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8566B1 - 싸이클론 전기 집진기 - Google Patents

싸이클론 전기 집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8566B1
KR102598566B1 KR1020230080419A KR20230080419A KR102598566B1 KR 102598566 B1 KR102598566 B1 KR 102598566B1 KR 1020230080419 A KR1020230080419 A KR 1020230080419A KR 20230080419 A KR20230080419 A KR 20230080419A KR 102598566 B1 KR102598566 B1 KR 1025985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cylindrical
lid
exhaust gas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80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규원
정만수
김성운
Original Assignee
(주)규원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규원테크 filed Critical (주)규원테크
Priority to KR10202300804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85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85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85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9/00Combinations with other devices, e.g. fans, expansion chambers, diffusors, water 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03C3/45Collecting-electrodes
    • B03C3/49Collecting-electrodes tubul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66Applications of electricity supply techniques
    • B03C3/70Applications of electricity supply techniques insulating in electric sepa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3/00Apparatus in which the axial direction of the vortex flow following a screw-thread type line remains unchanged ; Devices in which one of the two discharge ducts returns centrally through the vortex chamber, a reverse-flow vortex being prevented by bulkheads in the central discharge duct
    • B04C3/06Construction of inlets or outlets to the vortex cha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9/00Combinations with other devices, e.g. fans, expansion chambers, diffusors, water locks
    • B04C2009/001Combinations with other devices, e.g. fans, expansion chambers, diffusors, water locks with means for electrostatic separation

Landscapes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집진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코로나 방전과 선회류를 이용한 싸이클론 전기 집진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배기가스 유입관이 설치되며 상기 배기가스 유입관을 통해서 유입된 배기가스가 선회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원통부와, 그 상부가 상기 원통부의 하부와 연결되며 그 하부에 배기가스로부터 제거된 오염물질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원뿔부를 구비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에 결합하는 뚜껑과, 오염물질이 제거된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상기 뚜껑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볼텍스 파인더(Vortex Finder)를 포함하는 싸이클론 전기 집진기를 제공한다. 상기 싸이클론 전기 집진기는 상기 몸체의 내부 공간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뚜껑에 설치되며, 리드선과 연결되는 복수의 전극봉들과, 상기 전극봉을 상기 뚜껑으로부터 절연시키도록 상기 뚜껑과 상기 전극봉 상이에 설치되며, 상기 전극봉이 삽입되는 관통 구멍과, 외부 공기가 상기 원통부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는 통로가 형성된 절연 애자를 더 포함한다.

Description

싸이클론 전기 집진기{Swirling Flow Type Electric Dust Collector}
본 발명은 전기 집진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코로나 방전과 선회류를 이용한 싸이클론 전기 집진기에 관한 것이다.
집진기는 배기가스 내의 먼지, 산화물 등의 다양한 미립자를 포집하여 제거하는 장치이다. 집진기에는 원심력을 이용하여 미립자를 배기가스로부터 분리하는 싸이클론 집진기, 코로나 방전을 이용하여 미립자를 대전시킨 후에 집진판을 이용하여 포집하는 전기 집진기, 미세한 공극을 갖는 필터에 배기가스를 통과시켜 미립자를 제거하는 여과 집진기, 세정액을 이용하는 세정 집진기 등이 있다.
그리고 이들 집진기를 복합적으로 사용하는 하이브리드형 집진기들도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한국등록특허 제10-1918549호에는 정전분무, 선회류를 이용한 습식 집진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제10-1892256호에는 선회류형 전기 집진기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선회류형 전기 집진기는 배기가스에 포함된 초미세 입자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구조상 방전봉과 집진판을 설치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복수의 방전봉과 집진판을 설치해야 하는 대형 집진기에는 적용하기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또한, 한국등록특허 제10-1892256호에는 자세히 개시되어 있지 않지만, 방전봉에 배기가스에 포함된 오염물질이 흡착되어 방전봉과 뚜껑이 통전될 수 있다는 문제도 있었다. 오염물질이 흡착된 후 수분을 흡수하면 오염물질이 전도성을 가질 수 있다. 방전봉과 뚜껑이 통전되면 싸이클론 전기 집진기의 전기 집진 기능이 상실된다. 또한, 스파크가 발생하여 화재가 발생할 수도 있다. 특히, 배기가스로 인화성 가스가 사용될 경우에는 화재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한국등록특허 제10-1918549호 한국등록특허 제10-1892256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대형 집진기에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싸이클론 전기 집진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배기가스 유입관이 설치되며 상기 배기가스 유입관을 통해서 유입된 배기가스가 선회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원통부와, 그 상부가 상기 원통부의 하부와 연결되며 그 하부에 배기가스로부터 제거된 오염물질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원뿔부를 구비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에 결합하는 뚜껑과, 오염물질이 제거된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상기 뚜껑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볼텍스 파인더(Vortex Finder)를 포함하는 싸이클론 전기 집진기를 제공한다.
상기 싸이클론 전기 집진기는 상기 몸체의 내부 공간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뚜껑에 설치되며, 리드선과 연결되는 복수의 전극봉들과, 상기 전극봉을 상기 뚜껑으로부터 절연시키도록 상기 뚜껑과 상기 전극봉 상이에 설치되며, 상기 전극봉이 삽입되는 관통 구멍과, 외부 공기가 상기 원통부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는 통로가 형성된 절연 애자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절연 애자는, 상기 뚜껑에 설치되는 절연성 재질의 하부 블록과, 상기 하부 블록과 결합하며, 상기 관통 구멍이 형성된 상부 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통로는 상기 하부 블록과 상기 상부 블록의 결합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싸이클론 전기 집진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통로는 상기 하부 블록의 상면 또는 상기 상부 블록의 하면에 형성된 오목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싸이클론 전기 집진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전극봉은,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로부터 연장된 몸체부를 구비하며, 상기 상부 블록은, 상기 전극봉의 상기 헤드부가 수용되는 오목홈이 형성된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원통부의 내부 공간을 향해 연장되며, 상기 전극봉의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통형 절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싸이클론 전기 집진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절연 애자는, 상기 하부 블록으로부터 상기 원통부의 내부 공간으로 연장되며, 상기 통형 절연부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상기 통로와 연통되어 외부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간격을 두고 상기 통형 절연부를 둘러싸는 통형 안내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싸이클론 전기 집진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하부 블록과 상기 뚜껑의 상면 사이로 상기 외부 공기가 유입되도록, 상기 하부 블록의 하면 또는 상기 뚜껑의 상면에 오목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싸이클론 전기 집진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전극봉들 각각의 단부에, 상기 원통부의 반경 방향을 따라 설치되며, 전도성 재질인 방전봉 고정 브래킷과; 상기 방전봉 고정 브래킷들에 설치되며, 같은 중심을 가지며, 반지름이 다른, 전도성 재질의 복수의 방전봉 고정링들과; 상기 방전봉 고정링들에 상기 원통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설치되는 복수의 방전봉들과; 상기 원통부 또는 상기 볼텍스 파인더로부터, 상기 원통부의 반경 방향을 따라 설치되며, 전도성 재질인 복수의 집진판 고정 브래킷들과; 상기 집진판 고정 브래킷들에 설치되며, 같은 중심을 가지며, 반지름이 다르며, 상기 방전봉 고정링들 사이에 배치되는 전도성 재질의 복수의 집진판 고정링들과; 상기 집진판 고정링들에, 상기 원통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상기 방전봉 사이에 설치되는 복수의 집진판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싸이클론 전기 집진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방전봉은, 상기 원통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길게 연장된 방전판과, 상기 방전판의 표면에 결합하는 방전 돌기부를 포함하며, 상기 방전 돌기부는 상기 방전판의 표면에 결합하는 수평판과 그 수평판 양측에 결합하는 한 쌍의 톱니형 수직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싸이클론 전기 집진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싸이클론 전기 집진기는 절연 애자에 형성된 통로를 통해서 외부 공기가 유입되어 전극봉에 오염 물질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전극봉과 뚜껑이 통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싸이클론 전기 집진기를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싸이클론 전기 집진기의 A-A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싸이클론 전기 집진기의 절연 애자와 전극봉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싸이클론 전기 집진기의 방전봉 고정 브래킷과 방전봉 고정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싸이클론 전기 집진기의 집진판 고정 브래킷과 집진판 고정링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예는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싸이클론 전기 집진기를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며, 도 2는 도 1의 싸이클론 전기 집진기의 A-A 단면도이다. 도 1과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싸이클론 전기 집진기(1)는 몸체(10), 뚜껑(15), 볼텍스 파인더(Vortex Finder, 19), 전극봉(20)들, 절연 애자(30), 방전봉 고정 브래킷(50)들, 방전봉 고정링(55)들, 방전봉(60)들, 집진판 고정 브래킷(70)들, 집진판 고정링(75)들 및 집진판(80)들을 포함한다.
몸체(10)는 원통부(11)와 원뿔부(12)를 포함한다.
원통부(11)는 대체로 원통형이다. 원통부(11)에는 배기가스 유입관(13)이 설치된다. 배기가스 유입관(13)은 그 중심이 원통부(11)의 반경 방향으로부터 오프셋 되도록 설치된다. 즉, 배기가스 유입관(13)의 중심이 원통부(11)의 접선에 가깝도록 설치된다. 배기가스 유입관(13)을 통해서 유입된 배기가스가 원통부(11)의 내면을 따라서 회전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원통부(11)는 유입된 배기가스가 선회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원뿔부(12)는 대체로 원뿔형이다. 원뿔부(12)의 상단은 원통부(11)의 하단과 연결된다. 원뿔부(12)의 하단에는 배기가스로부터 제거된 오염물질이 배출되는 배출구(14)가 형성된다. 배출구(14)에는 밸브(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배출구(14)는 오염물질이 저장되는 수조(2)에 잠길 수도 있다. 원뿔부(12)는 원통부(11)와 함께 배기가스가 유동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뚜껑(15)은 몸체(10)의 상부에 결합한다. 뚜껑(15)에는 후술하는 볼텍스 파인더(19)가 설치되는 관통구멍이 형성된다. 또한, 절연 애자(30)와 전극봉(20)도 설치된다.
볼텍스 파인더(19)는 오염물질이 제거된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뚜껑(15)을 관통하여 설치된다. 볼텍스 파인더(19)는 대체로 양단이 개방된 원통형이다.
배기가스 유입구(13)를 통해서 유입된 배기가스는 몸체(10)의 내면을 따라서 아래 방향으로 선회한다. 이 과정에서 미립자는 침강하여 원뿔부(12)의 배출구(14)로 배출된다. 미립자가 제거된 가스는 위 방향으로 선회하여 볼텍스 파인더(19)의 하단의 개구로 유입된 후에 싸이클론 전기 집진기(1)의 외부로 배출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싸이클론 전기 집진기의 절연 애자와 전극봉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봉(20)들은 일단은 뚜껑(15)의 외부로 돌출되고, 타단은 몸체(11)의 내부 공간으로 연장되도록 뚜껑(15)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4개의 전극봉(20)들이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전극봉(20)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서 조절될 수 있다. 전극봉(20)은 헤드부(21)와 헤드부(21)로부터 길게 연장된 몸체부(25)를 구비한다. 헤드부(21)는 몸체부(25)에 비해서 지름이 크다. 헤드부(21)는 + 극성의 리드선(23)과 연결될 수 있다.
절연 애자(30)는 전극봉(20)들과 뚜껑(15)의 절연을 위해서 전극봉(20)과 뚜껑(15) 사이에 설치된다. 절연 애자(30)는 하부 블록(31), 상부 블록(35) 및 통형 안내 부재(43)를 포함한다. 절연 애자(30)는 세라믹이나 플라스틱과 같은 절연성 소재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부 블록(31)은 뚜껑(15)에 설치된다. 하부 블록(31)은 대체로 중심이 동일하고, 지름이 다른 두 개의 원통형 링이 서로 겹치게 결합한 형태이다. 지름이 큰 링(33)이 뚜껑(15)과 결합하고, 지름이 작은 링(34)은 상부 블록(55)과 결합한다. 하부 블록(31)의 하면에는 방사형 오목 홈(32)이 형성되어 있다. 배기가스의 유동에 의해서 몸체(10)의 내부 공간 상부에는 음압이 형성되므로, 하부 블록(31)의 오목 홈(32)에 의해서 형성된 하부 블록(31)과 뚜껑(15) 사이의 틈으로 외부 공기가 유입된다.
상부 블록(35)은 하부 블록(31)과 결합한다. 하부 블록(31)과 상부 블록(35)의 결합부에는 외부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방사형의 통로(36)가 형성된다. 방사형의 통로(36)는 하부 블록(11)의 상면 또는 상부 블록(35)의 하면에 형성된 오목 홈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배기가스의 유동에 의해서 몸체(10)의 내부 공간 상부에는 음압이 형성되므로, 이 통로(36)를 통해서도 외부 공기가 유입된다.
상부 블록(35)은 수용부(37)와 통형 절연부(38)를 포함한다. 수용부(37)에는 전극봉(20)의 헤드부(21)가 수용되는 오목 홈(39)이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수용부(37)의 오목 홈(39)에 삽입된 헤드부(21)는 + 극성의 리드선(23)과 연결된다. 그리고 오목 홈(39)은 에폭시 수지(40)에 의해 몰딩된다.
통형 절연부(38)는 수용부(37)의 하면으로부터 몸체(10)의 원통부(11)의 내부 공간을 향해 연장된다. 통형 절연부(38)는 전극봉(20)의 몸체부(25)의 외주면을 둘러싼다. 다시 말하면 통형 절연부(38)의 관통구멍(41)에 전극봉(20)의 몸체부(25)가 삽입된다. 통형 절연부(38)는 전극봉(20)의 몸체부(25)를 뚜껑(15) 및 몸체(10)으로부터 절연시키는 역할을 한다.
통형 안내 부재(43)는 하부 블록(31)으로부터 원통부(11)의 내부 공간으로 연장된다. 통형 안내 부재(43)는 간격을 두고 통형 절연부(38)를 둘러싼다. 따라서 통형 절연부(38)의 외주면과 통형 안내 부재(43)의 내주면 사이에 외부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공간(44)이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절연 애자(30)는 단순히 전극봉(20)과 뚜껑(15)의 결합 부위에서 전극봉(20)을 뚜껑(15)으로부터 절연시키는 역할 뿐 아니라, 전극봉(20)에 배기가스에 포함된 오염물질이 흡착되어 전극봉(20)과 뚜껑(15)이 통전되는 것도 방지한다. 오염물질이 흡착된 후 수분을 흡수하면 오염물질이 전도성을 가질 수 있다. 전극봉(20)과 뚜껑(15)이 통전되면 싸이클론 전기 집진기(1)의 전기 집진 기능이 상실된다. 또한, 스파크가 발생하여 화재가 발생할 수도 있다. 특히, 배기가스로 인화성 가스가 사용될 경우에는 화재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본 실시예에서는 먼저, 통형 절연부(38)에 의해서 전극봉(20)과 뚜껑(15)이 절연된다. 그리고 하부 블록(31)과 상부 블록(35) 사이의 통로(36)를 통해서 유입된 외부 공기가 통형 절연부(38)와 통형 안내 부재(43) 사이로 흐르면서, 통형 절연부(38) 및 전극봉(20)에 오염물질이 흡착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하부 블록(31)의 오목 홈(32)에 의해서 하부 블록(31)과 뚜껑(15) 사이의 틈으로 흐르는 외부 공기는 통형 안내 부재(43)의 외주면에 오염물질이 흡착되는 것도 방지한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싸이클론 전기 집진기의 방전봉 고정 브래킷과 방전봉 고정링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2와 4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방전봉 고정 브래킷(50)은 각각의 전극봉(20)의 단부에 결합한다. 방전봉 고정 브래킷(50)은 전기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진다. 방전봉 고정 브래킷(50)은 볼텍스 파인더(19)의 외면과 원통부(11)의 내면 사이에 원통부(11)의 반경 방향을 따라서 길게 배치된다. 방전봉 고정 브래킷(50)은 볼텍스 파인더(19)의 외면 및 원통부(11)의 내면과 거리를 두고 배치되어야 한다.
방전봉 고정링(55)들은 방전봉 고정 브래킷(50)들에 설치된다. 방전봉 고정링(55)들은 같은 중심을 가지며, 반지름이 서로 다르다. 방전봉 고정링(55)들은 전기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4개의 방전봉 고정링(55)들이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싸이클론 전기 집진기(1)의 크기에 따라서 개수가 변경될 수 있다. 방전봉 고정링(55)들은 방전봉 고정 브래킷(50)에 볼트를 이용하여 결합할 수 있다.
방전봉(60)들은 방전봉 고정링(55)들에 원통부(11)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설치된다. 방전봉(60)은 원통부(11)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길게 연장된 방전판(61)과, 방전판(61)의 표면에 결합하는 방전 돌기부(65)를 포함한다.
방전 돌기부(65)는 방전판(61)의 표면에 결합하는 수평판(66)과 그 수평판 (66) 양측에 결합된 한 쌍의 톱니형 수직판(67)을 구비한다. 방전 돌기부(65)는 양측에 톱니가 형성된 판의 수직으로 절곡하는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볼텍스 파인더(19)와 가장 가까운 방전봉(60)과 원통부(11)의 내면에 가장 가까운 방전판(61)에는 하나의 방전 돌기부(65)가 결합하지만, 다른 방전봉(60)들은 방전판(61)의 양쪽 표면 모두에 방전 돌기부(65)가 각각 결합할 수 있다. 방전봉(60)들은 전기 전도성을 가지는 방전봉 고정링(55), 방전봉 고정 브래킷(50)을 통해서 전극봉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방전봉(60)들은 전극봉(20)과 같은 극성을 띤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싸이클론 전기 집진기의 집진판 고정 브래킷과 집진판 고정링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2와 5를 참고하여 설명하다.
집진판 고정 브래킷(70)들은 볼텍스 파인더(19) 또는 원통부(11)로부터, 원통부(11)의 반경 방향과 나란하게 설치된다. 집진판 고정 브래킷(70)들은 전기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진다.
집진판 고정링(75)들은 집진판 고정 브래킷(70)들에 설치된다. 집진판 고정링(75)들 같은 중심을 가지며, 반지름이 서로 다르다. 집진판 고정링(75)들은 방전봉 고정링(55)들 사이사이에 배치된다. 집진판 고정링(75)들은 전기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진다.
집진판(80)들은 집진판 고정링(75)들에 원통부(11)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설치된다. 집진판(80)들은 방전봉(60)들 사이사이에 설치된다. 집진판(80)들은 전기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진다. 집진판(80)들은 전기 전도성을 가지는 집진판 고정링(75), 집진판 고정 브래킷(70)을 통해서 볼텍스 파인더(19)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볼텍스 파인더(19)는 뚜껑(15)과 연결되고, 뚜껑(15)은 몸체(10)와 연결된다. 그리고 뚜껑(15)과 몸체(10)는 전극봉(20)과 연결된 리드선(23)과 반대 극성의 리드선과 연결된다. 따라서 집진판(80)들은 방전봉(60)들과 반대되는 극성을 띤다. 이러한 상태에서 전극봉(20)에 고전압이 인가되면, 방전봉(60)에서 코로나 방전이 일어난다. 코로나 방전에 의해서 발생한 이온들은 오염물질을 대전시킨다. 그리고 대전된 이온들은 집진판(80)에 포집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본 발명의 싸이클론 전기 집진기(1)는 초미세 입자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이 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며, 그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 3에서는 절연 애자(30)를 하부 블록(31)과 상부 블록(35)을 결합하여 제작하고, 하부 블록(31)과 상부 블록(35)의 결합부에 통로(36)가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하부 블록과 상부 블록이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에는 절연 애자의 외측면으로부터 중심방향으로 관통형 통로가 형성된다.
또한, 하부 블록(31)의 하면에 오목 홈(32)이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두껑의 상면에 오목 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1: 싸이클론 전기 집진기
10: 몸체
11: 원통부
15: 뚜껑
19: 볼텍스 파인더
20: 전극봉
30: 절연 애자
31: 하부 블록
35: 상부 블록
43: 통형 안내 부재
50: 방전봉 고정 브래킷
55: 방전봉 고정링
60: 방전봉
70: 집진판 고정 브래킷
75: 집진판 고정링
80: 집진판

Claims (9)

  1. 배기가스 유입관이 설치되며 상기 배기가스 유입관을 통해서 유입된 배기가스가 선회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원통부와, 그 상부가 상기 원통부의 하부와 연결되며 그 하부에 배기가스로부터 제거된 오염물질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원뿔부를 구비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에 결합하는 뚜껑과; 오염물질이 제거된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상기 뚜껑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볼텍스 파인더(Vortex Finder)를 포함하는 싸이클론 전기 집진기로서,
    상기 몸체의 내부 공간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뚜껑에 설치되며, 리드선과 연결되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로부터 연장된 몸체부를 구비하는 복수의 전극봉들과,
    상기 전극봉을 상기 뚜껑으로부터 절연시키도록 상기 뚜껑과 상기 전극봉 상이에 설치되는 절연 애자를 포함하며,
    상기 절연 애자는,
    상기 뚜껑에 설치되는 절연성 재질의 하부 블록과,
    상기 하부 블록과 결합하며, 상기 전극봉의 상기 헤드부가 수용되는 오목홈이 형성된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원통부의 내부 공간을 향해 연장되며, 상기 전극봉의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을 상기 외주면과 밀착된 상태로 둘러싸는 통형 절연부를 포함하는 상부 블록과,
    상기 하부 블록으로부터 상기 원통부의 내부 공간으로 연장되며, 상기 통형 절연부와 간격을 두고 상기 통형 절연부를 둘러싸는 통형 안내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블록과 상기 상부 블록 사이에는 상기 통형 절연부의 외주면과 상기 통형 안내 부재의 내주면 사이로 외부 공기를 공급하도록 구성된 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하부 블록과 상기 뚜껑 사이에는 상기 통형 안내 부재의 외주면을 따라서 외부 공기를 공급하도록 구성된 통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싸이클론 전기 집진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블록과 상기 상부 블록 사이에 형성된 상기 통로는 상기 하부 블록의 상면 또는 상기 상부 블록의 하면에 형성된 오목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싸이클론 전기 집진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봉들 각각의 단부에, 상기 원통부의 반경 방향을 따라 설치되며, 전도성 재질인 방전봉 고정 브래킷과,
    상기 방전봉 고정 브래킷들에 설치되며, 같은 중심을 가지며, 반지름이 다른, 전도성 재질의 복수의 방전봉 고정링들과,
    상기 방전봉 고정링들에 상기 원통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설치되는 복수의 방전봉들과,
    상기 원통부 또는 상기 볼텍스 파인더로부터, 상기 원통부의 반경 방향을 따라 설치되며, 전도성 재질인 복수의 집진판 고정 브래킷들과,
    상기 집진판 고정 브래킷들에 설치되며, 같은 중심을 가지며, 반지름이 다르며, 상기 방전봉 고정링들 사이에 배치되는 전도성 재질의 복수의 집진판 고정링들과,
    상기 집진판 고정링들에, 상기 원통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상기 방전봉 사이에 설치되는 복수의 집진판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싸이클론 전기 집진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봉은,
    상기 원통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길게 연장된 방전판과,
    상기 방전판의 표면에 결합하는 방전 돌기부를 포함하며,
    상기 방전 돌기부는 상기 방전판의 표면에 결합하는 수평판과 그 수평판 양측에 결합하는 한 쌍의 톱니형 수직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싸이클론 전기 집진기.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230080419A 2023-06-22 2023-06-22 싸이클론 전기 집진기 KR1025985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0419A KR102598566B1 (ko) 2023-06-22 2023-06-22 싸이클론 전기 집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0419A KR102598566B1 (ko) 2023-06-22 2023-06-22 싸이클론 전기 집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8566B1 true KR102598566B1 (ko) 2023-11-06

Family

ID=88748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0419A KR102598566B1 (ko) 2023-06-22 2023-06-22 싸이클론 전기 집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8566B1 (ko)

Citation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790002106Y1 (ko) * 1979-08-21 1979-12-26 시게미쓰 다게오 고압절연애자의 방진장치(防塵裝置)
JPS58119354A (ja) * 1981-12-30 1983-07-15 Ono Kagaku Kikai Kk 放電極構体
JPS627454A (ja) * 1985-07-04 1987-01-14 Takahide Ono 電気集塵装置用放電極
JPS63149250U (ko) * 1987-03-23 1988-09-30
JPH09122533A (ja) * 1995-11-02 1997-05-13 Kajihara Tekkosho:Kk 乾式立型電気集塵装置
KR20040056514A (ko) * 2002-12-24 2004-07-01 주식회사 포스코 사이클론 집진장치
JP2005074330A (ja) * 2003-09-01 2005-03-24 Hitachi Plant Eng & Constr Co Ltd 放電極支持用碍子の設置構造
KR200400060Y1 (ko) * 2005-08-18 2005-11-02 한승용 전기 집진기
KR20100007207A (ko) * 2008-07-11 2010-01-22 성열섭 전기 멀티 사이클론 집진기
KR101064242B1 (ko) * 2009-09-23 2011-09-14 한국기계연구원 공기를 이용하는 절연 고정장치가 구비된 전기집진장치
KR101598188B1 (ko) * 2015-01-28 2016-02-26 (주)태일기공 전기집진기
KR101721925B1 (ko) * 2016-12-09 2017-05-18 주식회사 대경에스코 전기 쇼트 발생 방지용 전기 집진기 애자 및 이를 포함한 전기 집진기
KR101846281B1 (ko) * 2017-10-23 2018-04-06 김성곤 탈취집진장치
KR101892256B1 (ko) 2016-11-25 2018-08-27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선회류형 유니플로 전기집진기
KR101918549B1 (ko) 2016-11-14 2018-11-14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정전분무와 선회류를 이용한 습식 집진 장치
KR20190136874A (ko) * 2018-05-31 2019-12-10 (주)벨트란코리아 습식 전기 집진장치
KR102050262B1 (ko) * 2018-06-20 2020-01-08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고효율 유가 입자 회수장치
KR20200068867A (ko) * 2018-12-06 2020-06-16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수두차를 이용한 정전분무 다중 노즐
KR20230076304A (ko) * 2021-11-24 2023-05-31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내부 온도조절이 가능한 정전분무 사이클론

Patent Citation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790002106Y1 (ko) * 1979-08-21 1979-12-26 시게미쓰 다게오 고압절연애자의 방진장치(防塵裝置)
JPS58119354A (ja) * 1981-12-30 1983-07-15 Ono Kagaku Kikai Kk 放電極構体
JPS627454A (ja) * 1985-07-04 1987-01-14 Takahide Ono 電気集塵装置用放電極
JPS63149250U (ko) * 1987-03-23 1988-09-30
JPH09122533A (ja) * 1995-11-02 1997-05-13 Kajihara Tekkosho:Kk 乾式立型電気集塵装置
KR20040056514A (ko) * 2002-12-24 2004-07-01 주식회사 포스코 사이클론 집진장치
JP2005074330A (ja) * 2003-09-01 2005-03-24 Hitachi Plant Eng & Constr Co Ltd 放電極支持用碍子の設置構造
KR200400060Y1 (ko) * 2005-08-18 2005-11-02 한승용 전기 집진기
KR20100007207A (ko) * 2008-07-11 2010-01-22 성열섭 전기 멀티 사이클론 집진기
KR101064242B1 (ko) * 2009-09-23 2011-09-14 한국기계연구원 공기를 이용하는 절연 고정장치가 구비된 전기집진장치
KR101598188B1 (ko) * 2015-01-28 2016-02-26 (주)태일기공 전기집진기
KR101918549B1 (ko) 2016-11-14 2018-11-14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정전분무와 선회류를 이용한 습식 집진 장치
KR101892256B1 (ko) 2016-11-25 2018-08-27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선회류형 유니플로 전기집진기
KR101721925B1 (ko) * 2016-12-09 2017-05-18 주식회사 대경에스코 전기 쇼트 발생 방지용 전기 집진기 애자 및 이를 포함한 전기 집진기
KR101846281B1 (ko) * 2017-10-23 2018-04-06 김성곤 탈취집진장치
KR20190136874A (ko) * 2018-05-31 2019-12-10 (주)벨트란코리아 습식 전기 집진장치
KR102050262B1 (ko) * 2018-06-20 2020-01-08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고효율 유가 입자 회수장치
KR20200068867A (ko) * 2018-12-06 2020-06-16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수두차를 이용한 정전분무 다중 노즐
KR20230076304A (ko) * 2021-11-24 2023-05-31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내부 온도조절이 가능한 정전분무 사이클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08233B1 (en) Cyclone dust-separating apparatus with discharge electrodes
US10888813B2 (en) Wet type dust collector using electrospray and vortex
US4147522A (en) Electrostatic dust collector
KR102257548B1 (ko) 정전분무 사이클론 내 초미세입자 추가 제거를 위한 링전극 구조
RU96115377A (ru) Устройство электрического осаждения ламинарного потока
KR101892256B1 (ko) 선회류형 유니플로 전기집진기
KR20070010623A (ko) 전기 사이클론 및 이를 포함한 전기 사이클론 스크러브
BR112021007526A2 (pt) método e sistema de remoção de poeira do ar
KR101721925B1 (ko) 전기 쇼트 발생 방지용 전기 집진기 애자 및 이를 포함한 전기 집진기
CN109569904B (zh) 一种旋流-静电除雾器
KR101951185B1 (ko) 습식 집진 장치의 액체 분사 장치
KR101129782B1 (ko) 집진장치
KR102198334B1 (ko) 수두차를 이용한 정전분무 다중 노즐
KR960033520A (ko) 전기 싸이클론 집진장치
KR102598566B1 (ko) 싸이클론 전기 집진기
KR100980341B1 (ko) 전기 멀티 사이클론 집진기
KR20200062587A (ko) 싸이클론 집진장치 및 그 집진장치를 이용한 집진방법
RU2331481C1 (ru) Циклон
GB2147525A (en) Equipment for removal of dusts from industrial gases
JP7296248B2 (ja) 湿式電気集塵機
KR200197635Y1 (ko) 전기 집진기
JPS6341073Y2 (ko)
RU2353420C1 (ru) Электрофильтр
KR102534111B1 (ko) 전기 집진기
JP3118578U (ja) V字形イオン化空間を備えたイオン化集塵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