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0025B1 -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fnr-10 균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딸기 병원균에 대한 방제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fnr-10 균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딸기 병원균에 대한 방제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0025B1
KR101890025B1 KR1020160061654A KR20160061654A KR101890025B1 KR 101890025 B1 KR101890025 B1 KR 101890025B1 KR 1020160061654 A KR1020160061654 A KR 1020160061654A KR 20160061654 A KR20160061654 A KR 20160061654A KR 101890025 B1 KR101890025 B1 KR 1018900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nr
strawberry
composition
present
st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16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0876A (ko
Inventor
이광수
정만훈
정남준
배영일
Original Assignee
이광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광수 filed Critical 이광수
Priority to KR10201600616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0025B1/ko
Publication of KR201701308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08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00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00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01N63/02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animals or substances produced by, or obtained from,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or animals, e.g. enzymes or fermentates
    • A01N63/10Animals; Substances produced thereby or obtained therefro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26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in coated particulate form
    • A01N25/28Microcapsules or nanocapsul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4/00Drug, bio-affecting and body treating compositions
    • Y10S424/10Insect repellent
    • Y10S514/919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lant Pa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Vir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xicolog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KCTC 12583BP로 기탁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FNR-10 균주 또는 상기 균주 배양물을 포함하는 딸기 병원균에 대한 방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딸기 병원균에 대해 항균활성을 나타내며, 딸기 생장에 부정적인 어떠한 영향도 나타내지 않는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동물 및 어류 안정성 시험에서 어떠한 독성이나 자극도 발생시키지 않은 안전한 물질이며, 딸기 병원균의 생장을 효과적으로 억제시키므로 딸기 생산을 증가시키는 목적으로 유용하게 이용 가능하다.

Description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FNR-10 균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딸기 병원균에 대한 방제용 조성물{Composition for Controlling Strawberry Pathogen Comprising Bacillus subtilis FNR-10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FNR-10 균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딸기 병원균에 대한 방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딸기 곰팡이병 방제는 주로 화학적 방제에 의존하고 있으나 농약 잔류, 내성균 출현 등의 문제가 있어 방제가 쉽지 않으며, 특히 딸기의 전생육기에 걸쳐 발생하는 곰팡이병 방제에는 많은 어려움이 발생되고 있다. 딸기 곰팡이병은 병원균의 균사 생장 억제 및 포자 발아 불활성 등에 관여하는 항진균 활성 물질을 생산하는 미생물에 의한 방제가 탁월한 효과가 있음이 입증된 바 있다. 딸기 곰팡이병 방제 효과를 가지는 국내 토착형 미생물의 선발과 효과적인 제형에 의한 약효가 지속적이고 우수한 제품 개발이 필요하다. 매년 발생하는 딸기 곰팡이병에 의한 경제적 손실이 전체 딸기 시장의 10-15%를 차지하고 있는 실정이고 고소득의 수출 작목으로 친환경적인 재배에 적합한 제품 개발이 국가적 차원에서 시급한 것으로 판단된다.
미생물을 이용한 농약은 기존 화학농약에 비해 여러 가지 장점을 보유하고 있으나 효과 측면에서 서서히 나타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이를 극복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다수의 논문 및 특허문헌이 참조되고 그 인용이 표시되어 있다. 인용된 논문 및 특허문헌의 개시 내용은 그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참조로 삽입되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수준 및 본 발명의 내용이 보다 명확하게 설명된다.
등록특허 제10-0817428호 등록특허 제10-1403304호 등록특허 제10-1098304호
본 발명자들은 딸기에서 질병을 일으키는 병원균의 생육을 억제할 수 있는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조성물을 개발하기 위해 예의 연구 노력하였다. 그 결과, 버섯재배농가의 폐면배지로부터 분리 동정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FNR-10 균주(KCTC 12583BP) 또는 상기 균주 배양물이 딸기 병원균에 대해 항균 활성을 가지고 있음을 규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KCTC 12583BP로 기탁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FNR-10 균주 또는 상기 균주 배양물을 포함하는 딸기 병원균에 대한 방제용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KCTC 12583BP로 기탁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FNR-10 균주 또는 상기 균주 배양물을 포함하는 딸기 병원균에 대한 방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딸기에서 질병을 일으키는 병원균의 생육을 억제할 수 있는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조성물을 개발하기 위해 예의 연구 노력하였고 그 결과, 버섯재배농가의 폐면배지로부터 분리 동정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FNR-10 균주(KCTC 12583BP) 또는 상기 균주 배양물이 딸기 병원균에 대해 항균 활성을 가지고 있음을 규명하였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유효성분으로 포함되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FNR-10 균주는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물자원센터(Korean Collection for Type Cultures)에 2014년 4월 29일자로 기탁하였고, 기탁번호 KCTC 12583BP를 부여받았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FNR-10(KCTC 12583BP) 균주는 서열목록 제1서열의 16S rRNA 유전자 서열을 갖는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딸기 병원균에 대해 항균활성을 발휘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딸기 병원성 곰팡이 흰가루병 병원균(Phyllactinia kakicola), 잿빛곰팡이병 병원균(Botrytis cinerea), 시들음병 병원균(Fusarium oxysporum f. sp. fragariae) 및 탄저병 병원균(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또는 Glomerella cingulata)에 대해 항균 활성을 나타내며, 딸기 생장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딸기에 대한 주요 병해충인 흰가루병, 잿빛곰팡이병, 시들음병 및 탄저병에 대하여 방제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방제 효과를 나타내는 흰가루병은 Phyllactinia kakicola에 의해 발생하며, 상기 병원균은 살아 있는 식물체에서만 생활할 수 있는 절대적 기생자로 표피 세포내에 흡기라는 기관을 형성하여 기생생활을 한다. 흰가루병은 딸기의 잎, 엽병, 꽃, 화경, 과일 등 여러 부분에 발생한다. 잎에서는 흰가루 모양의 작은 반점을 형성하며, 하엽의 뒷면에 적갈색의 반점 형성이 진전되면 회백색의 곰팡이가 발생하게 되며 잎이 휘어진다. 꽃에 발생하면 꽃잎에 안토시아닌 색소가 형성되어 자홍색으로 변한다. 과일에서는 침해된 부분이 생육이 늦어지고, 착색이 진행되지 않고 하얗게 되어 상품 가치가 떨어진다. 발병 주에서 주변포기로 포자가 비산하여 주로 전염되며 화분매개용 꿀벌에 부착되어 전염되기도 한다. 포자의 비산은 12시 전후, 습도 55%이하, 날씨가 맑은 날 활발하게 이루어진다. 이전에 감염된 식물의 조직에서 월동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방제 효과를 나타내는 잿빛곰팡이병은 잿빛의 곰팡이를 형성하는 병원균 Botrytis cinerea에 의해 발생한다. 과실, 꽃받침, 과경, 잎, 엽병 등 지상부위에 주로 피해가 나타나며, 특히 과실에 큰 피해를 입힌다. 어린 과실에 침입하여 갈색으로 마르고 심하면 흑갈변하고 다습시에는 부패하고 잿빛의 병원균이 발생한다. 꽃에 침입할 경우 수정 후 꽃잎이 떨어지지 않고 붙어 있을 때 꽃받침이 적색으로 되며 갈변 또는 흑갈변하며 썩는다. 처음에 하엽의 고사한 부분에 병원균이 분생포자를 형성하여 비바람에 의하여 비산 전염된다. 잿빛곰팡이병균은 포자에 의한 눈마름병 발생부위, 상처부위나 꽃잎, 암술, 수술 등 꽃의 각 기관을 통해 침입한다. 화분매개용 벌의 몸에 부착되어 꽃을 통해 전염되기도 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방제 효과를 나타내는 시들음병은 F. oxysporum f.sp. fragariae라는 곰팡이균에 의해 발생한다. 새잎이 황록색이 되거나 작아지고, 3개 소엽중 1-2소엽이 기형으로 작아져 짝엽이 되어 나온다. 피해 포기의 관부와 엽병을 잘라보면 도관을 따라 갈변하고 병이 진전되면 하엽이 시들고 하얀 뿌리는 거의 없고 흑갈색으로 부패한 것이 많고 포기전체가 위축되고 말라 죽는다. 피해포기의 관부, 엽병, 과병을 절단해 보면 도관의 일부 또 는 전체가 갈색이나 흑갈색으로 변하고 채묘상의 모주에 발생하면 런너 발생수가 적어지고 런너의 새잎에도 기형엽이 발생한다. 수확기에 발생하면 착과가 적게 되고 과실 비대도 나빠진다. 토양 중에 있는 후막포자가 주 전염원으로 딸기의 뿌리로 들어가 도관 안에 균사를 신장하여 증식한다. 고온기 육묘기에 많이 발생하며, 감염된 모주로부터 런너줄기(도관)를 타고 자묘로 이동하여 전염원이 된고 분생포자는 토양입자가 비산할 경우 전염하고 관계수를 통해서 전염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방제 효과를 나타내는 탄저병은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또는 Glomerella cingulata라는 곰팡이에 의해 발생하는 병으로 런너와 엽병에 나타나기 쉽고 분홍색의 분생자층을 형성한다. 크라운부에 침입할 경우 크라운 부위를 잘라보면 바깥부분 안쪽으로 갈변하며 묘 전체가 시들어죽는 형태를 나타내며 엽병, 런너에 발병할 경우 수침상으로 움푹하게 들어가는 검은색 병반을 형성하며 다습시 분홍색의 포자퇴 형성한다. 탄저병은 잠재감염주와 이병잔해물이 1차전염원이며 강우나 관수에 의해 포자가 이동하여 2차전염원이 된다. 또한, 비바람이나 위에서 강한 관수시 감염주에서 형성된 분생포자가 물방울과 함께 비산하여 주위 건전주에 쉽게 전염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에 유효성분으로 포함되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FNR-10 균주에 의해 딸기에 대한 흰가루병 병원균(Phyllactinia kakicola), 잿빛곰팡이병 병원균(Botrytis cinerea), 시들음병 병원균(Fusarium oxysporum f. sp. fragariae) 및 탄저병 병원균(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또는 Glomerella cingulata)의 생장이 완전히 억제되는 최소농도는 각각 15-25 μM, 17-27 μM, 15-25 μM 및 5-15 μM이다. 최소 억제 농도(minimum inhibitory cencentration, MIC)는 주어진 생장 조건에서 시험세균의 생장이 완전히 억제되는 최소농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에 유효성분으로 포함되는 FNR-10 균주에 의해 딸기에 대한 흰가루병 병원균, 잿빛곰팡이병 병원균, 시들음병 병원균 및 탄저병 병원균의 생장이 완전히 억제되는 최소농도는 각각 15-22 μM, 17-25 μM, 15-22 μM 및 7-14 μM이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에 유효성분으로 포함되는 FNR-10 균주에 의해 딸기에 대한 흰가루병 병원균, 잿빛곰팡이병 병원균, 시들음병 병원균 및 탄저병 병원균의 생장이 완전히 억제되는 최소농도는 각각 16-20 μM, 19-24 μM, 16-20 μM 및 8-12 μM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딸기 시들음병에 대하여 대조군 대비 50-80%의 방제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딸기 시들음병에 대하여 대조군 대비 55-75%의 방제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딸기 시들음병에 대하여 대조군 대비 60-70%의 방제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에 유효성분으로 포함되는 FNR-10 균주의 생균력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Na-알지네이트, K-카라기닌 및 젤란검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캡슐화 소재를 이용하여 마이크로캡슐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FNR-10 균주의 마이크로캡슐화에 이용되는 캡슐화 소재는 Na-알지네이트 또는 K-카라기닌이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FNR-10 균주의 마이크로캡슐화에 이용되는 캡슐화 소재는 추가적으로 안정제로서 전분 또는 CMC(Carboxymethyl Cellulose)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정 구현예에 따르면, FNR-10 균주의 마이크로캡슐화는 1.0% 전분 및 1.5% Na-알지네이트를 혼합하여 실시한다. 상기 마이크로캡슐화에 의해 FNR-10 균주의 생균수 감소가 억제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방제용 조성물을 딸기 재배 시 희석 살포하여 딸기 병원균의 생장을 억제함으로써 딸기 생산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ⅰ) 본 발명은 KCTC 12583BP로 기탁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FNR-10 균주 또는 상기 균주 배양물을 포함하는 딸기 병원균에 대한 방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ⅱ) 본 발명의 조성물은 딸기 병원균에 대해 항균활성을 나타내며, 딸기 생장에 부정적인 어떠한 영향도 나타내지 않는다.
(ⅲ) 본 발명의 조성물은 동물 및 어류 안정성 시험에서 어떠한 독성이나 자극도 발생시키지 않은 안전한 물질이며, 딸기 병원균의 생장을 효과적으로 억제시키므로 딸기 생산을 증가시키는 목적으로 유용하게 이용 가능하다.
도 1은 미량 희석법에 의한 B. subtilis FNR-10의 딸기 병원성 곰팡이에 대한 최소억제농도를 보여주는 결과이다.
도 2는 B. subtilis FNR-10 균주의 제형화에 대한 모식도이다.
도 3은 B. subtilis FNR-10 균주를 포함하는 공시자재의 약해 시험 결과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실험방법
1. B. subtilis FNR-10 균주의 항진균 활성 측정
딸기 병원성 곰팡이 흰가루병(Phyllactinia kakicola), 잿빛곰팡이병(Botrytis cinerea), 시들음병(Fusarium oxysporum f. sp. fragariae) 및 탄저병(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Glomerella cingulata) 항진균 실험 표준 균주들은 PDB(Potato dextrose broth, Difco, USA) 액체 배지에서 28℃ 에서 96시간 동안 배양한 후에 배양액을 새로운 PDB 배지로 2 × 104 cfu/㎖이 되도록 희석하였다. B . subtilis FNR-10의 500 L 발효조 대량 배양한 여액은 무균 상태인 멸균된 NB 배지로 단계 희석하였다. 그런 다음에 항진균 실험 표준 미생물 균주 100 ㎕를 96-웰 폴리프로필렌 마이크로타이터 플레이트(Costar 3790, Corning, USA)의 각각의 웰에 넣고 웰에 준비된 농도의 B. subtilis FNR-10의 배양 희석 여액을 혼합하였다. B . subtilis FNR-10의 항진균 활성을 보기 위해 28℃에서 48시간 동안 배양 후에 ELISA Reader(Molecular Devices, USA)를 이용하여 620 nm에서 흡광도를 읽어 최소 억제 농도(MIC, Minimal Inhibition Concentration)를 측정하여 조사하였다. 대조군으로 사용한 광범위 딸기 살균제 화학 농약인 플루디옥소닐(상품명:사파이어)은 항진균 활성 대조 약제로 사용하였으며 표기되어 있는 사용 농도로 희석하여 동일한 조건에서 조사하였다.
2. B. subtilis FNR-10 균주의 병해관리용 유기농업자재 실용화를 위한 제제 기술 확립
(1) B. subtilis FNR-10 균주의 밀도와 항진균 활성 물질 안정성 조건
기존의 보급된 바실러스 속의 균주의 제형들은 일반적으로 배양 균주의 사멸에 의한 장기보관의 어려움과 항균 또는 항진균 활성 물질들이 부적합한 환경조건에 노출됨으로 활성이 소멸되는 안정성의 두 가지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므로 기존에 보급된 기술로는 제품의 장기보관과 안정성이 확보되지 않기 때문에 B. subtilis FNR-10 균주 배양액 주원료와 부원료에 의한 마이크로캡슐 최적 제형 조건 연구가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식품이나 의약품의 경우 단백질이나 다당류 등 고분자 물질의 담체를 이용한 마이크로캡슐 연구는 효모나 유산균의 마이크로캡슐화에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고 실용화되었다. 농업용 미생물제제의 경우에는 미생물 고정화 기술은 상용화로 확립되지 않고 다양한 충진제에 흡착시키는 기술로 입단화시키는 제제로 상용화가 되어 있는 실정이나 생균수의 감소가 가장 큰 문제점으로 되어 있다. 식품 미생물제제에 비해 부가가치가 낮은 농업용 미생물제제, 특히 액상제품의 생존율을 높일 수 있는 저렴한 마이크로캡슐화 소재와 공정기술이 다소 연구는 이루어져 있으나 상용화가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마이크로캡슐 방식은 저속의 연동펌프를 이용한 마이크로 노즐 방식을 채택하여 사용하였다. 마이크로캡슐화의 알갱이(Bead)를 형성하는 생균력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저렴한 비용으로 구입이 가능한 소재 중에서 잘 알려져 있는 Na-알지네이트와 K-카라기닌 그리고 젤란검을 사용하였다. 또한 경화용액에서 알갱이를 형성한 후에 경화용액과 알갱이를 분리할 수 있는 스크린망(Mesh)을 부착하여 분리 정제하였다.
(2) B. subtilis FNR-10 균주의 제형화 조건
B. subtilis FNR-10 균주를 42℃ 환경에서 24시간 최적화 배지에서 배양한 독립 군락을 5 ㎖ 최적화 배지에 동일한 조건으로 배양한 배양액을 500 ㎖ 최적화 배지로 옮겨 동일한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배양한 500 ㎖ 배양액의 300 ㎖를 30 L 최적화 배지에 옮겨 50 L 배양기에서 최적 배양 조건과 항균 활성이 가장 높은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최종적으로 배양한 50 L 배양액의 30 L를 300 L 최적화 배지에 옮겨 500 L 배양기에서 최적 배양 조건과 항균 활성이 가장 높은 조건에서 배양한 1.0 - 1.2 x 107 cfu/㎖ B. subtilis FNR-10 균주 배양액과 제품 효력 증진제로 식품 첨가물인 효모 추출물 Yeastex LSP [Yeast Extract, Leiber GmbH, 독일, 수입원 ㈜비전바이오켐]을 5% 첨가하여 조성 배합 비율로 혼합하여 제형화하였다(도 6).
3. 고유 B. subtilis FNR-10 균주 배양액을 포함하는 시제품의 약효 포장시험
유기농업자재인 귀족바실러스플러스의 딸기 흰가루병(Phyllactinia kakicola), 잿빛곰팡이병(Botrytis cinerea), 시들음병(Fusarium oxysporum f. sp. fragariae) 및 탄저병(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Glomerella cingulata)에 대한 방제 효과를 검정하고 제품개발의 기초자료로 이용하고자 약효 시험 방법은 농촌진흥청 고시“농약의 등록기준 약효 및 약해 시험기준과 방법”에 준하여 실시하였다. 시험작물(품종)은 딸기(장희)를 사용하였으며 대상 병해 발생 상황은 딸기 곰팡이병 무처리 평균 이병주율 20.0% 이상으로 약효를 검토하기에 충분하였다. 약제 처리는 귀족바실러스플러스를 500배(3L/m2)로 희석하여 사용하였으며 정식 후 10일 간격으로 3회 관주 처리하여 실시하였다. 경종 방법으로는 시설재배, 촉성재배, 비닐멀칭을 20×25cm 간격으로 정식하였고, 실험기간 동안에 타 살균제는 살포하지 않았다. 시험구 배치와 면적은 처리수 2개체, 반복수 3로 총구수는 6개체로 구당면적은 10m2으로 소요면적은 60m2로 설정하였다. 약제 살포 전후 기상상황은 약효에 영향을 미칠만한 기상변화는 없었다. 시험의 약효시험 평가는 시험구내 구당 전체 200주 이상에 대한 이병주수를 조사하여 이병주율로 표기하였으며, 평균간 유의차 검정은 Duncan‘s multiple range test(DMRT)로 95% 수준에서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4. B. subtilis FNR-10 균주 배양액을 포함하는 제품의 약해 평가
유기농업자재인 귀족바실러스플러스의 작물 약해 효과를 검정하고 제품개발의 기초자료로 이용하고자 약효 시험 방법은 농촌진흥청 고시“농약의 등록기준 약효 및 약해 시험기준과 방법”에 준하여 실시하였다. 시험작물(품종)은 토마토(호용), 고추(독야청청), 배추(베타후레쉬), 오이(백봉다다기), 딸기(설향)를 사용하였다. 약제 처리는 귀족바실러스플러스를 기준량(1,000배 희석)과 배량(500배 희석)으로 사용하였으며 유묘기 경엽 처리하여 실시하였다. 경종 방법으로는 포트는 ø10㎝ 규격, 토성은 양토, 재배 평균온도는 27.8℃로 실시하였다. 시험구 배치와 면적은 작물에 따라서 처리수 3개체, 반복수 3로 총구수는 45개체로 구당 포트수는 5포트로 총소요 포트수는 225포트를 사용하였다. 시험의 약해시험 평가는 경엽처리 후에 3, 5, 7일차에 외관상 약해 유무 달관 조사로 시행하였다.
5. 딸기 곰팡이병 병해관리용 유기농업자재 공시 제품 신청 및 등록
(1) 시제품 생산
미생물 배양은 (재)진주바이오산업진흥원의 500 L 발효기를 이용하여 생산하였고 본사 생산부에서 친환경 유기농 자재 목록 공시 신청서에 제출한 제품 공정 규정에 따라 실시하였다.
(2) 제품 허가 등록 출원
「친환경농업육성법 시행규칙」제7조제2항 및 농촌진흥청 고시「친환경유기농자재 목록공시 요령」제3조제1항에 따라 친환경 유기농 자재 작물 병해 관리용 자재로 관련 서류와 함께 신청하였다.
(3) 제품 공정 시스템 확립
미생물 제제 코마에이치(액제) 제품 공정, 미생물 제제 코마에이치(입제) 제품 공정, 미생물 제제 코마에이치(액제/입제) 제품 품질 관리공정 및 미생물 제제 코마에이치(액제/입제) 제품 적용 대상 및 사용 방법에 대한 시스템은 친환경 유기농 목록 공시 요령에 따른 친환경 유기농 목록 공시 신청서의 제조 공정 등 품질 관리에 관한 자료를 기준으로 확립하였다.
실험결과
1. B. subtilis FNR-10 균주의 항진균 활성 측정
B. subtilis FNR-10 균주의 산업용 배양 조건에서 성장한 배양 희석 여액을 농도별로 딸기 병원성 곰팡이 흰가루병(Phyllactinia kakicola), 잿빛곰팡이병(Botrytis cinerea), 시들음병(Fusarium oxysporum f. sp. fragariae) 및 탄저병(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Glomerella cingulata)에 대하여 미량 희석법에 의하여 항진균 활성에 대한 최소 억제 농도(minimum inhibitory cencentration, MIC)를 조사하였다(도 1). 최소 억제 농도는 주어진 생장 조건에서 시험세균의 생장이 완전히 억제되는 최소농도를 의미한다.
대조군으로 사용한 광범위 딸기 살균제 화학 농약인 플루디옥소닐(상품명:사파이어)보다는 다소 낮은 항균 활성을 보였지만, 특히 탄저병에 대한 항진균 활성 효과는 탁월한 것으로 나타났다(도 1). 딸기 병원성 곰팡이 흰가루병(Phyllactinia kakicola), 잿빛곰팡이병(Botrytis cinerea), 시들음병(Fusarium oxysporum f. sp. fragariae) 및 탄저병(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또는 Glomerella cingulata)에 대한 항진균 활성은 전반적으로 우수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병해관리용 유기농업자재 미생물제제로 상용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2. 고유 B. subtilis FNR-10 균주의 병해관리용 유기농업자재 실용화를 위한 제제 기술 확립
(1) B. subtilis FNR-10 균주의 밀도와 항진균 활성 물질 안정성 조건
본 연구에서 B. subtilis FNR-10 균주를 이용하여 마이크로캡슐화의 알갱이(Bead)를 형성하는 생균력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저렴한 비용으로 구입이 가능한 소재 중에서 잘 알려져 있는 Na-알지네이트와 K-카라기닌 그리고 젤란검을 사용하여 상기의 조건을 만족할 수 있는 캡슐화 소재 선발을 위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각각의 소재들은 1.0, 1.5, 2.0% 농도에서 조사되었으며 K-카라기닌과 Na-알지네이트 순서대로 알갱이 형성이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젤란검의 경우에는 2.0% 이상의 농도를 첨가한 경우에 알갱이가 형성되었다. K-카라기닌과 Na-알지네이트 1.5%에서 형성된 알갱이에서의 생균수는 1.2 x 107 cfu/g과 1.1 x 107이었으나 2.0% 농도의 젤란검의 경우에는 2.0 x 106 cfu/g로 6배 정도의 높은 생균수를 나타내었다. 또한 K-카라기난과 Na-알지네이트의 알갱이 형성되는 농도와 생균수는 유사하지만 경제적인 측면에서 비교하였을 때는 K-카라기닌보다는 Na-알지네이트를 5배 이상 저렴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마이크로캡슐 내 미생물 생존력을 유지하는 캡슐막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안정제로는 흡착성분이 강한 CMC(Carboxymethyl Cellulose)와 저렴한 가격으로 구입이 용이한 전분(Satrch)을 안정제로 이용하여 생균력 증진 효과를 조사하였다. 흡착성분이 강한 1.0% CMC 보다는 가격이 저렴하고 구입이 용이한 1.0% 전분을 1.5% Na-알지네이트와 혼합하여 마이크로캡슐로 사용할 경우에 90일 경과 후에 따른 생균수 감소가 가장 적게 나타났으며 1.0% CMC를 안정제를 사용한 경우와 안정제를 사용하지 않은 마이크로캡슐보다는 10-100배 이상 높은 생균수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 상용화 기술로 개발된 식품 미생물제제에 비해 부가가치가 낮은 농업용 미생물제제의 생존율을 높일 수 있는 저렴한 마이크로캡슐화 소재와 공정기술이 제품의 유통 및 보관 기간 중 생균수의 저하를 방지하고 제품의 품질을 보장할 수 있으므로 농가의 경제적 부담을 줄이고 생산성이 증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2) B. subtilis FNR-10 균주의 제형화 조건
B. subtilis FNR-10 균주를 42℃ 환경에서 24시간 최적화 배지에서 배양한 독립 군락을 5 ㎖ 최적화 배지에 동일한 조건으로 배양한 배양액을 500 ㎖ 최적화 배지로 옮겨 동일한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배양한 500 ㎖ 배양액의 300 ㎖를 30 L 최적화 배지에 옮겨 50 L 배양기에서 최적 배양 조건과 항균 활성이 가장 높은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최종적으로 배양한 50 L 배양액의 30 L를 300 L 최적화 배지에 옮겨 500 L 배양기에서 최적 배양 조건과 항균 활성이 가장 높은 조건에서 배양한 1.0 - 1.2 x 107 cfu/㎖ B. subtilis FNR-10 균주 배양액을 1.5% Na-알지네이트와 1.0% 전분 혼합용액으로 마이크로캡슐화 한 다음에 제품 효력 증진제로 식품 첨가물인 효모 추출물 Yeastex LSP[Yeast Extract, Leiber GmbH, 독일, 수입원 ㈜비전바이오켐]을 5% 첨가하여 조성 배합 비율로 혼합하여 제형화하였다.
3. 고유 B. subtilis FNR-10 균주 배양액을 포함하는 제품(귀족바실러스플러스) 제작
주성분 및 함량: Bacillus subtilis (1.0*105 CFU/ml) 95.0%
실중량 : 300 ml
사용 방법 : 1,000배 희석하여 살포한다.
보관·사용 시 주의 사항 :
· 농약 혼용 시 일부 지역에 사용한 후 약해 유무를 확인하고 사용한다.
· 적용대상 작물 조직이 충분하게 젖을 수 있도록 흠뻑 살포한다.
· 이른 아침이나 오후 늦게 살포하여야 효과적이며 햇빛이 너무 강한 시기는 피한다.
· 사용한 후 남은 것은 냉암소에 보관한다.
약해시험 적용 작물 : 토마토, 고추, 배추, 오이, 딸기
4. 고유 B. subtilis FNR-10 균주 배양액을 포함하는 제품의 약효 시험
본 시험은 유기농업자재 공시를 위하여 농촌진흥청 고시 ‘유기농업자재 공시 및 품질인증 기준’에 의거하여 시험을 실시하였다. 공시자재(상표명: 귀족바실러스플러스)를 딸기 시들음병에 대하여 약효 시험은 시험작물(딸기)의 정식 후에 10일 간격으로 기준량으로 희석하여 3회 관주 처리한 후에 10일 후에 이병주를 관찰하였다. 시험 약제 귀족바실러스플러스를 처리하지 않은 무처리군은 이병주율이 22.0%로 나타났으며 시험 약제 귀족바실러스플러스를 처리한 군에서의 이병주율은 8.1%로 나타났다. 시험 약제 귀족바실러스플러스를 처리한 군에서의 딸기 시들음병에 대한 방제가는 63.2% 방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미생물제제의 경우에는 병충해관리용으로 공시 제품을 등록할 경우에는 방제가가 50% 이상이므로 본 시험결과 공시자재(상표명: 귀족바실러스 플러스)는 유기농업자재 공시용으로 적합할 것으로 판단되며 개발기술의 목표 방제가 70% 이상을 위해서는 살균 활성물질 생산성을 높이는 기술개발 연구가 더 이루어져야 한다고 사료된다.
약효 시험
시험약제 이 병 주 율(%) 유의차
(DMRT)
방제가
(%)
Ⅰ반복 Ⅱ반복 Ⅲ반복 평 균
귀족바실러스플러스 4.9 12.2 7.3 8.1 b 63.2
무 처 리 19.5 24.4 22.0 22.0 a -
C.V.(%) ----------------------------------- (6.7)
5. 고유 B. subtilis FNR-10 균주 배양액을 포함하는 제품의 약해 시험
본 시험은 유기농업자재 공시를 위하여 농촌진흥청 고시 ‘유기농업자재 공시 및 품질인증 기준’에 의거하여 시험을 실시하였다. 공시자재(상표명: 귀족바실러스플러스) 약해 시험은 시험작물 토마토, 고추, 배추, 오이 딸기의 유묘기에 기준량과 배량으로 희석하여 경엽 처리한 후에 각 작물의 신초 및 경엽에 대하여 3, 5, 7일차 외관상 약해 유무를 달관 조사하였다. 시험 약제 귀족바실러스플러스를 처리하지 않은 무처리군, 기준량 및 배량을 처리한 각 시험작물들에서 약해가 없는 것으로 판정되어 본 시험결과 공시자재(상표명: 귀족바실러스 플러스)는 유기농업자재 공시용으로 적합할 것으로 판단되었다(도 3a-f).
약해 시험
시험작물
(품종)
처리내용 약해정도(0~4) 최종결과
처리 후 3일차 처리 후 5일차 처리 후 7일차
토마토
(호용)
기준량 0 0 0 약해없음
배량 0 0 0 약해없음
고추
(독야청청)
기준량 0 0 0 약해없음
배량 0 0 0 약해없음
배추
(베타후레쉬)
기준량 0 0 0 약해없음
배량 0 0 0 약해없음
오이
(백봉다다기)
기준량 0 0 0 약해없음
배량 0 0 0 약해없음
딸기
(설향)
기준량 0 0 0 약해없음
배량 0 0 0 약해없음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물자원센터 KCTC12583BP 20140429
<110> Farmnuri <120> Composition for Controlling Strawberry Pathogen Comprising Bacillus subtilis FNR-10 As an Active Ingredient <130> PN160161 <160> 1 <170> KopatentIn 2.0 <210> 1 <211> 1393 <212> DNA <213> Bacillus subtilis FNR-10 16S rRNA <400> 1 gtcgagcgga cagatgggag cttgctccct gatgttagcg gcggacgggt gagtaacacg 60 tgggtaacct gcctgtaaga ctgggataac tccgggaaac cggggctaat accggatggt 120 tgtctgaacc gcatggttca gacataaaag gtggcttcgg ctaccactta cagatggacc 180 cgcggcgcat tagctagttg gtgaggtaac ggctcaccaa ggcgacgatg cgtagccgac 240 ctgagagggt gatcggccac actgggactg agacacggcc cagactccta cgggaggcag 300 cagtagggaa tcttccgcaa tggacgaaag tctgacggag caacgccgcg tgagtgatga 360 aggttttcgg atcgtaaagc tctgttgtta gggaagaaca agtgccgttc aaatagggcg 420 gcaccttgac ggtacctaac cagaaagcca cggctaacta cgtgccagca gccgcggtaa 480 tacgtaggtg gcaagcgttg tccggaatta ttgggcgtaa agggctcgca ggcggtttct 540 taagtctgat gtgaaagccc ccggctcaac cggggagggt cattggaaac tggggaactt 600 gagtgcagaa gaggagagtg gaattccacg tgtagcggtg aaatgcgtag agatgtggag 660 gaacaccagt ggcgaaggcg actctctggt ctgtaactga cgctgaggag cgaaagcgtg 720 gggagcgaac aggattagat accctggtag tccacgccgt aaacgatgag tgctaagtgt 780 tagggggttt ccgcccctta gtgctgcagc taacgcatta agcactccgc ctggggagta 840 cggtcgcaag actgaaactc aaaggaattg acgggggccc gcacaagcgg tggagcatgt 900 ggtttaattc gaagcaacgc gaagaacctt accaggtctt gacatcctct gacaatccta 960 gagataggac gtccccttcg ggggcagagt gacaggtggt gcatggttgt cgtcagctcg 1020 tgtcgtgaga tgttgggtta agtcccgcaa cgagcgcaac ccttgatctt agttgccagc 1080 attcagttgg gcactctaag gtgactgccg gtgacaaacc ggaggaaggt ggggatgacg 1140 tcaaatcatc atgcccctta tgacctgggc tacacacgtg ctacaatgga cagaacaaag 1200 ggcagcgaaa ccgcgaggtt aagccaatcc cacaaatctg ttctcagttc ggatcgcagt 1260 ctgcaactcg actgcgtgaa gctggaatcg ctagtaatcg cggatcagca tgccgcggtg 1320 aatacgttcc cgggccttgt acacaccgcc cgtcacacca cgagagtttg taacacccga 1380 agtcggtgag gta 1393 <210> 6 <211> 1035 <212> DNA <213> Bacillus subtilis FNR-10 gyrB gene <400> 6 tggaattgac cattcatcgt gccggtaaaa ttcacgaaca agaataccgt catggcgatt 60 cacagtatcc attaaaagtg gtgggcgata ccgatagaac cggtactcgt gtccgtttct 120 ggccaagtgc cgagactttt agtcagacca tttttaatgt tgatattttg gcgcgtcgtt 180 tgcgtgaact gtcgttccta aacgcaggtg tacgtattgt gctgcgtgac gaacgcatta 240 atgccgagca tgtctttgat tatgaaggcg gtctgtctga gttcgttaaa tatattaacg 300 aaggcaaaac tcacctgaat gatattttcc attttactgc tgcgcaggct gataacggta 360 ttacggtaga agtcgcattg cagtggaatg attcttatca ggaaaatgtg cgttgcttta 420 ccaataacat cccgcaaaag gatgggggta cgcatttggc cggtttccgc gctgcgttga 480 cccgtggttt aaataactac atggacagcg aaaatatcct gaaaaaggaa aaagttgcgg 540 tatcgggtga tgatgcacgt gaaggtctga ctgccatcgt gtcagtcaaa gtacctgatc 600 caaaattctc ttcacagacc aaagaaaaac tggtgtcgag tgaagtgaaa accgctgttg 660 agcaagccat gaacaaggca ttttctgaat atttattgga aaatccacaa gcagccaagg 720 cgattgccgg caagattatt gatgcagcac gtgcgcgtga tgcagcgcgt aaagcccgtg 780 aaatgacacg tcgtaagagt gcgctagata ttgccggtct tccaggtaaa ctggccgatt 840 gtcaggaaaa agatccagct ttgtctgaac tgtacctggt cgagggtgat tctgcaggtg 900 gttcagccaa gcaaggtcgt aaccgtaaaa tgcaggcgat tttaccgctg aaaggtaaga 960 tcctgaacgt ggaacgtgcc cgttttgacc gcatgatttc ctctgctgaa gtcggtacgc 1020 tgattactgc cctcg 1035

Claims (5)

  1. KCTC 12583BP로 기탁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FNR-10 균주 또는 상기 균주 배양물을 포함하는 흰가루병 병원균(Phyllactinia kakicola), 잿빛곰팡이병 병원균(Botrytis cinerea), 시들음병 병원균(Fusarium oxysporum f. sp. fragariae) 및 탄저병 병원균(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또는 Glomerella cingulata)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딸기 생장을 저해하는 병원균에 대한 방제용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균주는 서열목록 제1서열의 16S rRNA 서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FNR-10 균주는 Na-알지네이트, K-카라기닌 및 젤란검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캡슐화 소재를 이용하여 마이크로캡슐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화 소재는 안정제로서 추가적으로 전분 또는 CMC(Carboxymethyl Cellulos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20160061654A 2016-05-19 2016-05-19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fnr-10 균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딸기 병원균에 대한 방제용 조성물 KR1018900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1654A KR101890025B1 (ko) 2016-05-19 2016-05-19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fnr-10 균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딸기 병원균에 대한 방제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1654A KR101890025B1 (ko) 2016-05-19 2016-05-19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fnr-10 균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딸기 병원균에 대한 방제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0876A KR20170130876A (ko) 2017-11-29
KR101890025B1 true KR101890025B1 (ko) 2018-08-20

Family

ID=60811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1654A KR101890025B1 (ko) 2016-05-19 2016-05-19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fnr-10 균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딸기 병원균에 대한 방제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002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28685B (zh) * 2019-10-25 2021-08-20 山东蔚蓝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枯草芽孢杆菌菌株及其在农业生产中的应用
CN112940994B (zh) * 2021-04-25 2022-08-23 金禾佳农(北京)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枯草芽孢杆菌、培养方法及应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34607A (ja) * 2001-07-17 2003-02-07 Ts Shokubutsu Kenkyusho:Kk 植物病害防除方法
KR100914226B1 (ko) * 2009-02-17 2009-08-26 주식회사 세실 신규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sm010b 균주 및 이를 이용하는 식물병원균 방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1305A (ja) * 1991-08-26 1993-03-02 Sumitomo Chem Co Ltd バチルス属に属するsc−3菌株による植物病害防除方法および使用される細菌
KR100817428B1 (ko) 2006-11-09 2008-03-27 논산시(관리부서:논산시농업기술센터) 바실러스 벨레첸시스 ns05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용 미생물 제제
KR101098304B1 (ko) 2009-04-20 2011-12-26 고려바이오주식회사 과채류 병해 방제용 미생물 살균제
KR101403304B1 (ko) 2010-10-06 2014-06-05 목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스트랩토마이세스 에시디스케비에스 ja(ⅱ)-10 균주, 이를 함유하는 식물 잿빛곰팡이병 방제용 미생물 제제 및 잿빛곰팡이병 방제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34607A (ja) * 2001-07-17 2003-02-07 Ts Shokubutsu Kenkyusho:Kk 植物病害防除方法
KR100914226B1 (ko) * 2009-02-17 2009-08-26 주식회사 세실 신규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sm010b 균주 및 이를 이용하는 식물병원균 방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0876A (ko) 2017-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9500268A (ja) 植物病原体を制御するためのStreptomycesWYEC108の使用
JP2018525445A (ja) 無毒性植物用薬剤組成物ならびにその方法および使用
JPH05505591A (ja) 殺線虫菌剤
JP2008534595A (ja) モリンダシトリフォリア(morindacitrifolia)に基づく抗真菌製剤および方法
JP2010540622A (ja) 表面の微生物棲息密度向上させる組成物及びその用途
KR20140040896A (ko) 은행잎 물 숙성물을 함유하는 살충제 또는 비료 조성물
KR100518776B1 (ko)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균주를 포함하는 인삼 병원균 방제용미생물 제제
Sehsah et al. Efficacy of Bacillus subtilis, Moringa oleifera seeds extract and potassium bicarbonate on Cercospora leaf spot on sugar beet
KR101890025B1 (ko)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fnr-10 균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딸기 병원균에 대한 방제용 조성물
KR100827352B1 (ko) 유도전신저항성 바실러스 메가테리움 hk-isr1 균주 및이의 배양액을 포함하는 미생물 제제와 이를 이용한인삼병 방제 방법
KR100294023B1 (ko) 작물의병해방제용균주,이를함유하는미생물제제및그용도
KR101773339B1 (ko) 이사리아 푸모소로세아 Pf212 균주 또는 이를 이용한 진딧물, 잘록병균 및 고추 탄저병균의 동시방제용 조성물
CN106614642B (zh) 种子处理剂组合物及其应用
US5194258A (en) Production of enhanced biocontrol agents
KR101064829B1 (ko) 표면 미생물의 밀도증진 조성물
KR100314323B1 (ko) 작물의 병해 방제용 균주, 이를 함유하는 미생물제제 및 그 용도
EP0544039B1 (en) Production of enhanced biocontrol agents
JP2000511204A (ja) 植物寄生線虫に対して有効な殺卵作用を有するバイオ殺線虫剤
KR20050033999A (ko) 신규 식물 외생 길항 미생물인 슈도모나스 퓨티다 cb11균주 및 이를 함유하는 항진균성 미생물 살균제
KR100637329B1 (ko) 항진균 및 살충활성을 가지는 미생물제제
KR100758007B1 (ko) 버크홀데리아 종 ppk003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잔디생장및 잔디병 발생 억제 방법
RU2807997C1 (ru) Способ возделывания сельскохозяйственных культур
KR20060092564A (ko) 라이조푸스 올리고스포러스을 포함하는 잔디생장촉진제 및이를 이용한 잔디 생장 촉진 방법
KR101781635B1 (ko) 영릉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감귤 검은점무늬병 방제용 조성물, 마이크로캡슐 및 이를 이용한 감귤 검은점무늬병 방제 방법
CN114586584B (zh) 一种基于全周期生物系统的甜椒绿色轻简控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