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36691A - 휴대용 컴퓨터의 절전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컴퓨터의 절전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36691A
KR20010036691A KR1019990043805A KR19990043805A KR20010036691A KR 20010036691 A KR20010036691 A KR 20010036691A KR 1019990043805 A KR1019990043805 A KR 1019990043805A KR 19990043805 A KR19990043805 A KR 19990043805A KR 20010036691 A KR20010036691 A KR 200100366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brightness
lamp
power saving
portable compu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38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31730B1 (ko
Inventor
우종현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900438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1730B1/ko
Publication of KR200100366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66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17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17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06F1/3265Power saving in display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263Arrangements for using multiple switchable power supplies, e.g. battery and A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Sources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댑터 전원과 배터리 전원을 겸용하는 휴대용 컴퓨터 등에서 배터리전원이 사용되고 있을 때 엘씨디의 백라이트 램프가 불필요하게 밝은 모드로 설정되어 배터리 전원이 급격히 소모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입력전원이 어댑터 전원인지 배터리 전원인지 확인하여 그에 따른 식별신호를 출력하는 선택전원 식별수단과; 영상매체 재생기에 공급되는 전류를 근거로 그 영상매체 재생기의 동작 여부를 판단하여 그에 따른 식별신호를 출력하는 재생동작 판별수단과; 상기 각 식별신호를 확인해본 결과, 배터리 전원이 사용되고 있으며 상기 재생기가 재생동작 중이 아닌 것으로 판명되거나 재생동작 중이지만 엘씨디의 백라이트 램프의 밝기 조절용 증감키가 입력되지 않는 것으로 판명되면, 그 램프의 최대 밝기를 제한하는 밝기 조절용 정보를 출력하고, 그 이외의 경우에는 램프의 최대 밝기까지 조절이 허용된 밝기 조절용 정보를 출력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에서 출력되는 밝기 조절용 정보에 따라 상기 엘씨디의 백라이트 램프의 구동출력을 제어하는 램프 구동수단에 의해 달성된다.

Description

휴대용 컴퓨터의 절전 방법 및 장치{POWER SAVING METHOD AND APPARATUS FOR PORTABLE COMPUTER}
본 발명은 어댑터 전원과 배터리 전원을 겸용하는 이동장치(Mobil)의 소비전력을 관리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용 컴퓨터에서 배터리전원이 사용되고 있을 때 엘씨디의 백라이트 램프가 불필요하게 밝은 모드로 설정되어 배터리 전원이 급격히 소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한 휴대용 컴퓨터의 절전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노트북 컴퓨터와 같은 휴대용 컴퓨터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엘씨디(LCD: Liquid Crystal Display)가 채용되고 있는데, 이 엘씨디는 자체적인 발광능력이 없다. 따라서, 엘씨디에는 디스플레이되는 내용을 보다 정확하고 선명하게 볼 수 있도록 후광 역할을 하는 백라이트용 램프를 반드시 필요로 한다.
상기 백라이트용 램프 구동장치로 주로 인버터가 사용되며, 백라이트용 램프를 구동시키기 위해서는 전원의 입력조건을 적절하게 만족시켜 주어야 한다. 예를 들어 통상적으로, 500∼700V(40∼80KHz)의 교류전압과 2∼7mA의 램프전류를 제공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인버터를 통해 상기와 같은 전원의 입력조건을 만족시켜 주게 되며, 그 인버터의 출력전류를 조절하여 램프의 밝기 정도를 조절하게 된다. 그런데, 램프의 사용 전류량에 비례하여 인버터 및 램프에서 소모되는 전력량이 많아지므로 결과적으로, 노트북 컴퓨터에 채용된 배터리 전원의 수명은 그 램프의 전류량에 많은 영향을 받는다.
더욱이, 근래들어 노트북 컴퓨터에 씨디롬(CD-ROM)이나 디브이디(DVD) 등의 영상매체 재생기가 많이 탑재되고 있는 실정에 있으며, 보다 선명하고 깨끗한 영상을 제공하기 위해 엘씨디의 백라이트용 램프의 밝기가 점차 밝아지는 추세에 있다. 예를 들어 몇 년전까지만 해도 70∼80 칸델라 수준이던 엘씨디의 백라이트용 램프의 밝기가 150 칸델라까지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그 램프 및 그의 구동장치에 의한 전력소모량이 점차 많아져 이에 대한 대책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는 실정에 있다.
종래기술에 의하면, 상기 인버터의 구동을 제어하여 램프의 밝기(전류)를 가변시키는 다음의 방법에는 두가지가 있다.
첫 번째 방법은 소프트웨어적으로 램프의 밝기를 조절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에 있어서는 사용자에 의해 키보드 상에서 밝기 증감키가 눌리는 것을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인식하여 그에 따른 밝기 조절 정보(예: 전압 레벨 또는 펄스폭변조신호(PWM))를 인버터측으로 출력하고, 인버터에서는 그 밝기 조절 정보에 상응되는 램프 전류를 생성하여 백라이트 램프측으로 출력하게 되며, 이에 의해 램프의 밝기가 조절된다.
두 번째 방법은 하드웨어적으로 램프의 밝기를 조절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엘씨디 주변에 설치되어 있는 밝기 조절용 노브(Knob)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아날로그적인 밝기 조절신호가 상기 인버터측으로 출력되고, 인버터에서는 그 밝기 조절신호에 상응되는 램프 전류를 생성하여 백라이트 램프측으로 출력하게 되며, 이에 의해 램프의 밝기가 조절된다.
종래기술에 의한 하드웨어적으로 램프의 밝기를 조절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어댑터 전원이 사용되거나 배터리 전원이 사용될 때 최대 밝기 조절에 대한 아무런 제한이 없으므로 영상매체(CD-ROM, DVD) 재생시 엘씨디 화면이 무분별하게 너무 밝게 설정되어 배터리 전원이 급격히 소모되는 결함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에 의한 휴대용 컴퓨터의 엘씨디 화면 밝기 조절방법 중 소프트웨어적으로 램프의 밝기를 조절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배터리 전원이 사용될 때 조절 가능한 최대 밝기가 어느 정도 제한되어 있으므로 영상매체(CD-ROM, DVD) 재생시 엘씨디 화면이 너무 밝게 설정되어 배터리 전원이 급격히 소모되는 것이 어느 정도 방지된다. 하지만, 이와 같은 방법을 이용하는 경우 사용자가 밝은 화면을 즐기고자 하는 요구 자체가 원천적으로 봉쇄되는 결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영상매체 재생모드에서 어댑터 전원이 선택된 경우에는 사용자에 의한 최대 밝기 조절에 아무런 제한을 두지 않고, 배터리 전원이 선택된 경우에는 영상매체 재생기가 동작중이거나 영상매체 재생기의 동작모드에서 밝기 증감키가 입력되지 않는 조건하에서만 사용자에 의한 최대 밝기 조절에 제한을 두는 휴대용 컴퓨터의 절전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컴퓨터의 절전 장치의 일실시 예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컴퓨터의 절전 방법의 신호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어댑터 2 : 배터리
3 : 선택전원 식별부 4 : 직류/직류 변환기
5 : 재생동작 판별부 6 : 키보드
7 : 키보드 콘트롤러 8 : 마이크로컴퓨터
9 : 인버터 구동제어부 10 : 인버터
10 : 엘씨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휴대용 컴퓨터의 절전 방법은 입력전원이 어댑터 전원인지 배터리 전원인지 확인하여 어댑터 전원으로 판명되면 엘씨디의 백라이트용 램프의 최대 밝기까지 조절을 허용하는 제1과정과; 상기의 확인결과 입력전원이 배터리 전원으로 판명되면 영상매체 재생기에 공급되는 전류를 근거로 그 재생기의 동작 여부를 확인하는 제2과정과; 상기의 확인결과 영상매체 재생기가 재생동작 중이 아닌 것으로 판명되거나, 재생동작 중이지만 상기 램프의 밝기 조절용 증감키가 입력되지 않는 것으로 판명되면 그 램프의 최대 밝기를 제한하는 제3과정과; 상기의 확인결과 배터리 전원이 사용되고 영상매체 재생기가 재생동작 중인 것으로 판명되었지만 상기 증감키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상기 램프의 최대 밝기까지 조절을 허용하는 제4과정으로 이루어 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휴대용 컴퓨터의 절전 장치의 일실시 예시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어댑터(1)와 배터리(2) 전원 중 하나의 전원을 선택하여 출력하고 선택된 전원의 식별신호(D1)를 출력하는 선택전원 식별부(3)와; 상기 선택전원 식별부(3)에서 출력되는 직류전압을 시스템에서 필요로 하는 레벨의 직류전압으로 변환하는 직류/직류 변환기(4)와; 직류/직류 변환기(4)에서 출력되는 전원을 영상매체 재생기에 공급하고, 공급 전류를 근거로 그 영상매체 재생기에서 사용되는 전류량을 체크하여 그에 따른 식별신호(D2)를 출력하는 재생동작 판별부(5)와; 키보드(6) 상에서 밝기 증감키의 눌림 여부를 판단하여 그에 따른 식별신호(D3)를 출력하는 키보드 콘트롤러(7)와; 상기 키보드 콘트롤러(7)로부터 식별신호(D3)가 입력될 때 상기 식별신호(D1,D2)를 근거로 최대 밝기가 제한된 롬 테이블이나 제한되지 않은 롬테이블을 선택하고, 그 선택된 롬 테이블의 허용 범위 내에서 요구된 밝기 조절정보를 출력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8)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8)의 롬테이블에서 출력되는 밝기 조절정보에 상응되는 구동제어신호(예: PWM)를 인버터(10)측으로 출력하는 인버터 구동제어부(9)와; 상기 인버터 구동제어부(9)로부터 입력되는 구동제어신호에 상응되는 모드로 구동되어 엘씨디(11)의 백라이트 램프에 해당 전류를 공급하는 인버터(10)로 구성한 것으로,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작용을 첨부한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통상적으로, 노트북컴퓨터 등의 휴대용 컴퓨터에는 상용전원을 사용하기 위한 어댑터(1)가 구비되어 있고, 이와는 별도로 배터리(예: 충전식 배터리)(2)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어댑터(1)의 전원이나 배터리(2)의 전원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상기 어댑터(1)의 전원과 배터리(2)의 전원 중 어댑터(1)의 전원이 우선권을 갖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노트북 컴퓨터에 그 어댑터(1)가 연결되어 있을 때에는 배터리(2)의 장착 여부에 관계없이 선택전원 식별부(3)에서 어댑터(1)의 출력전압을 선택함과 아울러 그에 따른 식별신호(예: D1=″하이″)를 출력하고, 어댑터(1)가 연결되어 있지 않을때에는 배터리(2)의 출력전압을 선택함과 아울러 그에 따른 식별신호(예: D1=″로우″)를 출력한다.
상기 선택전원 식별부(3)에서 출력되는 직류전압은 직류/직류 변환기(4)에 의해 시스템에서 필요로 하는 레벨의 직류전압으로 변환되고, 노트북 컴퓨터에서 씨디롬(CD-ROM)이나 디브이디(DVD) 등의 영상매체 재생기(5B)를 사용할 때 전류감지부(5A)는 그 직류/직류 변환기(4)에서 영상매체 재생기(5B)측으로 공급되는 전류를 감지하여 그에 상응되는 전압을 출력한다.
상기 전류감지부(5A)의 출력전압이 증폭기(5C)를 통해 소정의 레벨로 증폭된 다음 비교기(5E)의 일측 입력단자에 공급되는데, 이때, 그 비교기(5E)는 그 입력전압을 기준 전압부(5D)로부터 입력되는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그에 따른 식별신호(D2)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상기 영상매체 재생기(5B)의 사용 전류량이 일정치 이상이면 비교기(5E)에서 식별신호(D2)를 ″하이″로 출력하고, 일정치 이하이면 ″로우″로 출력한다.
한편, 사용자가 키보드(6) 상에 설치된 밝기 증감키를 조작할 때 키보드 콘트롤러(7)는 따른 식별신호(D3)를 마이크로컴퓨터(8)측으로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마이크로컴퓨터(8)는 상기 선택전원 식별부(3)에서 출력되는 식별신호(D1), 재생동작 판별부(5)에서 출력되는 식별신호(D2) 및 키보드 콘트롤러(7)에서 출력되는 식별신호(D3)를 근거로 하여 절전모드 또는 비절전모드의 밝기 조절정보를 출력하게 되는데, 이 과정을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노트북 컴퓨터에 전원이 입력되면 상기 선택전원 식별부(3)로부터 입력되는 식별신호(D1)를 근거로 배터리전원 모드인지 어댑터전원 모드인지 체크하여 어댑터전원 모드로 판명되면 어댑터용 롬테이블(8B)를 선택하여 최대 밝기가 제한되지 않은 밝기 조절정보를 출력한다(S1-S4).
그러나, 상기의 체크 결과 배터리전원 모드로 판명되면 상기의 설명에서와 같이 전류감지부(5A), 증폭기(5C) 및 비교기(5E)를 이용하여 그 영상매체 재생기(5B)에 공급되는 전류량을 체크하고, 그 체크 전류를 기준치와 비교하여 식별신호(D2)를 출력한다(S5-S7). 즉, 비교기(5E)에서 증폭기(5C)의 출력전압을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기준전압보다 높으면 식별신호(D2)를 ″하이″로 출력하고, 낮으면 ″로우″로 출력한다.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8)는 상기 식별신호(D2)가 ″하이″로 입력되면 영상매체 재생기(5B)가 재생동작 중인 것으로 판단하고, ″로우″로 입력되면 재생동작 중이 아닌 것으로 판단한다(S8).
상기와 같이 영상매체 재생기(5B)가 재생동작 중이 아닌 것으로 판명되거나, 재생동작 중이지만 상기 키보드 콘트롤러(7)로부터 밝기 조절용 증감키가 입력되지 않는 것으로 판명되는 경우에는 배터리용 롬테이블(8A)를 선택하여 소정치 범위(예: 0∼70%)로 제한된 밝기 조절정보를 출력한다(S9-S11).
그러나, 상기의 확인결과 재생동작 중이고 키보드 콘트롤러(7)로부터 밝기 조절용 증감키가 입력되는 것으로 판명되는 경우에는 상기와 같이 어댑터용 롬테이블(8B)를 선택하여 최대 밝기가 제한되지 않은 밝기 조절정보를 출력한다.
인버터 구동제어부(9)는 상기 마이크로컴퓨터(8)의 배터리용 롬테이블(8A)이나 어댑터용 롬테이블(8B)에서 출력되는 밝기 정보에 상응되는 구동제어신호(예: PWM)를 인버터(10)측으로 출력하고, 이에 의해 인버터(10)로부터 엘씨디(11)의 백라이트 램프에 해당 전류가 공급되어 화면이 해당 밝기로 디스플레이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어댑터 전원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비절전모드를 설정하여 자유롭게 백라이트용 램프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배터리 전원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영상매체 재생기가 재생동작 중이 아닌 것으로 판명되거나 재생동작 중이지만 증감키가 입력되지 않는 것으로 판명될 때 절전모드를 설정하여 백라이트용 램프의 밝기 조절에 제한을 두며, 배터리 전원이 사용중일 지라도 사용자가 증감키를 이용하여 밝기 조절을 요구하면 최대 밝기까지 조절이 가능하도록 허용함으로써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시키면서 최대한의 절전효과를 얻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6)

  1. 입력전원이 배터리 전원으로 판명되면 영상매체 재생기의 동작 여부를 확인하는 제1과정과; 상기의 확인결과 영상매체 재생기가 재생동작 중인 것으로 판명되었지만 엘씨디의 백라이트 램프의 밝기 조절용 증감키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그 램프의 최대 밝기까지 조절을 허용하는 제2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의 절전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제2과정은 상기의 확인결과 영상매체 재생기가 재생동작 중이 아닌 것으로 판명되거나, 재생동작 중이지만 엘씨디의 백라이트 램프의 밝기 조절용 증감키가 입력되지 않는 것으로 판명되면 그 램프의 최대 밝기를 제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의 절전 방법.
  3. 입력전원이 어댑터 전원인지 배터리 전원인지 확인하여 그에 따른 식별신호를 출력하는 선택전원 식별수단과; 영상매체 재생기에 공급되는 전류를 근거로 그 영상매체 재생기의 동작 여부를 판단하여 그에 따른 식별신호를 출력하는 재생동작 판별수단과; 상기 각 식별신호를 확인해본 결과, 배터리 전원이 사용되고 있으며, 상기 재생기가 재생동작 중인 경우 엘씨디의 백라이트 램프의 밝기 조절용 증감키의 입력에 따라 그 램프의 최대 밝기까지 조절이 허용된 밝기 조절용 정보를 출력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에서 출력되는 밝기 조절용 정보에 따라 상기 램프의 구동출력을 제어하는 램프 구동수단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의 절전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재생동작 판별수단은 상기 영상매체 재생기에 공급되는 전류를 기준치와 비교하여 그의 동작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의 절전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제어수단은 상기 재생기가 재생동작 중이 아닌 것으로 판명되거나 재생동작 중이지만 엘씨디의 백라이트 램프의 밝기 조절용 증감키가 입력되지 않는 것으로 판명될 때, 그 램프의 최대 밝기를 제한하는 밝기 조절용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의 절전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제어수단은 절전모드를 실현하기 위한 배터리용 롬 테이블과 비절전모드를 실현하기 위한 어댑터용 롬 테이블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의 절전 장치.
KR1019990043805A 1999-10-11 1999-10-11 휴대용 컴퓨터의 절전 방법 및 장치 KR1006317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3805A KR100631730B1 (ko) 1999-10-11 1999-10-11 휴대용 컴퓨터의 절전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3805A KR100631730B1 (ko) 1999-10-11 1999-10-11 휴대용 컴퓨터의 절전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6691A true KR20010036691A (ko) 2001-05-07
KR100631730B1 KR100631730B1 (ko) 2006-10-09

Family

ID=19614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3805A KR100631730B1 (ko) 1999-10-11 1999-10-11 휴대용 컴퓨터의 절전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173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3809A (ko) * 2001-09-14 2003-03-20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컴퓨터에서의 디스플레이 밝기 조절방법
KR100426694B1 (ko) * 2001-07-26 2004-04-17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컴퓨터 및 그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41075A (ja) * 1993-11-19 1995-06-02 Pfu Ltd 携帯型コンピュータの節電制御方法
KR19980013821A (ko) * 1996-08-03 1998-05-15 구자홍 액정 디스플레이의 자동 밝기 조절장치
KR19980023501A (ko) * 1996-09-30 1998-07-06 배순훈 비디오 씨.디 플레이어의 화면 밝기 조절 장치 및 방법
JP4550175B2 (ja) * 1997-10-23 2010-09-22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バックライト制御方法、及び記録媒体
KR19990043128A (ko) * 1997-11-28 1999-06-15 윤종용 광센서를 이용한 엘시디 백라이트 제어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6694B1 (ko) * 2001-07-26 2004-04-17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컴퓨터 및 그 제어방법
KR20030023809A (ko) * 2001-09-14 2003-03-20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컴퓨터에서의 디스플레이 밝기 조절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31730B1 (ko) 2006-10-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5002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060206734A1 (en) Electronic apparatus having electric power saving function
US6900820B2 (en) Display apparatus for a computer having a storage medium
US20060022992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luminance
US20030234778A1 (en) Apparatus for and method of reducing energy consumption
US10795426B2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 system with power-saving mechanism
US20060232216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luminance adjusting method
US8850246B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020041615A (ko) 휴대용 기기의 절전방법
KR100381423B1 (ko) 휴대용 컴퓨터와 그 제어방법
US738236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program product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JP5268022B2 (ja) 投影装置
KR100631730B1 (ko) 휴대용 컴퓨터의 절전 방법 및 장치
JPH0926837A (ja) 照明制御方式および情報処理装置
US7042436B2 (en) Method to dynamically optimize the power efficiency of a display backlighting system based on the output load
JP2008009306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制御方法
US7719528B2 (en) Portable comput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0523598B1 (ko) 액정 표시 장치용 백 라이트의 휘도 조절 방법 및 저전력모드 구현 방법
CN102568428A (zh) 液晶显示屏的唤醒方法及具有液晶显示屏的电子设备
US6816157B2 (en) Personal computer displaying display data inputted from another personal computer
JPH05276656A (ja) 液晶表示装置
JP2002032980A (ja) 電池残量表示装置
KR101648451B1 (ko) 소비 전력을 표시하는 방송 수신기의 동작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방송 수신기
KR20040025371A (ko)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및 휘도조절방법
JP2002229499A (ja) 情報処理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4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