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37071A - 자동차의 수동식 틸트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수동식 틸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37071A
KR20010037071A KR1019990044366A KR19990044366A KR20010037071A KR 20010037071 A KR20010037071 A KR 20010037071A KR 1019990044366 A KR1019990044366 A KR 1019990044366A KR 19990044366 A KR19990044366 A KR 19990044366A KR 20010037071 A KR20010037071 A KR 200100370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ch member
movable latch
steering column
movable
lo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43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33282B1 (ko
Inventor
문성진
Original Assignee
이계안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안,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계안
Priority to KR10199900443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3282B1/ko
Priority to US09/532,630 priority patent/US6279414B1/en
Publication of KR200100370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70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32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32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4Mechanisms for locking columns at selected posi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576Elements
    • Y10T74/20636Detents
    • Y10T74/20714Lever carried rack
    • Y10T74/2072Pivo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수동식 틸트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부조향컬럼상의 가동래치부재와 하부조향컬럼상의 고정래치부재 사이의 치합을 한번의 조작으로 해제된 상태로 지속시킬 수 있게 하여, 틸팅시 운전자는 양손으로 조향핸들을 동시에 파지한 상태에서 용이하게 조향축의 경사각을 조정할 수 있게 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게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부조향컬럼(2)과, 이 상부조향컬럼(2)상에 피벗지점(P)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하부조향컬럼(3)을 포함하는 자동차의 조향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조향컬럼(2)에는 장공(23)을 형성한 가동래치부재(21)가 회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하부조향컬럼(3)에는 가동래치부재(21)에 선택적으로 치합되는 고정래치부재(31)가 형성되며, 상기 가동래치부재(21)는 원터치방식으로 출몰을 거듭하여 장공(23)에 편심되게 삽입되는 가동래치부재 작동수단(5)을 매개로 고정래치부재(31)로부터 이격되도록 회동되어 이들 사이의 치합이 해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수동식 틸트장치{manual type tilting apparatus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틸트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버튼식으로 조작이 편리하게 된 자동차의 수동식 틸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조향장치는 주행중 운전자가 차량의 진행방향을 임의적으로 바꾸기 위한 것인 데, 이러한 조향장치에는 운전자의 신체적인 특성에 알맞게 상하방향으로 조향축의 기울기에 변화를 주어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틸트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즉, 종래의 조향컬럼상에 설치된 수동식의 틸트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향축(1)을 수용하는 조향컬럼이 접철가능한 상부조향컬럼(2)과 하부조향컬럼(3)으로 이루어지는 바, 상기 상부조향컬럼(2)에는 일측 선단에 가동래치부재 (21)가 제1힌지점(22)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하부조향컬럼(3)에는 일측 선단에 고정래치부재(31)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부조향컬럼(3)상에는 틸트시 가동래치부재(21)를 선택적으로 회동시키도록 된 가동부재(33)가 제2힌지점(32)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이 가동부재(33)상에는 틸트레버(34)의 일측 단부가 고정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가동부재(33)의 회동측 선단부에는 내측으로 오목하게 절개되어 일측으로 가압면(33a)이 형성되고, 상기 가동래치부재(21)에는 외부로 돌출된 형태의 고정핀(21a)이 고착되어 있다.
한편, 상기 가동부재(33)의 회동측 선단부와 상부조향컬럼(2) 사이에는 스프링(4)의 양단이 고정되어 있어, 이 스프링(4)은 틸팅조작에 따른 가동부재(33)의 회동시 복원력을 부여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조로 이루어진 종래의 틸트장치에서는, 운전자가 상기 틸트레버(34)를 상방향(반시계방향)으로 들어 올리게 되면, 상기 가동부재(33)가 제2힌지점(32)을 중심으로 상방향(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되고, 이때 상기 가동부재(33)의 가압면(33a)이 가동래치부재(21)의 고정핀(21a)을 밀게 되며, 그 결과 상기 가동래치부재(21)는 제1힌지점(22)을 중심으로 하방향(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므로, 상기 상부조향컬럼(2)상의 가동래치부재(21)와 하부조향컬럼(3)의 고정래치부재(31) 사이의 치합이 해제되어 조향축(1)의 경사각이 조절가능하게 되는 틸트조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틸트조작이 완료된 다음, 운전자는 상방향으로 회동시켰던 상기 틸트레버(34)를 놓게 되면, 상기 가동부재(33)는 스프링(4)의 복원력으로 다시 하방향으로 회동되어 가동래치부재(21)를 고정래치부재(31)상에 치합되게 함으로써 상기 조향축(1)의 경사각은 조절된 상태로 고정되어진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틸트장치에서는 틸트조작시 운전자가 한 손으로 틸트레버(34)를 회동시킨 상태를 유지하고서 다른 한 손으로 조향핸들을 상하방향으로 움직여야 하므로, 틸트조작시 한 손으로 상기 틸트레버(34)를 잡아 당겨 회동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시키는데 힘이 드는 불편함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상부조향컬럼상의 가동래치부재와 하부조향컬럼상의 고정래치부재 사이의 치합을 한번의 조작으로 해제된 상태로 지속시킬 수 있게 하여, 틸팅시 운전자는 양손으로 조향핸들을 동시에 파지한 상태에서 용이하게 조향축의 경사각을 조정할 수 있게 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게 되는 자동차의 수동식 틸트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부조향컬럼과 피벗지점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하부조향컬럼을 포함하는 자동차의 조향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조향컬럼에는 장공을 형성한 가동래치부재가 회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하부조향컬럼에는 가동래치부재에 선택적으로 치합되는 고정래치부재가 형성되며, 상기 가동래치부재는 원터치방식으로 출몰을 거듭하여 장공에 편심되게 삽입되는 가동래치부재 작동수단을 매개로 고정래치부재로부터 이격되도록 회동되어 이들 사이의 치합이 해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동래치부재 작동수단은 상부조향컬럼상에 고정된 하우징과, 이 하우징내에서 탄력적인 출몰이 가능하게 수용된 축부재, 이 축부재를 원터치방식으로 출몰가능하게 하는 조작기구, 이 조작기구에 조작력을 전달하는 조작노브 및, 상기 축부재의 일단에 경사면을 갖추도록 형성된 돌출편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자동차의 조향축상에 설치된 수동식 틸트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틸트장치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틸트장치의 측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가동래치부재와 고정래치부재만을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도 2와 도 3의 요부확대 단면도,
도 6과 도 7은 가동래치부재상에 축부재의 돌출편이 삽입되는 상태를 각각 도시한 사시도와 평단면도,
도 8(a),(b),(c)는 각각 도 5에 도시된 조작기구의 동작순서도,
도 9 내지 도 11은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각각 도 5와 도 4 및 도 7의 대응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조향축 2-상부조향컬럼
21-가동래치부재 22-힌지점
23-장공 23a-경사면
3-하부조향컬럼 31-고정래치부재
4-스프링 5-가동래치부재 작동수단
55,55'-돌출편 55a,55a'-경사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틸트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틸트장치의 측면도인 바, 종래 자동차의 수동식 틸트장치를 도시한 도 1에서와 동일한 참조부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병기하면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향축(1)을 내부에 수용하는 상부조향컬럼(2)과 하부조향컬럼(3)이 각각 가동래치부재(21)와 고정래치부재(31)를 매개로 치합되어 조향축(1)의 경사각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바, 이를 위해 상기 조향축(1)을 내부에 수용하는 상부조향컬럼(2)과 하부조향컬럼(3)이 피벗지점(P)을 중심으로 상호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상부조향컬럼(2)의 일측 선단에는 힌지점(22)을 매개로 가동래치부재(21)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하부조향컬럼(3)의 일측 선단에는 고정래치부재(31)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동래치부재(21)의 회동측 선단부에는 장공(23)이 형성되고, 이 장공(23)과 상기 하부조향컬럼(3)의 소정부위 사이에는 스프링(4)이 연결되어 있어, 이 스프링(4)은 틸팅시 가동래치부재(21)에 복원력을 부여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장공(23)의 측부에는 일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23a)이 일체로 구비되어 있다.
한편, 상기 상부조향컬럼(2)상에는 틸팅시 가동래치부재(21)와 고정래치부재 (31) 사이의 치합을 선택적으로 해제시킬 수 있도록 된 가동래치부재 작동수단(5)이 구비되어 있는 데, 이 가동래치부재 작동수단(5)은 원터치식의 버튼식으로 출몰(出沒)이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즉, 상기 가동래치부재 작동수단(5)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조향컬럼(2)상에 마운팅브라켓트(24)를 매개로 고정되는 하우징(51)과, 이 하우징(51)내에서 탄력적으로 출몰가능하게 삽입되어 설치된 축부재(52) 및, 이 축부재(52)의 일측에 원터치식의 버튼조작방식으로 축부재(52)의 선택적인 출몰을 가능하게 하는 조작기구(53), 그리고 이 조작기구(53)에 연결되어 이에 조작력을 전달하도록 된 조작노브(5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축부재(52)의 일단에는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55a)을 갖춘 쐐기형의 돌출편(55)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51)의 내측부위와 축부재(52)의 외주면 사이에는 스프링(56)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스프링(56)은 일단이 상기 하우징(51)의 내측면상에 지지되면서 타단은 상기 축부재(52)상에 돌출되게 형성된 돌기부(52a)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가동래치부재 작동수단(5)에서 축부재(52)의 일선단에 장착됨과 더불어 경사면(55a)을 형성한 쐐기형의 돌출편(55)은 도 6과 도 7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동래치부재(21)의 장공(23)을 향해 배치되는 데, 상기 가동래치부재(21)의 장공(23)의 중심은 상기 축부재(52)의 중심으로부터 편심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가동래치부재 작동수단(5)의 돌출편(55)이 가동래치부재 (21)를 향해 전진하게 되면, 상기 돌출편(55)의 경사면(55a)이 가동래치부재(21)의 장공(23)측에 형성된 경사면(23a)에 맞닿으면서 장공(23)을 측방향으로 밀게 되므로, 상기 가동래치부재(21)가 힌지점(22)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 결과 상기 가동래치부재(21)는 고정래치부재(31)로부터 치합이 해제되게 된다.
한편, 상기 가동래치부재 작동수단(5)에서 축부재(52)를 하우징(51)으로부터 출몰가능하게 하도록 조작노브(54)를 원터치식으로 동작되게 하는 조작기구(53)는 공지된 부품으로서, 이의 구성 및 동작은 도 8의 (a),(b),(c)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다.
즉, 상기 조작기구(53)는 하우징(51)의 내주면상에 내측으로 요철지게 돌출되면서 일측 선단부의 길이가 상이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가이드부(57)와, 상기 하우징(51)의 내부에서 일단이 조작노브(54)에 결합되면서 타단이 길게 연장되어 상기 가이드부(57)내에 끼워져 치합되는 제1가동부재(58) 및, 이 제1가동부재(58)와 상기 축부재(52) 사이에서 배치되어 제1가동부재(58)로부터 가해지는 힘을 축부재(52)로 전달하는 제2가동부재(59)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가동부재(58)는 조작노브(54)상에 고정되어 있어 조작노브(54)의 가압에 따라 상하방향으로의 직선왕복을 하는 것임에 반해, 상기 제2가동부재(59)는 제1가동부재(58)와 축부재(52) 사이에 배치되되 축부재(52)에 의한 구속이 이루어지지 않은 것이므로 상기 조작노브(54)의 가압에 의해 제1가동부재(58)로부터 상하방향으로의 이동력을 전달받아 왕복운동을 할 때 가이드부(57)의 길이가 상이한 경사진 선단에 의해 상하 및 회전운동을 반복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가동래치부재 작동수단(5)의 조작노브(54)가 한번씩 눌러질 때 마다 조작노브(54)의 일단에 결합된 제1가동부재(58)는 제2가동부재(59)를 매개로 하여 하우징(51)내에서 스프링(56)을 매개로 탄발지지되는 축부재(52)를 밀게 되는 데, 이때 상기 제2가동부재(59)는 길이가 상이한 가이드부(57)의 경사진 선단에 안착되면서 축부재(52)의 고정위치를 달리하게 되므로, 상기 축부재(52)의 상단부는 하우징(51)으로부터의 돌출거리에 변화를 받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가동래치부재 작동수단(5)에서 조작노브(54)가 가압될 때 마다 상기 제1가동부재(58)와 제2가동부재(59)는 각각 하우징(51)의 내주면에 형성된 가이드부(57)의 내에서 이의 안내를 받아 상하방향으로의 이동을 거듭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수동식 틸트장치에서는, 상기 상부조향컬럼(2)의 경사각을 조절하고자 할 때 운전자가 한 손으로 상기 가동래치부재 작동수단(5)의 조작노브(54)를 일회 눌러 주게 되면, 상기 가동래치부재 작동수단(5)의 축부재(52)가 하우징(51)의 외부로 노출되고, 이 축부재(52)의 선단에 장착된 돌출편(55)의 경사면(55a)이 상기 가동래치부재(21)의 장공(23)측에 형성된 경사면(23a)과 접촉하게 되면서 장공(23)을 밀게 되어 가동래치부재(21)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며, 이 결과 상기 고정래치부재(31)로부터 가동래치부재(21)가 이격되어 이들 사이의 치합이 해제되어 상기 상부조향컬럼(2)은 피벗지점(P)을 매개로 하부조향컬럼(3)에 대해 회동자유롭게 된다.
이후, 운전자는 상기 상부조향컬럼(2)상에 장착된 조향핸들을 양 손으로 파지하고서 자신에게 알맞은 각도로 상부조향컬럼(2)을 기울이고서, 상기 가동래치부재 작동수단(5)의 조작노브(54)를 재차 누르게 되면, 상기 가동래치부재(21)의 장공(23)을 밀고 있던 돌출편(55)이 하우징(51)을 향해 후퇴하게 되는 데, 이때 상기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어 고정래치부재(31)로부터 이격되어 있던 가동래치부재(21)는 스프링(4)의 복원력으로 다시 고정래치부재(31)와 치합되므로, 상기 상부조향컬럼(2)의 경사각은 다시 고정된 상태로 유지되어진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9에 도시된 가동래치부재 작동수단(5')은 전술한 가동래치부재 작동수단(5)과 같이 상부조향컬럼(2)상에 고정되는 하우징(51)과, 이 하우징(51)내에서 탄력적으로 출몰가능하게 삽입된 축부재(52) 및, 이 축부재(52)를 원터치식의 버튼조작방식으로 출몰을 가능하게 하는 조작기구(53), 그리고 이 조작기구(53)에 조작력을 전달하는 조작노브(5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런데, 상기 축부재(52)의 일단에는 양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55a')을 갖춘 원추형의 돌출편(55')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51)과 축부재(52) 사이에는 스프링(56)이 설치되며, 이 스프링(56)은 상기 하우징(51)의 내측면과 축부재(52)상에 돌출되게 형성된 돌기부(52a) 사이에서 지지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가동래치부재(21)상에 형성된 장공(23)은 경사면이 없는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동래치부재 작동수단(5')에서 축부재(52)의 일선단에 장착됨과 더불어 경사면(55a')을 형성한 쐐기형의 돌출편(55')은 도 10과 도 11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동래치부재(21)의 장공(23)을 향해 배치되는 데, 상기 가동래치부재(21)의 장공(23)의 중심은 상기 축부재(52)의 중심으로부터 편심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가동래치부재 작동수단(5')의 돌출편(55')이 가동래치부재 (21)를 향해 전진하게 되면, 상기 돌출편(55')의 경사면(55a')이 가동래치부재(21)의 장공(23)에 맞닿으면서 장공(23)을 측방향으로 밀게 되므로, 상기 가동래치부재 (21)가 힌지점(22)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되어 상기 가동래치부재 (21)는 고정래치부재(31)로부터 치합이 해제되어 틸트조작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수동식 틸트장치에 의하면, 틸트시 상부조향컬럼(2)과 하부조향컬럼(3)상에서 치합되어 있는 가동래치부재(21)와 고정래치부재(31)를 원터치방식의 가동래치부재 작동수단(5)을 매개로 가동래치부재(21)를 회동시켜 고정래치부재(31)로부터 치합이 해지되도록 함으로써, 운전자는 양쪽 손을 동시에 조향핸들의 경사각 조절에 사용할 수 있으므로, 여성이나 노약자가 틸트조작하는 데 편의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Claims (5)

  1. 상부조향컬럼(2)과, 이 상부조향컬럼(2)상에 피벗지점(P)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하부조향컬럼(3)을 포함하는 자동차의 조향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조향컬럼(2)에는 장공(23)을 형성한 가동래치부재(21)가 회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하부조향컬럼(3)에는 가동래치부재(21)에 선택적으로 치합되는 고정래치부재(31)가 형성되며, 상기 가동래치부재(21)는 원터치방식으로 출몰을 거듭하여 장공(23)에 편심되게 삽입되는 가동래치부재 작동수단(5)을 매개로 고정래치부재(31)로부터 이격되도록 회동되어 이들 사이의 치합이 해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수동식 틸트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래치부재 작동수단(5)은 상부조향컬럼(2)상에 고정된 하우징(51)과, 이 하우징(51)내에서 탄력적인 출몰이 가능하게 수용된 축부재(52), 이 축부재(52)를 원터치방식으로 출몰가능하게 하는 조작기구(53), 이 조작기구(53)에 조작력을 전달하는 조작노브(54) 및, 상기 축부재(52)의 일단에 경사면(55a)을 갖추도록 형성된 돌출편(55)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수동식 틸트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래치부재(21)는 고정래치부재(31)에 대해 스프링(4)을 매개로 탄력적으로 지지됨과 더불어, 상기 축부재(52)는 하우징(51)의 내측면과 축부재(52)의 돌기부(52a) 사이에서 지지된 스프링(56)을 매개로 탄발지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수동식 틸트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래치부재(21)에 형성된 장공(23)의 일측과 상기 축부재(52)의 돌출편(55)의 일측에는 각각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진 형태의 경사면(23a,55a)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장공(23)의 중심과 돌출편(55)의 중심은 각각 편심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수동식 틸트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편(55)은 원추형상으로 형성되면서 이의 중심은 가동래치부재(21)에 형성된 장공(23)의 중심으로부터 편심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수동식 틸트장치.
KR1019990044366A 1999-10-13 1999-10-13 자동차의 수동식 틸트장치 KR1003332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4366A KR100333282B1 (ko) 1999-10-13 1999-10-13 자동차의 수동식 틸트장치
US09/532,630 US6279414B1 (en) 1999-10-13 2000-03-22 Manual type tilting apparatus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4366A KR100333282B1 (ko) 1999-10-13 1999-10-13 자동차의 수동식 틸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7071A true KR20010037071A (ko) 2001-05-07
KR100333282B1 KR100333282B1 (ko) 2002-04-25

Family

ID=19615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4366A KR100333282B1 (ko) 1999-10-13 1999-10-13 자동차의 수동식 틸트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279414B1 (ko)
KR (1) KR1003332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81310B2 (en) * 2000-04-24 2002-11-19 Delphi Technologies, Inc. Fine increment tilt mechanism
US6978153B2 (en) * 2001-12-15 2005-12-20 Motorola, Inc. Non-binding fully retractable latching apparatus
US20040123695A1 (en) * 2002-10-15 2004-07-01 Knott Jeffrey A. Steering wheel tilt mechanism
JP2004262433A (ja) * 2003-02-14 2004-09-24 Nsk Ltd 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US6986531B2 (en) * 2003-07-24 2006-01-17 Delphi Technologies, Inc. Steering column linkage tilt lever
US8376404B2 (en) * 2010-11-23 2013-02-19 Steering Solutions Ip Holding Corporation Integrated tooth rake lock for steering column
KR101585421B1 (ko) * 2012-09-18 2016-01-15 주식회사 만도 자동차의 조향 컬럼
US11180177B1 (en) 2021-01-27 2021-11-2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Tiltable steering wheel mechanism having driving and utility position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10887A (en) * 1956-08-08 1959-11-03 James D H Helms Collapsible and adjustable steering column
US3807252A (en) * 1972-08-14 1974-04-30 Caterpillar Tractor Co Adjustable steering wheel assembly for vehicles
US4033158A (en) * 1976-02-23 1977-07-05 Caterpillar Tractor Co. Adjustable steering wheel and transmission lock arrangement
US5088342A (en) * 1990-11-21 1992-02-18 Deere & Company Pivotable steering wheel mechanism and biasing mea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279414B1 (en) 2001-08-28
KR100333282B1 (ko) 2002-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59561B2 (en) Collapsible skateboard
US4759098A (en) Direction setting device for rollers of a baby walker
US5775718A (en) Folding assembly for a trolley
US7219918B2 (en) Stroller having a brake device
KR100333282B1 (ko) 자동차의 수동식 틸트장치
EP1488836A1 (en) Wireless control transmitter
JPS5810806B2 (ja) ソクドセイギヨソウチ
KR200411603Y1 (ko) 휴대기기의 거치대
KR101660785B1 (ko) 전기 자전거의 페달 스탠드
US20070013168A1 (en) Wheel steering mechanism for baby stroller
JP2001006496A (ja) ターンシグナルスイッチ装置
US20050173879A1 (en) Two-wheel type driving board
WO2017158881A1 (ja) 小型電動車両
JP2005119440A (ja) 自動変速機のシフトレバー装置
JP3789979B2 (ja) ディスプレイ操作面立ち上げ機構
JP3890697B2 (ja) 模型用操縦装置のレバー自動復帰機構
CA2491681C (en) Handheld power tool with a detachable handle
JP2820396B2 (ja) 幼児用三輪車
JPS6234324Y2 (ko)
JPH031645Y2 (ko)
JPS6313544Y2 (ko)
KR970007732B1 (ko) 자동차용 스티어링 컬럼의 틸트(Tilt)장치
JPH0123409Y2 (ko)
JPS5939342B2 (ja) ピポツト機構
JPH076399Y2 (ja) 押ボタン式平面ハンド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05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