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39705A - 비지니스지원장치 및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비지니스지원장치 및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39705A
KR20010039705A KR1020000038637A KR20000038637A KR20010039705A KR 20010039705 A KR20010039705 A KR 20010039705A KR 1020000038637 A KR1020000038637 A KR 1020000038637A KR 20000038637 A KR20000038637 A KR 20000038637A KR 20010039705 A KR20010039705 A KR 200100397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business
worksheet
information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86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츠즈키 타다오
Original Assignee
타다오 마츠즈키
가부시키가이샤 날리지 모델링 겐큐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다오 마츠즈키, 가부시키가이샤 날리지 모델링 겐큐쇼 filed Critical 타다오 마츠즈키
Publication of KR200100397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9705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대규모, 최고속의 누계처리기능을 구비한 컴퓨터를 실현한 비지니스지원장치, 비지니스지원방법, 비지니스지원데이터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자기의 기기는 네트워크를 통해서 통신상대의 기기에 접속되어 있고, 자기의 데이터저장부에 통신상대의 장치의 데이터저장부와 동일한 데이터구조를 가진다. 자기 기기는 자기 데이터저장부의 데이터가 갱신된 경우, 통신상대에 대해서 갱신된 데이터와 그 저장위치를 알려주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송신처리수단과, 통신상대로부터 갱신된 데이터와 그 저장위치를 알려주는 데이터를 받은 경우에는 상기 자기의 데이터저장부의 데이터를 보내온 데이터로 바꿔쓰는 수신처리수단을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비지니스지원장치 및 기록매체{BUSINESS SUPPORT SYSTEM AND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은 비지니스지원장치, 비지니스지원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비지니스의 범위가 세계적으로 확대되어 왔다. 통신네트워크에서의 최근의 발달은 광범위한 지역으로의 데이터전송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게다가 컴퓨터기술에서의 최근의 발전은 데이터전송의 효과적인 사용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1) 한편 비지니스의 분야에서, 예를 들면 상품의 매출실적, 재고관리 등의 데이터항목은 신속하게 파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종래의 비지니스접근방식에서는 개개의 전문분야(회계부문, 영업부문, 제조부문 등)에서 독자적으로 데이터를 관리하고 있기 때문에, 관리정보를 집약시키기 위해서는 매우 긴 시간이 걸린다.
(2) 오늘날, 거의 모든 업종에서 컴퓨터가 사용되고 있다. 일부 종래의 단일업종은 여러 종류의 다각적인 업종으로 전환하고 있다. 또한 회사경영이 자주 변화고 회사구조가 빈번하게 변화하고 있다.
새로운 회사가 설립되거나 회사조직이 변경될 때마다 컴퓨터의 소프트웨어가 변경되거나 새로운 컴퓨터가 도입되어야 하므로 막대한 비용이 소모되는 결과를 가지고 온다.
따라서 항목 (1)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대규모, 최고속의 누계처리기능을 가진 컴퓨터를 실현한 비지니스지원장치, 비지니스지원방법, 비지니스지원데이터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어느 마이크로컴퓨터단말이 고장나도 그 데이터가 다른 컴퓨터에서 보상되기 때문에 신뢰성이 높은 비지니스지원장치, 비지니스지원방법, 비지니스지원데이터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네트워크 상에 새로운 마이크로컴퓨터가 추가된다 해도, 즉시 과거의 데이터축적이 가능한 비지니스지원장치, 비지니스지원방법, 비지니스지원데이터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항목 (2)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컴퓨터를 이용하는 회사나 조직에 대해서 쉽게 적용할 수 있도록 구입한 컴퓨터를 설정할 수 있는 비지니스지원장치 및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프로그램언어(예를 들면 코볼 또는 포트란)의 기록을 의식하지 않고, 사용되는 전표나 문서양식을 선택해서 단순히 데이터를 입력함으로써 그 데이터에 대한 목적하는 처리를 할 수 있도록 한 비지니스지원방법 및 장치 및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데이터를 받아들이는 전표나 문서양식이 입력데이터의 의미나 내용을 자동적으로 이해해서 처리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컴퓨터를 사용하는 회사나 조직에서 회사조직이 변경된 경우 또는 업무나 업종이 변경되거나 추가된 경우에도 사용 중인 컴퓨터를 용이하게 적응시킬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는 비지니스지원장치 및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1) 상기 목적은 네트워크를 통해서 통신상대의 기기에 접속되어 있고, 자기의 데이터저장부에 통신상대의 장치의 데이터저장부와 동일한 데이터구조를 가지는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기기는 자기 데이터저장부의 데이터가 갱신된 경우 통신상대에 대해서 갱신된 데이터와 그 저장위치를 알려주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송신처리수단과, 통신상대로부터 갱신된 데이터와 그 저장위치를 알려주는 데이터를 받은 경우에는 상기 자기의 데이터저장부의 데이터를 받은 데이터로 바꿔쓰는 수신처리수단을 가지는 비지니스지원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은 업무상 사용되는 기능모델의 블럭이 선택되고, 상기 기능모델에서 사용되는 각종의 정보전달 및 수리구조체(워크시트)가 표시되고, 이 정보전달 및 수리구조체는 데이터가 실제로 입력되는 목적으로 사용됨으로써 자동적으로 상기 기능모델의 정보전달 및 수리네트워크가 구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2) 상기 목적은 비지니스에서 통합되어 조직되는 복수의 비지니스기능블럭의 항목을 가지며, 호출조작에 의해 비지니스기능블럭의 항목에 대한 메뉴를 표시하는 제1표시수단; 상기 비지니스기능블럭의 조직에서 행해지는 작업항목을 분류해서 가지며, 상기 작업항목은 비지니스상에서 의미를 가지고 그 내용을 시사하는 작업명을 가지는 방식으로 이름이 부여되고 또한 작업데이터 등을 입력하는 워크시트로서 정의되어 있고, 상기 제1표시수단에서 표시된 상기 비지니스기능블럭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된 경우, 선택된 기능블럭에 포함되는 작업항목에 대한 메뉴를 표시하는 제2표시수단; 상기 제2표시수단에서 표시된 상기 작업항목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된 경우, 그 항목에 대응하는 워크시트를 표시하는 제3표시수단; 및 상기 제3표시수단에 표시된 워크시트에 입력데이터를 겹쳐 표시할 뿐만 아니라, 상기 워크시트에 포함된 정보전달처에 갱신정보를 공급하는 연동제어수단을 포함하는 비지니스지원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과 장점들은 다음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개시될 것이고, 일부는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자명하거나 본 발명을 실시함으로써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과 장점들은 하기에 특히 지적된 수단과 조합에 의해서 실현되고 얻어질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셀의 기본구조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b는 상기 셀의 X축 파라미터의 설명도.
도 2는 상기 셀의 Y축 파라미터의 설명도.
도 3은 상기 셀의 Z축 파라미터의 설명도.
도 4는 판매전표의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5는 데이터 억세스 컨트롤 셀, 지적 데이터셀 및 디스플레이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6은 데이터 억세스 컨트롤 셀과 지적 데이터셀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7은 매출전표의 변천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8은 매출전표의 변천을 더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다른 설명도.
도 9는 본 발명에 관한 셀의 G축방향의 설명도.
도 10은 G축방향의 데이터의 이용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1은 판매업무의 사무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12는 구매업무의 사무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13은 본 발명에 관한 컴퓨터가 네트워크에 접속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4는 본 발명에 관한 컴퓨터의 내부구성의 요부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5는 본 발명의 장치에 관한 통신수단에서 데이터 송신처리의 예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도 16은 통신수단에서 수신처리의 예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도 17은 매출전표의 수집방법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8은 G축방향으로 배열된 본 발명에 관한 셀을 나타내고, 본 발명의 장치의 다른 이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9는 본 발명에 관한 셀의 컨트롤부와 그 컨트롤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내는 도면.
도 20은 본 발명에 관한 컴퓨터단말을 구입한 때 사용자가 초기설정하는 경우의 흐름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21a 및 21b는 본 발명에 관한 컴퓨터단말에서 사원대장을 작성하는 경우의 표시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2는 본 발명에 관한 컴퓨터단말에서 급여명세서를 작성하는 경우의 표시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단말에서 사원대장의 데이터구조의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단말에서 사원대장과 급여명세서의 관련처리가 행해지는 경우의 동작예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단말에서 급여명세서의 데이터구조의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단말에 보고되는 각 사원에 대한 급여대장의 데이터구조의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단말에서 급여지급액의 전표를 처리하는 순서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나타내는 설명도.
도 28a 및 28b는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단말에 영업부대장의 데이터구조의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29는 본 발명에 따른 비지니스지원장치에서 사용된 비지니스기능블럭의 체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30a 및 30b는 도 29의 체계에서 각 비지니스기능블럭의 내용과 이 기능블럭 내에서 사용되는 전표류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1은 도 30b의 나머지 부분을 더 나타내는 도면.
도 32는 본 발명에 따른 비지니스지원장치의 기본개념을 나타내는 도면.
도 33은 본 발명에 따른 비지니스지원장치의 초기설정을 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도 34a, 34b 및 34c는 본 발명에 따른 비지니스지원장치의 메뉴화면에 나타나는 비지니스기능블럭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5a 및 35b는 도 34a, 34b 및 34c에 나타내는 기능블럭의 지식경영모델이 선택된 경우에 표시되는 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6a 및 36b는 도 35a 및 35b의 공장경영패널을 선택해서 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7은 도 35a 및 35b의 생산라인패널을 선택해서 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8a 및 38b는 도 35a 및 35b의 점포경영패널을 선택해서 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9는 도 35a 및 35b의 점포식품가공패널을 선택해서 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0은 도 35a 및 35b의 기업그룹경영패널을 선택해서 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1은 도 35a 및 35b에서 항목 '상품수주'를 선택한 경우에 표시되는 각종 전표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2는 도 35a 및 35b에서 항목 '상품발주'를 선택한 경우에 표시되는 각종 전표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3은 도 35a 및 35b에서 항목 '상품재고'를 선택한 경우에 표시되는 각종 전표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4는 도 34a, 34b 및 34c에서 항목 '재무'를 선택한 경우에 표시되는 각종 전표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5는 도 34a, 34b 및 34c에서 항목 '회계'를 선택한 경우에 표시되는 각종 전표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6은 도 34a, 34b 및 34c 또는 40에서 항목 '연결경영'을 선택한 경우에 표시되는 각종 전표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0 : 데이터억세스컨트롤셀 2000 : 지적 데이터셀
3000 : 셀컨트롤부 4000 : 디스플레이
이하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1) 본 발명의 비지니스지원장치는 담당자 개인단위의 총매출, 과단위의 총매출, 부단위의 총매출, 지사단위의 총매출, 회사의 총매출상황을 즉시 표시할 수 있다.
(2) 또한 본 발명의 비지니스지원장치는 상품별 담당자 개인단위의 매출, 상품별 과단위의 매출, 상품별 부단위의 매출, 상품별 지사단위의 매출, 상품별 회사의 매출상황을 즉시 표시할 수 있다.
(3) 또한 본 발명의 비지니스지원장치는 담당자 개인단위의 총발주 또는 수주, 과단위의 총발주 또는 수주, 부단위의 총발주 또는 수주, 지사단위의 총발주 또는 수주, 회사의 총발주 또는 수주상황을 즉시 표시할 수 있다.
(4) 또한 본 발명의 비지니스지원장치는 담당자 개인단위의 상품별 발주 또는 수주, 과단위의 상품별 발주 또는 수주, 부단위의 상품별 발주 또는 수주, 지사단위의 상품별 발주 또는 수주, 회사단위의 상품별 발주 또는 수주상황을 즉시 표시할 수 있다.
(5) 또한 본 발명의 비지니스지원장치는 담당자 개인단위의 총회수(회수가능한 금액과 회수된 금액을 포함), 과단위의 총회수(회수가능한 금액과 회수된 금액을 포함), 부단위의 총회수(회수가능한 금액과 회수된 금액을 포함), 지사단위의 총회수(회수가능한 금액과 회수된 금액을 포함), 회사의 총회수(회수가능한 금액과 회수된 금액을 포함)상황을 즉시 표시할 수 있다.
(6) 또한 본 발명의 비지니스지원장치는 상품별 담당자 개인단위의 회수(회수가능한 금액과 회수된 금액을 포함), 상품별 과단위의 회수(회수가능한 금액과 회수된 금액을 포함), 상품별 부단위의 회수(회수가능한 금액과 회수된 금액을 포함), 상품별 지사단위에서의 회수(회수가능한 금액과 회수된 금액을 포함), 상품별 회사의 회수(회수가능한 금액과 회수된 금액을 포함)상황을 즉시 표시할 수 있다.
(7) 또한 본 발명의 비지니스지원장치는 거래상대별 담당자 개인단위의 회수(회수가능한 금액과 회수된 금액을 포함), 거래상대별 과단위의 회수(회수가능한 금액과 회수된 금액을 포함), 거래상대별 부단위의 회수(회수가능한 금액과 회수된 금액을 포함), 거래상대별 지사단위의 회수(회수가능한 금액과 회수된 금액을 포함), 거래상대별 회사의 회수(회수가능한 금액과 회수된 금액을 포함)상황을 즉시 표시할 수 있다.
(8) 또한 본 발명의 비지니스지원장치는 담당자 개인단위의 총미수, 과단위의 총미수, 부단위의 총미수, 지사단위의 총미수, 회사의 총미수상황을 즉시 표시할 수 있다.
(9) 또한 본 발명의 비지니스지원장치는 상품별 담당자 개인단위의 미수, 상품별 과단위의 미수, 상품별 부단위의 미수, 상품별 지사단위의 미수, 상품별 회사의 미수상황을 즉시 표시할 수 있다.
(10) 또한 본 발명의 비지니스지원장치는 거래상대별 담당자 개인단위의 미수, 거래상대별 과단위의 미수, 거래상대별 부단위의 미수, 거래상대별 지사단위의 미수, 거래상대별 회사의 미수상황을 즉시 표시할 수 있다.
(11) 또한 본 발명의 비지니스지원장치는 담당자 개인단위의 밸런스시트, 과단위의 밸런스시트, 부단위의 밸런스시트, 지사단위의 밸런스시트, 회사단위의 밸런스시트를 즉시 표시할 수 있다.
(12) 또한 본 발명의 비지니스지원장치는 담당자 개인단위의 총판매수량, 과단위의 총판매수량, 부단위의 총판매수량, 지사단위의 총판매수량, 회사의 총판매수량상황을 즉시 표시할 수 있다.
(13) 또한 본 발명의 비지니스지원장치는 상품별 담당자 개인단위의 판매수량, 상품별 과단위의 판매수량, 상품별 부단위의 판매수량, 상품별 지사단위의 판매수량, 상품별 회사의 판매수량상황을 즉시 표시할 수 있다.
(14) 또한 본 발명의 비지니스지원장치는 거래상대별 담당자 개인단위의 판매수량, 거래상대별 과단위의 판매수량, 거래상대별 부단위의 판매수량, 거래상대별 지사단위의 판매수량, 거래상대별 회사의 판매수량상황을 즉시 표시할 수 있다.
(15) 또한 본 발명의 비지니스지원장치는 과단위의 상품재고정보, 부단위의 상품재고정보, 지사단위의 상품재고정보, 회사단위의 상품재고정보를 즉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예는 대표적인 예를 나타낸 것이고, 본 발명의 비지니스지원장치는 각종 데이터분석이나 비지니스의 실적상황 및 장래의 상황판단을 하기 위하여 유용한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16)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또는 기록매체를 구입한 후 컴퓨터시스템을 초기설정하는 경우, 컴퓨터 또는 기록매체를 사용자가 원하는 경영조직 또는 회사조직에 용이하게 적합화시킬 수 있다. 이 적합화작업은 메뉴화면에 표시되는 항목 중에서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항목을 선택하고 워크시트(전표, 문서양식, 또는 대장)에 데이터를 실제로 입력하면 된다.
(17) 또한 본 발명의 장치를 이용하면, 각 사용자가 소유하는 컴퓨터와 다른 사용자가 소유하는 컴퓨터 사이의 데이터전송 및 교환이 촉진되고, 지점들 사이 또는 회사들 사이의 발주, 수주처리가 고속으로 이루어진다. 이것은 본 발명의 전체 시스템이 다음의 항목 (a) 내지 (e)에서와 같이 구성되기 때문이다: (a) 비지니스 상에서 통합되어 조직되는 기능블럭의 항목은 미리 분류되어 있다; (b) 기능블럭의 각 조직에서 행해지는 작업항목은 미리 분류되어 있다; (c) 작업항목명은 비지니스 상에서 의미를 가지고, 각 작업의 내용을 시사하도록 분류되어 있다; (d) 대응하는 항목은 작업데이터가 입력되는 워크시트로 정의된다; (e) 상기 분류는 전체 단말이 공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기본적인 데이터구조를 가진 셀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 셀은 데이터억세스컨트롤셀이다. 본 발명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셀이 정의되지만, 1개의 대표적인 셀만 설명한다.
도 1a에서, 데이터억세스컨트롤셀은 전표용의 셀이다. 3개의 축을 사용하여 후술하는 데이터셀을 억세스할 수 있다.
상기 X축, Y축의 파라미터를 설정함으로써, 그 파라미터에서 결정되는 어드레스에 저장된 전표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회사(a)의 부문(b)의 담당자(c)가 동(d)에서 판매한 상품의 전표가 표시될 수 있다.
특히 도 1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데이터구조에서 원하는 전표나 테이블의 내용을 보고싶은 경우에는 X, Y, Z축의 파라미터와 G축의 파라미터를 부여하기만 하면 된다. G축의 파라미터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X축 파라미터 = X(x1(), x2(), x3(), …)
Y축 파라미터 = Y(y1(), y2(), y3(), …)
Z축 파라미터 = Z(z1(), z2(), z3(), …)
G축 파라미터 = G(…-g2(), -g1(), g0(), +g1(), +g2(), …)
X축 파라미터에서 파라미터 x0을 부여하면, 지역(북미, 남미대륙, 아시아, 유럽, 오스트레일리아 등)의 테이블이 디스플레이에 표시된다. 이 중에서 파라미터 x1()의 () 안에 지정숫자를 넣으면 지역이 특정된다. 다음으로 그 지역(예를 들면 아시아)의 국가의 테이블이 디스플레이에 표시된다. 여기서 x2()의 () 안을 지정숫자로 채우면 국가를 특정하게 된다. x3()의 () 안을 지정숫자로 채우면 주를 특정하게 된다. 이하 같은 식으로 () 안을 채우면 동까지 특정할 수 있다.
국가의 지정에서 마치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x3() 이후의 () 안에 0을 입력하면 된다. 선택적으로 X축 지정 OK의 조작을 함으로써 그 때의 선택상태에서 변하지 않을 수 있다.
Y축 파라미터에서 y0을 입력하면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y1()의 계층분류(회사, 단체, 그룹) 테이블이 표시된다. 여기서 y1()의 () 안을 숫자 등으로 채우면 회사, 단체, 그룹을 특정할 수 있다. 회사가 지정되면, y2()의 계층에서 사용자의 자사/타사의 분류테이블이 표시된다. 여기서 y2()의 () 안을 숫자 등으로 채우면 사용자의 자사 또는 타사 중 하나를 특정할 수 있다. 그 다음에 y3()의 계층에서 본사/지사의 분류테이블 또는 지사의 분류테이블이 표시된다. 만일 본사를 선택했다면, y4()의 계층으로 되어 부문의 분류테이블이 표시된다. 여기서 y4()의 ()에 지정숫자를 입력함으로써 부문이 특정된다. 이와 유사하게 계층 y5(), y6(), y7()의 ()에 지정숫자를 입력하면, 담당자를 지정할 수 있다.
Z축 파라미터에서 z0를 부여하면,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워크시트(예를 들면 전표)의 종류가 표시된다. 워크시트는 각종 전표, 총계시트 및 분석시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각종 전표, 대장 및 문서양식, 및 테이블을 포함하는 비지니스에서 사용되는 기입용지를 워크시트라 부른다. 여기서 z1()의 계층에서 () 안에 전표코드를 써넣음으로써 전표의 종류를 특정하고, z2()의 () 안에 상품코드를 써넣음으로써 특정상품을 위한 전표의 종류를 특정한다. 이 상태에서, 예를 들면 지정된 전표가 매출전표이고, 상품이 판매출품 A라면, 매출수량, 단가 등이 표시된다. 이 경우 X축과 Y축 파라미터가 부여되면 지역단위 혹은 담당자단위에서의 상품 α의 매출전표가 표시될 수 있다.
상품을 특정하는 것만이 아니라, z3()의 계층에서 상대방을 지정할 수 있다. 이 지정에 의해서, 예를 들면 담당자 A1이 상품 α를 어느 회사에 어느 정도 판매했는지를 표시할 수 있다. 복수형태의 상품을 특정할 수도 있다.
Z축에서 상품선택파라미터를 먼저 지정하고, 다음으로 전표파라미터를 지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계층구조는 담당자가 판매를 한 경우의 데이터를 입력하는데도 사용된다. 예를 들면, 담당자가 판매를 하고 상품을 지정하면, 그 상품에 대해서 사용되는 전표테이블이 표시된다. 상품이 판매된 경우, 매출전표, 수주전표, 회수예정전표, 판매수량전표 등이 선택된다.
G축 파라미터에서 () 안에 체크마크를 넣으면 기간이 지정된다. 예를 들면 …-g2(), -g1() 및 g0()의 각각에서 () 안에 체크마크를 넣으면 2일 전부터 오늘까지를 지정하게 된다. g0()의 () 안에만 체크마크를 넣으면 오늘만 지정하는 것으로 된다. +g3()의 () 안에만 체크마크를 넣으면 3일 후만의 데이터상황의 검사를 지정하게 된다. G축 파라미터의 사용예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상기한 바와 같은 데이터구조를 취하고, 본점과 지점간, 본사와 지사간, 또는 본사와 그룹 각 사 간 공유데이터의 순차적 송수신을 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송수신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데이터억세스컨트롤셀이 가지는 정보는 다양한 어드레스를 포함한다. 그 어드레스에 의해서, 다른 데이터셀에 저장되는 실데이터가 지정된다. 또한 그 어드레스에 의해 지정된 다른 데이터셀 내에 실데이터를 써넣을 수 있다.
컨트롤셀이 어드레스정보를 사용하여 구성되는 이유는 그러한 구성이 전체메모리크기를 더 작게 만들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컨트롤셀은 활동헤더로서 기능할 수 있다. 이것은 컨트롤셀이 후술되는 갱신플래그(flag)에 대한 어드레스와 갱신플래그전송처 어드레스를 포함하기 때문이다. 많은 마이크로컴퓨터들이 본 발명의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에, 한 컴퓨터에서만 컨트롤셀을 꺼내서 다른 컴퓨터에서 사용하는 경우에도, 다른 컴퓨터의 실데이터는 억세스될 수 있다. 통신수단을 통한 컨트롤셀의 어드레스의 전송은 먼 곳에 위치한 사용자의 컴퓨터 내의 실데이터가 억세스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전표의 정보는 본 시스템에서 달성되는 일차누계처리기능(日次累計處理機能)을 구비하고 있다. 이것은 관련기업과 본사 사이 또는 지사들 사이에서의 연결결제를 할 수 있게 할뿐만 아니라 사용자에게 비지니스지원을 할 수 있다.
도 4는 어느 담당자가 상품을 판매하고, 워크시트(예를 들면 판매전표)에 데이터를 기록한 경우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4는 판매전표이다. 예를 들면 Z축 파라미터를 부여함으로써 도 3의 전표 테이블에서 선택된다. 선택된 전표는 화면에 표시되고, 기입되어야 할 항목이 공백으로 되어 있다. Y축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담당자를 지정하면, 담당자란에는 자동적으로 담당자명이 표시된다.
판매전표는 보통 판매당일에 사용된다. 따라서 판매일에 자동적으로 당일의 날짜가 기록된다. 담당자는 거래처의 코드(거래코드), 또는 구매자가 등록되어 있지 않은 개인고객이면 개인고객부정코드를 부여한다. 다음으로 판매된 상품의 상품코드, 수량, 단가를 입력하면, 합계금액이 표시된다.
여기서 입금이 있었는지의 설정이 이루어진다. 그날 입금이 있으면 YES 마크를 체크하면 데이터입력이 종료된다. 입금이 되지 않은 경우에는 회수예정일이 입력된다. 또한 신용카드에 의해 지불된 경우에는 그 번호가 입력된다. 입력데이터를 확정하기 위하여 OK가 클릭된다. 또한 하나 이상의 상품이 판매된 경우에는 다음페이지의 전표가 표시된다.
상기와 같이 입력된 데이터는 후술하는 지적 데이터셀에 저장된다.
도 5는 상술한 데이터억세스컨트롤셀(1000)과 지적 데이터셀(2000), 및 셀컨트롤부(3000), 디스플레이부(4000), 조작부(5000)와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디스플레이부(4000)는 디스플레이제어부를 통해서 제어되지만, 도면에서는 생략되어 있다.
데이터억세스컨트롤셀(1000)에서, X, Y, Z의 파라미터가 지정되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전표가 디스플레이에 표시되어, 판매업무에 관한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도 4의 판매전표를 대표적인 예로서 설명한다. X, Y, Z 및 G축에 파라미터를 입력하기 위한 화면이 디스플레이(4000)에 표시되도록 한다. 이 화면으로부터, 파라미터를 입력함으로써 셀컨트롤부(3000)를 통해서 컨트롤셀(1000)에 파라미터를 부여한다. 그러면 컨트롤셀(1000)은 셀컨트롤부(3000)를 통해서 지적 데이터셀(2000)의 판독어드레스를 지정한다. 결과적으로, 디스플레이(4000)에는 지정된 데이터입력용 전표화면이 표시된다. 여기서 사용자는 조작부(5000)의 키보드를 조작하여, 필요한 데이터를 전표에 기입하고 종료한다. 그러면 기입된 데이터는 셀컨트롤부(3000)를 통해서 지적 데이터셀에 기입된다.
지적 데이터셀(2000)은 전표 레이아웃화상데이터를 저장한 영역(2001)과, 전표의 공란에 기록되어야 할 수치나 문자 등의 데이터를 저장한 영역(2002)을 포함한다. 컨트롤셀(1000)은 또한 지적 데이터셀(2000) 내의 판독어드레스의 역할도 하는 데이터항목을 발생시킨다.
도 6과 7은 컨트롤셀 내에 준비되어 있는 내부처리기능을 나타내고 있다.
지금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담당자가 매출정보를 판매전표에 입력했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이 매출정보는 차례차례로 과의 데이터, 부의 데이터, 부문의 데이터, 회사의 데이터로서 취급된다. 따라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판매전표에는 매출합계를 나타내는 금액(MT)을 저장하기 위한 어드레스, 판매수량의 합계를 나타내는 수량(NT)을 저장하기 위한 어드레스, 단가를 저장하기 위한 어드레스, 계산식을 저장하기 위한 어드레스, 담당자가 상품을 판매한 경우 입력한 금액을 나타내는 금액(MS)을 저장하기 위한 어드레스, 담당자가 판매시에 입력한 수량을 나타내는 수량(NS)을 저장하기 위한 어드레스, 갱신플래그를 저장하기 위한 어드레스, 갱신플래그가 전송되는 전송처에 대한 어드레스가 부수하고 있다. 이들 실데이터항목은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지적 데이터셀에 저장되어 있다.
지금 담당자가 금액(MS)과 수량(NS)을 입력하고, 도 4의 화면에서 OK의 조작을 했다고 하면, 갱신플래그가 예를 들면 "1"로 설정된다. 그러면 MT←MT+MS 및 NT←NT+NS의 지정계산식을 사용하여 금액(MT), 수량(NT)에 대한 계산이 행해진다. 이러한 방식으로 갱신처리가 수행된다. 갱신처리 후에 갱신플래그, 금액(MS) 및 수량(NS)의 실데이터는 지워진다. 그리고 나서 갱신플래그는 미리 설정되어 있는 갱신플래그전송처(어드레스)에 기록된다.
컨트롤셀(1000)은 갱신플래그를 정기적으로 판독하고, 갱신플래그가 "1"인 경우에는 상기와 같이 데이터를 갱신한다.
도 7은 상술한 갱신플래그와 갱신플래그가 전송되는 전송처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지금 4사람의 담당자 A, B, C, D(같은 과)가 상품 α와 β를 판매하고, 판매전표에 데이터를 입력했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각 담당자 A, B, C, D의 갱신플래그의 전송처는 과의 매출전표(1011), 과의 상품별매출전표(1021)(1031), 과재고관리전표(대장)(1041)(1051)이다. 따라서 과의 매출전표에서는 각 담당자로부터의 금액(MT)을 금액(MS)으로 인식하여 과의 매출금액(MT)을 작성한다. 과의 매출전표(1011)에서는 부의 매출전표(1012)의 어드레스가 전송처로 기록되어 있다. 따라서 부의 매출전표(1012)에서는 각 과로부터의 금액(MT)을 금액(MS)으로 인식하여 부의 매출금액(MT)을 작성한다(MT←MT+MS). 이와 유사하게, 회사의 매출전표(1013)에서는 각 부로부터의 금액(MT)을 금액(MS)으로 인식하여 회사의 매출금액(MT)을 작성한다(MT←MT+MS).
거래처별 매출전표에서도 상술한 내용과 같은 갱신처리가 행해진다.
전표(1021)(1022)(1023)의 계통은 상품 α의 매출전표이고, 각 과, 각 부 및 각 회사에 대한 매출정보를 자동적으로 작성한다. 전표(1031)(1032)(1033)의 계통은 상품 β의 매출전표이고, 각 과, 각 부 및 각 회사의 매출정보를 자동적으로 작성한다. 전표(1041)(1042)(1043)의 계통은 상품 α의 재고관리전표이고, 각 과, 각 부 및 각 회사의 재고처리정보를 자동적으로 작성한다. 전표(1051)(1052)(1053)의 계통은 상품 β의 재고관리전표이고, 각 과, 각 부 및 각 회사의 재고관리정보를 자동적으로 작성한다.
데이터입력모드나 정정모드에 의해 임의의 계산식이 선택된다. 정정모드에서는, 정정되는 내용에 따라서 예를 들면 감산처리나 가산처리가 행해진다.
도 8은 매출전표(1011)(1021)의 계통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내고 있다. 담당자가 판매전표에 데이터를 입력하면, 그 정보는 과의 매출전표로 전달된다. 과의 매출전표(1011)에, 금액(MS)의 저장장소가 각 담당자 A, B, C, D에 대하여 준비되어 있다. 또한 수량(NS)에 대한 저장장소도 각 담당자 A, B, C, D에 대해 준비되어 있다. 또한 갱신플래그에 대한 저장장소도 각 담당자 A, B, C, D에 대해 준비되어 있다.
과의 매출전표(1011)에 관한 제어동작에서, 정기적으로 갱신플래그가 "1"인지를 체크한다. 갱신플래그가 "1"로 설정되면, 이것은 이 갱신플래그 "1"에 대응하는 담당자의 금액(MT)과 수량(NT)이 변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각 대응하는 담당자에 대하여 MT←MT+MS 및 대응하는 담당자에 대하여 NT←NT+NS의 계산이 행해진다. 그러면 그 담당자의 갱신플래그가 "1"에서 "0"으로 변한다. 예를 들면 담당자 A의 판매와 관련된 갱신플래그가 "1"로 설정되면, MT←MT+(MS)A의 계산이 행해진다. 1인 이상의 담당자, 예를 들면 담당자 B, C의 갱신플래그가 "1"로 설정되면, MT←MT+(MS)B+(MS)C라는 계산이 행해진다.
상기와 같이 과의 매출전표(1011)가 갱신된 후, 갱신플래그전송처로 갱신플래그 "1"이 전송된다. 이것에 의해, 부의 매출전표(1012)에서는 금액(MT)과 수량(NT)이 갱신된다. 갱신정보는 회사의 매출전표로 전달된다.
상품 α의 매출전표(1021)(1022)(1023)의 계통에서도 각 과, 각 부 및 각 회사의 매출정보가 자동적으로 작성된다. 상품 β의 매출전표(1031)(1032)(1033)의 계통에서도 각 과, 각 부 및 각 회사의 매출정보가 자동적으로 작성된다.
재고관리전표의 계통에서는, 다른 계산식이 사용된다. 매출전표에서, 금액(MT)은 금액(MS)의 누적결과이다. 재고관리에서는, NT(재고)←NT(재고)-NS(판매수량)의 계산식이 사용된다.
매출 및 재고관리에 관한 예를 설명했지만, 본 시스템은 각종 전표를 준비하고 있고, 또한 상기 설명의 룰에 따라 각종 전표를 추가할 수 있다.
상기한 룰과 같은 방법으로 각 과, 각 부 및 각 회사에 대한 회수전표정보가 즉시 작성된다. 또한 상기한 룰과 같은 방법으로 지불전표의 정보에 관해서도 각 과, 각 부 및 각 회사에 대한 지불전표정보가 즉시 작성된다.
이 회수전표와 지불전표와의 금액을 이용하여 각 과, 각 부 및 각 회사에 대한 밸런스시트를 용이하게 작성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Z축 방향에는 밸런스시트의 정보가 배치되어 있다.
다음으로 G축 방향의 정보 및 그 정보를 이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 5에 나타낸 데이터억세스컨트롤셀과 지적 데이터셀의 세트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매일단위로 준비되어 있다. 예를 들면 g0()는 당일의 셀을 의미하고, -g1()은 전일의 셀을 의미하고, -g2()는 전전일의 셀을 의미하고, +g1()은 내일의 셀을 의미하고, +g2()는 모레의 셀을 의미한다. 실제로 실시스템에서, 1년분 또은 수년분의 셀이 매일단위로 준비되어 있다.
1일분 정보로서 각 셀의 데이터내용을 고정하는 시간은 세계시각에서 결정을 해도 된다. 선택적으로, 각 국 또는 각 지역에서의 임의의 시간으로 설정되어서 각 셀의 데이터내용이 1일분 정보로서 고정되어도 된다.
지금 도 10을 참조해서, 상품 α와 β가 판매된 경우에 회수예정전표(정보)가 작성된 경우의 예를 설명한다. 상품 α가 판매되고 그 금액의 회수예정일이, 예를 들면 3월 15일이라고 하면, 3월 15일의 셀의 회수예정전표에 상품, 담당자 및 구매자의 정보가 회수되어야 할 금액과 함께 기록된다. 또한 회수체크테이블에도 3월 15일의 체크항목으로서 상기 전표번호 등이 기록된다.
3월 15일이 되면, 회수체크테이블에 근거한 회수예정전표의 금액이 판독되어, 대응하는 회수확정전표(금액)가 존재하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대응하는 회수확정전표가 존재하는 경우, 입금전표에 금액정보가 기록된다. 또한 회수체크테이블에서 그 전표번호에 대한 체크항목이 지워진다. 상품 β가 판매되고, 그 판매금액의 회수예정일이 예를 들면 3월 20일이라고 가정하자. 3월 20일이 되면, 회수체크테이블에 근거하여 회수예정전표의 금액이 판독되고, 대응하는 회수확정전표(금액)가 존재하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만일 대응하는 회수확정전표(금액)가 없는 경우, 청구서발행테이블에 대한 청구서가 발행되고, 상품 β에 관한 판매금액의 회수예정일(예를 들면 4월 10일)이 재설정되어, 회수체크테이블에 그 전표번호가 기록된다.
4월 10일이 되면,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회수예정전표가 회수확정전표와 대조된다. 회수확정전표가 연속해서 수회에 걸쳐 없는 않는 경우(미지불의 경우)는 관련전표 및 고객의 리스트가 출력된다.
도 7과 8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각 날짜에 대한 회수예정전표가 축적되어 각 부 및 각 회사에 대한 합계금액이 계산된다. 여전히 미지불안 것은 미수전표에 통합되어 합계금액이 계산되어 있다.
일차누계전표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다.
도 11은 판매업무의 전표처리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거래처에서 주문을 받으면, 영업부문의 담당자는 수주전표에 상품코드나 수주조직코드 등 데이터를 입력한다. 그 결과, 수주전표에 대응하는 납입전표 및 청구전표에 데이터가 입력된다. 한편 경리부문의 재무부에 속하는 전표에서는 수주전표에 대응하는 회수예정전표(1)와 납입예정전표에 대응하는 회수예정전표(2)에 데이터가 입력된다. 또한 청구전표에 대응하는 회수예정전표(3)에도 데이터가 입력된다. 대응하는 수주전표, 납입전표 및 청구전표를 발행할 때, 담당자는 회수예정전표(1),(2),(3)에 회수예정일자를 입력한다. 또한 회수예정전표(1),(2),(3)에 기록되는 상품코드, 수량, 단가, 금액 등은 수주전표, 납입전표 및 청구전표가 발행된 때에 자동적으로 이전되어 있다. 청구전표가 발행된 후 단골거래처에서 지불을 하면, 그 데이터는 출납부의 입금전표에 기록된다. 입금전표에 데이터가 입력된 경우, 회수관리전표에서 대조한다. 입금이 바른 것이면 회수확인전표가 발행된다. 또한 회계부의 분개전표 상에는 미수금회수계상처리가 이루어진다. 또한 회계부에서는 앞의 회수예정전표(2)가 발행된 경우에 분개전표 상에 미수금계상처리가 이루어진다.
데이터가 입력된 경우, 상기 전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일차누계처리된다. 상품코드, 취급담당자의 코드, 조직 코드, 단골거래처 코드 등이 전표에 대응한다.
도 12는 구매업무의 전표처리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도 11은 수주가 있은 경우의 예이지만, 도 12는 발주를 한 경우의 예이다. 구매부에서는 발주전표를 발행한다. 발주전표에 대응해서 지불예정전표(1)가 재무부관할로 발행된다. 다음으로 구매부에서 발주전표에 대응하는 수납전표가 발행된다. 이 전표는 발주가 행해진 후 공급자가 재고가 있다고 응답한 경우에 발행되는 것과 같은 전표이다. 이 수납전표에 대응해서 지불예정전표(2)가 재무부관할로 발행된다. 공급가가 납품 및 청구서를 발행한 후, 구매부에서는 구입청구전표를 발행한다. 지불이 되어야 하기 때문에 구매부는 지불확정전표를 발행한다. 또한 재무부에서는 구입청구전표에 대응해서 지불예정전표(3)를 발행한다. 다음으로 재무부에서는 지불지시전표를 발행한다. 이것에 응답해서 출납부가 출금전표를 발행함으로써 실제로 은행불입, 어음 또는 현금으로 지불이 이루어진다.
데이터가 입력된 경우, 상기 전표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일차누계처리된다. 이 전표의 헤더에는 상품코드, 취급담당자의 코드, 조직코드, 구입처코드 등이 포함된다.
누계처리된 전표의 정보는 당일과 미래일자에 대한 날짜정보를 포함하고 있다는 것을 주의해야 한다. 즉 지불예정전표, 출금전표, 회수예정전표, 입금전표 등에는 데이터가 처리된 당일의 날짜와는 다른 날짜에 대한 정보가 기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상기와 같이 전표에 지불예정일이나 회수예정일이 기록되어 있는 경우, 전표데이터항목은 예정일에 할당되어 있는 셀의 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된다. 예를 들면 지불예정일이 오늘이면, G축의 파라미터 g0()의 셀(도 9 참조) 내에 전표데이터가 저장된다. 회수예정일이 내일이면 G축의 파라미터 g1()의 셀(도 9 참조) 내에 전표데이터가 저장된다.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는 상술한 누계처리, 상품관리, 각종 데이터관리, 소위 비지니스지원은 시간의 장벽, 지역의 장벽, 언어의 장벽을 초월하도록 네트워크를 통해서 연동하고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시스템이 국내 지역과 외국을 고려해서 구축된 경우를 조직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국내의 본사의 마이크로컴퓨터(5001), 국내의 지사의 마이크로컴퓨터(5002), 외국 1의 지사의 마이크로컴퓨터(5003), 외국 2의 지사의 마이크로컴퓨터(5004)는 서로 네트워크(6000) 및 통신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접속되어 있다.
도 14는 마이크로컴퓨터의 기본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103)은 하드시스템제어부이고, CPU(111), ROM(112), RAM(113)은 버스(bus)(114)를 통해서 접속되어 있다. 조작부(5000)와 디스크드라이버(115)도 버스(114)에 접속되어 있다.
ROM(112)에는 이 제어부(113)의 기본동작을 제어하는 오퍼레이션시스템(OS)의 역할을 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다. CPU(111)는 ROM(112)과 명령을 교환하고, 오퍼레이션시스템에 근거해서 동작을 한다. RAM(113)은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기 위한 워크메모리로서 사용된다.
버스(114)는 버스(211)를 통해서 버스(212)에 접속된다. 이 버스(212)에는 본 발명이 특징으로 하는 기능블럭이 접속되어 있다. 버스(212)에는 디스플레이인터페이스(121)를 통해서 디스플레이(4000)가 접속되어 있다.
또 버스(212)는 송/수신인터페이스(122)를 통해서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다. 공중전화회선, 인터넷회선, 인트라넷회선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네트워크가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4000)에 표시되는 화상 및 데이터는 디스플레이제어부(213)에 의해 관리된다. 송/수신인터페이스(122)를 통해서 받아들인 데이터는 수신처리부(214)속으로 받아들여져 일시적으로 저장된다. 수신처리부(214)에 받아들여진 데이터는 필요에 따라 데이터형식변환부(215)에 의해 데이터형식이 변환된다. 변환데이터는 수신처리부(214)에 저장된다.
또한 송신처리부(216)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는 송/수신인터페이스(122)를 통해서 네트워크로 보내진다. 이 경우, 송신된 데이터에는 송신상대를 지정하는 전화번호와 식별번호(ID) 등도 포함된다. 또한 전송된 데이터는 스크램블(scramble)되어 송신된다. 송신상대에 따라서, 송신데이터는 데이터형식이 데이터형식변환부(215)에서 변환되어 송신될 수도 있다. 이것은 송신상대의 컴퓨터의 데이터형식이 자기의 본 장치의 데이터형식과 다른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데이터형식변환부(215)는 필요하다면 수신데이터의 항목명을 변환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 기능은 다음과 같은 이유 때문에 필요하다: 예를 들면, 거래처에서 상품의 지불전표가 송신되어 온 경우, 이것은 수신측에서는 회수전표로 된다; 또한 거래처에서 상품매출청구전표를 보낸 경우, 수신측에서는 상품구입청구전표에 대응한다; 또한 거래처에서 상품발주전표를 보낸 경우, 수신측에서는 상품수주전표로 되기 때문이다. 이들의 변환은 전표항목명 변환기능에 속한다.
또한 데이터형식변환부(215)는 비지니스용어를 각국의 언어로 치환할 수 있는 언어변환사전과 통화단위를 변환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따라서 화면에 나타나는 전표의 항목명은 각국의 언어가 준비되어 있다. 셀이 전송된 경우, 대응하는 전표의 항목명은 언어변환사전에 의해 사용자가 원하는 언어로 전환될 수 있다.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셀컨트롤부(3000)와 셀그룹이 저장된 셀파일(7000)이 버스(212)에 접속되어 있다.
본 발명의 비지니스지원시스템에서, 전체 마이크로컴퓨터는 기본적으로 같은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다.
따라서 도 7과 8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매출정보는 동일컴퓨터 내의 셀에서만 아니라, 서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모든 다른 컴퓨터의 셀에서도 구축된다.
이를 위해서는 갱신처리가 종료한 서점에서 송신처리부(216)가 기능을 한다.
또한 전체 장치의 초기설정을 하거나 기능을 수정하는데 사용되는 시스템설정제어부(8000)가 버스(212)에는 접속되어 있다.
이하 도 15를 참조해서 송신처리부(216)의 기능에 대해서 설명한다. 송신처리부(216)는 송신처의 리스트와 송신메모리를 가진다. 갱신처리가 행해진 경우, 셀컨트롤부(3000)는 갱신처리가 있다는 것을 통지한다(스텝 A1, A2). 그러면 송신처리부(216)는 송신처의 리스트로부터 송신처를 결정하고(스텝 A3), 송신되는 X, Y, Z, G축 파라미터(도 7과 8에서 설명한 각 전표를 지정하는 파라미터)와 이 전표에 대응하는 지적 데이터를 송신메모리에 일단 복사한다(스텝 A4). 그 다음에 송신처리부(216)는 송신용 데이터(시리얼)로 전환되어 송신처를 호출한다(스텝 A5, A6). 송신처는 네트워크의 규정에 근거해서 전화번호 또는 패스워드 등을 사용해서 호출된다. 송신처로부터 수신허가의 응답이 있으면 송신을 행한다(스텝 A7, A8). 송신 후에는 송신메모리를 지우고 절차를 종료한다(스텝 A9).
도 16은 상기와 같이 지적 데이터가 전송되어 온 경우의 수신처리부(214)의 기능을 나타내고 있다. 통신상대로부터 콜이 있고 통신상대가 등록되어 있는 상대라면, 수신처리부(214)는 수신허가의 응답을 한다(스텝 B1, B2, B3). 응답을 보낸 후, 상대방은 데이터를 전송한다. 그러면 수신처리부(214)는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수신메모리에 받아들인다(스텝 B4). 다음으로 수신처리부(214)는 수신된 데이터가 지적 데이터인지를 판정한다(스텝 B5). 지적 데이터라면 수신된 X, Y, Z, G축 파라미터(도 7, 도 8에서 설명한 각 전표를 지정하는 파라미터)를 사용해서, 셀파일(7000)의 지적데이터 셀의 데이터를 전송된 지적 데이터로 대체한다(스텝 B6). 이때문에 담당자 A, B, C, D가 상품판매를 한 것에 관한 매출정보, 재고정보가 어느 컴퓨터에서나 모두 같아진다.
본 발명의 장치에서는 수신데이터가 도착한 경우에는 그 때마다 수신처리를 하고, 데이터가 갱신된다. 송신을 하는 시점은 송신규정에 따라 임의로 결정될 수 있고 송신처리부에서 결정된다. 수신상대를 지정하고, 지정되어 있지 않은 기기로부터의 데이터는 수신하지 않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송신상대도 지정하고 지정한 상대에게만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예를 들면 지사의 마이크로컴퓨터 상에서 전표데이터가 갱신된 경우, 전표정보는 앞에서 설명한 전송방식에 의해 본사의 마이크로컴퓨터로 전송된다. 따라서 본사 내의 대응하는 데이터항목이 갱신된다. 반대로, 본사의 마이크로컴퓨터 상에서 전표데이터의 갱신이 행해진 경우, 전표정보는 앞에서 설명한 전송방식에 의해 지사의 마이크로컴퓨터로 전송된다. 따라서 지사 내의 대응하는 데이터항목이 갱신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복수의 지사와 데이터를 공유함으로써, 어느 마이크로컴퓨터가 파손되었다 해도 데이터를 잃지 않는다. 새로 마이크로컴퓨터가 네트워크 상에 추가되어 데이터를 공유하는 경우, 앞에서 설명한 전송방식을 활용해서 다른 마이크로컴퓨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러한 접근방식으로, 본 발명의 네트워크시스템은 대규모, 최고속의 누계처리기능을 구비한 컴퓨터를 실현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장치는 다음과 같은 비지니스지원효과가 생기도록 한다:
(1) 송/수신수단은 각 마이크로컴퓨터 사이를 접속함으로써 네트워크를 성립시키고 있다.
(2) 비지니스데이터의 구조는 공통포맷에 근거한다.
(3) 일차누계한 데이터는 각 마이크로컴퓨터로 전송된다.
(4) 데이터구조는 다축방향으로 계층적으로 분류되어 있기 때문에, 각 축에 파라미터를 부여함으로써 데이터를 다양한 각도로 분석할 수 있다.
(5) 셀(공통데이터구조를 가진 블럭)이 시간(날짜)축방향으로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데이터는 시간축방향으로 해석될 수 있다. 비지니스 상 필요한 사업계획, 자금계획을 행하는 경우의 판단재료를 즉시 얻을 수 있다.
상기의 설명에서는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기능의 블럭이 하드웨어에서 구성되어 있을지라도, 데이터형식변환부(215), 송신처리부(214), 수신처리부(216), 디스플레이제어부(213), 셀컨트롤부(3000), 셀파일(데이터저장부)(7000)은 기록매체(예를 들면 광학식 디스크 혹은 자기디스크)에 기록될 수 있고, 기록매체는 퍼스널 컴퓨터에 인스톨될 수 있고, 그것에 의해 상기 각 기능블럭이 실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구조 및 상기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제어데이터에도 미치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7에서, 담당자가 상품을 판매한 경우, 그 매출정보는 과의 매출, 부의 매출 및 회사의 매출으로 동시에 전달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상품의 판매와 동시에 전체조직으로 매출정보가 전달되는 대신에, 과레벨 또는 최소 그룹단위의 레벨에만 전달되어도 된다. 그리고 부단위의 매출정보 또는 회사단위의 매출정보는 필요할 경우만 회사간부에 의해 수집되어도 된다.
도 17에는 상품이 판매된 경우 매출정보가 과단위로 수집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지금 4사람의 담당자 A, B, C, D(같은 과)가 상품 α, β를 판매하고 판매전표에 데이터를 입력했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각 담당자 A, B, C, D의 갱신플래그 전송처는 과의 매출전표(1011), 과의 상품별 매출전표(1021)(1031), 과재고관리전표(대장)(1041)(1051)이다. 따라서 과의 매출전표에서는 각 담당자로부터의 금액(MT)을 금액(MS)으로 인식하여 과의 매출금액(MT)을 작성한다.
상품별 매출전표에 있어서도 상기한 내용과 같은 처리가 행해진다.
전표(1021)가 상품 α의 매출전표이면 과단위의 매출정보가 자동적으로 작성된다. 전표(1031)가 상품 β의 매출전표이면, 과단위의 매출정보가 자동적으로 작성된다. 전표(1041)가 상품 α의 재고관리전표이면, 과단위의 재고관리정보가 자동적으로 작성된다. 전표(1051)가 상품 β의 재고관리전표이면, 과단위의 재고관리정보가 자동적으로 작성된다.
각 과에 대한 정보가 갱신된 경우, 갱신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는 송수신규정부(1061)로 전송된다. 이 송수신규정부(1061)는 도 4에서의 수신처리부(214), 송신처리부(216), 또는 셀컨트롤부(3000)에 설치되어 있다.
지금 상기 담당자 A, B, C, D가 조작하는 컴퓨터가 도 13에 나타낸 외국 1의 컴퓨터(5003)이라고 하자. 컴퓨터(5003)는 갱신된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해서 본사의 컴퓨터(5001), 지사의 컴퓨터(5002)로 전송한다. 데이터는 완전히 동일한 데이터구조를 가지는 대응장소에 저장된다. 그 결과, 본사의 컴퓨터(5001)에도 외국 1의 컴퓨터(5003)의 데이터와 동일한 형태로 매출정보가 구축된다. 송수신규정부(1061)에서는 다른 컴퓨터로 송신하는 데이터를 결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른 컴퓨터로부터 전송되어 온 데이터의 수락을 허용할지 여부도 결정할 수 있다.
일차누계한 데이터를 갱신처리하기 위하여 다른 컴퓨터로 전송하는 타이밍에 관해서는 각종 설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제1지사에 복수의 컴퓨터가 설치된 경우, 예를 들면 그 컴퓨터들 중 1대를 제1지사의 대표컴퓨터로 설정한다. 대표컴퓨터에는 제1지사에서 사용되고 있는 복수의 컴퓨터로부터 순차적으로 갱신데이터가 전송되어 오도록 설정된다. 다시 말하면 지사 또는 본사에서, 대표 컴퓨터로 데이터가 순차적으로 수집된다.
이것에 대해 지사에서 통신용 대표컴퓨터들 사이 및 본사와 지사에서 통신용 대표컴퓨터 사이에는, 미리 데이터송수신을 행하는 시간대가 결정되어 있다. 예를 들면 6시간단위, 12시간단위, 또는 24시간단위로 데이터가 송수신된다. 데이터를 수신한 쪽의 컴퓨터는 독자적인 기준(현지시간 또는 세계시간으로 결정된 시간을 기준)을 사용해서 도 9에 나타낸 각 날짜에 대한 셀을 구축한다.
과단위 매출정보, 상품별 과단위 매출정보 및 과단위 재고관리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지사전체의 매출이나, 회사전체의 매출이 필요한 경우, 사용자는 컴퓨터를 조작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조작부(5000)를 조작해서 메뉴화면을 열고, 이 중에서 지사전체 또는 회사전체의 매출전표를 선택해서 표시하면, 자동적으로 도 7과 8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계산처리가 행해져서 사용자가 현재의 매출상황을 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는 G축 방향의 파라미터를 부여해서 조사기간을 지정하고 회수예정전표를 지정함으로써, 회수예정전표에 기재되어 있는 회수예정금액을 수일분 누계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근일 중으로 회수되는 예정금액의 합계액을 알 수 있다. 또한 지불예정전표를 지정하면 근일 중으로 지불되는 예정금액의 합계액을 알 수 있다.
도 18은 회사전체의 회수예정금액, 지불예정금액의 예를 나타내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품별 회수예정금액과 지불예정금액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부단위 또는 부문단위의 회수예정금액과 부단위 또는 부문단위의 지불예정금액도 얻을 수 있다.
한 회사 내에서의 회수예정이나 지불예정상황을 표시하는 방식이 설명되었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관련회사 또는 타사와의 사이에서 정보(셀)를 자유롭게 전송하고 수신할 수 있게 한다. 이것은 기업그룹 내에서 연결출납처리를 고속으로 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장치에서는 Z축 방향으로 각종 전표를 설치할 수 있다. 관련된 전표는 도 7과 8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갱신플래그 및 그 전송처정보를 사용하여 서로 관련된다.
회수전표에서, 어느 회사에서 돈이 회수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회수처정보)가 기록된다. 지불전표에서, 어느 회사로 돈을 지불을 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지불처정보)가 기록된다. 앞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회사전체의 회수금액과 회사전체의 지불금액도 앞에서 설명된 정보를 사용하여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데이터구조를 가지는 셀에는 사용자의 회사뿐 아니라 다른 회사에 대한 각종 비지니스정보도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각 기업의 마이크로 컴퓨터에서 대차대조표, 손익계산서 및 캐시플로시트(cash flow sheet)를 작성할 수 있다. 또한 감정과목의 일차누계와 보조과목의 일차누계파일을 작성할 수 있다. 또한 이 파일은 본 시스템이 국제적인 지역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작성할 수 있다.
모회사와 자회사들이 존재하고 연결회계를 하는 경우, 연결자동분개전표, 연결조정분개전표, 연결감정과목의 일차누계 및 연결보조과목의 일차누계 등의 정보가 통신규정에 근거해서 자회사로부터 모회사로 전송된다. 또한 연결회계기관정보, 연결감정과목의 기수잔고(期首殘高), 연결보조과목의 기수잔고 등도 모회사로의 회계정보로 전송된다.
모회사는 자회사로부터의 회계정보에 근거하여 연결캐시플로우시트, 연결손익계산서, 연결대차대조표 등을 작성할 수 있다. 따라서 서로 등록한 회사끼리 연결회계처리를 용이하게 자동으로 행할 수 있다. 그들은 그 처리를 월마다, 반기마다 또는 연마다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본사상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이미 구축된 시스템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컴퓨터는 사용자에게 구입되었을 경우 사용자가 희망하는 기능을 구축시킬 필요가 있다. 초기에 컴퓨터의 기능을 회사의 비지니스형태에 적합하도록 구축하는 경우 본 발명의 컴퓨터시스템은 일반사용자가 용이하게 구축할 수 있도록 고안되어 있다. 회사조직이 변경된 경우에도 새 조직에 적합하도록 컴퓨터의 기능을 재구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9는 컨트롤셀(1000), 데이터셀(2000), 셀컨트롤부(3000), 디스플레이(4000), 조작부(5000) 및 디스플레이제어부(213)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컨트롤셀(1000)에는 데이터셀(2000)의 데이터를 판독하기 위한 어드레스가 기록되어 있다. 어드레스는 조작부(5000)로부터 셀컨트롤부(3000)를 통해서 앞에서 설명한 각 축 X, Y, Z의 파라미터를 부여함으로써 특정된다. 어드레스가 특정되면, 셀컨트롤부(3000)를 통해서 데이터셀(2000)의 어드레스가 지정되어, 화상데이터, 문자데이터 및 수치데이터가 판독된다. 데이터항목들은 디스플레이제어부(213)를 통해서 디스플레이에 표시된다.
화상데이터에는 전표나 대장 등의 프레임이미지데이터가 포함된다. 문자데이터에는 전표나 대장의 항목명, 표제 및 성명과 같은 데이터가 포함된다. 수치데이터에는 날짜, 매출액 및 지불액과 같은 데이터가 포함된다. 마이크로컴퓨터가 막 구입된 경우, 상기 전표나 대장과 같은 프레임이미지데이터는 존재한다. 수치의 데이터는 이것으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이기 때문에 0으로 기록되어 있다.
도 20은 컴퓨터를 구입(D1)한 후 모델링(D2)을 하고, 컴퓨터사용규정이나 비지니스 상의 규칙, 규정 등의 룰설정(D3)을 하고, 실제로 사용하여 적용(D4)하는 공정(또는 구축 및 실행공정)을 나타내고 있다. 모델링은 컴퓨터를 구입한 사용자의 회사조직에 적합하도록 컴퓨터 상의 비지니스기능을 선택하는 것이다. 룰설정은 회사조직이 컴퓨터 상에서 전자조직으로서 구축된 후 사원의 직무상의 권한범위(예를 들면 판매권한 또는 결재권한 등), 여신한도액 및 거래상대의 조건을 포함하는 각종 룰을 설정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는, 각종 경영(예를 들면, 회사경영)에서 상정할 수 있는 조직을 고려하여 각종 활동조직을 준비하고 있다.
모든 상정할 수 있는 기능과 조직은 다음과 같이 나타난다: (1) 회사조직을 구축하는 경우; (2) 비지니스 상에서 필요한 조직을 구축하는 경우; (3) 개인경영을 하는 경우의 경영조직을 구축하는 경우; (4) 관리조직을 구축하는 경우; (5) 행정상의 관리조직을 구축하는 것과 같은 경우. 기능 및 조직을 구체적으로 활용하는 단계에서는 비지니스 내용 또는 회사의 활동범위에 따라서는 불필요한 조직 혹은 기능이 존재하므로, 이들은 사용하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컴퓨터시스템은 구입한 후 단순히 조직과 기능을 선택함으로써 용이하게 회사에 적용시킬 수 있다.
도 2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사용자의 회사(X축)의 인사조직(Y축)과 사원대장(Z축)을 판독표시할 수 있다. 구입직후에는 사원정보기입부는 공란이기 때문에, 여기에 회사의 사원정보를 입력하지 않으면 안 된다.
입력항목에는 코드, 성명, 생년월일, 연령, 직책, 소송, 급여, 출신지, 출신학교, 가족구성, 특기 및 코멘트가 포함된다.
임시고용인이 있는 경우에는, 도 2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임시고용인대장도 같은 방식으로 작성된다. 임시고용인의 경우, 근무시간을 포함하여 추가적인 조건에 대한 정보도 부가된다. 직책, 출신지, 출신학교 및 가족구성을 포함하여 일부 항목은 생략된다.
다음으로 각 사원이나 임시고용인의 급여명세서를 작성할 필요가 있다. 이 급여명세서는 예를 들면 경리부에서 취급한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회사(X축)의 경리조직(Y축)과 급여명세서(Z축)를 지정해서 표시하면 사용자는 전체 사원과 임시고용인에 대한 급여명세서를 처리할 수 있다.
도 22는 화면에 표시된 급여명세서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처음에는, 급여명세서의 프레임이 표시된 후 사원의 코드와 급여가 나타난다. 다음 급여명세서를 클릭하면 다음의 다른 사원의 급여명세서가 앞면 쪽으로 표시된다. 사원대장이 작성되면, 각 사원의 사원코드에 근거해서 각 사원의 급여명세서가 자동적으로 준비되어 있다. 또한 사원대장에 각 사원의 급여가 기입되어 있으면, 급여명세서에 기록된 급여액이 표시된다.
이것은 사원대장을 표시하기 위한 컨트롤데이터에 연락처와 전송처어드레스가 기록되어 있기 때문이다. 컨트롤데이터는 컨트롤셀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이다. 은행불입액의 란에는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불입은행과 그 구좌번호의 정보가 부대하고 있다.
도 21a와 21b에서, 데이터를 구축할 때 디스플레이 상에 나타나는 화면의 예로 사원대장을 설명했다. 그러나 컨트롤셀의 내부에서는 대장의 각 기입란에 링크되는 방식으로 기입된 정보의 전달처정보가 부대하고 있다.
도 23은 전체사원대장의 데이터구조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21a와 21b는 사원대장의 표시형태를 나타낸다. 데이터구조형태에서, 각 사원의 사원코드와 성명의 전달처로서 급여명세서, 소속기관대장 및 회계대장이 지정되어 있다. 직책의 전달처에는 급여명세서와 소속기관대장이 포함된다. 소속정보는 소속기관대장으로 전달되도록 지시되어 있다. 또한 급여정보는 급여명세서 및 회계대장으로 전달되도록 지시되어 있다. 출신지정보는 동향회명부대장으로 전달되도록 지시되어 있다. 출신학교정보는 동창회명부대장으로 전달되도록 지시되어 있다.
사원대장이 작성된 경우, 사원의 사람수만큼 많은 급여명세서가 자동적으로 작성된다. 즉 도 22에 나타낸 급여명세서가 자동적으로 작성된다. 이때 사원코드, 성명 및 급여는 급여명세서에 자동설정된다. 구체적으로는 컨트롤셀 내에 급여명세서를 위한 컨트롤데이터가 작성된다. 특히 급여명세서에 대한 컨트롤데이터가 컨트롤셀 내에 작성된다.
도 24는 상기 전체사원대장이 작성된 후 급여명세서에 관한 데이터가 자동적으로 구축되는 경우의 처리루틴(routine)을 나타내고 있다. 셋업모드이고 전체사원대장이 작성된 경우(스텝 E1, E2), 급여대장의 사원수가 계산되어 사원수와 같은 수의 급여명세서가 준비된다(스텝 E3). 다음으로 각 사원의 급여명세서가 작성된다(E4).
구체적으로는 도 25에 나타난 바와 같이 급여명세서데이터는 컨트롤셀에 작성된다. 즉 사원코드, 사원성명, 급여 및 수당을 포함하는 급여명세서에 표시되는 데이터{구체적으로는 데이터셀의 어드레스(이 어드레스에는 구체적으로 사원코드와 성명을 포함하는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다)}가 급여명세서에 부여된다. 게다가 전달처정보도 들어간다. 급여명세서에 기록되는 각 데이터의 전달처로서는 급여, 수당, 특별상여금 등이 회계대장의 대응하는 사원코드의 정보부분에 전달된다.
구체적으로는 회계대장제어데이터의 대응하는 사원코드 및 급여란에 앞의 급여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어드레스와 동일한 어드레스가 기록된다.
도 26에는 회계부의 급여에 관한 대장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대장에는 각 사원의 급여와 수당에 관한 정보가 기록되고, 각 정보의 전달처정보도 부대하고 있다. 은행불입액에 부대해서 은행구좌번호가 있으므로, 각 은행별 불입전표로 은행불입액이 전달된다.
도 27에는 회계부문에서 급여지불정보가 어떻게 전달되는지를 간단하게 나타내고 있다. 각 사원으로의 급여지불액은 부 전체의 급여지불액을 합계하는 전표에 전달된다. 부의 급여지불액의 합계는 회사전체의 급여지불액을 합계하는 전표에 전달된다. 은행구좌번호를 참조해서, 각 은행의 불입전표에 그 불입액전표가 전달되게 된다.
도 28a는 사원대장이 작성된 상태로서, 예를 들면 영업부의 인원대장이 작성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사원소속기관대장에서는, 전사원대장의 정보가 그대로 사용되고 전달처정보가 부수하고 있다. 전달처정보에는 사원소속기관 내에서 사용하는 회람용지(도 28b)가 포함된다. 회람용지의 사원성명란에는 사원성명에 대한 정보가 전송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사원에 대하여 필요한 정보가 작성되고, 다음으로 각 사원의 소속이 설정된다. 사원의 급여정보가 결정되면 이들 정보는 자동적으로 회계시스템으로 들어가게 된다.
도 29는 회사가 조직되는 경우의 표준적인 모델을 나타내고 있다. 이 모델에서, 각종 전표들이 유통된다. 앞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각각의 전표는 필요한 장소에 링크될 수 있다.
도 29는 본 발명의 시스템에 설정되어 있는 각종 기능모델을 나타내고 있다. 알기 쉽게 하기 위하여, 각 모델은 회사경영의 이념을 중심으로 나타내고 있다. 각 기능모델에 부호를 붙여서 간단하게 설명한다. 기능모델(500)은 인사급여부의 모델이다. 이 기능모델이 온(on)되면, 인사 및 급여에 관한 업무를 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급여명세서와 사령(辭令) 등의 데이터의 취급이 가능해진다. 개별적인 기능모델은 업무내용과 업무규정으로 분류된다. 업무내용의 항목에는 그 업무에서 취급하는 전표 등이 부여된다. 업무규정에는 업무상의 제한과 업무상 협정이 입력된다.
도 29의 각 블럭의 내용은 도 30a, 30b 및 31에 상세하게 나타나 있다. 도 29에서 의 참조부호가 도 30a, 30b 및 31에도 사용된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비지니스 상 필요한 기능모델{기능블럭 혹은 기능파츠(parts)로 불러도 좋다}은 표준화되어 있다.
기능모델의 블럭을 화면상에 표시해서 원하는 블럭을 선택하면, 당해 블럭에 관련하는 전표, 문서양식 등(일반적으로 워크시트라 함)이 표시된다. 그리고 나서 원하는 전표 및 문서양식을 선택하면, 전표와 문서양식은 지금 사용 중인 것으로서 활동하게 된다. 데이터가 어느 것도 입력되지 않은 전표나 문서양식은 미사용의 것으로서 컴퓨터 상에서 인식된다. 기능모델에 대해서도 관련 모델이 선택된다. 블럭에 데이터가 입력되지 않는 한, 그 블럭은 미사용의 기능모델의 블럭으로서 컴퓨터 상에는 인식된다. 다른 관련기능모델이 활동하게 되면, 일부 기능블럭은 자동적으로 활동하게 된다. 예를 들면, 앞에 설명한 바와 같이, 인사대장과 소속대장과 같이 관련되어 있는 기능블럭의 워크시트는 자동적으로 활동하게 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신속적응형 컴퓨터에서, 사용자는 체계화된 비지니스기능모델을 화면상에 표시하여 원하는 기능모델의 블럭을 선택하고, 이 기능블럭에 등록되어 있는 전표와 대장을 실제로 사용함으로써 자동적으로 사용자의 비지니스를 그대로 반영할 수 있다.
도 32는 상기 설명된 것의 개념도이다. 즉 (자유적응형의) 비지니스모델은 앞의 도 30a, 30b 및 31에서 설명한 기능블럭의 체계부분에 상당한다. (신속적응형의) 응용은 도 1a 내지 도 18에서 설명한 전표나 대장에 데이터를 입력함으로써 제어되는 시스템에 상당한다. 퍼스널컴퓨터를 구입한 직후에, 사용자는 회사에 필요한 기능블럭을 표시하고, 필요한 기능블럭의 전표나 대장에 데이터를 입력함으로써 회사에 적합한 컴퓨터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도 32의 오른쪽의 A사, B사, …는 각각 독자의 컴퓨터시스템을 구축한 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한 컴퓨터시스템을 실현할 수 있는 이유는 비지니스용어를 의미와 내용에서 표준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즉,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표와 대장에 데이터를 입력하면 데이터의 입력되는 장소에 따라서 자동적으로 데이터처리내용이 결정되도록 데이터구조를 설계했기 때문이다.
상기의 데이터 처리는 도 20의 시스템 구축에서 행해지기 때문에, 차례차례 정보가 입력된 때 새로운 정보가 추가되는 예이다. 그러나 회사경영에서는 사원이 새 근무지로 전근가거나, 근무처가 변하거나, 회사조직이 변경된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장치전체가 시스템수정모드로 설정된다. 그리고 수정을 요하는 기능블럭이 선택된다. 기능블럭에 포함되는 전표와 문서양식에 데이터가 새로 입력됨으로써, 블럭이 수정된다. 사용되지 않는 기능블럭이 생긴 경우에는 그 기능블럭에 기록된 모든 데이터항목은 모두 0으로 만들거나 지워야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제1표시수단, 제2표시수단, 제3표시수단 및 연동제어수단을 포함한다. 제1표시수단은 비지니스 상에서 통합되어 조직되는 기능블럭항목을 가지며, 호출조작에 의해 기능블럭의 항목 메뉴를 표시한다. 기능블럭의 조직에서 각각 행해지는 작업항목이 분류된다. 작업명은 그 작업명이 비지니스상에서 의미를 가지고 그 내용을 시사하도록 부여된다. 항목은 작업데이터 등을 입력하는 워크시트로서 정의된다. 제2표시수단은 작업항목을 가지며, 제1표시수단에서 표시된 기능블럭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된 경우, 선택된 기능블럭에 포함되는 작업항목 메뉴를 표시한다. 제3표시수단은 제2표시수단에서 표시된 작업항목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된 경우, 그 항목에 대응하는 워크시트를 표시한다. 연동제어수단은 제3표시수단에 표시된 워크시트에 입력데이터를 겹쳐 표시할 뿐만 아니라 워크시트에 포함된 정보전달처에 갱신정보를 제공한다.
도 33에는 본 발명의 컴퓨터장치를 단말로서 구입한 경우에, 초기설정을 하는 경우의 기동시의 동작을 나타내고 있다. 초기설정모드가 온되면, 비지니스모델링기능블럭은 화면에 메뉴의 형태로 표시된다(스텝 F1, F2). 이것은 도 14의 시스템설정제어부(8000)의 제어하에서 이루어진다. 이 기능블럭은 도 29에서 나타낸 최외곽의 기능블럭이고, 인사, 급여, 회계, 재무, 생산관리, 판매물류, 고객정보, 마케팅 및 네트워킹을 포함한다.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블럭(또는 사용자의 비지니스에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기능블럭)을 선택하면, 그 기능블럭 내에서 행해지는 각종 업무에 필요한 워크시트(전표나 대장을 포함)의 항목이 메뉴화면의 형태로 표시된다(스텝 F3, F4). 제2단계의 메뉴화면에서, 업무나 규정을 위한 각종 전표와 문서양식이 표시된다. 여기서 사용자는 원하는 워크시트에 필요한 데이터를 입력한다. 예를 들면 앞에서 설명한 사원대장 등이 작성된다. 선택적으로 판매부문에서는 판매권한에 대한 정보(예를 들면 거래최고액)가 각 담당자에 대해 입력된다(스텝 F5).
이와 같이, 데이터를 입력함으로써 컴퓨터 상에서 회사조직이 자동적으로 설계된다. 사용모드로 하면 시스템은 사용상태로 된다. 시스템을 사용한 후, 사용자가 기능블럭이 부족하다고 생각하면 설정모드로 가서 기능블럭을 선택하여 추가하여야 한다. 예를 들면 판매업무만을 행하고 있었던 회사가 부품을 가공하기 시작한 경우이다.
상기와 같이 비지니스초기설정이 컴퓨터 상에서 행해진 후 사용모드로 하면 화면 상에는 예를 들면 활동하는 기능블럭만이 표시된다. 이것은 사용자가 작업하는데 사용되는 기능을 이해하기 쉽게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본적인 생각을 설명하기 위하여 대표적인 것이다..
도 34a, 34b 및 34c는 초기설정모드에서 표시되는 기능블럭의 예를 나타낸다.
지금 지식경영모델을 선택했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도 35a와 3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사경영, 공장경영, 생산라인, 점포경영, 점포식품가공, 기업그룹경영 중 어느 하나에 대한 모델설계패널을 선택할 수 있다.
도 35a와 35b는 회사경영패널을 선택해서 연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36a와 36b는 공장경영패널을 선택해서 연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37은 생산라인패널을 선택해서 연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38a와 38b는 점포경영패널을 선택해서 연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39는 점포식품가공패널을 선택해서 연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40은 기업그룹경영패널을 선택해서 연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각 패널은 또한 각 패널의 분류항목을 가지고, 어느 항목이 선택되면 그 항목에서 사용되는 워크시트의 종류가 표시된다.
도 41은 도 35a와 35b의 항목에서 항목 "상품수주"를 선택한 경우에 표시되는 각종 전표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에서 전표를 선택해서 데이터를 입력하면, 이 전표에 속하는 비지니스항목이 활동상태로 된다.
도 42는 도 35a와 35b의 항목에서 항목 "상품발주"를 선택한 경우에 표시되는 각종 전표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에서 전표를 선택해서 데이터를 입력하면, 이 전표에 속하는 비지니스항목이 활동상태로 된다.
도 43은 도 35a와 35b의 항목에서 항목 "상품재고"를 선택한 경우에 표시되는 각종 전표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에서 전표를 선택해서 데이터를 입력하면, 이 전표에 속하는 비지니스항목이 활동상태로 된다.
도 44는 도 34a, 34b 및 34c의 항목에서 항목 "재무"를 선택한 경우에 표시되는 각종 전표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에서 전표를 선택해서 데이터를 입력하면, 이 전표에 속하는 비지니스항목이 활동상태로 된다.
도 45는 도 34a, 34b 및 34c의 항목에서 항목 "회계"를 선택한 경우에 표시되는 각종 전표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에서 전표를 선택해서 데이터를 입력하면, 이 전표에 속하는 비지니스항목이 활동상태로 된다.
도 46에는 도 34a, 34b 및 34c 또는 40의 항목에서 항목 "연결경영"을 선택한 경우에 표시되는 각종 전표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에서 전표를 선택해서 데이터를 입력하면, 이 전표에 속하는 비지니스항목이 활동상태로 된다.
비록 상기 설명에서, 본 발명은 컴퓨터시스템에 의해 블럭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중요한 기능을 가진 제어파일은 기록매체(예를 들면 광학디스크 또는 자기디스크)에 기록되어 있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구체적으로 기록매체는 비지니스 상에서 통합되어 조직되는 복수의 비지니스기능블럭의 항목을 가지며, 호출조작에 의해 당해 복수의 비지니스기능블럭의 항목의 메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기 위한 제1표시제어용 파일;
상기 복수의 비지니스기능블럭의 각 조직에서 각각 행해지는 복수의 작업항목을 분류해서 가지며, 동시에 상기 복수작업의 항목명은 비지니스상에서 의미를 가지고, 또한 그 내용을 시사하도록 결부된 것이고, 또한 당해 항목은 작업데이터 등을 입력하는 워크시트로서 정의되어 있고, 상기 제1표시제어용 파일에 근거해서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상기 복수의 비지니스기능블럭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된 경우, 선택된 기능블럭에 포함되는 복수의 작업항목 메뉴를 표시하는 제2표시제어용 파일;
상기 제2표시제어용 파일에 근거해서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상기 복수의 작업항목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된 경우, 그 항목에 대응하는 워크시트를 표시하는 제3표시제어용 파일; 및
상기 제3표시제어용 파일에 근거해서 표시한 워크시트에 입력데이터를 겹쳐 표시하는 동시에, 상기 워크시트에 포함된 정보전달처에 갱신정보를 내주는 연동제어용 파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응용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설명에서는 초기설정시에는 초기설정하는 컴퓨터본체 또는 여기서 사용되는 기록매체에 전체의 비지니스기능블럭을 포함하지만, 정보기록매체는 네트워크를 통해 프로바이더(provider)에 설치될 수도 있다.
계약제의 사용자는 네트워크를 통해서 내지 도 40에서 설명된 비지니스모델을 구축하여 필요한 비지니스블럭의 데이터와 워크시트를 사용자의 컴퓨터에 입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통신기능을 구비하고 있고, 셀을 받아들일 수 있다. 따라서 셀의 Z축 방향으로 기능블럭 및 각종 워크시트를 구축함으로써 독자적인 비지니스모델을 취득하여 작동시킬 수 있다.
추가적인 장점과 변형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자들이 쉽게 생각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더 넓은 면에서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과 본 명세서에서 나타나고 설명된 대표적인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첨부하는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의되는 일반적인 발명개념의 정신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대규모, 최고속의 누계처리기능을 가진 컴퓨터를 실현한 비지니스지원장치, 비지니스지원방법, 비지니스지원데이터기록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어느 마이크로컴퓨터 단말이 고장나도 그 데이터가 다른 컴퓨터에서 보상되어 신뢰성이 높은 비지니스지원장치, 비지니스지원방법, 비지니스지원데이터기록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게다가 또한 네크워크 상에 새로 마이크로컴퓨터가 증설되었다해도 그 자리에서 과거의 데이터축적이 가능한 비지니스지원장치, 비지니스지원방법, 비지니스지원데이터기록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9)

  1. 네트워크를 통해서 통신상대의 기기에 접속된 기기를 포함하고,
    상기 기기는 자기의 데이터저장부에 통신상대의 장치의 데이터저장부와 동일한 데이터구조를 가지며;
    자기 데이터저장부의 데이터가 갱신된 경우, 통신상대에 대해서 갱신된 데이터와 그 저장위치를 알려주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송신처리수단과;
    통신상대로부터 갱신된 데이터와 그 저장위치를 알려주는 데이터를 받은 경우에는 상기 자기의 데이터저장부의 데이터를 받은 데이터로 바꿔쓰는 수신처리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지니스지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갱신된 데이터의 내용을 표시하는 표시수단이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지니스지원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구조는 컨트롤셀이 X, Y, Z, G축을 설정하고 있고, 지적 데이터셀이 컨트롤셀에 의해 지정되는 어드레스에 실데이터나 계산식을 저장하고 있고,
    상기 컨트롤셀의 X축의 파라미터는 대지역부터 소지역까지를 지정할 수 있고, Y축의 파라미터는 대조직부터 개인까지를 지정할 수 있고, Z축의 파라미터는 각종 전표 및 집계표를 지정할 수 있고, G축의 파라미터는 날짜를 지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지니스지원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Z축의 파라미터에 의해서 결정된 전표의 어드레스정보는, 전표의 실데이터가 갱신된 경우, 갱신플래그가 전송되는 곳에 대한 어드레스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지니스지원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Z축의 파라미터에 의해서 결정된 전표의 어드레스정보는, 계산결과에 대한 어드레스를 지정하는 영역, 사용되는 계산식에 대한 어드레스를 지정하는 영역, 계산에 사용되는 데이터에 대한 어드레스를 지정하는 영역, 계산을 실행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데이터에 대한 어드레스를 지정하는 영역, 갱신플래그가 전송되는 곳의 어드레스를 지정하는 영역을 표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지니스지원장치.
  6. 네트워크를 통해서 통신상대의 기기에 접속되어 있는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데이터 및 실데이터가 저장되고,
    상기 통신상대에서 구동되는 기록매체의 데이터구조와 동일한 데이터구조를 가지고, 자기의 데이터저장부의 데이터가 갱신된 경우에는 통신상대에 대해서 갱신된 데이터와 그 저장위치를 알려주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송신처리제어데이터와,
    통신상대로부터 갱신된 데이터와 그 저장위치를 알려주는 데이터를 받은 경우 상기 자기의 데이터저장부의 데이터를 받은 데이터로 바꿔쓰는 수신처리제어데이터를 기록하고 있고,
    상기 자기기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지니스지원기록매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된 데이터의 내용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처리제어데이터가 상기 기록매체 상에 더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지니스지원기록매체.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구조는 컨트롤셀이 X, Y, Z, G축을 설정하고 있고, 지적 데이터 셀이 컨트롤셀에 의해 지정되는 어드레스에 실데이터나 계산식을 저장하고 있고,
    상기 컨트롤셀의 X축의 파라미터가 대지역부터 소지역까지를 지정할 수 있고, Y축의 파라미터가 대조직부터 개인까지를 지정할 수 있고, Z축의 파라미터가 각종 전표 및 집계표를 지정할 수 있고, G축의 파라미터가 날짜를 지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지니스지원기록매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Z축의 파라미터에 의해서 결정된 전표의 어드레스정보는, 전표의 실데이터가 갱신된 경우, 그 갱신플래그가 전송되는 곳의 어드레스정보를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지니스지원기록매체.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Z축의 파라미터에서 결정된 전표의 어드레스정보는, 계산결과에 대한 어드레스를 지정하는 영역, 사용되는 계산식에 대한 어드레스를 지정하는 영역, 계산에 사용되는 데이터에 대한 어드레스를 지정하는 영역, 계산을 실행할지 여부를 지정하는 데이터에 대한 어드레스를 지정한 영역, 갱신플래그가 전송되는 곳에 대한 어드레스를 지정하는 영역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지니스지원기록매체.
  11. 비지니스에서 통합되어 조직되는 복수의 비지니스기능블럭의 항목을 가지며, 호출조작에 의해 비지니스기능블럭의 항목에 대한 메뉴를 표시하는 제1표시수단과,
    상기 비지니스기능블럭의 조직에서 행해지는 작업항목을 분류해서 가지며, 상기 작업항목은 비지니스상에서 의미를 가지고 그 내용을 시사하는 작업명을 가지는 방식으로 이름이 부여되고 또한 작업데이터 등을 입력하는 워크시트로서 정의되어 있고, 상기 제1표시수단에서 표시된 상기 비지니스기능블럭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된 경우, 선택된 기능블럭에 포함되는 작업항목에 대한 메뉴를 표시하는 제2표시수단과,
    상기 제2표시수단에서 표시된 상기 작업항목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된 경우, 그 항목에 대응하는 워크시트를 표시하는 제3표시수단과,
    상기 제3표시수단에 표시된 워크시트에 입력데이터를 겹쳐 표시할 뿐만 아니라, 상기 워크시트에 포함된 정보전달처에 갱신정보를 공급하는 연동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지니스지원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워크시트는 전표, 대장 및 문서양식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지니스지원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워크시트의 정보전송처는 상기 워크시트가 속하는 비지니스기능블럭과는 다른 비지니스기능블럭에 속하는 워크시크를 나타내고 있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지니스지원장치.
  14. 비지니스 상에서 통합되어 조직되는 복수의 비지니스기능블럭의 항목을 가지며, 호출조작에 의해 비지니스기능블럭의 항목에 대한 메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제1표시제어용 파일과,
    상기 비지니스기능블럭의 조직에서 행해지는 작업항목을 분류해서 가지며, 상기 작업항목은 비지니스상에서 의미를 가지고 그 내용을 시사하는 작업명을 가지는 방식으로 이름이 부여되고 또한 작업데이터 등을 입력하는 워크시트로서 정의되어 있고, 상기 제1표시제어용 파일에 근거해서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비지니스기능블럭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된 경우, 선택된 기능블럭에 포함되는 작업항목에 대한 메뉴를 표시하는 제2표시제어용 파일과,
    상기 제2표시제어용 파일에 근거해서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작업항목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된 경우, 그 항목에 대응하는 워크시트를 표시하는 제3표시제어용 파일과,
    상기 제3표시제어용 파일에 근거해서 표시된 워크시트에 입력데이터를 겹쳐 표시할 뿐만 아니라, 상기 워크시트에 포함된 정보전달처에 갱신정보를 공급하는 연동제어용 파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지니스지원기록매체.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워크시트는 전표, 대장 및 문서양식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지니스지원기록매체.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워크시트의 정보전송처는 상기 워크시트가 속하는 비지니스기능블럭과는 다른 비지니스기능블럭에 속하는 워크시크를 나타내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지니스지원기록매체.
  17. 비지니스 상에서 통합되어 조직되는 복수의 비지니스기능블럭의 항목을 가지며, 호출조작에 의해 비지니스기능블럭의 항목에 대한 메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제1표시제어용 파일과,
    상기 비지니스기능블럭의 조직에서 행해지는 작업항목을 분류해서 가지며, 상기 작업항목은 비지니스상에서 의미를 가지고 그 내용을 시사하는 작업명을 가지는 방식으로 이름이 부여되고 또한 작업데이터 등을 입력하는 워크시트로서 정의되어 있고, 상기 제1표시제어용 파일에 근거해서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비지니스기능블럭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된 경우, 선택된 기능블럭에 포함되는 작업항목에 대한 메뉴를 표시하는 제2표시제어용 파일과,
    상기 제2표시제어용 파일에 근거해서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작업항목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된 경우, 그 항목에 대응하는 워크시트를 표시하는 제3표시제어용 파일과,
    상기 제3표시제어용 파일에 근거해서 표시된 워크시트에 입력데이터를 겹쳐 표시할 뿐만 아니라, 상기 워크시트에 포함된 정보전달처에 갱신정보를 공급하는 연동제어용 파일을 포함하고,
    장치 내의 기록매체로 그들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지니스지원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워크시트는 전표, 대장 및 문서양식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지니스지원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워크시트의 정보전송처는 상기 워크시트가 속하는 비지니스기능블럭과는 다른 비지니스기능블럭에 속하는 워크시트를 나타내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지니스지원장치.
KR1020000038637A 1999-07-09 2000-07-06 비지니스지원장치 및 기록매체 KR2001003970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195995 1999-07-09
JP19599599A JP2001022730A (ja) 1999-07-09 1999-07-09 ビジネス支援装置及び記録媒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9705A true KR20010039705A (ko) 2001-05-15

Family

ID=16350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8637A KR20010039705A (ko) 1999-07-09 2000-07-06 비지니스지원장치 및 기록매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1074921A3 (ko)
JP (1) JP2001022730A (ko)
KR (1) KR20010039705A (ko)
CN (1) CN1284682A (ko)
AU (1) AU750537C (ko)
CA (1) CA2312875A1 (ko)
TW (1) TW522392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68090A (ja) * 2016-03-14 2017-09-21 株式会社オービック プロジェクト別債権管理装置、プロジェクト別債権管理方法、および、プロジェクト別債権管理プログラム
KR20200116179A (ko) * 2019-03-11 2020-10-12 장두현 블록체인, 인공지능, 빅데이터를 이용한 다중회사 통합경영관리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42561A (ja) * 2001-05-14 2002-11-29 Knowledge Soft Corp ネットワークを利用したビジネスデータ処理装置
US7710853B2 (en) * 2004-03-18 2010-05-04 Lg Electronics, Inc. Recording medium with segment information thereon and apparatus and methods for forming, recording, and reproducing the recording medium
CN100428761C (zh) * 2005-08-23 2008-10-22 中国移动通信集团公司 移动终端的软件更新方法
US8392602B2 (en) 2005-09-30 2013-03-05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Embedding controllers and devices with data to facilitate up-to-date control and configuration information
JP2007206894A (ja) * 2006-01-31 2007-08-16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データ集計システム
JP6791721B2 (ja) * 2016-03-22 2020-11-25 株式会社オービック 債権債務管理装置、債権債務管理方法、および、債権債務管理プログラム
JP6994907B2 (ja) * 2017-11-01 2022-01-14 株式会社オービック 会社間仕訳連携処理システム、会社間仕訳連携処理方法および会社間仕訳連携処理プログラム
TWI831114B (zh) * 2022-01-14 2024-02-01 玉山商業銀行股份有限公司 跨平台交易與會計分離之完整性驗證方法、系統、電腦裝置及電腦可讀取的記錄媒體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89141A (en) * 1987-06-01 1991-01-29 Corporate Class Software Computer system for financial analyses and reporting
US5008853A (en) * 1987-12-02 1991-04-16 Xerox Corporation Representation of collaborative multi-user activities relative to shared structured data objects in a networked workstation environment
US5319777A (en) * 1990-10-16 1994-06-07 Sinper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storing and retrieving information from a multidimensional array
US5276871A (en) * 1991-03-18 1994-01-04 Bull Hn Information Systems Inc. Method of file shadowing among peer systems
JPH08314946A (ja) * 1995-05-12 1996-11-29 Wahei Umesato 事務処理用データベース設計支援装置
JPH09167191A (ja) * 1995-12-15 1997-06-24 Casio Comput Co Ltd データ処理装置
JP3577822B2 (ja) * 1996-02-14 2004-10-20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情報提示装置及び情報提示方法
JPH10289172A (ja) * 1997-04-11 1998-10-27 Nec Corp データ転送システム
JPH11149403A (ja) * 1997-11-14 1999-06-02 Mitsubishi Electric Corp データ共有方式およびデータ共有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68090A (ja) * 2016-03-14 2017-09-21 株式会社オービック プロジェクト別債権管理装置、プロジェクト別債権管理方法、および、プロジェクト別債権管理プログラム
KR20200116179A (ko) * 2019-03-11 2020-10-12 장두현 블록체인, 인공지능, 빅데이터를 이용한 다중회사 통합경영관리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84682A (zh) 2001-02-21
JP2001022730A (ja) 2001-01-26
AU750537B2 (en) 2002-07-18
EP1074921A2 (en) 2001-02-07
AU750537C (en) 2003-03-06
CA2312875A1 (en) 2001-01-09
AU4383300A (en) 2001-01-25
EP1074921A3 (en) 2003-01-22
TW522392B (en) 2003-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26171B2 (ja) 取引データを処理する会計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並びにそのための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憶媒体
JPH0123814B2 (ko)
JP6528070B2 (ja) 記帳システム
JP2002063437A (ja) 受発注システム及び流通支援システム並びに品揃え関連情報生成システム
JP2002099782A (ja) 受発注システム及び品番振替制御方法
KR20010039705A (ko) 비지니스지원장치 및 기록매체
JP2009176121A (ja) 経営管理システム
KR20010099689A (ko) 비지니스데이터의 관리방법 및 관리장치
JP2021121919A (ja) 決算処理支援システム、決算処理支援方法、及び決算処理支援プログラム
JP3188241B2 (ja) ネットワーク利用の知的データ処理方法及び装置及び記録媒体
TW466429B (en) Electronic data processing system for operation management
JPH1153450A (ja) カストディ支援システム
JP2002117216A (ja) ビジネス支援装置及び方法及び記録媒体
WO2022149222A1 (ja) 仕訳装置、仕訳方法、仕訳表示方法、仕訳表示プログラム
JP2001084304A (ja) 連結決算用データ作成システム
Chow et al. Microsoft Dynamics NAV
Ross The procurement of an automated library system with a model RFP
Mantovani Sage 50 Accounts 2016 in easy steps
Boss A model RFP for an automated library system
JP2023112876A (ja) 販売管理システム、販売管理方法、及び販売管理プログラム
JP2001101266A (ja) キャッシュフロー計算システム
Drake et al. Greater Buyer Effectiveness Through Automation
JP2000311198A (ja) ネットワーク利用の知的データ処理装置
Gilert Sage 50 Accounts 2013 in easy steps
Arif et al. Integrating SAP ERP Financia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