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37541A - 천연물 성분 살균·살충제 - Google Patents

천연물 성분 살균·살충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37541A
KR20010037541A KR1019990045115A KR19990045115A KR20010037541A KR 20010037541 A KR20010037541 A KR 20010037541A KR 1019990045115 A KR1019990045115 A KR 1019990045115A KR 19990045115 A KR19990045115 A KR 19990045115A KR 20010037541 A KR20010037541 A KR 200100375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sin
natural product
insecticide
disinfectant
ad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5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46313B1 (ko
Inventor
이항섭
Original Assignee
이항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항섭 filed Critical 이항섭
Priority to KR10199900451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6313B1/ko
Publication of KR200100375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75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63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63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6Coniferophyta [gymnosperms], e.g. cypres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살균·살충제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자세히는 송진을 이용한 살균·살충제에 관한 것이다. 건조된 분말상의 송진을 알코올, 산 또는 알칼리에 용해시킨 것 또는 송진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천연물 살균·살충제는 특히 고추 탄저병에 현저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Description

천연물 성분 살균·살충제{A Germicidal and Insecticidal Agent made from Natural Product}
본 발명은 천연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살균·살충제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자세히는 송진을 주성분으로 하는 살균·살충제에 관한 것이다.
식량 문제의 해결을 위하여 인류는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다. 단위 면적당 생산성을 높이기 위하여 비료 등의 영양염류를 공급하고, 해충을 방제하기 위하여 많은 화학적 연구와 시도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들어 비료나 살충제, 살균제와 같은 농약들은 대부분 화학합성을 통하여 대량으로 생산되고 사용되어 생태계의 균형을 깨뜨리고 환경을 파괴하는 주요한 원인이 되고 있다.
화학비료와 농약은 비정상적으로 식물의 생장을 촉진시키고 일시적으로 병해충이나 균을 방제하는 효과는 있었으나, 장기적인 관점에서 볼 때 해충과 균의 내성을 유발시킴으로써 점점 더 독성이 강한 농약을 쓰거나 여러 차례 방제를 해야만 하는 문제를 야기시켰다.
뿐만 아니라, 화학 농약은 자연계의 먹이사슬을 파괴함으로써 천적관계의 생물 및 식물에 유익한 미생물을 멸종시키고 있다.
또한, 화학비료와 농약의 지속적인 사용은 토양 및 수질을 2차 오염시키는 문제를 유발시키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미생물 농약에 관한 연구들이 많이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 미생물 농약은 실제로 널리 이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며, 천연농약에 대한 많은 연구가 요구되는 상황이다.
탄저병(炭疽病, anthracnose)은 사과, 포도, 고추, 수박 등의 작물에 나타나는 병으로서 온난다습한 지역의 식물에서 발생하며, 주로 콜레토트리쿰 속, 글로이오스 포리움 속 곰팡이가 원인이다. 이들 곰팡이는 분생자층에서 포자를 만들어낸다. 이 병에 걸리면 식물의 잎, 줄기, 열매, 꽃에 여러 색의 반점들이 생겨나는데, 이 반점들은 점점 커져 조직을 위축시키고 식물을 시들어 죽게 한다. 탄저병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병든 부분을 제거하거나 또는 살균제를 살포하거나 식물 사이에 탄저병균을 전파시키는 진드기류와 곤충들을 제거한다.
그런데, 고추 탄저병의 경우 꽃이 피기 시작하는 6월 중하순경부터 발생하기 시작하는데, 탄저병의 원인인 곰팡이는 다습한 환경에서 급속도로 번식하게 되므로 비가 온 다음에는 농약을 살포해주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고추농가에서는 탄저병 방제를 위하여 6월에서 8월 사이에 살균제를 평균 15회 이상 살포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탄저병의 원인 곰팡이는 점점 살균제에 대한 내성이 강해져 가고, 부분적으로 농약이 살포되지 않은 곳으로부터 밭 전체로 쉽게 번지게 된다. 이와 같은 독성 농약의 빈번한 살포로 인한 농민들의 농약 중독 현상도 심각해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화학농약이 유발시키는 해충과 균의 내성 및 환경오염, 독성 문제 등을 해결하고 천연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살균·살충제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탄저병, 특히 고추 탄저병에 효과가 있는 천연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살균·살충제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도 1의 a, b는 본 발명의 살균·살충제를 사용한 적용예(왼쪽)와 일반 화학 농약을 사용한 대조군(오른쪽)를 비교하는 사진이다.
송진은 소나무 등이 손상을 입었을 때 분비되는 반투명한 수지로서 송지라고도 한다. 깨끗한 것은 무색투명한 액체이지만 시간이 지나면 희뿌옇고 끈적끈적한 성질이 생긴다. 송진의 성분은 로진이라고도 하는 수지분이 70∼75%, 테레빈유가 18∼22%, 물과 기타 불순물이 5∼7%으로 구성되어 있다. 테레빈유는 주로 연고제, 도료용제, 구두약 등으로 쓰이며, 로진은 비누, 인쇄용 잉크 등에 쓰인다.
송진은 2년 이상 장기간의 보관에도 상하지 않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또한, 송진에는 곰팡이가 번식하지 못한다.
상기와 같은 송진의 성질을 이용하여 특허 제154597호는 구강 및 피부질환치료제로서 송진을 응용하고 있으며, 또한, 소취효과를 갖는 피부용 조성물로서 송진을 응용한 예가 특허출원 제1997-78862호에 제시되어 있다.
자연에서 손쉽게 채취할 수 있는 송진은 위와 같이 독특한 방향을 가지고 있으며 소염, 진통효과를 발휘할 수 있어 민간요법에서 종종 응용되어 왔다.
본 발명자는 화학농약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천연물을 이용한 농약에 대하여 연구하던 중 이와 같은 송진의 인체 적용 사례를 응용하여 살균, 살충 농약제제로서 송진의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게 되었다.
송진은 끈적끈적한 점성을 가지고 있으며, 물에 녹지 않는다. 따라서, 송진을 채취한 원상태로 식물에 적용하는 것은 어렵다. 송진을 용해상태로 만들기 위하여 먼저 송진을 자연상태로 건조시킨다. 일주일가량 음지에서 건조시킨 후 빻으면 분말상의 송진이 된다.
이와 같이 얻어진 송진 분말에 알코올, 바람직하게는 에탄올, 아세트산과 같은 산성 용액 및 수산화나트륨 용액과 같은 알칼리성 용액 중의 1종을 가하여 교반, 혼합시킨다.
에탄올은 1∼20M 농도를 가하여 송진을 용해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탄올이 1M 미만인 경우에는 송진이 잘 녹지 않으며, 20M 초과인 경우 작물 살포시 부작용이 생길 수 있다.
아세트산은 0.1∼5M 농도를 가하여 송진을 용해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0.1M 미만인 경우 송진이 용해되지 않으며, 5M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작물 살포시 pH가 지나치게 낮아져 바람직하지 않다.
수산화나트륨 용액은 0.1∼100mM가 되도록 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1mM 미만인 경우 송진을 용해시킬 수 없으며, 100mM 이상인 경우에는 강염기성인 수산화나트륨이 작물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천연물 성분 살균·살충제는 500배 가량 희석하여 사용하게 되므로 에탄올, 아세트산, 수산화나트륨의 최종 농도는 상기 기재한 농도보다 낮아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알코올, 산, 염기용액으로 용해시킨 송진은 그대로 희석하여 이용하거나 또는 용해되지 않은 불순물 등을 여과한 후 희석하여 사용한다.
산, 염기용액으로 용해시켜 제조한 본 발명의 살균·살충제에는 에탄올을 0.1∼10M이 되도록 가하여 보존성과 살균·살충효과를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완전히 용해된 송진 또는 송진 추출물을 식물의 살충·살균제 용도로 쓰거나, 또는 우유, 염, 삭카린, 홍화씨 가루 등을 추가하여 살균·살충제로 사용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송진 또는 송진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천연물 성분 살균·살충제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소나무로부터 송진을 채취하여 자연상태로 일주일동안 건조하였다. 건조된 송진을 분말상으로 빻았다. 수산화나트륨(NaOH) 0.5g을 물 1ℓ에 녹인 후 분말상의 송진 300g을 가하였다. 잘 저은 후 에틸알코올 200㎖, 우유 2000㎖, 삭카린나트륨 300g, 천일염 100g, 홍화씨 분말 300g을 가하였다.
12시간이 경과하면 처음에는 붉은 빛을 띄던 혼합물이 간장빛의 액체로 변하였다. 이 액체를 보관하고 살균·살충제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2
자연 건조시킨 송진분말을 중량대비 100%의 에탄올(농도 75%)에 녹였다.
이 액체를 보관하고 살균·살충제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3
자연 건조시킨 송진분말을 중량대비 200%의 아세트산(농도 5%)에 녹였다. 여기에 최종농도 5%가 되도록 염화나트륨을 가하였다.
이 액체를 보관하고 살균·살충제로 사용하였다.
적용예 1
상기 실시예 1, 2, 3에서 얻어진 본 발명의 살균·살충제1ℓ를 물 500ℓ에 희석시켜 탄저병 초기단계의 고추 엽면에 살포하였다.
그 결과 살포 후 12시간 내에 탄저병의 확산이 억제되었으며, 일반 화학 살균제에 비하여 방제 효과가 현저히 오랫동안 지속되었다.
도 1의 a,b는 본 발명의 살균·살충제를 사용한 고추(왼쪽)와 일반 화학농약을 사용한 고추(오른쪽)를 비교한 사진이다. 본 발명의 적용예는 잎과 고추열매가 정상적인 반면, 오른쪽의 대조군은 고추열매와 잎이 누렇게 마르고 전체적으로 생장이 저해되었다.
본 발명의 살균·살충제를 지속적으로 사용하는 경우 6∼8월 하절기동안 5∼6회의 방제로 탄저병을 90% 이상 막을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1에서 얻어진 본 발명의 살균·살충제를 사용하면 탄저병의 매개체인 진드기를 구제할 수 있어 고추 탄저병의 빠른 확산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살균·살충제를 지속적으로 사용하는 고추밭에서는 도 1의 비교사진과 같이 본 발명의 살균·살충제를 사용하지 않고 일반 화학농약을 사용한 대조군에 비하여 고추의 성장이 원활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살균·살충제를 지속적으로 사용하는 고추밭에서는 고추잎과 열매의 육질이 부드러워지는 효과를 볼 수 있었다.
실제로 본 발명자가 본 발명의 살균·살충제를 3년 전부터 제조하여 주위의 농민들에게 사용하도록 한 결과 바로 이웃한 고추밭에서도 본 발명의 살균·살충제를 사용한 고추밭은 탄저병의 피해 없이 고추가 잘 성장하는 반면, 사용하지 않은 고추밭에서는 고추 잎과 열매가 누렇게 말라 죽고 전체적으로 성장이 부실함을 관찰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살균·살충제는 고추 탄저병 뿐만 아니라 다른 식물의 병충해에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자연에서 손쉽게 채취 가능한 송진을 주성분으로 하여 식물의 살충·살균제로 이용함으로써 경제적으로 병해충을 방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화학농약의 폐해 즉, 병해충의 내성, 수질 및 토양오염, 인체에 대한 독성 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연간 피해액 1천억원으로 추산되는 고추 탄저병에 현저한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고추 탄저병의 확산을 막고, 방제효과가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효과를 나타낸다.

Claims (8)

  1. 송진 또는 송진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천연물 성분 살균·살충제.
  2. 제1항에 있어서, 알코올, 산, 알칼리 용액으로 구성된 용매그룹 중 하나에 용해된 송진 또는 송진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천연물 성분 살균·살충제.
  3. 제2항에 있어서, 에탄올을 1∼20M 가하여 용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물 성분 살균·살충제.
  4. 제2항에 있어서, 아세트산을 0.1∼5M 가하여 용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물 성분 살균·살충제.
  5. 제2항에 있어서, 수산화나트륨을 0.1∼100mM 가하여 용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물 성분 살균·살충제.
  6. 제3항 내지 제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우유, 삭카린, 염, 홍화씨가루 중의 1종 이상을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물 성분 살균·살충제.
  7.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에탄올을 0.1∼10M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물 성분 살균·살충제.
  8. 제7항에 있어서, 우유, 삭카린, 염, 홍화씨가루 중의 1종 이상을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물 성분 살균·살충제.
KR1019990045115A 1999-10-18 1999-10-18 고추탄저병 방제제 KR1003463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5115A KR100346313B1 (ko) 1999-10-18 1999-10-18 고추탄저병 방제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5115A KR100346313B1 (ko) 1999-10-18 1999-10-18 고추탄저병 방제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7541A true KR20010037541A (ko) 2001-05-15
KR100346313B1 KR100346313B1 (ko) 2002-07-26

Family

ID=19615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5115A KR100346313B1 (ko) 1999-10-18 1999-10-18 고추탄저병 방제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631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0571A (ko) * 2017-11-03 2019-05-13 김동섭 미네랄 성분을 함유하는 비료의 제조방법
KR102183223B1 (ko) * 2020-07-07 2020-11-25 정윤수 친환경 살충제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3576B1 (ko) 2015-12-30 2019-03-29 (주)피러스 목재 추출물 유래 정유와 송진을 포함한 식물성 살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FI20185747A1 (en) * 2018-09-07 2020-03-08 Woimet Oy USE OF ROSIN FOR SEED TREATMENT
FI20205099A1 (en) 2020-01-31 2021-08-01 Woimet Oy Use of rosin for the treatment of plant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0571A (ko) * 2017-11-03 2019-05-13 김동섭 미네랄 성분을 함유하는 비료의 제조방법
KR102183223B1 (ko) * 2020-07-07 2020-11-25 정윤수 친환경 살충제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46313B1 (ko) 2002-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3088B1 (ko) 식물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살충제
KR102196541B1 (ko) 천연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친환경 살충 및 기피제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00070265A (ko) 과수 병해 방제용 미생물 살균제
JP2007534765A (ja) 微生物による植物の病気の処置方法
CN111296466B (zh) 一种防治果树苗传病虫害的涂干制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6069391A (zh) 一种桃树流胶病的防治方法
KR101845990B1 (ko) 고기능성의 고농축 석회보르도액 및 그 제조방법
KR20060015600A (ko) 항균ㆍ항바이러스 조성물
KR100480488B1 (ko) 흰가루병 방제 조성물
KR100346313B1 (ko) 고추탄저병 방제제
WO2005072529A1 (en) Compositions for use as biocides and biostatics and uses of said compositions
AU732614B2 (en) Ant spray containing D-limonene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KR101890025B1 (ko)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fnr-10 균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딸기 병원균에 대한 방제용 조성물
KR100505819B1 (ko) 식물의 흰가루병 방제제
CN105053023A (zh) 一种采用微生物的种子处理剂
US20210169087A1 (en) Use of a structural polypeptide for plant coating
KR20020001902A (ko) 고분자 키틴, 키토산을 이용한 감귤 병충해 방제방법
CN106259435B (zh) 一种增强吡唑醚菌酯防效的杀菌混剂配方及制备方法
CN109588414A (zh) 一种绿茶树专用植物源复合农药及其制备方法
KR101625599B1 (ko) 오이 흰가루병 및 오이 노균병 방제를 위한 친환경 방제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US20040111962A1 (en) Film forming agent for coating plants and methods for supplying ingredients to plants using such agent
CN114794134B (zh) 一种防治山茶枝干黑斑的喷洒液及其制备方法和应用
JP2001139410A (ja) 植物の病害虫防除・育成賦活組成物及び植物の成長促進方法
NL8304047A (nl) Aldecid.
KR20050082403A (ko) 무화과 추출 액을 이용한 생물농약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1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