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36017A - 전기집진장치 - Google Patents

전기집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36017A
KR20010036017A KR1019990042851A KR19990042851A KR20010036017A KR 20010036017 A KR20010036017 A KR 20010036017A KR 1019990042851 A KR1019990042851 A KR 1019990042851A KR 19990042851 A KR19990042851 A KR 19990042851A KR 20010036017 A KR20010036017 A KR 200100360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dust collecting
electrode
electrodes
collecting electro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28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35234B1 (ko
Inventor
이종출
Original Assignee
이종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출 filed Critical 이종출
Priority to KR10199900428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5234B1/ko
Publication of KR200100360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60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52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52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03C3/41Ionising-electr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02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 B03C3/04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dry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03C3/45Collecting-electr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2201/00Details of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 B03C2201/10Ionising electrode has multiple serrated ends or parts

Landscapes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전전극과 집진전극과의 사이에 큰방전전류를 발생시키는 것에 의하여 가스중에 함유된 다스트(DUST)등을 단시간에 완전하고 확실하게 제거시킬 수 있도록 한 소형의 전기집진장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전기집진장치는 길다란 방전전극(3)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소정간격마다 선단이 뾰족하고 날카롭게 형성된 복수의 돌편(332)를 방사상으로 돌설하여되는 방전부재(33)를 배설함과 동시에 이 방전전극(3)의 주위에는 방전전극(3)과 평행으로 복수본의 집진전극(41-43)을 주방향으로 소정간격마다 배설시키고 방전부재의 돌편부의 첨예단과 집진전극과의 사이에 있어 매우 큰전계강도를 갖인 전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하여 가스중에 함유된 다스트를 단시간에 원활하고 확실하게 제거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전기집진장치{ELECTRIC DUST COLLECTOR}
본 발명은 가스중에 함유된 고체(DUST), 액체(MIST)및 무체(霧體)(이하 다스트라 한다)를 원활하고 확실하게 제거시킬 수 있도록 한 전기집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여러종류의 전기집진장치가 공지되어 있으나, 이는 길다란 방전전극을 상하방향으로 배설하여 2매의 평판상집진전극을 병설한 구조로 구성된 것이므로 방전전극과 집진전극과의 사이에 발생하는 방전전류는 그리 크지않기 때문에 방전전극과 집진전극과의 사이에 충분한 전장(電場)이 발생되지 않았다.
따라서 가스중의 다스트(DUST)등을 완전히 제거시에는 다스트등을 함유한 공기를 방전전극과 집진전극과의 사이에 장시간에 걸쳐 통과시켜야하고 이 때문에 종래의 전기집진장치는 부피가 매우 큰 대형으로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방전전극과 집진전극과의 간에 큰방전전류를 발생시키는 것에 의해 방전전극과 집진전극간에 큰전장을 발생시켜 가스중에 함유된 이물을 단시간에 완전히 확실하게 제거시킬 수 있는 소형의 전기집진기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전기집진장치의 횡단면도
도2는 본 발명의 집진부내의 일부평면도
도3은 본 발명의 방전전극과 집진전극의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집진부내의 평면도
도5는 본 발명의 방전부재부분의 횡단면도
도6은 본 발명의 방전전극과 집진전극의 측면도
도7은 본 발명의 방전부재부분의 횡단면도
도9은 본 발명의 집진전극의 종단면도
도10은 본 발명의 방전부재부분의 횡단면도
도11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실시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집진부
1a : 원통상용기
2 : 틀체
21 : 하니컴단위(HONEYCOMB)
211 : 틀변
3 : 방전전극
31 : 방전심봉
32 : 관부재(管部材)
33 : 방전부재
332 : 돌편부
332a : 첨예단(尖銳端)
41-43 : 집진전극
본 발명의 전기집진장치의 일예를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전기집진장치의 집진부(1)는 도1에 표시된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개구한 원통상용기(1a)내에 상하방향으로 소정간격마다 틀체(2)를 배설하고 이 상하틀체 (2)간에 복수의 집진전극(41-43)으로 둘러싼 공간중심부에 방전전극(3)을 틀체(2) 상하방향으로 관통한 상태로 배설한 것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상기 원통상용기(1a)의 하단부는 처리가스유입구(A)에 연결,연통시킴과 동시에 그 상단부는 처리가스유출구(B)에 연결 연통되어 있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틀체(2)는 그 외주단을 상기 원통상용기(1a)의 내주면에 내접상태로하여 일체로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이 틀체(2)는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두께를 갖인 측면횡장(橫長) 장방형상(사각)의 금속프레임을 조합시킨 것에 의해 평면하니컴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의 하니컴상의 틀체(2)를 3개 준비하여 이 하니컴상의 틀체(2)를 상하방향으로 소정간격을 두고 즉, 후술하는 집진전극(42)(43)의 상하방향의 길이보다도 약간 길이가 긴 간격을 두고 병설함과 동시에 이 틀체(2)를 구성하는 하니컴단위(21)끼리를 상하방향으로 합치한 상태로 배설되어 있다.
또한 상기 원통상용기(1a)의 주벽부에는 그 내외면에 걸쳐 통과한 상태로 복수의 스릿부(1b,SLIT)를 통하여 상기의 틀체(2)의 일부가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이 돌출부(2a)를 원통상용기(1a)의 외주면에 일체로 설치된 구타부재 (6)에 의해 때리는 것에 의하여 틀체(2) 즉, 후술하는 집진전극(41-43)을 진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틀체(2)에는 원통상용기(1a)을 끼워 프러스전압이 인가되어 있다. 틀체(2)를 구성하는 하니컴단위(21)의 각각의 중심부에는 최상부의 틀체(2)와 최하부의 틀체(2)와의 사이를 관통되어 있는 상태에 수직방향으로 지향한 방전전극(3)이 배설되어있다.
방전전극(3)은 도5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방향으로 지향한 4각봉상의 금속제방전심봉(31)과, 이 방전심봉(31)의 정각부에 외접하고, 또한 방전심봉 (31)의 축심회전이 회동자유롭게되고 방전심봉(31)의 길이방향으로 직렬상태로 방전심봉(31)이 끼워진 단원통상의 일정길이로 된 복수의 금속제관부재(32)와, 이 상하방향에 인접하는 관부재(32)의 대향상하단면사이에 중심부를 협착시킨 관부재 (32)와 일체로 방전심봉(31)의 축심회전이 회동자유로운 금속제의 역접시상방전부재(33)로 된다.
그리고 방전부재(33)는 도11와 같이 사각형의 방전부재(33')로 형성하여도 좋다.
방전심봉(31)에는 마이너스전압이 인가되어있고 이 마이너스전압은 방전심봉 (31)의 정각부에 외접하는 관부재(32)를 개재하여 관부재(32)사이에 협착된 방전부재(33)에 인가되어있다.
관부재(32)사이에 협착되어있는 역접시상방전부재(33)는도5 내지 도7에 표현된 바와 같이 원환상의 수평부(330)의 중심부의 상하면간에 관통하고, 또한 관부재 (32)의 내경이 합치한 직경을 가지는 평면원형상의 취부공(330a)이 방전심봉 (31)을 삽통됨과 동시에 취부공(330a)의 주연부를 상하방향으로 인접한 관부재(32)의 대향 상하단면사이에 협착되어있고 수평부(330)에서 외방으로 향하여 연설된 하향경사부(331)에 있어 외주연부에는 평면3각형상의 돌편부(332)가 주방향에 방사상으로 연속적으로 돌설되어있고 돌편부(332)의 선단은 첨예단(332a)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방전부재(33)에 12개의 돌편부(332)가 형성되어 있다. 방전부재(33)는 상하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는 방전부재(33)의 돌편부(332)의 첨예단(332a)까지 서로 수직방향으로 합치한 상태. 즉, 동일방향으로 돌출한 상태로 관부재(32)에 협착되어 있다.
도3에 표현된 바와 같이 상하방향에 인접하는 틀체(2)간에 있어 각 하니컴단위(21)의 상하대향내우부(上下對向內隅部)사이의 각각에는 일정두께를 가지는 금속제 세폭대상체(細幅帶狀體)가 그폭방향을 틀체(2)의 하니컴단위(21)의 중심방향으로 향한 상태에서 연결되고, 그 금속대상체를 집진전극(41)으로 하고 있다.
상하방향에 인접하는 틀체(2)간에 있어 틀체(2)의 각 하니컴단위(21)의 상하대향틀변(211) 사이에도 수평방향으로 일정간격마다 복수본의 일정길이의 금속제통상집진전극(42)이 입설상태로 착탈자유롭게 배설,지지되어 있다.
이와 같이 집진전극(42)(43)이 착탈 자유롭게 배설되어있기 때문에 틀체(2)를 분해할 필요없이 집진전극(42)(43)만을 틀체(2)에서 원활하고 간단하게 분리하여 교환할 수 있다.
집진전극(42)(43)은 도2에 표시된 바와 같이 상하방향에 인접하는 틀체(2)에 있어 각 하니컴단위(21)의 상하방향 대향하는 틀변(211)의 변길이를 4등분할한 부분 사이에 각각 배설되어 있다.
그리고 각 하니컴단위(21)에 있어 각 틀변(211)에 등간격으로 배설된 3본의 집진전극(42)(43)중 양외측의 집진전극(42)의 각각을 방전부재(33)의 돌편부(332)의 첨예단(332a)의 각각에 돌편부(332)의 돌출방향으로 대향된 위치에 설하여져 있다. 3본의 집진전극(42)(43)중에서 중앙의 집진전극(43)은 작은경으로되고 양외측의 집진전극(42)은 큰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집진전극(41-43)을 큰경,작은경의 2종류의 통상체 또는 소정폭으로 된 금속제세폭대상체(帶狀體) 형성, 즉 집진전극(41-43)을 3종류의 다른 형상의 것으로 형성하는 것에 의해 방전부재(33)의 돌편부(332)에 있어서 첨예단(332a)과 이 돌편부(332)의 돌출방향이 첨예단(332a)과 대향하여있는 집진전극(42)과의 사이의 거리()와, 집진전극(42)이 인접하는 집진전극(41)(43)과 상기의 돌편부(332)의 첨예단(332a)과의 상기의 거리()를 같도록 구성되어있다.(도2 참조)
상기와 같이 방전부재(33)의 한개의 돌편부(332)의 첨예단(332a)에 대하여 최단거리에 있는 집진전극(41)(42)(43)을 3개 배설하는 것에 의해 하나의 돌편부 (332)의 첨예단(332a)에서의 코로나 방전을 3개의 집진전극(41)(42)(43)을 향하여 발생할 수 있고, 따라서 방전전극(3)과 집진전극과의 사이에 생기는 전장의 전계강도(電界强度)는 보다 크게되어 가스중에 함유된 다스트(DUST)등을 강력하게 대전 (帶電)시켜 집진전극(41)(42)(43)에 모여져 가스중의 다스트등을 완전하고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다.
집진전극(42)(43)은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인접하는 틀체(2)간에 있어 각 하니컴단위(21)의 상하대향틀변(211)의 대향단면에 각각 대향하여 돌설된 상하지지돌부(211a)에 집진전극(4)의 상하개구부의 각각을 착탈자유롭게 씌워진 것에 의하여 틀체(2)사이에 착탈자유롭게 기립상태로 배설되어있다.
또한 각 하니컴단위(21)의 중심부에 배설된 방전전극(3)은 원통상용기(1a)의 상단부의 매다는 프레임(50)에 상단을 매다는 부재(51)를 개재하여 매달고 그 하단에 중추(52)를 연결하여 이 중추(52)에 의하여 수직상태로 유지되어있다.
다음 전기집진장치의 사용요령에 대하여 설명한다.
방전전극(3)에 마이너스전압을 인가함과 동시에 집진전극(41-43)에 원통상용기(1a)를 통하여 프라스전압을 인가하고 처리가스유입구(A)에서 원통상용기(1a)내, 즉 집진전극(41-43)으로 둘러싼 공간부내에 다스트등을 함유한 가스를 하방에서 상방으로 향하게 유통시킨다.
그러면 방전전극(3)의 방전부재(33)의 첨예단(332a)과 그 첨예단(332a)에서 최단거리에 있는 3개의 상기방전전극(41-43)과의 사이에 코로나 방전이 생겨 전계가 발생한다.
이 때 방전전극(33)의 첨예단(33a)의 매우 뾰족하고 날카로운 부분에서 방전되기 때문에 발생하는 방전전류로서는 매우 큰전류를 얻을 수 있다.
방전부재(33)의 첨예단(332a)에서 3개의 집진전극(41-43)에 대하여 방전전류가 흐르게됨으로 방전전극(3)과 상기 집진전극(41-43)과의 사이에 발생하는 전계의 전계강도는 매우 크게 된다.
따라서 각 하니컴단위(21)에 있어 집진전극(41-43)으로 둘러싸진 공간부내를 유통하는 가스중의 다스트등은 전계(電界)에 의하여 직접,확실하게 마이너스로 대전되고 이 마이너스로 대전((帶電)한 다스트등은 집진전극(41-43)에 보집(補集)되어 가스중에서 제거된다.
그리고 다스트등이 제거된 가스는 원통상용기(1a)의 처리가스유출구(B)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가스중의 다스트등은 매우 강한 전계에 의하여 대전하여 집진전극(41-43)에 강고히 보집됨으로 그 집진전극(41-43)이 일단 보집된 고체상의 다스트는 집진전극 (41-43)에서 다시 한번 이탈하여 부유하는 일이 발생하지 않으며, 가스중에 암유된 다스트는 완전,확실히 가스에서 제거된다.
한편 방전전극(3)과 집진전극(41-43)과의 사이에 있어 상술한 바와 같은 큰코로나방전을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방전전극(3)을 집진전극(42)에 대하여 소정위치 즉, 틀체(2)의 하니컴단위(21)의 중심부에 위치시킬 필요가 있다.
전기집진장치에서는 방전부재(33)의 첨예단(332a)와 집진전극(41-43)과의 사이에서 코로나 방전을 발생때 방전부재(33)의 첨예단(332a)과 집진전극(41-43)과의 사이에 서로 반발하는 힘이 발생하여 이 반발력은 방전부재(33)의 첨예단(332a)과 집진전극(41-43)과의 사이의 거리가 좁고 알맞는 것에 착목(着目)하고, 이 반발력을 이용하여 방전전극(3)을 자동적으로 틀체(2)의 하니컴단위(2)의 중심부에 위치시키도록 되어 있다.
방전전극(3)의 방전심봉(31)은 그 길이가 비교적 긴 것에서 그 일부를 만곡하여 방전부재(33)를 집진전극(41-43)에 대하여 편재(偏在)한 상태로 된 것이다.
방전부재(33)의 첨예단(332a)과 집진전극(41-43)과의 사이의 거리가 좁게되어있는 개소에서는 큰반발력이 발생하는 한편, 방전부재(33)의 첨예단(332a)과 집진전극(41-43)과의 사이의 거리가 넓게되어있는 개소에서는 작은 반발력이 발생하게됨으로 방전부재(33)는 그 첨예단(332a)과 집진전극(41-43)과의 사이의 거리가 좁게되어있는 개소에서는 큰반발력에 의하여 그 첨예단(332a)이 집진전극(41-43)에 대하여 이간(離間)하는 방향으로 변위함과 동시에 그 첨예단(332a)과 집진전극(41-43)과의 사이의 거리가 넓게되어 있는 개소에서는 반발력이 작다.
그러므로 큰반발력에 눌려지고 그 첨예단(332a)이 집진전극(41-43)에 대하여 근접하는 방향으로 변위하고 방전부재(33)의 전체첨예단(332a)과 집진전극(41-43)과의 사이의 각각에 생기는 반발력이 모두 같은 상태. 즉, 방전심봉(31)의 휘어짐을 시정하여 방전전극(3)이 틀체(2)의 하니컴단위(21)의 중심부에 자동적으로 항상 위치하도록 구성되어있고, 방전전극(3)과 집진전극(4)과의 사이에 전계강도가 강한 전장을 항상 안정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고 가스중에 함유된 다스트등의 제거작업을 완전하고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방전부재(33)와 집진부재(41-43)와의 사이에 있어 상술한 바와 같이 큰코로나 방전을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방전부재(3)의 돌편부(332)의 첨예단(332a)과 큰경의 집진부재(42)와를 돌편부(332)의 돌출방향에 대향한 상태로 항상 유지시킬 필요가 있다.
그리고 전기집진장치에는 방전부재(33)의 첨예단(332a)과 집진전극(41-43)과의 사이에서 코로나 방전이 생길때 방전부재(33)의 첨예단(332a)과 집진전극(41-43)과의 사이에는 서로 반발하여 합력(合力)이 생기는 것에 착목(着目)하고 방전부재(33)를 협착일체화하여 있는 관부재(32)를 방전심봉(3)에 회동자유롭게함과 동시에 관부재(32)사이에 협착하여있는 방전부재(33)를 그주방향으로 회동자유롭게 배설되어 있다.
따라서 방전부재(33)의 돌편부(332)의 첨예단(332a)과 큰경의 집진전극(42)이 돌편부(332)의 돌출방향에 대향하여 있지않는 상태로 되어 있어도 방전부재(33)의 첨예단(332a)과 집진전극(41-43)과의 사이의 거리가 좁게되어있는 개소에는 큰반발력이 발생하는 한편, 방전부재(33)의 첨예단(332a)과 집진전극(41-43)과의 사이의 거리가 넓게되어있는 개소에서는 작은 반발력밖에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방전부재(33)는 그 첨예단(332a)과 집진전극(41-43)과의 사이의 거리가 좁게되어 있는 개소에는 큰반발력에 의하여 첨예단(332a)이 집진전극(41-43)에 대하여 이간(사이가 멀어지는)방향으로 또 그 첨예단(332a)과 집진전극(41-43)과의 사이의 거리가 넓게되어있는 개소에는 반발력이 작다.
따라서 큰반발력에 눌려진 상태로되고 첨예단(332a)이 집진전극(41-43)에 대하여 근접하는 방향으로 그 방전부재(33)의 주방향으로 회동,변위한다.
방전부재(33)의 전체 첨예단(332a)과 집진전극(41-43)과의 사이의 각각에 생기는 반발력이 모두 같은 상태, 즉 방전부재(33)의 돌편부(332)의 첨예단(332a)과 대경의 집진전극(42)이 돌편부(332)의 돌출방향에 대향한 상태에 자동적으로 위치하도록 구성되어있고,
상기의 전기집진장치에 의하면 항상 방전전극(3)과 집진전극(4)과의 사이에 전계가동의 강한 전장을 항상 안정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고 가스중에 함유된 다스트등의 제거작업을 완전하고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방전부재(33)는 상술한 바와 같이 역접시형으로 형성되고 수평부의 면적을 될 수 있는 한 작게되어 있으므로 가스중에 함유된 다스트를 방전부재(33)의 상면에 축적하여 방전전극의 방전작용을 저해하고있던 문제를 최소한 억제하고, 따라서 가스중의 다스트등을 완전,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다.
최후에 전기집진장치의 집진부(1)에 처리가스를 공급하여 집진전극(41-43)에 일정량의 다스트가 부착한 경우에는 틀체(2)의 돌출부(2a)를 구타부재(6)에 의하여 구타하여 이 틀체(2)에 일체로 설하여진 혹은 탈착 자유롭게 지지된 집진전극(41-43)을 진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집진전극(41-43)에 부착한 다스트를 집진전극(41-43)에서 이탈시켜 제거한다.
또 가스중에 함유되어 있는 것이 액체상의 미스트(MIST)인 경우에는 집진전극(41-43)표면에 수막을 아래로 흐르게하여 집진전극(41-43)에 부착한 미스트를 연속적으로 제거하면 된다.
그리고 상기에서는 틀체(2)를 3개 사용한 집진전극(42)(43)을 상하방향으로 복수층상으로 배설된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틀체(2)를 2개만 사용하여 이 틀체(2)간에 집진전극(42)(43)을 단층상으로 배설시킨 구조로하여도 좋고, 혹은 틀체(2)를 4개이상 사용하여 이 틀체(2)간에 집진전극(42)(43)을 3층이상으로 배설시킨 구조로 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는 방전부재(33)의 수평부(330)에 평면원형상의 취부공(330a)을 형성하고 이 취부공(330a)의 주연부에 관부재(32)의 대향상하단면간에 협착된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도9 및 도10에 표현된 바와 같이 평면원형상의 취부공(330a)의 대신에 방전부재(33)의 수평부(330)의 중심부에 그 상하면간에 걸쳐 관통하고, 또한 방전심봉 (31)의 수평단면형상에 대량 합치한 평면 4각형상의 취부공(330a)을 관설하여도 좋다.
방전부재(33)의 취부공(330a)에 방전심봉(31)을 삽통시키고 복수의 방전부재 (33)를 방전심봉(31)에 방전심봉(31)의 길이방향으로 소정간격마다 배설함과 동시에 상하방향에 인접하는 방전부재(33)간의 각각에 관부재(32)를 방전심봉(31)에 외접된 상태로 씌우고, 즉, 방전부재(33)와 관부재(32)와를 상하방향으로 교호로 방전심봉(31)에 씌우고 방전부재(33)를 상하방향에 관부재(32)의 상하방향의 길이로 나눈 상태로 배설함과 동시에 상하방향에 인접하는 관부재(32)의 대향 상하단면간에 방전부재(33)의 수평부(330)를 협지시켜도 좋다.
청구항1 기재의 전기집진장치는 길다란 방전전극(3)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소정간격마다 선단을 뾰족하고 날카롭게 형성시킨 복수의 돌편부(332)를 방사상으로 돌설하여서 된 방전부재(33)를 배설함과 동시에 이 방전전극(3)의 주위에는 그 방전전극(3)과 평행으로 복수본의 집진전극(41-43)을 주방향(周方向)으로 소정간격마다 배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기 때문에 방전부재(33)의 돌편부(332)의 첨예단(332a)과 집진전극(41-43)과의 사이에 있어 매우 큰전계강도를 갖인 전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가스중에 함유된 다스트등을 단시간에 대전시켜 집진전극에 원활히하고 확실하게 보집(補集)할 수 있고 전기집진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
청구항2 기재의 전기집진장치는 청구항1에 기재된 전기집진장치에 있어서, 방전부재(33)에 형성되어있는 복수의 돌편부(332)와 각 돌편부(332)에 대향한 집진전극(41-43)간에 있어 상기 돌편부(332)에서 이 돌편부(332)의 돌출방향에 대향하는 집진전극(41-43)에 미치는 거리와 그 집진전극(41-43)에 인접하는 집진전극 (41-43)에서 상기돌편부(332)에 이르는 거리와 서로 동일하게 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기 때문에 하나의 방전전극(3)의 돌편부(332)의 첨예단(332a)에서 3개의 집진전극에 대하여 코로나 방전이 생기고,
따라서 상기 방전전극(3)과 집진전극(41-43)과의 사이에 큰 전계밀도를 갖인 전계를 발생시킬 수 있고, 가스중에 함유된 다스트등을 원활,확실하게 집진전극에 보집(補集), 제거할 수 있다.
청구항3 기재의 전기집진장치는 청구항1 또는 청구항2의 전기집진장치에 있어서 방전부재(33)는 역접시형으로 형성하여 그 하향경사부의 외주연부에 그 주방향으로 소정간격마다 선단이 첨예단(332a)으로 된 돌편부(332)를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였기 때문에 방전부재(33)의 상면에 다스트등을 추적하는 것을 최소한 억제하여 가스중의 다스트등을 완전,확실하게 집진전극에 보집시켜 가스중에서 다스트등을 완전하고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다.
청구항4 기재의 전기집진장치는 청구항1 내지 청구항3중에서 어느 1항기재의 전기집진장치에 있어서 방전전극(3)은 각 봉상의 방전심봉(31)과 이 방전심봉(31)의 정각부에 외접하고, 또한 상기 방전심봉(31)의 축심회전이 회동자유롭게 씌워진 복수의 관부재(32)와 이 관부재(32)의 사이에 협착된 방전부재(33)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기 때문에 상기 방전심봉(31)이 그 길이방향의 일부에서 만곡하여 방전부재(33)가 집진전극(41-43)에 대하여 바른자세로 유지되지 못할 경우에 있어서도 방전부재(33)와 집진전극(41-43)과의 사이에 생기는 코로나 방전에 기인하는 반발력에 의하여 방전부재(33)와 집진전극(41-43)에 대하여 바른 위치에 자동적으로 수정,변위하고 방전전극(3)과 집진전극(41-43)과의 사이에 항상 매우 큰 전계강도를 갖인 전장을 발생시켜 가스중의 다스트등을 원활,확실하게 집진전극에 보집,제거할 수 있다.
또한 방전부재를 방전심봉의 축심회전이 회전 자유롭게 구성한 것에 의하여 방전부재(33)의 돌편부(332)의 첨예단(332a)을 집진전극에 대하여 그 돌편부(332)의 돌출방향에 항상 대향된 상태로 자동적으로 수정 유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방전전극과 집진전극과의 사이에는 항상 매우 큰 전계강도를 갖인 전장을 발생시켜 가스중의 다스트의 제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5의 전기집진장치는 청구항1 내지 청구항4의 어느 1항중의 전기집진장치에 있어서 평면하나컴으로 형성된 상하틀체간에 틀변(211)을 따라 소정간격마다 복수본의 집진전극을 상하방향으로 지향하여 배설시킴과 동시에 상기 상하틀체의 하니컴중심의 각각에는 상하방향으로 지향한 방전전극(3)을 배설시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단위면적당 배설된 방전전극 및 이 방전전극을 돌러싼 집진전극의 본수를 많이 할 수 있음과 아울러 집진능력이 떨어지게되는 일 없이 전기집진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길이가 길다란 방전전극(3)에는 길이방향으로 소정간격마다 선단을 뾰족하고 날카로운 첨예로 형성시킨 복수의 돌편부(332)를 방사상으로 돌설하여서 된 방전부재(33)를 배설함과 아울러 이 방전전극(3)의 주위에는 그 방전전극(3)과 평행으로 복수본의 집진전극(41-43)을 주방향으로 소정간격마다 배설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방전부재(33)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돌편부(332)와 각 돌편부(332)에 대향한 집진전극(41-43)간에 있어 상기 돌편부(332)에서 이 돌편부 (332)의 돌출방향으로 대향하는 집진전극(42)에 미치는 거리()와 그 집진전극 (42)에 인접하는 집진전극(41)(43)에서 상기 돌편부(332)에 이르는 거리()와 서로 동일하게 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방전부재(33)는 역접시형으로 형성하여 그 하향경사부의 외주연부에 그 주방향으로 소정간격마다 선단이 첨예단(332a)으로 된 돌편부(332)를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에 기재된 어느 1항에 있어서, 방전전극(3)은 각봉상의 방전심봉(31)과 이 방전심봉(31)의 정각부에 외접하고, 또한 상기 방전심봉(31)의 축심회전이 회동자유롭게 유착한 복수의 관부재(32)와 이 관부재(32)사이에 협착된 방전부재(33)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
  5. 제1항 내지에 제4항 기재된 어느 1항에 있어서, 평면하니컴상으로 형성된 상하틀체(2)사이에 틀변(211)을 따라 소정간격마다 복수본의 집진전극(41-43)을 상하 방향으로 지향하여 배설하고, 상기 상하틀체(2)의 하니컴중심에는 상하방향으로 지향한 방전전극(3)을 배설시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
KR1019990042851A 1999-10-05 1999-10-05 전기집진장치 KR1003352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2851A KR100335234B1 (ko) 1999-10-05 1999-10-05 전기집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2851A KR100335234B1 (ko) 1999-10-05 1999-10-05 전기집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6017A true KR20010036017A (ko) 2001-05-07
KR100335234B1 KR100335234B1 (ko) 2002-05-03

Family

ID=19614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2851A KR100335234B1 (ko) 1999-10-05 1999-10-05 전기집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52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8239A (ko) * 2015-12-08 2016-07-04 주식회사 엔아이티코리아 링 커넥터 구조의 집진 셀 구조체 및 링 커넥터 구조의 집진 전극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8188B1 (ko) * 2015-01-28 2016-02-26 (주)태일기공 전기집진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7635Y1 (ko) * 1998-02-06 2000-10-02 김유득 전기 집진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8239A (ko) * 2015-12-08 2016-07-04 주식회사 엔아이티코리아 링 커넥터 구조의 집진 셀 구조체 및 링 커넥터 구조의 집진 전극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35234B1 (ko) 2002-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51171B1 (en) Air cleaner
US6926758B2 (en) Electrostatic filter
JP3211032B2 (ja) 電気集塵装置
CN1679439B (zh) 用于真空吸尘器的过滤装置
EP2399498A1 (en) Device for purifying a fluid
JPS62749B2 (ko)
US9604162B2 (en) Rotary disc filter device
KR20080009293A (ko) 정전형 증착 장치의 정전형 습식 이온화 스테이지
KR101651034B1 (ko) 전기집진기 및 그 전기집진기를 포함하는 공기청정 시스템
KR20150045068A (ko) 사이클론 구조를 갖는 전기집진 장치
KR101793297B1 (ko) 이단 정전 필터용 원형 집진기와 접속을 위한 장치
JPH09164344A (ja) サイクロン型集塵装置
JP4077994B2 (ja) 電気集塵装置
US20160158766A1 (en) Electrostatic air cleaner
KR100335234B1 (ko) 전기집진장치
JP2004174456A (ja) 電気集塵ユニ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9297683A (ja) 電気集塵器
KR20210075527A (ko) 원심 분리와 필터를 이용한 집진장치
KR20120119640A (ko) 백 필터 유닛의 탈진 장치
WO1992019380A1 (en) Wet electrostatic precipitator and method of using same
KR101771578B1 (ko) 전기집진기의 나선형 방전극
JP3268466B2 (ja) 電気集塵装置
JP3255462B2 (ja) ミスト回収装置
KR101984656B1 (ko) 백필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집진설비
KR102283539B1 (ko) 전기집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42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