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7635Y1 - 전기 집진기 - Google Patents

전기 집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7635Y1
KR200197635Y1 KR2019980001357U KR19980001357U KR200197635Y1 KR 200197635 Y1 KR200197635 Y1 KR 200197635Y1 KR 2019980001357 U KR2019980001357 U KR 2019980001357U KR 19980001357 U KR19980001357 U KR 19980001357U KR 200197635 Y1 KR200197635 Y1 KR 2001976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electrode
spray
wall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13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6816U (ko
Inventor
김유득
Original Assignee
김유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유득 filed Critical 김유득
Priority to KR20199800013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7635Y1/ko
Publication of KR98000681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681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76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763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03C3/45Collecting-electr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02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 B03C3/04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dry type
    • B03C3/09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dry type characterised by presence of stationary flat electrodes arranged with their flat surfaces at right angles to the gas stre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74Cleaning the electrodes
    • B03C3/78Cleaning the electrodes by washing

Landscapes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에 의한 전기 집진기는, 하부측에 가스 입구부가, 상부측에 가스 출구부가 형성되며, 수직으로 세워진 소정 높이의 사각 통체와; 통체의 내부에 상하 순서적으로 배치되어 물을 분사하는 제1, 제2, 제3 스프레이와; 제3 스프레이와 통체의 상부 내벽 사이에 배치되어 수분을 제거하는 수분 제거장치와; 통체의 하부측에 구비되어 낙하되는 물을 수용 저장하는 저장탱크와; 통체의 상부에 구비되어 (+)극이 통체의 벽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고전압 발생장치와; 통체의 내부에 수직 배치되어 상하단부가 벽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판상의 집진극과, 집진극 사이에 수평 배치되되 양단부가 벽의 내측면과 이격된 전극봉과, 집진극과 평행하게 전극봉의 외주에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되며 말단부가 예리한 원통 형상의 방전핀으로 구성되어, 제2 스프레이와 제3 스프레이 사이에 설치되는 전극집합체와; 전극봉을 상호 연결 지지하되 도전성의 지지막대와; 지지막대를 고정 지지하기 위해 통체 내부 상측에 설치되는 도전성의 고정판과; 고정판에 연결되어 고전압 발생장치의 (-)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도전성의 연결막대로 구성되어, 코로나 방전이 일어나지 않는 공간을 최소화하여 집진효과를 증진시킬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전기 집진기
본 고안은 습식 전기집진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먼지의 대전 효과를 증진시킨 전기 집진기에 관한 것이다.
습식 전기 집진기는 먼지가 집진장치의 아래에서 위로 통과하면서 전극집합체의 내부를 통과한다. 이때 전극집합체의 내에서는 코로나 방전을 형성하여 유동가스속의 먼지를 대전시키고, 대전된 먼지가 집진극에 부착된다. 대전된 먼지와 유동 가스속의 일부 먼지는 분사되는 물에 의해 아래 쪽 탱크부로 이동된다.
이러한 종래의 집진기에 사용되는 집진극과 방전극의 하나의 예가 제7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7도를 참조하면, 방전극(100)에 부착된 방전핀(103)은 집진극(106)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집진극(106)은 그 단면이 정육각형을 이루는 하니콤(honeycomb)의 구조이다. 먼지를 포함하는 유동가스는 지면의 수직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러한 종래의 구조에서는 각 방전핀(103) 사이의 공간(107)에는 코로나 방전이 일어나지 않는다. 따라서 이 공간(107)을 지나는 유동가스속의 먼지는 대전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이 공간을 통과하는 많은 양의 먼지는 집진되지 않은 상태에서 집진극을 통과하기 쉽다.
다른 종래의 기술에 따른 예가 제8도에 도시되어 있다.
전극집합체(112)는 방전극(113)과 집진극(116)을 갖는다. 전극집합체(112)는 방전극(113)과 집진극(116)이 교대로 배치되는 구조이다.
방전극(113)은 (-)극과 연결되고, 집진극(116)은 (+)극과 연결되며, 그 사이에는 고압이 걸린다. 집진극(116)은 판 형상이다. 방전극은 상하로 연장되며, 서로 형행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전극봉(120)을 갖는다.
전극봉(120)은 평행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방전핀(123)을 갖는다. 방전핀(123)은 전극봉(120)과는 수직이며 집진극(116)과는 평행을 이룬다.
제8도를 참조하면, 방전핀(123)의 첨예한 단부와 집진극(116) 사이에는 코로나 방정이 일어난다.
유동 가스는 제8도의 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이동한다.
코로나 방전이 일어나는 영역(123)을 통과하는 유동가스 속의 몬지는 대전되어 집진극(116)에 붙는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집진효과가 떨어진다. 각각의 전극봉(120) 사이뿐만 아니라 각 방전핀(123)의 양단부 사이에 코로나 대전이 일어나지 않는 영역(127)이 제9도와 같이 넓게 형성되기 때문이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코로나 방전이 일어나지 않는 공간을 최소화하여 집진효과를 증진시킨 구조를 갖는 전기집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전기집진기의 일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정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전기집진기의 내부에 설치되는 전극집합체의 정면도.
제3도는 제1도의 전기집진기의 내부에 설치되는 전극집합체의 측면도.
제4도는 방전극의 전극봉에 부착된 방전편의 배치도.
제5도는 제4도의 V-V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제6도는 방전극과 집진극 사이의 방전 현상을 도시한 평면도.
제7도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하니콤 전극집합체의 횡단면도.
제8도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 방전극봉을 갖는 전극집합체의 정면도.
제9도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방전극과 집진극 사이의 방전 현상을 도시한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집진기 24 : 전극집합체
50 : 집진극 53 : 방전극
60 : 제1 전극봉 61 : 제2 전극봉
65 : 연결막대 73 : 방전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하부측에 가스 입구부가, 상부측에 가스 출구부가 형성되며, 수직으로 세워진 소정 높이의 사각 통체와; 통체의 내부에 상하 순서적으로 배치되어 물을 분사하는 제1, 제2, 제3 스프레이와; 제3 스프레이와 통체의 상부 내벽 사이에 배치되어 수분을 제거하는 수분 제거장치와; 통체의 하부측에 구비되어 낙하되는 물을 수용 저장하는 저장탱크와; 통체의 상부에 구비되어 (+)극이 통체의 벽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고전압 발생장치와; 통체의 내부에 수직 배치되어 상하단부가 벽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판상의 집진극과, 집진극 사이에 수평 배치되되 양단부가 벽의 내측면과 이격된 전극봉과, 집진극과 평행하게 전극봉의 외주에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되며 말단부가 예리한 원통 형상의 방전핀으로 구성되어, 제2 스프레이와 제3 스프레이 사이에 설치되는 전극 집합체와; 전극봉을 상호 연결 지지하되 도전성의 지지막대와; 지지막대를 고정 지지하기 위해 통체 내부 상측에 설치되는 도전성의 고정판과; 고정판과 연결되어 고전압 발생장치의 (-)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도전성의 연결막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 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집진장치(12)는 사각의 통체(12a)이다.
이 집진장치(12)의 최하부에는 저장 탱크(14)이다. 이 저장 탱크(14)에는 물이 수용된다. 이 저장 탱크(14)의 위에는 입구부(15)가 있다. 이 입구부(15)는 위로부터 비스듬히 경사져 집진장치(12)의 측면에 부착된다.
입구부(14)내에는 물을 분사하는 스프레이(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된다.
입구부(15)가 부착된 부분보다 위에는 물을 분사하는 제1 스프레이(19)와 제2 스프레이(22)가 차례로 설치된다.
이 제1 스프레이(19)와 제2 스프레이(22) 바로 위에는 각각 가스분포판(23)이 설치된다.
제2 스프레이(22) 위쪽에 전극집합체(24)가 위치한다. 이 전극집합체(24) 위에는 다시 제3 스프레이(25)가 위치한다. 그 상부에는 유동가스중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수분 제거장치(Demister;29)가 설치된다.
집진장치(12) 상부에는 고전압 발생장치(32)가 있다. 집진장치(12)의 최상부는 출구부(34)이다.
제2도 및 제3도를 참조하면, 집진장치(12)내에 설치되는 전극집합체(24)는 다수의 집진극(50)과 다수의 방전극(53)을 갖는다.
상기 집진극(50)은 상기 통체(12a)의 내부에 수직 배치되어 상하단부가 통체(12a)의 내벽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판상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집진극(50)은 도전성 금속판으로 이루어진다. 집진극(50)은 집진장치(12)를 구성하는 통체(12a)의 내벽면에 고정되어 접지된다.
집진장치(12)의 벽(56)은 고전압 발생장치(32)의 (+)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방전극(53)은 집진극(50) 사이에 수평 배치된다. 방전극(53)과 인접하는 두 집진극(50) 사이의 거리는 동일하다. 방전극(53)은 다수의 제1 전극봉(60)과 제2 전극봉(61)을 구비한다. 제1 전극봉(60)과 제2 전극봉(61)은 제4도를 참조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방전핀(73)의 위치에 의해 구분된다. 각 전극봉(60,61)은 단면이 원형이며, 표면은 특정의 부위에서만 방전이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매끄럽다.
각 전극봉(60,61)은 수평으로 배치된다. 즉, 가스의 유동 방향에 대하여 대체로 수직이다. 제1 전극봉(60)과 제2 전극봉(61)은 서로 교대로 배치된다.
각 전극봉(60,61)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2개 이상의 제1 전극봉(60) 또는 제2 전극봉(61)을 인접한 위치에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각 전극봉(60,61)은 상하로 연장되는 도전성의 지지막대(62)에 고정된다.
이 지지막대(62)는 상부의 도전성으로된 고정판(63)에 고정된다. 이 고정판(63)은 도전성의 연결막대(65)가 붙어 있다.
연결막대(65)는 집진장치(12)의 상부에 애자를 두고 고정된다. 연결막대(65)는 고전압 발생장치(32)의 (-)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통상, 방전극(53)과 진극(50) 사이에는 30 내지 80KV의 고전압이 걸린다. 벽(56)과 전극봉(60,61) 사이가 절연되도록, 전극봉(60,61)의 양단부는 벽(56)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제4도 및 제5도를 참조하면, 각 전극봉(60,61)에는 다수의 방전핀(73)이 구비 된다.
방전핀(73)은 집진극(50)과는 평행이며, 전극봉(60,61)파는 수직을 이룬다. 따라서, 방전피(73)은 가스의 유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된다.
인접하는 방전핀(73) 사이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떨어진다. 제1 전극봉(60)의 방전핀(73)에 대하여 인접하는 제2 전극봉(61)의 방전핀(73)은 전극봉의 길이 방향으로 편위된(offset) 위치에 있다.
제2 전극봉(61)에 있는 방전핀(73)은 방전핀(73)의 연장선(L;점선으로 표시함)이 제1 전극봉(60)의 인접하는 방전핀(73) 사이의 중앙을 통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5도를 참조하면, 방전핀(73)의 본체는 원통형이며, 말단은 예리할 정도로 뾰족하다.
이러한 방전핀(73)은 예를 들면, 선반 가공에 의해 용이하게 제작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방전핀(73)은 대체로 가는 원통형 핀으로 제작되며, 양끝은 뾰족하게 제작된다. 이러한 방전핀(73)은 전극봉(60 또는 61)을 관통시킨 후 방전핀(73)의 전극봉(60 또는 61)과 인접하는 위치(P)를 소성 변형시켜 전극봉(60 또는 61)에 고정한다.
제6도를 참조하면, 방전핀(73)과 집진극(50) 사이에는 코로나 방전이 일어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방전핀(73) 사이의 간격을 좁힐 수 있으므로, 코로나 방전이 일어나는 영역(76)은 넓고 코로나 방전이 일어나지 않은 영역(80)이 좁다.
이하 본 고안의 작용에 대하여 제1도, 제2도, 제4도, 제6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제1도 및 제2도를 참조하면, 먼지를 포함하는 가스는 입구부(15)로부터 유입된다. 유입된 가스가 제1 스프레이(19) 및 제2 스프레이(22)를 통과하는 동안, 일부 먼지는 분사되는 물에 의해 흡착되어 아래 저장탱크(14)로 떨어진다. 가스는 계속해서 전극집합체(24)를 아래로부터 위로 이동한다. 이동하는 동안, 먼지는 코로나 방전에 의해 대전되어 집진극(50)에 붙는다. 집진극(50)에 붙은 먼지는 제3스프레이(25)로부터 분사되는 물이 집진극(50)을 타고 흘러내리는 동안 씻겨내려 저장탱크(14)로 떨어진다. 전극집합체(24)를 통과한 가스는 수분제거장치(29)를 통과하는 동안 건조되고, 배출구(34)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방전극(53)과 집진극(50) 사이에 고전압이 걸리면, 제6도와 같이, 방전극(53)에 부착된 전극봉(60 또는 61)의 방전핀(73)과 집진극(50) 사이에는 코로나 방전이 일어난다. 제6도는 위에서 본 횡단면이므로 가스는 지면의 아래로부터 위쪽으로 이동한다. 가스가 이동하는 동안, 가스속의 먼지는 집진극(50)에 부착된다. 한편, 제1 전극봉(60)의 방전핀(73)과 제2 전극봉(61)의 방전핀(73)은 편위되어 있으므로 제1 전극봉(60) 주위를 통과할 때에는 가스의 일부가 코로나 방전이 일어나지 않는 영역(80)을 통과하더라도, 이 가스의 일부가 제2 전극봉(61) 주위를 통과할때에는 코로나 방전 영역(76)을 통과하게 된다. 따라서, 가스의 유동 방향에서 보았을때, 코로나 방전 영역이 넓어진다.
이상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방전편의 위치에 따라 3종류의 전극봉으로 나눌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전극봉에 부착된 방전핀은 방전핀 사이의 간격이 1/3만큼씩 편위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동일한 전극봉을 제작하고 이를 사용할 수 있다. 전극봉을 지지막대에 고정할때, 인전하는 전극봉에 부착된 방전핀이 전극봉의 길이 방향으로 1/2만큼 편위되게 할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에 따르면, 가스가 유동하는 방향에서 보았을때, 코로나 방전이 일어나지 않은 영역(80)이 좁아져 최소화된다.
따라서, 가스속의 거의 대부분의 먼지가 대전되어 집진극(50)에 붙게 되므로, 집진효과가 우수하다.

Claims (1)

  1. 하부측에 가스 입구부(15)가, 상부측에 가스 출구부(34)가 형성되며, 수직으로 세워진 소정 높이의 사각 통체(12a)와; 상기 통체(12a)의 내부에 상하 순서적으로 배치되어 물을 분사하는 제1, 제2, 제3 스프레이(19,22,25)와; 상기 제3 스프레이(25)와 상기 통체(12a)의 상부 내벽 사이에 배치되어 수분을 제거하는 수분 제거장치(29)와; 상기 통체(12a)의 하부측에 구비되어 낙하되는 물을 수용 저장하는 저장탱크(14)와; 상기 통체(12a)의 상부에 구비되어 (+)극이 상기 통체(12a)의 내벽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고전압 발생장치(32)와; 상기 통체(12a)의 내부에 수직 배치되어 상하단부가 상기 내벽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판상의 집진극(50)과, 상기 집진극(50) 사이에 수평 배치되되 양단부가 상기 내벽의 내측면과 이격된 전극봉(60,61)과, 상기 집진극(50)과 평행하게 상기 전극봉(60,61)의 외주에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되며 말단부가 예리한 원통 형상의 방전핀(72)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2 스프레이(22)와 제3 스프레이(29) 사이에 설치되는 전극집합체 (24)와; 상기 전극봉(60,61)을 상호 연결 지지하되 도전성의 지지막대(62)와; 상기 지지막대(62)를 고정 지지하기 위해 상기 통체(12a) 내부 상측에 설치되는 도전성의 고정판(63)과; 상기 고정판(63)에 연결되어 상기 고전압 발생장치(32)의 (-)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도전성의 연결막대(6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기.
KR2019980001357U 1998-02-06 1998-02-06 전기 집진기 KR2001976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1357U KR200197635Y1 (ko) 1998-02-06 1998-02-06 전기 집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1357U KR200197635Y1 (ko) 1998-02-06 1998-02-06 전기 집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6816U KR980006816U (ko) 1998-04-30
KR200197635Y1 true KR200197635Y1 (ko) 2000-10-02

Family

ID=19531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1357U KR200197635Y1 (ko) 1998-02-06 1998-02-06 전기 집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7635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5234B1 (ko) * 1999-10-05 2002-05-03 종 출 이 전기집진장치
KR20200145307A (ko) 2019-06-21 2020-12-30 진광이 먼지제거장치
KR20200145308A (ko) 2019-06-21 2020-12-30 진광이 집진설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8772B1 (ko) * 2013-08-14 2015-01-05 (주)에코솔루텍 전기집진기용 분리형 방전극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5234B1 (ko) * 1999-10-05 2002-05-03 종 출 이 전기집진장치
KR20200145307A (ko) 2019-06-21 2020-12-30 진광이 먼지제거장치
KR20200145308A (ko) 2019-06-21 2020-12-30 진광이 집진설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6816U (ko) 1998-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89308A (en) High voltage wetted parallel plate collecting electrode arrangement for an electrostatic precipitator
EP0808660B1 (en) Electrostatic dust collector
US3958962A (en) Electrostatic precipitator
US4349359A (en) Electrostatic precipitator apparatus having an improved ion generating means
CA1159773A (en) Wet electrostatic precipitator having removable nested hexagonal collector plates and magnetic aligning and rapping means
US7517394B2 (en) Wet electrostatic Ionising step in an electrostatic deposition device
US3400513A (en) Electrostatic precipitator
CN103384566B (zh) 用于静电除尘器的高电压部件附近的结构的电气屏蔽装置
JPS6097061A (ja) 静電集じん装置
KR200197635Y1 (ko) 전기 집진기
CN211587055U (zh) 一种脱硫-湿式电除尘一体机清洗装置
KR102233652B1 (ko) 유동안내면을 포함하는 집진판 및 이를 이용한 습식전기집진기
KR101721925B1 (ko) 전기 쇼트 발생 방지용 전기 집진기 애자 및 이를 포함한 전기 집진기
KR960033520A (ko) 전기 싸이클론 집진장치
US222567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lectrical precipitation
US2871974A (en) Electrostatic precipitators
US4236900A (en) Electrostatic precipitator apparatus having an improved ion generating means
KR102448562B1 (ko) 환형 방전 영역을 이용해 먼지입자를 포집하는 집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집진시스템
JP2001017885A (ja) 湿式電気集塵機
JP3313653B2 (ja) 静電集塵機
JP2000189836A (ja) 湿式電気集塵装置
EP0556847B1 (en) Electric precipitator
KR102598566B1 (ko) 싸이클론 전기 집진기
KR20230046572A (ko) 습식 전기집진장치용 대전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습식 전기집진장치
CA3177899A1 (en) Wesp collection electrode insert or extens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