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0488B1 - 흰가루병 방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흰가루병 방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0488B1
KR100480488B1 KR10-2003-0003876A KR20030003876A KR100480488B1 KR 100480488 B1 KR100480488 B1 KR 100480488B1 KR 20030003876 A KR20030003876 A KR 20030003876A KR 100480488 B1 KR100480488 B1 KR 1004804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y mildew
tannin
control
catechin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38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66958A (ko
Inventor
이형철
황상구
김대근
정성은
조시형
김선희
Original Assignee
이형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형철 filed Critical 이형철
Priority to KR10-2003-00038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0488B1/ko
Publication of KR200400669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69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04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04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 A01N37/36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containing at least one carboxylic group or a thio analogue, or a derivative thereof, and a singly bound oxygen or sulfur atom attache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this oxygen or sulfur atom not being a member of a carboxylic group or of a thio analogue, or of a derivative thereof, e.g. hydroxy-carboxylic acids
    • A01N37/3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containing at least one carboxylic group or a thio analogue, or a derivative thereof, and a singly bound oxygen or sulfur atom attache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this oxygen or sulfur atom not being a member of a carboxylic group or of a thio analogue, or of a derivative thereof, e.g. hydroxy-carboxylic acids having at least one oxygen or sulfur atom attached to an aromatic ring system
    • A01N37/4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containing at least one carboxylic group or a thio analogue, or a derivative thereof, and a singly bound oxygen or sulfur atom attache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this oxygen or sulfur atom not being a member of a carboxylic group or of a thio analogue, or of a derivative thereof, e.g. hydroxy-carboxylic acids having at least one oxygen or sulfur atom attached to an aromatic ring system having at least one carboxylic group or a thio analogue, or a derivative thereof, and one oxygen or sulfur atom attached to the same aromatic ring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liquids as carriers, diluents or solv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liquids as carriers, diluents or solvents
    • A01N25/04Dispersions, emulsions, suspoemulsions, suspension concentrates or gels
    • A01N25/06Aeroso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12Powders or granu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A01N43/04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with one hetero atom
    • A01N43/14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with one hetero atom six-membered rings
    • A01N43/16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with one hetero atom six-membered rings with oxygen as the ring hetero atom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lant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탄닌계열 화합물을 사용한 흰가루병 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사용된 탄닌계열 화합물은 탄닌산, 카테킨, 갈릭산, 에피카테킨, 메틸갈레이트, 탄닌 유도체로 하고, 이들 물질의 단일 혹은 2종 이상의 혼합물로서 작물의 흰가루병에 대하여 탁월한 방제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인축독성 및 환경오염에 대한 위험이 거의 없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식물 병해 방지용 조성물이다.

Description

흰가루병 방제 조성물{Control Agents for Powdery Mildew}
본 발명은 탄닌계열 화합물(탄닌산, 카테킨, 갈릭산, 에피카테킨, 메틸갈레이트, 탄닌 유도체)을 사용하여 농작물에 발생하는 흰가루병을 효율적으로 방제하는 식물 해충 및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농업에 있어서 화학농약은 작물 및 병해충의 종류에 따라 달리 사용되며, 현재 사용되는 것은 수백 종에 이르고 있다. 최근에는 화학농약의 다량 사용으로 병해충의 저항성 문제가 크게 대두되고 있으며, 농산물에서는 독성이 강한 농약의 허용치 이상으로 검출되어 식품으로서의 가치가 상실되는 경우도 많다.
인축에 대하여 독성이 거의 없으며, 환경오염이 적은 식물 병해충 방제제의 개발은 연구자들의 최대 과제이다. 그러나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으로는 미생물 제제 혹은 천연물을 활용한 제제의 개발로 해결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부분적으로는 이러한 제제가 판매되고 있으나 방제가가 너무 낮아 현실적인 방제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상태이다. 방제효과가 탁월한 동시에 친환경적인 제품의 개발은 아직까지도 미진한 상태이다.
삭제
삭제
흰가루병은 300여종의 기주식물에서 11속 80여종이 알려져 있으며, 대표적인 흰가루병의 원인균으로는 Sphaerotheca fuliginea, Sphaerotheca macularis, Sphaerotheca pannosa, Sphaerotheca humuli, Sphaerotheca phaseoli, Sphaerotheca glycines, Leveillua taurica, Eryshipe cichoraeearum 등이 잘 알려져 있다. 이러한 흰가루병은 시설재배 뿐만 아니라 노지에서도 많이 발생되며 확산 속도가 빨라 큰 피해를 주고 있는 식물병이다. 흰가루병의 발병적온은 15-25도이며, 습도는 40%-85%로 그 범위가 상당히 넓어 피해가 큰 식물병이다. 노지재배에서는 보통 5-6월과 9-11월에 발생하지만, 시설재배에서는 여름철 고온기를 제외하고는 흰가루병이 연중 발생된다. 흰가루병의 피해 식물은 광범위하나 주로 딸기, 오이, 멜론, 참외, 호박, 수박, 고추, 토마토, 복숭아, 사과, 포도, 장미, 거베라, 구기자, 작약 등이다. 흰가루병은 작물에 따라 증상은 다소 차이를 보이나 대부분 잎, 줄기, 열매에 흰가루 모양의 곰팡이가 피며, 병이 진전됨에 따라 식물의 광합성과 호흡을 저해하여 병반 조직이 괴사하면서 감염조직이 급속히 기형화되고 결국 고사하게 된다. 따라서 잎에서의 흰가루 확산은 잎에 형성된 병반과 낙엽에 의한 초세약화, 줄기의 생육저하 및 열매의 수확 불가로 수확량의 큰 감소를 초래한다. 흰가루병은 화학농약의 살포로 방제가 가능하지만 내생균사를 형성하기 때문에 내생균사에서 분생포자의 형태로 공기 중에 비산 전파되므로 완전한 방제가 어렵다. 따라서 흰가루병은 주기적인 방제가 필요하며, 방제에 실패할 경우 식물의 세력이 떨어지면서 과실이 불량해지고 수량이 크게 감소하게 된다. 최근에는 미생물제제를 이용한 방제 기술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으나, 그 효과는 미약한 상태이므로 인축독성이 낮은 흰가루병 방제제의 개발은 절실히 요구된다.
흰가루병을 방제하기 위해 사용되는 화학약재로는 Myclobutanil수화제, Fenarimol유제, Thiophanate수화제, Benomyl수화제, Triadimefon수화제, 수화유황, Chinomethionate 등이 있다. 그 외에도 최근에는 작물의 흰가루병 방제를 위해서 베이킹소다, 점토, 오일 및 계면활성제 등이 사용되고 있으며, 독성이 없는 식물 추출물 및 미생물 등의 적용도 시도되고 있으나 방제효과가 낮아 현실적인 방제 효과를 거두지 못하는 실정이다.
삭제
탄닌은 식물성 다가 알콜로서 물에 용해되어 수렴작용 및 출혈을 억제하는 목적으로 의약품으로 사용되어 왔으며, 살균과 방부작용도 갖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탄닌은 화학적 성질에 따라 크게 가수분해형 탄닌(hydrolyzable tannins)과 축합형 탄닌(catechol tannins)으로 나뉘며, 가수분해형은 피로갈로탄닌(pyrogallotannin)이라고도 하며 산이나 탄닌분해효소에 의해 갈릭산(gallic acid), 엘라긴산(ellagic acid), 메틸갈레이트(methyl gallate)와 글루코스를 생성하는 종류로 갈로탄닌(gallotannin)과 엘라기탄닌(ellagitannins)으로 구분된다. 축합형 탄닌은 피로갈로탄닌(pyrogallotannin)보다 가수분해에 대한 저항성이 크며 카테킨-탄닌(catechin-tannin)과 류코안토카니딘(leucoanthocanidin)으로 분류된다.
여러 탄닌계열 화합물은 대부분의 식물 잎, 줄기, 뿌리에서 형성되며, 특히 유카리나무, 감비르나무, 오배자 등에 다량 함유되어 있다. 이러한 탄닌계열 화합물은 직물 및 가죽 염색 첨가제, 수지 첨가제, 구강 세정액, 잉크, 염모제, 인체 세정제, 의약품 등에 활용되고 있다.
삭제
흰가루병은 방제가 어려우며 방제가가 높은 화학농약은 토양오염 및 인축독성을 야기할 뿐만 아니라 작물의 약해가 우려되므로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탄닌계 화합물인 탄닌산, 카테킨, 갈릭산, 에피카테킨, 메틸갈레이트, 탄닌 유도체를 사용하여 흰가루병 방제용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흰가루병의 효율적인 방제 및 환경 친화적인 식물해충 방제제를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식물병원성인 흰가루병의 효율적인 방제에 사용할 수 있으며 약해가 없고 인축 독성이 거의 없는 식물병 방제제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탄닌계 화합물이 우수한 항균효과 및 구충효과를 발휘함에 착안하여 흰가루병의 방제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탄닌계열 화합물인 탄닌산, 카테킨, 갈릭산, 에피카테킨, 메틸갈레이트, 탄닌 유도체들 중 단독 혹은 2종 이상을 사용하여 흰가루병 방제에 효과가 있는 식물병 방제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탄닌산, 갈릭산, 카테킨, 메틸갈레이트, 에피카테킨, 탄닌 유도체들 중 단독, 혹은 2종 이상 포함한 식물 흰가루병 방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또한, 본 발명은 상기 흰가루병 방제용 조성물이 관수용 액상제, 엽면 살포용 액상제, 기비용 입상제재 혹은 분제의 제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또한, 본 발명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탄닌산, 갈릭산, 카테킨, 메틸갈레이트, 에피카테킨, 탄닌 유도체들 중 단독, 혹은 2종 이상을 3중량% 내지 100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식물 흰가루병 및 내병성을 증진시키는 조성물에 사용되는 탄닌계열 화합물(탄닌산, 카테킨, 갈릭산, 에피카테킨, 메틸갈레이트, 탄닌 유도체)은 단독 혹은 2종 이상을 일정 농도로 물에 용해하여 제조한다.
탄닌산은 많은 종류의 식물 잎, 줄기, 뿌리에서 생성되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탄닌산(tannic acid)은 탄닌의 혼합물로 다음의 구조를 가진다(화학식 1).
탄닌은 화학적 성질에 따라 크게 축합형(catechol tannin)과 가수분해형(hydrolyzable tannins)으로 나눌 수 있으며, 축합형 탄닌은 다가성 플라보노이드로 프로안토시아니딘(proanthocyanidins)이다. 프로안토시아니딘의 기본구조는 화학식 2와 같다. 축합형 탄닌은 피로갈로탄닌(pyrogallotannin)보다 가수분해에 대한 저항성이 강하며 카테킨 탄닌(catechin), 에피카테킨(epicatechin), 류코안토카니딘(leucoanthocanidin)으로 나뉜다.
가수분해형은 피로갈로탄닌(pyrogallotannin)이라고도 하며, 산이나 분해효소의 작용에 의해 형성되는 갈릭산(gallic acid), 엘라긴산(ellagic acid), 메틸갈레이트(methyl gallate) 등과 글루코스를 생성하는 종류로 갈로탄닌(gallotannin)과 엘라기탄닌(ellagitannins)으로 구분된다.
가수분해형 탄닌은 갈릭산(3,4,5-trihydroxyl benzoic acid)의 유도체로 화학식 5에 나타내었으며, 메틸갈레이트의 분자구조식은 화학식 6에 나타내었다. 전형적인 갈로탄닌은 펜타갈로일 글루코오스(pentagalloyl glucose: β-1,2,3,4,6-pentagalloyl-O-D-glucopyranose)로 화학식 7과 같다.
상기에서 기재한 바와 같이 탄닌산 계열 화합물은 천연식물에 널리 포함된 화합물이고, 따라서 화학구조에 있어 부분적으로 상이함을 할 수 있다. 탄닌산은 터키 탄닌 및 퀘브로 탄닌 등 이들의 구조가 상이한 화학구조식을 가지므로 본 발명에서는 포괄적인 의미의 탄닌산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는 가수분해형 탄닌산 및 축합형 탄닌산이 구별하지 않고 같은 뜻으로 사용될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에서 흰가루병을 유발하는 진균의 항균활성 측정을 위하여 사용된 진균은 흰가루병이 심한 딸기 및 오이의 잎과 과실에서 분리하여 사용하였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단,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기재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탄닌산의 효능검증
탄닌산은 식물의 잎, 줄기, 뿌리에 대부분 함유되어 있고, 특히 감비르나무, 해아다, 오배자, 암마륵, 커피 등에 다량 함유하고 있다. 이들 식물의 종류에 따라 다소 화학 구조는 다르나 기본 구조는 화학식 1과 같으며, 본 실시예에서 시판되는 표준품(덕산화학)의 탄닌산을 사용하였다. 탄닌산 70그람을 증류수 1리터에 용해한 후 불용물질을 제거한 상등액만을 탄닌산 용액으로 이용하여 약해 시험 및 흰가루병 방제효과를 각각 확인하였다.1) 약해 시험
상기 제조된 탄닌산 용액을 농도별로 희석(200배, 400배, 600배)하여 오이 및 딸기에 관수 및 엽면 살포하여 얻어진 탄닌산 용액의 약해시험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200배 희석된 탄닌산 용액에서만 오이 및 딸기의 생육을 다소 억제하였을 뿐, 두 작물 모두에서 유사한 생육 상태를 보였으며, 일부 뿌리에서는 세근 발달이 촉진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탄닌산 작물 및 희석농도(희석배수)
오이 딸기
200배 400배 600배 200배 400배 600배
희석용액 + - - + - -
-, 생육장애 없음; +, 대조구에 비해 생육억제
2) 흰가루병 방제 효과흰가루병의 피해가 심각한 딸기 및 오이에 탄닌산 용액을 200배로 희석하여 감염된 잎에 엽면 살포하여 흰가루병에 대한 방제효과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3에 나타내었다. 오이 및 딸기에 탄닌산 용액을 200배로 희석하여 엽면 살포한 결과, 이들 작물에서 엽면살포 후 10일까지 방제율이 85% 이상으로 흰가루병 방제효과가 탁월한 것이 확인되었으며, 딸기보다는 오히려 오이에서 방제효과가 높게 유지함을 알 수 있다.
삭제
삭제
처리군 방제율(%)
오이 딸기
엽면살포후 2일 엽면살포 후 10일 엽면살포 후 2일 엽면살포 후 10일
대조군 0 0 0 0
탄닌산 용액 73 85 70 85
탄닌산의 무우씨 발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거즈위에 무우씨를 올려놓고 농도별 탄닌산 용액(200, 400, 600배)을 매일 3ml씩 처리하면서 3일 동안 관찰하였다. 무우씨의 발아 속도는 처리 후 2일까지 대조구에 비해 탄닌산 용액을 처리한 경우 빠른 것을 알 수 있었고, 3일째에는 200배 희석용액에서만 대조구와 유사하였으며, 400배 및 600배에서는 발아 및 생육이 빠름을 알 수 있다.
삭제
실시예 2 : 갈릭산의 효능검증
본 실시예에서는 시판되는 시그마알드리치사의 갈식산을 사용하여 갈릭산 70그람을 증류수 1리터에 용해한 후 불용물질을 제거한 상등액만 갈릭산 용액으로 사용하여 약해 시험 및 흰가루병 방제효과를 각각 확인하였다.1) 약해 시험
갈릭산 용액을 농도별로 희석(200배, 400배, 600배)하여 오이 및 딸기에 관수 및 엽면 살포하여 얻은 갈릭산 용액의 약해시험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갈릭산 용액은 두 작물 모두에서 대조구와 유사한 생육 상태를 보였으며, 일부 뿌리에서는 세근 발달이 촉진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갈릭산의 무우씨 발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거즈 위에 무우씨를 올려놓고 갈릭산 용액을 매일 3ml씩 처리하면서 3일 동안 관찰하였다. 무우씨의 발아 속도는 갈릭산 용액을 처리한 경우에도 대조구와 마찬가지로 유사한 성장속도를 보여주었으며, 세근발달 속도는 갈릭산 처리구가 좋은 것을 알 수 있었다.
갈릭산 작물 및 희석농도(희석배수)
오이 딸기
200배 400배 600배 200배 400배 600배
희석용액 - - - - - -
-, 생육장애 없음
2) 흰가루병 방제 효과흰가루병의 피해가 심각한 딸기 및 오이에 상기 제조된 갈릭산 용액을 200배로 희석하여 감염된 잎과 줄기 등에 엽면 살포하여 흰가루병에 대한 방제효과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6에 나타내었다. 갈릭산 용액은 200배로 희석하여 오이 및 딸기에 엽면 살포한 결과, 이들 작물에서 엽면 살포 후 10일까지 방제율이 81% 이상 유지하여 갈릭산 용액이 흰가루병 방제효과가 탁월한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딸기보다는 오히려 오이에서 방제효과가 높음을 확인하였다.
삭제
삭제
처리군 방제율(%)
오이 딸기
엽면살포후 2일 엽면살포 후 10일 엽면살포 후 2일 엽면살포 후 10일
대조군 0 0 0 0
갈릭산 용액 74 83 68 81
삭제
실시예 3 : 카테킨의 효능검증
카테킨은 감비르나무, 해아다, 녹차 등에 다량 함유되어 있다. 카테킨의 화학구조식은 화학식 3과 같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시판되는 시그마알드리치사의 카테킨을 사용하여 카테킨 70그람을 증류수 1리터에 용해한 후 불용물질을 제거한 상등액만을 카테킨 용액으로 이용하여 약해 시험 및 흰가루병 방제효과를 각각 확인하였다.
1) 약해 시험카테킨 용액을 농도별로 희석(200배, 400배, 600배)하여 오이 및 딸기에 관수 및 엽면 살포하여 얻은 카테킨 용액에 대한 약해시험 결과를 표 7에 나타내었다. 카테킨 용액은 200배 희석액에서만 오이 및 딸기의 생육을 다소 억제하였을 뿐, 두 작물에서 유사한 생육 상태를 보였으며, 일부 뿌리에서는 세근 발달이 촉진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카테킨 용액의 약해시험
카테킨 작물 및 희석농도(희석배수)
오이 딸기
200배 400배 600배 200배 400배 600배
희석용액 + - - + - -
-, 생육장애 없음; +, 대조구에 비해 생육 억제
삭제
삭제
2) 흰가루병 방제 효과흰가루병의 피해가 심각한 딸기 및 오이에 카테킨 용액을 200배로 희석하여 감염된 잎과 줄기 등에 엽면 살포하여 흰가루병에 대한 방제효과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3에 나타내었다. 카테킨 용액을 200배로 희석하여 오이 및 딸기에 엽면 살포한 결과, 이들 작물에서 흰가루병 방제효과가 탁월함을 알 수 있었으며, 흰가루 포자가 응집되는 현상을 관찰할 수 있었고 부분적으로는 엽면 및 열매에 반점과 같은 흔적이 남는 현상이 관찰되었다.
처리군 방제율(%)
오이 딸기
엽면살포후 2일 엽면살포 후 10일 엽면살포 후 2일 엽면살포 후 10일
대조군 0 0 0 0
카테킨 용액 74 83 65 78
카테킨의 무우씨 발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거즈 위에 무우씨를 올려놓고 카테킨 용액을 매일 3ml씩 처리하면서 3일 동안 관찰하였다. 무우씨의 발아 속도는 대조구와 마찬가지로 카테킨 용액을 처리한 경우에 빠른 성장속도를 보여주었으며, 세근발달 속도도 카테킨 처리구가 좋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삭제
실시예 4: 메틸갈레이트 및 에피카테킨의 효능검증
본 실시예에서는 메틸갈레이트 및 에피카테킨은 시그마알드리치사에서 시판되는 표준품을 사용하였다. 메틸갈레이트 및 에피카테킨은 각각 70그람을 증류수 1리터에 용해한 후 불용물질을 제거한 상등액만을 사용하여 약해 시험 및 흰가루병 방제효과를 각각 확인하였다. 메틸갈레이트 및 에피카테킨은 작물 약해 및 흰가루병 방제가 모두 실시예 2의 갈릭산과 거의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5 : 탄닌산과 갈릭산 혼합액의 효능검증
본 실시예에서 탄닌산은 시판되는 표준품(덕산화학)을, 갈릭산은 시그마알드리치사의 표준품을 사용하였다. 탄닌산 35그람과 갈릭산 35그람을 증류수 1리터에 용해한 후 불용물질을 제거한 상등액만을 약해 시험 및 흰가루병 방제효과를 각각 확인하였다.
1) 약해 시험혼합용액을 농도별로 희석(200배, 400배, 600배)하여 오이 및 딸기에 관수 및 엽면 살포하여 얻어진 결과는 표 10과 같다. 상기 혼합용액은 두 작물 모두에서 대조구와 유사한 생육 상태를 보였으며, 일부 뿌리에서는 세근 발달이 촉진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탄닌산 작물 및 희석농도(희석배수)
오이 딸기
200배 400배 600배 200배 400배 600배
희석용액 - - - - - -
-, 생육장애 없음
2) 흰가루병 방제 효과흰가루병의 피해가 심각한 딸기 및 오이에 탄닌산 및 갈릭산 혼합용액을 농도별로 희석하여 감염된 잎에 엽면 살포하여 흰가루병에 대한 방제효과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12에 나타내었다. 오이 및 딸기에 혼합용액을 200배로 희석하여 엽면 살포한 결과, 이들 작물에서 엽면살포 후 10일까지 방제율이 94% 이상으로 탄닌산과 갈릭산 혼합용액은 흰가루병 방제효과가 탁월한 것을 알 수 있었고, 딸기보다는 오히려 오이에서 방제효과가 높게 유지함을 알 수 있다. 탄닌산과 갈릭산 혼합용액은 상기 실시예 1 및 2의 단독성분만을 처리한 결과에 비해 방제가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삭제
삭제
처리군 방제율(%)
오이 딸기
엽면살포후 2일 엽면살포 후 10일 엽면살포 후 2일 엽면살포 후 10일
대조군 0 0 0 0
혼합용액 90 96 87 94
탄닌산과 갈릭산 혼합용액의 무우씨 발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거즈위에 무우씨를 올려놓고 혼합용액을 매일 3ml씩 처리하면서 3일 동안 관찰하였다. 탄닌산과 갈릭산 혼합용액을 처리한 경우에는 무우씨의 발아 속도가 대조구와 유사하였으며, 혼합용액이 무우씨의 세근발달을 촉진시킴을 알 수 있었다.
삭제
실시예 6 : 탄닌산과 카테킨 혼합액의 효능검증
본 실시예에서 탄닌산은 시판되는 표준품(덕산화학)을, 카테킨은 시그마알드리치사의 표준품을 사용하였다. 탄닌산 35그람과 카테킨 35그람을 증류수 1리터에 용해한 후 불용물질을 제거한 상등액만을 약해 시험 및 흰가루병 방제효과를 각각 확인하였다.
1) 약해 시험혼합용액을 농도별로 희석(200배, 400배, 600배)하여 오이 및 딸기에 관수 및 엽면 살포하여 얻어진 결과는 표 13에 나타내었다. 상기 혼합용액은 두 작물 모두에서 대조구와 유사한 생육 상태를 보였으며, 일부 뿌리에서는 세근 발달이 촉진되는 것도 확인할 수 있었다.
탄닌산과 카테킨 작물 및 희석농도(희석배수)
오이 딸기
200배 400배 600배 200배 400배 600배
혼합용액 - - - - - -
-, 생육장애 없음
2) 흰가루병 방제 효과흰가루병의 피해가 심각한 딸기 및 오이에 탄닌산과 카테킨 혼합용액을 농도별로 희석하여 감염된 잎에 엽면 살포하여 흰가루병에 대한 방제효과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16에 나타내었다. 오이 및 딸기에 혼합용액을 200배로 희석하여 엽면 살포한 결과, 이들 작물에서 엽면살포 후 10일까지 방제율이 90% 이상으로 흰가루병 방제효과가 탁월한 것이 확인되었으며, 딸기보다는 오히려 오이에서 방제효과가 높게 유지함을 알 수 있다. 탄닌산과 카테킨의 혼합용액은 상기 실시예 1 및 3의 단독성분 만을 처리한 결과에 비해 흰가루병의 방제가가 다소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삭제
삭제
처리군 방제율(%)
오이 딸기
엽면살포후 2일 엽면살포 후 10일 엽면살포 후 2일 엽면살포 후 10일
대조군 0 0 0 0
혼합용액 82 92 75 90
삭제
상기 실시예들을 볼 때, 탄닌산, 갈릭산, 카테킨 중 단독 혹은 2종 이상의 혼합한 경우 식물의 약해, 발아율 및 흰가루병 방제가가 각기 다른 양상을 나타내었으며, 전반적으로는 탄닌계 화합물이 식물의 약해도 낮고 흰가루 방제가 높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작물 및 식물병 종류에 따라 탄닌계 화합물의 조성은 달리할 수 있으며, 실시예에 표기하지 않은 탄닌 유도체도 혼합 조성이 가능하다.
또한 작물의 정식전에 사용하기 위해서는 탄닌계 화합물(탄닌산, 갈릭산, 카테킨, 탄닌 유사체)의 1종 혹은 2종 이상의 분말을 제조하여 직접 살포하는 방법도 사용될 수 있다. 농가에서 사용상의 편의를 위해 분말은 입상제제처럼 작은 과립형태 등의 다양한 형태로도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다양한 식물에 적용이 가능하며, 상기 실시예에 나타낸 작물에 국한하는 것은 아니다.
탄닌산, 갈릭산, 카테킨, 탄닌 유사체들의 종류, 희석농도, 액상 및 입상제제 등의 제조방법은 상기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으며, 작물 특성 및 사용조건 등에 따라 달리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들의 작용을 높이기 위하여 침투제나 확산제, 계면활성제 등과도 혼용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탄닌산, 갈릭산, 카테킨, 에피카테킨, 메틸갈레이트, 탄닌 유도체들 중 단독, 혹은 2종 이상을 사용하여 얻어진 용액 및 분말을 농작물의 엽면 살포용 및 관수용 제제로 제조함으로써, 이들 조성물은 작물들의 흰가루병 방제가 뛰어나며, 작물의 생육촉진, 세근발달, 내병성 증진까지 향상시키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적용방법상에서 최적조건은 물을 사용하여 제조한 경우이며, 그외에도 용해도를 높이기 위하여 에탄올 및 메탄올 등의 유기용매 사용도 가능하고 제제 형태 또한 적용방법에 따라 변형이 가능하다.

Claims (5)

  1. 삭제
  2. 탄닌산, 갈릭산, 카테킨, 메틸갈레이트, 에피카테킨, 탄닌 유도체들 중 단독, 혹은 2종 이상 포함한 식물 흰가루병 방제용 조성물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흰가루병 방제용 조성물은 관수용 액상제, 엽면 살포용 액상제, 기비용 입상제재 혹은 분제의 제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흰가루병 방제용 조성물.
  5.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탄닌산, 갈릭산, 카테킨, 메틸갈레이트, 에피카테킨, 탄닌 유도체들 중 단독, 혹은 2종 이상을 3중량% 내지 100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흰가루병 방제용 조성물.
KR10-2003-0003876A 2003-01-21 2003-01-21 흰가루병 방제 조성물 KR1004804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3876A KR100480488B1 (ko) 2003-01-21 2003-01-21 흰가루병 방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3876A KR100480488B1 (ko) 2003-01-21 2003-01-21 흰가루병 방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6958A KR20040066958A (ko) 2004-07-30
KR100480488B1 true KR100480488B1 (ko) 2005-04-07

Family

ID=37356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3876A KR100480488B1 (ko) 2003-01-21 2003-01-21 흰가루병 방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04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3033B1 (ko) 2011-08-12 2012-05-08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1741B1 (ko) * 2005-04-07 2007-03-12 주식회사 비아이지 식물 흰가루병 방제효과가 있는 식물추출 혼합조성물
KR100852398B1 (ko) * 2007-05-08 2008-08-14 케이씨피주식회사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물 유해동물 방제용 조성물 및이를 이용한 식물유해동물 방제방법
KR101508163B1 (ko) * 2010-10-08 2015-06-05 주식회사 비아이지 엘라그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물 바이러스 방제용 조성물
ITUB20153821A1 (it) * 2015-09-23 2017-03-23 Agrocube S A Composizione biostimolante a base di tannini e/o loro derivati, pr il trattamento di vegetali coltivati e/o di loro parti
WO2018104840A1 (en) * 2016-12-05 2018-06-14 Scl Italia S.P.A. Aqueous suspension for agronomic use
IT201600123345A1 (it) * 2016-12-05 2018-06-05 Scl Italia S P A Sospensione acquosa per uso agronomico
IT201700100452A1 (it) * 2017-09-07 2019-03-07 Domenico Terenzio Processo per la produzione di prodotti nematocidi per il settore agricolo
KR102606148B1 (ko) * 2021-11-30 2023-11-24 주식회사 다인소재 펙토박테리움에 대한 항균력이 우수한 갈로탄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15868498A (zh) * 2022-12-13 2023-03-31 江西劲农作物保护有限公司 一种具有增效作用的杀菌剂组合物及其制备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3033B1 (ko) 2011-08-12 2012-05-08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6958A (ko) 2004-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17244B (zh) 殺真菌組成物及其用途
US10123542B2 (en) Compositions and methods to increase plant yield
CN105494387A (zh) 一种农药组合物
CN104628481B (zh) 一种防除猕猴桃溃疡病的肥药组合剂及其制备方法
CN109601553B (zh) 一种含有亚磷酸衍生物的抗蒸腾剂及其制备方法
AU2014206502A1 (en) Melanoidins and their use for improving properties of plants
KR100480488B1 (ko) 흰가루병 방제 조성물
CA3179988A1 (en) Method for preventive treatment of a crop plant to limit the loss of dry matter due to abiotic and/or biotic stress
CN104430357A (zh) 一种含有丁香菌酯及起协同作用的杀菌剂的组合物
CN105494341A (zh) 一种含肉桂腈和邻氨基苯甲酸甲酯的复配驱鸟剂
CN107455377B (zh) 一种促进植物生长持效期长的落叶果树清园用农药水剂及其制备方法
CN112136817A (zh) 一种用于防控松材线虫病和松墨天牛的注干剂
CN103392715A (zh) 一种含有嘧菌环胺和克菌丹的杀菌组合物
KR20140030675A (ko)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식물 병원균 방제용 조성물
KR101232936B1 (ko) 식물추출물을 함유한 딸기 잿빛곰팡이병 및 흰가루병을 포함하는 식물병 동시방제제 및 방제방법
KR100346313B1 (ko) 고추탄저병 방제제
KR100505819B1 (ko) 식물의 흰가루병 방제제
CN103348990B (zh) 一种含有双炔酰菌胺和克菌丹的杀菌组合物
TW202021450A (zh) 包含松香的組成物之應用以及處理種子的方法
US20030078164A1 (en) Method for control of bacterial spot
KR100460424B1 (ko) 원예작물 병 방제용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하는 방법
CN109197889A (zh) 一种含吡唑醚菌酯、萎锈灵和噻虫胺的种子处理组合物
KR101431330B1 (ko) 풋마름병 방제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US20220394977A1 (en) Combined preparation and method for combating fungus-growing ants
JP3716092B2 (ja) 虫忌避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2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