알콕시 그룹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황을 포함하는 시레인 화합물은 시레인에 기초한 연결 작용제 Si69[비스(3-트리에속시시릴;triethoxysilyl-프로필)4황화물](DEGUSSA) 또는 시레인에 기초한 연결 작용제[비스(3-트리에속시시릴-프로필)2황화물](DEGUSSA)그 자체이거나 고무 화합물 속에 그 혼합을 촉진시키기 위한 불활성 충진제(예를 들면, 카본 블랙)를 가진 적합한 혼합물에 존재할 수도 있는 시레인에 기초한 연결 작용제[비스(3-트리에속시시릴-프로필)2황화물](DEGUSSA)이거나, X50S와 X-75S (DE -GUSSA) (50% 카본 블랙, 50% 시레인)라는 상표로 공지된 상품이다.
상기 구성요소에 부가하여, 트레드의 방사형 내부층의 고무 화합물은 필요한 기계적 및 가공 특성을 상기 고무 화합물에 부여하는데 필요한 공지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비(非)-가교 결합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구성 요소들은 특히 가소제(plastercizer), 활성보조제, 산화방지제 등을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어진다.
게다가 상기 각 구성요소들은 당해 기술분야의 기술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는 양 또는 비로 선택되어진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서, 트레드의 방사형 내부층을 생산하기 위한 사용된 고무 화합물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종래의 구성 요소에 의해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편입된 유럽 특허 번호 제 EP 0 728 803호에 기술된 바와 같이, 실리카에 기초한 보강 충진제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타이어의 전동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타이어의 방사형 외부층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된 가황처리된 고무 화합물은:
1) 적어도 제1가교-결합이 가능한 불포화 체인 중합체와;
2) 제1카본 블랙에 기초한 보강 충진제와;
3) 적어도 제2가교-결합이 가능한 불포화 체인 중합체와;
4) 제2실리카에 기초한 보강 충진제와;
5) 적합한 실리카 연결 작용제와;
6) 황에 기초한 가황처리제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최초 가교-결합이 가능한 불포화 체인 중합체는, 적어도 하나의 컨쥬게이트된 올레핀을 적어도 하나의 금속유기물 그룹을 구비한 개시제가 있는 적어도 하나의 방향 비닐 탄화수소와 같이 중합시키고, 이와 같이 얻어진 중간 공중합체를 공중합체에 존재하는 금속유기물 그룹에 대하여 반응하는 기능적인 그룹을 구비한 화합물과 반응시킴으로써 얻어지는 개조된 공중 중합체이고, 상기 개조된 공중 중합체는 0℃ ~ - 80℃의 유리 천이온도를 갖고 동일물의 총중량에 기초한 중량의 5% ~ 50%의 방향 비닐 탄화수소의 전체량을 구비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2가교-결합 가능한 불포화 체인 중합체는 그 대신에 적어도 하나의 컨쥬게이트된 올레핀을 적어도 하나의 방향 비닐 탄화수소에 중합함으로서 얻어지는 공중합체이고, 상기 제2중합체는 0℃ ~ - 80℃의 유리 천이온도를 가지고 동일물의 총중량에 기초한 중량의 5% ~ 50%의 방향 비닐 탄화수소의 전체량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공중합체와 제1카본 블랙에 기초한 보강 충진제는, 예를 들면, 상기한 것들 및 트레드 방사형 내부층의 고무 화합물의 구성 부분이 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2실리카에 기초한 보강 충진제는 100 ~ 300 ㎡/g의 BET 표면적과, 100 ~ 300 ㎡/g 의 ISO 6810에 따른 CTAB 흡수에 의해 측정된 표면적과, 150 ~ 250ml/100g의 ISO 4656-1에 따라 측정된 DBP 흡수값을 갖는다.
연결 작용제의 시레인에 기초하고 상기 공식(Ⅰ)의 가황처리 격자의 안정화 작용제에 따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르면, 차량용 타이어의 혼합식 트레드에는 특히 첨부된 제 8 청구항에 한정된 바와 같이, 저전동 저항과 젖은 노면에서의 양호한 조정성을 갖는 폐타이어를 재생하기 위해 미리 성형되어진 트레드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르면, 첨부된 제 9 청구항에 한정된 바와 같이 차량용 바퀴의 타이어를 제조하는 공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르면, 첨부된 제 10 청구항에 한정된 바와 같이 차량용 바퀴의 폐타이어를 재생하는 공정이 제공된다.
마지막으로,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르면, 첨부된 제 11 청구항에 한정된 바와 같이 타이어의 전동저항을 저감시키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특징 및 효과는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의 제조를 예시하는 몇 가지 실시예와 이에 관련된 고무 화합물의 하기와 같은 기재에 의해 보다 명백해질 것이며, 이러한 기재는 첨부된 도면을 기준으로 비한정적인 방법으로 기술되었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타이어는 전체를 나타내는 도면부호 1로 지시되어 있다.
이러한 타이어(1)는 카커스 플라이(3)를 구비하고 있는데, 카커스 플라이의 양측단은 각각의 고정용 비드 와이어(4)의 외부 둘레를 외측으로 감싸게 구부려져 있으며, 비드 와이어(4) 각각은 타이어 내측의 환상 에지를 따라 한정되는 비드(5)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비드(4)는 타이어가 차량용 바퀴의 일부를 구성하는 림(rim; 도시되지 않음)에 결합되는 곳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비드(5)의 각 고정용 비드 와이어(4)는 공지의 기술에 따라 생산될 수 도 있는데, 예를 들면 금속 와이어 또는 금속 스트링으로 만들어 질 수도 있다.
카커스 플라이(3)의 환상 전개 방향을 따라서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벨트층(7)이 적용되는데, 이 벨트층(7)은 통상적으로 고무 시트에 박힌 금속 와이어 또는 금속 스트링의 편물로 제조되며, 상기 금속 와이어 또는 금속 스트링은 각 층 사이에 평행하게 정렬되고 인접층과는 교차되게 배열되어 있다.
상기 벨트층(7) 위로는 소위 0°층이 제공되는데, 예를 들면, 나일론으로 제조된 스트링(8)이 상기 타이어(1)에 대해 동일축 선상으로 감겨져 있으며; 상기 스트링(8)의 감겨진 각도는 일반적으로 상기 타이어(1)의 적도면 m-m을 기준으로 작다.
통상적으로, 상기 스트링(8)은 예를 들면, 본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밴드(band)" 또는 다른 유사한 해결물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고무층에 박혀져 있다.
상기 타이어(1)에는 0°층 둘레를 따라 왕관(crown)형상을 한 트레드(10)가 제공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트레드(10)는 혼합식 또는 "캡 및 베이스(cap and base)"의 형태를 취하고, 방사형 내부층(11) 또는 기본층 및 방사형 외부층(12)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방사형 외부층(12)은 지면과 접촉할 수 있고 복수의 립(rib)과 블록(block)을 한정하는 요부와 글루브(groove)(13)를 구비한 형상이 제공되어 있다.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경우에는 트레드의 기본층(11)은 균일한 두께를 가지고 있고; 비람직하게는 이러한 두께는 1mm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mm ~ 2mm의 두께를 갖는다.
어떠한 경우에 있어서도, 기본층(11)의 두께는 비균일할 수도 있으며, 예를 들면(도 1, 2의 종단면도를 참조하면) 그 외측 에지 근처 및/또는 그 중앙부에서 기본층(11)의 두께가 더 클 수도 있다.
반대로, 트레드(10)의 방사형 외부층(12)은 방사형 외부층이 마모되어 없어질 때 기본층(11)이 지면과 접촉하지 않도록 글루브(13)의 두께와 적어도 동일하고, 바람직하게는 글루브(13)의 두께보다도 더 큰 두께를 가지고 있다.
상기 타이어(1)는 본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공지된 복수의 제조 단계를 구비하는 공정수단에 의해 제조될 수도 있다.
특히, 그러한 공정은 타이어의 각 부분(카커스 플라이, 벨트층, 와이어 비드, 충진재(filling), 측면부와 트레드)에 부합하는 예비적이고 부분적인 일련의 반제품들을 준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데, 이들 반제품들은 이후 특별한 조립 기계에 의해 서로 조립된다.
이후, 하기 가황처리 공정은 반제품을 서로 일체의 블록 즉, 타이어로 만들 수 있도록 서로 결합시킨다.
분명히, 상기 반제품들의 준비는 이에 상응하는 고무 화합물의 준비 공정 및 형성공정에 선행된다.
본 발명의 타이어에서, 혼합식 트레드(10)는 가황처리 공정 동안 상기 각 고무 화합물의 성형에서 얻어진 방사형 내외부층(11)(12)을 형성하는 두 종류의 반제품을 조립함으로서 생산된다.
다른 실시 형태로서는, 트레드(10)의 두 층은 통상적인 기술에 따른 압출성형 공정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폐타이어의 리버전 및 재생은 열간 또는 냉간 재생으로 공지된 다른 2가지 방법에 따른 공지의 방법으로 수행되어질 수 있다.
상기 두 경우에 있어서, 폐타이어는 적당한 고무 화합물 시트가 있는 최외측의 벨트층까지 트레드를 제거함으로써 준비된다.
열간 재생 작업에서, 트레드는 요구되는 트레드 패턴을 또한 만들어내는 적합하게 형성된 가황처리 주형 내에서 최외측 벨트층에 분리할 수 없게 결합된 푸른 고무 화합물로 이루어진다.
냉간 재생 작업에서, 트레드는 이미 어떤 형태를 지니고 있거나, 압력 가마 속에서 분리할 수 없도록 최외측 벨트층에 결합된 이미 가황 처리된 고무 화합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례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 하기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트레드 및 타이어의 제조에 적합한 고무 화합물의 몇 가지 공식 및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및 비교 타이어를 대상으로 행한 몇 가지 비교 테스트에 대하여 기술될 것이다.
제1실시예
(본 발명)
A. 트레드의 방사형 외부층 준비
하기 표 1(비는 phr로 표기됨)에 보고된 성분을 갖는 고무 화합물은 70% 의 충진제를 사용하는 공지(Banbury)의 축차 혼합기(rotor mixer)에 의해 수행되는 두 가지의 혼합 단계에 의해 얻어졌다.
제1단계에서, 가황처리 시스템을 제외하고 모든 구성 인자들은 축차 혼합기에 넣어져 약 40rpm의 회전속도로 4분간 혼합되었다.
혼합과정에서, 혼합물에 수행된 기계적인 일은 혼합물의 온도를 약 150 ~ 155℃에서 유지하도록 제어되었다.
제2단계에서, 고무 화합물을 냉각하여 23℃까지 식힌 후, 가황처리 시스템은 다른 구성요소들과 함께 축차 혼합기에서 20rpm으로 4분간 혼합되고, 혼합물의 온도를 약 100℃로 유지하여 가황처리가 일찍 시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 구성요소들이 사용되었다.
- S-SBR-A = 용액속에서 준비되며, 57% 중량을 차지하는 1,2-구조와 21%의 중량을 차지하는 스티렌을 가지며, NS(Nippon zeon)라 상표명으로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종료되고 결합된 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butadiene- styrene copolymer);
- S-SBR-B = BUNA5O25-1(Bayer)라는 상표명으로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부타디엔-스티렌공중합체;
- 폴리부타디엔(polybutadiene) =NEOCIS(Enichem)라는 상표명으로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고-시스(high-cis) 1, 3 폴리부타디엔;
- SiO₂= BET 175 ㎡/g, VN3 형태(Degussa);
- 카본 블랙 = Vulcan(Cabot Corpotation);
- X505 = 50% 의 카본 블랙과 50% 의 비스(bis; 3-triethoxysilylpropyl) 테트라설파이드(tetrasulfide; Defussa)를 포함하는 실레인 화합물
- 산화방지제(antioxidant) =13(Monsanto)로 또한 공지된 6PPD
- 가소제(plasticizer) = 통상의 방향 오일과 왁스류
- 스테아르산
- ZnO
- 촉진제(accelerator) = 디페닐구아니딘(diphenylguanidine) DPG(Monsanto)와NS(Monsanto)
B. 트레드 방사형 내부층의 준비
하기 표 1에서 보고된 성분을 포함하는 고무 화합물은 상기 방사형 외부층의 고무 화합물의 준비를 참고하여 기술한 공정에 따라 얻어진다.
사용된 구성 요소들 중에서, 또한 하기 부가적인 구성 요소들이 방사형 외부층의 고무 화합물을 참고하여 이미 기술된 것들에 부가되어 사용되었다.
- NR = 천연고무
- Perkalink900 = 1,3-비스(bis; citraconimidomethyl) 벤젠
- HMT = 헥사메칠렌 테트라민(hexamethylene tetramine)
- 레조르시놀(resorcinol)
하기 제2~6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방사형 내부층의 제조를 위해 사용된 부가적인 고무 화합물은 이제 기술될 것이다.
제2실시예
(본 발명)
하기 표 1에서 도시된 성분을 가지는 고무 화합물은 앞선 제1실시예에 기술된 절차에 따라 얻어졌다.
사용된 구성 요소들중에서, 또한 하기 부가적인 구성 요소들이 제1실시예의 방사형 외부층의 고무 화합물을 참고하여 이미 기술된 것들에 부가되어 사용되었다.
- Kevlar-pulp = 천연고무(섬유 % = 23% 중량)의 중합매트릭스에서 분산된 짧고 가는 섬유가 포함된 아르미드 섬유
제3~6실시예
(비교 대상물)
네 가지의 비교대상이 되는 고무 화합물이 선행된 제1실시예에 이미 기술된 절차에 따라서 준비되었다.
사용된 구성요소들 중에서, 또한 하기 부가적인 구성요소들이 제1실시예의 방사형 외부층의 고무 화합물을 참고하여 이미 기술된 것들에 부가되어 사용되었다.
E-SBR 1712 =1712(Enichem)라는 상표명로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감광(感光)유제로 준비된 부타디엔-스티렌 중합체
상기 고무 화합물의 구성 성분은 하기 표 1에서 보고되어 있다.
제7~8실시예
(비교 대상물)
미국 특허번호 제 US 4,319,619호에 기술된 준비 방법에 따라, 두 가지의 고무 화합물은 상기 특허의 제1, 3실시예에 각각 따른 방사형 내부층을 위해서 각각 준비되었다.
사용된 구성 요소들 중에서, 또한 하기 부가적인 구성 요소들이 제1실시예의 방사형 외부층의 고무 화합물을 참고하여 이미 기술된 것들에 부가되어 사용되었다.
- E-SBR 1500 =1500(Enichem)의 상표명으로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감광유제로 준비된 부타디엔-스티렌 중합체
이와 같이 얻어진 고무 화합물의 구성물들은 하기 표 2에서 보고되어 있다.
제9실시예
(비교 대상물)
캐나다 특허번호 제 CA 1 228 282호에 기술된 준비 방법에 따라, 고무 화합물은 상기 특허의 제 Z 실시예에 따른 트레드의 방사형 내부층을 위해서 준비되었다.
상기와 같이 취득한 고무 화합물의 성분들은 하기 표 2에서 보고되어 있다.
제10실시예
고무 화합물의 동적 특성 결정
제1, 2실시예(본 발명) 및 제3~9실시예(비교 대상물)에 따른 고무 화합물 각각의 표본은 익히 공지된 기술 및 장치에 30′동안 151℃에서 가황처리되었고, 이후 그 동적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몇 가지 시험을 거쳤다.
특히, tang값은 하기 기술된 시험 방법 및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인스트론사(INSTRON)의 사용장치에 따라 결정되었다.
탄성계수값 E′, 감쇄계수값 E″와 tang값은 길이 25㎜, 직경 14㎜를 갖는 가황 처리된 고무 화합물의 원통형 시험편에 압축 하중을 미리 가하여 원래 높이의 길이방향으로 25% 변형시키고, 상기 하중하에서 동적 사인 변형의 최대폭이 높이의 ±3.50%이고 초당 100사이클의 주파수(100㎐)를 갖도록 미리 설정된 온도(23℃ 또는 70℃)를 유지함으로써 결정되었다.
상기 실시예가 갖는 목적을 위해, 상기 모든 탄성계수값 E′, 감쇄계수값
E″,tang값들은 상기 방법에 따라서 결정되었고, 또한 결정되어야만 한다.
더욱이 탄성계수값 E′, 감쇄계수값 E″값을 결정하는 과정에서, ±0.5㎫ 정도의 실험 오차가 가정되었고, 이에 상응하는 방사형 내외부층의 탄성계수간의 비값에서 ±0.1오차가 가정되었다.
상기 오차들을 고려할 때, 70℃에서 방사형 내외부 트레드층의 탄성계수 E′사이의 비값이 1.1 이하인 경우 본 발명의 청구범위 밖에 있게 된다.
수행된 실험 결과들은 하기 표 3, 표 4에 보고되어 있고, 여기서 이 표들은 23℃와 70℃에서 (모든 실시예에서 동일한) 방사형 외부층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된 고무 화합물과; 본 발명(제1, 2실시예)에 따른 방사형 내부층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된 고무 화합물과; 각각의 비교 대상이 되는 층들(제3~9실시예)의 3가지 시험에 대한 탄성계수 E′(㎫)와 tang(무차원)의 측정된 값들의 평균적인 값들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표 3과 표 4는 70℃에서 측정된 다양한 방사형 내외부층의 탄성계수와 tang의 비값을 나타내고 있다.
수행되어진 실험에 근거하여, 전동 저항이 낮으면 낮을수록 70℃에서 측정된 방사형 내부층의 tang값이 낮아진다는 것을 고려해 본다면, 표 3과 표 4에서 보고된 자료로부터, 본 발명(제1, 2실시예)에 따른 고무 화합물이 갖는 전동저항의 성능이 비교 대상이 된 고무 화합물(제2~6실시예)에 의해 달성된 전동저항 성능보다 우수하고, 또한 종래 기술(제7~9실시예)에 의한 고무 화합물의 전동성능에 비교하여 보다 우수하다는 것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제11실시예
(조정성)
상기 제1, 2실시예(본 발명)와 제3~9실시예(비교 대상물)에 따른 고무 화합물을 사용하여, 몇몇의 트레드가 공지의 장치들에 의해 제조되었으며, 상기 트레드는 175/65 R14의 크기를 갖는 타이어에 사용되었다.
특히, 다음의 구성을 갖는 타이어가 제조되었다:
- 제1실시예의 방사형 외부층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된 고무 화합물로부터 얻어진 비혼합형 타이어의 트레드를 구비한 기준 타이어("A부분" 참조);
- 하기 설명된 혼합형 트레드를 포함하는 실험용 타이어;
ⅰ) 방사형 외부층은 제1실시예의 "A부분"의 고무 화합물으로부터 얻어졌다.
ⅱ) 방사형 내부층은 제1실시예의 "B부분"(본 발명)과 제2실시예(본 발명), 그리고 제3~6실시예(비교 대상물)의 고무 화합물로부터 얻어졌다.
이와 같이 얻어진 타이어에는 조정성과 안정성의 견지에서 타이어의 전동저항과 성능의 평가를 할 수 있도록 표준 시험이 행하여 졌다.
A. 전동저항의 평가
본 평가는 표준 ISO 8767에 따라 각각의 타이어에 수행되어졌는데, 특히 통상의 실험장치들에 의해 "토크 방식(torque mothod)"으로 수행되어졌으며; 상기 규정에 의해 7.2.2.점을 기록하였다.
상기 측정은 80km/h의 등속도에서 행하여 졌고, 기생 손실(parastic losses )"은 스킴 리딩 방식(Skim reading method)"에 의하여 측정되었으며, 상기 표준 ISO 8767 규정에 의해 6.6.1.점을 기록하였다.
본 발명의 타이어의 성능과 비교 대상 타이어와 성능 비교를 하기 위해서, 기준 타이어에서 측정된 동력손실량(kg/t)은 전동저항지수 100으로 환산되었다.
상기 지수의 % 증가는 타이어의 전동저항으로 환산되는데 실험이 행해지는 동안 동력손실은 낮아졌다.
즉, 상기 실험하에서 지수의 값이 높아지면 질수록 전동저항 값은 낮아진다.
수행된 실험의 결과는 하기 표 5(RR 지수)에 보고되어 있다.
B. 조정성과 안정성의 관점에서의 성능 평가
본 평가는 1600㎤ 의 배기량을 가지는 차량 모델 브라보(Bravo)에 타이어를 탑재하여 비졸라(Vizzola) 실험 트랙 위에서 수행되었다.
기준 타이어와 실험용 타이어는 타이어에 대한 조정성과 안정성에 대한 0 ~ 10까지의 감도를 확인하기 위해 두 명의 독립적인 시험 운전자에 의해 시험되었다.
또한 상기한 경우의 조정성과 안정성 지수 100은 기준 타이어에 대해 나타난 국제 표준으로 환산되었다.
상기 실험 타이어의 지수의 % 증가는 타이어로 환산되며 실험이 행해지는 동안 발견된 상기 타이어의 조정성과 안정성이 보다 향상되었다.
즉, 상기 실험 하에서 지수의 값이 높아질수록 질수록 타이어의 성능은 향상된다.
수행된 실험의 결과는 하기 표 5에 보고되어 있다.
제12실시예
(리버전 지수 결정)
상기 제1, 2실시예(본 발명), 제3~9실시예(비교 대상물)에 따른 고무 화합물의 각각의 표본은 표준 ASTM D5289-95에 따라 유동분석기 MDR(Moving Die Rheometer)에 의해 측정되어지며, 유동분석기 모델 Monsanto MDR을 사용하여 151℃에서 30분 동안 진동 주파수 1.66㎐(100진동수/분)와 ±0.5°의 진폭을 부여한 상태에서 시험을 행하였다.
리버전 레벨은 하기 공식에 따라 이와 같이 얻어진 유동 곡선으로부터 결정된다.
상기에서,
제1, 2실시예와 각 비교 대상물의 제3~9실시예에 대하 상기 실험의 결과는 표 3, 표 4에 보고되어 있다.
표 3, 표 4, 표 5에 보고된 데이터의 전반적인 시험은 본 발명의 타이어가 비교 대상 고무 화합물과 종래의 기술에서의 고무 화합물 모두를 기준으로 하여, 한편으로는 전동저항과, 다른 한편으로는 향상된 조정성 및 안정성과의 사이에서 보다 나은 타협점을 달성하는 것을 나타내었다.
제3, 5실시예(비교 대상물)의 고무 화합물로부터 얻어지고, 70℃에서 상기 두 방사형 내외부층의 탄성계수 E′사이의 비가 상기 범위(1.1~3)밖에 있는 트레드가 제공된 타이어에 대해서, 특히 출원인은 본 발명의 타이어(제1, 2실시예)에 의해 달성되는 전동저항 및/또는 안정성보다도 성능이 악화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제4, 6실시예(비교 대상물)의 고무 화합물로부터 얻어지고, 70℃에서 상기 두 방사형 내외부층의 탄성계수 E′사이의 비가 제한값(0.8)보다 큰 타이어에 대해서, 특히 출원인은 본 발명의 타이어(제1, 2실시예)에 의해 달성되는 전동저항 및/또는 안정성 성능이 악화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비교 대상물인 제7, 8실시예(종래 기술)의 고무 화합물로부터 얻어지고, 70℃에서 상기 두 방사형 내외부층의 탄성계수 E′사이의 비가 상기 범위(1.1~3)밖에 있는 트레드가 제공된 타이어에 대해서, 본 발명의 타이어(제1, 2실시예)에 의해 달성되는 전동저항 및/또는 안정성 성능을 기준으로 할 때 적어도 안전성이 악화될 수 도 있다.
비교 대상물인 제9실시예(종래 기술)의 고무 화합물로부터 얻어지고, 70℃에서 상기 두 방사형 내외부층의 탄성계수 E′사이의 비가 제한값(0.8)보다 큰 타이어에 대해서, 본 발명의 타이어(제1, 2실시예)에 의해 달성되는 전동저항 및/또는 안정성 성능을 기준으로 할 때 안정성, 전동저항 모두가 악화될 수도 있다.
리버전 현상을 나타내는 고무 화합물의 저항에 관한 표 3 및 표 4에 보고된 데이터의 시험은 비교 대상물의 제3, 4실시예 및 무엇보다도 종래 기술에 관련한 상기 제7~9실시예의 고무 화합물은 조정성능을 악화시키면서 본 발명(제1-2실시예)의 고무 화합물로부터 발견되는 리버전값보다도 높은 값을 가짐을 나타낸다.
bts = 방사형 외부층의 고무 화합물
* = 비교 대상물
* = 비교 대상물
bts = 방사형 외부층의 고무 화합물
* = 비교 대상물
= 방사형 내부층의 탄성계수
= 방사형 외부층의 탄성계수
= 방사형 내부층의
= 방사형 외부층의
bts = 방사형 외부층의 고무 화합물
* = 비교 대상물
= 방사형 내부층의 탄성계수
= 방사형 외부층의 탄성계수
= 방사형 내부층의
= 방사형 외부층의
* = 비교 대상물
상기 내용 중에 포함되어 있슴.

Claims (12)

  1. 적어도 하나의 카커스 플라이(3) 둘레를 동일축상에서 감싼 적어도 하나의 벨트층(7)과, 상기 벨트층의 둘레를 동일축상에서 감싸고 지면과 접촉하는 방사형 외부층과 상기 방사형 외부층과 상기 벨트층의 사이에 개재된 방사형 내부층을 포함한 혼합 트레드(10)를 구비한 차량용 저전동 타이어에 있어서;
    70℃에서, 상기 트레드(10)의 방사형 내외부층(11)(12)이 갖는 탄성계수 E′사이의 비가 1.1 ~ 3이고, 상기 두 층이 갖는 tang값의 비는 0.8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저전동저항 타이어.
  2. 제 1 항에 있어서,
    70℃에서, 상기 트레드(10)의 방사형 내외부층(11)(12)이 갖는 탄성계수 E′사이의 비는 1.2 ~ 2.5이고, 상기 두 층이 갖는 tang값 사이의 비는 0.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저전동저항 타이어.
  3. 제 1 항에 있어서,
    70℃에서, 상기 트레드(10)의 방사형 내부층(11)이 갖는 탄성계수 E′는 5 ~ 14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저전동저항 타이어.
  4. 제 1 항에 있어서,
    70℃에서, 상기 트레드(10)의 방사형 내부층(11)이 갖는 tang의 값은 0.12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저전동저항 타이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형 내부층(11)의 두께와 전체 트레드(10)의 두께비는 0.01 ~ 0.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저전동저항 타이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드(10)의 상기 방사형 내부층(11)은 상기 방사형 내부층이 갖는 탄성계수 값을 증가시키기 위해 선택된 구성 요소의 효과적인 양을 포함하는 고무 화합물을 성형 및 가황처리하여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저전동저항 타이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열경화성 수지와 보강 섬유질, 또는 그 혼합물을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저전동저항 타이어.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드(10)의 방사형 내부층(11)은 0.5 ~ 3phr의 적어도 하나의 반-리버전 작용제(anti-reversion agent)를 포함하는 고무 화합물을 성형 및 가황처리하여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저전동저항 타이어.
  9. 방사형 내외부층(11)(12)을 구비한 차량용 타이어의 혼합 트레드에 있어서,
    70℃에서, 상기 방사형 내외부층(11)(12)의 탄성계수 E′사이의 비가 1.1 ~ 3이고, 상기 두 층의 tang값 사이의 비가 0.8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타이어의 혼합 트레드.
  10. 적어도 하나의 벨트층(7)의 주위에 상기 제 9 항에 따른 트레드(10)를 환상으로 제공하는 단계와, 가황 처리함에 의해 상기 트레드(10)를 상기 벨트층(7)에 결합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차륜용 타이어의 제조공정.
  11. 적어도 하나의 벨트층(7)의 주위에 상기 제 9 항에 따른 트레드(10)를 환상으로 제공하는 단계와,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트레드(10)를 상기 벨트층(7)에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륜용 폐타이어의 재생공정.
  12. 적어도 하나의 카커스 플라이(3) 둘레를 동일축상에서 감싼 적어도 하나의 벨트층(7)과, 상기 벨트층의 둘레를 동일축상에서 감싸고 지면과 접촉하는 방사형 외부층과 상기 방사형 외부층과 상기 벨트층의 사이에 개재된 방사형 내부층을 포함한 혼합 트레드(10)가 제공된 타이어의 내마모 증가가 방법에 있어서,
    상기 트레드에는 제 9 항에 따른 트레드가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의 내마모 증가방법.
KR1020000063109A 1999-10-28 2000-10-26 차량용 저전동저항 타이어 KR1006764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99203558.4 1999-10-28
EP99203558 1999-10-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0178A true KR20010040178A (ko) 2001-05-15
KR100676435B1 KR100676435B1 (ko) 2007-01-30

Family

ID=8240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3109A KR100676435B1 (ko) 1999-10-28 2000-10-26 차량용 저전동저항 타이어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EP (1) EP1095795B1 (ko)
JP (1) JP2001171316A (ko)
KR (1) KR100676435B1 (ko)
CN (1) CN1239333C (ko)
AR (1) AR026269A1 (ko)
AT (1) ATE338643T1 (ko)
BR (1) BR0005104B1 (ko)
DE (1) DE60030522T2 (ko)
ES (1) ES2272235T3 (ko)
PT (1) PT1095795E (ko)
TR (1) TR200003118A2 (ko)
TW (1) TW519523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5966A (ko) * 2001-09-24 2003-03-31 금호산업 주식회사 저 회전저항 승용차용 타이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095795B1 (en) * 1999-10-28 2006-09-06 Pirelli Tyre S.p.A. Low rolling resistance tire for vehicles
US7150301B2 (en) 2000-05-30 2006-12-19 Pirelli Pneumatici S.P.A. Motor vehicle tire with low rolling resistance
US20020173577A1 (en) * 2001-03-15 2002-11-21 Deevers Susan Lynn Tire with tread of rubber composition which contains 1,3-bis-(citraconimidomethyhl) benzene or pentaerythritol triacrylate
DE10234391B4 (de) * 2002-07-23 2006-07-20 Ralf Bohle Gmbh Fahrzeugreifen
ATE398029T1 (de) * 2003-04-28 2008-07-15 Pirelli Luftreifen mit mehrschichtiger lauffläch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rselben
WO2005063509A1 (en) * 2003-12-30 2005-07-14 Pirelli Pneumatici S.P.A. Pneumatic tire and process for its manufacture
AU2003300754A1 (en) * 2003-12-30 2005-07-21 Pirelli Pneumatici S.P.A. Tire for vehicles
JP4500075B2 (ja) * 2004-03-22 2010-07-14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FR2886215A1 (fr) * 2005-05-24 2006-12-01 Michelin Soc Tech Pneumatique pour deux roues
JP5052040B2 (ja) * 2006-05-23 2012-10-17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空気入りタイヤ
JP4263232B2 (ja) * 2006-11-01 2009-05-13 横浜ゴム株式会社 高速耐久性能に優れる空気入りタイヤ
JP2010159374A (ja) * 2009-01-09 2010-07-22 Sumitomo Rubber Ind Ltd テキスタイルコード被覆用ゴム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タイヤ
MX336255B (es) * 2011-04-28 2016-01-13 Pirelli Proceso y planta para construir llantas para ruedas de vehiculo.
US9074321B2 (en) * 2013-09-24 2015-07-07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Fibrous pulp and use thereof in a composite
CN109719439B (zh) * 2019-01-08 2021-04-13 南通理工学院 一种3d打印的管道外壁焊接模拟装置
JPWO2020255450A1 (ko) * 2019-06-20 2020-12-24
JP6699794B1 (ja) * 2019-10-15 2020-05-27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タイヤ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4642B2 (ja) * 1979-03-23 1983-01-27 横浜ゴム株式会社 ラジアルタイヤ
JPS5639904A (en) * 1979-09-01 1981-04-15 Bridgestone Corp Radial tire for passenger car with low rolling resistance
US4381810A (en) * 1981-05-22 1983-05-03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Tire with dual tread compound
JPS58128904A (ja) * 1982-01-26 1983-08-01 Sumitomo Rubber Ind Ltd 複合トレツドを備えた重車両用ラジアルタイヤ
JPS6061312A (ja) * 1983-09-16 1985-04-09 Yokohama Rubber Co Ltd:The 乗用車用ラジアルタイヤ
JPH0684121B2 (ja) * 1983-11-29 1994-10-26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高速操縦安定性に優れる乗用車用ラジアルタイヤ
JPS6248739A (ja) * 1985-08-27 1987-03-03 Bridgestone Corp 高速走行に適した高グリツプトレツドゴム組成物
JPS62113604A (ja) * 1985-11-11 1987-05-25 Bridgestone Corp 二輪車用前輪タイヤ
CA2111349C (en) * 1992-12-14 2003-05-06 Yuichi Saito Radial tires
US5576104A (en) * 1994-07-01 1996-11-19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Elastomers containing partially oriented reinforcing fibers, tires made using said elastomers, and a method therefor
CA2140999A1 (en) * 1994-11-07 1996-05-08 Jennifer Leigh Gabor Triplex tread
JP3529942B2 (ja) * 1996-06-11 2004-05-24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ゴム組成物の製造法およびこの方法により製造したゴム組成物を使用した重荷重用空気入タイヤ
KR100624121B1 (ko) * 1998-12-21 2006-09-19 피렐리 타이어 소시에떼 퍼 아찌오니 타이어용 이중 구조 트레드 밴드
EP1095795B1 (en) * 1999-10-28 2006-09-06 Pirelli Tyre S.p.A. Low rolling resistance tire for vehicles
US6516847B1 (en) * 1999-10-28 2003-02-11 Pirelli Pneumatici S.P.A. Low rolling resistance tire for vehicles having a composite trea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5966A (ko) * 2001-09-24 2003-03-31 금호산업 주식회사 저 회전저항 승용차용 타이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1171316A (ja) 2001-06-26
CN1239333C (zh) 2006-02-01
BR0005104A (pt) 2001-06-19
BR0005104B1 (pt) 2011-10-18
EP1095795A1 (en) 2001-05-02
EP1095795B1 (en) 2006-09-06
DE60030522D1 (de) 2006-10-19
ES2272235T3 (es) 2007-05-01
CN1298811A (zh) 2001-06-13
PT1095795E (pt) 2006-12-29
KR100676435B1 (ko) 2007-01-30
DE60030522T2 (de) 2007-04-12
TR200003118A3 (tr) 2001-05-21
TR200003118A2 (tr) 2001-05-21
TW519523B (en) 2003-02-01
AR026269A1 (es) 2003-02-05
ATE338643T1 (de) 2006-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6435B1 (ko) 차량용 저전동저항 타이어
EP1818188B1 (en) Tire with circumferential rubber tread having a lateral outboard control element
US6761198B2 (en) Pneumatic tire having lug and groove configuration extending from tread over at least 30% of sidewall
CA1113357A (en) Radial-ply tire
CA2491190C (en) Tire with rubber tread of circumferential zones with graduated physical properties
CA1120843A (en) Pneumatic radial tires for passenger cars having a low rolling resistance
KR100973542B1 (ko) 캡과 베이스 구조의 트레드 밴드를 구비한 차륜용 타이어
US6516847B1 (en) Low rolling resistance tire for vehicles having a composite tread
US20020011293A1 (en) Tire with reinforced rubber sidewall
EP1897702A1 (en) Tire with tread having an outer cap layer and underlying transition layer containing corncob granules
JP5149587B2 (ja) サイドウォールインサートを有するタイヤ
JP4732666B2 (ja) 低転がり抵抗性の自動車用タイヤ
KR20150046740A (ko) 멀티-트레드 캡을 갖는 공기압 타이어
US6646066B2 (en) Rubber composition containing a thermoplastic polymer and tire sidewall component or tire support ring comprised of such rubber composition
US20070062624A1 (en) Method for improving the grip of a tyre on a snowy and/or icy road, and a winter tyre
EP2329965B1 (en) Pneumatic tire
US7150301B2 (en) Motor vehicle tire with low rolling resistance
EP1257428B1 (en) Motor vehicle tyre with an antiabrasive band capable of reducing its rolling resistance
JP3725274B2 (ja) 重荷重用空気入りタイヤ
JPH06200076A (ja) タイヤ
US7025103B2 (en) Tire for a vehicle wheel having an antiabrasive band
KR0178990B1 (ko) 고무 블렌드 및 이로 구성된 트레드를 갖는 타이어
JPH06234303A (ja) ラジアルタイヤ
MXPA99008382A (en) Tires with floor components and / or side wall reinforced with si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9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